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172A - 커넥터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172A
KR20220084172A KR1020227017421A KR20227017421A KR20220084172A KR 20220084172 A KR20220084172 A KR 20220084172A KR 1020227017421 A KR1020227017421 A KR 1020227017421A KR 20227017421 A KR20227017421 A KR 20227017421A KR 20220084172 A KR20220084172 A KR 20220084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movable
contact
movable insulato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슌스케 모리타
šœ스케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8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8Coupling devices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provided on the edge of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개시에 의한 커넥터(10)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 인슐레이터(20)와,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 배치되고,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며, 접속 대상물(60)과 감합되는 가동 인슐레이터(30)와, 고정 인슐레이터(20) 및 가동 인슐레이터(30)에 부착되어 있는 콘택트(50)를 구비하고, 가동 인슐레이터(30)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 배치되고, 독립 별개로 이동가능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전자 기기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1월 27일에 일본국에 특허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9-21469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를 위해 포함한다.
본 개시는 커넥터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접속 대상물과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감합 중 및 감합 후에 있어서도 커넥터의 일부가 이동함으로써 접속 대상물과 커넥터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플로팅 구조를 가진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플로팅 구조를 갖고, 플럭스 상승에 대한 도통 불량을 억제하면서 소형화에 기여하는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최근, 전자 기기에서는 모듈의 다양화가 현저하게 진행되어 있다. 또한, 여러가지 모듈에 있어서 발생한 전기 신호를 집약해서 접속할 수 있는 다극의 커넥터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일본특허 제5568677호 공보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 인슐레이터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며, 접속 대상물과 감합되는 가동 인슐레이터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 및 상기 가동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인슐레이터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의 내측에 배치되고, 독립 별개로 이동가능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기기는,
상기의 커넥터를 구비한다.
도 1은 접속 대상물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접속 대상물과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단체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 단체의 하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파선 포위부(V)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커넥터의 상면시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VII-VII 화살선을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파선 포위부(VIII)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3의 VII-V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한 쌍의 콘택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파선 포위부(XI)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커넥터와 접속되는 접속 대상물을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접속 대상물의 상면시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XIV-XIV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6의 한 쌍의 콘택트가 탄성 변형되는 제 1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6의 한 쌍의 콘택트가 탄성 변형되는 제 2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3의 커넥터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3의 커넥터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5에 대응하는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3의 커넥터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5에 대응하는 확대도이다.
예를 들면, 접속 대상물과 커넥터가 감합된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이 이동하면 접속 대상물과 감합되어 있는 가동 인슐레이터 및 고정 인슐레이터에 대해 응력 등의 부하가 발생하여 이들의 인슐레이터의 파손 또는 변형 등이 생기기 쉬워진다. 이러한 부하는, 예를 들면 다극화에 의해 커넥터가 장척으로 될수록 커진다. 따라서, 플로팅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이러한 부하가 억제되는 구조가 필요로 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에서는 이러한 부하가 억제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및 전자 기기에 의하면 플로팅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과 감합되어 있는 가동 인슐레이터 및 고정 인슐레이터에 대해 발생하는 부하를 억제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각 화살표의 방향은 도 1 내지 도 11, 도 14, 도 17 내지 도 19에 있어서 다른 도면끼리 서로 정합되어 있다. 각 화살표의 방향은 도 12 및 도 13끼리 서로 정합되어 있다. 각 화살표의 방향은 도 15 및 도 16끼리 서로 정합되어 있다. 도면에 따라서는 간편한 도시를 목적으로 하여 후술하는 회로 기판(CB1 및 CB2)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접속 대상물(60)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접속 대상물(60)과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고정 인슐레이터(20)와,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와,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와, 금구(40)와, 콘택트(50)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와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를 정리해서 서로 구별하지 않을 때는 이들을 「가동 인슐레이터(30)」로 표기한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면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라고 하여 설명한다. 접속 대상물(60)은 플러그 커넥터라고 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이 서로 감합되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콘택트(50)가 탄성 변형되는 커넥터(10)를 리셉터클 커넥터로 하고, 후술하는 콘택트(90)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접속 대상물(60)을 플러그 커넥터로 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의 종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넥터(10)가 플러그 커넥터의 역할을 하고, 접속 대상물(60)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역할을 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은 회로 기판(CB1 및 CB2)에 각각 실장된다고 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0)는 커넥터(10)와 감합된 접속 대상물(60)과 회로 기판(CB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접속 대상물(60)이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CB2)과 회로 기판(CB1)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회로 기판(CB1 및 CB2)은 리지드 기판이어도 좋고, 또는 그 이외의 임의의 회로 기판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CB1 및 CB2) 중 적어도 일방은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FPC)이어도 좋다.
이하에서는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은 회로 기판(CB1 및 CB2)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서로 접속된다고 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은 일례로서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접속된다. 접속 방향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은 회로 기판(CB1 및 CB2)에 대해 평행 방향으로 서로 접속되어도 좋고,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에 대해 일방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또한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에 대해 타방이 평행 방향이 되도록 서로 접속되어도 좋다.
이하의 설명 중에서 사용하는 「감합 방향」은 일례로서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감합측」은 일례로서 상측을 의미한다. 「돌출 방향」은 일례로서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콘택트(50)의 배열 방향」은 일례로서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플로팅 구조를 갖고 있다. 커넥터(10)는 접속되어 있는 접속 대상물(60)이 회로 기판(CB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접속 대상물(60)은 커넥터(10)와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어도 회로 기판(CB1)에 대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10) 단체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10) 단체의 하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파선 포위부(V)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커넥터(10)의 상면시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VII-VII 화살선을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파선 포위부(VIII)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3의 VII-V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한 쌍의 콘택트(5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파선 포위부(XI)의 확대도이다. 도 3에 있어서, VII-VII 화살선은 가동 인슐레이터(30) 중 일례로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도 7 내지 도 9와 마찬가지의 단면이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측에 대해서도 얻어진다. 따라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에 관한 이하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내용이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에도 적용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일례로서 이하의 방법으로 조립된다.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금구(40)를 압입하고, 금구(40)가 압입된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 가동 인슐레이터(30)를 배치한다. 고정 인슐레이터(20) 및 가동 인슐레이터(30)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콘택트(50)를 압입한다.
이하에서는 콘택트(50)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10)의 각 부품의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고정 인슐레이터(20)의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이고 또한 내열성인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각통 형상의 부재이다. 고정 인슐레이터(20)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공이다. 고정 인슐레이터(20)는 상면에 제 1 개구(21a) 및 제 2 개구(21b)를 갖는다. 고정 인슐레이터(20)는 하면에 제 3 개구(21c)를 갖는다. 고정 인슐레이터(20)는 전후 좌우의 4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내부의 공간을 위요하는 외주벽(22)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주벽(22)은 좌우 양측의 한 쌍의 폭벽(22a)과 전후 양측의 한 쌍의 길이벽(22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길이벽(22b)은 그 좌우 양단 및 중앙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돌출벽(22b1)을 갖는다.
고정 인슐레이터(20)는 폭벽(22a)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금구 부착홈(23)을 갖는다. 금구 부착홈(23)에는 금구(40)가 부착된다.
고정 인슐레이터(20)는 길이벽(22b)의 내측에 있어서 하측 가장자리부로부터 하면 및 내면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 부착홈(24)을 갖는다. 복수의 콘택트 부착홈(24)은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부착홈(24)은 고정 인슐레이터(20)의 길이벽(22b)에서 상하 방향에 걸쳐 연장된다. 콘택트 부착홈(24)에는 콘택트(50)가 부착된다.
고정 인슐레이터(20)는 길이벽(22b)의 중앙부에 있어서 전후 양측의 길이벽(22b)을 연결하도록 전후 방향에 걸쳐 연장되는 격벽(25)을 갖는다. 격벽(25)은 길이벽(22b)의 중앙부에 있어서 제 1 개구(21a)와 제 2 개구(21b)를 좌우 방향을 따라 가로막는다. 격벽(25)은 고정 인슐레이터(20)의 상면으로부터, 고정 인슐레이터(20)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까지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인슐레이터(20)는 후측의 길이벽(22b)의 좌단, 및 전측의 길이벽(22b)의 우단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보스(26)를 갖는다.
