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861A - 충전 스테이션용 포지셔닝 유닛, 및 접점을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 스테이션용 포지셔닝 유닛, 및 접점을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2861A KR20220082861A KR1020227015499A KR20227015499A KR20220082861A KR 20220082861 A KR20220082861 A KR 20220082861A KR 1020227015499 A KR1020227015499 A KR 1020227015499A KR 20227015499 A KR20227015499 A KR 20227015499A KR 20220082861 A KR20220082861 A KR 202200828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positioning unit
- charging
- positioning
- seg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40 relax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42—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individual contact piece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8—Bu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지셔닝 유닛(10), 및 포지셔닝 유닛을 사용하여 고정식 충전 스테이션과 특히 전기 버스 등의 차량 사이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포지셔닝 유닛의 전기 충전 접촉면(11)은 충전 접촉면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포지셔닝 유닛에 의해 상기 충전 접촉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포지셔닝 디바이스(12) 및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유닛(13)을 구비하며, 상기 충전 접점은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의해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접촉 위치와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후퇴 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작용하는 변위력을 생성하기 위한 변위 구동 장치, 및 상기 변위 구동 장치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스프링 장치(15)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스프링(16)을 포함한다- 상기 변위 구동 장치 및 상기 접촉력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접촉력이 상기 충전면상에 작용함 -.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고정 베어링(17), 상기 고정 베어링상에서 수직 변위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상부 세그먼트(18),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 상에서 수직 변위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하부 세그먼트(19)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스프링은 상기 고정 베어링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변위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고정 베어링(17), 상기 고정 베어링상에서 수직 변위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상부 세그먼트(18),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 상에서 수직 변위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하부 세그먼트(19)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스프링은 상기 고정 베어링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변위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정식 충전 스테이션과 특히 전기 버스 등의 차량 사이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포지셔닝 유닛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포지셔닝 유닛 및 방법은 최신 기술로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전기 구동 차량에 사용된다. 이러한 차량은 전기 버스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공 전선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기차 또는 트램과 같은 다른 차량일 수도 있다. 이러한 차량의 경우, 정류장 또는 모터 풀의 충전 스테이션에서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를 충전한다.
차량과 충전 스테이션 사이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모터 풀에 있는 차량의 주차 공간에서 차량 위의 포지셔닝 유닛에 장착되거나 배치되는 접촉 디바이스가 사용된다. 상기 접촉 디바이스의 충전 접점은 포지셔닝 유닛에 의해 충전 접촉면을 향해 차량의 지붕 상에서 이동하고 전기 연결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접촉 디바이스는 적어도 4개의 충전 접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2개의 충전 접점은 일반적으로 에너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하나의 충전 접점은 일반적으로 접지 도체 역할을 하며, 추가 충전 접점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충전 접점들을 차량의 충전 접촉면들로 안내할 때, 안전한 전기 연결을 보장할 수 있도록 너무 크지는 않지만 충분히 큰 접촉력을 사용하여 충전 접점을 충전 접촉면으로 누르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종류의 포지셔닝 유닛은 예를 들어 DE 10 2015 217 380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미 존재하는 모터 풀에서, 해당 충전 스테이션은 차량 군이 전기 자동차들로 전환될 때, 시설 내 또는 모터 풀의 부지 전체에 걸쳐 주차 공간 또는 차량 경로 위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정류장의 마스트(mast)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포지셔닝 유닛도 사용된다. 모터 풀의 시설은 기존의 기반 시설이나 건물이기 때문에, 정류장에서 사용되는 포지셔닝 유닛은 예를 들어 복합 단지에서 쉽게 사용될 수 없다. 천장 높이가 포지셔닝 유닛을 장착하기에 충분히 높지 않거나 포지셔닝 유닛을 천장 훨씬 아래에 설치해야 한다. 동시에, 정류장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포지셔닝 유닛은 환경 영향에 대해 견고해야 하며 결과적으로 상대적으로 무거워 포지셔닝 유닛의 생산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공지된 포지셔닝 유닛은 정류장의 마스트에 충분한 공간이 있기 때문에 비교적 크게 구축되며, 이는 예를 들어 천장 영역의 빔 또는 공급 라인들로 인해 시설 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풀에서 챠량을 유연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과 고정식 충전 스테이션 사이의 전기 전도성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포지셔닝 유닛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포지셔닝 유닛, 및 청구항 18의 특징을 갖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고정식 충전 스테이션과 특히 전기 버스 등의 차량 사이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셔닝 유닛에서, 상기 포지셔닝 유닛의 전기 충전 접점은 충전 접촉면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포지셔닝 유닛에 의해 충전 접촉면과 접촉 가능하며,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포지셔닝 디바이스 및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충전 접점은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의해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접촉 