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743A -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743A
KR20220081743A KR1020200171576A KR20200171576A KR20220081743A KR 20220081743 A KR20220081743 A KR 20220081743A KR 1020200171576 A KR1020200171576 A KR 1020200171576A KR 20200171576 A KR20200171576 A KR 20200171576A KR 20220081743 A KR20220081743 A KR 20220081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everage container
opening
guide devi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석
Original Assignee
(주)메카테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카테크시스템 filed Critical (주)메카테크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7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1743A/ko
Publication of KR2022008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음료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안내가이드부가 상하 이동되며 일정한 갯수의 음료용기가 안내가이드부 내측으로 공급 이송되면 공급된 음료용기를 일정한 거리로 이송시킬 때 음료용기의 유동 및 쓰러짐 등을 방지하면서 이동시킨 후 음료용기의 상부를 폐쇄하고 있던 상부를 개방하여 용기취출부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Guide device for easily ejecting beverage vessel with height adjustment and upper part opening}
본 발명은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음료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안내가이드부가 상하 이동되며 일정한 갯수의 음료용기가 안내가이드부 내측으로 공급 이송되면 공급된 음료용기를 일정한 거리로 이송시킬 때 음료용기의 유동 및 쓰러짐 등을 방지하면서 이동시킨 후 음료용기의 상부를 개방하여 용기취출부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커피나 차, 코코아 등의 여러 음료용 분말을 컵용기에 담아서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고 있어서 사용자는 음료용기에 뜨거운 물을 부어 음료용기를 손쉽게 음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용기는 음료용기에 미리 음료용 커피, 차 분말 등을 담거나 티백을 컵에 담아서 미리 설정된 개수를 포장하여 공급한다. 이때, 음료용기 묶음 포장시 컵용기들이 넘어지지 않게 음료용기들을 유지되게 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종래의 안내가이드장치는 일정량 또는 일정 갯수의 음료용기를 안내가이드에 위치시킨 후 음료용기의 공급을 일시정지시킨 후 상기한 안내가이드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안내가이드의 상부로 용기취출부가 하강하여 음료용기를 홀딩한 다음 음료용기를 외부로 취출시켜 포장작업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종래 안내가이드는 음료용기의 측면부만 가이드하고 있어 컨베이어벨트와 음료용기의 마찰에 의해 음료용기가 쉽게 쓰러져 넘어지거나 흐트러지는 문제가 있으며 음료용기의 크기가 변경되면 안내가이드의 간격만 조절할 뿐 상하 높이 조절이 아니되어 측면으로 넘어가는 문제가 있고 또한 음료용기의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어 용기취출부에 의한 용기의 취출은 용이하나 안내가이드가 이동시 이동에 의해 음료용기가 쓰러지거나 정렬이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종래의 안내가이드는 음료용기의 사이즈 즉, 크기가 변경되면 양측에 설치된 안내가이드의 간격만 조절될 뿐 상하 높이와 용기를 잡아주는 기능이 없어 음료용기가 쉽게 쓰러지거나 정렬이 틀어져 장치의 사용이 중지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며 이에 따라 연동되는 포장장치도 같이 중지되어야 하므로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742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6799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9-000919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공급되는 음료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안내가이드부가 상하 이동되며 일정한 갯수의 음료용기가 안내가이드부 내측으로 공급 이송되면 공급된 음료용기를 일정한 거리로 이송시킬 때 음료용기의 유동 및 쓰러짐 등을 방지하면서 이동시킨 후 음료용기의 상부를 개방하여 용기취출부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설치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일측에 형성되며, 박스용지를 다수개 보관하면서 한 장씩 배출하는 박스공급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음료용기를 정위치에 배치하여 정렬시키는 용기정렬부; 상기 용기정렬부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박스조립부의 측면으로부터 다수의 음료용기를 기대에 공급하게 되며, 상기 용기정렬부의 정렬된 음료용기를 정해진 수량만큼 수용하여 일시 저장하는 안내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정렬부는, 다수개의 용기가 2열로 이동되도록 2열의 직선형태로 배치된 2개의 콘베이어; 상기 콘베이어의 상부에 장착된 프레임; 상기 콘베이어의 전단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장착되어 최선단의 음료용기를 감지하여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가이드부는, 전방과 상부가 개구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며, 용기를 운반하는 콘베어벨트와 모터를 구비한 운반이송부;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센터가이드;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용기 유실을 방지하는 외부가이드;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상부가이드; 상기 상부가이드를 개폐시키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상부가이드가 결합되며 프레임의 외측에 평행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출몰작동되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한 수평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가이드부의 상부가이드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하는 상부가이드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이드 승강부는, 안내가이드부의 프레임에 연결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관통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봉과, 