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806A - 유체 압송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압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806A
KR20220083806A KR1020227016933A KR20227016933A KR20220083806A KR 20220083806 A KR20220083806 A KR 20220083806A KR 1020227016933 A KR1020227016933 A KR 1020227016933A KR 20227016933 A KR20227016933 A KR 20227016933A KR 20220083806 A KR20220083806 A KR 20220083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ntainer
bag
feeding device
flui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오헤이 다카하시
유 다카야마
Original Assignee
헤이신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이신 엘티디. filed Critical 헤이신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8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7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pumps for special use, e.g. for extremely high pressures
    • F04C13/001Pumps for particular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2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 F04C2/1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 F04C2/16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with helical teeth, e.g. chevron-shaped, screw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Rotary Pump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펌핑 대상인 유체를 수용하고 있는 주머니가, 유체 수용부 및 유체 비수용부를 갖는 것이었다고 해도, 잔량이 충분히 적어질 때까지 주머니로부터 유체를 펌핑하여 압송 가능한 유체 압송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했다. 유체 압송 장치(10)는, 주머니(100)를 수용하는 용기(20)와, 용기(20)의 내부에서 주머니(100) 상에 적재되는 플레이트(50)와, 주머니(100)에 수용된 유체를 흡인하는 펌프(70)를 갖고, 주머니(100)에 대하여 플레이트(50)를 통해 압박력을 작용시키면서, 주머니(100)에 형성된 개구(106)를 통해 펌프(70)에 의해 유체를 흡인하여 압송 가능하고, 용기(20)의 바닥측에 배치되어, 수납 공간부(35)를 형성 가능한 시트부(30)를 갖고, 주머니(100)로서 유체 수용부(102) 및 유체 비수용부(104)를 갖는 것을 용기(20)에 수용함으로써, 유체 비수용부(104)를 수납 공간부(35)에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체 압송 장치
본 발명은, 유체 압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펌핑 장치 등이, 예를 들어 고점성의 유체를 압송하기 위해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의 펌핑 장치는, 1축 편심 나사 펌프를 구비하고 있고, 유동물이 고점성이거나 하여 다른 펌프에서는 압송하기 어려운 특성을 갖는 것이었다고 해도, 맥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원하는 토출량으로 압송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67307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의 펌핑 장치 등에 있어서는, 펌핑 대상인 유체를 주머니에 수용한 상태에서, 펌핑 장치 등이 구비하는 용기 내에 세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바, 펌핑 대상인 유체를 수용하고 있는 주머니가, 유체 수용부 및 유체 비수용부를 갖는 것인 경우에, 잔량이 충분히 적어질 때까지 주머니로부터 유체를 펌핑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케이스가 있다는 지견에 이르렀다.
그래서 본 발명은, 펌핑 대상인 유체를 수용하고 있는 주머니가, 유체 수용부 및 유체 비수용부를 갖는 것이었다고 해도, 잔량이 충분히 적어질 때까지 주머니로부터 유체를 펌핑하여 압송 가능한 유체 압송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했다.
(1)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는, 유체가 수용된 주머니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상에 적재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주머니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흡인하는 펌프를 갖고, 상기 주머니에 대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통해 압박력을 작용시키면서, 상기 주머니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유체를 흡인하여 압송 가능하고, 상기 용기의 바닥측에 배치되어, 수납 공간부를 형성 가능한 시트부를 갖고, 상기 주머니로서 유체 수용부 및 유체 비수용부를 갖는 것을 상기 용기에 수용함으로써, 상기 유체 비수용부를 상기 수납 공간부에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는, 용기의 내부에 유체가 수용된 주머니를 넣음과 함께, 주머니 상에 플레이트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플레이트를 통해 주머니에 압박력을 작용시키면서, 주머니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펌프에 의해 유체를 흡인하여 압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에서는, 용기의 바닥측에 마련된 시트부가, 주머니에 있어서 유체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유체 비수용부를 수용 가능한 수납 공간부를 형성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는, 주머니에 있어서 유체 비수용부를 이루는 부분을 수납 공간부에 수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플레이트에 의해 주머니에 압박력을 작용시키거나, 펌프에 의해 유체를 흡인하거나 하는 데 있어서, 유체 비수용부가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수용부 및 유체 비수용부를 갖는 주머니에 수용된 상태로 액체가 용기에 세트되었다고 해도, 잔량이 충분히 적어질 때까지 주머니로부터 유체를 펌핑하여 압송 가능한 유체 압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2) 상술한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는, 상기 수납 공간부가, 상기 시트부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체 비수용부를 수납 공간부에 수용하면서, 주머니를 용기의 내부에 밸런스 좋게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플레이트에 의해 주머니에 압박력을 작용시키거나, 펌프에 의해 유체를 흡인하거나 하기 때문에, 유체 비수용부가 방해가 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어, 주머니에 있어서의 유체의 펌핑 잔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3) 상술한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는, 액체의 잔량 감소에 연동하여, 상기 펌프의 흡인구가 상기 용기의 저부에 근접하도록, 상기 용기 및 상기 흡인구가 상대 이동하는 것이고, 상기 시트부가, 상기 흡인구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를 향해 추(錐) 형상으로 오목하게 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머니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가, 펌프의 흡인구에 대하여, 용기 및 흡인구의 상대 이동 방향의 연장선 상에 있는 위치를 향해 모이기 쉬워지고, 그만큼 펌프에 의해 흡인하기 쉬워진다. 