도 4 내지 도 9를 주로 참조하면서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가동 인슐레이터(30)는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 배치되고,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다. 가동 인슐레이터(30)는 접속 대상물(60)과 감합된다. 가동 인슐레이터(30)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 배치되고, 독립 별개로 이동가능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를 갖는다.
예를 들면, 커넥터(10)에 있어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와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는 서로 동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는 서로 반전된 상태에서 콘택트(50)의 배열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가동 인슐레이터(30) 중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는 가동 인슐레이터(30) 중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콘택트(50)의 배열 방향을 따라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에만 착안하여 그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에 관한 이하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내용이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에도 적용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절연성이고 또한 내열성인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전방으로부터의 정면시에 있어서 볼록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하부를 구성하는 저부(31)와, 저부(3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접속 대상물(60)과 감합되는 감합 볼록부(32)를 갖는다. 저부(3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감합 볼록부(32)보다 길다. 저부(31)는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측, 즉 우측의 측면으로부터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31a)를 갖는다. 돌출부(31a)는 좌우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지는 대향면(31b)을 갖는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감합 볼록부(32)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감합 오목부(33)를 갖는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감합 볼록부(32)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걸쳐 감합 오목부(3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34)를 갖는다. 가이드부(34)는 감합 볼록부(32)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방을 향해 비스듬히 내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 부착홈(35)을 갖는다. 콘택트 부착홈(35)은 상하 방향에 걸쳐 연장된다. 콘택트 부착홈(35)의 하부는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전면 및 후면의 하부가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부착홈(35)의 중앙부는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부착홈(35)의 상부는 감합 오목부(33)의 전후 방향의 양 내면이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부착홈(35)에는 콘택트(50)가 부착된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감합 오목부(33)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내부에서 연장되는 벽부(36)를 갖는다. 벽부(36)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에 부착되어 있는 한 쌍의 콘택트(50) 사이에 위치한다. 벽부(36)는 한 쌍의 콘택트(50)와 대향한다. 벽부(36)의 상부는 가장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벽부(36)의 중앙부는 상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벽부(36)의 하부는 중앙부보다 더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벽부(36)의 전면 및 후면은 콘택트 부착홈(35)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 부착홈(35)의 중앙부는 벽부(36)의 중앙부 및 상부의 폭의 변화에 따라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폭이 좁아진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감합 볼록부(32)의 상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37)를 갖는다. 오목부(37)는 감합 볼록부(32)의 상부에 있어서 전후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저부(31)의 좌우 양단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38)를 갖는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돌출부(31a)(제 1 돌출부)는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측의 측면으로부터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를 향해 돌출된다.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의 돌출부(31a)(제 2 돌출부)는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돌출부(31a)와 이간되고,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측의 측면으로부터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를 향해 돌출된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돌출부(31a)의 선단은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의 돌출부(31a)의 선단보다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측에 위치한다. 환언하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돌출부(31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의 돌출부(31a)는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돌출 방향을 따라 서로 겹친다. 예를 들면, 제 1 돌출부의 대향면(31b)과 제 2 돌출부의 대향면(31b)이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한다. 2개의 대향면(31b)은 좌우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에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2개의 대향면(31b)의 전후 방향을 따른 이간 거리(L1)는 돌출부(31a)와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돌출벽(22b1) 사이의 이간 거리(L2)보다 작다.
고정 인슐레이터(20)의 격벽(25)은 접속 대상물(60)과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감합측으로부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와 겹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인슐레이터(20)의 격벽(25)은 돌출 방향을 따라 서로 겹쳐 있는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의 겹침 부분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겹친다.
도 6을 주로 참조하면 금구(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금구(40)는 임의의 금속 재료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 6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금구(40)의 가공 방법은 빼냄 가공을 행한 후에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금구(40)는 고정 인슐레이터(20)의 금구 부착홈(23)에 압입되고, 고정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금구(40)는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정면시에 있어서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금구(40)는 그 전후 양측의 하단부에 있어서 U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실장부(41)를 갖는다. 금구(40)는 그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42)를 갖는다. 금구(40)는 연결부(42)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하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내방을 향해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빠짐 방지부(43)를 갖는다. 빠짐 방지부(43)는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한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상방으로의 빠짐을 억제한다. 금구(40)는 그 전후 양측의 상단부에 있어서 고정 인슐레이터(20)의 금구 부착홈(23)에 대해 로킹하는 로킹부(44)를 갖는다.
도 9 내지 도 11을 주로 참조하면서 콘택트(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콘택트(50)는, 예를 들면 인 청동, 베릴륨구리, 또는 티탄구리를 포함하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구리 합금 또는 콜슨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콘택트(50)는 빼냄 가공에만 의해 형성된다. 콘택트(50)의 가공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빼냄 가공을 행한 후에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공정을 포함해도 좋다. 콘택트(50)는 탄성 변형에 따르는 형상 변화가 커지도록, 예를 들면 탄성 계수가 작은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50)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는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는 고정 인슐레이터(20) 및 가동 인슐레이터(30)에 부착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한 좌우 위치에 배열되는 한 쌍의 콘택트(50)는 전후 방향을 따라 대칭적으로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콘택트(50)는 그 사이의 중심을 지나는 상하 축에 대해 서로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콘택트(5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고정 인슐레이터(20)에 의해 지지되는 기부(51)를 갖는다. 콘택트(50)는 기부(51)의 하단부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고정 인슐레이터(20)의 콘택트 부착홈(24)에 대해 로킹되는 제 1 로킹부(52a)를 갖는다. 콘택트(50)는 기부(51)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고정 인슐레이터(20)의 콘택트 부착홈(24)에 대해 로킹되는 제 2 로킹부(52b)를 갖는다. 제 2 로킹부(52b)는 후술하는 제 1 폭광부(51a)보다 감합측에 형성되어 있다. 기부(51), 제 1 로킹부(52a), 및 제 2 로킹부(52b)는 고정 인슐레이터(20)의 콘택트 부착홈(24)에 수용되어 있다. 콘택트(50)는 제 1 로킹부(52a)의 하단부의 외측으로부터 L자 형상으로 외방으로 연장되는 실장부(53)를 갖는다.
콘택트(50)는 기부(51)의 일부를 구성하고, 고정 인슐레이터(20)측에 위치하는 제 1 폭광부(51a)를 갖는다. 제 1 폭광부(51a)는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 있어서 길이벽(22b)의 내면을 따라 위치한다. 제 1 폭광부(51a)는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해 직접 로킹되어 있지 않고 제 1 로킹부(52a) 및 제 2 로킹부(52b)가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해 로킹됨으로써 지지된다. 제 1 폭광부(51a)는 후술하는 제 1 탄성부(54a)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폭광부(51a)는 제 1 탄성부(54a)의 외단부의 근방에 있어서 제 1 탄성부(54a)와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폭광부(51a)는 고정 인슐레이터(20)를 따른 콘택트(50)의 다른 부분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가동 인슐레이터(30)측으로 돌출된다. 제 1 폭광부(51a)는 기부(51)의 다른 부분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일단(一段) 내측으로 돌출된다. 제 1 폭광부(51a)는 기부(51)의 다른 부분보다 전후 방향으로 폭이 넓다. 마찬가지로, 제 1 폭광부(51a)는 제 1 탄성부(54a)보다 폭이 넓다. 이렇게 제 1 폭광부(51a)는 전체적으로 기부(51)의 다른 부분 및 제 1 탄성부(54a)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폭광부(51a)는 기부(51)의 다른 부분 및 제 1 탄성부(54a)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폭광부(51a)는 기부(51)의 다른 부분 및 제 1 탄성부(54a)보다 낮은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는 제 1 폭광부(51a)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51b)를 갖는다. 좌우 방향의 일방의 외면에서는 요철부(51b)는 볼록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반대로, 좌우 방향의 타방의 외면에서는 요철부(51b)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51b)는 콘택트(50)가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콘택트 부착홈(24)의 표면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빼냄 가공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50)의 좌우 방향을 따른 비틀림이 억제된다. 따라서, 콘택트(50)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좁아도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해 안정되게 부착된다. 또한,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이 감합된 감합 상태에 있어서 가동 인슐레이터(30)가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했을 경우이어도 콘택트(50)에 가해지는 좌우 방향의 비틀림이 억제된다.
