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737A -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737A
KR20220081737A KR1020200171564A KR20200171564A KR20220081737A KR 20220081737 A KR20220081737 A KR 20220081737A KR 1020200171564 A KR1020200171564 A KR 1020200171564A KR 20200171564 A KR20200171564 A KR 20200171564A KR 20220081737 A KR20220081737 A KR 20220081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box
pap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1499B1 (ko
Inventor
정진석
김용진
이한민
권태일
윤성인
장연재
임기백
김성일
Original Assignee
매일유업 주식회사
(주)메카테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일유업 주식회사, (주)메카테크시스템 filed Critical 매일유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1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4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08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 B65B43/10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by folding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2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5/024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for making containers from preformed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8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individually gripped or guided for transfer 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일측에 형성되며, 박스용지를 다수개 보관하면서 한 장씩 배출하는 박스공급부; 상기 박스공급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한 장씩 배출된 박스용지를 접어서 공간을 갖는 박스가 되도록 하는 박스조립부; 상기 박스조립부의 타측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음료용기를 정위치에 배치하여 정렬시키는 용기정렬부; 상기 용기정렬부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박스조립부의 측면으로부터 다수의 음료용기를 기대에 공급하게 되며, 상기 용기정렬부의 정렬된 음료용기를 정해진 수량만큼 수용하여 일시 저장하는 안내가이드부; 상기 안내가이드부의 상부로부터 승강 작동되면서 다수개의 음료용기를 동시에 운반한 후 상기 기대의 박스조립부의 조립된 박스에 삽입하는 용기취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Container transfer device using non-separable paper}
본 발명은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간지를 무사용함으로서 간지를 공급하는 별도의 공급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도 간편하며, 간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폐기물 발생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커피나 차, 코코아 등의 여러 음료용 분말을 컵용기에 담아서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고 있어서 사용자는 컵용기에 뜨거운 물을 부어 컵음료를 손쉽게 음용할 수 있다.
이러한 컵음료는 컵용기에 미리 음료용 커피, 차 분말 등을 담거나 티백을 컵에 담아서 미리 설정된 개수를 포장하여 공급한다. 이때, 컵용기 묶음 포장시 컵용기들이 넘어지지 않게 컵용기들을 유지하게 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음료 용기들을 다수 개 묶음 형태로 포장하기 위한 기술이, 국내 공개 특허공보 제10-2012-0079068호(공개일자 2012년07월11일)에 액상 제품의 용기들의 그룹을 묶음들로 포장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되었으며, 상기 특허 기술은 용기들의 그룹의 적어도 한 쌍의 포장 부서들을 포함하고, 각 부서는 용기들의 그룹 주위에 연장 가능한 필름을 감기 위한 수단, 상기 포장 부서로 또는 포장 부서로부터 용기들의 그룹들을 공급 및 하역하기 위한 조작 수단들, 용기들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 그리고 묶음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역 라인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특허기술에서 필름으로 용기들을 감아서 묶음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사용시 필름으로 묶여진 용기들을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음료용기가 컵으로 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하여 컵용기용 밑받침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었으며, 예를 들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78437호(2015년09월30일 등록)에 컵음료 포장시 포장상자 내측에 안치되어 포장상자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컵음료를 고정하는 컵음료 포장용 받침대가 제안되었고, 상기 컵음료 포장용 받침대는 상면에 컵음료가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컵삽입구가 형성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판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컵음료 포장용 받침대는 다수의 홀들 각각에 컵음료를 삽입하여야 하므로 컵용기에 예를 들어 커피나 차, 코코아 등과 같은 음료용 분말을 담고, 뚜껑을 결합한 다음 포장단계로 이송되는 자동 포장공정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대하여 자동포장공정에서 컵용기들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는기술 개선이 요구되었다.
이에 의거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67993호와 같이 컵용기들을 묶음 형태로 포장하는 공정 중에 간지를 하부에서 박스 안으로 공급하여 사용하는 기술도 선 출원하여 등록 받은 바 있다.
