KR20220084734A -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 Google Patents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734A
KR20220084734A KR1020200174499A KR20200174499A KR20220084734A KR 20220084734 A KR20220084734 A KR 20220084734A KR 1020200174499 A KR1020200174499 A KR 1020200174499A KR 20200174499 A KR20200174499 A KR 20200174499A KR 20220084734 A KR20220084734 A KR 20220084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curbituril
amine compound
complex
porous body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884B1 (ko
Inventor
김현욱
박영철
조성호
이동호
원유섭
김재영
남형석
최완욱
정수영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88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57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 B01J20/28061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being in the range 100-500 m2/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5Addition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e.g.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 e.g. for forming 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8Thermal treatment, e.g. calcining or pyroli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four or more hetero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5Coated, impregnated or composite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30Physical properties of adsorbents
    • B01D2253/302Dimensions
    • B01D2253/306Surface area, e.g. BET-specific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이 결합된 복합체를 형성하여, 이를 유무기 다공체 내부에 담지시킴으로써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흡·탈착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흡착량이 장기간 동안 높은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로 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Cucurbituril-amine compound-porous material complex,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arbon dioxide asorb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이 결합된 복합체를 형성하여, 이를 유무기 다공체 내부에 담지시킴으로써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흡·탈착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흡착량이 장시간 동안 높은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흡착제로 응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인 에너지 수요는 제1 연료인 화석 연료에 주로 의존하고 있고, 정부의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한 정책들에도 불구하고 화석 연료는 다가오는 10 년 후에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화석 연료의 연소는 여전히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는 이산화탄소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다. 2013 년의 CO2 발생 농도는 296 ppmv로서, 이는 1800 년대 중반에 비하여 40% 더 증가한 수치이며, 최근 10 년간 2 ppm/년의 평균 성장률을 보였다. 화석 연료가 전력 부분에서 중심을 유지하기 위해서, 현재 존재하거나 앞으로 새로 만들어질 공장들은 현실적이고 비용-효율적인 CO2 포집 기술을 성공적으로 구현해야만 할 것이다.
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또는 storage); CCS)은 인공의 이산화탄소를 그의 공급원으로부터 포집하고 이를 대기 중에 방출하기 이전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물리적 공정이다. CCS는 CO2를 분리하고 액화하며 저장함으로써 CO2가 큰 규모로 방출되는 것을 줄이는데,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조건으로 여겨지고 있다.
CCS 기술 개발의 성패는 이산화탄소의 포집, 압축, 수송 및 저장 등의 세부 요소 기술로부터의 성공적인 연구개발 및 실증에 달려있지만, 그 중에서도 CO2 포집 기술이 CCS 전체 처리 비용의 약 80%를 차지하기 때문에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CO2 포집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수성 아민과 같은 액상 염기 매질을 이용한 CO2 흡착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성숙한 반면, 고체 매질을 이용한 CO2 흡착은 더욱 현실적이고 저비용의 대안으로서 미래의 CO2 포집 기술로서 고려되고 있다. 고체 흡착제는 액체 흡착제와는 다르게 주변 온도에서부터 700 ℃까지 매우 넓은 온도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고, 사이클 동안 폐기물이 더 적게 발생하며, 소모된 고체 흡착제는 과도한 환경적 예방책 없이도 쉽게 처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다공성 물질은 다차원 골격구조 안에 동공이 규칙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동공의 입체적, 화학적 환경에 따라서 기체 분자나 작은 유기 분자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고, 촉매, 이온교환, 혼합물 분리 등의 목적으로 이용 가능하다(비특허문헌 1).