콘택트(50)는 기부(51)로부터 전후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는 탄성 변형가능한 제 1 탄성부(54a)를 갖는다. 제 1 탄성부(54a)는 기부(51)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된 후,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굴곡되고, 그대로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제 1 탄성부(54a)는 그 내측의 단부에 있어서 하방을 향해 다시 굴곡되고, 후술하는 중간부(54b)의 상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탄성부(54a)는 기부(51) 및 제 1 폭광부(51a)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제 1 탄성부(54a)는 탄성 변위되는 부분을 조정할 수 있다.
콘택트(50)는 제 1 탄성부(54a)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54b)를 갖는다. 중간부(54b)는 전체적으로 제 1 탄성부(54a)보다 폭이 넓게, 즉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1 탄성부(54a)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중간부(54b)는 콘택트(50)가 탄성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감합 방향으로 연장된다.
중간부(54b)는 상부를 구성하는 제 1 조정부(54b1)와, 중앙부를 구성하는 제 2 조정부(54b2)와, 하부를 구성하는 제 3 조정부(54b3)를 갖는다. 제 1 조정부(54b1)의 상단부는 제 1 탄성부(54a)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조정부(54b1)는 제 1 탄성부(54a)보다 단면적이 크다. 제 1 조정부(54b1)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 2 조정부(54b2)보다 일단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 2 조정부(54b2)는 제 1 조정부(54b1)보다 단면적이 작고 또한 제 1 탄성부(54a)보다 단면적이 크다. 예를 들면, 제 2 조정부(54b2)는 제 1 조정부(54b1)보다 전후 방향으로 폭이 좁게, 또한 제 1 탄성부(54a)보다 전후 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 3 조정부(54b3)는 제 2 조정부(54b2)보다 단면적이 크다. 제 3 조정부(54b3)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 2 조정부(54b2)보다 일단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중간부(54b)는 제 1 조정부(54b1) 및 제 3 조정부(54b3)에 있어서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고, 제 2 조정부(54b2)에 있어서 이들보다 낮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제 1 조정부(54b1)와 제 3 조정부(54b3)는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조정부(54b1)와 제 3 조정부(54b3)는 중간부(54b)의 중심에 대해 서로 점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50)는 제 3 조정부(54b3)의 하단부로부터 가동 인슐레이터(30)까지 연장되는 탄성 변형가능한 제 2 탄성부(54c)를 갖는다. 제 2 탄성부(54c)는 제 3 조정부(54b3)의 하단부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굴곡되고, 그대로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제 2 탄성부(54c)는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다시 굴곡되고, 후술하는 제 2 폭광부(55)의 외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제 2 탄성부(54c)는 제 1 탄성부(54a)와 마찬가지로 중간부(54b)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제 2 탄성부(54c)는 탄성 변위되는 부분을 조정할 수 있다.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는 크랭크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는 감합 방향을 따라 감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중간부(54b)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중간부(54b)의 중심에 대해 서로 점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중간부(54b)에 있어서 감합 방향의 양단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탄성부(54a)는 제 1 조정부(54b1)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내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한편으로, 제 2 탄성부(54c)는 제 3 조정부(54b3)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이렇게 제 1 탄성부(54a)와 중간부(54b)의 접속점 및 제 2 탄성부(54c)와 중간부(54b)의 접속점은 중간부(54b)의 중심에 대해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제 1 폭광부(51a) 및 후술하는 제 2 폭광부(55)와 연속하고 있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중간부(54b)와 각각 연속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탄성부(54a)는 외단부에서 제 1 폭광부(51a)와 연속하고 있는 한편, 내단부에서 중간부(54b)와 연속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탄성부(54c)는 내단부에서 제 2 폭광부(55)와 연속하고 있는 한편, 외단부에서 중간부(54b)와 연속하고 있다.
콘택트(50)는 제 2 탄성부(54c)와 연속하는 제 2 폭광부(55)를 갖는다. 제 2 폭광부(55)는 제 2 탄성부(54c)의 내단부의 근방에 있어서 제 2 탄성부(54c)와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폭광부(55)는 가동 인슐레이터(30)측에 위치한다. 제 2 폭광부(55)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콘택트 부착홈(35) 내에 위치한다. 제 2 폭광부(55)는 가동 인슐레이터(30)에 대해 직접 로킹되어 있지 않고 후술하는 제 3 로킹부(58)가 가동 인슐레이터(30)에 대해 로킹됨으로써 지지된다.
제 2 폭광부(55)는 가동 인슐레이터(30)를 따른 콘택트(50)의 다른 부분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고정 인슐레이터(20)측으로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폭광부(55)는 후술하는 제 3 탄성부(56), 제 3 로킹부(58), 및 탄성 접촉부(59)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일단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 2 폭광부(55)는 가동 인슐레이터(30)를 따른 콘택트(50)의 다른 부분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가동 인슐레이터(30)측으로 더욱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폭광부(55)는 상하 방향의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후술하는 제 3 탄성부(56)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일단 내측으로 더욱 돌출된다.
제 2 폭광부(55)는 제 3 탄성부(56), 제 3 로킹부(58), 및 탄성 접촉부(59)보다 전후 방향으로 폭이 넓다. 마찬가지로, 제 2 폭광부(55)는 제 2 탄성부(54c)보다 폭이 넓다. 이렇게 제 2 폭광부(55)는 전체적으로 제 2 탄성부(54c), 제 3 탄성부(56), 제 3 로킹부(58), 및 탄성 접촉부(59)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폭광부(55)는 제 2 탄성부(54c), 제 3 탄성부(56), 제 3 로킹부(58), 및 탄성 접촉부(59)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폭광부(55)는 제 2 탄성부(54c), 제 3 탄성부(56), 제 3 로킹부(58), 및 탄성 접촉부(59)보다 낮은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다.
콘택트(50)는 제 2 폭광부(55)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고,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내벽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탄성 변형가능한 제 3 탄성부(56)를 갖는다. 제 3 탄성부(56)는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감합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3 탄성부(56)는 전체에 걸쳐, 그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벽부(36)와 대향한다. 콘택트(50)는 제 3 탄성부(56)가 탄성 변형될 때의 굴곡점을 구성하도록 제 3 탄성부(56)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노치부(57)를 갖는다. 노치부(57)는 제 3 탄성부(56)의 전후 방향의 외면의 중앙부에 있어서 그 표면이 절취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50)는 제 3 탄성부(56)의 상방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가동 인슐레이터(30)에 대해 로킹되는 제 3 로킹부(58)를 갖는다. 제 3 로킹부(58)는 제 3 탄성부(56)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50)는 제 3 로킹부(58)의 상방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감합 시에 접속 대상물(60)의 콘택트(90)와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59)를 갖는다. 탄성 접촉부(59)는 콘택트(50)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 2 조정부(54b2)로부터 제 1 조정부(54b1)와 반대측에 연속하는 부분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폭광부(55), 제 3 탄성부(56), 노치부(57), 및 제 3 로킹부(58)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콘택트 부착홈(35)에 수용되어 있다. 제 2 폭광부(55), 제 3 탄성부(56), 및 제 3 로킹부(58)는 대략 전체에 걸쳐, 그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벽부(36)와 대향한다. 제 2 탄성부(54c)와 제 3 탄성부(56)를 접속하는 제 2 폭광부(55)는 벽부(36)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폭광부(55) 및 제 3 탄성부(56)의 하반부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전면 및 후면의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으로서 구성되는 콘택트 부착홈(35)의 하부에 수용되어 있다. 제 3 탄성부(56)의 상반부 및 제 3 로킹부(58)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내부에 의해 구성되는 콘택트 부착홈(35)의 중앙부에 수용되어 있다. 노치부(57)는 콘택트 부착홈(35)의 하부와 중앙부의 경계 근방에 위치하도록 제 3 탄성부(56)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59)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감합 오목부(33)의 내면의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으로서 구성되는 콘택트 부착홈(35)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탄성 접촉부(59)의 선단은 콘택트 부착홈(35)으로부터 감합 오목부(33) 내로 노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회로 기판(CB1)에 형성된 임의의 오목부에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보스(26)가 맞물려 회로 기판(CB1)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로 기판(CB1)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해 콘택트(50)의 실장부(53)가 납땜된다. 상기 실장면에 형성된 패턴에 대해 금구(40)의 실장부(41)가 납땜된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10)는 회로 기판(CB1)에 대해 실장된다. 회로 기판(CB1)의 실장면에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컨트롤러, 또는 메모리 등의 커넥터(10)와는 다른 전자 부품이 실장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가동 인슐레이터(30)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50)의 각각은 회로 기판(CB1)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해 신호용, 전원용, 및 접지용 중 어느 하나에 임의의 조합으로 할당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콘택트(50) 중 일부의 콘택트(50)의 실장부(53)가 신호용으로 할당되고, 다른 일부의 실장부(53)가 전원용으로 할당되고, 또 다른 일부의 실장부(53)가 접지용으로 할당되어도 좋다.
