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319A - 재료의 투입과 완제품의 배출이 자동화된 자동 튀김 장치 - Google Patents
재료의 투입과 완제품의 배출이 자동화된 자동 튀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2319A KR20220082319A KR1020200172109A KR20200172109A KR20220082319A KR 20220082319 A KR20220082319 A KR 20220082319A KR 1020200172109 A KR1020200172109 A KR 1020200172109A KR 20200172109 A KR20200172109 A KR 20200172109A KR 20220082319 A KR20220082319 A KR 202200823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basket
- frying
- frying basket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19—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lowering or raising the frying baske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04—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for domestic use
- A47J37/1209—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for domestic use electrically heat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는, 내부에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의 전방에 위치한 제2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기름조;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기름조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이 상기 기름조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이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튀김 바구니;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고 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거치틀을 포함하고, 상기 튀김 바구니의 일단에는 제1 회동축이 장착되고, 상기 제1 회동축은 제1 회동 기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튀김 바구니가 상기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튀김 바구니는 상기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름조 내부에 놓이는 제1 위치와, 상기 수용 공간에 놓인 조리물이 상기 제2 공간의 상기 용기 안으로 배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도록 작동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튀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리 재료를 장치 내부로 공급하는 과정에서부터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장치 외부로 배출하고 용기에 적재하는 과정까지 모두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된, 자동 튀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튀김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내부에 히터가 설치된 튀김통을 구비하는 튀김장치를 사용하여 유조 내부에 식용유와 같은 조리유를 붓고 이를 히터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튀긴다. 이러한 튀김장치는 통상 조리유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방이 개방되며 내부 공간부를 갖는 유조와, 유조의 하부에서 고온의 연소가스를 발생시키는 버너부와 유조 내에서 고온의 연소가스에 의해 조리유와 열교환을 일으키면서 조리유를 가열하도록 하는 가열부와, 열교환이 완료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부와, 하우징의 상단 외측에 연결되어 튀겨진 튀김물이 올려지는 튀김받이부로 구성된다. 또한, 튀겨진 튀김물은 튀김받이부 위에 올려 놓음으로써 튀김물에 함유되어 조리유가 튀김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튀김 장치의 사용 방식을 보면, 구매자로부터 주문과 결제가 이루어지면, 매장에 근무하는 조리자가 튀김 장치를 개방하여 유조 내에 튀김 재료를 투입하고 튀김물이 서로 들어붙지 않도록 조리유를 저어주면서 음식물을 조리하며, 조리가 완료되면 음식물을 꺼내어 튀김받이부에 올려두고 기름기를 제거한 후 용기에 담아 구매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종래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 제2013-0095161호(공개일: 2013.08.27)에는 "수유식 튀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음식점이 아닌 영화관, PC방, 또는 가맹 편의점 등에서도 튀김류 식품을 제조 판매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영화관, 편의점 등은 점차 매장 근무 인력 대신 제조와 판매를 무인화/자동화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조리자가 없이도, 구매자가 원하는 종류의 튀김 음식을 간편하게 취사하고 음식물을 간편하게 수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튀김 장치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료의 투입과 완제품의 배출이 자동화된 자동 튀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는, 내부에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의 전방에 위치한 제2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기름조;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기름조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이 상기 기름조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이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튀김 바구니;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고 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거치틀을 포함하고, 상기 튀김 바구니의 일단에는 제1 회동축이 장착되고, 상기 제1 회동축은 제1 회동 기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튀김 바구니가 상기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튀김 바구니는 상기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름조 내부에 놓이는 제1 위치와, 상기 수용 공간에 놓인 조리물이 상기 제2 공간의 상기 용기 안으로 배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기 거치틀은 일단이 상기 제2 공간에 형성된 제2 회동축에 고정되는 고정단이고 타단이 자유단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바(bar)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바에 형성된 고정 슬릿에 의해 상기 용기를 고정 지지하며, 상기 제2 회동축은 제2 회동 기구에 장착되어, 상기 거치틀이 상기 제2 회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용기의 개방 상면이 상기 제2 공간에서 상방을 향하는 제1 틸팅 위치와, 상기 용기 내에 놓인 조리 재료가 상기 제1 공간의 튀김 바구니 안으로 투입되는 제2 틸팅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상기 튀김 바구니가 안착되는 리프팅 바구니; 및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리프팅 바구니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팅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바구니는 상기 리프팅 기구에 장착되어 상기 리프팅 기구의 하강 작동에 의해 상기 튀김 바구니와 함께 하방으로 견인되어 상기 기름조의 내부로 하방 삽입되는 제1 위치와, 상기 리프팅 기구의 승강 작동에 의해 상기 튀김 바구니와 함께 상방으로 견인되어 상기 기름조를 벗어난 정지 위치로 직선 운동하고, 이후, 상기 제1 회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튀김 바구니가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 위치로 부채꼴 궤도를 그리며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 기구는 상기 제1 공간의 