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767B1 -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767B1
KR100940767B1 KR1020090105155A KR20090105155A KR100940767B1 KR 100940767 B1 KR100940767 B1 KR 100940767B1 KR 1020090105155 A KR1020090105155 A KR 1020090105155A KR 20090105155 A KR20090105155 A KR 20090105155A KR 100940767 B1 KR100940767 B1 KR 100940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fixed
movable
lin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권
김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이엠테크
강인권
김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이엠테크, 강인권, 김연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이엠테크
Priority to KR1020090105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동 공간을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차선을 수평으로 평행이동시킬 수 있는 신축수단을 마련하고, 나아가 전차선의 장력 조절에 따라 길이방향의 위치 변위에 대응하는 전기접촉부를 구비한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을 제공할 목적으로, 일단이 검수고 내에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가진 복수 개의 포스트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신축수단(110)과, 상기 신축수단의 타단에 애자(105)를 매개로 연결되고 하단에 이동측 전도선(101)을 고정한 이동 전차선(100)과, 상기 이동 전차선과 일직선 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 고정측 전도선(42)을 고정한 고정 전차선(40)과, 상기 이동 전차선과 고정 전차선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전기 접촉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HORIZON AND PARALLEL TYPE MOVABLE CATENARY SYSTEM FOR ELECTRIC TRAIN}
본 발명은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기철도차량의 검수 및 정비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검수고 내의 이동식 전차선을 수평으로 평행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속철도의 개통과 더불어 21세기 신교통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전기철도는 최근 전기철도의 고속화, 대용량화, 운전 시간 간격의 단축으로 인한 대량 운전화가 됨에 따라 전차선로의 성능, 신뢰도, 보안도 향상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차선로라 함은 전기열차의 집전장치와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차선 등의 가선설비와 이에 부속하는 설비를 총칭하여 전차선로라 정의 할 수 있다.
전기열차의 주행 시 필요한 전력은 가설된 전차선 및 차량의 팬터그라프의 집전장치를 통하여 공급받게 되는데, 전기열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의 가선 방식에는 전기를 급전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되고 있으며, 가선하고자 하는 선로의 조건 등에 따라 전차선을 여러가지 방식으로 조가하고 있다.
전차선의 가선 방식으로는 가공식(Over Head System), 강체식(Rigid System), 그리고 제3궤조식(Third Rail System)으로 분류되며, 전차선의 조가방식에는 직접 조가 방식과 커티너리 조가 방식이 있다.
한편, 종래에 여러 형태의 가선방식들은 열차의 주행 이외에 차량의 검수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일련의 작업, 특히 차량 상부에서의 유지보수 및 점검에 관련된 작업에 있어서는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지 못하고, 더욱이 25KV의 특고압을 사용하는 AV구간에서는 감전, 추락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국내 공개특허 제 10-2006-0003941호(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는 전기열차 차량 기재 내의 검수고 내부에 전차선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모터브라켓과 힌지브라켓을 이용하여 전차선을 지지토록 함으로써 차량의 점검 및 유지보수 시 전차선의 일부구간이 검수고의 벽측으로 회동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전차선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과 같이 모터브라켓과 힌지브라켓을 이용한 전차선의 회동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전차선을 이동시킬 때 일정 길이를 가진 제1지지브라켓이 구동모터를 축으로 회동함에 따른 회동 반경에 의해 불필요한 이동공간이 발생하므로 검수고의 공간 활용성이 저해된다.
둘째, 복수 개의 구동모터가 하나의 전차선을 회동시키기 위해 동시에 진행 할 때 각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가 차이가 있으면 전차선이 뒤틀리거나 휘어져 변형이 발생하는 등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며 내구성이 저하된다.