상기와 같이 간지를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은 별도로 상기한 간지를 공급하는 공급장치가 부가적으로 필요하여 장치가 복잡하고 비대해지며 또한 종이로 이루어진 간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폐기물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와 상기한 간지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로 간지를 구매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742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6799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포장박스 내에 간격유지구(이하 '간지'라 함)를 넣을 필요가 없도록 하여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각 음료용기들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박스 내부 구조를 개량할 수 있으며, 용기취출장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크기가 다른 음료용기에 적절하게 적용되어 운반 작동될 수 있어 작업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간지를 무 사용함으로서 간지를 공급하는 별도의 공급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도 간편하며, 간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폐기물 발생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설치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일측에 형성되며, 박스용지를 다수개 보관하면서 한 장씩 배출하는 박스공급부; 상기 박스공급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한 장씩 배출된 박스용지를 접어서 공간을 갖는 박스가 되도록 하는 박스조립부; 상기 박스조립부의 타측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음료용기를 정위치에 배치하여 정렬시키는 용기정렬부; 상기 용기정렬부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박스조립부의 측면으로부터 다수의 음료용기를 공급하게 되며, 상기 용기정렬부의 정렬된 음료용기를 정해진 수량만큼 수용하여 일시 저장하는 안내가이드부; 상기 안내가이드부의 상부로부터 승강 작동되면서 다수개의 음료용기를 동시에 운반한 후 상기 기대의 박스조립부의 조립된 박스에 삽입하는 용기취출부;를 포함하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박스 내에 간격유지구(이하 '간지'라 함)를 넣을 필요가 없도록 하여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각 음료용기들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박스 내부 구조를 개량할 수 있으며, 용기취출장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크기가 다른 음료용기에 적절하게 적용되어 운반 작동될 수 있어 작업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의 '박스조립부'와 그에 의해 간격유지구가 형성된 박스용지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의 '용기정렬부' 및 '스토퍼 위치설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용기정렬부'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4에서 '스토퍼 위치설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4에서 '스토퍼 위치설정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상기 도 4에서 '스토퍼 위치설정부'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의 '용기취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의 '용기취출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b는 상기 도 10a에서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의 '용기취출부'의 전·후진 이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의 '용기취출부'의 하강 이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의 '용기취출부'의 상승 이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의 '용기취출부'의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기대(F);
상기 기대(F)의 일측에 형성되며, 박스용지를 다수개 보관하면서 한 장씩 배출하는 박스공급부(100);
상기 박스공급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한 장씩 배출된 박스용지(110)를 접어서 공간을 갖는 박스가 되도록 하는 박스조립부(200);
상기 박스조립부(200)의 타측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음료용기(C)를 정위치에 배치하여 정렬시키는 용기정렬부(300);
상기 용기정렬부(300)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박스조립부(200)의 측면으로부터 다수의 음료용기(C)를 기대(F)에 공급하게 되며, 상기 용기정렬부(300)의 정렬된 음료용기(C)를 정해진 수량만큼 수용하여 일시 저장하는 안내가이드부(400);
상기 안내가이드부(400)의 상부로부터 승강 작동되면서 다수개의 음료용기(C)를 동시에 운반한 후 상기 기대의 박스조립부(200)의 조립된 박스에 삽입하는 용기취출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박스공급부(100)는
컨베어벨트를 구비한 공급트레이(120)와,
상기 공급트레이(120)의 상부에 세워진 상태로 다수개 수납된 박스용지(110)와,
박스용지(110)를 한 장씩 인출하는 인출기(140)로 구성된다.
인출기(140)는 경사지게 배열되는 경사틀과, 경사틀에 양측에 형성되어 박스용지(110)를 기울어진 상태로 수납하는 걸림구로 구성되며 한 장씩 박스용지(110)를 배출한다.
한 장씩 공급된 박스용지(110)는 박스조립부(200)에서 접혀져서 '└┘'자 형상이 된다.
상기 박스조립부(200)는,
병렬 배치된 복수의 레일(220)과, 상기 복수의 레일(2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이동되며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투스(230)와, 복수의 투스(230)가 결합된 베드(240)와, 복수의 투스(230) 사이에 진입하여 박스용지(110)를 가압하여 복수의 투스(230) 사이에 밀착되어 '└┘'자 형상으로 접히도록 하는 가압부와, 상기 베드(24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렇게 상기 박스조립부(200)에서 '└┘'자 형상이 된 박스용지(110)의 저면에 다수의 간격유지구(112)를 형성시키는 간격유지 형성부(260)를 포함한다.