접속 대상물(60)의 구조에 대해 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도 3의 커넥터(10)와 접속되는 접속 대상물(60)을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접속 대상물(60)의 상면시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60)은 큰 구성요소로서 인슐레이터(70)와, 금구(80)와, 콘택트(90)를 갖는다. 접속 대상물(60)은 인슐레이터(70)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금구(80)를 압입하고, 하방으로부터 콘택트(90)를 압입함으로써 조립된다.
인슐레이터(70)는 절연성이고 또한 내열성인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사각 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인슐레이터(70)는, 상면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 1 감합 오목부(71) 및 제 2 감합 오목부(72)를 갖는다. 인슐레이터(70)는 제 1 감합 오목부(7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감합 볼록부(73)를 갖는다. 인슐레이터(70)는 제 2 감합 오목부(7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감합 볼록부(74)를 갖는다.
인슐레이터(70)는 제 1 감합 오목부(71) 및 제 2 감합 오목부(72)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걸쳐 이들을 둘러싸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75)를 갖는다. 가이드부(75)는 제 1 감합 오목부(71) 및 제 2 감합 오목부(72)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방을 향해 비스듬히 외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된다. 인슐레이터(70)는 좌우 양측의 측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금구 부착홈(76)을 갖는다. 금구 부착홈(76)에는 금구(80)가 부착된다.
인슐레이터(70)는 저부의 전후 양측과, 제 1 감합 볼록부(73) 및 제 2 감합 볼록부(74)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 부착홈(77)을 갖는다. 복수의 콘택트 부착홈(77)에는 복수의 콘택트(90)가 각각 부착된다. 복수의 콘택트 부착홈(77)은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금구(80)는 임의의 금속 재료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금구(80)는 인슐레이터(70)의 좌우 양단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금구(80)는 그 하단부에 있어서 L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실장부(81)를 갖는다. 금구(80)는 실장부(81)와 상방으로 연속해서 형성되고, 인슐레이터(70)의 금구 부착홈(76)에 대해 로킹되는 로킹부(82)를 갖는다.
콘택트(90)는, 예를 들면 인 청동, 베릴륨구리, 또는 티탄구리를 포함하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구리 합금 또는 콜슨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콘택트(90)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콘택트(90)는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되어 있다. 콘택트(90)는 L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실장부(91)를 갖는다. 콘택트(90)는, 그 상단에 형성되고 접속 대상물(60)과 커넥터(10)가 감합되는 감합 상태에서 콘택트(50)의 탄성 접촉부(59)와 접촉하는 접촉부(92)를 갖는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접속 대상물(60)에서는 회로 기판(CB2)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해 콘택트(90)의 실장부(91)가 납땜된다. 상기 실장면에 형성된 패턴에 대해 금구(80)의 실장부(81)가 납땜된다. 이상에 의해, 접속 대상물(60)은 회로 기판(CB2)에 대해 실장된다. 회로 기판(CB2)의 실장면에는,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 및 센서 등을 포함하는 접속 대상물(60)과는 다른 전자 부품이 실장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콘택트(90)의 각각은 회로 기판(CB2)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해 신호용, 전원용, 및 접지용 중 어느 하나에 임의의 조합으로 할당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콘택트(90) 중 일부의 콘택트(90)의 실장부(91)가 신호용으로 할당되고, 다른 일부의 실장부(91)가 전원용으로 할당되고, 또 다른 일부의 실장부(91)가 접지용으로 할당되어도 좋다.
도 14는 도 1의 XIV-XIV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XIV-XIV화살선은 가동 인슐레이터(30) 중 일례로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도 14와 마찬가지의 단면이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측에 대해서도 얻어진다. 따라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에 관한 이하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내용이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에도 적용된다. 도 14를 주로 참조하면서 플로팅 구조를 갖는 커넥터(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10)의 콘택트(50)는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내부에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가 고정 인슐레이터(20)와 이간되고, 또한 들뜬 상태에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를 지지하고 있다. 이 때,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하부는 고정 인슐레이터(20)의 외주벽(22)에 의해 위요된다. 감합 오목부(33)를 포함하는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상부는 고정 인슐레이터(20)의 제 1 개구(21a)보다 상방으로 돌출된다.
콘택트(50)의 실장부(53)가 회로 기판(CB1)에 대해 납땜됨으로써 고정 인슐레이터(20)는 회로 기판(CB1)에 대해 고정된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콘택트(50)의 제 1 탄성부(54a), 제 2 탄성부(54c), 및 제 3 탄성부(56)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회로 기판(CB1)에 고정된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해 이동가능해진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인슐레이터(20)의 길이벽(22b)의 돌출벽(22b1)은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전후 방향으로의 과잉의 이동을 규제한다. 예를 들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가 콘택트(50)의 탄성 변형에 따라 설계값을 초과하여 크게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저부(31) 또는 돌출부(31a)가 돌출벽(22b1)과 접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저부(31)의 좌단부가 길이벽(22b)의 좌단의 돌출벽(22b1)과 접촉한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돌출부(31a)가 길이벽(22b)의 중앙의 돌출벽(22b1)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그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고정 인슐레이터(20)의 폭벽(22a) 및 격벽(25)은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좌우 방향으로의 과잉의 이동을 규제한다. 예를 들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가 콘택트(50)의 탄성 변형에 따라 설계값을 초과하여 크게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감합 볼록부(32)가 폭벽(22a) 또는 격벽(25)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그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돌출부(38)는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하방향으로의 과잉의 이동을 규제한다. 예를 들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가 콘택트(50)의 탄성 변형에 따라 설계값을 초과하여 크게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돌출부(38)가 회로 기판(CB1)의 표면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하방향으로 그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플로팅 구조를 갖는 커넥터(10)에 대해 접속 대상물(60)의 상하 방향의 방향을 거꾸로 한 상태에서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의 전후 위치 및 좌우 위치를 대략 일치시키면서 서로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시킨다. 그 후, 접속 대상물(6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서로의 위치가 예를 들면 전후 좌우 방향으로 다소 어긋나 있어도 커넥터(10)의 가이드부(34)와 접속 대상물(60)의 가이드부(75)가 접촉한다. 그 결과, 커넥터(10)의 플로팅 구조에 의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가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감합 볼록부(32)가 인슐레이터(70)의 제 1 감합 오목부(71)로 가이드된다.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의 감합 볼록부(32)가 인슐레이터(70)의 제 2 감합 오목부(72)로 가이드된다.
