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251A -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 설비 - Google Patents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251A
KR20220079251A KR1020200168840A KR20200168840A KR20220079251A KR 20220079251 A KR20220079251 A KR 20220079251A KR 1020200168840 A KR1020200168840 A KR 1020200168840A KR 20200168840 A KR20200168840 A KR 20200168840A KR 20220079251 A KR20220079251 A KR 20220079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 furnace
gas
blowing
clean gas
cl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일
박종성
김희원
조한진
김영현
라르 레이노드 자코부스 반
이호영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청원금속 주식회사
다니엘리 코루스 베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청원금속 주식회사, 다니엘리 코루스 베뷔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8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9251A/ko
Priority to PCT/KR2021/017217 priority patent/WO2022119209A1/ko
Publication of KR20220079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07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he top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0Other details, e.g. blast mains
    • C21B9/12Hot-blast valves or slides for blast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2017/009Cyclone for separating fines from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로 및 고로로부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가스청정섹션을 포함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으로서, 브리더밸브를 폐쇄하고, 고로 및 가스청정섹션에 질소 및 스팀을 퍼지하여 고로의 업테이크, 다운코머, 청정가스운반라인에 잔존하는 공기에 대해서 상기 가스청정섹션의 하류에 구비된 청정가스벤트라인으로의 흐름을 생성하고, 고로의 가동 또는 재가동으로 발생하는 고로가스는 가스청정섹션을 거쳐 청정가스 상태로 정화되어 상기 청정가스벤트라인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청정가스가 청정가스벤트라인으로 배출되면서 청정가스운반라인의 압력이 가스홀더의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청정가스차단밸브는 상기 청정가스운반라인을 통해 상기 가스홀더로 운반되는 청정가스에 대해 개방되고, 상기 청정가스벤트라인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설비가 제시된다.

Description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 설비{Blow-in or Re-blow-in process of blast furnace and blast furnace plant}
본 발명은 고로의 가동 또는 재가동을 위한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 설비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고로의 가동을 위한 송풍 공정 및 고로의 보수를 위한 조업정지(휴풍)를 통해 보수가 완료된 후 고로의 재가동시에 먼지의 방출이 없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고로의 재송풍(재가동)공정을 제공하는 것으로, 고로, 열풍로, 가스청정설비를 포함하는 고로설비에 열풍을 재공급하기 전 브리더밸브를 폐쇄하여 브리더밸브를 통한 고로가스의 배출없이 청정가스를 가스홀더로 보내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 설비에 관한 것이다.
고로는 정기적인 보수를 위한 조업정지(휴풍)외에도 고로의 집중적인 수리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소위 감척조업으로 휴풍을 진행할 수 있다. 정기보수시에는 고로내 장입물의 노내 레벨(수직높이)이 유지되나 감척보수시에는 고로내 장입물을 풍구레벨까지 낮춘다.
보수가 완료된 후 고로 재가동을 위해 고로 및 가스청정섹션내 퍼지를 실시하여 발생된 고로가스를 포함한 혼합가스의 조성이 폭발범위 밖으로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퍼지된 가스는 브리더밸브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고로 블로어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열풍로를 통해 1200℃ 이상의 열풍으로 변환되어 고로로 투입되며 고로 내부에서 반응을 통해 발생된 고로가스는 브리더밸브를 통해 배출된다.
이후 고로가스가 가스홀더로 이송되기 위해, 고로가스가 가스청정섹션내 가스와 혼합가스를 형성하였을 때 폭발성이 없는 수준, 즉 가스청정설비/후단가스배관내 산소농도가 ≤1%가 되었을 때 또한 후단가스배관 압력이 가스홀더와 동일한 압력이 되었을 때 후단가스배관과 가스홀더를 차단하고 있던 클린가스차단밸브(또는 수봉변)의 개방을 실시하며 그 후 브리더밸브를 폐쇄하게 된다.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중 하나 이상의 브리더밸브를 통해 방출되는 가스는 유해가스 성분뿐만 아니라 분진 방출을 유발한다. 일부 고로에서는, 예를 들어 가스청정설비중 후속단계 사이 또는 다운스트림 스크러버의 상단부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 브리더밸브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소위 반청정가스 브리더밸브는 먼지함량이 낮은 반청정가스를 방출하지만 방출된 가스는 여전히 오염상태이다.