쿠커비투릴[6]은 값싼 화합물인 글리코루릴(glycoluril)과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로부터 합성되는, 6 개의 글리코루릴(glycoluril) 단량체를 메틸렌 다리로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고리형 올리고머로서, 그 화합물 구조는 프리만(W. A. Freeman) 외 공동 저자들에 의해 발표된 논문(비특허문헌 2)에서 밝혀졌다. 쿠커비투릴[6]은 C36H36N24O12라는 화학식을 갖고 있으며, 내부에 동공을 갖고 있는 화합물이다. 쿠커비투릴 동족체 및 유도체는 Kim(K. Kim) 외 공동 저자들에 의해 발표된 논문(비특허문헌 3) 또는 Day(A. Day) 외 공동 저자들에 의해 발표된 논문(비특허문헌 4)에 기술된 제조방법에 따라 합성된다. 또한, 쿠커비투릴 동족체 및 유도체에 기체 혹은 휘발성 화합물을 흡착시키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아직까지 쿠커비투릴에 특정 분자량을 가지는 아민 화합물이 결합된 복합체와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로 적용한 기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이 결합된 복합체를 형성하여, 이를 유무기 다공체 내부에 담지시킴으로써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흡·탈착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흡착량이 장시간 동안 높은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로 응용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미국 등록특허 공보 제6,869,466호
Ferey, Gerard. Chemical Society Reviews 37.1 (2008): 191-214. Freeman, W. A., W. L. Mock, and N. Y. Shih.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03.24 (1981): 7367-7368. Jon, Sang Yong,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25.34 (2003): 10186-10187. Day, Anthony, et al. Th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66.24 (2001): 8094-810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이 결합된 복합체를 형성하여, 이를 유무기 다공체 내부에 담지시킴으로써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흡·탈착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흡착량이 장시간 동안 높은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로 응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이 결합된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로서,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는 상기 아민 화합물의 1차 아민기에 상기 쿠커비투릴의 O2-기가 각각 비공유 결합에 의해 결합된 구조인 것인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n은 4 내지 20의 정수이고,
X는 O, S 또는 NH이며,
A1 및 A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OR, SR, NHR, COOH, O(CH2)aR 또는 O(CH2)aSR이며, 상기 a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상기 R은 H, 할로겐, C1-C30알킬, C2-C30알케닐, C2-C30알키닐, C2-C30카르보닐알킬, C3-C30시클로알킬, C2-C30헤테로시클로알킬, C6-C30아릴, C6-C30아릴C1-C30알킬, C2-C30헤테로아릴 또는 C2-C30헤테로아릴C1-C30알킬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커비투릴은,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6이고,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며, X는 O인, 쿠커비투릴[6]일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 모노에탄올아민(MEA), 디에탄올아민(DEA), 트리에탄올아민(TEA), 디에틸렌트리아민(DETA), 펜타에틸렌헥사아민(PEHA) 및 테트라에틸렌펜타민-아크릴로니트릴(TEPA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의 중량비는 1: 0.4 내지 1.14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기 다공체 및 상기 유무기 다공체 내부에 담지된, 본 발명에 따른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유무기 다공체는 다공성 실리카, 메조다공성 실리카, 제올라이트, 활성탄 및 탄소 분자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및 유무기 다공체의 중량비는 1: 0.1 내지 1.8일 수 있다.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BET 비표면적은 1 내지 600 m2/g일 수 있다.
상기 쿠커비투릴은 쿠커비투릴[6]이고, 상기 아민 화합물은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이고,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의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 중량비는 1: 0.7 내지 0.8이고,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및 유무기 다공체의 중량비는 1:0.4 내지 0.5이고,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BET 비표면적은 50 내지 400 m2/g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커비투릴, 아민 화합물 및 용매를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n은 4 내지 20의 정수이고,
X는 O, S 또는 NH이며,
A1 및 A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OR, SR, NHR, COOH, O(CH2)aR 또는 O(CH2)aSR이며, 상기 a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상기 R은 H, 할로겐, C1-C30알킬, C2-C30알케닐, C2-C30알키닐, C2-C30카르보닐알킬, C3-C30시클로알킬, C2-C30헤테로시클로알킬, C6-C30아릴, C6-C30아릴C1-C30알킬, C2-C30헤테로아릴 또는 C2-C30헤테로아릴C1-C30알킬이다.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물,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커비투릴, 아민 화합물 및 용매를 혼합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분산용액에 유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n은 4 내지 20의 정수이고,
X는 O, S 또는 NH이며,
A1 및 A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OR, SR, NHR, COOH, O(CH2)aR 또는 O(CH2)aSR이며, 상기 a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상기 R은 H, 할로겐, C1-C30알킬, C2-C30알케닐, C2-C30알키닐, C2-C30카르보닐알킬, C3-C30시클로알킬, C2-C30헤테로시클로알킬, C6-C30아릴, C6-C30아릴C1-C30알킬, C2-C30헤테로아릴 또는 C2-C30헤테로아릴C1-C30알킬이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 모노에탄올아민(MEA), 디에탄올아민(DEA), 트리에탄올아민(TEA), 디에틸렌트리아민(DETA), 펜타에틸렌헥사아민(PEHA) 및 테트라에틸렌펜타민-아크릴로니트릴(TEPA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및 유무기 다공체의 중량비는 1: 0.1 내지 1.8일 수 있다.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BET 비표면적은 1 내지 600 m2/g일 수 있다.