벽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방 운동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을 위치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동축은 그 양단이 상기 리프팅 바구니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리프팅 바구니에 안착되고, 상기 제1 회동축의 일단은 단면이 다각형이며, 상기 리프팅 바구니는 일단에 형성된 후크부가 상기 이동 프레임의 가로바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동 기구는 모터 및 모터축을 포함하고 상기 정지 위치에서 상기 튀김 바구니의 제1 회동축의 일단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축의 일단에는 내면이 상기 제1 회동축의 일단에 형성된 다각형과 동일한 형상의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상기 튀김 바구니가 상기 정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1 회동축의 일단이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튀김 장치는 상기 제1 공간의 전방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동 기구를 제1 공간의 전방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튀김 바구니는 상기 제1 회동 기구가 상기 승강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승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기름조를 벗어난 정지 위치로 직선 이동하고, 이후 상기 제1 회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부채꼴 궤도를 그리며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튀김 바구니가 상기 정지 위치에 도달한 이후, 상기 제1 회동 기구를 미리 결정된 높낮이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반복 변위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 재료를 상기 튀김 바구니 안으로 투입 작업 시, 상기 거치틀이 상기 제2 틸팅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튀김 바구니가 상기 제1 회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한 경사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리물을 상기 용기 안으로 배출 작업 시, 상기 튀김 바구니가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거치틀이 상기 제2 회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틸팅 위치에 미리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에는 상기 튀김 바구니와 상기 거치틀을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격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이 상기 격벽 상방의 개방부를 통해 서로 연통되며, 일단이 격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회동 기구의 정지 위치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조리물 또는 상기 조리 재료가 상기 튀김 바구니의 일단과 상기 격벽 사이의 빈틈을 통해 제1 공간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제1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틀의 일단과 상기 격벽 사이에는 상기 조리물 또는 상기 조리 재료가 상기 거치틀의 일단과 상기 격벽 사이의 빈틈을 통해 제2 공간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제2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튀김 바구니는 상기 제1 회동 기구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기름조에서 회전 방향으로 멀어져 상기 기름조를 벗어난 경사 위치로 곡선 이동하고, 이후 상기 제1 회동 기구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경사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부채꼴 궤도를 그리며 회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의 상판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튀김 바구니와 리프팅 바구니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튀김 바구니와 리프팅 바구니 및 제1 회동 기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또 다른 내부 사시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튀김 바구니와 제1 회동 기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또 다른 내부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튀김 바구니와 리프팅 바구니가 정지 위치에 위치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튀김 바구니와 리프팅 바구니 및 제1 회동 기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또 다른 내부 사시도이다.
도 7c는 도 7b를 다른 각도에서 본 내부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튀김 바구니의 회동에 의하여 조리물이 용기로 반출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거치틀의 회동에 의하여 조리 재료가 튀김 바구니로 투입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튀김 바구니와 리프팅 바구니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튀김 바구니와 리프팅 바구니 및 제1 회동 기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또 다른 내부 사시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튀김 바구니와 제1 회동 기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또 다른 내부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튀김 바구니와 리프팅 바구니가 정지 위치에 위치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튀김 바구니와 리프팅 바구니 및 제1 회동 기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또 다른 내부 사시도이다.
도 7c는 도 7b를 다른 각도에서 본 내부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튀김 바구니의 회동에 의하여 조리물이 용기로 반출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거치틀의 회동에 의하여 조리 재료가 튀김 바구니로 투입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의 상판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100)는 내부에 제1 공간(101) 및 제1 공간(101)의 전방에 위치한 제2 공간(102)을 구비하고, 제1 공간(101)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기름조(105),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기름조(105)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수용 공간이 기름조(105)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이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튀김 바구니(120), 내부에 튀김 바구니(120)가 안착되는 리프팅 바구니(180), 리프팅 바구니(18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팅 기구(140), 제2 공간(102)에 배치되고 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거치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밖에 제1 공간(101)에는 기름조(105)의 후방에 배치된 필터부재(미도시), 필터부재의 하류에 배치되어 제1 공간(101) 내에 내부공기를 강제로 배기하는 팬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P)이 설치되어 조리 진행상태를 표시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P)의 일측에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작업자의 지시 하에 기름의 온도를 설정하고, 히터(104), 팬, 환기구 셔터, 하우징의 내부 온도 등을 제어하며,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프팅 기구(140), 제1 회동 기구(122) 및 제2 회동 