접속 대상물(60)을 하방으로 더 이동시키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감합 볼록부(32)와 인슐레이터(70)의 제 1 감합 오목부(71)가 서로 감합된다.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의 감합 볼록부(32)와 인슐레이터(70)의 제 2 감합 오목부(72)가 서로 감합된다. 이 때,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감합 오목부(33)와 인슐레이터(70)의 제 1 감합 볼록부(73)가 서로 감합된다.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의 감합 오목부(33)와 인슐레이터(70)의 제 2 감합 볼록부(74)가 서로 감합된다.
커넥터(10)의 가동 인슐레이터(30)와 접속 대상물(60)의 인슐레이터(70)가 감합된 감합 상태에서 커넥터(10)의 콘택트(50)와 접속 대상물(60)의 콘택트(90)가 서로 접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트(50)의 탄성 접촉부(59)와 콘택트(90)의 접촉부(92)가 서로 접촉한다. 이 때, 콘택트(50)의 탄성 접촉부(59)의 선단은 외측을 향해 약간 탄성 변형되고, 콘택트 부착홈(35)의 내부를 향해 탄성 변위된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은 완전히 접속된다. 이 때, 콘택트(50) 및 콘택트(90)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CB1)과 회로 기판(CB2)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콘택트(50)의 한 쌍의 탄성 접촉부(59)는 접속 대상물(60)의 한 쌍의 콘택트(90)를 전후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의 탄성력에 의해 전후 양측으로부터 협지한다. 이것에 의해 생기는 접속 대상물(60)의 콘택트(90)에의 압박력의 반작용에 의해, 접속 대상물(60)을 커넥터(10)로부터 발거하는 경우, 가동 인슐레이터(30)는 콘택트(50)를 개재하여 발거 방향, 즉 상방향으로의 힘을 받는다. 이것에 의해, 가령 가동 인슐레이터(30)가 상방으로 이동했다고 해도 고정 인슐레이터(20)의 격벽(25) 및 고정 인슐레이터(20)에 압입된 금구(40)의 빠짐 방지부(43)가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상방으로의 빠짐을 억제한다.
예를 들면, 고정 인슐레이터(20)의 격벽(25)은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돌출부(31a)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고정 인슐레이터(20)에 압입된 금구(40)의 빠짐 방지부(43)는 고정 인슐레이터(20) 내부에 있어서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의 좌우 양단부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동 인슐레이터(30)가 상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돌출부(31a)가 격벽(25)과 접촉하고, 외방으로 돌출된 저부(31)의 좌우 양단부가 빠짐 방지부(43)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인슐레이터(30)는 상방으로 그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도 15는 도 6의 한 쌍의 콘택트(50)가 탄성 변형되는 제 1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6의 한 쌍의 콘택트(50)가 탄성 변형되는 제 2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서 한 쌍의 콘택트(50)가 탄성 변형될 때의 각 구성부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편함을 위해, 각 도면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콘택트(50)를 콘택트(50a)로 하고, 각 도면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콘택트(50)를 콘택트(50b)로 해서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에 있어서, 콘택트(50a 및 50b)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2점 쇄선에 의해 나타낸다.
도 15에서는 일례로서 가동 인슐레이터(30)가 어떠한 외적 요인에 의해 우방향으로 이동했을 경우를 상정한다.
가동 인슐레이터(30)가 우방향으로 이동하면 콘택트(50a)의 제 3 로킹부(58)가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벽부(36)에 의해 우방향으로 밀린다. 이 때, 콘택트(50a)의 제 3 탄성부(56)는 노치부(57) 근방을 기점으로 해서 내측으로 휜다. 콘택트(50a)의 제 3 탄성부(56)는 노치부(57) 근방보다 하측에 있어서 상측의 부분과 비교하여 보다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벽부(36)와 접촉하고 있는 콘택트(50a)의 제 3 로킹부(58)는 가동 인슐레이터(30)와의 상대 위치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는다. 한편으로, 콘택트(50a)의 제 2 폭광부(55)는 그 상대 위치를 내측으로 변화시킨다.
콘택트(50a)의 제 3 탄성부(56)가 우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탄성부(54c)가 탄성 변형되면서 제 2 탄성부(54c)와 중간부(54b)의 접속점도 우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으로, 제 1 탄성부(54a)와 중간부(54b)의 접속점의 좌우 위치의 변화는 작다. 따라서, 제 1 탄성부(54a)가 탄성 변형되어 그 내측 단부의 굴곡부가 외측으로 굴곡되고, 중간부(54b)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비스듬히 우방향으로 경사진다.
가동 인슐레이터(30)가 우방향으로 이동하면 콘택트(50b)의 제 3 로킹부(58)가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내벽에 의해 우방향으로 밀린다. 이 때, 콘택트(50b)의 제 3 탄성부(56)는 노치부(57) 근방을 기점으로 해서 외측으로 휜다. 콘택트(50b)의 제 3 탄성부(56)는 노치부(57) 근방보다 하측에 있어서 상측의 부분과 비교하여 보다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콘택트 부착홈(35)의 내벽과 접촉하고 있는 콘택트(50b)의 제 3 로킹부(58)는 가동 인슐레이터(30)와의 상대 위치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는다. 한편으로, 콘택트(50b)의 제 2 폭광부(55)는 그 상대 위치를 외측으로 변화시킨다.
콘택트(50b)의 제 3 탄성부(56)가 우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탄성부(54c)가 탄성 변형되면서 제 2 탄성부(54c)와 중간부(54b)의 접속점도 우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으로, 제 1 탄성부(54a)와 중간부(54b)의 접속점의 좌우 위치의 변화는 작다. 따라서, 제 1 탄성부(54a)가 탄성 변형되어 그 내측 단부의 굴곡부가 내측으로 굴곡되고, 중간부(54b)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비스듬히 우방향으로 경사진다.
도 16에서는 일례로서 가동 인슐레이터(30)가 어떠한 외적 요인에 의해 좌방향으로 이동했을 경우를 상정한다.
가동 인슐레이터(30)가 좌방향으로 이동하면 콘택트(50a)의 제 3 로킹부(58)가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내벽에 의해 좌방향으로 밀린다. 이 때, 콘택트(50a)의 제 3 탄성부(56)는 노치부(57) 근방을 기점으로 해서 외측으로 휜다. 콘택트(50a)의 제 3 탄성부(56)는 노치부(57) 근방보다 하측에 있어서 상측의 부분과 비교하여 보다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콘택트 부착홈(35)의 내벽과 접촉하고 있는 콘택트(50a)의 제 3 로킹부(58)는 가동 인슐레이터(30)와의 상대 위치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는다. 한편으로, 콘택트(50a)의 제 2 폭광부(55)는 그 상대 위치를 외측으로 변화시킨다.
콘택트(50a)의 제 3 탄성부(56)가 좌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탄성부(54c)가 탄성 변형되면서 제 2 탄성부(54c)와 중간부(54b)의 접속점도 좌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으로, 제 1 탄성부(54a)와 중간부(54b)의 접속점의 좌우 위치의 변화는 작다. 따라서, 제 1 탄성부(54a)가 탄성 변형되어 그 내측 단부의 굴곡부가 내측으로 굴곡되고, 중간부(54b)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비스듬히 좌방향으로 경사진다.
가동 인슐레이터(30)가 좌방향으로 이동하면 콘택트(50b)의 제 3 로킹부(58)가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벽부(36)에 의해 좌방향으로 밀린다. 이 때, 콘택트(50b)의 제 3 탄성부(56)는 노치부(57) 근방을 기점으로 해서 내측으로 휜다. 콘택트(50b)의 제 3 탄성부(56)는 노치부(57) 근방보다 하측에 있어서 상측의 부분과 비교하여 보다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벽부(36)와 접촉하고 있는 콘택트(50b)의 제 3 로킹부(58)는 가동 인슐레이터(30)와의 상대 위치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는다. 한편으로, 콘택트(50b)의 제 2 폭광부(55)는 그 상대 위치를 내측으로 변화시킨다.