이로써, 주머니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의 펌핑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4) 상술한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는, 액체의 잔량 감소에 연동하여, 상기 펌프의 흡인구가 상기 용기의 저부에 근접하도록, 상기 용기 및 상기 흡인구가 상대 이동하는 것이고, 상기 흡인구에 대하여, 상기 용기 및 상기 흡인구의 상대 이동 방향의 연장선 상에 상기 수납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로부터 주머니로 작용하는 압박력의 영향 등에 의해, 주머니의 유체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가 유체 비수용부를 향해 모이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에서는, 흡인구에 대하여 용기 및 흡인구의 상대 이동 방향의 연장선 상에 수납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고, 유체 비수용부측에 모인 유체를 원활하게 흡인하여 압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에 의하면, 유체 수용부 및 유체 비수용부를 갖는 주머니에 수용된 상태로 유체가 용기 내에 준비된 경우라도, 잔량이 충분히 적어질 때까지 주머니로부터 유체를 펌핑하여 압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의 내부에 있어서 주머니 상에 적재되는 플레이트에 의해 주머니에 압박력을 작용시키면서 주머니로부터 유체를 흡인하는 경우, 유체의 흡인이 진행됨에 따라, 유체 수용부에는 유체가 흡인되어 비어진 부분(공극 부분)이 서서히 증대해 간다. 유체 수용부의 공극 부분이 유체 수용부 내에 잔존하고 있는 유체와 플레이트 사이에 존재하고 있으면, 예를 들어 공극 부분의 증대에 수반하여 플레이트에 의한 압박력이 유체에 작용하기 어려워지거나 하여, 유체의 흡인 효율이나, 완전히 흡인되지 않고 남은 유체의 잔량 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에 있어서는, 유체 수용부의 공극 부분이 형성되었다고 해도, 유체의 흡인 효율이나 흡인 잔량 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면,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는, 상기 시트부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용기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주머니가 수용되는 영역을 향해 개방된 주위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체의 흡인이 진행됨에 따라, 유체 수용부에 있어서 유체가 흡인되어 비어진 공극 부분이 형성되었다고 해도, 시트부의 외주면과 용기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주위부 공간에 전술한 공극 부분을 릴리프할 수 있다. 이로써, 유체 수용부에 형성되는 공극 부분의 존재에 수반하는 유체의 흡인 효율의 저하나, 완전히 흡인되지 않고 남은 유체의 잔량의 증대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6) 상술한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는, 상기 수납 공간부에 삽입 가능한 어댑터를 갖고, 상기 유체 비수용부를 묶은 상태로 하여 상기 어댑터를 상기 유체 비수용부에 대하여 장착 가능한 것이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용기에 주머니를 수용할 때, 유체 비수용부를 묶은 상태로 하여 어댑터를 유체 비수용부에 대하여 장착하고, 수납 공간부에 유체 수용부를 수용시키면서 어댑터를 삽입함으로써, 유체 비수용부를 수납 공간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 고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유체의 흡인 시에 유체 비수용부가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주머니에 있어서의 유체의 펌핑 잔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7) 상술한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는, 상기 주머니가, 상기 유체 비수용부를 묶어 막대 형상으로 형성한 상태로 되고, 상기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을 상기 용기의 바닥측을 향한 자세로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에 의하면, 유체 비수용부를 묶어 막대 형상으로 형성한 상태의 주머니에 수용된 유체라도, 잔량이 충분히 적어질 때까지 주머니로부터 유체를 펌핑하여 압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펌핑 대상인 유체를 수용하고 있는 주머니가, 유체 수용부 및 유체 비수용부를 갖는 것이었다고 해도, 잔량이 충분히 적어질 때까지 주머니로부터 유체를 펌핑하여 압송 가능한 유체 압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체 압송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의 (a)는 시트부 및 어댑터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시트부 및 어댑터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1축 편심 나사 펌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체 압송 장치에 의해 유체를 흡인, 압송하기 위한 제1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의 유체 압송 장치에 의해 유체를 흡인, 압송하기 위한 제2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의 유체 압송 장치에 의해 유체를 흡인, 압송하기 위한 제3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의 유체 압송 장치에 의해 유체를 흡인, 압송하기 위한 제4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의 유체 압송 장치에 의해 유체를 흡인, 압송하기 위한 제5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유체 압송 장치의 시트부를 다른 것으로 치환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의 (a), (b)는, 각각 유체를 수용한 주머니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체 압송 장치(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유체 압송 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 후, 유체 압송 장치(10)의 동작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체 압송 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압송 장치(10)는, 개략적으로, 용기(20), 시트부(30), 플레이트(50), 스크레이퍼(60), 펌프(70) 및 승강 장치(90)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유체 압송 장치(10)는, 용기(20)의 내부에, 유체를 수용한 주머니(100)를 세트함으로써, 주머니(100) 상에 배치된 플레이트(50) 및 스크레이퍼(60)에 의해 주머니(100)에 대하여 압박력을 작용시키면서, 펌프(70)에 의해 주머니(100)로부터 유체를 흡인하여 압송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유체 압송 장치(10)는, 유체의 잔량에 따라 승강 장치(90)에 의해 펌프(70)를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유체 압송 장치(10)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20)는, 예를 들어 소위 페일캔이나 드럼캔 등과 같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것이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통 형상의 것 등으로 하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20)로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것이 사용되어 있다. 용기(20)는, 축방향 일방측의 폐색 부분을 바닥으로 하고, 축방향 타단측에 마련된 개방 부분으로부터 내부로 유체가 들어간 주머니(100)를 도입하여 세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체 압송 장치(10)에 있어서는, 승강 장치(90)를 이루는 지주(92)의 하단측에 있어서, 지주(92)에 대하여 인접하는 위치에 용기(20)를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용기(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주머니(100)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NY), 셀로판(PT) 등의 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하여 성형된 것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머니(100)는, 유체를 수용하여 밀봉한 상태로 제공된다. 주머니(100)는, 유체 수용부(102)(도면 중에 있어서 사선을 그은 부분) 및 유체 비수용부(104)를 갖는다. 유체 수용부(102)는, 주머니(100)에 있어서 압송 대상이 되는 유체가 수용되는 영역이다. 또한, 유체 비수용부(104)는, 유체가 수용되는 일 없이, 밀봉되거나 하는 부분이다.