회전축봉의 외면에 결합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가 구비된 구동축과 구동축에 형성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공급되는 음료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안내가이드부가 상하 이동되며 일정한 갯수의 음료용기가 안내가이드부 내측으로 공급 이송되면 공급된 음료용기를 일정한 거리로 이송시킬 때 음료용기의 유동 및 쓰러짐 등을 방지하면서 이동시킨 후 음료용기의 상부를 개방하여 용기취출부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가이드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에서 실린더를 탈거한 상태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사이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의 상하 높이 조절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의 상하 높이 조절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가 개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가 개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가이드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에서 실린더를 탈거한 상태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사이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의 상하 높이 조절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의 상하 높이 조절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가 개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가 개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작동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내가이드장치(1)가 장착된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기대(F); 상기 기대(F)의 일측에 형성되며, 박스용지를 다수개 보관하면서 한 장씩 배출하는 박스공급부(100); 상기 박스공급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한 장씩 배출된 박스용지(110)를 접어서 공간을 갖는 박스가 되도록 하는 박스조립부(200); 상기 박스조립부(200)의 타측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음료용기(C)를 정위치에 배치하여 정렬시키는 용기정렬부(300); 상기 용기정렬부(300)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박스조립부(200)의 측면으로부터 다수의 음료용기(C)를 기대(F)에 공급하게 되며, 상기 용기정렬부(300)의 정렬된 음료용기(C)를 정해진 수량만큼 수용하여 일시 저장하는 안내가이드장치(1); 상기 안내가이드장치(1)의 상부로부터 승강 작동되면서 다수개의 음료용기(C)를 동시에 운반한 후 상기 기대의 박스조립부(200)의 조립된 박스에 삽입하는 용기취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안내가이드장치(1)는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전방과 상부가 개구되며 대략 'ㄷ'자 형상의 프레임(402); 상기 프레임(402)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며, 용기를 운반하는 콘베어벨트와 모터를 구비한 운반이송부(410);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센터가이드(420);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용기 유실을 방지하는 외부가이드(430); 상기 프레임(402)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상부가이드(440); 상기 상부가이드(440)를 개폐시키는 개폐구동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구동부(460)는, 첨부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가이드(440)가 결합되며 프레임(402)의 외측에 평행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462)과, 상기 회전축(462)의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463)와, 상기 링크(463)에 연결되어 출몰작동되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한 수평실린더(4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가이드(440)는 프레임(402)의 상부 양측에 각기 배치되고, 프레임(402)의 양측에 각기 회전축(462)이 결합된다. 상기 각 회전축(462)의 단부에 각기 링크(463)가 결합되되 링크(463)는 하향 경사지게 결합된다.
양측 회전축(462)의 각 링크(463)에 각기 수평실린더(464)가 결합된다. 즉 2개의 수평실린더(464)는 각기 상반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실린더로드가 각기 회전축(462)의 링크(463)에 결합된다.
따라서 실린더로드가 인출 또는 인입 작동됨으로써 양 회전축(462)이 각기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각 상부가이드(440)의 회전되는 각도는 상부가이드(440)의 개폐작동을 감안하여 약 90~120°로 설정된다(도 8 및 도 9 참조).
양측 상부가이드(440)가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회전된 후 음료용기(C)를 안내가이드장치(1)에 삽입하는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음료용기(C)를 용기취출부(500)가 인출하는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대상물인 음료용기(C)의 높이에 적합하도록 상부가이드(440)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안내가이드장치(1)의 상부가이드(440)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하는 상부가이드 승강부(48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실시예의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한다.
첨부도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이드 승강부(480)는, 안내가이드장치(1)의 프레임(402)에 연결된 수평바(481)와, 상기 수평바(481)에 관통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봉(482)과, 회전축봉(482)의 외면에 결합된 종동기어(483)와, 상기 종동기어(483)에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484)가 구비된 구동축(485)과 구동축(485)에 형성된 핸들(487)과, 상기 회전축봉(482)의 양측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프레임(402)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하부는 수평바(481)에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봉(486)을 포함한다.