콘택트(50b)의 제 3 탄성부(56)가 좌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탄성부(54c)가 탄성 변형되면서 제 2 탄성부(54c)와 중간부(54b)의 접속점도 좌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으로, 제 1 탄성부(54a)와 중간부(54b)의 접속점의 좌우 위치의 변화는 작다. 따라서, 제 1 탄성부(54a)가 탄성 변형되어 그 내측 단부의 굴곡부가 외측으로 굴곡되고, 중간부(54b)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비스듬히 좌방향으로 경사진다.
이상과 같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플로팅 구조를 갖고, 접속 대상물(60)과 감합되어 있는 가동 인슐레이터(30) 및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해 발생하는 부하를 억제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10)는 이들의 인슐레이터의 파손 또는 변형 등을 억제가능하다. 예를 들면, 가동 인슐레이터(30)가, 서로 분리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접속 대상물(60)과 커넥터(10)가 감합된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60)이 이동했다고 해도 접속 대상물(60)과 감합되어 있는 가동 인슐레이터(30)에 대한 응력 등의 부하가 억제된다. 예를 들면, 가동 인슐레이터(30)가, 서로 분리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60)이 이동했을 때에 1개의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충돌 등에 의해 고정 인슐레이터(20)에 주어지는 부하가 억제된다. 이러한 부하의 억제 효과는, 예를 들면 다극화에 의해 커넥터(10)가 장척으로 될수록 커진다.
게다가, 가동 인슐레이터(30)가 2개로 분리됨으로써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가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하므로, 일체로 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가동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접속 대상물(60)의 제 1 감합 오목부(71) 및 제 2 감합 오목부(72)와 가동 인슐레이터(30) 사이의 가이드가 용이해지고, 커넥터(10)에 있어서 양호한 플로팅 구조가 실현가능하다. 커넥터(10)에 대한 접속 대상물(60)의 삽입 작업이 용이해진다.
고정 인슐레이터(20)의 격벽(25)이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돌출부(31a)와 감합측으로부터 겹침으로써, 가동 인슐레이터(30)가 상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돌출부(31a)가 격벽(25)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인슐레이터(30)는 상방으로 그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한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상방으로의 빠짐이 억제된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제 1 돌출부의 선단이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의 제 2 돌출부의 선단보다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격벽(25)의 좌우 방향의 폭이 단축되었을 경우이어도 감합측으로부터 본 격벽(25)과 돌출부(31a) 사이의 좌우 방향의 겹침 폭이 유지된다. 따라서,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격벽(25)의 좌우 방향의 폭이 단축되었을 경우이어도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한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상방으로의 빠짐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가 콘택트(50)의 배열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일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커넥터(10)의 폭을 넓혀서 타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커넥터(10)의 폭을 저감가능하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와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가 서로 동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커넥터(10)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 비용이 저감가능하다.
커넥터(10)에서는 신호 전송에 있어서의 전송 특성이 향상된다. 커넥터(10)에서는 콘택트(50)가 중간부(54b)를 가짐으로써 콘택트(50)의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가 조정되고, 특성 임피던스의 이상값에 가까워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트(50)에서는 큰 탄성 변형량을 얻기 위해서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가 폭이 좁게(단면적이 좁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상값으로 조정된 특성 임피던스가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에 있어서 증대한다. 중간부(54b)는 이러한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폭을 의도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중간부(54b)는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분을 억제하여 특성 임피던스를 전체에 걸쳐 이상값에 가깝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커넥터(10)에서는 대용량이고 또한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소망하는 전송 특성이 보다 용이하게 얻어진다. 중간부(54b)에 있어서의 각 조정부를 갖지 않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와 비교하여 전송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
콘택트(50)가 제 1 폭광부(51a) 및 제 2 폭광부(55)를 가짐으로써 각각의 전송로의 폭, 즉 전송로의 단면적에 따라 특성 임피던스가 조정된다. 예를 들면, 제 1 폭광부(51a) 및 제 2 폭광부(55)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50)의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가 이상값에 가까워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폭광부(51a) 및 제 2 폭광부(55)는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폭을 의도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제 1 폭광부(51a) 및 제 2 폭광부(55)에 의해 특성 임피던스를 조정함으로써 이들의 구성부는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분을 억제하여 특성 임피던스를 이상값에 가깝게 할 수 있다.
각 폭광부가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콘택트(50)를 설계함으로써 콘택트(50)의 전체 형상이 빼냄 가공에만 의해 형성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50)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콘택트(50)가 복잡한 형상으로 설계되었을 경우이어도 콘택트(50)의 제조가 용이하다. 따라서, 소망하는 전송 특성에 맞춘 최적의 형상을 정밀도 좋게 유지한 상태에서 콘택트(50)가 제조가능하다. 이렇게 콘택트(50)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결과, 커넥터(10)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제 1 폭광부(51a) 및 제 2 폭광부(55)가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와 각각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는 각 탄성부에 주는 각 폭광부의 영향이 보다 강조된다. 이것에 의해 각 탄성부의 특성 임피던스가 보다 효과적으로 저하한다. 각 탄성부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분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커넥터(1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신호 전송에 있어서의 양호한 전송 특성에 더하여, 양호한 플로팅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콘택트(50)가 제 2 탄성부(54c)를 가짐으로써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한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탄성부(54a)의 탄성 변형에 더하여, 제 2 탄성부(54c)의 탄성 변형이 생김으로써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한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이 증대한다.
커넥터(10)는 콘택트(50)가 제 3 탄성부(56)를 더 가짐으로써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한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의 탄성 변형에 더하여, 제 3 탄성부(56)의 탄성 변형이 생김으로써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한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이 증대한다.
가동 인슐레이터(30)가 제 2 폭광부(55)와 대향하는 위치에 벽부(36)를 가짐으로써 도 9의 전후 방향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콘택트(50)끼리의 접촉이 억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탄성부(54c)와 제 3 탄성부(56)를 접속하는 제 2 폭광부(55)는 제 2 탄성부(54c) 및 제 3 탄성부(56)의 탄성 변형에 따라, 예를 들면 도 9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 가령 가동 인슐레이터(30)에 벽부(36)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 하면 각각의 탄성 변형 상태에 따라 전후 한 쌍의 콘택트(50)의 제 2 폭광부(55)끼리가 접촉할 가능성도 있다.
벽부(36)의 형성에 의해 이러한 제 2 폭광부(55)끼리의 접촉이 억제되고, 단락 등의 전기적으로 야기되는 문제 및 파손 등의 역학적으로 야기되는 문제가 억제된다. 달리 말하면, 커넥터(10)는 벽부(36)의 형성에 의해 제 3 탄성부(56)의 과잉의 탄성 변형을 규제할 수 있다. 제 2 탄성부(54c) 및 제 3 탄성부(56)의 탄성 변형에 따라 제 2 폭광부(55)가 이동하는 상황이어도 커넥터(10)의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이 유지된다.
커넥터(10)에서는 제 1 조정부(54b1)가 전후 방향을 따라 제 2 조정부(54b2)보다 일단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 3 조정부(54b3)가 전후 방향을 따라 제 2 조정부(54b2)보다 일단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형성 방법에 의해,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가 탄성 변형되었을 경우이어도 제 1 조정부(54b1) 및 제 3 조정부(54b3) 모두 콘택트(50)의 다른 부분 및 가동 인슐레이터(30)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제 1 조정부(54b1) 및 제 3 조정부(54b3)의 돌출 부분이 콘택트(50)의 탄성 변형의 방해가 되는 일 없이 원활한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이동을 실현하여 양호한 플로팅 구조에 기여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가 중간부(54b)에 있어서 감합 방향의 양단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됨으로써, 필요로 되는 중간부(54b)의 가동량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는 필요로 되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확보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가 크랭크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의 효과를 발휘하면서 도 9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폭의 단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탄성부(54a)가 중간부(54b)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내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 2 탄성부(54c)가 중간부(54b)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10) 전체의 전후 방향의 폭이 단축된다. 덧붙여, 고정 인슐레이터(20) 내의 한정된 영역에서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의 탄성 변형되는 부분을 길게 할 수 있고, 양호한 플로팅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가 감합 방향을 따라 감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 2 탄성부(54c)와 접속되어 있는 제 2 폭광부(55)가 최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3 탄성부(56)가 연신되고, 보다 크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한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이 증대한다.