셋째, 회동에 따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고가이고, 그만큼 보수가 빈번하여 유지, 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6-0003941호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전기철도차량의 검수 및 정비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차선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되, 이동 공간을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차선을 수평으로 평행이동시킬 수 있는 신축수단을 마련하고, 나아가 전차선의 장력 조절에 따라 길이방향의 위치 변위에 대응하는 전기접촉부를 구비한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이 검수고 내에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가진 복수 개의 포스트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신축수단(110)과, 상기 신축수단의 타단에 애자(105)를 매개로 연결되고 하단에 이동측 전도선(101)을 고정한 이동 전차선(100)과, 상기 이동 전차선과 일직선 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 고정측 전도선(42)을 고정한 고정 전차선(40)과, 상기 이동 전차선과 고정 전차선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전기 접촉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신축수단(110)은, 검수고 내에 고정된 제1포스트(111)와, 상기 제1포스트의 내부에 포개어 끼워져 인출되는 제2포스트(112)와, 상기 제2포스트의 내부에 포개어 끼워져 인출되는 제3포스트(113)와, 상기 각 포스트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검수고 내에 고정된 구동 모터(121)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120)과, 일단이 검수고 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를 지지축(123)으로 지지하는 지지대(122) 및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어 모터 구동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3포스트와 고정된 이동구(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검수고의 환경에 따라 각 포스트의 신축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120)에 이동구(13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1센서(131) 및 제2센서(132)가 구비되되, 상기 제1센서는 각 포스트의 최대 신장시의 이동구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 구동을 제어하고, 제2센서는 각 포스트의 최소 축소시의 이동구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센서(131)와 제2센서(132)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대(120)에 형성된 장방홀(124) 내에서 고정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하여 각 포스트의 신축 범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포스트(111) 내면과 제2포스트(112)의 외면 사이에 미끄럼용 제2동판(12)이 개재되고, 상기 제2포스트(112)의 내면과 제3포스트(113)의 외면 사이에 미끄럼용 제3동판(13)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동판(12)(13)은 각 포스트의 상측의 양측 가장자리와 하측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기 접촉부(150)는 이동 전차선(100)에서 연장된 이동측 바(102)와 고정 전차선(40)에서 연장된 고정측 바(42) 상에 설치되되, 일측 전기접 촉부는 판 형태의 도전플레이트(151)로 형성되고, 타측 전기접촉부는 상기 도전플레이트(151)가 내입되도록 탄성력을 가진 한 쌍의 도전탄성편(15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도전플레이트(151)는 전차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차선을 이동시킬 때 신축수단에 의해 전차선이 수평으로 평행이동하므로 전차선의 이동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신축수단의 이동거리가 차이가 있더라도 전차선의 뒤틀림이나 변형이 최소화되어 구조적으로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단가,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게다가 이동 전차선과 고정 전차선 사이에 전기접촉부에서 도전플레이트는 전차선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차선의 장력 조절 혹은 계절에 따른 기온차에 의해 전차선이 신축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전기를 도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 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에서 신축수단에 의해 이동 전차선이 수평으로 평행이동한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검수고 내에는 전차(10)가 진입할 수 있도록 전차선이 가설되며, 상기 전차선은 고정 전차선(40)과 상기 고정 전차선(40)의 양측 단부에 이동 전차선(1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동 전차선(100)은 고정 전차선(40)에서 분리하여 전기적으로 단락됨으로써 전차(10)의 상부에 작업 인원이 투입하여 안전하게 차량을 검수 혹은 정비할 수 있게 되며,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동 전차선(100)은 길이 방향으로 붐 방식 혹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수단(110)을 통해 수평으로 평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신축수단(110)은, 일단이 검수고 내의 벽 혹은 주프레임(30)에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가진 복수 개의 포스트가 포개어 끼워진 형태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이동 전차선(100)은 하단에 이동측 전도선(101)을 고정하고 상기 신축수단(110)의 타단에 애자를 매개로 연결된다.
즉,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이동 전차선(100)은 고정대(104)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대(104)의 측면에는 애자(105)가 설치되며, 애자(105)는 신축수단(110)과 연결된 형태이며, 여기서 상기 신축수단(110)을 제외한 구조는 특허문헌 에서 개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 전차선(40)은 검수고 내의 벽 혹은 주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된 것으로, 하단에 고정측 전도선(42)이 고정된 것이며, 이 역시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이동 전차선(100)과 고정 전차선(40)은 각각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고정 전차선(40)과 이동 전차선(100)의 각 단부에 전기 접촉부(150)가 설치되며, 상기 전기 접촉부(150)는 이동 전차선(100)이 고정 전차선(40)과 일직선 상에 놓일 때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도 2와 같이 이동 전차선(100)이 신축수단(110)에 의해서 수평으로 평행이동하여 고정 전차선(40)과 분리되는 경우 전기적으로 단락된다.