간격유지구(112)는 박스용지(110)의 저면을 융기시켜 볼록하게 형성한 것으로, 대략 4개 용기의 저면 중앙에 해당되는 부위에 형성된다.
이렇게 간격유지구(112)가 형성됨으로써 4개의 음료용기가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고, 적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 형성부(2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일(220) 하부에 형성되며, 승강 구동되며 상단에 형성된 로드봉(264)이 베드의 상면에 형성되고, 베드 상면의 타측에는 다수의 흡착구(262)이 형성된다. 흡착구(262)에 흡입압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266)를 포함하게 된다.
흡착구(262)에 흡입압력으로 인해 박스용지(110)가 밀착되면서 하방으로 당겨지므로 로드봉(264)에 의해 박스용지(110)의 저면을 융기시켜 볼록하게 간격유지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정렬부(30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개의 음료용기(C)가 2열로 이동되도록 2열의 직선형태로 배치된 2개의 콘베이어(320);
상기 콘베이어(320)의 상부에 장착된 프레임(340);
상기 콘베이어(320)의 전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340)의 전단에 장착되어 최선단의 음료용기(C)를 감지하여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부(360);를 포함한다.
언급되고 있는 콘베이어(320)의 갯수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현장 상황에 맞도록 더 많은 열이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한 개 열로만 제한될 수 있을 것이다.
콘베이어(320)는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회전 구동되고, 다수의 용기들이 일정 간격 이동된 후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도록 전단부에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최선두의 용기를 감지토록 한다.
감지센서는 광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부(360)에는 상하로 움직이면서 높이를 조절하는 스토퍼 승강구동부(380);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 승강구동부(380)는
프레임(340)의 전단부에 수평하게 배치된 고정판(382);
상기 고정판(382)의 하부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프레임(340)의 전단부에 위치되며, 음료용기(C)에 접촉되는 스토퍼봉(384);
상기 고정판(382)의 상부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상부 가로바(385)와, 상기 상부 가로바(385)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하부 가로대(387)로 구성된 장착부재(386);
상기 상부 가로바(385)에 수직하게 결합된 실린더본체(389)와, 상기 실린더본체(389)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출몰작동하는 실린더로드로 구성된 구동부(388);를 포함한다.
구동부(388)의 실린더본체(389)에 동력이 온(on) 작동되면, 실린더로드가 상승하고, 그에 결합된 고정판(382)이 상승하면서 스토퍼봉(384)이 상승하여 음료용기(C)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개방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부(360)는 스토퍼봉(384)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토퍼 위치설정부(4);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 위치설정부(4)는,
상기 상부 가로바(385)에 부착되는 상부 브라켓(41)과,
상기 상부 브라켓(41)을 관통하여 하부 가로대(387)에 나사결합되어 수직하게 결합되는 볼트축(42)과,
상기 볼트축(42)의 상부에 연결되는 핸들(43)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핸들(43)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부 브라켓(41)이 부착된 상부 가로바(385) 및 구동부(388)와 고정판(382)이 동반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여 스토퍼봉(384)의 승강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핸들(43)을 수동으로 회전 조작하며, 핸들(43)의 회전시 상부 가로대(44)가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됨으로써 그에 연결된 고정판(382)과 스토퍼봉(384)의 상승 또는 하강이 유도될 수 있어 스토퍼봉(384)의 적정한 높이조절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음료용기(C)의 높이에 따라 스토퍼봉(38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6,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내가이드부(400)는,
전방과 상부가 개구된 프레임(402);
상기 프레임(402)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며, 용기를 운반하는 콘베어벨트(403)와 모터(M)를 구비한 운반이송부(410);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센터가이드(420);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용기 유실을 방지하는 외부가이드(430);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상부가이드(440);
상기 상부가이드(440)를 개폐시키는 개폐구동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구동부(460)는,
상기 상부가이드(440)가 결합되며 프레임(402)의 외측에 평행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462)과,
상기 회전축(462)의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463)와, 상기 링크(463)에 연결되어 출몰작동되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한 수평실린더(4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가이드(440)는 프레임(402)의 상부 양측에 각기 배치되고, 프레임(402)의 양측에 각기 회전축(462)이 결합된다.
각 회전축(462)의 단부에 각기 링크(463)가 결합되되 링크(463)는 하향 경사지게 결합된다.