커넥터(10)는 콘택트(50)가 노치부(57)를 가짐으로써, 가동 인슐레이터(30)가 이동했을 때에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내벽과 접촉하는 제 3 로킹부(58)에 가해지는 힘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콘택트 부착홈(35)의 상부에 위치하는 탄성 접촉부(59)에 가해지는 힘을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노치부(57) 근방보다 하측에 있어서 제 3 탄성부(56)를 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10)에서는 제 3 탄성부(56)에 있어서 제 3 로킹부(58)의 하단부로부터 노치부(57) 근방에 이르기까지의 상반부보다 하반부의 탄성 변형량이 보다 커진다. 이상에 의해, 제 3 로킹부(58)의 가동 인슐레이터(30)에 대한 로킹 및 탄성 접촉부(59)의 접촉부(92)에 대한 접촉이 안정된 상태에서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한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이동에 제 3 탄성부(56)가 기여할 수 있다.
콘택트(50)가 탄성 계수가 작은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커넥터(10)는 가동 인슐레이터(30)에 가해지는 힘이 작은 경우이어도 필요로 되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이동량을 확보할 수 있다. 가동 인슐레이터(30)는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해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10)는 접속 대상물(60)과 감합될 때의 위치 어긋남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커넥터(10)에서는 어떠한 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콘택트(50)의 각 탄성부가 흡수한다. 이것에 의해, 실장부(53)에 큰 힘이 가해질 가능성이 억제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CB1)과의 접속 부분의 파손이 억제된다. 회로 기판(CB1)과 실장부(53)의 접속 부분의 땜납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어도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콘택트(50)가 폭이 넓게 형성된 제 2 폭광부(55)를 가짐으로써 커넥터(10)를 조립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폭광부(55)가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부분의 강성이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50)는 제 2 폭광부(55)를 지점으로 해서 조립 장치 등에 의해 고정 인슐레이터(20) 및 가동 인슐레이터(30)의 하방으로부터 안정되게 삽입된다.
금구(40)가 고정 인슐레이터(20)에 압입되고, 실장부(41)가 회로 기판(CB1)에 납땜됨으로써 금구(40)는 고정 인슐레이터(20)를 회로 기판(CB1)에 대해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금구(40)에 의해 회로 기판(CB1)에 대한 고정 인슐레이터(20)의 실장 강도가 향상된다.
본 개시는 그 정신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상술한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소정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앞선 기술은 예시적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의 범위는 앞선 기술에 의해서가 아니라, 부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변경 중 그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몇 가지의 변경은 그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구성부의 형상, 배치, 방향, 및 개수는 상기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의 도시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구성부의 형상, 배치, 방향, 및 개수는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의 조립 방법은 상기의 설명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의 조립 방법은 각각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조립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방법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금구(40) 및 콘택트(50) 중 적어도 일방은 압입이 아니라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 인슐레이터(20) 및 가동 인슐레이터(30) 중 적어도 일방과 일체적으로 성형되어도 좋다.
커넥터(10)는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의 2개의 가동 인슐레이터(30)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는 3개 이상의 가동 인슐레이터(30)를 가져도 좋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돌출부(31a)가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측의 측면으로부터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를 향해 돌출되고,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의 돌출부(31a)가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측의 측면으로부터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를 향해 돌출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돌출부(31a)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고정 인슐레이터(20)의 격벽(25)이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와 감합측으로부터 겹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금구(40)가 격벽(25)에 부착되고, 고정 인슐레이터(20)가 아니라 금구(40)가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와 감합측으로부터 겹쳐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구(40)의 빠짐 방지부(43)가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와 감합측으로부터 겹쳐도 좋다. 이것에 의해, 빠짐 방지부(43)는 고정 인슐레이터(20)에 대한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상방으로의 빠짐을 억제가능하다. 마찬가지로, 고정 인슐레이터(20)의 격벽(25) 및 금구(40)의 빠짐 방지부(43)의 양방이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와 감합측으로부터 겹쳐도 좋다.
제 1 돌출부의 선단이 제 2 돌출부의 선단보다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측에 위치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돌출부의 선단이 제 2 돌출부의 선단보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측에 위치해도 좋다. 이 때,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의 저부(31), 즉 돌출부(31a)의 우측면과,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의 저부(31), 즉 돌출부(31a)의 좌측면이 서로 대향해도 좋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는 콘택트(50)의 배열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는 임의의 위치 관계에 의해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전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때,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돌출부(31a)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 인슐레이터(30)의 돌출부(31a)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저부(31)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는 L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17은 도 3의 커넥터(10)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에서는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와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는 서로 동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와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는 서로 다른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와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는 접속 대상물(60)과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감합 방향을 따른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일례로서, 도 17에 나타내는 커넥터(10)에서는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는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보다 높다.
여기서, 상기에서는 2개의 가동 인슐레이터(30)에 대해 1세트의 접속 대상물(60) 및 회로 기판(CB2)이 접속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넥터(10)의 2개의 가동 인슐레이터(30)에 대해 2세트의 다른 접속 대상물(60) 및 회로 기판(CB2)이 각각 접속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7과 같이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2세트의 다른 접속 대상물(60) 및 회로 기판(CB2)을 2개의 가동 인슐레이터(30)에 대해 각각 접속할 때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마찬가지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와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는 콘택트(50)의 배열 방향을 따른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때, 제 1 가동 인슐레이터(30a)에 부착되는 콘택트(50)의 수와, 제 2 가동 인슐레이터(30b)에 부착되는 콘택트(50)의 수가 서로 달라도 좋다.
도 18은 도 3의 커넥터(10)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5에 대응하는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3의 커넥터(10)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5에 대응하는 확대도이다. 상기에서는 2개의 대향면(31b)의 전후 방향을 따른 이간 거리(L1)는 돌출부(31a)와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돌출벽(22b1) 사이의 이간 거리(L2)보다 작다고 설명했다. 2개의 대향면(31b)의 전후 방향을 따른 이간 거리(L1)보다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의 쪽이 크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대향면(31b)의 전후 방향을 따른 이간 거리(L1)는 돌출부(31a)와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돌출벽(22b1) 사이의 이간 거리(L2)와 같아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대향면(31b)의 전후 방향을 따른 이간 거리(L1)는 돌출부(31a)와 고정 인슐레이터(20)의 돌출벽(22b1) 사이의 이간 거리(L2)보다 커도 좋다.
고정 인슐레이터(20) 및 가동 인슐레이터(30)를 따라 제 1 폭광부(51a) 및 제 2 폭광부(5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고 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의 전송 특성이 유지되는 것이면 고정 인슐레이터(20) 및 가동 인슐레이터(30) 중 적어도 일방을 따라 대응하는 폭광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중간부(54b)에 있어서 전송로의 폭, 즉 전송로의 단면적이 증대하여 특성 임피던스가 저하함으로써 전기 전도성이 향상된다고 하여 설명했지만, 전기 전도성이 향상되는 중간부(54b)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부(54b)는 전기 전도성이 향상되는 임의의 구성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중간부(54b)는 폭이 동일한 채 제 1 탄성부(54a)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중간부(54b)는 단면적이 동일한 채 제 1 탄성부(54a)보다 전기 전도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중간부(54b)는 제 1 탄성부(54a)와 단면적이 동일한 채 표면에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도금을 가져도 좋다.
중간부(54b)에서는 감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조정부(54b1), 제 2 조정부(54b2), 및 제 3 조정부(54b3)의 단면적을 변화시켜서 전기 전도성을 조정한다고 하여 설명했지만, 중간부(54b)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부(54b)는 감합 후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전기 전도성이 높은, 낮은, 및 높은 구성부를 포함하는 임의의 구성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중간부(54b)에서는 상기와 같이 폭, 두께, 단면적, 재료, 및 도금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킴으로써 전기 전도성이 조정되어도 좋다.
