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936A - Spf 부스터로서의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 - Google Patents

Spf 부스터로서의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936A
KR20220081936A KR1020210175421A KR20210175421A KR20220081936A KR 20220081936 A KR20220081936 A KR 20220081936A KR 1020210175421 A KR1020210175421 A KR 1020210175421A KR 20210175421 A KR20210175421 A KR 20210175421A KR 20220081936 A KR20220081936 A KR 20220081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lipo
sun
spf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칠리아 안셀미
마리산나 첸티니
마리나 크리스티나 지암파
알레산드로 세가
쥴리아 시뇨리
Original Assignee
프로도띠 지안니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도띠 지안니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프로도띠 지안니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20081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Abstract

썬 필터(sun filter)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SPF(Sun Protection Factor) 부스터(boosters)로서의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알킬 에스테르는 썬 필터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될 경우 그 SPF 값을 50% 이상이나 증가시킨다: 따라서, 높은 SPF를 유지하면서도 썬 필터 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SPF 부스터 효과는 상이한 유형의 화장료 조성물들 및 상이한 썬 필터들에 대해서 관찰되었으며, 이를 통해, 여기에 기재된 용도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알킬 에스테르의 광범위한 사용이 뒷받침된다. 상기 알킬 에스테르는 환경과 유기조직(organic tissues)을 중요시하는 강한 자연적 함의를 갖고 있어, 최종 화장품에 미량으로 잔존할 수도 있는 공격적 시약의 사용을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 합성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 안정성이 높고 소비자가 더 잘 수용할 수 있는 광보호 화장료 조성물이 얻어진다.

Description

SPF 부스터로서의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LIPO-AMINO ACID ALKYL ESTERS AS SPF BOOSTERS}
본 발명은 광보호 효과를 갖는 화장품 분야, 특히 광보호를 증가시키는 활성을 갖는 분자[SPF 부스터(SPF boosters)] 분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사람의 표면(피부, 각질 등)에 바르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태양 방사에 노출된다. 태양 복사, 특히 자외선 복사는 유기 조직의 퇴화/노화 과정에 관여하기 때문에, 화장품은 썬 필터(sun filter), 즉 상기 복사를 흡수 및/또는 반사할 수 있는 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물질은 사용되는 제품의 특정 미용 효과와 협력하여 유기 조직의 노화를 방지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썬 크림과 같이 광보호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화장품의 경우, 썬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썬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보호 정도는 일반적으로 파라미터 SPF(Sun Protection Factor)로 표현된다: 이것은 비보호 피부(unprotected skin)에 최소한의 홍반을 야기하는데 필요한 UV 에너지(Minimum Erythemal Dose, MED)에 대한 보호 피부(protected skin)의 해당 MED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체내 SPF 측정을 위한 유럽 공식 방법은 EN ISO 24444:2020에 보고되어 있다.
썬 필터 외에도, 광보호 촉진제로서 활성을 갖는 분자(SPF 부스터)가 공지되어 있다: 이 물질 자체는 일반적으로 광보호제로서 비활성이지만, 썬 필터가 존재하는 경우 그 보호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썬 필터의 인체 건강에 대한 안정성 및 환경에 대한 영향을 주제로 하는 논의가 점점 증가하기 때문에 요즘 들어 부스터의 사용이 특별한 관심을 얻고 있다. 예를 들어, 2020년 1월 1일부터 팔라우 공화국에서는 태양광 제품의 판매 및 사용에 대한 금지법에 의해 벤조페논-3(Benzophenone-3),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4-메틸벤질리덴 캠퍼(4-Methylbenzylidene Camphor)와 같이 해양 생태계(산호)에 위험하다고 여겨지는 물질들의 사용이 금지된다. 2021년에는 하와이의 향후 금지법을 통해 벤조페논-3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가 금지될 것이다. 따라서, 촉진 효과를 갖는 물질을 발굴하는 것이 화장품을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가망성이다: 이러한 발굴은, 특히, 물리적 썬 필터 및 화학적 썬 필터 모두와 함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조제물에서 이들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원 물질(raw materials)을 대상으로 한다.
SPF 부스터는 다양한 메커니즘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부분은 UV 흡수 및 피부 보호막 두께를 증가시킨다; 다른 것들은 썬 필터의 산란 특성을 증가시키며, 또 다른 것들은 UV-A 흡수 및 λcr을 강화하거나 광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자연으로부터 유래되거나 합성을 통해 얻어진 SPF 부스터들이 공지되어 있다. 자연으로부터 유래된 것들 중에 다음의 것들이 언급될 수 있다: 림난탄테스 알바(Limnanthantes alba)[이로부터 글루코림난틴(glucolimnantin)이 풍부한 생성물이 얻어짐]; 제라늄(geranium)과 카렌듈라(calendula)의 정유(essential oils); 플란타고 란세올라타(Plantago lanceolata) 추출물과 루틴(rutin)[패시플로라 인카르나타 엘.(Passiflora incarnata L.)]의 조합; 감초[글리시리자 인플라타(Glycyrrhiza inflata)]; 지의류(lichens)로부터 얻어지는 지로포르산(gyrophoric acid); 포르피라 움블리칼리스(Porphyra umbilicalis)(홍조류), 헤마토코커스 플루비알리스(Haematococcus pluvialis)와 같은 조류(algae); 두날리엘라 살리나(Dunaliella salina) 등.