고로의 휴풍 및 재가동시 방출되는 가스의 오염을 저감시키기 위한 발명으로,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2037032호(등록일: 2019년10월21일)의 고로공장의 탑블리더밸브 공해방지 및 저감을 위한 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의 발명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고로공장 휴지시에는 탑블리더밸브로부터 발생하는 먼지(Dust)는 제거하고 유해한 가스는 청정 BFG(고로가스) 배관으로 회수하고, 고로공장 재가동시에는 탑블리더밸브로 방출되는 다소의 산소가 함유된 가스는 먼지
(Dust)를 제거하고 BFG(고로가스)는 대기로 일부 방출 또는 화이어 스택(Fire Stack)에서 태워 인체에 해로운 요소를 제거하는 구성의 발명이다.
상기 특허발명은 재가동시에 고로가스를 브리더밸브로 배출하면서 화이어스택으로 태워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구성이나, 태우기 위한 설비가 더 필요하고 태운 후에도 유해성분이 잔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고로의 재가동시에 브리더밸브를 통한 고로가스의 방출이 없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재가동)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 설비에 관한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2037032호(등록일: 2019년10월21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로의 휴풍 후 재가동시에 브리더밸브를 통한 고로가스의 방출이 없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재가동)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의 제1 관점은, 고로 및 고로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가스청정섹션을 포함하는 고로설비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으로서,
청정가스가 상기 가스청정섹션의 하류에서 청정가스벤트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으로, 고로 및 고로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가스청정섹션을 포함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으로서,
상기 고로의 브리더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고로 및 가스청정설비에 스팀 및 질소 등을 퍼지하여 고로의 풍구에서 상기 청정가스벤트라인으로의 흐름을 생성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으로, 적어도 하나의 브리더밸브를 구비한 고로, 가스청정섹션, 및 청정된 가스의 추가적인 운반을 위한 가스홀더로의 청정가스운반라인을 포함하는 고로 설비로서,
상기 가스홀더로의 상기 청정가스운반라인은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에서 고로의 재가동 전 상기 브리더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가스청정섹션에서 정화된 고로가스와 배관내의 잔존 공기를 배출하는 청정가스배출라인을 포함하는 고로 설비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로의 재가동 전에 브리더밸브를 폐쇄하고 고로내의 고로가스를 가스청정섹션을 거쳐 정화시킨 후 그 청정가스를 청정가스벤트라인을 통해 배출하게 함으로써, 고로의 재가동시에 발생되는 고로가스 중의 더스트 및 유해성분이 포함된 고로가스가 브리더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로설비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 설명에 사용된 용어 및 표현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로설비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로설비(1)는, 고로(2) 및 고로(2)의 상부에 업테이크(uptake)(3)로서 구현되는 오프-가스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도면에 하나의 라인으로 개략적으로 표현된 다수의 업테이크(3)를 갖지만, 업테이크를 갖지 않거나 하나의 업테이크만을 갖는 고로들도 사용될 수 있다. 현대의 고로들은 대부분 다수의 업테이크가 그들의 상단부들에서 서로 결합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업테이크(3)의 상부에는 브리더밸브(4)가 있다. 대부분의 고로들은 다수의 업테이크의 접합부 위의 브리더 플랫폼 상에 다수의 브리더밸브를 갖는다.
다운코머(downcomer)(5)가 업테이크(3)의 상부로부터 가스청정섹션(6)으로 고로가스를 운반한다. 가스청정섹션(6)은 임의의 적절한 배열의 먼지 제거 시스템들을 가질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중력 또는 사이클론 더스트 캐처(7)를 포함하고, 그 뒤에 는 보통 습식 스크러버(8) 또는 백필터스테이션 또는 정전기 집진기가 이어진다.
