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618A - 진공 곡물 이송기 - Google Patents

진공 곡물 이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618A
KR20220081618A KR1020200171315A KR20200171315A KR20220081618A KR 20220081618 A KR20220081618 A KR 20220081618A KR 1020200171315 A KR1020200171315 A KR 1020200171315A KR 20200171315 A KR20200171315 A KR 20200171315A KR 20220081618 A KR20220081618 A KR 20220081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suction pipe
grain
suction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545B1 (ko
Inventor
감동규
김단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드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드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드엔텍
Priority to KR1020200171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5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91Pump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진공 곡물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 자루거치대(100)의 곡물이 배출구를 통해 탈부착형 연결부(400)를 거쳐 원료 적재 버퍼(300)에 투입되며 투입된 곡물은 집진 및 불순물이 제거되는 바이브레이트실(510)이 설치되는 진공집진실(500)을 거쳐 먼지 및 불순물이 제거된 후 선별된 원료 적재 버퍼(300)에 저장되는 것으로, 탈부착형 연결부(400)는 상부의 뾰족부(42)와 중간의 투명한 재질의 흡입관, 상기 흡입관 내부의 조절밸브(41)로 구성되며, 상기 자루거치대(100)하부에 탈부착형 연결부(400)의 흡입관(40)이 삽입되어, 모터에 의한 흡입장치에 의해 흡입되며, 곡물이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흡입관(40)중간부위에는 조절밸브(41)가 설치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원료를 원하는 생산공정의 버퍼나 기계로 자동 이송하면서 동시에 불순물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집진 및 제거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 곡물 이송기{Vacuum grain conveyer}
본 발명은 진공 곡물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통유지 및 식품 생산공정의 스마트 팩토리화 구축에 요구되는 장치로서 원료를 원하는 생산공정의 버퍼나 기계로 자동 이송하면서 동시에 불순물을 집진 및 제거하는 곡물용 진공 이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은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서 보관하거나 동력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이송하게 되며, 종래 특허기술의 일례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29441호에는 곡물이 흡입되는 흡입호퍼;
상기 흡입호퍼로 외부의 곡물이 유입되는 곡물흡입관;
상기 곡물흡입관을 통해 곡물이 유입되도록 공기흡입관을 통해 흡입호퍼의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키는 흡입팬;
상기 흡입호퍼로부터 낙하하는 곡물을 포집하는 배출호퍼; 및 상기 흡입호퍼의 하단에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흡입호퍼의 곡물을 배출호퍼로 이송시키는 배출팬;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팬은 상기 흡입호퍼를 가로지르는 팬축에 의해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팬축은 흡입호퍼의 외부에서 구동풀리에 의해 구동모터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이송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16421호에는 엘리베이터형 곡물이송장치의 곡물냉각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곡물이 이송과 별개로 별도의 먼지나 불순물 제거장치가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원료를 원하는 생산공정의 버퍼나 기계로 자동 이송하면서 동시에 불순물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집진 및 제거하는 진공 곡물 이송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진공 곡물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 