합성 SPF 부스터는 특히 특허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US2008/0219938A1에는 알로에 베라(Aloe vera)의 올리고당을 함유한 "냉간 압착(Cold Pressed)" 조성물 및 이의 이점들이 보고되어 있다. "SPF 및/또는 PPD 부스터로서 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조성물 및 방법"을 명칭으로 하는 두 개의 특허들 중 하나(EP2512434B1)는 미립자 유기 필터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보고하고 있고; 다른 하나(US2011/0256076A1: AU2009307763B2)는 금속 산화물 및 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보고하고 있다. WO2012/161084A1은 평균 개수의 입자들이 1-30 ㎛의 직경 및 1-2.5의 분포를 갖는 구정 구조(spherulite structure)의 미세 다공성 폴리아미드 입자들의 산란으로 인한 부스터 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개선된 자외선 차단 조성물"을 명칭으로 하는 WO2015/014818A2는 유화제, 내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막 형성 폴리머(filmogenous polymers)[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크로토네이트(crotonates), 폴리우레탄] 및 카라기난(carrageenans)(ι 또는 λ)을 함유하는 O/W 에멀젼을 설명하고 있다. "특정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SPF 부스터로서의 용도"를 명칭으로 하는 WO2016/071336A1은 선택된 유기 필터[옥토크릴렌(Octocrylene), 아보벤존(Avobenzone), 옥시벤존(Oxybenzone), 옥티살레이트(Octisal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및 최대 140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아크릴레이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기반한 부스터를 포함하며 미네랄 UV 필터, 안료 및 나노안료(예를 들면,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등)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설명하고 있다. WO2019/022913A1 "알코올 베이스의 자외선 차단 제제에서의 사용을 위한 SPF 부스터"에는 특정 부스터가 보고되어 있는데, 이것은 1) 코어, 2) 내부 쉘, 3) 외부 쉘로 구성된 "다단(multi-stage)" 폴리머 입자에 관한 것으로, 스프레이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JP5837868B2에서는, 폴리머 "UV 복사 산란제", 예를 들어 아크릴 공중합체/스티렌 구체(spheres)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발견되었다. 일부 최근 특허 출원들은, 높은 SPF를 얻는 것과 동시에, 미백 효과(WO2020/024022A1 "피부 미백용 썬 케어 조성물, 상기 썬 케어 조성물의 용도 및 상기 썬 케어 조성물의 제조방법")를 얻거나 시간 안정성 및 우수한 적용 특성(감촉)(WO2020/024023A1)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마지막으로, WO2020/041391A1("피부 외관 보호 및 개선 방법")은 SPF 및 UVA-PF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피부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데; 상기 방법은 "퍼펙팅 조성물(perfecting composition)"과 "태양광 조성물(solar composition)"을 계층화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그 순서는 상관없고; 상기 퍼펙팅 조성물(막 형성 폴리머와 접착제와 "소프트-포커스" 분말을 포함)은 상기 태양광 조성물의 SPF 및 UVA-PF를 증가시키며; 대신에 상기 두 조성물들을 미리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피부에 바르면 동일한 SPF 부스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대한민국 특허 KR 10-1995997은 아젤리나(azelina)[님파이아 오도라타(Nymphaea odorata)]의 부스터 효과를 보고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유기 및 무기 필터들과 0.01 내지 5 중량%의 아젤리나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보고되어 있으며; 0.01 중량% 미만의 농도는 부스터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하지 않고 5 중량%보다 높은 농도는 제제의 안정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태양 복사에 대한 유용한 보호 효과에도 불구하고, SPF 부스터가 제한이 없는 것이 아니다. 특히, 천연 부스터는 안정성, 재현성/효과범위, 입수/정제 비용과 관련한 문제가 있다. 합성 부스터는, 이것이 천연물질이 아니라는 사실 및 그 합성에 사용된 독성 시약을 미량 계속 함유할 가능성과 관련된 몇 가지 위험을 수반한다. 따라서, 여러가지 다른 유리한 특성들을 결합시키는 SPF 부스터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에 대한 강한 요구가 있는데, 상기 유리한 특성들로는 특히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입수 및/또는 합성의 용이성; 매우 자연적이라는 특징; 높은 효능(예를 들어, 썬 필터 필요량의 상당한 감소를 가능케 하는 효능); 조성물의 종류에 맞춰 어려운 적응 연구를 수행할 필요 없이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들에 쉽게 사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제형과는 가능한 한 가장 무관한 효능. 광보호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특히 그 안에 함유되어 있는 광보호 물질 및/또는 부스터와 관련하여 매우 자연적이면서 사용하기에 안전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요구도 있다.
상술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지수(SPF) 부스터로서의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상기 화합물이 썬 필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될 때 SPF 값의 예상치 못한 상당한 증가, 심지어 50%보다 높은 증가를 나타낸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요망되는 SPF에 필요한 썬 필터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할 수 있고 소비자가 다량의 이 물질에 장기간 노출됨에 따라 유발될 수 있는 위험을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변형에서, 본 발명의 동일한 SPF 부스터는 환경을 매우 존중하고 최종 화장품에 미량 잔존할 수도 있는 공격적 시약을 않는 "친환경" 합성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상기 부스터 및 이것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자연적 특성 및 안전성에 기여한다. 추가적 이점으로서, 본 발명의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의 부스터 효과는 광범위한 레벨, 즉 사용된 썬 필터의 유형, 그 양, 부형제, 화학적-물리적 형태 및 화장품의 종류(예를 들어, 에멀젼, 분산액, 고약, 오일 등) 측면에서 서로 상이한 많은 화장료 조성물들에서 관찰되었다. 이것은 상당한 광보호 수준을 가질 것이 요구되는 임의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부스터의 광범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썬 필터와 함께 본 발명의 부스터를 포함하는 관련 화장료 조성물 역시도 아우른다.
도 1: 본 발명에서 사용된 부스터 1의 1H-NMR 스펙트럼.
도 2: 본 발명에서 사용된 부스터 2의 1H-NMR 스펙트럼.
본 발명에 의하면, 용어 "SPF 부스터", "광보호 부스터" 또는 간단히 "부스터"는, 단독으로 취해질 때는 광보호제로서 불활성이거나 거의 활성이 아니지만, 썬 필터의 존재 하에서는, 예를 들어 썬 필터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될 경우, SPF로 표현되는 광보호의 상당한 증가를 달성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상기 광보호의 증가, 특히 태양광 보호의 증가는 본 발명의 필수적 부분이며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SPF 부스터"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 지수(SPF)를 증가시키기 위한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의 용도"라는 표현은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의 SPF 부스터로서의 용도"와 동등한/호환가능한 표현이다.