주머니(100)는, 어떤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어도 되지만, 예를 들어 유체 비수용부(104)를 이루는 부분을 히트 시일에 의해 시일한 것이나, 유체 비수용부(104)를 이루는 부분을 묶어 코오킹 부재를 사용하여 결속하여 밀봉한 것, 유체 비수용부(104)를 이루는 부분에 테이프 등을 감아 막대 형상으로 함으로써 결속하여 밀봉한 것 등으로 할 수 있다. 즉, 주머니(100)는, 히트 시일이나, 결속 밴드, 고무 밴드, 테이프, 끈, 철사, 코오킹 부재 등을 사용하여 결속하여 밀봉한 밀봉부(105)를 유체 비수용부(104)에 갖는다. 주머니(100)는, 이렇게 유체 비수용부(104)에 마련된 밀봉부(105)에 있어서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 비수용부(104)가 용기(20)의 저부측을 향하는 상태로 하여, 용기(20)의 상단측에 형성된 개구 부분으로부터 용기(20)의 내부로 도입해도, 유체는 주머니(100)로부터 누설되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주머니(100)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가, 예를 들어 고점성 유체이거나 하여 용기(20)에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유체 수용부(102)의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변형되지 않는 것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주머니(100)는, 용기(20)의 내부에 도입하기 전에 바닥면에 있어서 굴리거나 하여, 유체 수용부(102)의 형상을 용기(20)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고르게 하는 처리 등을 행함으로써, 형상 변화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주머니(100)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는, 예를 들어 점성이 낮은 저점성액에 한정되지 않고, 점성이 높은 고점성액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유체는, 예를 들어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 고무계 등의 소재를 함유하고,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경화되는 습기 경화형 접착제, 아크릴레이트계(아크릴 수지계) 등의 소재를 함유하고,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경화되는 혐기 경화형 접착제, 아크릴 수지계, 에폭시계 등의 소재를 함유하고,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등으로 할 수 있다.
도 1이나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30)는, 용기(20)의 내부에 있어서 바닥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도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30)는, 시트부 본체(34)와 어댑터(36)를 갖고, 수납 공간부(35)를 형성하는 것이다.
도 1이나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 본체(34)는, 용기(20)의 내부에 있어서, 주머니(100)의 시트가 되는 부분이다. 시트부 본체(34)는, 높이가 용기(20)의 높이보다도 낮다. 그 때문에, 용기(20)의 내부에 시트부 본체(34)를 배치하면, 시트부 본체(34)보다도 상방에 주머니(100)를 수용 가능한 주머니 수용 공간(22)이 형성된다. 또한, 시트부 본체(34)의 외경은, 용기(20)의 내경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시트부 본체(34)를 용기(20)의 내부에 배치하면, 시트부 본체(34)의 외주면(34a)과, 용기(20)의 내주면(20a) 사이에 주위부 공간(38)이 형성된다. 주위부 공간(38)은, 용기(20)의 축선 방향(도시예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시트부 본체(34)의 상방에 있는 주머니 수용 공간(22)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 본체(34)는, 천장면(34b)(주머니 수용 공간(22)측의 면)이, 추 형상으로 오목하게 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시트부 본체(34)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직경 방향 외측의 소정 위치(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경 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내리막 구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시트부 본체(34)에는, 주머니(100)의 유체 비수용부(104)를 수납 가능한 수납 공간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수납 공간부(35)는, 시트부 본체(34)의 천장면(34b)에 있어서 주머니 수용 공간(22)측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납 공간부(35)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펌프(70)의 흡인구(76x)에 대하여, 용기(20) 및 흡인구(76x)의 상대 이동 방향의 연장선 상에 존재하고 있다. 수납 공간부(35)는, 용기(20)의 축선 방향(도시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것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공간부(35)는, 시트부 본체(34)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 되어 있다. 수납 공간부(35)의 개구단(주머니 수용 공간(22)측의 단부)에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어댑터(36)의 플랜지부(36b)를 끼워넣기 가능하도록 단차 형상으로 형성된 단차부(35a)가 마련되어 있다.