양측 회전축(462)의 각 링크(463)에 각기 수평실린더(464)가 결합된다. 즉 2개의 수평실린더(464)는 각기 상반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실린더로드가 각기 회전축(462)의 링크(463)에 결합된다.
따라서 실린더로드가 인출 또는 인입작동됨으로써 양 회전축(462)이 각기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각 상부가이드(440)의 회전되는 각도는 상부가이드(440)의 개폐작동을 감안하여 약 90~120도로 설정된다.
양측 상부가이드(440)가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회전된 후 음료용기(C)를 안내가이드부(400)에 삽입하는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음료용기(C)를 용기취출부(500)가 인출하는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물인 음료용기(C)의 높이에 적합하도록 상부가이드(440)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가이드부(400)의 상부가이드(440)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하는 상부가이드 승강부(48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가이드 승강부(480)는,
안내가이드부(400)의 프레임(402)에 연결된 수평바(481)와, 상기 수평바(481)에 관통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봉(482)과, 회전축봉(482)의 외면에 결합된 종동기어(483)와, 상기 종동기어(483)에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484)가 구비된 구동축(485)과 구동축(485)에 형성된 제2 핸들(43)과, 상기 회전축봉(482)의 양측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프레임(402)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하부는 수평바(481)에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봉(486)을 포함한다.
제2 핸들(43)을 회전시키면 주동기어(484)의 회전에 의해 종동기어(483)가 회전되고, 그에 나사결합된 회전축봉(482)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작동을 한다.
가이드봉에 안내되어 수평바(481)를 상승, 하강시키게 된다.
회전축봉(482)의 상단이 결합된 안내가이드부(400)의 프레임(402)이 상승 또는 하강된다.
따라서 안내가이드부(400)의 프레임(402)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음료용기(C)의 높이에 따라 상부가이드(4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가이드부(400)에서 정렬을 마친 다수의 음료용기(C)를 용기취출부(500)에 의해 동시에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용기취출부(500)는
음료용기(C)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다수의 걸림구(512)가 수직하게 형성되며 걸림구(512)의 단부에 단턱(514)이 형성되어 용기의 상단부를 걸어 고정하는 홀더몸체(510);
상기 홀더몸체(510)의 상부에 연결된 받침대(520);
상기 받침대(520)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상부플레이트(530);
상기 상부플레이트(530)의 상부에 이격되어 수평 형성되는 승강다이(540);
상기 승강다이(540)에 결합되고, 승강다이(540)를 관통하여 상부플레이트(530)에 수직하게 결합된 승강유도봉(550)이 구비된 동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0a,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몸체(510)는, 다수의 걸림구(512)가 수직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된 홀더브라켓(513)이 양측에 대칭되게 결합되고, 양측 홀더브라켓(513)의 간격을 조절하여 벌어짐과 오므려짐 작동을 유발하는 수평실린더(516)로 각기 대향되게 복수개로 수평하게 결합되고, 각 걸림구(512)의 단부에는 단턱(514)이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각 수평실린더(516)의 실린더로드(517)가 외측으로 신장 또는 수축 작동에 의해 외측 홀더브라켓(513)을 이동시켜 벌어짐과 오므려짐 작동됨으로써 음료용기(C)의 상부 단턱보다 넓게 벌어진 후 다시 오므라져 협지작동이 유발될 수 있다.
양측 홀더브라켓(513)의 협지작동시 음료용기(C)의 상단부에 단턱(514)이 걸려져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홀더몸체(510)는 받침대(520)의 하부에 끼움결합되는 봉체와, 상기 봉체의 하부에 부착되어 음료용기의 상면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판(572)과, 상기 봉체의 외주에 결합된 스프링(573)으로 구성된 취출기(570);를 포함한다.
취출기(570)의 탄성판(572)이 음료용기(C)의 상부에 접촉하게 되어 스프링(573)의 탄성에 의해 상시 반발력에 의해 탄성판(572)이 음료용기(C)를 하방으로 밀게 되므로 단턱(514)과 고정된 상태가 강화될 수 있어 운반 과정에서 음료용기(C)의 탈락이 방지될 수 있다.