핸들(487)을 회전시키면 주동기어(484)의 회전에 의해 종동기어(483)가 회전되고, 그에 나사결합된 회전축봉(482)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작동을 한다. 따라서 가이드봉(486)에 안내되어 수평바(481)를 상승, 하강시키게 된다.
회전축봉(482)의 상단이 결합된 안내가이드장치(1)의 프레임(402)이 상승 또는 하강된다. 따라서 안내가이드장치(1)의 프레임(402)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음료용기(C)의 높이에 따라 상부가이드(4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10 : 운반이송부 420 : 센터가이드
430 : 외부가이드 440 : 상부가이드
460 : 개폐구동부 462 : 회전축
464 : 수평실린더 480 : 상부가이드 승강부
481 : 수평바 482 : 회전축봉
483 : 종동기어 484 : 주동기어
485 : 구동축

Claims (3)

  1.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며, 용기를 운반하는 콘베어벨트와 모터를 구비한 운반이송부;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센터가이드;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용기 유실을 방지하는 외부가이드;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상부가이드;
    상기 상부가이드를 개폐시키는 개폐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상부가이드가 결합되며 프레임의 외측에 평행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출몰작동되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한 수평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부의 상부가이드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하는 상부가이드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이드 승강부는,
    안내가이드부의 프레임에 연결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관통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봉과, 회전축봉의 외면에 결합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가 구비된 구동축과 구동축에 형성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
KR1020200171576A 2020-12-09 2020-12-09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 KR20220081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576A KR20220081743A (ko) 2020-12-09 2020-12-09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576A KR20220081743A (ko) 2020-12-09 2020-12-09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743A true KR20220081743A (ko) 2022-06-16

Family

ID=8221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576A KR20220081743A (ko) 2020-12-09 2020-12-09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174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270B1 (ko) 2010-11-12 2013-06-14 주식회사 지피피 포장박스 칸막이
KR101867992B1 (ko) 2016-11-14 2018-07-23 (주)메카테크시스템 컵용기 포장장치
KR20190009191A (ko) 2017-07-18 2019-01-28 (주)메카테크시스템 빨대가 부착된 컵 용기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270B1 (ko) 2010-11-12 2013-06-14 주식회사 지피피 포장박스 칸막이
KR101867992B1 (ko) 2016-11-14 2018-07-23 (주)메카테크시스템 컵용기 포장장치
KR20190009191A (ko) 2017-07-18 2019-01-28 (주)메카테크시스템 빨대가 부착된 컵 용기 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41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mptying of cigarette trays into magazines
KR101908743B1 (ko) 얇은 몸체의 컨테이너의 패키징 장치와 그 방법, 및 상기 컨테이너의 로딩 그룹
US6719519B2 (en) Apparatus for loading packing carriers into a packaging machine
US10315785B2 (en) Unit and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forming single-use capsules for extraction or infusion beverages
CN103193001A (zh) 一种无菌灌装机
KR101987819B1 (ko) 용기공급장치
CN105967128A (zh) 一种瓶状物料自动化旋转及输送装置
ITRE990097A1 (it) Distributore automatico di bevande in bicchiere e relativo metodo di gestione.
CN113581507A (zh) 一种食品自动包装设备
KR100817884B1 (ko) 스파우트파우치 자동충전 포장기
KR101389538B1 (ko) 용기 자동이송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아이스크림 판매기
KR101833276B1 (ko) 캡핑기의 캡 정렬장치
KR20220081743A (ko) 높이 조절 및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용기의 취출이 용이한 안내가이드장치
KR102591499B1 (ko) 무 간지를 이용한 용기 이송장치
CN111772479A (zh) 一种智能化泡茶机
KR101008348B1 (ko) 패키지 포장장치
CN101677627B (zh) 一种用于排空以杆状产品充满的排架的排架卸料器以及排架卸料器的卸料仓
US4520614A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stacks of paper sheets or the like into cartons
US3503182A (en) Liquid filling machine
KR102303528B1 (ko) 포장용기의 정렬 시스템
CN212394612U (zh) 一种智能化泡茶机
ES2347462T3 (es) Proceso e instalacion para el envasado de bolsas flexibles rellenadas.
KR100515697B1 (ko) 파우치용기 자동 이송장치
CN109467039A (zh) 摆动对位装瓶机构及装瓶方法
EP1595791A2 (en) Compact box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