기구(132)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100)의 구성 중, 제1 공간(101) 및 제2 공간(102), 기름조(105), 튀김 바구니(120), 리프팅 바구니(180), 리프팅 기구(140) 및 거치틀(13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은 후술하는 격벽(150)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을 의미하기도 하고, 또는 구매자에 노출되지 않는 공간(즉, 기름조(105)가 배치되는 공간)과 구매자에게 노출되는 공간(즉, 거치틀(130)이 배치되는 공간)을 분리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사용된 용어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방이라는 용어는 구매자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고 후방은 구매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100)는 전체의 구성 부품들이 조립되고 배치되는 외측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은 하우징 내부의 공간이 전후방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 사이에는 튀김 바구니(120)와 거치틀(130)을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격벽(150)이 설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치틀(130)은 회동에 의해 제1 공간(101)으로 조리 재료를 투입하도록 구성되고 튀김 바구니(120)는 회동에 의해 제2 공간(102)으로 조리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은 서로 연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격벽(150)은 그 높이가 거치틀(130)의 설치 높이 또는 튀김 바구니(120)의 정지 위치에서의 높이보다 높이 않도록 제한된다. 격벽(150)의 상방은 개방되어 있고, 이를 통해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이 격벽(150) 상방의 개방부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또는, 격벽(150)이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을 전체적으로 분리시키되 격벽(150)에는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을 연통하는 개방 윈도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방의 제2 공간(102)을 보면, 그 하방에는 후술하는 용기가 배치되는 배치대를 포함하는 용기 출입부가 배치되고, 용기를 외부와 분리시키도록 용기 출입부를 포위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도어(103)가 설치된다. 도어(103)는 일측이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하우징에 걸림 고정되어 용기 출입부를 감싸는 폐쇄 상태와, 구매자의 손조작에 의해 타측이 오픈된 개방 상태로 운행될 수 있다. 또한, 도어(103)는 폐쇄 상태일 때 외부의 구매자가 용기 출입부 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리가 완료된 조리물이 용기로 쏟아지는 과정에서 용기 출입부 외부로 튕겨나가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기름조(105)는 제1 공간(101) 내의 하방측, 구체적으로 제1 공간(101)의 저면에 배치된 히터(104)의 상방에 배치된다. 기름조(105)는 그 내부에 기름을 수용하며, 외부의 전원 공급에 의한 히터(104)의 발열에 의해 기름을 가열하고, 튀김 바구니(120) 안의 튀김 재료를 튀긴다. 또한, 기름조(105)에는 다 쓴 기름을 배출하도록 드레인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튀김 바구니(120)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다수의 철제 프레임으로 구성된 다공성 구조물일 수 있다. 그 외부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통상적으로 상면이 사각 프레임을 갖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튀김 바구니(120)의 일단에는 제1 회동축(121)이 장착된다. 제1 회전축은 제1 공간(101)의 저면에 평행하고 격벽(150)의 상단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튀김 바구니(120)가 안착되는 리프팅 바구니(180)와, 제1 공간에 설치되고 리프팅 바구니(18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팅 기구(140)를 포함한다.
리프팅 바구니(180)는 튀김 바구니(120)를 안착하기 위하여 튀김 바구니(120)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리프팅 기구(140)에 장착되어 리프팅 기구(140)의 작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직선 반복 운동하며, 이에 동반하여 튀김 바구니(120)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한다. 튀김 바구니(120)는 제1 회동축(121)의 양단이 리프팅 바구니(180)의 사이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리프팅 바구니(180)에 안착된다. 이는 뒤에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회동축(121) 일단의 팁(T)이 제1 회동 기구(122)의 리세스부(123)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리프팅 바구니(180)의 일단에는 리프팅 기구(14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부가 형성되어 있다.
리프팅 기구(140)는 제1 공간의 벽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41)과, 고정 프레임(141)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상하방으로 상대 운동하는 이동 프레임(142) 및 이동 프레임(142)을 위치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143)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143)의 샤프트(미도시)와 이동 프레임(142)은 링크(미도시)로 연결되어 있어, 링크에 의해 구동 장치의 회전력이 이동 프레임(14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튀김 장치의 사용을 제공하기 위해 관리자는 리프팅 바구니(180) 안에 튀김 바구니(120)를 안착시킨 후 이들 이중 바구니(튀김 바구니(120) 및 리프팅 바구니(180))를 제1 공간 안으로 투입하는데, 리프팅 바구니(180)의 후크부를 이동 프레임(142)에 걸어 이중 바구니를 리프팅 기구(140)에 장착한다. 조리가 끝난 후에는 이동 프레임(142)에서 후크부를 떼어 냄으로써 이중 프레임을 탈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튀김 바구니(120)는 튀김 바구니(120)의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기름조 내부에 놓이는 제1 위치와, 수용 공간에 놓인 조리물이 제2 공간의 용기 안으로 배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도록 구동된다. 그리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는 정지 위치를 경유한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서는 튀김 바구니(120)와 리프팅 바구니(180)가 제1 위치와 정지 위치 사이를 함께 직선 운동하고, 튀김 바구니(120)가 리프팅 바구니(180)와 분리되어 정지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부채꼴 운동한다. 아래에서 이러한 구동 매커니즘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회동축과 회동 기구(제1 회동축(121)과 제1 회동 기구(122), 제2 회동축(131)과 제2 회동 기구(132))가 존재하므로, 그들을 제1 및 제2의 용어로 구별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튀김 바구니(120)와 리프팅 바구니(180)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튀김 바구니(120)와 리프팅 바구니(180) 및 제1 회동 기구(122)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또 다른 내부 사시도, 도 6c는 도 6a의 튀김 바구니와 제1 회동 기구(122)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또 다른 내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튀김 바구니(120)와 리프팅 바구니(180)가 정지 위치에 위치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튀김 바구니(120)와 리프팅 바구니(180) 및 제1 회동 기구(122)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또 다른 내부 사시도, 도 7c는 도 7b를 다른 각도에서 본 내부 사시도이다.