어댑터(36)는, 시트부 본체(34)에 마련된 수납 공간부(35)에 대하여, 주머니 수용 공간(22)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한 부재이다. 어댑터(36)는, 통부(36a) 및 플랜지부(36b)를 가짐과 함께, 축심 위치에 삽입 관통 구멍(36c)을 갖는 부재이다. 통부(36a)는, 수납 공간부(35)의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통부(36a)는, 시트부 본체(34)의 수납 공간부(35)에 대하여 대략 간극 없이 삽입 관통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플랜지부(36b)는, 통부(36a)의 축선 방향 일단부측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출된 부분이다. 플랜지부(36b)는, 상술한 수납 공간부(35)의 단차부(35a)에 끼워넣기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36c)은, 어댑터(36)의 축선 방향을 향해 관통한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이나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36)는, 주머니(100)의 유체 비수용부(104)를 묶은 부분을 삽입 관통 구멍(36c)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주머니(100)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5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대략 원반상체이다. 플레이트(50)는, 용기(20)의 내측에 주머니(100)에 들어간 상태로 도입된 유체 상에,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스크레이퍼(60)를 통해 배치되는 것이다. 플레이트(50)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나 고무 등의 소재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플레이트(50)는, 비발포계의 수지 소재나, 발포폴리에틸렌, 발포 합성 고무 등의 독립 기포체 등의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하면 된다. 플레이트(50)는, 외경이 용기(20)의 내경보다도 약간 큰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플레이트(50)는, 하면(50a)이 시트부 본체(34)의 천장면(34b)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면(50a)은, 플레이트(50)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직경 방향 외측의 소정 위치(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경 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내리막 구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플레이트(50)는, 하면(50a)측에 있어서 원뿔대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52)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플레이트(50)의 직경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장착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구멍(54)은, 플레이트(5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장착 구멍(54)은,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펌프(70)의 흡인구(76x)에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펌프(70)의 흡인구(76x)를 장착 구멍(54)에 삽입함으로써 양자가 끼워 맞추어지고, 플레이트(50) 및 펌프(7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50) 및 펌프(70)의 결합 부분은, 양자 사이에 O링 등의 시일 부재를 개재시키거나 하여, 밀봉된 상태로 하면 된다.
스크레이퍼(60)는, 환 형상부(62)와 굴곡부(64)를 갖는다. 환 형상부(62)는, 환 형상이고 판 형상의 부분이다. 환 형상부(62)의 외경은, 용기(20)의 내경과 대략 동일 혹은 약간 작은 정도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용기(20)의 저면에 대하여 환 형상부(62)가 대략 평행이 되는 자세로 하여 스크레이퍼(60)를 용기(20) 내에 배치하면, 용기(20)의 내주면(20a)과 환 형상부(62)의 외연부 사이에는 거의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환 형상부(62)는, 직경 방향 중앙측에 개구부(66)를 갖는다. 개구부(66)는, 상술한 플레이트(50)의 돌출부(52)를 끼워넣기 가능한 크기로 개구되어 있다.
굴곡부(64)는, 환 형상부(62)의 외연부를 스크레이퍼(60)의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킨 부분이다. 굴곡부(64)는, 환 형상부(62)가 용기(20)의 저면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스크레이퍼(60)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용기(20)의 내주면(20a)을 따르도록 연장되는 부분이다. 유체 압송 장치(10)의 사용 시에, 스크레이퍼(60)는, 굴곡부(64)가 용기(20)의 저면측을 향하고, 환 형상부(62)가 용기(20) 내에 도입된 주머니(100) 위에 탄 상태가 되도록 배치된다.
펌프(70)는, 용기(20)에 세트된 주머니(100)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흡인하여 압송하는 것이다. 펌프(70)는, 회전 용적식의 펌프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펌프(70)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1축 편심 나사 펌프가 사용되어 있다. 펌프(70)는, 동력을 받아 편심 회전하는 수나사형의 로터(72)와, 내주면이 암나사형으로 형성된 스테이터(74)를 갖는다. 펌프(70)는, 로터(72) 및 스테이터(74)에 의해 주요부가 구성되는 펌프 기구(75)를 펌프 케이싱(76)에 내장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로터(72)는, n-1조(n≥2: 본 실시 형태에서는 n=2)의 수나사 형상으로 된 금속제의 축체이다. 로터(72)는, 길이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 단면으로 보아도, 그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74)는, 대략 원통형이며, 내주면이 n조(본 실시 형태에서는 n=2)의 암나사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스테이터(74)의 관통 구멍(80)은, 스테이터(74)의 길이 방향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 단면으로 보아도, 그 단면 형상(개구 형상)이 대략 타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터(72)는, 상술한 스테이터(74)에 형성된 관통 구멍(80)에 삽입 관통되어, 관통 구멍(80)의 내부에 있어서 자유롭게 편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터(72)의 기단측의 단부는, 편심 회전부(85)를 통해 구동원인 모터(86)에 접속되어 있다. 편심 회전부(85)는, 모터(86)측에 접속된 드라이브 샤프트와 로터(72)를 동력 전달 가능하도록 접속하는 부분이고, 종래 공지의 유니버설 조인트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로터(72)를 스테이터(74)에 대하여 삽입 관통하면, 로터(72)의 외주면과 스테이터(74)의 내주면이 양자의 접선에서 밀접한 상태로 되어, 유체 반송로(82)(캐비티)가 형성된다. 유체 반송로(82)는, 스테이터(74)나 로터(72)의 길이 방향을 향해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펌프 케이싱(76)은, 금속제이고 통 형상의 케이싱 본체(76a)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스테이 볼트(76b)를 통해 엔드 스터드(76c)를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펌프 케이싱(76)에 있어서, 케이싱 본체(76a)와 엔드 스터드(76c) 사이에, 로터(72) 및 스테이터(74)에 의해 주요부가 구성된 펌프 기구(75)가 끼워진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케이싱 본체(76a)에는, 펌프 케이싱(76)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도록 마련된 니플(76d)과, 이것에 장착된 플러그(76e)가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76e)는, 통상 운전 시에는 니플(76d)을 폐지하도록 설치되지만, 예를 들어 용기(20)에 주머니(100)나 플레이트(50) 등을 세트한 후에 플레이트(50)의 하방측(주머니(100)측)이나 펌프(70) 내에 남은 에어를 빼는 작업을 행하거나 하기 위해, 적절히 떼어내어 니플(76d)을 마개 개방할 수 있다.