자루거치대(100)의 곡물이 배출구를 통해 탈부착형 연결부(400)를 거쳐 원료 적재 버퍼(300)에 투입되며 투입된 곡물은 집진 및 불순물이 제거되는 바이브레이트실(510)이 설치되는 진공집진실(500)을 거쳐 먼지 및 불순물이 제거된 후 선별된 원료 적재 버퍼(300)에 저장되는 것으로, 탈부착형 연결부(400)는 상부의 뾰족부(42)와 중간의 투명한 재질의 흡입관, 상기 흡입관 내부의 조절밸브(41)로 구성되며, 상기 자루거치대(100)하부에 탈부착형 연결부(400)의 흡입관(40)이 삽입되어, 모터에 의한 흡입장치에 의해 흡입되며, 곡물이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흡입관(40)중간부위에는 조절밸브(4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원료를 원하는 생산공정의 버퍼나 기계로 자동 이송하면서 동시에 불순물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집진 및 제거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진공 곡물 이송기 설치도
본발명은 진공 곡물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 자루거치대(100)의 곡물이 배출구를 통해 탈부착형 연결부(400)를 거쳐 원료 적재 버퍼(300)에 투입되며 투입된 곡물은 집진 및 불순물이 제거되는 바이브레이트실(510)이 설치되는 진공집진실(500)을 거쳐 먼지 및 불순물이 제거된 후 선별된 원료 적재 버퍼(300)에 저장되는 것으로, 탈부착형 연결부(400)는 상부의 뾰족부(42)와 중간의 투명한 재질의 흡입관, 상기 흡입관 내부의 조절밸브(41)로 구성되며, 상기 자루거치대(100)하부에 탈부착형 연결부(400)의 흡입관(40)이 삽입되어, 모터에 의한 흡입장치에 의해 흡입되며, 곡물이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흡입관(40)중간부위에는 조절밸브(4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관(40) 하부는 흡입, 이송탱크(50)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이송통의 곡물은 상부의 원료 적재 버퍼(300)와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관 상단에는 뾰족부(42)가 장착되어 자루거치대(100) 하면에 쉽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이브레이트실(510)은 상부그물형 타공판(511) 하면에 자석봉(512) 이 설치되고 상기 자석봉과 이격되어 하부 그물형 타공판(513) 이 설치되며 바이브레이트실(510)하부에는 선별된 원료 배출구가 연결되어 적재함인 선별된 원료 적재 버퍼(300) 곡물을 이송 ,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함인 선별된 원료 적재 버퍼(300)의 하부 배출구는 흡입, 이송통(50) 측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흡입, 이송통(50)측면에는 이송관이 연결되어 정제된 곡물이 외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금속 선별기가 하부 그물형 타공판(513) 내지 원료적재버퍼(300)내부에 설치되어 곡물중 중금속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의 진공 곡물 이송기 설치도이다.
본발명은 자루거치대(100)의 곡물이 배출구를 통해 탈부착형 연결부(400)를 거쳐 원료 적재 버퍼(300)에 투입되며 투입된 곡물은 집진 및 불순물이 제거되는 바이브레이트실(510)이 설치되는 진공집진실(500)을 거쳐 먼지 및 불순물이 제거된 후 선별된 원료 적재 버퍼(300)에 저장된다. 탈부착형 연결부(400)는 상부의 뾰족부(42)와 중간의 투명한 재질의 흡입관, 상기 흡입관 내부의 조절밸브(41)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자루거치대(100)하부에 탈부착형 연결부(400)의 흡입관(40)이 삽입되어, 모터에 의한 흡입장치에 의해 흡입되며, 곡물이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흡입관(40)중간부위에는 조절밸브(41)가 설치된다.
상기 흡입관(40) 하부는 흡입, 이송탱크(50)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이송탱크의 곡물은 상부의 원료 적재 버퍼(300)와 파이프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흡입관 상단에는 뾰족부(42)가 장착되어 자루거치대(100) 하면에 쉽게 삽입되는 것이다.
특히 바이브레이트실(510)은 상부그물형 타공판(511) 하면에 자석봉(512) 이 설치되고 상기 자석봉과 이격되어 하부 그물형 타공판(513) 이 설치되어, 바이브레이트실(510)하부에는 선별된 원료 배출구가 연결되어 적재함인 선별된 원료 적재 버퍼(300) 곡물을 이송, 저장하는 것이다. 진동을 발생하는 바이브레이트는 바리브레이트실의 하부호퍼외면에 설치된다.
상기 적재함인 선별된 원료 적재 버퍼(300)의 하부 배출구는 흡입, 이송통(50) 측면에 연결되며, 흡입, 이송통(50)측면에는 또한 이송관이 연결되어 정제된 곡물이 외부로 이송된다.
그리고 본발명은 중금속 선별기가 하부 그물형 타공판(513) 내지 원료적재버퍼(300)내부에 설치되어 곡물중 중금속을 제거하는 것이다.