본 발명에 따라 SPF 부스터로 사용되는 물질은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이다. "리포-아미노산"은 여기서 아미노산과 지방산 사이, 특히 아미노산의 아미노기와 지방산의 아실기 사이에 형성된 아미드로 정의되며; 한 개보다 많은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아미노산[예를 들어, 리신(lysine), 히스티딘(histidine)]의 경우 리포-아미노산이라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대응하는 모노- 또는 폴리아미드에 포함된 아미노산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리포-아미노산의 아미노산 모이어티(moiety)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천연 아미노산 중에서 광범위하게 선택될 수 있다: 알라닌(alanine), 시스테인(cyste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글리신(glycine), 히스티딘(histidine),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리신(lysine), 멘티오닌(methionine), 아스파라긴(asparagine), 피롤리신(pyrrolysine), 프롤린 글루타민(proline glutamine), 아르기닌(arginine), 세린(serine), 트레오닌(threonine), 셀레노시스테인(selenocysteine), 발린(valine), 트립토판(tryptophan), 티로신(tyrosine), 이들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L-, D- 또는 라세믹 형태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아미노산은 비고리형 아미노산들임; 이들 중 글리신이 특히 바람직함. 상술한 아미노산들의 유도체 또는 합성 아미노산(알파, 베타 등)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의 알킬-에스테르 모이어티는 전형적으로 선형 또는 가지형의 알킬 에스테르 C1-24, 바람직하게는 에틸 또는 메틸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알킬 에스테르는 상기 리포-아미노산의 카르복실기에 형성된다. 상기 아미노산 모이어티가 한 개보다 많은 카르복실기를 함유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기가 대응하는 모노- 또는 폴리-알킬 에스테르의 형성에 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아미노산의 지질 모이어티(lipidic moiety)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지방산의 아실(acyl), 즉 선형 또는 가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장쇄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 표시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지방산은 C4-C24, 바람직하게는 C8-C24, 더욱 바람직하게는 C16-C18의 지방산으로서, 예를 들면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이다. 두 개 이상의 지방산들, 예를 들어 식물성 오일 또는 식물성 버터에 존재하는 지방산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 역시 가능한데; 식물성 오일의 예로는 캐슈(cashew), 피넛(peanut), 아르간(argan), 아보카도(avocado), 부리티(buriti), 커피(coffee), 카르타모(cartamo), 코코넛(coconut), 랩시드(rapeseed), 쌀겨(rice bran), 옥수수(corn), 마카다미아(macadamia), 아몬드(almonds), 호두(walnuts), 브라질넛(Brazil nuts), 헤이즐넛(hazelnut), 올리브(olive), 팜(palm), 피칸(pecan), 피스타치오넛(pistachio nut), 참깨(sesame), 콩(soy), 목화씨(cottonseeds), 해바라기씨(sunflower seeds), 호박씨(pumpkin seeds), 포도씨(vine seeds), 대마(hemp) 등의 오일이 있고;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한 오일은 올리브, 쌀겨, 부리티, 대마, 커피의 오일이다. 식물성 버터의 예로는 카카오빈(cacao bean), 시어(shea), 쿠푸아수(cupuacu), 올리브(olive), 망고(mango), 살구(apricot), 무루무루(murumuru), 아몬드(almonds), 쌀(rice) 등의 버터가 있다. 위에서 정의된 "지방산"이란 용어는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s)으로 국한되지 않으며, 에스테르의 일부 및 그 밖의 더 높은 구조의 일부인 지방산, 전형적으로 (모노-/디-/트리-) 글리세리드(glycerides)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아미노산의 아미노기는 대응 글리세리드의 아실과 아미드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기 위한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의 바람직한 예는 아실과 아미드를 이루는 글리신 에틸 에스테르로서, 상기 아실은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식물성 오일로부터의 지방산(올리브 오일, 쌀겨 오일, 부리티 오일, 커피 오일, 대마 오일)의 아실이다. 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는 상응하는 염산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는 합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a) 고려되는 지방산과 아미노산 사이에 아미드를 형성하는 임의의 반응/공정 및 (b) 상응하는 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임의의 반응/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 (a) 및 반응 (b)는 순차적으로(순서는 상관없음)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를 출발 물질로 사용하고 상기 반응 (a)에 의해 상응하는 리포-아미노산을 형성하거나; 리포-아미노산을 출발 물질로 사용하고 상기 반응 (b)에 의해 상응하는 알킬 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정은 "친환경" 공정이다. 즉, 환경 친화적이며, 최종 제품에 미량으로 잔존할 수도 있는 공격적 화학 시약을 사용하지 않는다. "친환경" 공정의 바람직한 예가 본 출원인의 이름으로 함께 계류 중인 상술한 PCT/IT2019/000045 출원에 설명되어 있으며 여기에 참조로서 병합된다: 이 방법은 (a) 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 및 (b) 지방산 및/또는 식물성 오일 및/또는 버터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마이크로파로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와 상기 지방산은 광범위한 중량비, 예를 들어 1:1 내지 1:3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식물성 오일 또는 버터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와 상기 식물성 오일 및/또는 버터의 중량비는 넓은 범위, 예를 들어 0.2:1 내지 1:1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와 상기 지방산 또는 상기 식물성 오일 및/또는 버터는 적절한 반응기에서 혼합되고; 이어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한다.
상기 반응을 통해 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의 아미노기와 지방산의 아실 사이에 아미노기가 형성된다: 문제의 상기 아실은 사용되는 지방산을 구성하는 것인데, 상기 지방산은 유리(free) 또는 에스테르화(esterified) 형태이며, 특히 식물성 오일 및/또는 버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트리글리세리드이다. 상기 조사는 상압(room pressure)에서 가변 시간, 예를 15, 20 또는 30 분 동안 수행됨으로써 상기 반응 혼합물이 80 내지 120 ℃로 가열된다. 반응 수율(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의 아미드 형성 백분율로 이해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결과물인 혼합물에 대해 상술한 조건에서 1 회 이상, 예를 들어 2회 또는 3회의 추가 조사 사이클을 더 적용하여 상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높은 수율이 120 ℃에서 2회의 30-분 공정 사이클에 의해 얻어졌다. 대안적으로 또는 상기 추가 사이클 적용에 더하여, 추가로 재-사이클(re-cycles)을 돌리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먼저 상기 반응 혼합물에 새로운 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를 보충한 후 상술한 조건하에서 추가 조사를 수행한다; 수행하려는 재-사이클의 횟수에 따라 상기 절차를 반복한다. 스케일-업 공정에 따라 조사 시간을 늘림으로써 상기 반응을 단일 사이클로 수행할 수도 있다. 위에서 병합된 PCT/IT2019/000045 출원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의 예들을 설명하고 있기도 하다.