먼저,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리프팅 바구니(180)는 리프팅 기구(140)에 장착되어 리프팅 기구(140)의 하강 작동에 의해 튀김 바구니(120)와 함께 하방으로 견인되어 기름조의 내부로 하방 삽입되는데, 기름조 내에서 이중 바구니의 정지 상태의 위치를 제1 위치로 정의한다. 이중 바구니가 제1 위치에 머물 때에는 튀김 바구니(120) 내부에 놓인 조리 재료가 기름조 내 조리유에 빠져 조리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서는 튀김 바구니(120)의 제1 회동축(121)이 제1 회동기구와 분리되어 있다. 이 때, 리프팅 기구(140)는 튀김 바구니(120) 및 리프팅 바구니(180)가 정지 위치에 도달한 이후, 미리 결정된 높낮이 범위 내에서 리프팅 기구(140)를 상하 방향으로 반복 변위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각각 3~10cm의 범위 내에서 1분 동안 이동 프레임(142)을 반복 변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은 작업자가 외부 디스플레이 패널(P)을 통해 리프팅 기구(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조작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에 의하면 튀김 바구니(120)가 함께 반복 변위하면서 그 내부의 조리 재료가 서로 들러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리프팅 바구니(180)는 리프팅 기구(140)의 승강 작동에 의해 튀김 바구니(120)와 함께 미리 결정된 위치까지 상방으로 견인되어 기름조를 벗어난 정지 위치로 직선 운동한다. 정지 위치는 수용 공간이 기름조(105)에서 분리되어 내부 공기와 접촉하는 상태로서, 이때 수용 공간 안에 남겨진 조리물(튀김)에서 기름을 뺀다. 이에 따라, 조리물을 배출하기 전에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정지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정지 위치에서는 특히, 튀김 바구니(120)의 제1 회동축(121)의 일단이 제1 회동 기구(122)에 결합된다. 제1 회동 기구(122)는 모터 및 모터축을 포함하고, 상승 이동하는 제1 회동축(121)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정지 위치에서 튀김 바구니(120)의 제1 회동축(121)의 일단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동축(121)의 일단에는 단면이 다각형인 팁(T)이 형성되고, 제1 회동 기구(122)의 모터축의 일단에는 내면이 제1 회동축(121)의 일단에 형성된 다각형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리세스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중 바구니가 정지 위치로 상승 이동하여 정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튀김 바구니(120)의 제1 회동축(121)의 일단이 제1 회동 기구(122)의 리세스부(123)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제1 회동축(121)은 그 일단이 제1 회동 기구(122)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동축(121)의 일단에 리세스부(123)가 형성되고, 제1 회동 기구(122)의 모터축에 다각형 팁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e는 튀김 바구니(120)의 회동에 의하여 조리가 완료된 조리물이 용기로 반출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회동 기구(122)의 작동에 의해 튀김 바구니(120)가 정지 위치로부터 제1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2 위치로 부채꼴 궤도를 그리며 회동한다. 튀김 바구니(120)는 회동이 시작되면서 리프팅 바구니(180)를 벗어나게 되고 계속 회동하여 튀김 바구니(120)의 수용 공간에 놓인 조리물이 제2 공간(102)의 용기 안으로 쏟아지는 튀김 바구니(120)의 위치인 제2 위치까지 회동한다. 정지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의 회동 매커니즘이 이하의 도 8a 내지 도 8e에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튀김 바구니(120)와 리프팅 바구니(180)의 이중 바구니가 정지 위치에 위치한다(도 8a). 이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튀김 바구니(120)의 제1 회동축(121)의 일단이 제1 회동 기구(122)의 리세스부(123)에 삽입되어 제1 회동 기구(122)에 결합된다. 제1 회동축(121)의 일단의 팁(T)을 다각형으로 설계함으로써 제1 회동 기구(122)의 모터축의 회전시 제1 회동축(121)이 종동하여 회전될 수 있게 하였다. 이후, 튀김 바구니(120)가 제1 회동 기구(122)의 작동에 의해 정지 위치로부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 만큼 회동한 경사 위치를 경유할 수 있다(도 8b 참조). 이어서, 튀김 바구니(120)는 제1 회동 기구(122)의 작동에 의해 경사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부채꼴 궤도를 그리며 회동한다(도 8c 및 도 8d 참조). 여기서, 제2 위치란 튀김 바구니(120)의 수용 공간에 놓인 조리물이 제2 공간(102)의 용기 안으로 쏟아지는 튀김 바구니(120)의 위치를 의미한다. 제2 위치는 튀김 바구니(120)의 형상에 따라, 그리고 설정에 의해 그 제1 공간(101)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도 8c), 튀김 바구니(1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2 공간(102)에 진입할 수도 있다(도 8d). 다시 말해, 튀김 바구니(120)가 회동하면서 일측 측벽이 제2 공간(102)측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면 수용 공간의 조리물이 용기로 쏟아질 수 있고, 이 경우에 튀김 바구니(120)의 일측 측벽이 실질적으로 수직한 형상일 때(즉, 튀김 바구니(120)가 직육면체 형상)에는 제2 위치는 제1 공간(101)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튀김 바구니(120)의 일측 측벽이 경사를 갖는 경우(예컨대, 튀김 바구니(120)가 역사다리꼴 형상)에는 제2 위치는 수용 공간의 일부가 제2 공간(102)의 상부로 더 진입한 위치가 될 수 있다. 한편, 튀김 바구니(120)의 형상과 무관하게, 제1 회동 기구(122)에 제2 위치를 제1 공간(101) 내에 위치하도록 또는 제2 공간(102) 내에 진입하여 위치하도록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도 8d). 이와 같이, 튀김 바구니(120)가 제2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수용 공간에 놓인 조리물이 제2 공간(102)의 용기 안으로 자동으로 쏟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8e).