곧, 본발명의 자루 거치대는 보통 30~60kg의 곡물원료를 담은 자루를 거치하는 거치대이다. 원료 흡입구 및 흡입량 조절 밸브가 부착된 탈부착형 연결부는 원료를 담은 자루를 거치대 하부에 올려놓을 때,자루의 하부에 자연스럽게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뾰족한 형태의 흡입구,흡입구에는 원료를 흡입할 수 있는 구멍을 뚫고,이송기의 흡입관과 연결 및 분리하는 탈부착형의 연결부위 설치된다. 이때,원료의 흡입량 조절을 위한 조절밸브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투명 흡입 및 이송관이 설치되는 것으로, 흡입구와 연결되어 원료가 이송되는 과정을 눈으로 볼 수 있는 투명 흡입관으로 상황에 따라 높이와 관의 크기를 조절,탈부착이 용이하게 연결부 처리하여 적재 버퍼로 원료를 이송한다. 또한 본발명은 원료 적재 버퍼가 설치되는 것으로, 흡입구와 연결된 흡입관으로 이송된 곡물은 우선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버퍼에 적재되어 원하는 작업량만큼 바이브레이터로 보낼 수 있도록 통제하며 깔때기 형의 호퍼하부에 부착된 날개가 회전속도조절기에 의해 작동하는 회전 속도에 의해 원료를 하부의 바이버레이터로 공급하고 버퍼는 곡물원료의 적재량을 확인 가능한 구조로 설계하고 뚜껑 개패가 가능하며, 먼지 등 분진을 외부와 차단하는 구조로 설계된다. 뚜껑은 2중 구조를 하며, 안쪽은 타공망을 사용하여 먼지를 집진하고 외부에 집진 호스를 연결하는 배출구가 위치한다. 본발명의 바이버레이터실은 원료의 정선 및 선별과정을 진행한다. 타공 크기별로 구분된 2단(대소)형 타공망으로 구성된 선별부는 일정한 규격으로 배치되어, 모터의 동력으로 호퍼 외면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가 진동하면서 원료를 선별한다. 이때 수평에서 45도 사이에서 타공판의 기울기를 조절 하는 레버를 부착하여 작업속도를 통제하며 원료는 기울어진 타공판 하부로 내려가면서 불순물을 선별한다. 그리고 본발명의 중금속 제거용 자석봉은 타공판 하부에 1cm 공간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자석봉이 원료가 타공판을 통과할 때 중금속을 제거한다. 본발명의 진공 집진실은 먼지 및 불순물이 발생하는 곳이므로 집진 가능한 구조물 내부에 설치하고, 집진실은 집진기와 연결하여 청결한 작업환경을 유지하게 한다. 불순물 집진탱크는 타공판 끝 부분에 분리된 불순물을 분리하는 배출구와 배출된 불순물을 집진하는 집진탱크를 탈부착 용이한 구조로 부착하여 청소가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본발명은 선별된 원료 30kg을 적재하는 원료버퍼및 이송관이 설치되어 바이버레이터실을 통과하면서 선별된 원료는 30kg의 용량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에 누적되어,생산 공정별 기계와 IoT로 연결되어 기계간 상호 작동하여,설정된 량의 원료가 이송관으로 이송된다.
한편, 본발명은 곡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바이브레이트의 진동수를 달리하는 것으로,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에 각 곡물별 최적 진동수를 입력해두고, 터치패드 등 입력수단에 의해 곡물명이 입력되면 최적진동수로 바이브레이트를 진동시킨다. 또한 상기 곡물의 종류에 따라서 상하부 그물망 타공판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이는 하부그물망타공판에 전동액츄에이터가 결합되고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전동액츄에이터의 실린더의 로드 돌출길이가 조절됨으로 이와 결합된 하부그물망타공판의 높이가 조절되며, 따라서 상하부그물망타공판의 간격거리가 조절된다. 입자가 굵은 경우에는 간격이 크게 하여 그물망 사이에 곡물들이 정체되지 않게 하고 입자가 작은 경우에는 간격이 작게 조절한다. 하부그물망에는 무게센서가 설치되어 하부그물망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며 메쉬가 막혀 압력이 상승될 경우에는 제어부는 설정치 이상이 되면 메쉬가 막혔다고 판단하고, 흡입,이송탱크의 진공모터의 가동을 중지하고 전체시스템의 가동도 중지하여 사고를 방지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원료를 원하는 생산공정의 버퍼나 기계로 자동 이송하면서 동시에 불순물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집진 및 제거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자루거치대
400 : 탈부착형 연결부 300 : 원료적재버퍼
500 : 진공집진실 510 : 바이브레이트실
511 :상부 그물망 타공판 513 : 하부 그물형 타공판
512 : 자석봉 514 : 바이브레이트
40 : 흡입관 41 : 조절밸브
42 : 뾰족부 50 : 흡입,이송탱크
1 : 집진용호스관 2 : 분리용밸브
3 : 원료적재버퍼뚜껑 4 : 원료적재버퍼본체
5 : 하부 회전조절날개 6 : 배출구
7 : 이송관 8 : 모터연결밸브
9 : 모터 10 : 이물질 배출구
11 : 이물질 집진실 및 배출구
12 : 선별된 원료 배출구 13 : 원료 적재 버퍼/뚜껑
14 : 이송용량(kg)제어기 15 : 원료배출구
16 : 이송관

Claims (3)