본 발명의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에서, 아미노산의 이용 가능한 아미노기에 대한 실재하는 아미드의 양으로 이해되는 순도 백분율은 높을 필요가 없다. 상당량의 미반응 지방산, 오일 또는 버터를 포함하는 리포-아미노산에서도 SPF 부스터 효과가 있음이 실제로 확인되었다. 상기 제품은 호환성 문제를 수반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썬 필터는 기본적인 광보호 작용을 하는데, 이 광보호 작용은 본 발명에 따라 상술한 SPF 부스터에 의해 획기적으로 증가된다. 썬 필터는 피부를 태양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흑색종과 같은 피부암 및 일광 화상, 조기 피부 노화 또는 일광 반점의 위험을 방지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각각의 썬 필터별로 특정 종류의 보호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일광 보호 제품은 더 광범위한 보호를 보장하기 위하여 필터들의 조합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두 개 이상의 필터들의 조합은 본 발명에서도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본 설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 용어 "썬 필터"에 포함된다. 썬 필터는 유기 또는 무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기 필터는 일반적으로 UVA 및 UVB 광선을 흡수하는 반면, 무기 필터(또는 미네랄 필터)는 UVB 복사를 반사하고(이산화티타늄) UVA 복사를 반사한다(산화아연). 사용되는 썬 필터들은 전 세계 여러 국가의 법률에서 허용되는 것들이다. 이들은, 비제한적으로, 다음의 부류들에 속할 수 있다: 신나메이트(cinnamates)(예를 들어, DEA 메톡시신나메이트, 디이소프로필 메틸 신나메이트, 에틸 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글리세릴 에틸헥사노에이트 디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펜틸 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 트리실록산, 이소프로필 메톡시신나메이트, 시녹세이트), 트리아진(triazines)(예를 들어,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트리스-비페닐 트리아진), 트리아존(triazones)(예를 들어, 에틸헥실 트리아존,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벤즈이미다졸(benzimidazoles)(예를 들어,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폰산,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폰산), 캠퍼 유도체(camphor derivatives)(예를 들어, 3-벤질리덴 캠퍼, 4-메틸벤질리덴 캠퍼, 벤질리덴 캠퍼 설폰산, 캠퍼 벤즈알코늄 메토설페이트,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캠퍼, 테레프탈릴리덴 디캠퍼 설폰산), 벤즈옥사졸(benzoxazoles), 디아릴부타디엔(diarylbutadienes),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s)(예를 들어, 비스옥트리졸, 드로메트리졸,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벤질리덴 말로네이트(benzylidene malonates), 벤잘 말로네이트(benzal malonates)(예를 들어, 폴리실리콘 15), 살리실레이트(salicylates)(예를 들어, 에틸 살리실레이트, 이소프로필벤질 살리실레이트, 트롤아민 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벤조에이트(benzoates)(예를 들어, 디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 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PABA, 에틸 PABA, 부틸 PABA, 에틸 디하이드록시프로필 PABA, 에틸헥실 디메틸 PABA, 글리세릴 PABA, 아밀-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PEG-25 PABA), 벤조페논(benzophenones)(예를 들어, 벤조페논 1, 벤조페논 2, 벤조페논 3, 벤조페논 4, 벤조페논 5, 벤조페논 6, 벤조페논 7, 벤조페논 8, 벤조페논-9, 4-프로폭시-2-하이드록시벤조페논), 디벤조일메탄(dibenzoylmethanes)(예를 들어, 아보벤존), 디페닐 아크릴레이트(diphenyl acrilates)(예를 들어, 옥토크릴렌), 안트라닐레이트(anthranilates)(예를 들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페룰산(Ferulic Acid), 디갈로일 트리올리에이트(Digalloyl Trioleate), 금속 산화물(metal oxides), 금속 산화물과 지질(lipids)의 혼합물 등. 특히 바람직한 것은 다음과 같다: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디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및) 알루미나(Alumina) (및) 이소스테아릭 애시드(Isostearic Acid)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 애시드(Polyhydroxystearic Acid) (및) 스테아릭 애시드(Stearic Acid)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Polyglyceryl-3 Polyricinoleate) (및) 레시틴(Lecithin); 이산화티타늄 (및) 실리카; 산화 아연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 애시드 (및) 이소스테아릭 애시드 (및) 레시틴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산화 아연 (및) 참깨(세서미) 씨드 오일 (및)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
본 발명의 부스터는 썬 필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은 용액(solutions), 현탁액(suspensions), 에멀젼(emulsions), 겔(gels), 하이드로겔(hydrogels), 크림(creams), 연고(unguents), 오일(oils), 스프레이(sprays), 폼(foams), 파우더(powders) 등으로부터 광범위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적용의 관점에서, 이것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스킨 케어 용품, 미용 마스크, 파운데이션, 파우더, 탤컴 파우더, 비누, 향수, 오드뚜왈렛, 오드콜로뉴, 목욕 및 샤워용 화장품, 제모 용품, 데오도란트, 발한 방지제, 염모제, 헤어-웨이빙/스트레이트닝/픽싱 용품, 헤어-셋 용품, 헤어-클리닝 용품(로션, 파우더, 샴푸), 모발 모양 유지 용품, 헤어-스타일링 용품(로션, 헤어 스프레이, 브릴리언틴), 면도 용품, 메이크업 용품 및 메이크업-제거 용품, 입술에 바르는 용품, 네일 케어 용품과 매니큐어, 썬 용품, 셀프-태닝 용품, 피부-미백 용품 및 주름 방지 용품 등. 비제한적 일 변형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을 포함하지 않으며; 비제한적 일 변형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젼을 포함하지 않는다. 비제한적 일 변형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태닝 용품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비제한적 변형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액체, 크림형 또는 페이스트형 조성물이다. 또 다른 비제한적 변형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젼, 분산액, 오일 및 연고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화장품에서, 상기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는 상기 조성물의 중량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썬 필터는 상기 조성물의 중량의 5 내지 80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의 부스터 효과 덕분에, 높은 SPF 값을 유지하면서도 썬 필터의 양을 5 내지 30 중량%의 더욱 바람직한 범위로 유리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터와 상기 썬 필터 사이에 균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 대 상기 썬 필터의 중량비는 1:0.2 내지 1:8일 수 있다.
이제 아래의 비제한적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험 파트
재료 및 방법
W/O 에멀젼, O/W 에멀젼, 유성 분산액(oily dispersions), 썬 오일, 립밤과 같은, 물리적 및 화학적 필터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화장료 제제들이 제조되었다.
제제의 제조에 사용된 필터들은 다음과 같다:
·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 디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 옥토크릴렌;
· 이산화티타늄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및) 알루미나 (및) 이소스테아릭 애시드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 애시드 (및) 스테아릭 애시드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및) 레시틴;
· 이산화티타늄 (및) 실리카;
· 산화 아연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 애시드 (및) 이소스테아릭 애시드 (및) 레시틴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 산화 아연 (및) 참깨(세서미) 씨드 오일 (및)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
사용된 부스터는 다음과 같이 지칭된다:
· 부스터 1 (올리브 오일 및 글리신 에틸 에스테르로부터 얻어진 혼합물);
· 부스터 2 (대마 오일 및 글리신 에틸 에스테르로부터 얻어진 혼합물);
부스터 1 및 2의 1H-NMR (600 MHz) 스펙트럼이 도 1 및 도 2에 각각 나타나 있다. CDCl2 용매에 레코딩된 해당 값들이 아래에 리포트된다.
Figure pat00001
아미드 함량은 글리세롤의 CH2의 양성자 적분(integral)과 아미드의 CH2의 양성자 적분의 비교를 기반으로 한다
글리세롤의 CH2는 모든 출발 트리글리세리드 분자에 존재한다: 따라서, 이것은 100%에 해당한다; 글리세롤의 CH2의 적분이 1로 설정되면(100% 출발 트리글리세리드 분자), 아미드의 CH2의 적분이 아미드 사슬을 갖는 분자의 분율을 직접 제공한다.
부스터 1에 존재하는 % 아미드: 약 50%;
부스터 2에 존재하는 % 아미드: 약 36%.
아래의 방법론에 따라 SPF 값이 측정되었다: 이것은 태양광 제품 전반에 걸친 UV 복사의 확산 투과율을 기초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분광 광도계 Lapsphere 2000S를 이용하여 체외 측정되었다.