도 2와 같이 이동 전차선(100)이 수평으로 평행이동하게 되는 경우 특허문헌과 같이 회동 반경에 따른 불필요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검수고 내의 공간 활용선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어 유리하다.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한 측면도로서, 신축수단의 팽창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신축수단이 최소로 축소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의 단면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신축수단(110)은 신축 가능한 복수 개의 포스트와, 회전축(120), 상기 회전축(120)을 지지하는 지지대(122), 그리고 이동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는, 검수고 내에 고정된 제1포스 트(111)와, 상기 제1포스트(111)의 내부에 포개어 끼워진 형태로 삽입 및 인출되는 제2포스트(112)와, 상기 상기 제2포스트(112)의 내부에 포개어 끼워진 형태로 삽입 및 인출되는 제3포스트(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3포스트(113)의 단부에는 애자(105)가 설치된다.
상기 포스트들은 금속소재일 수 있고, 이때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프로파일과 같이 경량의 금속소재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그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회전축(120)은 상기 각 포스트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 것으로, 일단은 구동 모터(121)와 연결되어 구동 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정회전 혹은 역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121)는 검수고 내의 벽 혹은 주프레임(30)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122)는 일단이 검수고의 벽 혹은 주프레임(30)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회전축의 자유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자유 유동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축(123)이 설치되며, 이를 위해 상기 지지축(123)에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축(120)의 단부 외면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의 외면에 지지대(122)를 설치하면 상기 회전축(120)이 지지대(122)와 접하여 지지되면서도 회전축(120)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동구(130)는, 너트와 같이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20)의 외면에 나사 결합된 것으로서, 모터(121)의 구동으로 회전축(120)이 정회전 혹은 역회전함에 따라 이동구(130)가 나사산을 타고 회전축(12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이동구(130)는 제3포스트(113)와 브 래킷(114) 혹은 그와 균등한 구조물을 매개로 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각 포스트와, 회전축(120) 및 지지대(122)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됨과 동시에 각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평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구조적으로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신축수단(1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모터(121)가 구동하면 회전축(120)이 연동하여 회전하고, 이때 회전축(120)의 외면에 나합된 이동구(130)가 나사산을 타고 회전축(120)을 따라 위치 이동하며, 이동구(130)가 이동함에 따라 제3포스트(113)가 이동하면서 제2포스트(112) 내부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작용을 통해 각 포스트의 길이가 신축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22)에는 이동구(13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1센서(131) 및 제2센서(13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포스트가 신축할 때, 최대로 늘어나는 지점과 최소로 축소된 지점에서 구동 모터(121)의 구동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1센서(131)는 각 포스트의 최대 신장시의 이동구(130)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121)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고, 제2센서(132)는 각 포스트의 최소 축소시의 이동구(130)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121)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일 예로서,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센서(131)와 제2센서(132)는 리미트 스위치일 수 있고, 상기 이동구(130)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터치하기 위한 핀(130a)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센서(131)와 제2센서(132)는 이동 구(130)의 근접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공지의 근접센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센서(131) 및 제2센서(132)가 이동구(130)를 감지하여 구동 모터(121)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면,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센서(131)와 제2센서(132)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는 지지대(120)에 형성된 장방홀(124) 내에서 고정 위치가 가변되게 할 수 있다.