조리물을 제2 공간(102)의 용기 안으로 쏟아낸 이후에는 전술한 매커니즘의 역순으로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8b에 도시된 정지 상태로 복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2 공간(102)에 배치되고 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거치틀(130)을 포함한다. 거치틀(1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기와 고정된 상태에서 용기와 함께 상방으로 틸팅하기 때문에 용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틀(130)은 일단이 제2 회동축(131)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바(bar)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에는 각각 고정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의 프레임부가 고정 슬릿에 끼움 결합하도록 고정 지지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하지만, 용기를 거꾸로 세우더라도 탈락하지 않게 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거치틀(130)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전술한 제2 회동축(131)은 제2 공간(102)에서 격벽(150)측에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동축(131)은 제2 회동 기구(13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도 9a 내지 도 9e는 거치틀(130)의 회동에 의하여 조리 재료가 튀김 바구니(120)로 투입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틀(130)은 제2 회동 기구(132)의 작동에 의해 제2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데, 거치틀(130)의 이러한 구동 특징은 제2 회동 기구(13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틀(130)은 용기의 개방 상면이 제2 공간(102)의 상방을 향하는 제1 틸팅 위치에 위치한다(도 9a). 제1 틸팅 위치에서는 조리 재료를 담은 용기가 안정적으로 제2 공간(102)에 놓일 수 있도록 거치틀(130)이 제2 공간(102)의 저면과 평행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2 공간(102)의 저면으로부터 거치틀(130)까지의 높이는 용기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거치틀(130)은 제2 회동 기구(132)의 작동에 의해 제1 틸팅 위치로부터 제2 틸팅 위치로 부채꼴 궤도를 그리며 회동한다(도 9b 내지 도 9d 참조). 여기서, 제2 틸팅 위치란 용기 내에 놓인 조리 재료가 제1 공간(101)의 튀김 바구니(120) 안으로 쏟아지는 위치를 의미한다. 제2 위치는 용기의 형상에 따라, 그리고 설정에 의해 제2 공간(102)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용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1 공간(101)에 진입할 수도 있다(도 9d). 이와 같이, 거치틀(130)이 제2 틸팅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용기 내에 놓인 조리 재료가 제1 공간(101)의 튀김 바구니(120) 안으로 자동으로 쏟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조리 재료를 튀김 바구니(120)의 용기 안으로 쏟아낸 이후에는 전술한 매커니즘의 역순으로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9a에 도시된 제1 틸팅 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틀(130)의 회동과 튀김 바구니(120)의 회동이 상호 협력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조리 재료를 자동 튀김 장치(100) 내에 투입할 때, 거치틀(130)은 제2 틸팅 위치로 이동하는데, 거치틀(130)이 제2 틸팅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튀김 바구니(120)가 제1 회동 기구(122)의 작동에 의해 정지 위치로부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 만큼 회동한 경사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8b 참조). 한편으로, 튀김 바구니(120)는 조리가 완성된 조리물을 거치틀(130)의 용기로 배출하기 위해 제2 위치로 이동하는데, 튀김 바구니(120)가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거치틀(130)이 제2 회동 기구(132)의 작동에 의해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 만큼 회동한 경사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9d 참조). 위 두 가지 경우 모두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튀김 바구니(120) 또는 거치틀(130)을 경사 위치로 배치시킴으로써 조리 재료의 튀김 바구니(120)로의 하강 높이 또는 조리물의 용기로의 하강 높이를 줄여 조리 재료가 투입시 손상되거나 조리물이 배출시 망가지는 위험을 최소화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물이나 조리 재료의 추락을 방지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일단이 격벽(15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회동 기구(122)의 정지 위치를 향해 연장되어, 조리물 또는 조리 재료가 튀김 바구니(120)의 일단과 격벽(150) 사이의 빈틈을 통해 제1 공간(101)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제1 보조 플레이트(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플레이트(160)는 격벽(150)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보조 플레이트(160)는 타단이 제1 공간(101)의 정지 위치를 향해 연장되는데, 이때 그 형태는 제1 보조 플레이트(160)의 무게로 인해 타단이 일단보다 하방으로 쳐지는 형태가 된다. 하지만, 제1 보조 플레이트(160)의 타단은 정지 위치에서의 제1 회동축(121)의 위치보다 제1 공간(101)으로 더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정에 의하면, 제1 회동축(121)이 제1 위치에서 정지 위치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제1 보조 플레이트(160)에 걸리면서 제1 보조 플레이트(160)의 타단을 상방으로 견인하게 되고 제1 회동축(121)이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면 결국 제1 보조 플레이트(160)가 타단에서 일단으로 하방 경사를 갖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보조 플레이트(160)는 튀김 바구니(120)로부터 쏟아지는 조리물이 제2 공간(102)으로 잘 넘어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음, 거치틀(130)의 일단과 격벽(150) 사이에는 조리물 또는 조리 재료가 거치틀(130)의 일단과 격벽(150) 사이의 빈틈을 통해 제2 공간(102)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제2 보조 플레이트(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조 플레이트(170)는 격벽(150)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공간(101), 제2 공간(102), 기름조(105), 튀김 바구니(120) 및 거치틀(130)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구성이 동일하고, 그 밖에 필터부재(미도시), 디스플레이 패널(P), 제어부, 팬 역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리프팅 바구니(180) 및 리프팅 기구(140)를 포함하지 않고, 대신 승강 기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튀김 바구니(120)는 제1 공간(101) 내부에 배치되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특징이 있다. 