펌프(70)는, 로터(72)를 스테이터(74)의 관통 구멍(80) 내에 있어서 회전시킴으로써, 스테이터(74) 내에 있어서 유체 반송로(82)를 길이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로터(72)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테이터(74)의 일단측으로부터 유체 반송로(82) 내로 점성액을 흡입하여, 스테이터(74)의 타단측을 향해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터(72)의 회전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유체 반송로(82)의 진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통상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펌프 케이싱(76)에 있어서 엔드 스터드(76c)에 형성된 개구를 흡인구(76x)로서 기능시켜, 케이싱 본체(76a)의 외주면에 형성된 개구를 토출구(76y)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로터(72)의 회전 방향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엔드 스터드(76c)는, 흡인구(76x)로서 기능하는 부분이, 상술한 플레이트(50)의 장착 구멍(54)에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70)는, 엔드 스터드(76c)의 단부에 형성된 흡인구(76x)가 하단측을 향하는 자세로 되어, 승강 장치(90)의 암(94)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암(94)의 하방에 점성액이 들어간 용기(20)를 배치하여, 암(94)을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용기(20) 내의 축선 방향(높이 방향)으로 펌프(70)의 흡인구(76x)를 용기(20)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장치(90)는, 지주(92), 암(94) 등을 갖는다. 지주(92)는, 상하 방향으로 기립 설치되어 있다. 지주(92)의 내부에는, 승강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암(94)은, 지주(92)의 측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암(94)에는, 흡인구(76x)가 하방을 향하고, 지주(9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서, 상술한 펌프(70)가 설치되어 있다. 암(94)에 대하여 펌프(70)를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용기(20)를 소정 위치에 배치하면, 도면 중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20)의 개구 영역 및 흡인구(76x)의 개구 영역의 축심 위치가 대략 합치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승강 장치(90)는, 승강 기구를 작동시켜, 암(94)을 승강시킴으로써, 용기(20) 및 흡인구(76x)의 축심 위치에 있어서, 용기(20)에 대한 흡인구(76x)의 높이를 상하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승강 장치(90)는, 용기(20)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의 잔량 감소에 연동하여, 흡인구(76x)가 용기(20)의 저부에 근접하도록 펌프(7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유체 압송 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계속해서, 유체 압송 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체 압송 장치(10)를 사용하여 유체를 압송할 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주머니(100)에 수용된 상태 그대로, 유체를 용기(20)에 도입한다. 이때, 용기(20)의 내측에 시트부(30)를 배치해 둔다. 한편, 주머니(100)가 용기(20)에 들어가지 않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적절히 주머니(100)를 바닥면 등의 위에서 굴리거나 하여 주머니(100) 및 유체의 형태를 정렬하여, 용기(20)의 내부에 주머니(100)를 넣을 수 있는 상태로 한다. 또한, 주머니(100)의 유체 비수용부(104)에 어댑터(36)를 장착한다. 그 후, 유체 비수용부(104)측을 용기(20)의 바닥측을 향한 자세로 하여, 용기(20) 내에 주머니(100)를 도입하고, 시트부 본체(34) 상에 배치함과 함께, 유체 비수용부(104) 및 어댑터(36)를 시트부 본체(34)의 대략 중심에 마련된 수납 공간부(35)에 삽입한다. 이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20)의 내부에, 유체 수용부(102)가 용기(20)의 개구측(도시 상태에서는 상방측)을 향한 자세로 주머니(100)가 수용된 상태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주머니(100)를 용기(20)에 도입한 후, 도 5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70)의 흡인구(76x)의 삽입구로 하기 위한 개구(106)를, 주머니(100)에 형성한다. 개구(106)는, 용기(20)의 축심 위치에 있어서, 주머니(100)의 유체 수용부(102)에, 흡인구(76x)의 외경을 따라 형성한다. 개구(106)는, 예를 들어 칼날(110) 등에 의해 주머니(100)를 절단하거나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개구(106)를 소정 위치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하기 위해, 적절히 치수를 재거나 하여 형성해도 되지만, 예를 들어 개구(106) 형성용의 보조 플레이트나 형지 등의 보조 부재(112)를 별도 준비하여, 이것을 사용하여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주머니(100)에 개구(106)가 형성되면, 주머니(100) 상에 스크레이퍼(60)를 배치한다. 스크레이퍼(60)는, 환 형상부(62)가 용기(20)의 저면과 대략 평행이 되고, 또한 굴곡부(64)가 용기(20)의 저면측을 향해 돌출된 자세로 배치된다. 또한, 스크레이퍼(60)가 주머니(100) 상에 배치되면, 스크레이퍼(60) 상에 플레이트(50)가 배치된다. 플레이트(50)는, 하면(50a)을 스크레이퍼(60)측을 향하면서, 스크레이퍼(60)에 형성된 개구부(66)에 돌출부(52)가 들어가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주머니(100) 상에 스크레이퍼(60) 및 플레이트(50)가 배치된 상태로 되면, 펌프(70)가 플레이트(50)에 대하여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60) 상에 플레이트(50)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승강 장치(90)에 의해 펌프(70)를 용기(20)측에 하강시킴으로써, 흡인구(76x)를 플레이트(50)의 장착 구멍(54)에 삽입한다. 이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70)와 플레이트(50)가 접속되고, 유체 압송 장치(10)에 의해 주머니(100) 내에 있는 유체를 흡인하여 압송하기 위한 준비가 갖추어진 상태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유체 압송 장치(10)의 준비가 완료되면, 펌프(70)를 작동시킴으로써, 주머니(100)로부터 유체를 흡인하여, 압송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압송 장치(10)는, 유체의 흡인 및 압송을 진행시키면, 이것에 따라 승강 장치(90)가 작동하여, 용기(20)의 바닥측을 향하는 방향(도시예에서는 하방)을 향해 펌프(70)가 이동한다. 