  1. 자루거치대(100)의 곡물이 배출구를 통해 탈부착형 연결부(400)를 거쳐 원료 적재 버퍼(300)에 투입되며 투입된 곡물은 집진 및 불순물이 제거되는 바이브레이트실(510)이 설치되는 진공집진실(500)을 거쳐 먼지 및 불순물이 제거된 후 선별된 원료 적재 버퍼(30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곡물 이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형 연결부(400)는 상부의 뾰족부(42)와 중간의 투명한 재질의 흡입관, 상기 흡입관 내부의 조절밸브(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곡물 이송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40) 하부는 흡입, 이송탱크(50)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이송통의 곡물은 상부의 원료 적재 버퍼(300)와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곡물 이송기
KR1020200171315A 2020-12-09 2020-12-09 진공 곡물 이송기 KR102464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315A KR102464545B1 (ko) 2020-12-09 2020-12-09 진공 곡물 이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315A KR102464545B1 (ko) 2020-12-09 2020-12-09 진공 곡물 이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618A true KR20220081618A (ko) 2022-06-16
KR102464545B1 KR102464545B1 (ko) 2022-11-14

Family

ID=8221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315A KR102464545B1 (ko) 2020-12-09 2020-12-09 진공 곡물 이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033B1 (ko) 2023-07-05 2023-11-07 김홍식 비접점방식의 단선 검출 기능을 구비한 집합 도선 제조장치
KR102600034B1 (ko) 2023-07-05 2023-11-07 김홍식 접점방식의 단선 검출 기능을 구비한 집합 도선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120A (ko) * 1998-05-29 1998-08-17 한영빈 곡물이송장치
KR200204397Y1 (ko) * 2000-05-31 2000-11-15 김용환 유체 자동이송장치
KR20010088155A (ko) * 2000-03-10 2001-09-26 김영각 다목적 곡물 입출고장치
JP2013043728A (ja) * 2011-08-23 2013-03-04 Seiken Kogyo Kk 搬送穀粒中の粉塵除去方法および横送り穀粒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120A (ko) * 1998-05-29 1998-08-17 한영빈 곡물이송장치
KR20010088155A (ko) * 2000-03-10 2001-09-26 김영각 다목적 곡물 입출고장치
KR200204397Y1 (ko) * 2000-05-31 2000-11-15 김용환 유체 자동이송장치
JP2013043728A (ja) * 2011-08-23 2013-03-04 Seiken Kogyo Kk 搬送穀粒中の粉塵除去方法および横送り穀粒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545B1 (ko)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303590B (zh) 一种全自动密闭式拆内袋设备
KR20220081618A (ko) 진공 곡물 이송기
WO2014000132A1 (zh) 谷物精选分离器
CN212998906U (zh) 一种脉冲式布袋除尘器
WO2008000167A1 (fr) Dispositif étanche et combiné de tri de charbon par voie sèche
CN211865828U (zh) 一种去除杂质的装置
CN216092867U (zh) 一种脉冲布筒除尘器
CN208390122U (zh) 一种稻谷杂质分离装置
CN113083659A (zh) 一种环保选矿机
CN211069529U (zh) 一种进料库除尘装置
CN113019881A (zh) 一种选矿机
CN214209931U (zh) 一种颗粒式催化剂清灰筛分装置
CN213225756U (zh) 一种喷砂回收装置
CN213943925U (zh) 一种风筛式种子清选机的风筛清选机构
CN209334213U (zh) 一种粉料收集装置
CN110774486B (zh) 废旧pcb板的铜粉循环再生利用系统
CN207325275U (zh) 一种振动去石机
CN112871633A (zh) 一种基于大数据的干燥谷物粮食颗粒品质分级装置
CN209502267U (zh) 一种方便出料的分级机
CN217911573U (zh) 一种大米加工过滤装置
CN220969462U (zh) 一种竹木勺筛选装置
CN218014176U (zh) 一种具有吸轻质杂物及去重物功能的比重去杂机
CN212791370U (zh) 一种生料磨磨灰回收再利用系统
CN214361891U (zh) 一种棉花加工用杂质清分装置
CN212601291U (zh) 一种高效率的通过式抽油杆专用强化抛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