튀김 바구니(120)의 이러한 구동 특징은 제1 회동 기구(122) 및 승강 기구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튀김 바구니(120)의 일단에는 제1 회동축(121)이 장착되고, 제1 회동축(121)은 그 적어도 일단이 제1 회동 기구(122)에 결합 고정되어 있다. 제1 회동 기구(1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간(101)의 전방측, 즉 격벽(150)측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튀김 바구니(120)는 수용 공간이 기름조(105)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제1 위치와, 튀김 바구니(120)가 기름조(105)의 외부로 이탈하여 수용 공간에 놓인 조리물이 제2 공간(102)의 용기 안으로 쏟아지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는 튀김 바구니(120)가 승강 기구에 의한 직선 상방 이동과 그 후 제1 회동 기구(122)에 의한 곡선 운동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는 제1 공간의 전방 측(격벽 측)에 배치되어 제1 회동 기구(122)를 제1 공간(101)의 전방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더 포함한다. 승강 기구는 제1 공간(101)의 전방측에서 하우징의 양측 내벽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 설치된 승강 레일(미도시)을 구비하고, 전술한 제1 회동 기구(122)가 승강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 별도의 연결부(예컨대,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 기구는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브라켓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 구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회동 기구(122)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제1 회동 기구(122)가 승강함에 따라 제1 회동 기구(122)에 그 적어도 일단이 고정된 제1 회전축과, 제1 회전축에 일단이 장착된 튀김 바구니(120)가 역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튀김 바구니(120)의 수용 공간을 기름조(105) 내부에 삽입 장착되도록 하는 제1 회동 기구(122)의 위치를 제1 위치로 정의하고, 제1 회동 기구(122)가 승강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승 이동함에 따라 수용 공간이 제1 공간(101)의 직상방으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상승되어 기름조(105)의 내부에서 벗어난 위치를 정지 위치로 정의한다. 튀김 바구니(120)는 제1 위치와 정지 위치에서 그 상단이 기름조(105)의 상단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정지 위치는 수용 공간이 기름조(105)에서 분리되어 내부 공기와 접촉하는 상태로서, 이때 수용 공간 안에 남겨진 조리물(튀김)에서 기름을 뺀다. 이에 따라, 조리물을 배출하기 전에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정지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 기구는 튀김 바구니(120)가 정지 위치에 도달한 이후, 튀김 바구니(120)의 상단이 수평한 상태에서 제1 회동 기구(122)를 미리 결정된 높낮이 범위 내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상하 방향으로 반복 변위시키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정지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각각 3~10cm의 범위 내에서 1분 동안 제1 회동 기구(122)를 반복 변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은 작업자가 외부 디스플레이 패널(P)을 통해 제1 회동 기구(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조작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한편, 튀김 바구니(120)는 이후 제1 회동 기구(122)의 작동에 의해 정지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부채꼴 궤도를 그리며 회동한다. 여기서, 제2 위치란 튀김 바구니(120)의 수용 공간에 놓인 조리물이 제2 공간(102)의 용기 안으로 쏟아지는 튀김 바구니(120)의 위치를 의미한다. 제2 위치는 튀김 바구니(120)의 형상에 따라, 그리고 설정에 의해 그 제1 공간(101)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튀김 바구니(1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2 공간(102)에 진입할 수도 있다. 이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튀김 바구니(120)가 제2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수용 공간에 놓인 조리물이 제2 공간(102)의 용기 안으로 자동으로 쏟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틀(130)은 제2 공간(102) 내부에 배치되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거치틀(130)의 구조 및 구동 매커니즘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틀(130)의 회동과 튀김 바구니(120)의 회동이 상호 협력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호 협력 구동 매커니즘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물이나 조리 재료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1 보조 플레이트(160) 및 제2 보조 플레이트(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3 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튀김 장치(100)는 승강 기구, 리프팅 기구(140)를 포함하지 않고, 튀김 바구니(120)의 회동 구동 특징은 제1 회동 기구(122)의 작동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동 기구(122)는 제1 공간(101)의 전방 측에 위치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튀김 바구니(120)는 제1 회동 기구(122)가 작동함에 따라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데, 제1 위치, 즉, 수용 공간이 기름조(105)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위치로부터, 수용 공간이 기름조(105)에서 회전 방향으로 멀어져 기름조(105)를 벗어난 경사 위치로 곡선 이동하고, 그 후 경사 위치로부터 제2 위치, 즉, 수용 공간에 놓인 조리물이 제2 공간(102)의 용기 안으로 쏟아지는 위치로 부채꼴 궤도를 그리며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튀김 바구니(120)가 직상방으로 직선 운동하여 정지 위치에 도달하는 대신, 튀김 바구니(120)가 제1 위치에서 곧바로 회동하여 경사 위치에 도달하여 정지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경사 위치는 수용 공간의 밑바닥이 기름조(105)에서 완전히 벗어난 위치, 예컨대, 튀김 바구니(120)의 상단이 제1 공간(101)의 저면에 대하여 30~60도 범위 사이의 각도로 경사를 갖는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해당 경사 각도는 설정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이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승강 구조를 설치하지 않고 제1 회동 기구(122)의 회동량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으로 제1 실시예에서 구현하는 기능을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구조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자동 튀김 장치