상기 쿠커비투릴은 쿠커비투릴[6]이고, 상기 아민 화합물은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이고, 상기 용매는 무수 메탄올이고,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의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 중량비는 1: 0.7 내지 0.8이고, 상기 유무기 다공체는 다공성 실리카이고,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유무기 다공체를 150 내지 22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사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및 유무기 다공체의 중량비는 1: 0.4 내지 0.5이고,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BET 비표면적은 50 내지 400 m2/g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이 결합된 복합체를 형성하여, 이를 유무기 다공체 내부에 담지시킴으로써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흡·탈착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흡착량이 장시간 동안 높은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로 응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CB[6]와 결합 가능한 아민 화합물의 종류와 화학식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로부터 합성된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 복합체(CB[6]-TEPA) 및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CB[6]-TEPA@다공성 실리카)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CB[6]-TEPA-다공성 실리카)의 이산화탄소 흡탈착 성능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TEPA-다공성 실리카)의 이산화탄소 흡탈착 성능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이 결합된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로서,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는 상기 아민 화합물의 1차 아민기에 상기 쿠커비투릴의 O2-기가 각각 비공유 결합에 의해 결합된 구조인 것인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n은 4 내지 20의 정수이고,
X는 O, S 또는 NH이며,
A1 및 A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OR, SR, NHR, COOH, O(CH2)aR 또는 O(CH2)aSR이며, 상기 a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상기 R은 H, 할로겐, C1-C30알킬, C2-C30알케닐, C2-C30알키닐, C2-C30카르보닐알킬, C3-C30시클로알킬, C2-C30헤테로시클로알킬, C6-C30아릴, C6-C30아릴C1-C30알킬, C2-C30헤테로아릴 또는 C2-C30헤테로아릴C1-C30알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는 쿠커비투릴이 아민 화합물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여 열적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아민 화합물의 1차 아민의 불능화(passivation)를 통하여 우레아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어 반복적인 흡·탈착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흡착량이 장시간 동안 높은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로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커비투릴은,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6이고,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며, X는 O인, 쿠커비투릴[6]일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 모노에탄올아민(MEA), 디에탄올아민(DEA), 트리에탄올아민(TEA), 디에틸렌트리아민(DETA), 펜타에틸렌헥사아민(PEHA) 및 테트라에틸렌펜타민-아크릴로니트릴(TEPA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 말단에 1차 아민기가 존재하는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 디에틸렌트리아민(DETA), 에틸렌헥사아민(PEHA) 및 테트라에틸렌펜타민-아크릴로니트릴(TEPA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CB[6]와 결합 가능한 아민 화합물의 종류와 화학식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의 중량비는 1: 0.4 내지 1.14, 바람직하게는 1: 0.3 내지 1.2, 더욱 바람직하게는 1: 0.5 내지 1: 0.9, 가장 바람직하게는 1: 0.7 내지 0.8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아민 화합물의 중량비가 0.4 미만이면 이산화탄소가 흡착되는 사이트(site)가 적어 이산화탄소 흡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1.14 중량비 초과이면 상기 쿠커비투릴과 결합하지 못한 아민 화합물이 서로 엉기면서 이산화탄소가 흡착되는 것을 방해하여 결과적으로 흡착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기 다공체 및 상기 유무기 다공체 내부에 담지된, 본 발명에 따른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유무기 다공체는 다공성 실리카, 메조다공성 실리카, 제올라이트, 활성탄 및 탄소 분자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실리카, 탄소 분자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실리카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다공성 실리카(silica)는 실리콘이 산소로 연결된 다공성 구조체로서, 균일한 기공 크기로 인하여 특정 크기의 분자들에 대한 우수한 선택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및 유무기 다공체의 중량비는 1: 0.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1: 0.3 내지 1.2, 더욱 바람직하게는 1: 0.4 내지 1, 가장 바람직하게는 1: 0.4 내지 0.5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무기 다공체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이산화탄소의 흡착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BET 비표면적은 1 내지 600 m2/g,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0 m2/g,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400 m2/g일 수 있다.