조립된 박스용지(110)에 용기취출부(500)가 다수의 음료용기(C)를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가압하게 되면 취출기(570)의 탄성판(572)이 일시적으로 강한 힘으로 음료용기(C)를 가압하게 되므로 음료용기(C)가 홀더몸체(510)로부터 이탈되므로 배출될 수 있어 박스용지(11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530)에 장착되어 용기취출부(5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구동시키는 메인승강구동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승강구동부(70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530)의 상면에 수직하게 장착되며, 상기 승강다이(54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수직랙기어(720)와,
상기 승강다이(540)에 장착되며, 상기 수직랙기어(720)에 치차 결합되는 제1피니언기어(741)가 형성된 승강구동모터(74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구동모터(740)가 온(on) 작동되면 제1피니언기어(741)가 회전되고, 상기 수직랙기어(7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되므로 상부플레이트(530)를 상하로 승강작동시키게 되므로 이에 결합된 용기취출부(500)의 상승, 하강 작동이 유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플레이트(530)에 장착되어 용기취출부(500)의 전후진 작동을 구동시키는 전후진 구동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진 구동부(800)는
상기 승강다이(540)에 장착되며 제2피니언기어(810)가 형성된 제2구동모터(820)와, 상부플레이트(530)에 수평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피니언기어(810)와 치차 결합되는 수평랙기어(830) 및
상기 승강다이(540)의 양측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레일부(8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2구동모터(820)가 온(on)작동되면 제2피니언기어(810)가 회전되고, 그에 결합된 수평랙기어(830)를 따라 승강다이(540)가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승강다이(540)에 연결된 용기취출부(500)가 동반하여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횡방향의 이동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다수의 음료용기(C)를 운반할 수 있으며, 타측에는 박스조립부(200)에서 조립된 상태로 대기하는 박스에 투입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 : 스토퍼 위치설정부 41 : 상부 브라켓
42 : 볼트축 43 : 핸들
100 : 박스공급부 110 : 박스용지
120 : 공급트레이 140 : 인출기
200 : 박스조립부 220 : 레일
230 : 투스 240 : 베드
260 : 간격유지 형성부 262 : 흡착구
264 : 로드봉 266 : 동력부
300 : 용기정렬부 320 : 콘베이어
340 : 프레임 360 : 스토퍼부
380 : 스토퍼 승강구동부 382 : 고정판
384 : 스토퍼봉 386 : 장착부재
388 : 구동부 C : 음료용기
400 : 안내가이드부 402 : 프레임
410 : 운반이송부 420 : 센터가이드
430 : 외부가이드 440 : 상부가이드
460 : 개폐구동부 462 : 회전축
464 : 수평실린더 480 : 상부가이드 승강부
481 : 수평바 482 : 회전축봉
483 : 종동기어 484 : 주동기어
485 : 구동축 486 : 가이드봉
500 : 용기취출부 510 : 홀더몸체
520 : 받침대 530 : 상부플레이트
540 : 승강다이 550 : 승강유도봉
570 : 취출기 700 : 메인승강구동부
720 : 수직랙기어 740 : 승강구동모터
800 : 전후진 구동부 810 : 제2피니언기어
830 : 수평랙기어 840 : 가이드레일부

Claims (13)

  1. 지면에 설치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일측에 형성되며, 박스용지를 다수개 보관하면서 한 장씩 배출하는 박스공급부;
    상기 박스공급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한 장씩 배출된 박스용지를 접어서 공간을 갖는 박스가 되도록 하는 박스조립부;
    상기 박스조립부의 타측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음료용기를 정위치에 배치하여 정렬시키는 용기정렬부;
    상기 용기정렬부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박스조립부의 측면으로부터 다수의 음료용기를 기대에 공급하게 되며, 상기 용기정렬부의 정렬된 음료용기를 정해진 수량만큼 수용하여 일시 저장하는 안내가이드부;
    상기 안내가이드부의 상부로부터 승강 작동되면서 다수개의 음료용기를 동시에 운반한 후 상기 기대의 박스조립부의 조립된 박스에 삽입하는 용기취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조립부는,
    병렬 배치된 복수의 레일과, 상기 복수의 레일의 상부에 결합되어 이동되며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투스와, 복수의 투스가 결합된 베드와, 상기 복수의 투스 사이에 진입하여 박스용지를 가압하여 복수의 투스 사이에 밀착되어 '└┘'자 형상으로 접히도록 하는 가압부와,
    상기 베드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조립부에서 '└┘'자 형상이 된 박스용지의 저면에 다수의 간격유지구를 형성시키는 간격유지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 형성부는,
    복수의 레일 하부에 형성되며, 승강 구동되며 베드의 상면에 형성된 로드봉;
    상기 베드 상면의 타측에 형성된 다수의 흡착구;
    상기 흡착구에 흡입압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구에 흡입압력으로 인해 박스용지가 밀착되면서 하방으로 당겨지므로 로드봉에 의해 박스용지의 저면을 융기시켜 볼록하게 간격유지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정렬부는,
    다수개의 음료용기가 2열로 이동되도록 2열의 직선형태로 배치된 2개의 콘베이어;
    상기 콘베이어의 상부에 장착된 프레임;