위치와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후퇴 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작용하는 변위력을 생성하기 위한 변위 구동 장치 및 상기 변위 구동 장치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스프링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변위 구동 장치 및 상기 접촉 스프링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접촉력이 충전 접촉면상에 작용함 -,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고정 베어링, 상기 고정 베어링상에서 수직 변위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상부 세그먼트,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 상에서 수직 변위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하부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스프링은 상기 고정 베어링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결합되며,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변위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전기 구동 차량용 고정식 충전 스테이션의 구성 요소이며, 전기 충전 접점 또는 전기 충전 접점들을 각각의 경우에 차량의 충전 접촉면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이는 차량 루프에 배치되어 이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모터 풀에서 차량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이 에너지를 차량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충전 접점(들)은 캐리어 구조 또는 시설의 천장 구조에서 차량 위에 배치된 포지셔닝 유닛을 사용하여 해당 충전 접촉면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충전 접점은 포지셔닝 유닛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전류를 전달하고 충전 접촉면들과 접촉하기 위해 상부 수축 위치에 의해 하부 접촉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위치에서, 정의된 접촉력은 각각의 충전 접촉면들에 가해진다. 상기 충전 접점(들)은 상기 구동 디바이스의 변위 구동 장치를 사용하여 작동될 수 있는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이동된다.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변위력을 일으키고, 상기 스프링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상기 변위 구동 장치는, 접촉력이 상기 변위 구동 장치와 상기 스프링 장치의 접촉 스프링에 의해 충전 접촉면에 생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캐리어 구조물 또는 천장 구조물상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고정 베어링, 및 상기 고정 베어링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베어링 상에서 수직 변위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상부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하부 세그먼트는 상기 상부 세그먼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세그먼트는 또한 상기 상부 세그먼트 상에서 수직 변위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하부 세그먼트는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고정 베어링과 결합되며, 망원경 방식으로 후퇴 위치와 접촉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스프링은 상기 고정 베어링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변위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변위 구동 장치를 통한 상기 상부 세그먼트에 대한 상기 하부 세그먼트의 이동은, 상기 하부 세그먼트가 접촉 위치 또는 후퇴 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충전 접점의 대응하는 이동을 야기한다.
상기 충전 접점이 충전 접촉면에 접하면, 상기 작동 구동 장치의 지속적인 움직임은 상기 고정 베어링과 상기 상부 세그먼트 사이의 접촉 스프링으로 인해 접촉력을 형성하도록 변환될 수 있다. 그 다음, 충전 접촉면에 대해 충전 접점이 맞닿아 상기 하부 세그먼트가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고정 베어링에 대해 이동한다. 따라서, 포지셔닝 유닛을 사용하여 상기 충전 접점을 후퇴 위치로 후퇴시키는 것은 반대 방식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포지셔닝 유닛은 특히 쉽게 제조될 수 있고 관절식 암들을 갖는 포지셔닝 유닛에 의해 비교적 컴팩트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퇴 위치와 접촉 위치 사이의 해당 거리는,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 세그먼트의 임의의 길이에 따라 간극이 좁혀질 수 있으며, 이는 차량 및 캐리어 구조물 또는 지붕 구조물의 서로 다른 높이에 따라 상기 포지셔닝 유닛이 쉽게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포지셔닝 유닛의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인해, 지붕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이는 지붕 구조상에 유연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적은 노력으로 모터 풀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생산 비용도 저렴하다.
상기 변위 구동 장치는 상기 상부 세그먼트가 변위력에 의해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대해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상부 세그먼트 및 상기 하부 세그면트와 결합될 수 있다. 변위력은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 세그먼트 사이에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상부 세그먼트에서 상기 하부 세그먼트로의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 세그먼트 사이의 변위력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변위 구동 장치는 상기 상부 세그먼트 또는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고정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변위 구동 장치가 예를 들어 작동 요소들을 통해 상기 상부 세그먼트 및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직접 결합된다면, 상기 변위 구동 장치를 상기 상부 세그먼트 및 상기 하부 세그먼트로부터 멀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변위 구동 장치와 상기 접촉 스프링은 기계적 직렬 연결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변위 구동 장치와 상기 접촉 스프링에 의해 충전 접촉면에 작용하는 접촉력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변위 구동 장치와 상기 접촉 스프링의 기계적 직렬 연결을 통해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상기 변위 구동 장치의 변위력을 통해 이동할 수 있으며, 충전 접촉면이 상기 충전 접점과 접촉할 때 변위력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추가로 증가된 변위력은 상기 변위 구동 장치에 연결된 상기 접촉 스프링에 의해 저장되고 접촉력으로서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와 충전 접촉면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변위력의 증가는 충전 접촉면을 향한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지속적인 이동에 사용되지 않고, 충전 접촉면에 대한 접촉력을 생성하거나 증가시키는 데 사용된다. 상기 세그먼트들 및 상기 충전 접점들의 자중 또는 상기 고정 베어링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의 자중에 따라, 자중은 또한 상기 접촉 스프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 충전 접촉면이 상기 충전 접점과 접촉할 때, 상기 접촉 스프링은 초기에 상기 자중에 의해 긴장되거나 스프링력을 저장한다. 