펌프(70)의 이동과 함께, 플레이트(50) 및 스크레이퍼(60)도 이동(도시예에서는 하강)한다. 플레이트(50)의 이동에 수반하여, 주머니(100)에 압박력이 작용한다. 또한, 스크레이퍼(60)의 이동에 수반하여, 유체의 흡인에 의해 발생한 주머니(100)의 잉여 부분이, 스크레이퍼(60)의 굴곡부(64)에 의해 눌리고, 용기(20)의 내주면(20a)을 따라 주름 형상부(108)가 형성된다. 또한 유동체의 흡인 및 압송이 진행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 형상부(108)가 시트부(30)와 용기(20) 사이에 형성된 주위부 공간(38)에 압입된다. 이로써, 유체의 흡인에 의해 발생한 주머니(100)의 잉여 부분이 주름 형상부(108)로 되어 주위부 공간(38)에 수용된다. 따라서, 유체의 흡인에 의해 주머니(100)에 잉여 부분이 형성되어도, 플레이트(50)에 의해 주머니(100)에 압박력을 작용시키면서, 펌프(70)에 의한 유체의 흡인을 계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체의 흡인이 진행되면, 도 9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곧 플레이트(50)가 용기(20)의 바닥 근방까지 도달하여, 유체의 흡인이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체 압송 장치(10)는, 용기(20)에 주머니(100)를 도입함과 함께, 주머니(100) 상에 플레이트(50)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플레이트(50)를 통해 주머니(100)에 압박력을 작용시키면서, 주머니(100)에 형성된 개구(106)를 통해 펌프(70)에 의해 유체를 흡인하여 압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유체 압송 장치(10)에서는, 용기(20)의 바닥측에 시트부(30)가 마련됨과 함께, 수납 공간부(35)가 시트부(30)의 대략 중앙부(대략 축심 위치)에 개구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유체 수용부(102)를 용기(20)의 개구단측을 향하고, 유체 비수용부(104)를 용기(20)의 바닥측을 향한 자세로 하여 주머니(100)를 용기(20) 내에 도입함으로써, 유체 비수용부(104)를 수납 공간부(35)에 수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 압송 장치(10)에 있어서는, 플레이트(50)에 의해 주머니(100)에 압박력을 작용시키거나, 펌프(70)에 의해 유체를 흡인하거나 할 때, 유체 비수용부(104)가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령 상술한 시트부(30)가 아니라, 수납 공간부(35)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시트부(130)를 유체 압송 장치(10)에 사용했다고 한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70)의 흡인구(76x)측의 단부와 주머니(100)의 유체 비수용부(104) 사이에 거의 간극이 없는 상태까지 유체를 흡인했다고 해도, 그 측방에 상당량의 유체가 잔존해 버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부(30)의 천장면(34b)에 주머니(100)를 적재하고, 유체 비수용부(104)를 천장면(34b)보다도 하방(용기(20)의 바닥측)으로 릴리프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체 비수용부(104)가 유체의 흡인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압송 장치(10)에 의하면, 용기(20)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그 잔량이 충분히 적어질 때까지 펌핑하여 압송할 수 있다.
또한, 주머니(100)가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부(105)의 근방까지 유체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와는 달리,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부(105)로부터 약간 떨어진 부분까지밖에 유체가 수용되어 있지 않거나 하여, 결속부(105)와 액면 사이에 잉여부(107)가 형성되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러한 주머니(100)를 사용하는 경우, 수납 공간부(35)는, 유체 비수용부(104)에 형성된 결속부(105)에 더하여, 잉여부(107)도 수용 가능한 크기나 형상으로 형성하면 된다. 이로써, 잉여부(107)가 존재하는 주머니(100)가 사용된 경우라도, 충분히 잔량이 적어질 때까지 유체를 펌핑하여 압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압송 장치(10)는, 수납 공간부(35)가, 시트부(30)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체 압송 장치(10)는, 유체 비수용부(104)를 수납 공간부(35)에 수용하면서, 주머니(100)를 용기(20)의 내부에 밸런스 좋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공간부(35)를 시트부(30)의 중앙부(대략 축심 위치)에 대략 원통형으로 배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유체 비수용부(104)의 형상이나 위치 등에 따라, 수납 공간부(35)의 배치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하거나 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압송 장치(10)는, 시트부(30)의 천장면측이, 펌프(70)의 흡인구(76x)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를 향해 추 형상으로 오목하게 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주머니(100)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가, 펌프(70)의 흡인구(76x)의 연장선 상의 영역을 향해 약간이라도 모이기 쉬워져, 그만큼 펌프(70)에 의해 흡인되기 쉬워진다. 이로써, 주머니(100)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의 펌핑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부(30)의 천장면측을 추 형상으로 오목하게 된 형상으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시트부(30)의 천장면을 평탄한 형상으로 하거나 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압송 장치(10)는, 액체의 잔량 감소에 연동하여, 펌프(70)의 흡인구(76x)가 용기(20)의 저부에 근접하도록 동작하는 것이고, 흡인구(76x)에 대하여, 용기(20) 및 흡인구(76x)의 상대 이동 방향의 연장선 상에 수납 공간부(35)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유체 압송 장치(10)와 같이, 유체 비수용부(104)를 용기(20)의 바닥측을 향해 주머니(100)를 용기(20)에 세트하면서, 플레이트(50) 등에 의해 주머니(100)에 압박력을 작용시키면, 유체가 유체 비수용부(104)에 모이는 경향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인구(76x)의 연장선 상에 수납 공간부(3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 비수용부(104)측으로 모이는 경향이 있는 유체를 원활하게 흡인하여 압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유체 