SPF 값의 계산은 디피 식(Diffey's equation)(Diffley B., Stokes R.P., Serge F., Mazilier C., Rougier A. Suncare product photostability: a key parameter for a more realistic in vitro efficacy evaluation. Eur. J. Dermatol., 7, 226-228 (1987))을 따른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E(λ)는 스펙트럼 태양 방사이고;
B(λ)는 홍반 반응의 스펙트럼이고;
T(λ)는 샘플 투과율이다.
상기 측정을 위해, W/O 에멀젼, 분산액, 오일 및 립밤의 경우에는 PMMA(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가 기질(substrate)로 사용되었고; O/W 에멀젼의 경우에는 TransporeTM가 기질로 사용되었다.
화장료 제제
실시예 1 - W/O 에멀젼
1A-1C: 물리적 필터를 갖는 W/O 에멀젼 (평균 SPF)
Figure pat00003
1D-1F: 물리적 필터를 갖는 W/O 에멀젼 (높은 SPF)
Figure pat00004
1G-1J: 화학적 필터를 갖는 W/O 에멀젼 (평균 SPF)
Figure pat00005
1K-1O: 화학적 필터를 갖는 W/O 에멀젼 (높은 SPF)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실시예 2 - O/W 에멀젼
2A-2C: 화학적 및 물리적 필터들을 갖는 O/W 에멀젼 (부스터 1)
Figure pat00008
2D-2E: 화학적 및 물리적 필터들을 갖는 O/W 에멀젼 (부스터 2)
Figure pat00009
2F-2G: 상용 O/W 에멀젼 (부스터 1)
높은 SPF를 갖는 에멀젼으로 제형화된 상용 제품에 부스터 혼합물 1을 첨가한 것도 평가되었다.
이하, 패키지 상에 기재되어 있는 INCI 성분들의 조성이 리포트된다. 이 경우에도 부스터 추가가 체외 SPF 증가를 가져온다.
성분들: 수분, 호모살레이트,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글리세린, 카프릴릴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디메티콘,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일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나노), 트리스-비페닐 트리아진 (나노), 포타슘 세틸 포스페이트, 프로필헵틸 카프릴레이트,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부틸렌 글리콜, 카프릴릴 글리콜, 카보머(Carbomer), 세틸 알코올, 시트르산, 데실 글루코사이드, 디메티콘/비닐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소듐 포스페이트, 수소화 다이머 디리놀레일/디메틸카보네이트 코폴리머, 퍼퓸(Parfum), PEG-8 라우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디-T-부틸 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페녹시에탄올,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실리카 소듐 데하이드로아세테이트,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T-부틸 알코올, 타피오카 전분,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트리소듐 에틸렌디아민 디숙시네이트, 잔탄검
SPF 에멀젼: 35.01±0.57
부스터 1 혼합물 5%가 첨가된 SPF 에멀젼: 45.98±0.34
실시예 3 - 분산액
3A-3F: 물리적 필터를 갖는 분산액 (평균 SPF)
서로 다른 물리적 필터의 두 혼합물을 갖는 분산액들이 평가되었고; 제제들이 아래에 리포트된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3G-3H: 상용 분산액 (부스터 1)
높은 SPF를 갖는 분산액으로 제형화된 상용 제품에 부스터 1 혼합물을 첨가한 것도 평가되었다.
이하, 패키지 상에 기재되어 있는 INCI 성분들의 조성이 리포트된다. 이 경우에도 부스터 추가가 체외 SPF 증가를 가져온다.
성분: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이산화티타늄, 아르가니아 스피노사 커넬 오일,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스테아릭 애시드,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알코올, 잔톡시룸 알라툼 열매 추출물(Zanthoxylum Alatum Fruit Extract), 헬리안투스 아누우스 하이브리드 오일, 올레아 유로파에아 (올리브) 프룻 오일, 프로폴리스 추출물, 폴렌 추출물(Pollen Extract)
SPF 상용 분산액: 52.37±0.63
부스터 1 혼합물 5%가 첨가된 SPF 상용 분산액: 67.81±1.00
실시예 4 - 썬 오일
4A-4C: 썬 오일 (부스터 1)
Figure pat00013
4D-4E: 썬 오일 (부스터 2)
Figure pat00014
실시예 5 - 립밤
5A-5B: 물리적 필터를 갖는 립밤
Figure pat00015
5C-5D: 화학적 필터를 갖는 립밤
Figure pat00016
결과 요약
이하,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얻어진 결과들을 요약한다.
표들은 제형 예들을, 부스터와 필터의 사용량, 얻어진 SPF 값, 및 상기 부스터로 인한 SPF 값의 증가율과 함께 나타낸다.
실시예 1 - W/O 에멀젼
물리적 필터를 포함하는 W/O 에멀젼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화학적 필터를 포함하는 W/O 에멀젼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실시예 2 - O/W 에멀젼
Figure pat00021
상용 O/W 에멀젼
Figure pat00022
실시예 3 - 유성 분산액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상용 분산액
Figure pat00026
실시예 4 - 썬 오일
Figure pat00027
실시예 5 - 립밤
물리적 필터를 갖는 립밤
Figure pat00028
화학적 필터를 갖는 립밤
Figure pat00029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의 합성
1. 재료 및 방법
글리신 에틸 에스테르가 작업예로 선택되었다. 합성은 유기 용매 없이 마이크로파 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시약으로서 지방산 또는 대안적으로 식물성 오일을 이용하여 수율 및 수율 차이를 평가하였다. 반응 수율은 수세 후 반응 원 물질(reaction raw material) 중 아미드의 백분율로 평가하였다.
방법 1: 온도 120℃; 오일: 아미노산 에스테르 비율 = 5:1 (즉, 1:0.2)(중량 기준); 마이크로파(MW) 조사: 60' (각각 30'씩 두 개 사이클)
방법 2: 온도 120℃; 오일: 아미노산 에스테르 (염산염) 비율 = 5:1 (중량 기준); 아미노산 에스테르 (염산염): 소듐 아세테이트 비율 = 1:1 (몰 기준).
- MW 조사: 60' (각각 30'씩 두 개 사이클)
Figure pat00030
NMR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식 (I)의 이차 생성물(디펩티드 부산물)을 정제를 통해 분리할 수 있었는데, 여기서 R은 지방산의 알킬 라디칼에 해당한다.
Figure pat00031
특성 평가:
반응 생성물들을 원 물질(raw materials)(물로 세척한 후)로서 그리고 순수 생성물(층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로서 1H-NMR로 분석하였다.
HPLC 분석을 통해 올레산 및 리놀레산의 아미드를 식별하고 정량화할 수 있었다. 두 아미드들 사이의 수율 차이는 출발 오일의 산성 성분의 비율을 나타낸다. 합성된 화합물은 친유성 특성을 갖는다.