상기 쿠커비투릴은 쿠커비투릴[6]이고, 상기 아민 화합물은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이고,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의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 중량비는 1: 0.7 내지 0.8이고,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및 유무기 다공체의 중량비는 1:0.4 내지 0.5이고,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BET 비표면적은 50 내지 400 m2/g일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할 경우에는 상기 구성 및 수치를 벗어나는 경우에 비하여 이산화탄소 흡착능 및 열적 안정성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커비투릴, 아민 화합물 및 용매를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n은 4 내지 20의 정수이고,
X는 O, S 또는 NH이며,
A1 및 A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OR, SR, NHR, COOH, O(CH2)aR 또는 O(CH2)aSR이며, 상기 a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상기 R은 H, 할로겐, C1-C30알킬, C2-C30알케닐, C2-C30알키닐, C2-C30카르보닐알킬, C3-C30시클로알킬, C2-C30헤테로시클로알킬, C6-C30아릴, C6-C30아릴C1-C30알킬, C2-C30헤테로아릴 또는 C2-C30헤테로아릴C1-C30알킬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커비투릴은,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6이고,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며, X는 O인, 쿠커비투릴[6]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물,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무수 메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커비투릴, 아민 화합물 및 용매를 혼합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분산용액에 유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6
n은 4 내지 20의 정수이고,
X는 O, S 또는 NH이며,
A1 및 A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OR, SR, NHR, COOH, O(CH2)aR 또는 O(CH2)aSR이며, 상기 a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상기 R은 H, 할로겐, C1-C30알킬, C2-C30알케닐, C2-C30알키닐, C2-C30카르보닐알킬, C3-C30시클로알킬, C2-C30헤테로시클로알킬, C6-C30아릴, C6-C30아릴C1-C30알킬, C2-C30헤테로아릴 또는 C2-C30헤테로아릴C1-C30알킬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커비투릴은,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6이고,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며, X는 O인, 쿠커비투릴[6]일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 모노에탄올아민(MEA), 디에탄올아민(DEA), 트리에탄올아민(TEA), 디에틸렌트리아민(DETA), 펜타에틸렌헥사아민(PEHA) 및 테트라에틸렌펜타민-아크릴로니트릴(TEPA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 디에틸렌트리아민(DETA), 에틸렌헥사아민(PEHA) 및 테트라에틸렌펜타민-아크릴로니트릴(TEPA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물,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무수 메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및 유무기 다공체의 중량비는 1: 0.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1: 0.3 내지 1.2, 더욱 바람직하게는 1: 0.4 내지 1, 가장 바람직하게는 1: 0.4 내지 0.5일 수 있다.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BET 비표면적은 1 내지 600 m2/g,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0 m2/g,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400 m2/g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를 통하여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가 형성된 분산용액을 수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b) 단계를 통하여 상기 유무기 다공체 내부에 상기 형성된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가 담지된,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유무기 다공체를 5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3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20 ℃에서 1 내지 100 시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시간 동안 사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무기 다공체의 사전 활성화를 통하여 유무기 다공체 내부의 수분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특히, 하기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는 명시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용매 및 유무기 다공체의 종류, (b) 단계 이전에 유무기 다공체의 사전 활성화 여부,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및 유무기 다공체의 중량비 및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BET 비표면적 조건들을 달리하며 제조된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에 대하여 50 회 이산화탄소 흡착 사이클을 수행하여 동적 이산화탄소 흡착량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다른 조건 및 다른 수치 범위와는 달리, 하기 8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였을 때, 5000 회 사이클 수행 후에도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응집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복합체의 유무기 다공체 내부에 담지된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의 유실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5000회 사이클 수행 후에도 이산화탄소 흡착 성능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장시간의 흡탈착에도 재생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① 상기 쿠커비투릴은 쿠커비투릴[6]이고, ② 상기 아민 화합물은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이고, ③ 상기 용매는 무수 메탄올이고, ④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의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 중량비는 1: 0.7 내지 0.8이고, ⑤ 상기 유무기 다공체는 다공성 실리카이고, ⑥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유무기 다공체를 150 내지 22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사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⑦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및 유무기 다공체의 중량비는 1: 0.4 내지 0.5이고, ⑧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BET 비표면적은 50 내지 400 m2/g일 수 있다.