101: 제1 공간
102: 제2 공간 105: 기름조
120: 튀김 바구니 121: 제1 회동축
122: 제1 회동 기구 130: 거치틀
131: 제2 회동축 132: 제2 회동 기구
140: 리프팅 기구 150: 격벽
160: 제1 보조 플레이트 170: 제2 보조 플레이트
180: 리프팅 바구니
102: 제2 공간 105: 기름조
120: 튀김 바구니 121: 제1 회동축
122: 제1 회동 기구 130: 거치틀
131: 제2 회동축 132: 제2 회동 기구
140: 리프팅 기구 150: 격벽
160: 제1 보조 플레이트 170: 제2 보조 플레이트
180: 리프팅 바구니
Claims (11)
- 자동 튀김 장치로서,
내부에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의 전방에 위치한 제2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기름조;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기름조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이 상기 기름조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이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튀김 바구니;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고 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거치틀을 포함하고,
상기 튀김 바구니의 일단에는 제1 회동축이 장착되고, 상기 제1 회동축은 제1 회동 기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튀김 바구니가 상기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튀김 바구니는 상기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름조 내부에 놓이는 제1 위치와, 상기 수용 공간에 놓인 조리물이 상기 제2 공간의 상기 용기 안으로 배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튀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틀은 일단이 상기 제2 공간에 형성된 제2 회동축에 고정되는 고정단이고 타단이 자유단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바(bar)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바에 형성된 고정 슬릿에 의해 상기 용기를 고정 지지하며,
상기 제2 회동축은 제2 회동 기구에 장착되어, 상기 거치틀이 상기 제2 회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용기의 개방 상면이 상기 제2 공간에서 상방을 향하는 제1 틸팅 위치와, 상기 용기 내에 놓인 조리 재료가 상기 제1 공간의 튀김 바구니 안으로 투입되는 제2 틸팅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튀김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튀김 바구니가 안착되는 리프팅 바구니; 및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리프팅 바구니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팅 기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바구니는 상기 리프팅 기구에 장착되어 상기 리프팅 기구의 하강 작동에 의해 상기 튀김 바구니와 함께 하방으로 견인되어 상기 기름조의 내부로 하방 삽입되는 제1 위치와, 상기 리프팅 기구의 승강 작동에 의해 상기 튀김 바구니와 함께 상방으로 견인되어 상기 기름조를 벗어난 정지 위치로 직선 운동하고, 이후, 상기 제1 회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튀김 바구니가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 위치로 부채꼴 궤도를 그리며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튀김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기구는 상기 제1 공간의 벽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방 운동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을 위치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동축은 그 양단이 상기 리프팅 바구니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리프팅 바구니에 안착되고, 상기 제1 회동축의 일단은 단면이 다각형이며,
상기 리프팅 바구니는 일단에 형성된 후크부가 상기 이동 프레임의 가로바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튀김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 기구는 모터 및 모터축을 포함하고 상기 정지 위치에서 상기 튀김 바구니의 제1 회동축의 일단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축의 일단에는 내면이 상기 제1 회동축의 일단에 형성된 다각형과 동일한 형상의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상기 튀김 바구니가 상기 정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1 회동축의 일단이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자동 튀김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튀김 장치는 상기 제1 공간의 전방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동 기구를 제1 공간의 전방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튀김 바구니는 상기 제1 회동 기구가 상기 승강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승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기름조를 벗어난 정지 위치로 직선 이동하고, 이후 상기 제1 회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부채꼴 궤도를 그리며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튀김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튀김 바구니가 상기 정지 위치에 도달한 이후, 상기 제1 회동 기구를 미리 결정된 높낮이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반복 변위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인,