추가 증가된 변위력이 상기 자중 및 상기 변위 구동 장치에 연결된 상기 접촉 스프링의 하중 제거로 인해 생성되고, 상기 자중은 접촉력으로서 포지셔닝 디바이스 또는 충전 접촉면에 전달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변위력의 증가는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가 충전 접촉면을 향해 계속 이동하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충전 접촉면에 접촉력을 생성하거나 증가시키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노상 위의 충전 접촉면의 높이 또는 상기 충전 접점으로부터 충전 접촉면의 상대적 거리와 관계없이, 상기 충전 접점의 수축 위치에서 충전 접촉면에 본질적으로 일정한 접촉력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접촉 스프링은 상기 고정 베어링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결합될 수 있다. 정의된 바에 따르면, 상기 고정 베어링은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 및 상기 구동 디바이스의 추가 베어링들에 대해 이동할 수 없다.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접촉 스프링을 통해 상기 고정 베어링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스프링은 인장 스프링 및/또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원칙적으로, 구성요소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할 때 상기 고정 베어링과 상기 상부 세그먼트 사이에 스프링력 및/또는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생성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스프링들이 적합하다. 하나의 개별 접촉 스프링 외에, 상기 스프링 장치를 구성하는 여러 개의 접촉 스프링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베어링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부 리니어 가이드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상부 세그먼트 및 상기 하부 세그먼트는 하부 리니어 가이드에 연결될 수 있다. 리니어 가이드는 형태 맞춤 방식으로 연결되고 서로에 대해 축에서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가이드 요소에 의해 특히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상기 상부 세그먼트를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상기 수직 변위 구동 장치 내에서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대하여 자유롭게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직렬 배열로 서로 연결된 이러한 복수의 세그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들 사이의 이러한 종류의 연결은 각각의 세그먼트의 수와 길이에 따라, 후퇴 위치에 있는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낮은 설치 높이를 갖는 작은 공간으로 함께 밀어넣을 수 있게 한다.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고정 베어링과 상기 세그먼트들이 서로 동축으로 배치된 프로파일들로 구성되는 경우 특히 저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응하는 프로파일들의 치수는 상기 프로파일들이 서로에 대해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들이 중공 프로파일인 경우, 중공 프로파일의 내부 표면은 2개의 중공 프로파일 사이에 망원경 형태의 가이드가 구현되는 방식으로 중공 프로파일의 외부 표면에 접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중공 프로파일들 사이의 거리가 너무 커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들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 프로파일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한 리니어 가이드는 오로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공 프로파일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중공 프로파일 대신에, 막대 또는 플레이트와 같은 솔리드 프로파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베어링의 프로파일은 상기 세그먼트들이 수용될 수 있는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케이싱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베어링의 프로파일이 모든 프로파일들 중에서 비교적 큰 단면을 갖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나머지 프로파일의 길이는 본질적으로 그렇게 구현된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케이싱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 반대로, 상기 하부 세그먼트의 프로파일이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케이싱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세그먼트는 수직 변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축에 대해 0° 내지 5°의 각도 α만큼 상기 고정 베어링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고, 및/또는 상기 하부 세그먼트는 수직 변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축에 대해 0° 내지 5°의 각도 α만큼 상기 상부 세그먼트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 베어링 및/또는 상기 세그먼트들은 수평 상대 이동 또한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베어링과 상기 세그먼트들의 수직 상대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리니어 가이드가 제공되면, 상기 리니어 가이드가 상응하는 유격을 갖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리니어 가이드 자체를 상기 각도 α만큼 회동 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각도 α만큼 하부 세그먼트를 회동시키는 옵션은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 아래에서 차량의 작은 움직임이나 흔들림에 대한 보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예: 사람이 차량에 오르거나 내릴 때 또는 차량이 로드되거나 언로딩될 때).
상기 변위 구동 장치는, 상기 접촉 스프링의 스프링 경로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 센서 또는 경로 센서, 및/또는 접촉력을 결정할 수 있는 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 스프링의 스프링 경로를 제한함으로써, 및/또는 상기 하나의 힘 센서로 인해 충전 접촉면에 작용하는 접촉력이 제한될 수 있다. 특정 스프링 경로 또는 측정된 힘에 도달할 때 차단되는 변위 구동 장치가 상기 제한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포지셔닝 유닛 또는 충전 접촉면의 손상을 쉽게 피할 수 있다.