다만 상기 8가지 조건들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을 경우에는 5000회 사이클 수행 후에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응집이 현저히 발생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복합체의 유무기 다공체 내부에 담지된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의 유실 또한 현저히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흡착 성능이 저조하였고, 3000회 사이클이 지나면서 재생 안정성이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및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 복합체(CB[6]-TEPA)의 합성
TEPA(3.794g) 및 쿠커비투릴[6](5g)을 무수 메탄올(50 ml)이 들은 비커에서 투입한 후 교반하여 분산시킴으로써 CB[6]-TEPA(8.7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CB[6]-TEPA@다공성 실리카)의 합성
다공성 실리카 내부에 상기 실시예 1의 CB[6]-TEPA가 담지된,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먼저, 다공성 실리카(Aldrich 381276, SSA(specific surface area)=175 내지 225 m2/g) 100 g을 200 ℃에서 1 일 동안 사전 활성화하여 사전 활성화된 다공성 실리카 100 g을 수득하고, 상기 사전 활성화된 다공성 실리카 3.794 g을 상기 실시예 1의 CB[6]-TEPA(8.7g)가 수득된 분산용액에 투입한 후 30 분 동안 더 교반하였다. 이후 최종 생성물을 진공 하에 70 ℃에서 6 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CB[6]-PEI@다공성 실리카(12.4g)를 합성하였다.
도 2는 상기 실시예 1 및 2로부터 합성된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 복합체(CB[6]-TEPA) 및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CB[6]-TEPA@다공성 실리카)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의 양 말단에 위치한 1차 아민기에 쿠커비투릴의 말단에 위치한 O2-기가 비공유 결합되어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유무기 다공체인 다공성 실리카를 추가로 혼합하여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기공 내에 상기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 복합체가 결합된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가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비교예 1: 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TEPA-다공성 실리카)의 합성
TEPA 0.2g을 무수 메탄올(2.5g)이 들은 비커에서 투입한 후 교반하여 분산시킨 후, 상기 실시예 1의 사전 활성화된 다공성 실리카 0.2 g을 투입한 후 30 분 동안 더 교반하였다. 이후 최종 생성물을 진공 하에 70 ℃에서 6 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TEPA@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의 이산화탄소 흡탈착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열적중량분석(TG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전처리는 N2(100%), 80 ℃의 조건에서 진행하였으며, 흡착은 CO2(15%)/N2(85%), 60 ℃의 조건과 탈착은 N2(100%), 80 ℃의 조건에서 각각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CB[6]-TEPA-다공성 실리카)의 이산화탄소 흡탈착 성능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를 이용하여 50회 사이클이 진행하였을 때, 상기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는 동적 이산화탄소 흡착량 감소가 2.1 %였다.