생성물 1H NMR δ
올리브 오일의 지방산으로부터의 순수 아미드 0.85 (t, 3H, -CH3); 1.18-1.40 (bp, nH, -(CH2)n and -OCH2 CH 3); 1.62 (bp, 2H, -COCH2 CH 2-); 2.01 (m, 4H, -CH 2CH=CHCH 2-); 2.22 (t, 2H,-HNCOCH 2-); 2.76 (t, 2H, -CH=CHCH 2CH=CH-); 4.02 (d, 2H, -OCOCH 2NHCO-); 4.22 (q, 2H, -OCH 2CH3); 5.33 (bp, 2H, -CH=CH-); 5.91 (bp, 1H, NH).
올레산으로부터의 순수 아미드 0.86 (t, 3H, -CH3); 1.23-1.29 (bp, nH, -(CH2)n and -OCH2 CH 3); 1.61 (bp, 2H, -COCH2 CH 2-); 1.99 (m, 4H, -CH 2CH=CHCH 2-); 2.21 (t, 2H, -HNCOCH 2-); 2.75 (t, 2H, -CH=CHCH 2CH=CH-); 4.02 (d, 2H, -OCOCH 2NHCO-); 4.20 (q, 2H, -OCH 2CH3); 5.31 (bp, 2H, -CH=CH-); 5.89 (bp, 1H, NH).
올리브 오일로부터의 순수 아미드 0.86 (t, 3H, -CH3); 1.15-1.40 (bp, nH, -(CH2)n and -OCH2 CH 3); 1.61 (bp, 2H, -COCH2 CH 2); 1.99 (m, 4H, -CH 2CH=CHCH 2-); 2.21 (t, 2H, -HNCOCH 2-); 2.75 (t, 2H, -CH=CHCH 2CH=CH-); 4.02 (d, 2H, -OCOCH 2NHCO-); 4.21 (q, 2H, -OCH 2CH3); 5.35 (bp, 2H, -CH=CH-); 5.90 (bp, 1H, NH).
쌀겨 오일로부터의 순수 아미드 0.86 (t, 3H, -CH3); 1.23-1.27 (bp, nH, -(CH2)n and -OCH2 CH 3); 1.61 (bp, 2H, -COCH2 CH 2-); 1.99 (m, 4H, -CH 2CH=CHCH 2-); 2.21 (t, 2H, -HNCOCH 2-); 2.74 (t, 2H, -CH=CHCH 2CH=CH-); 4.00 (d, 2H, -OCOCH 2NHCO-); 4.19 (q, 2H, -OCH 2CH3); 5.32 (bp, 2H, -CH=CH-); 5.97 (bp, 1H, NH).
커피 오일로부터의 순수 아미드 0.87 (t, 3H, -CH3); 1.23-1.29 (bp, nH, -(CH2)n and -OCH2 CH 3); 1.62 (bp, 2H, -COCH2 CH 2-); 2.02 (m, 4H, -CH 2CH=CHCH 2-); 2.21 (t, 2H, -HNCOCH 2-); 2.75 (t, 2H, -CH=CHCH 2CH=CH-); 4.02 (d, 2H, -OCOCH 2NHCO-); 4.20 (q, 2H, -OCH 2 CH3); 5.33 (bp, 2H, -CH=CH-); 5.90 (bp, 1H, NH).
표 1: 지방산 및 오일로부터 얻어진 일부 순수 아미드의 화학적 시프트
생성물 분자 구조
올리브 오일로부터의 이차 아미드
Figure pat00032
1H NMR δ
0.87 (t, 3H, -CH3); 1.23-1.29 (bp, nH, -(CH2)n e -OCH2 CH 3); 1.62 (bp, 2H, -COCH2 CH 2-); 2.02 (m, 4H, -CH 2CH=CHCH 2-); 2.22 (t, 2H, -HNCOCH 2-); 2.31 (t, 2H, -OHCOCH 2-); 2.75 (t, 2H, -CH=CHCH 2CH=CH-); 3.97 (d, 2H, -CONHCH 2CONHCH2COO-); 4.02 (d, 2H, -CONHCH2CONHCH 2COO-); 5.33 (bp, 2H, -CH=CH-); 6.12 (bp, 1H, -CONHCH2CONHCH2COO-); 6.43 (bp, 1H, -CONHCH2CONHCH2COO-).
표 2: 올레산으로부터 얻어진 아미드(부산물)의 화학적 시프트
생성물 1H NMR δ
올리브 지방산으로부터의
원 물질
0.85 (t, 3H, -CH3); 1.18-1.40 (bp, nH, -(CH2)n and -OCH2 CH 3); 1.57 (bp, 2H, -COCH2 CH 2-); 1.96 (m, 4H, -CH 2CH=CHCH 2-); 2.25 (t, 2H,-HNCOCH 2-); 2.74 (t, 2H, -CH=CHCH 2CH=CH-); 3.69 (bp, 2H, -OCOCH 2NH2) 4.01 (d, 2H, -OCOCH 2NHCO-); 4.19 (q, 2H, -OCH 2CH3); 5.31 (bp, 2H, -CH=CH-).
올레산으로부터의
원 물질
0.85 (t, 3H, -CH3); 1.24-1.27 (bp, nH, -(CH2)n and -OCH2 CH 3); 1.57 (bp, 2H, -COCH2 CH 2-); 1.97 (m, 4H, -CH 2CH=CHCH 2-); 2.26 (t, 2H, -HNCOCH 2-); 2.74 (t, 2H, -CH=CHCH 2CH=CH-); 3.68 (m, 2H, -OCOCH 2NH2); 4.01 (d, 2H, -OCOCH 2NHCO-); 4.19 (q, 2H, -OCH 2 CH3); 5.31 (bp, 2H, -CH=CH-); 9.26 (s, 1H, -COOH).
리놀레산으로부터의
원 물질
0.59 (t, 3H, -CH3); 1.19-1.27 (bp, nH, -(CH2)n and -OCH2 CH 3); 1.55 (bp, 2H, -COCH2 CH 2-);1.94 (bp, 2H, -COCH2 CH 2-) 2.02 (m, 4H, -CH 2CH=CHCH 2-); 2.25 (t, 2H, -HNCOCH 2-); 2.74 (t, 2H, -CH=CHCH 2CH=CH-); 3.70 (q, 2H, -OCH 2CH3); 4.00 (d, 2H, -OCOCH 2NHCO-); 4.20 (q, 2H, -OCH 2CH3); 5.32 (bp, 2H, -CH=CH-).