즉, 도 5의 확대 사시도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지지대(122)에는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장방홀(124)이 형성되고, 제2센서(132)는 상기 장방홀(124)을 관통하여 너트와 같은 고정구(135)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검수고의 특성이나 현장 환경 등의 필요에 의해 신축수단(110)의 신축 가능한 범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고정구(135)를 풀어서 제2센서(132)를 장방홀(124) 내의 임의 위치로 옮긴 다음 다시 고정구(135)로 제2센서(132)를 고정하면, 각 포스트가 축소될 때의 최소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센서(131) 역시 장방홀(124)에 설치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포스트가 최소의 마찰면을 가지도록 하여 신축시 마찰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이 하면 소음 저감과 함께 모터(121)를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도 5의 포스트 단면 및 확대도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포스트(111) 내면과 제2포스트(112)의 외면 사이에 미끄럼용 제2동판(12)을 개재시키고, 또한 상기 제2포스트(112)의 내면과 제3포스트(113)의 외면 사이에 미끄럼용 제3동판(13)을 개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동판(12)(13)은 각 포스트의 상측의 양측 가장자리와 하측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하여 각 포스트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 함으로서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2동판(12)은 제2포스트(112)의 하면 양측 가장자리와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 고정나사(15)를 통해 고정되어 그 외면이 제1포스트(111)의 내면과 접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제3동판(130은 제3포스트(113)의 하면 양측 가장자리와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 고정나사(15)를 통해 고정되어 그 외면이 제2포스트(112)의 내면과 접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동판의 고정 방식이나 형태에 제한이 없다.
상기 동판은 포스트에 비하여 마찰계수가 적은 소재로서, 상기 동판을 포스트와 접촉시키는 경우 마찰력이 감소하므로 포스트의 신축 구동시 원할하게 미끄러질 수 있고, 또한 마찰력의 감소로 인해 그만큼 출력이 작은 모터의 적용이 가능하다. 물론 마찰력 감소를 위한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동판과 포스트의 접촉면에 그리스와 같은 윤활제를 도포하여도 좋으며, 이때 상기 포스트에는 공지의 그리스 주입구(미도시)를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그리스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2의 C부를 확대한 평면도로서, 전기 접촉부의 단락 및 접촉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의 D-D선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접촉부(150)는 이동 전차선(100)에서 연장된 이동측 바(102)와 고정 전차선(40)에서 연장된 고정측 바(42) 상에 설치되며, 상기 각 바(42)(102)의 하단에는 각각 고정측 전도선(41)과 이동측 전도선(101)이 설치되는데, 상기 각 바(42)(102) 및 각 전도선(41)(101)은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일측 전기접촉부는 판 형태의 도전플레이트(151)이고, 타측 전기접촉부는 상기 도전플레이트(151)가 내입되도록 탄성력을 가진 한 쌍의 도전탄성편(15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전플레이트(151) 및 도전탄성편(153)의 구조 역시 특허문헌의 도 8을 통해 공지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도전플레이트(151)는 전차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52)를 더 형성함으로써 고정 전차선(40)의 장력 조절에 따라 길이가 변경되어 고정 전차선(40)과 이동 전차선(100)의 이격 거리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연장부(152)가 도전탄성편(153) 내에 삽입되도록 하였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 전차선(40)이 가설되었을 때 자중에 의해서 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장력조절장치(미도시)가 설치되며, 이로 인해 고정 전차선(40)이 다소 신장됨에 따라 상기 전기접촉부(150)의 접촉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때 적어도 상기 연장부(152)가 도전탄성편(15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접촉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에서 신축수단에 의해 이동 전차선이 수평으로 평행이동한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한 측면도로서, 신축수단의 팽창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신축수단이 최소로 축소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의 B-B선의 단면 및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2의 C부를 확대한 평면도로서, 전기 접촉부의 단락 및 접촉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
도 7은 도 6의 D-D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전차(電車) 12... 제2동판
13... 제3동판 15... 고정나사
20... 팬터그래프
30... 주프레임 40... 고정 전차선
41... 고정측 전도선 42... 고정측 바
50... 레일
100... 이동 전차선 101... 이동측 전도선
102... 이동측 바 104... 고정대
105... 애자
110... 신축수단 111... 제1포스트
112... 제2포스트 113... 제3포스트
114... 브래킷 120... 회전축
121... 모터 122... 지지대
123... 지지축 124... 장방홀
130... 이동구 130a... 핀