상기 변위 구동 장치는, 제어 요소 및 상기 제어 요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전기 모터 또는 공압 구동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변위 구동 장치는 정전이나 다른 오작동의 경우에 비상 전원 공급을 통해 포지셔닝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후퇴 위치로 후퇴되도록 하는 백업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백업 배터리는 상기 변위 구동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전기 모터나 상기 공압 구동 장치 대신에 다른 적절한 구동 장치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기 모터는 선형 모터, 바람직하게는 스핀들 구동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전기 모터는 고정된 방식으로 상기 상부 세그먼트 또는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핀들 구동 장치는 스핀들의 기울기에 따라 자동 잠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원하는 위치로 쉽게 이동하고 추가 보조 수단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선형 구동 장치는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경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분형 엔코더(incremental encoder) 또는 앱솔루트 엔코더(absolute encoder)가 경로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선형 구동 장치의 정확한 작업 위치를 항상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변위 구동 장치는 상기 전기 모터의 토크가 상기 제어 요소에 의해 등록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고, 접촉력은 상기 전기 모터의 토크의 함수로서 상기 제어 요소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요소는 전기 모터용 제어 전자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상기 제어 전자 장치는 상기 전기 모터에 직접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요소는 예를 들어 가해진 에너지를 통해 상기 전기 모터의 토크를 등록할 수 있고,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 및 상기 충전 접점을 통해, 상기 전기 모터에 의해 정의된 접촉력이 상기 충전 접촉 표면에 생성되도록 상기 전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에서, 필요한 경우 충전 접점에서 간접적인 힘 효과를 능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선택적으로 다른 영향 요인들의 함수로도 사용된다. 따라서, 충전 접촉면과 상기 포지셔닝 유닛의 상대적인 거리 또는 차량의 높이에 관계없이 충전 접촉면에 대해 일관되게 큰 접촉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차량 위에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홀딩 프레임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베어링은 상기 홀딩 프레임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딩 프레임은 건물의 마스트나 천장 구조물에 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장치의 접촉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상기 홀딩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베어링은 상기 수직 변위 구동 장치 내에서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홀딩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베어링이 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프로파일로 형성되면, 상기 홀딩 프레임이 상기 고정 베어링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고정 베어링이 상기 홀딩 프레임에 고정되는 방식에 따라, 상기 고정 베어링의 노면 높이 설정, 예를 들어 천장 높이 조정이 용이하게 허용될 수 있다. 특히 간단한 실시예에서, 상기 홀딩 프레임은 또한 상기 고정 베어링에 용접되거나 또는 나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베어링이 기본적으로 상기 홀딩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고정 베어링 및 이에 따라 상기 포지셔닝 유닛의 주요 부분이 천장에 숨겨질 수 있다.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적어도 2개의 충전 접점을 갖는 2개의 충전 접촉 캐리어를 갖는 접촉 디바이스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충전 접점들은 2개의 평행한 연결 로드와 2개의 평행한 캐리어 로드를 갖는 접촉 디바이스의 평행 로드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로드 각각은 2개의 평행한 이동 평면 중 하나에서, 서로 이격된 연결 조인트들을 통해 상기 연결 로드들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들과 평행사변형을 형성한다. 이러한 포지셔닝 유닛으로, 적어도 4개의 충전 접점이 차량의 각 충전 접촉면 상에서 이동될 수 있고 그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대응하는 충전 접촉면에 접촉력을 고르게 분포시키거나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촉 디바이스는 상기 접촉 디바이스가 본질적으로 중앙에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평행 로드들은 비교적 긴 연결 로드들과 짧은 캐리어 로드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수직이고 연결 조인트를 통해 상기 연결 로드들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로드들은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캐리어 로드들은 2개의 평행 이동 평면 내에서 항상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연결 조인트들이 상기 캐리어 조인트들과 동축으로 배치된다면, 상기 접촉 디바이스에 중심방향으로 가해지는 접촉력의 힘은 상기 연결 로드들의 기울기와 상관없이 항상 양쪽 캐리어 로드들에 고르게 분포된다.
상기 연결 로드들은 2개의 이격된 캐리어 조인트들을 통해, 상기 이동 평면들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평행하는 캐리어 평면에서 상기 접촉 디바이스의 하부 세그먼트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 접촉 캐리어들은 회전 조인트를 통해 상기 캐리어 로드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조인트들은 상기 연결 조인트들에 대해 직교하며, 상기 충전 접촉 캐리어들은 회전축에 대해 해당 충전 접점들을 동축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접촉 캐리어들은 상기 회전 조인트를 통해 상기 캐리어 로드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접점들은 또한 상기 회전 조인트에 대하여 해당 충전 접촉 캐리어에 동축으로 배치되므로, 접촉력은 상기 캐리어 로드들 또는 상기 회전 조인트를 통해 상기 충전 접촉 캐리어에 배치된 해당 2개의 충전 접점에 비례하여 분배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조인트들이 상기 연결 조인트들에 대해 직교하면, 차량에 대한 그의 높이에서 차량의 가로 경사 및 세로 경사로 상기 충전 접점들을 조정할 수 있으며, 본질적으로 비례하는 동일 크기인 접촉력, 및 간단한 수단을 사용하여 차량의 대응하는 충전 접촉면들 각각의 안전한 접촉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고정식 충전 스테이션과 특히 전기 버스 등의 차량 사이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포지셔닝 유닛의 전기 충전 접점은 충전 접촉면에 대해 이동하고 상기 포지셔닝 유닛에 의해 충전 접촉면과 접촉하며, 상기 포지셔닝 유닛의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상기 포지셔닝 유닛의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충전 접점은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의해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접촉 위치와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후퇴 위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작용하는 변위력은 상기 구동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됨 -, 상기 구동 디바이스의 스프링 장치는 상기 변위 구동 장치와 기계적으로 상호 작용하며- 상기 변위 구동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접촉 스프링에 의해 생성되는 접촉력은 상기 충전면상에 작용함 -, 상기 포지셔닝 장치의 상부 세그먼트는 고정 베어링상에서 수직 변위 방향으로 선형 이동되며, 상기 포지셔닝 장치의 하부 세그먼트는 상기 상부 세그먼트상에서 수직 변위 방향으로 선형 이동되며, 상기 접촉 스프링은 상기 고정 베어링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변위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대해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점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셔닝 유닛의 이점에 대한 설명이 참조된다.