도 4는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TEPA-다공성 실리카)의 이산화탄소 흡탈착 성능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를 이용하여 50회 사이클이 진행하였을 때, 이산화탄소 흡착량 감소가 2.9%였다. 이를 통해,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을 비교하였을 때, 쿠커비투릴이 혼합된 상기 실시예 2의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의 경우 상기 비교예 1에 비해 상대적으로 동적 이산화탄소 흡착량 감소가 훨씬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쿠커비투릴 및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이 결합된 복합체를 형성하여, 이를 다공성 실리카 내부에 담지시킴으로써 쿠커비투릴-테트라에틸렌펜타민-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흡·탈착 과정에서도 이산화탄소 흡착량이 장시간 동안 높은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로 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8)

  1.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이 결합된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로서,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는 상기 아민 화합물의 1차 아민기에 상기 쿠커비투릴의 O2-기가 각각 비공유 결합에 의해 결합된 구조인 것인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화학식 1]
    Figure pat00007

    n은 4 내지 20의 정수이고,
    X는 O, S 또는 NH이며,
    A1 및 A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OR, SR, NHR, COOH, O(CH2)aR 또는 O(CH2)aSR이며, 상기 a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상기 R은 H, 할로겐, C1-C30알킬, C2-C30알케닐, C2-C30알키닐, C2-C30카르보닐알킬, C3-C30시클로알킬, C2-C30헤테로시클로알킬, C6-C30아릴, C6-C30아릴C1-C30알킬, C2-C30헤테로아릴 또는 C2-C30헤테로아릴C1-C30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커비투릴은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6이고,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며, X는 O인, 쿠커비투릴[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화합물은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 모노에탄올아민(MEA), 디에탄올아민(DEA), 트리에탄올아민(TEA), 디에틸렌트리아민(DETA), 펜타에틸렌헥사아민(PEHA) 및 테트라에틸렌펜타민-아크릴로니트릴(TEPA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의 중량비는 1: 0.4 내지 1.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5. 유무기 다공체 및
    상기 유무기 다공체 내부에 담지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다공체는 다공성 실리카, 메조다공성 실리카, 제올라이트, 활성탄 및 탄소 분자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및 유무기 다공체의 중량비는 1: 0.1 내지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BET 비표면적은 1 내지 600 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쿠커비투릴은 쿠커비투릴[6]이고,
    상기 아민 화합물은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이고,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의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 중량비는 1: 0.7 내지 0.8이고,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및 유무기 다공체의 중량비는 1:0.4 내지 0.5이고,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BET 비표면적은 50 내지 400 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11. 제5항에 따른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12.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커비투릴, 아민 화합물 및 용매를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08

    n은 4 내지 20의 정수이고,
    X는 O, S 또는 NH이며,
    A1 및 A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OR, SR, NHR, COOH, O(CH2)aR 또는 O(CH2)aSR이며, 상기 a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상기 R은 H, 할로겐, C1-C30알킬, C2-C30알케닐, C2-C30알키닐, C2-C30카르보닐알킬, C3-C30시클로알킬, C2-C30헤테로시클로알킬, C6-C30아릴, C6-C30아릴C1-C30알킬, C2-C30헤테로아릴 또는 C2-C30헤테로아릴C1-C30알킬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물,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의 제조방법.
  14. (a)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커비투릴, 아민 화합물 및 용매를 혼합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분산용액에 유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09

    n은 4 내지 20의 정수이고,
    X는 O, S 또는 NH이며,
    A1 및 A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OR, SR, NHR, COOH, O(CH2)aR 또는 O(CH2)aSR이며, 상기 a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상기 R은 H, 할로겐, C1-C30알킬, C2-C30알케닐, C2-C30알키닐, C2-C30카르보닐알킬, C3-C30시클로알킬, C2-C30헤테로시클로알킬, C6-C30아릴, C6-C30아릴C1-C30알킬, C2-C30헤테로아릴 또는 C2-C30헤테로아릴C1-C30알킬이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화합물은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 모노에탄올아민(MEA), 디에탄올아민(DEA), 트리에탄올아민(TEA), 디에틸렌트리아민(DETA), 펜타에틸렌헥사아민(PEHA) 및 테트라에틸렌펜타민-아크릴로니트릴(TEPA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및 유무기 다공체의 중량비는 1: 0.1 내지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BET 비표면적은 1 내지 600 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쿠커비투릴은 쿠커비투릴[6]이고,
    상기 아민 화합물은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이고,
    상기 용매는 무수 메탄올이고,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의 쿠커비투릴 및 아민 화합물 중량비는 1: 0.7 내지 0.8이고,
    상기 유무기 다공체는 다공성 실리카이고,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유무기 다공체를 150 내지 22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사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 복합체 및 유무기 다공체의 중량비는 1: 0.4 내지 0.5이고
    상기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BET 비표면적은 50 내지 400 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200174499A 2020-12-14 2020-12-14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KR102488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499A KR102488884B1 (ko) 2020-12-14 2020-12-14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499A KR102488884B1 (ko) 2020-12-14 2020-12-14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734A true KR20220084734A (ko) 2022-06-21
KR102488884B1 KR102488884B1 (ko) 2023-01-17

Family

ID=8222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499A KR102488884B1 (ko) 2020-12-14 2020-12-14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70554A (zh) * 2022-11-08 2023-03-10 昊华气体有限公司 一种改性吸附剂及其在一氟甲烷中脱除六氟乙烷的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747A (ko) * 2005-11-12 2007-05-16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쿠커비투릴 유도체와 리간드의 비공유 결합을 이용한 응용
KR20150116334A (ko) * 2014-04-07 2015-10-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흡착용 아민 개질 zsm-5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KR20200046903A (ko) * 2018-10-26 2020-05-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쿠커비투릴-폴리에틸렌이민-실리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JP6869466B2 (ja) 2017-04-14 2021-05-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温水タン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747A (ko) * 2005-11-12 2007-05-16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쿠커비투릴 유도체와 리간드의 비공유 결합을 이용한 응용
KR20150116334A (ko) * 2014-04-07 2015-10-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흡착용 아민 개질 zsm-5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JP6869466B2 (ja) 2017-04-14 2021-05-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温水タンク装置
KR20200046903A (ko) * 2018-10-26 2020-05-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쿠커비투릴-폴리에틸렌이민-실리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y, Anthony, et al. Th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66.24 (2001): 8094-8100.