압송 장치(10)에 의하면, 잔량이 충분히 적어질 때까지 주머니(100)로부터 유체를 펌핑하여 압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의 잔량 감소에 연동하여, 펌프(70)의 흡인구(76x)가 용기(20)의 저부에 근접하도록, 용기(20) 및 흡인구(76x)가 상대 이동하는 구성의 예로서, 용기(20)가 소정 위치에 머무르면서, 승강 장치(90)에 의해 펌프(70)를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펌프(70)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면서, 용기(20)를 펌프(70)에 대하여 근접 이반 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용기(20) 및 펌프(70)의 양쪽 모두 이동 가능하게 하면서 액체의 잔량 감소에 연동하여 근접하도록 상대 이동시키도록 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압송 장치(10)는, 시트부(30)의 외주면(34a)과 용기(20)의 내주면(20a) 사이에 주위부 공간(38)을 가짐과 함께, 주위부 공간(38)이 용기(20)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수납 공간부(35)를 향해 개방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체 압송 장치(10)에서는, 유체의 흡인에 수반하여 주머니(100)에 형성되는 공극 부분을, 주위부 공간(38)측으로 릴리프할 수 있다. 이것에 더하여, 본 실시 형태의 유체 압송 장치(10)에서는, 스크레이퍼(60)가 마련되어 있고, 주위부에 마련된 굴곡부(64)에 의해, 유체의 흡인에 수반하여 주머니(100)에 생긴 공극 부분을 주위부 공간(38)에 압입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체 압송 장치(10)에서는, 유체의 흡인에 수반하여 주머니(100)에 생긴 공극 부분의 존재에 의해, 유체의 흡인이 저해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압송 장치(10)에 의하면, 주머니(100)에 형성되는 공극 부분의 존재에 수반하는 유체의 흡인 효율의 저하나, 완전히 흡인되지 않고 남은 유체의 잔량의 증대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트부(30)의 외주면(34a)과 용기(20)의 내주면(20a) 사이에 주위부 공간(38)을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유체 압송 장치(10)는, 주위부 공간(38)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머니(100)의 공극 부분을 주위부 공간(38)에 압입하는 효과를 기대하여 굴곡부(64)를 구비한 스크레이퍼(60)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유체 압송 장치(10)는, 스크레이퍼(60)를 구비하고 있지 않거나, 예를 들어 굴곡부(64)를 구비하고 있지 않거나 하여 주머니(100)의 공극 부분을 주위부 공간(38)에 압입하는 효과가 낮거나 혹은 압입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스크레이퍼(60)를 사용한 것, 굴곡부(64) 대신에 혹은 추가하여 주머니(100)의 공극 부분을 주위부 공간(38)에 압입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것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압송 장치(10)는, 묶은 상태로 된 유체 비수용부(104)에 어댑터(36)를 장착하고, 수납 공간부(35)에 유체 수용부(102)를 수용시키면서 어댑터(36)를 삽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체 압송 장치(10)에서는, 유체 비수용부(104)를 위치 결정 정밀도 좋게 수납 공간부(35)에 수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체 압송 장치(10)에 있어서는, 유체의 흡인 시에 유체 비수용부(104)가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주머니(100)에 있어서의 유체의 펌핑 잔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댑터(36)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유체 압송 장치(10)는, 예를 들어 어댑터(36)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나, 어댑터(36) 대신에, 혹은 추가하여, 유체 비수용부(104)를 수납 공간부(35)에 위치 결정 정밀도 좋게 수용시키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주머니(100)는, 유체 비수용부(104)를 묶어 막대 형상으로 고정시킨 상태로 된 것이다. 유체 압송 장치(10)는, 이러한 상태로 제공되는 주머니(100)에 수용된 유체라도, 잔량이 충분히 적어질 때까지 주머니로부터 유체를 펌핑하여 압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머니(100)가 유체 비수용부(104)를 막대 형상으로 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인 예를 나타냈지만, 주머니(100)는, 예를 들어 유체 비수용부(104)를 다발 형상으로 묶은 것을 클립이나 고무, 끈 등의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한 것이나, 유체 비수용부(104)를 다발로 묶은 것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나 변형예 등으로서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교시 및 정신으로부터 다른 실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는 임의로 선택하고 조합하여 구성하면 된다. 또한 실시 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와,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기재된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기재된 임의의 구성 요소를 구체화한 구성 요소는 임의로 조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이것들에 대해서도 본원의 보정 또는 분할 출원 등에 있어서 권리 취득하는 의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유체 압송 장치는, 유체 수용부 및 유체 비수용부를 갖는 주머니로부터 유체를 흡인하여 압송하는 용도 전반에 있어서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10: 유체 압송 장치
20: 용기
20a: 내주면
30: 시트부
34a: 외주면
35: 수납 공간부
36: 어댑터
38: 주위부 공간
50: 플레이트
70: 펌프
76x: 흡인구
100: 주머니
102: 유체 수용부
104: 유체 비수용부
106: 개구

Claims (7)

  1. 유체가 수용된 주머니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상에 적재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주머니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흡인하는 펌프를 갖고,
    상기 주머니에 대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통해 압박력을 작용시키면서, 상기 주머니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유체를 흡인하여 압송 가능하고,
    상기 용기의 바닥측에 배치되어, 수납 공간부를 형성 가능한 시트부를 갖고,