    상기 콘베이어의 전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장착되어 최선단의 음료용기를 감지하여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에는 상하로 움직이면서 높이를 조절하는 스토퍼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승강구동부는
    프레임의 전단부에 수평하게 배치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프레임의 전단부에 위치되며, 음료용기에 접촉되는 스토퍼봉;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상부 가로바와, 상기 상부 가로바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하부 가로대로 구성된 장착부재;
    상기 상부 가로바에 수직하게 결합된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출몰작동하는 실린더로드로 구성된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스토퍼봉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토퍼 위치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위치설정부는,
    상기 상부 가로바에 부착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브라켓을 관통하여 하부 가로대에 나사결합되어 수직하게 결합되는 볼트축과,
    상기 볼트축의 상부에 연결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부 브라켓이 부착된 상부 가로바 및 구동부와 고정판이 동반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여 스토퍼봉의 승강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부는,
    전방과 상부가 개구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며, 용기를 운반하는 콘베어벨트와 모터를 구비한 운반이송부;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센터가이드;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용기 유실을 방지하는 외부가이드;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상부가이드;
    상기 상부가이드를 개폐시키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상부가이드가 결합되며 프레임의 외측에 평행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출몰작동되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한 수평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부의 상부가이드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하는 상부가이드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이드 승강부는,
    안내가이드부의 프레임에 연결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관통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봉과, 회전축봉의 외면에 결합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가 구비된 구동축과 구동축에 형성된 제2핸들과, 상기 회전축봉의 양측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프레임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하부는 수평바에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취출부는
    음료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다수의 걸림구가 수직하게 형성되며 걸림구의 단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용기의 상단부를 걸어 고정하는 홀더몸체;
    상기 홀더몸체의 상부에 연결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에 이격되어 수평 형성되는 승강다이;
    상기 승강다이에 결합되고, 승강다이를 관통하여 상부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결합된 승강유도봉이 구비된 동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는
    양측에 대칭되게 결합하며 다수의 걸림구가 수직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된 홀더브라켓;
    양측 홀더브라켓의 간격을 조절하여 벌어짐과 오므려짐 작동을 유발하는 수평실린더;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끼움결합되는 봉체와, 상기 봉체의 하부에 부착되어 음료용기의 상면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판과, 상기 봉체의 외주에 결합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취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용기취출부의 상승 또는 하강을 구동시키는 메인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승강구동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하게 장착되며, 상기 승강다이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수직랙기어와,
    상기 승강다이에 장착되며, 상기 수직랙기어에 치차 결합되는 제1피니언기어가 형성된 승강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구동모터가 온(on) 작동되면 제1피니언기어가 회전되고, 상기 수직랙기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되므로 상부플레이트를 상하로 승강작동시키게 되므로 이에 결합된 용기취출부의 상승, 하강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용기취출부의 전후진 작동을 구동시키는 전·후진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진 구동부는
    상기 승강다이에 장착되며 제2피니언기어가 형성된 제2구동모터와, 상부플레이트에 수평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피니언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수평랙기어 및