상기 후퇴 위치에서 상기 접촉 위치로의 상기 포지셔닝 유닛의 이동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a) 하부 세그먼트 및 그에 대해 배치된 충전 접점을 상기 변위 구동 장치에 의해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에 대해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정지부에 맞닿음 -;
b) 충전 접촉면에 대해 상기 충전 접점을 맞닿게 함으로써 접촉 위치에서 상기 하부 세그먼트를 정지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변위 구동 장치를 계속 작동하여 상기 하부 세그먼트 및 상기 고정 베어링에 대하여 상기 상부 세그먼트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상부 세그먼트 및 상기 고정 베어링과 결합된 상기 접촉 스프링을 인장 및 이완시켜 접촉력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고정 베어링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의 자중 및/또는 스프링 장치를 사용하여 가해지는 스프링력에 따라 상기 정지부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접점이 충전 접촉면들에 맞닿게 되는 변위 구동에 의해 상기 충전 접점이 아래로 확장된 후, 상기 변위 구동이 연속적으로 작동되더라도 상기 하부 세그먼트의 이동은 정지된다. 그러면, 상기 변위 구동 장치의 움직임이 상기 상부 세그먼트로 전달되어, 상부 세그먼트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접촉 스프링이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상기 고정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상기 고정 베어링의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상부 세그먼트가 상기 정지부로부터 들어올려지고, 상기 접촉 스프링이 인장 스프링인지 압축 스프링인지에 따라,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접촉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가압되거나 또는 상기 접촉 스프링의 저장된 스프링력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접촉 스프링은, 상기 고정 베어링에 배치된 상기 구성요소들의 자중과 스프링력의 증가 또는 상기 고정 베어링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의 자중과 스프링력의 감소에 의해, 차례로 충전 접촉면에 접촉력이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변위 구동 장치의 작동을 계속함으로써, 예를 들어 최종 위치 스위치에 의해 상기 변위 구동 장치가 스위치 오프될 때까지 스프링력이 더 증가한다. 후퇴 위치로의 상기 충전 접점 또는 상기 포지셔닝 장치의 이동은 반대 방식으로 발생한다.
상기 방법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들은 장치 청구항 1을 인용하는 종속항들의 특징에 대한 설명에서 파생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제1 작업 위치에 있는 포지셔닝 유닛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2 작업 위치에 있는 포지셔닝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3 작업 위치에 있는 포지셔닝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제1 작업 위치에서의 위치 설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제2 작업 위치에 있는 포지셔닝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4c는 제3 작업 위치에 있는 포지셔닝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4d는 제4 작업 위치에 있는 포지셔닝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제1 작업 위치에 있는 포지셔닝 유닛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2 작업 위치에 있는 포지셔닝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3 작업 위치에 있는 포지셔닝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제1 작업 위치에서의 위치 설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제2 작업 위치에 있는 포지셔닝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4c는 제3 작업 위치에 있는 포지셔닝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4d는 제4 작업 위치에 있는 포지셔닝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포지셔닝 유닛 아래에 배치된, 고정식 충전 스테이션(미도시)과 특히 전기 버스 등의 차량(미도시) 사이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포지셔닝 유닛(10)을 도시한다. 포지셔닝 유닛(10)을 사용하여, 포지셔닝 유닛(10)의 4개의 전기 충전 접점들(11)은 충전 접촉면(미도시)에 대하여 차량의 지붕상에서 이동하고 그와 접촉될 수 있다. 포지셔닝 유닛(10)은 포지셔닝 디바이스(12), 및 포지셔닝 디바이스(1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디바이스(13)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충전 접점들(11)은,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접촉 위치와, 포지셔닝 디바이스(12)에 의해 전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후퇴 위치 사이에 위치된다. 충전 접점들(11)은 포지셔닝 디바이스(12)에 배치된 접촉 디바이스(14)의 구성요소들이다.
구동 디바이스(13)는 포지셔닝 디바이스(12)에 작용하는 변위력을 생성하고 상기 변위 구동 장치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스프링 장치(15)를 형성하기 위한 변위 구동 장치(추가로 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스프링 장치(15)는 접촉 스프링들(16)을 포함하고, 접촉력은 상기 변위 구동 장치 및 접촉 스프링들(16)에 의해 각각의 충전 접촉면들 상에 생성된다. 또한, 포지셔닝 디바이스(12)는 고정 베어링(17), 상기 고정 베어링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상부 세그먼트(18), 및 수직 변위 방향으로 상부 세그먼트(18) 상에서 선형 이동 가능한 하부 세그먼트(19)를 포함한다. 고정 베어링(17), 상부 세그먼트(18), 및 하부 세그먼트(19)는 각각 프로파일들(20, 21, 22)로 형성된다. 접촉 디바이스(14)는 하부 세그먼트(19)의 프로파일(22)의 하단부(23)에 고정된다. 고정 베어링(17)을 형성하는 프로파일(20)은 포지셔닝 유닛(10)의 홀딩 프레임(24)에 고정된다. 홀딩 프레임(24)은 모터 풀의 시설과 같은 건물의 천장 구조물(추가 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17)은 프로파일들(21, 22)이 후퇴 위치에서 수용될 수 있는, 포지셔닝 디바이스(12)의 케이싱(25)을 형성한다.
상부 세그먼트(18)의 프로파일(20)과 프로파일(21) 사이에는, 프로파일(20)이 프로파일(21)에 대해 수직 변위 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리니어 가이드(26)가 배치된다. 또한, 리니어 가이드(27)는 상부 세그먼트(18)의 프로파일(21)과 하부 세그먼트의 프로파일(22)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리니어 가이드(27)는 프로파일(21)을 둘러싸고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그에 대해 맞닿는 프로파일(22)에 의해 상부 세그먼트(18)의 프로파일(21)과 하부 세그먼트의 프로파일(22) 사이에 형성된다. 접촉 스프링들(16)은 상기 고정 베어링의 프로파일(20) 및 상부 세그먼트(18)와 결합되고 인장/압축 스프링(28)에 의해 형성된다.