    상기 주머니로서 유체 수용부 및 유체 비수용부를 갖는 것을 상기 용기에 수용함으로써, 상기 유체 비수용부를 상기 수납 공간부에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부가, 상기 시트부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송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체의 잔량 감소에 연동하여, 상기 펌프의 흡인구가 상기 용기의 저부에 근접하도록, 상기 용기 및 상기 흡인구가 상대 이동하는 것이고,
    상기 시트부가, 상기 흡인구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를 향해 추(錐) 형상으로 오목하게 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송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의 잔량 감소에 연동하여, 상기 펌프의 흡인구가 상기 용기의 저부에 근접하도록, 상기 용기 및 상기 흡인구가 상대 이동하는 것이고,
    상기 흡인구에 대하여, 상기 용기 및 상기 흡인구의 상대 이동 방향의 연장선 상에 상기 수납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송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용기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주머니가 수용되는 영역을 향해 개방된 주위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송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부에 삽입 가능한 어댑터를 갖고,
    상기 유체 비수용부를 묶은 상태로 하여 상기 어댑터를 상기 유체 비수용부에 대하여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송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가, 상기 유체 비수용부를 묶어 막대 형상으로 형성한 상태로 되고, 상기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을 상기 용기의 바닥측을 향한 자세로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압송 장치.
KR1020227016933A 2019-10-24 2020-08-31 유체 압송 장치 KR20220083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93797A JP7407439B2 (ja) 2019-10-24 2019-10-24 流体圧送装置
JPJP-P-2019-193797 2019-10-24
PCT/JP2020/032961 WO2021079620A1 (ja) 2019-10-24 2020-08-31 流体圧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806A true KR20220083806A (ko) 2022-06-20

Family

ID=7562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933A KR20220083806A (ko) 2019-10-24 2020-08-31 유체 압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407439B2 (ko)
KR (1) KR20220083806A (ko)
CN (1) CN114555946A (ko)
TW (1) TWI803779B (ko)
WO (1) WO202107962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7307A (ja) 2007-04-23 2008-11-06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汲出し装置及び貯留流体の汲出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1420A1 (de) * 1992-09-19 1994-03-24 Hilti Ag Kolben für Auspressgeräte
ES2196199T5 (es) * 1996-02-05 2009-12-02 3M Espe Ag Dispositivo para vaciar una bolsa tubular.
JP2002239444A (ja) * 2001-02-15 2002-08-27 Fuji Heavy Ind Ltd 流動材料圧送装置
US7204679B2 (en) * 2002-09-30 2007-04-17 Emerson Electric Co. Flow control system
JP4670302B2 (ja) * 2004-10-06 2011-04-13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材料圧送装置
JP5196226B2 (ja) * 2007-07-23 2013-05-15 兵神装備株式会社 内袋吸込み防止装置及び汲出し装置
JP5459068B2 (ja) * 2010-05-24 2014-04-02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材料圧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7307A (ja) 2007-04-23 2008-11-06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汲出し装置及び貯留流体の汲出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17184A (zh) 2021-05-01
CN114555946A (zh) 2022-05-27
TWI803779B (zh) 2023-06-01
JP7407439B2 (ja) 2024-01-04
WO2021079620A1 (ja) 2021-04-29
JP2021067235A (ja)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2071C (en) Loading mechanism for infusion pump
US4790456A (en) Material supply equipment for viscous fluid pressure feed system
US7762428B2 (en) Emptying device
EP1886647B1 (en) Device at bone cement mixer
CA2815692C (en) Alignment and connection systems and methods
US5353691A (en) Self-lubricating piston for pharmaceutical container
EP2915550A1 (en) Liquid transport device and pump unit
US7556366B2 (en) Ink cartridge
EP3354302A1 (en) Liquid medicine administration device
KR20220083806A (ko) 유체 압송 장치
EP2496291B1 (en) Protective syringe sleeve
EP2578881A1 (en) Material pumping apparatus
CN203229376U (zh) 填充装置、以及排气机构
CN110267745B (zh) 粘性材料供给装置及供给方法、包覆片及其安装方法
CN113857003A (zh) 双组分胶水混合出胶装置
CN107407277B (zh) 泵设备
JPWO2019082476A1 (ja) 材料供給装置およびスパウト
JP7001512B2 (ja) 電子機器
JP2019001486A (ja) 袋組立体、材料供給装置及びキャップ
CN111741924A (zh) 打印物质供体容器
JP7410424B2 (ja) 容器、材料供給装置、シート状パッキン、キャップ、スパウト及び容器開栓方法
US20210001049A1 (en) Cap, syring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542701A (zh) 体积计量泵和包括至少一个这种泵的计量系统
CN217228587U (zh) 涂料收容装置以及涂料灌装机
US20130324927A1 (en) Syringe assembly for a medication pump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