자동 튀김 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재료를 상기 튀김 바구니 안으로 투입 작업 시, 상기 거치틀이 상기 제2 틸팅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튀김 바구니가 상기 제1 회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한 경사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리물을 상기 용기 안으로 배출 작업 시, 상기 튀김 바구니가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거치틀이 상기 제2 회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틸팅 위치에 미리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는 것인,
자동 튀김 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에는 상기 튀김 바구니와 상기 거치틀을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격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이 상기 격벽 상방의 개방부를 통해 서로 연통되며,
일단이 격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회동 기구의 정지 위치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조리물 또는 상기 조리 재료가 상기 튀김 바구니의 일단과 상기 격벽 사이의 빈틈을 통해 제1 공간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제1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튀김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틀의 일단과 상기 격벽 사이에는 상기 조리물 또는 상기 조리 재료가 상기 거치틀의 일단과 상기 격벽 사이의 빈틈을 통해 제2 공간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제2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튀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 바구니는 상기 제1 회동 기구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기름조에서 회전 방향으로 멀어져 상기 기름조를 벗어난 경사 위치로 곡선 이동하고, 이후 상기 제1 회동 기구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경사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부채꼴 궤도를 그리며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튀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2109A KR102516556B1 (ko) | 2020-12-10 | 2020-12-10 | 재료의 투입과 완제품의 배출이 자동화된 자동 튀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2109A KR102516556B1 (ko) | 2020-12-10 | 2020-12-10 | 재료의 투입과 완제품의 배출이 자동화된 자동 튀김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2319A true KR20220082319A (ko) | 2022-06-17 |
KR102516556B1 KR102516556B1 (ko) | 2023-04-03 |
Family
ID=8226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2109A KR102516556B1 (ko) | 2020-12-10 | 2020-12-10 | 재료의 투입과 완제품의 배출이 자동화된 자동 튀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655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90048A (zh) * | 2022-10-11 | 2023-01-13 | 厦门傲泓智能装备有限公司(Cn) | 一种单篮二氧化碳致昏机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1269B1 (ko) * | 2023-05-15 | 2024-03-26 | 주식회사 케이알푸드 | 식재료 데침 싱크대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27583B1 (en) * | 1999-08-09 | 2002-08-06 | Speed Fry Corporatio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rying foodstuff |
KR20040027704A (ko) * | 2004-02-25 | 2004-04-01 | 안효정 | 다단 튀김기. |
KR200481646Y1 (ko) * | 2015-05-19 | 2016-10-26 | 박찬명 | 자동튀김기 |
-
2020
- 2020-12-10 KR KR1020200172109A patent/KR1025165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27583B1 (en) * | 1999-08-09 | 2002-08-06 | Speed Fry Corporatio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rying foodstuff |
KR20040027704A (ko) * | 2004-02-25 | 2004-04-01 | 안효정 | 다단 튀김기. |
KR200481646Y1 (ko) * | 2015-05-19 | 2016-10-26 | 박찬명 | 자동튀김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90048A (zh) * | 2022-10-11 | 2023-01-13 | 厦门傲泓智能装备有限公司(Cn) | 一种单篮二氧化碳致昏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16556B1 (ko) | 2023-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48935B1 (en) | Deep fryer and method for cooking food products | |
CN1286418C (zh) | 加热烹饪装置 | |
KR20220082319A (ko) | 재료의 투입과 완제품의 배출이 자동화된 자동 튀김 장치 | |
CN1148145C (zh) | 烘烤装置 | |
EP1616516B1 (en) | Heating apparatus for cook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6774345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foodstuffs by baking inside an oven cavity | |
GB2035546A (en) | Frying apparatus | |
KR101617283B1 (ko) | 조리기기 및 그 운전 방법 | |
KR101753996B1 (ko) | 자동 튀김장치의 배기 장치 | |
KR101665267B1 (ko) | 자동 튀김장치 | |
EP0504968A1 (en) | Heating apparatus for articles of food | |
JP6129707B2 (ja) | 揚げ物調理装置 | |
EP4082410A1 (en) | Automated cooking system with lift platforms | |
KR102500929B1 (ko) | 튀김장치 | |
EP2311354A1 (en) | Multifunctional bread toaster | |
KR102378506B1 (ko) | 자동 배출형 전기 튀김기 | |
KR102583221B1 (ko) | 유도가열방식 밀폐형 튀김장치 | |
KR20170064691A (ko) | 자동 튀김장치의 회동가능한 히터 | |
JP6497838B2 (ja) | フライヤ | |
JP2001231690A (ja) | 揚げ物用調理器及び揚げ物用調理システム | |
WO1997003596A2 (en)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oking apparatuses | |
KR200380713Y1 (ko) | 닭 구이기 | |
CN215191066U (zh) | 烹饪设备 | |
JP4528837B2 (ja) | 焼物調理器 | |
KR20110109657A (ko) | 야외용 조리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