Ferey, Gerard. Chemical Society Reviews 37.1 (2008): 191-214.
Freeman, W. A., W. L. Mock, and N. Y. Shih.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03.24 (1981): 7367-7368.
Jon, Sang Yong,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25.34 (2003): 10186-10187.
Structure and Selectivity in Host-Guest Complexes of Cucurbituril, Th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986. 11. 1. 발행, 4440쪽부터 4446쪽*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70554A (zh) * 2022-11-08 2023-03-10 昊华气体有限公司 一种改性吸附剂及其在一氟甲烷中脱除六氟乙烷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884B1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Microporous adsorbents for CO2 capture–a case for microporous polymers?
Li et al. Nitrogen‐Rich Porous Adsorbents for CO2 Capture and Storage
Lashaki et al. Stability of amine-functionalized CO 2 adsorbents: a multifaceted puzzle
Piscopo et al. Strategies to Enhance Carbon Dioxide Capture in Metal‐Organic Frameworks
Sattari et al. The application of polymer containing materials in CO2 capturing via absorption and adsorption methods
CN106944018B (zh) 一种聚乙烯亚胺改性海泡石吸附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9649618B2 (en) Method for preparing solid amine gas adsorption material
AU2015249696B2 (en) Cooperative chemical adsorption of acid gases in functionalized metal-organic frameworks
US11845058B2 (en) Cooperative chemical adsorption of acid gases in functionalized metal-organic frameworks
Mukherjee et al. Amine-impregnated MCM-41 in post-combustion CO2 capture: Synthesis, characterization, isotherm modelling
KR20170127416A (ko) 고체 담체 상의 개질 아민의 재생성 흡착제
KR101729513B1 (ko) 나노 구조의 지지체 상의 개질된 아민의 재생 흡착제
Lu et al. Cost‐Effective Synthesis of Amine‐Tethered Porous Materials for Carbon Capture
Liu et al. Mesocellular silica foam supported polyamine adsorbents for dry CO2 scrubbing: Performance of single versus blended polyamines for impregnation
KR102171761B1 (ko) 쿠커비투릴-폴리에틸렌이민-실리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Ding et al. Mannitol-based acetal-linked porous organic polymers for selective capture of carbon dioxide over methane
Jeon et al. Double-layer structured CO2 adsorbent functionalized with modified polyethyleneimine for high physical and chemical stability
Pei et al. Storage of hydrogen, methane, carbon dioxide in electron-rich porous aromatic framework (JUC-Z2)
KR101490202B1 (ko) 미세기공성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88884B1 (ko) 쿠커비투릴-아민 화합물-다공체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CN106944004B (zh) 一种有机胺改性海泡石吸附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Duan et al. Chemisorption and regeneration of amine-based CO2 sorbents in direct air capture
CN109894086B (zh) 一种金属有机框架与离子液体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Muchan et al. Carbon dioxide adsorption/desorption performance of single-and blended-amines-impregnated MCM-41 mesoporous silica in post-combustion carbon capture
CN116618022A (zh) 一种固态胺吸附剂及其胺基改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