접촉 디바이스(14)는 2개의 충전 접촉 캐리어(29)를 가지며, 그 말단부들(30)에 접촉 스트립(31)이 고정되어 충전 접점들(22)을 형성한다. 본질적으로 아크 또는 O-형 충전 접촉 캐리어들(29)은, 연결 로드들(33) 및 수직으로 배치된 캐리어 로드들(34)로 구성된 접촉 디바이스(14)의 평행 로드들(32)에 연결된다. 연결 로드들(33)은 연결 조인트들(35)을 통해 캐리어 로드들(34)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충전 접촉 캐리어들(39) 각각은 회전 조인트(36)를 통해 캐리어 로드들(34)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캐리어 조인트들(37)은 하부 세그먼트(19)를 연결 로드들(33)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서로 다른 작업 위치들에서 접촉 디바이스가 없는 포지셔닝 유닛(38)을 도시한다. 이 경우, 포지셔닝 유닛(38)은 홀딩 프레임(39), 고정 베어링(40), 및 홀딩 프레임(39), 추가 세그먼트(42), 하부 세그먼트(43) 상에 배치된 상부 세그먼트(41)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부 세그먼트(41), 추가 세그먼트(42), 및 하부 세그먼트(43)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망원경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접촉 스프링(45)을 갖는 스프링 장치(44)가 제공되며, 접촉 스프링(45)은 고정 베어링(40) 및 상부 세그먼트(41)와 결합된다. 변위 구동 장치(미도시)는 세그먼트들(41, 42, 43) 내에 배치되고 상부 세그먼트(41)가 하부 세그먼트(43)에 대해 이동하게 하며, 추가 세그먼트(42)는 또한 상기 변위 구동 장치의 변위 길이에 따라 이동한다.
도 4a는 먼저 그에 따라 구현된 포지셔닝 유닛(38)의 포지셔닝 디바이스(46)의 후퇴 위치를 도시한다. 상부 세그먼트(41)는 후퇴 위치에서 정지부(47) 상의 고정 베어링(40)에 맞닿아 있다. 상기 변위 구동 장치를 작동함으로써, 적어도 하부 세그먼트(43)는 상부 세그먼트(41) 밖으로 이동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하강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부 세그먼트(43)또는 상기 접촉 디바이스(이 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음)는 차량의 루프상의 충전 접촉 디바이스(또한 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는 카운터 베어링(48)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변위 구동 장치를 계속 작동함으로써, 적어도 하부 세그먼트(43)가 상부 세그먼트(41) 밖으로 더 이동하고, 상부 세그먼트(41)는 카운터 베어링(48)으로 인해 위쪽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상부 세그먼트(41)는 정지부(47)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접촉 스프링(45)은 접촉 스프링, 인장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의 유형에 따라 긴장되거나 이완된다. 접촉 스프링(45)의 스프링력은 충전 접촉면(미도시)에 접촉력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포지셔닝 디바이스(38)는 접촉 위치에 있다. 접촉 위치에서 후퇴 위치로의 변경은 반대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Claims (20)
- 고정식 충전 스테이션과 특히 전기 버스 등의 차량 사이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포지셔닝 유닛(10, 38)으로서,
상기 포지셔닝 유닛의 전기 충전 접점(11)은 충전 접촉면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포지셔닝 유닛에 의해 충전 접촉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포지셔닝 디바이스(12, 46) 및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유닛(13)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 접점은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의해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접촉 위치와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후퇴 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작용하는 변위력을 생성하기 위한 변위 구동 장치, 및 상기 변위 구동 장치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스프링 장치(15, 44)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스프링(16, 45)을 포함하며- 상기 변위 구동 장치 및 상기 접촉력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접촉력이 상기 충전면상에 작용함 -,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는, 고정 베어링(17, 40), 상기 고정 베어링상에서 수직 변위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상부 세그먼트(18, 41),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 상에서 수직 변위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하부 세그먼트(19, 43)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스프링은 상기 고정 베어링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변위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구동 장치는, 상기 상부 세그먼트(18, 41) 및 하부 세그먼트(19, 43)와 결합되되, 상기 상부 세그먼트가 변위력에 의해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구동 장치와 상기 접촉 스프링(16, 45)은 접촉력이 상기 변위 구동 장치와 상기 접촉 스프링에 의해 충전 접촉면상에 생성될 수 있는 기계적 직렬 연결 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프링(16, 45)은 상기 고정 베어링(17, 40)과 상기 상부 세그먼트(18, 4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프링(16, 45)은 인장 스프링(28) 및/또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어링(17, 40)과 상기 상부 세그먼트(18, 41)는 상부 리니어 가이드(26)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 세그먼트(19, 43)는 상기 하부 리니어 가이드(27)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12, 46)는, 상기 상부 세그먼트(18, 41)를 상기 하부 세그먼트(19, 43)에 연결하며 수직 변위 방향에서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대하여 자유롭게 선형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세그먼트(4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어링(17, 40)과 상기 세그먼트들(18, 19, 41, 42, 43)은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 프로파일들(20, 21, 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어링(17, 40)의 프로파일(20)은, 상기 