스테아르산으로부터의
원 물질
0.86 (t, 3H, -CH3); 1.15-1.32 (bp, nH, -(CH2)n and -OCH2 CH 3); 1.61 (bp, 2H, -COCH2 CH 2-); 2.22 (t, 2H, -HNCOCH 2-); 2.33 (t, 2H, -OHCOCH 2-); 3.97 (d, 2H, -CH2NHCOCH 2NHCO-); 4.02 (d, 2H, -OCOCH 2NHCO-); 4.21 (q, 2H, -OCH 2 CH3); 5.90 (bp, 1H, NH); 6.12 (bp, 1H, NH).
올리브 오일로부터의
원 물질
0.85 (t, 3H, 3X-CH3); 1.18-1.38 (bp, nH, -(CH2)n and -OCH2 CH 3); 1.60 (bp, 2H, -COCH2 CH 2-); 1.98 (m, 4H, -CH 2CH=CHCH 2-); 2.22 (t, 2H, -HNCOCH 2-); 2.30 (t, 2H, -OHCOCH 2-); 2.74 (t, 2H, -CH=CHCH 2CH=CH-); 3.70 (d, 2H, -CH 2OH); 4.01 (d, 2H, -OCOCH 2NHCO-); 4.13-4.27 (dd, 4H, -CH 2OCHOCH 2O-); 4.20 (q, 2H, -OCH 2CH3); 5.23 (m, 1H, CH2OCHOCH2O-); 5.31 (m, 2H, -CH=CH-); 5.95 (bp, 1H, -NH-).
쌀겨 오일로부터의
원 물질
0.83 (t, 3H, 3X-CH3); 1.18-1.38 (bp, nH, -(CH2)n and -OCH2 CH 3); 1.57 (bp, 2H, -COCH2 CH 2-); 1.98 (bp, 4H, -CH 2CH=CHCH 2-); 2.21 (t, 2H, -HNCOCH 2-); 2.28 (t, 2H, -OHCOCH 2-); 2.74 (t, 2H, -CH=CHCH 2CH=CH-); 3.70 (d, 2H, -CH2OH); 3.99 (d, 2H, -OCOCH 2NHCO-); 4.11-4.27 (dd, 4H, -CH 2OCHOCH 2O-); 4.16 (q, 2H, -OCH 2CH3); 5.22 (m, 1H, CH2OCHOCH2O-); 5.30 (m, 2H, -CH=CH-); 6.01 (bp, 1H, -NH-).
부리티 오일로부터의
원 물질
0.85 (t, 3H, 3X-CH3); 1.28 (bp, 2H, -(CH2-)n and -OCH2 CH 3 ); 1.60 (bp, 2H, -COCH2 CH 2-); 2.00 (m, 4H, -CH 2 CH=CHCH 2-); 2.20 (t, 2H, -HNCOCH 2-); 2.29 (t, 2H, -OHCOCH 2-); 2.73 (t, 2H, -CH=CHCH 2CH=CH-); 3.70(d, 2H, -CH 2OH); 4.00 (d, 2H, -OCOCH 2NHCO-); 4.05-4.15 (dd, q, 4H, 2H -CH 2OCHOCH 2O-, -OCH 2CH3); 4.21 (q, 2H, -OCH 2CH3); 5.22 (m, 1H, -CH2OCHOCH2O-); 5.32 (m, 2H, -CH=CH-); 6.05 (bp, 1H, NH).
커피 오일로부터의
원 물질
0.80 (t, 3H, 3X-CH3); 1.12-1.36 (bp, nH, -(CH2)n and -OCH2 CH 3); 1.54 (bp, 2H, -COCH2 CH 2-); 1.98 (bp, 4H, -CH 2CH=CHCH 2-); 2.20 (t, 2H, -HNCOCH 2-); 2.24 (t, 2H, -OHCOCH 2-); 2.71 (t, 2H, -CH=CHCH 2CH=CH-); 3.70 (d, 2H, -CH2OH); 3.95 (d, 2H,-OCOCH 2NHCO-); 4.08-4.23 (dd, 4H, -CH 2OCHOCH 2O-); 4.15 (q, 2H, -OCH 2CH3); 5.21 (m, 1H, CH2OCHOCH2O-); 5.28 (m, 2H, -CH=CH-); 6.12 (bp, 1H, NH).
표 3: 물로 세척한 후의 원 물질의 화학적 시프트

Claims (13)

  1. 썬 필터(sun filter)를 포함하는 화장품의 자외선 차단 지수(SPF)를 증가시키기 위한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에스테르는 선형 또는 가지형의 C1-C24 알킬 에스테르인,
    용도.
  3.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아미노산은, 선형 또는 가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C4-C24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의 아실기(acyl group)를 포함하는,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에스테르는 C1-C4 에스테르인,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에스테르는 C2 에스테르인,
    용도.
  6.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아미노산은 글리신 구조(glycine structure)를 포함하는,
    용도.
  7.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는, 용기 용매 없이, (a) 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 및 (b) 유리 또는 에스테르화 지방산(free or esterified fatty acid) 및/또는 식물성 오일(vegetable oil) 및/또는 식물성 버터(vegetable butter)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용도.
  8. 제1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는 상기 화장품에 0.5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용도.
  9. 제1항 내지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썬 필터는 상기 화장품에 5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용도.
  10.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에서 상기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 대 상기 썬 필터의 중량비는 1:0.2 내지 1:8인,
    용도.
  11. 제1항 내지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썬 필터는 신나메이트(cinnamates), 트리아진(triazines), 벤즈이미다졸(benzimidazoles), 벤질리덴 캠퍼(benzylidene camphor), 벤즈옥사졸(benzoxazoles), 디아릴부타디엔(diarylbutadienes), 페닐 벤조트리아졸(phenyl benzotriazoles), 벤질리덴 말로네이트(benzylidene malonates), 벤잘 말로네이트(benzal malonates), 살리실레이트(salicylates), 벤조에이트(benzoates), 벤조페논(benzophenones), 디벤조일메탄(dibenzoylmethanes), 디페닐 아크릴레이트(diphenyl acrilates), 안트라닐레이트(anthranilates), 금속 산화물(metal oxides), 금속 산화물과 지질(lipids)의 혼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12. 제1항 내지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스킨 케어 용품, 미용 마스크, 파운데이션, 파우더, 탤컴 파우더(talcum powders), 비누, 향수, 오드뚜왈렛(eau de toilette), 오드콜로뉴(eau de Cologne), 목욕 및 샤워용 화장품, 제모 용품, 데오도란트, 발한 방지제, 염모제, 헤어-웨이빙/스트레이트닝/픽싱 용품, 헤어-셋 용품, 헤어-클리닝 용품(로션, 파우더, 샴푸), 모발 모양 유지 용품, 헤어-스타일링 용품[로션, 헤어 스프레이, 브릴리언틴(brilliantines)], 면도 용품, 메이크업 용품과 메이크업-제거 용품, 입술에 바르는 용품, 네일 케어 용품과 매니큐어, 썬 용품(sun products), 셀프-태닝 용품(self-tanning products), 피부-미백 용품 및 주름 방지 용품
    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13. 썬 필터 및 제1항 내지 제12항에 기술된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광보호 화장품.