131... 제1센서 132... 제2센서
135... 고정구
150... 전기접촉부
151... 도전플레이트 152... 연장부
153... 도전탄성편

Claims (8)

  1. 일단이 검수고 내에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가진 복수 개의 포스트가 포개어 끼워진 형태로 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신축수단(110)과,
    상기 신축수단의 타단에 애자(105)를 매개로 연결되고 하단에 이동측 전도선(101)을 고정한 이동 전차선(100)과,
    상기 이동 전차선과 일직선 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 고정측 전도선(42)을 고정한 고정 전차선(40)과,
    상기 이동 전차선과 고정 전차선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전기 접촉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신축수단(110)은,
    상기 각 포스트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검수고 내에 고정된 구동 모터(121)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120)과,
    일단이 검수고 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를 지지축(123)으로 지지하는 지지대(122) 및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어 모터 구동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포스트 중 최 외측 포스트에 고정된 이동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110)의 각 포스트는, 검수고 내에 고정된 제1포스트(111)와,
    상기 제1포스트의 내부에 포개어 끼워져 인출되는 제2포스트(112)와,
    상기 제2포스트의 내부에 포개어 끼워져 인출되는 제3포스트(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구(130)는 제3포스트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2)에 이동구(13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1센서(131) 및 제2센서(132)가 구비되되,
    상기 제1센서는 각 포스트의 최대 신장시의 이동구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 구동을 제어하고, 제2센서는 각 포스트의 최소 축소시의 이동구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131)와 제2센서(132)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대(120)에 형성된 장방홀(124) 내에서 고정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스트(111) 내면과 제2포스트(112)의 외면 사이에 미끄럼용 제2동판(12)이 개재되고, 상기 제2포스트(112)의 내면과 제3포스트(113)의 외면 사이에 미끄럼용 제3동판(13)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 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동판(12)(13)은 각 포스트의 상측의 양측 가장자리와 하측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촉부(150)는 이동 전차선(100)에서 연장된 이동측 바(102)와 고정 전차선(40)에서 연장된 고정측 바(42) 상에 설치되되,
    일측 전기접촉부는 판 형태의 도전플레이트(151)로 형성되고,
    타측 전기접촉부는 상기 도전플레이트(151)가 내입되도록 탄성력을 가진 한 쌍의 도전탄성편(15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플레이트(151)는 전차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KR1020090105155A 2009-11-02 2009-11-02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KR100940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155A KR100940767B1 (ko) 2009-11-02 2009-11-02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155A KR100940767B1 (ko) 2009-11-02 2009-11-02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767B1 true KR100940767B1 (ko) 2010-02-05

Family

ID=4208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155A KR100940767B1 (ko) 2009-11-02 2009-11-02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76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68B1 (ko) 2010-12-31 2011-04-22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이동식 전차선
KR101466354B1 (ko) * 2014-09-12 2014-11-27 주식회사 강이엠테크 갠트리형 건널목 이동식 전차선
KR101549047B1 (ko) 2015-07-17 2015-09-01 김연원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KR101748090B1 (ko) * 2016-10-28 2017-06-16 (주)재영테크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
KR101810790B1 (ko) 2016-10-28 2017-12-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
KR101810791B1 (ko) 2016-10-28 2017-12-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
KR20180046864A (ko) * 2016-10-28 2018-05-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
KR20180120391A (ko) * 2017-04-27 2018-11-06 김승호 상하회전 및 평행이동형 이동 전차선 시스템
JP2019156189A (ja) * 2018-03-14 2019-09-19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電車線路用架線の可動支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線路切替工法
CN111775778A (zh) * 2020-07-05 2020-10-16 兰州新伟车辆装备有限公司 恒张力移动接触网驱动力转动装置及其操作方法