세그먼트들(18, 19, 41, 42, 43)이 수용 가능한 포지셔닝 디바이스(12, 46)의 케이싱(2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세그먼트(18, 41)는 수직 변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축에 대해 0° 내지 5°의 각도 α만큼 고정 베어링(17, 40)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고, 및/또는 상기 하부 세그먼트(19, 43)는 수직 변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축에 대해 0° 내지 5°의 각도 α만큼 상기 상부 세그먼트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구동 장치는, 상기 접촉 스프링(16, 45)의 스프링 경로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 센서 또는 경로 센서, 및/또는 접촉력을 결정할 수 있는 힘 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구동 장치는, 제어 요소 및 상기 제어 요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전기 모터 또는 공압 디바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는 선형 모터, 바람직하게는 스핀들 구동 장치이며, 상기 전기 모터는 고정된 방식으로 상기 상부 세그먼트(18, 41) 또는 상기 하부 세그먼트(19, 4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구동 장치는 상기 전기 모터의 토크가 상기 제어 요소에 의해 등록되는 방식으로 구현되며, 접촉력은 상기 전기 모터의 토크의 함수로서 상기 제어 요소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유닛(10, 38)은 차량 위에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12, 46)를 고정하기 위한 홀딩 프레임(24, 39)을 갖고, 상기 고정 베어링(17, 40)은 상기 홀딩 프레임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어링(17, 40)은 수직 방향으로 후퇴 가능하도록 상기 홀딩 프레임(24, 39)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유닛(10, 38)은 적어도 2개의 충전 접점(11)을 갖는 2개의 충전 접촉 캐리어(29)를 갖는 접촉 디바이스(14)를 구비하며, 상기 충전 접점들은 2개의 평행한 연결 로드(33)와 2개의 평행한 캐리어 로드(34)를 갖는 상기 접촉 디바이스의 상기 평행 로드들(32)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로드 각각은 2개의 평행한 이동 평면 중 하나에서, 서로 이격된 연결 조인트들(35)을 통해 상기 연결 로드들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로드들과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들(33)은 2개의 이격된 캐리어 조인트들(37)을 통해, 상기 이동 평면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평행하는 캐리어 평면에서 상기 접촉 디바이스(14)의 하부 세그먼트(19, 43)에 연결되며, 상기 충전 접촉 캐리어들(29)은 회전 조인트(36)를 통해 상기 캐리어 로드(34)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회전 조인트들은 상기 연결 조인트들(35)에 대해 직교하며, 상기 충전 접촉 캐리어들은 회전축에 대해 상기 충전 접점들(11)을 각각 동축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유닛.
- 고정식 충전 스테이션과 특히 전기 버스 등의 차량 사이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포지셔닝 유닛(10, 38)의 전기 충전 접점(11)은 충전 접촉면에 대해 이동하고 상기 포지셔닝 유닛에 의해 상기 충전 접촉면과 접촉하며, 상기 포지셔닝 유닛의 포지셔닝 디바이스(12, 46)가 상기 포지셔닝 유닛의 구동 유닛(13)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충전 접점은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에 의해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접촉 위치와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후퇴 위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변위력은 상기 구동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됨 -, 상기 구동 디바이스의 스프링 장치(15, 44)는 상기 변위 구동 장치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상기 변위 구동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접촉 스프링(16, 45)에 의해 생성되는 접촉력을 상기 충전면상에 작용함 -,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상부 세그먼트(18, 41)는 고정 베어링(17, 40)상에서 수직 변위 방향으로 선형 이동되며,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하부 세그먼트(19, 43)는 상기 상부 세그먼트상에서 수직 변위 방향으로 선형 이동되며, 상기 접촉 스프링은 상기 고정 베어링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변위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하부 세그먼트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위치에서 상기 접촉 위치로의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12, 46)의 이동은,
a) 상기 하부 세그먼트(19, 43) 및 그에 대해 배치된 전기 충전 접점(11)을 상기 변위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상부 세그먼트(18, 41)에 대해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포지셔닝 디바이스의 정지부(47)에 맞닿음 -;
b) 충전 접촉면에 대해 상기 충전 접점을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접촉 위치에서 상기 하부 세그먼트를 정지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변위 구동 장치를 계속 작동하여 상기 하부 세그먼트 및 상기 고정 베어링(17, 40)에 대하여 상기 상부 세그먼트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상부 세그먼트 및 상기 고정 베어링과 결합된 상기 접촉 스프링을 인장 및 이완시켜 및 이완시켜 접촉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EP2019/078272 WO2021073745A1 (de) | 2019-10-17 | 2019-10-17 | Positioniereinheit für eine ladestation und verfahren zur kontaktieru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2861A true KR20220082861A (ko) | 2022-06-17 |
Family
ID=68424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15499A KR20220082861A (ko) | 2019-10-17 | 2019-10-17 | 충전 스테이션용 포지셔닝 유닛, 및 접점을 형성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27595A9 (ko) |
EP (1) | EP4045352A1 (ko) |
JP (1) | JP7328450B2 (ko) |
KR (1) | KR20220082861A (ko) |