    상기 승강다이의 양측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KR1020200171564A 2020-12-09 2020-12-09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KR102591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564A KR102591499B1 (ko) 2020-12-09 2020-12-09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564A KR102591499B1 (ko) 2020-12-09 2020-12-09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737A true KR20220081737A (ko) 2022-06-16
KR102591499B1 KR102591499B1 (ko) 2023-10-19

Family

ID=8221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564A KR102591499B1 (ko) 2020-12-09 2020-12-09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77058A (zh) * 2022-08-29 2022-12-16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卷料包装设备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2405A (ja) * 1983-10-26 1985-05-24 Nissan Chem Ind Ltd 固体物質を結合する方法
JPH07223613A (ja) * 1994-02-03 1995-08-22 Okabe Lock:Kk 箱製函装置
JPH0739860Y2 (ja) * 1989-04-18 1995-09-13 澁谷工業株式会社 物品の定数供給装置
KR960011059U (ko) * 1994-09-29 1996-04-15 개선된 스토퍼 조립체
KR100310042B1 (ko) * 1999-05-19 2001-10-29 조명재 화장품 용기의 자동 팩킹장치
JP2002308220A (ja) * 2001-02-01 2002-10-23 Nigrelli Systems Inc 高速ラップラウンドマルチパッカー
JP2003026323A (ja) * 2001-07-12 2003-01-29 Toyo Kogyo Kk 物品整列装置
JP2010208719A (ja) * 2009-03-06 2010-09-24 Kooei:Kk ワーク移載装置
KR101274270B1 (ko) 2010-11-12 2013-06-14 주식회사 지피피 포장박스 칸막이
KR101867993B1 (ko) 2016-11-14 2018-06-22 (주)메카테크시스템 컵용기 포장용 받침대 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2405A (ja) * 1983-10-26 1985-05-24 Nissan Chem Ind Ltd 固体物質を結合する方法
JPH0739860Y2 (ja) * 1989-04-18 1995-09-13 澁谷工業株式会社 物品の定数供給装置
JPH07223613A (ja) * 1994-02-03 1995-08-22 Okabe Lock:Kk 箱製函装置
KR960011059U (ko) * 1994-09-29 1996-04-15 개선된 스토퍼 조립체
KR100310042B1 (ko) * 1999-05-19 2001-10-29 조명재 화장품 용기의 자동 팩킹장치
JP2002308220A (ja) * 2001-02-01 2002-10-23 Nigrelli Systems Inc 高速ラップラウンドマルチパッカー
JP2003026323A (ja) * 2001-07-12 2003-01-29 Toyo Kogyo Kk 物品整列装置
JP2010208719A (ja) * 2009-03-06 2010-09-24 Kooei:Kk ワーク移載装置
KR101274270B1 (ko) 2010-11-12 2013-06-14 주식회사 지피피 포장박스 칸막이
KR101867993B1 (ko) 2016-11-14 2018-06-22 (주)메카테크시스템 컵용기 포장용 받침대 형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77058A (zh) * 2022-08-29 2022-12-16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卷料包装设备
CN115477058B (zh) * 2022-08-29 2024-05-17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卷料包装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499B1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16957B (zh) 一种自动装箱机
EP1939090B1 (en) Machine for packaging articles into box-like containers
JP5665758B2 (ja) ペトリ皿内の製品を計量分配する装置
CN107416263B (zh) 盒体侧推式装箱机
JP4747406B2 (ja) 容器供給装置
CN205662080U (zh) 自动托盘转换机构
KR101572837B1 (ko) 음료용기의 삽입 및 배출장치
CN211845146U (zh) 一种自动装箱机的隔板装置
CN104444958B (zh) 货物堆垛抓取器
CN108516161B (zh) 一种将隔板装入纸箱的装箱机
KR20220081737A (ko)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US5033935A (en) Latch mechanism for pallet dispensing machine
KR101867992B1 (ko) 컵용기 포장장치
EP1923341B1 (en) Station for feeding flat folded tubular blanks to a boxing machine
JPH07223613A (ja) 箱製函装置
CN214931234U (zh) 一种包装箱翻转输送设备
CN115448045A (zh) 一种托盘收料机构
EP1595791A2 (en) Compact boxing machine
JP3790003B2 (ja) 板材搬送装置
PT852560E (pt) Dispositivo para o transporte de uma camada de recipientes de vidro para cima de uma palete
KR20220081743A (ko)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
CN219237522U (zh) 一种圆柱状软包装产品自动装箱装置
KR20220081740A (ko) 공급용기의 크기에 따라 스토퍼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토퍼 위치조절장치
CN211033220U (zh) 一种能够开箱的条状饮料装箱机
CN214397461U (zh) 杯盖堆叠包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