KR1020210175421A 2020-12-09 2021-12-09 Spf 부스터로서의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 KR202200819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20000030185A IT202000030185A1 (it) 2020-12-09 2020-12-09 Alchilesteri di lipoamminoacidi quali spf boosters
IT102020000030185 2020-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936A true KR20220081936A (ko) 2022-06-16

Family

ID=7466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421A KR20220081936A (ko) 2020-12-09 2021-12-09 Spf 부스터로서의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793738B2 (ko)
EP (1) EP4011357A1 (ko)
JP (1) JP2022091735A (ko)
KR (1) KR20220081936A (ko)
IT (1) IT20200003018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7868B2 (ja) 1979-12-05 1983-08-19 日本パ−カライジング株式会社 静電塗装方法
FR2796550B1 (fr) 1999-07-21 2003-05-09 Asepta Lab Preparations et applications d'esters de n-acylaminoacides
FR2826264B1 (fr) * 2001-06-26 2005-03-04 Oreal Solubilisation de derives 1,3,5 triazine par des esters n-acyles d'acide amine
FR2832060B1 (fr) * 2001-11-09 2004-07-09 Oreal Composition contenant un ester n-acyle d'acide amine et un filtre uv structuree par un polyamide
US20080081024A1 (en) 2006-10-02 2008-04-03 Beasley Donathan G Photoprotective compositions comprising synergistic combination of sunscreen active compounds
US20080219938A1 (en) 2007-03-07 2008-09-11 Grune Guerry L SPF compositions
CN102196801B (zh) 2008-10-22 2013-09-11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结合甲基纤维素作为防晒因子增强剂的防晒组合物和方法
BR112012014240B1 (pt) 2009-12-16 2017-06-2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 solar filt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tensifying at least a fps or ppd aspect of a solar filter composition
WO2012161084A1 (ja) 2011-05-20 2012-11-29 宇部興産株式会社 化粧品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spfブースター剤
GB201313609D0 (en) 2013-07-30 2013-09-11 Colepccl Uk Ltd Improved sunscreen compositions
US20160120786A1 (en) 2014-11-03 2016-05-05 L'oreal Use of specific acrylates copolymer as spf booster
KR101995997B1 (ko) 2017-02-28 2019-07-04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프젤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능이 향상된 spf 부스터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1185477B2 (en) 2017-07-28 2021-11-3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PF booster for use in alcohol base sunscreen formulations
US11844855B2 (en) 2018-07-31 2023-12-19 L'oreal Sun care composition for whitening the skin, use of the sun care composition, and process of manufacture of the sun care composition
US20210236407A1 (en) 2018-07-31 2021-08-05 L'oreal Sunscreen composition, use of the sunscreen composition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unscreen composition
US10543161B1 (en) 2018-08-24 2020-01-28 L'oreal Methods for protecting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of skin
JP7369213B2 (ja) * 2019-06-10 2023-10-25 プロドッティ ジャンニ ソチ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バイオサステイナブルプロセスにより得られるエマル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91735A (ja) 2022-06-21
IT202000030185A1 (it) 2022-06-09
EP4011357A1 (en) 2022-06-15
US20240058246A1 (en) 2024-02-22
US11793738B2 (en) 2023-10-24
US20220175645A1 (en)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6173B1 (fr) Composition filtrante fluide anhydre oleoalcoolique comprenant un polycondensat polyamide lipophile
JP5037582B2 (ja) 酸化防止特性を有する光安定性の有機日焼け止め化合物の使用
KR101269995B1 (ko) 광안정성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EP1317918B1 (fr) Compositions cosmétiques antisloaires base d'un mélange synergique de filtres et utilisations
EP1591099A2 (en) Methods for stabilizing ingredients within cosmetics, personal care and household products
FR2939315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 derive de dibenzoylmethane et un compose ester de 2-pyrrolidinone 4-carboxy ; procede de photostabilisation du derive de dibenzoylmethane
EP2790643A2 (fr) Methode de soin et/ou de maquillage de la peau procurant une protection vis-a-vis des rayons uv.
ES2409170T5 (es) Procedimiento para el aumento del factor de protección solar de un preparado cosmético y/o dermatológico
EP1649901A2 (fr) Composition photoprotectrice contenant un dérivé de dibenzoylméthane, une huile amidée et un composé susceptible d'accepter l'énergie de niveau exité triplet dudit dérivé de dibenzoylméthane, procédé de photostabilisation
JP2004323523A (ja) 3つの特定のパラ−アミノベンザルマロナート基を含むs−トリアジン誘導体、これらの誘導体を含む光保護化粧品用組成物、前記s−トリアジン誘導体の使用
JP2022525860A (ja) ジエチルアミノヒドロキシベンゾイル安息香酸ヘキシル及び水溶性uvaフィルターを含む効果的な日焼け止め組成物
KR20220081936A (ko) Spf 부스터로서의 리포-아미노산 알킬 에스테르
US11357716B2 (en) Sunscreen compositions
FR2842419A1 (fr) Procede d'elargissement du spectre d'absorption uv d'un filtre solaire uv-a et materiau obtenu par voie sol-gel contenant ledit filtre
CN116999340A (zh) 作为spf增效剂的脂氨基酸烷基酯
JP6851327B2 (ja) 機能性活性化合物のための可溶化剤
EP3122321A2 (en) Photostable sunscreen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CA2510305C (fr) Procede de photostabilisation d'un derive de dibenzoylmethane par un derive arylalkyl benzoate et une huile amidee; compositions cosmetiques photoprotectrices
EP2724709A1 (en) A sunscreen composition containing ester salts of L-DOPA
JP2004517094A (ja) ジベンゾイルメタンから誘導されたタイプの遮蔽剤と4,4−ジアリールブタジエンタイプの遮蔽剤を含有する遮蔽組成物
US20230310291A1 (en) Photoprotective composition comprising a glycine betaine derivative
EP4117617A1 (en) Anti-aging care composition comprising perfumes
EP1382328A1 (fr) Matériau photostabilisé contenant un filtre solaire du type dibenzoylmethane, obtenu par voie sol-gel, et composition cosmétique et/ou dermatologique contenant un tel matériau
WO2008119428A1 (en) Photostable compositions
JP2004182732A (ja) 少なくとも一のジベンゾイルメタン誘導体と少なくとも一の3−(2−アザシクロアルキリデン)−1,3−ジヒドロインドル−2−オン誘導体を含有する遮蔽組成物及び光安定化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