중간부(54b)는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60)과의 감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중간부(54b)에 있어서 감합 방향의 양단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된다고 하여 설명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의 전체 형상은 필요로 되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중간부(54b)는 감합 방향으로부터 어긋난 상태에서 연장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중간부(54b)에 있어서 도 9의 전후 방향의 양단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의 형상은 임의이어도 좋고, 각각이 보다 많은 굴곡부를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의 전체 형상은 크랭크 형상이 아니라 U자 형상이어도 좋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는 감합 방향을 따라 감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고 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는 필요로 되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역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어도 좋다.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기부(51)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고 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필요로 되는 탄성 변형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탄성부(54a) 또는 제 2 탄성부(54c)는 콘택트(50)의 다른 부분보다 탄성 계수가 더 작은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커넥터(10)는 필요로 되는 가동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제 2 탄성부(54c) 및 제 3 탄성부(56)를 갖지 않아도 좋다.
벽부(36)는 감합 오목부(33)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내부에서 연장된다고 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벽부(36)는 한 쌍의 콘택트(50)끼리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예를 들면 제 2 폭광부(55)와 대향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커넥터(10)는 제 3 로킹부(58)의 로킹 및 탄성 접촉부(59)의 접촉이 안정된 상태에서 제 3 탄성부(56)가 가동 인슐레이터(30)의 이동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면 노치부(57)를 갖지 않아도 좋다.
콘택트(50)는 탄성 계수가 작은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고 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택트(50)는 필요로 되는 탄성 변형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탄성 계수를 갖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콘택트(50)는 오목부 및 볼록부를 포함하는 요철부(51b)를 갖는다고 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택트(50)는 요철부(51b) 대신에 볼록부만을 가져도 좋다.
접속 대상물(60)은 회로 기판(CB2)에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라고 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속 대상물(60)은 커넥터 이외의 임의의 대상물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 대상물(60)은 FPC,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리지드 기판, 또는 임의의 회로 기판의 카드 에지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커넥터(10)는 전자 기기에 탑재된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카메라, 레이더, 드라이브 레코더, 및 엔진 컨트롤 유닛 등의 임의의 차재 기기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선진 운전 지원 시스템, 및 시큐리티 시스템 등의 차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임의의 차재 기기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및 복합기 등의 임의의 정보 기기를 포함한다. 그 외, 전자 기기는 임의의 산업 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플로팅 구조를 갖는 커넥터(10)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60)과 감합되어 있는 가동 인슐레이터(30)에 대해 발생하는 부하를 억제가능하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신호 전송에 있어서의 양호한 전송 특성을 갖는다. 또한, 커넥터(10)의 양호한 플로팅 구조에 의해 회로 기판 간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되므로 전자 기기의 조립 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전자 기기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커넥터(10)에 의해 회로 기판(CB1)과의 접속 부분의 파손이 억제되므로 전자 기기의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10 커넥터 20 고정 인슐레이터
21a 제 1 개구 21b 제 2 개구
21c 제 3 개구 22 외주벽
22a 폭벽 22b 길이벽
22b1 돌출벽 23 금구 부착홈
24 콘택트 부착홈 25 격벽
26 보스 30 가동 인슐레이터
30a 제 1 가동 인슐레이터 30b 제 2 가동 인슐레이터
31 저부 31a 돌출부(제 1 돌출부, 제 2 돌출부)
31b 대향면 32 감합 볼록부
33 감합 오목부 34 가이드부
35 콘택트 부착홈 36 벽부
37 오목부 38 돌출부
40 금구 41 실장부
42 연결부 43 빠짐 방지부
44 로킹부 50, 50a, 50b 콘택트
51 기부 51a 제 1 폭광부
51b 요철부 52a 제 1 로킹부
52b 제 2 로킹부 53 실장부
54a 제 1 탄성부 54b 중간부
54b1 제 1 조정부 54b2 제 2 조정부
54b3 제 3 조정부 54c 제 2 탄성부
55 제 2 폭광부 56 제 3 탄성부
57 노치부 58 제 3 로킹부
59 탄성 접촉부 60 접속 대상물
70 인슐레이터 71 제 1 감합 오목부
72 제 2 감합 오목부 73 제 1 감합 볼록부
74 제 2 감합 볼록부 75 가이드부
76 금구 부착홈 77 콘택트 부착홈
80 금구 81 실장부
82 로킹부 90 콘택트
91 실장부 92 접촉부
CB1, CB2 회로 기판 L1, L2 이간 거리

Claims (9)

  1.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 인슐레이터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며, 접속 대상물과 감합되는 가동 인슐레이터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 및 상기 가동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인슐레이터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의 내측에 배치되고, 독립 별개로 이동가능한 제 1 가동 인슐레이터 및 제 2 가동 인슐레이터를 갖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동 인슐레이터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2 가동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이간되고,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돌출부를 갖고,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 및 상기 금구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접속 대상물과 상기 가동 인슐레이터의 감합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와 겹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는 상기 감합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와 겹치는 격벽을 갖는 커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선단은 상기 제 2 돌출부의 선단보다 상기 제 2 가동 인슐레이터측에 위치하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 2 가동 인슐레이터는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2 가동 인슐레이터는 서로 동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2 가동 인슐레이터는 서로 다른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2 가동 인슐레이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과 상기 가동 인슐레이터의 감합 방향을 따른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0227017421A 2019-11-27 2020-11-26 커넥터 및 전자 기기 KR202200841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14699 2019-11-27
JP2019214699A JP6911091B2 (ja) 2019-11-27 2019-11-27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PCT/JP2020/044109 WO2021107052A1 (ja) 2019-11-27 2020-11-26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172A true KR20220084172A (ko) 2022-06-21

Family

ID=7608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421A KR20220084172A (ko) 2019-11-27 2020-11-26 커넥터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06384A1 (ko)
EP (1) EP4068525A4 (ko)
JP (2) JP6911091B2 (ko)
KR (1) KR20220084172A (ko)
CN (1) CN114830453A (ko)
WO (1) WO2021107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25397A (ja) * 2020-02-06 2021-08-3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1719731S (ja) * 2021-09-30 2022-07-13 電気コネクタ
JP1719683S (ja) * 2021-09-30 2022-07-13 電気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8677B1 (ja) 2013-11-13 2014-08-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342A (ja) * 1998-10-20 2000-05-12 Hirose Electric Co Ltd フローティング電気コネクタ
JP2001155813A (ja) * 1999-11-30 2001-06-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431674B2 (ja) * 2004-09-14 2010-03-17 大宏電機株式会社 基板間コネクタ
JP2007018785A (ja) * 2005-07-06 2007-01-25 D D K Ltd コネクタ
JP2013125624A (ja) * 2011-12-14 2013-06-24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コネクタ
JP5606588B1 (ja) 2013-05-20 2014-10-1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81594B1 (ja) * 2013-08-09 2014-04-2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JP6023255B1 (ja) 2015-04-17 2016-11-0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69541B2 (ja) * 2016-01-08 2017-0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42931B2 (ja) * 2016-03-08 2018-06-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05452B2 (ja) * 2016-03-08 2018-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95370B2 (ja) * 2016-10-13 2020-12-0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JP6727103B2 (ja) * 2016-11-11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8444982U (zh) * 2018-07-17 2019-01-29 乔讯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浮动式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8677B1 (ja) 2013-11-13 2014-08-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052A1 (ja) 2021-06-03
CN114830453A (zh) 2022-07-29
EP4068525A4 (en) 2023-12-27
US20230006384A1 (en) 2023-01-05
EP4068525A1 (en) 2022-10-05
JP2021103695A (ja) 2021-07-15
JP6911091B2 (ja) 2021-07-28
JP7379408B2 (ja) 2023-11-14
JP2021086727A (ja)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265B1 (ko) 커넥터 및 전자 기기
KR102486351B1 (ko) 커넥터 및 전자 기기
JP6408106B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N110299635B (zh) 连接器以及电子设备
KR20220084172A (ko) 커넥터 및 전자 기기
JP6941131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19160492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550548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550547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19171973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19181462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450496B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535830B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19160489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629417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535831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2168886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