CN (1) | CN114929506A (ko) |
AU (1) | AU2019470169A1 (ko) |
CA (1) | CA3153987A1 (ko) |
WO (1) | WO202107374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88924A (ko) * | 2021-10-25 | 2024-06-20 | 슈운크 트랜지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 충전소용 포지셔닝 유닛 및 접점 확립 방법 |
DE102022206751A1 (de) | 2022-07-01 | 2024-01-04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Invers-Pantograph für eine Ladevorrichtung für Elektrofahrzeuge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520720A (en) * | 1938-08-05 | 1940-05-01 | Gennevilliers Acieries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rolley systems |
JP4568736B2 (ja) | 2007-02-27 | 2010-10-27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架線レス交通システム及びその充電方法 |
US8373389B2 (en) * | 2010-01-22 | 2013-02-12 | Berkley C. Badger | Battery pack charging system with manually maneuvered charge head |
DE102014213831A1 (de) * | 2014-07-16 | 2016-01-21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Ladevorrichtung für ein elektrisch aufladbares Fahrzeug |
AT516120A1 (de) * | 2014-07-23 | 2016-02-15 | Siemens Ag | Fahrzeugladestation mit einer auf einem Ausleger angebrachten Speise-Kontaktvorrichtung |
AT516078A1 (de) * | 2014-07-23 | 2016-02-15 | Siemens Ag | Fahrzeugladestation mit einem Gelenkarm |
EP3031658B1 (de) | 2014-12-12 | 2020-03-18 | Siemens Mobility GmbH | Ladeverfahren für einen Energiespeicher eines Fahrzeugs |
DE102015217380A1 (de) | 2015-09-11 | 2017-03-16 | Schunk Bahn- Und Industrietechnik Gmbh | Positioniereinheit für eine Ladestation und Verfahren zur Kontaktierung |
CN105391135B (zh) | 2015-12-15 | 2019-03-15 |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 一种充电架和采用该充电架的充电装置 |
DE102017200593A1 (de) | 2017-01-16 | 2018-07-19 | Schunk Bahn- Und Industrietechnik Gmbh | Kontakteinheit für eine Ladestation und Verfahren zur Kontaktierung |
JP2019062698A (ja) | 2017-09-27 | 2019-04-18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受電設備並びに給電設備 |
-
2019
- 2019-10-17 KR KR1020227015499A patent/KR202200828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10-17 WO PCT/EP2019/078272 patent/WO2021073745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10-17 EP EP19797184.9A patent/EP4045352A1/de active Pending
- 2019-10-17 US US17/769,254 patent/US20240227595A9/en active Pending
- 2019-10-17 JP JP2022521664A patent/JP7328450B2/ja active Active
- 2019-10-17 AU AU2019470169A patent/AU2019470169A1/en active Pending
- 2019-10-17 CA CA3153987A patent/CA3153987A1/en active Pending
- 2019-10-17 CN CN201980101370.5A patent/CN114929506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328450B2 (ja) | 2023-08-16 |
AU2019470169A1 (en) | 2022-04-21 |
CA3153987A1 (en) | 2021-04-22 |
CN114929506A (zh) | 2022-08-19 |
US20240131942A1 (en) | 2024-04-25 |
US20240227595A9 (en) | 2024-07-11 |
EP4045352A1 (de) | 2022-08-24 |
JP2023502565A (ja) | 2023-01-25 |
WO2021073745A1 (de) | 2021-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44881B2 (en) | Positioning unit for a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making contact | |
US10913359B2 (en) | Positioning unit and contacting method | |
US20200055417A1 (en) | Positioning unit and method for contacting | |
WO2016201901A1 (zh) | 一种充电系统 | |
FI77827B (fi) | Anordning foer upplindning av en kabel pao en kabeltrumma. | |
KR20220082861A (ko) | 충전 스테이션용 포지셔닝 유닛, 및 접점을 형성하는 방법 | |
KR100940767B1 (ko) |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 |
CN108748073A (zh) | 变电站设备带电检修作业机器人 | |
US20220324345A1 (en) | Positioning unit and contacting method | |
CN110577150B (zh) | 适用于航天器内大型舱内设备装配的悬吊装配系统 | |
KR20240088924A (ko) | 충전소용 포지셔닝 유닛 및 접점 확립 방법 | |
RU2798794C1 (ru) | Блок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для зарядной станции и способ контактирования | |
CN108521040B (zh) | 立体车库及接驳装置 | |
CN111711109A (zh) | 一种高压断路箱自动检修装置 | |
RU2798890C1 (ru) | Позиционирующий блок и способ контактирования | |
CN219758329U (zh) | 供配电工程施工用的配电线路检测装置 | |
CN211545065U (zh) | 一种钢板对中平移装置 | |
CN221067849U (zh) | 一种新型腕臂装置及采用该腕臂装置的移动接触网 | |
CN221885866U (zh) | 一种建筑工程电力线路架线装置 | |
CN114684590B (zh) | 用于水平精确调整的转运设备、电池转运系统以及电池包转运方法 | |
CN118793887A (zh) | 一种监测设备及隧道方法 | |
SU1416433A1 (ru) | Выносна опора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CN117584148A (zh) | 一种燃料电池系统固态模块快换装置 | |
KR19980018481U (ko) | 적정 집전 위치 자동조정장치가 장착된 팬터그라프 | |
UA66537A (en) | Lifting platfor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