CN111775777A (zh) * 2020-07-05 2020-10-16 兰州新伟车辆装备有限公司 恒张力移动接触网及其操作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407A (ja) * 1993-03-02 1994-09-13 Central Japan Railway Co 剛体電車線用支持碍子
JP2001270349A (ja) 2000-03-28 2001-10-02 Railway Technical Res Inst 電車線支持装置
KR20030065938A (ko) * 2002-02-02 2003-08-09 주식회사 대동기술단 전차선로의 가고조절용 가동브래킷
KR100739328B1 (ko) 2006-04-04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강체전차선 브래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407A (ja) * 1993-03-02 1994-09-13 Central Japan Railway Co 剛体電車線用支持碍子
JP2001270349A (ja) 2000-03-28 2001-10-02 Railway Technical Res Inst 電車線支持装置
KR20030065938A (ko) * 2002-02-02 2003-08-09 주식회사 대동기술단 전차선로의 가고조절용 가동브래킷
KR100739328B1 (ko) 2006-04-04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강체전차선 브래킷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68B1 (ko) 2010-12-31 2011-04-22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이동식 전차선
US9845024B2 (en) 2014-09-12 2017-12-19 Yeon Won KIM Gantry type movable catenary system at a railway crossing
KR101466354B1 (ko) * 2014-09-12 2014-11-27 주식회사 강이엠테크 갠트리형 건널목 이동식 전차선
WO2016039539A1 (ko) * 2014-09-12 2016-03-17 김연원 갠트리형 건널목 이동식 전차선
CN105416096A (zh) * 2014-09-12 2016-03-23 金渊源 门架型平交道口移动式电车线
CN105416096B (zh) * 2014-09-12 2017-09-12 金渊源 门架型平交道口移动式电车线
KR101549047B1 (ko) 2015-07-17 2015-09-01 김연원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KR20180046864A (ko) * 2016-10-28 2018-05-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
KR101810791B1 (ko) 2016-10-28 2017-12-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
KR101810790B1 (ko) 2016-10-28 2017-12-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
KR101748090B1 (ko) * 2016-10-28 2017-06-16 (주)재영테크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
KR102383849B1 (ko) 2016-10-28 2022-04-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
KR20180120391A (ko) * 2017-04-27 2018-11-06 김승호 상하회전 및 평행이동형 이동 전차선 시스템
KR102090522B1 (ko) * 2017-04-27 2020-03-18 주식회사 오토레일테크 상하회전 및 평행이동형 이동 전차선 시스템
JP2019156189A (ja) * 2018-03-14 2019-09-19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電車線路用架線の可動支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線路切替工法
JP7045226B2 (ja) 2018-03-14 2022-03-31 三和テッキ株式会社 電車線路用架線の可動支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線路切替工法
CN111775778A (zh) * 2020-07-05 2020-10-16 兰州新伟车辆装备有限公司 恒张力移动接触网驱动力转动装置及其操作方法
CN111775777A (zh) * 2020-07-05 2020-10-16 兰州新伟车辆装备有限公司 恒张力移动接触网及其操作控制方法
CN111775777B (zh) * 2020-07-05 2024-03-22 兰州新伟车辆装备有限公司 恒张力移动接触网及其操作控制方法
CN111775778B (zh) * 2020-07-05 2024-03-22 兰州新伟车辆装备有限公司 恒张力移动接触网驱动力转动装置及其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767B1 (ko)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US10744881B2 (en) Positioning unit for a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making contact
KR101626147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WO2016201902A1 (zh) 一种集电头装置
ES2877359T3 (es) Unidad de posicionamiento y procedimiento de contacto
US20160075258A1 (en) Gantry type movable catenary system at a railway crossing
EP2551148B1 (en) Suspension arrangement for an overhead line
CN102458902A (zh) 车辆顶盖的集电器设备
CA2899411C (en) Contact device for contacting a contact conductor arrangement
KR101746285B1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CN105431342A (zh) 用于监控被引导车辆的正确复轨的方法和设备
KR20130039001A (ko) 전동차용 팬터그래프
KR101900512B1 (ko) 강체전차선 지지시스템
KR20170043437A (ko) 신축이음장치
KR101549047B1 (ko)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CN113581025B (zh) 一种轨道车辆试验台用摆臂式接触网系统
KR20130087778A (ko) 신축이음장치
JP4513114B1 (ja) 鉄道車両用集電装置
JP2006280182A (ja) 集電舟の駆動装置
KR101748090B1 (ko)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
CN203462372U (zh) 一种物流传输轨道的90°垂直弯轨
JP6212607B2 (ja) 機械式駐車装置
US3047681A (en) Current collector
KR101810790B1 (ko)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
JP7148342B2 (ja) 電動車両の給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