상기 스크러버(8) 내부에는 고로 상부 압력 및 후단부 압력조절이 가능한 콘이 설치되어 있으며 개방율을 관리하여 고로가스 압력변동으로부터 설비의 안정적 운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습식 스크러버가 사용되는 경우, 고로 설비는 일반적으로 스크러버 액체를 분리하기 위해 가스청정섹션(6)의 하류에 디미스터(Demister)(9)를 또한 구비한다. 모든 가스청정장비(7, 8) 및 디미스터(9)는 관련된 퍼징가스공급부들을 예를 들어 위치들(7A, 8A, 9A)에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로설비의 실시예는 고로의 가동 또는 재가동시 고로가스의 가스청정섹션(6)으로부터 청정가스의 흐름을 생성하는 청정가스벤트라인(11)을 더 포함한다.
청정가스운반라인(10)이 가스청정섹션(6)으로부터 예를 들어 가스홀더(27)로 청정가스를 운반한다. 상기 청정가스벤트라인(11)이 청정가스운반라인(10)으로부터 분기된다. 청정가스밴트라인(11)은 배출밸브(1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청정가스차단밸브(13)가 청정가스벤트라인(11)의 하류에 위치된다.
입구 측에서, 고로(2)는 고로에의 열풍 입구를 형성하는 송풍구들(14)을 포함한다. 송풍구들(14)은 일반적으로 버슬 메인(bustle main)을 통해 고로의 원주 주위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블로어(15)가 공급라인을 통해 압축된 공기를 송풍하며, 공급라인은 블로어(15)의 하류의 소정 거리에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풍로(17)를 갖는 제1 분기(16A) 및 이러한 열풍로들을 갖지 않는 제2 분기(16B)로 분할된다. 열풍로(17) 각각은 그 자신의 밸브(19)를 포함한다. 2개의 분기(16A, 16B)는 블라스트 혼합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하류 지점에서 서로 결합된다. 밸브들(18, 19)은 2개의 분기(16A, 16B)의 흐름을 계량하고 혼합하여 주어진 열풍 압력으로 고로(2)에 들어가는 원하는 온도의 블라스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추가적인 산소 및/또는 수분 및/또는 미분탄, 천연 가스, 수소 또는 오일과 같은 연료들 및/또는 다른 성분들이 열풍 공기에 추가될 수 있다.
공급된 공기는 라인(20)을 통해 고로(2)의 송풍구들(14)로 흐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라인(20)은 밸브(22)에 의해 폐쇄 가능한 백드래프트스택(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밸브(22)를 개방하는 것은 셧다운 후에 고로(2)로부터의 가스 생성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대안으로서, 고로 설비(1)는 이러한 백드래프트스택(21)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고로 설비들은 송풍구들(14)의 버슬 메인의 바로 상류에 또는 백드래프트스택(21)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백드래프트스택(21)의 바로 상류에 열풍 메인격리밸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송풍구(14)로 혼입되는 열풍에 질소 등을 퍼지하기 위한 질소공급라인(23)을 포함할 수 있다.
고로(2)는 퍼징가스공급부들(24)(26)을 구비한다. 통상적인 퍼징가스들은 질소 및/또는 증기이다.
습식 스크러버(8)의 상부에는 반청정가스 브리더밸브(25)로의 라인이 있다.
고로설비(1)의 정상 동작 동안, 철 적하물(광석) 및 코크가 고로(2)의 상부 섹션까지 개별 층들에 적하된다. 약 1200℃의 열풍 공기가 옵션으로서 추가적인 산소 및/또는 수분 및/또는 미분탄, 천연 가스, 수소 또는 오일과 같은 연료와 함께 송풍구들(14)을 통해 고로(2)에 공급된다. 열풍은 코크 및 주입된 연료를 가스화하고, 철 적하물을 가열, 환원 및 용융시켜 액체 고온 금속, 슬래그 및 고로가스를 형성한다. 정상 동작 동안, 고로 내의 압력은 통상적으로 약 2-5 bar이다. 고로가스는 업테이크 섹션(3)에 수집되고 다운코머(5)를 통해 가스청정섹션(6)으로 운반되며, 여기서 대부분의 먼지 함량이 제거되고 압력이 가스홀더(27)의 압력, 통상적으로 약 40-100 mbar로 감소된다. 가스청정섹션(6)을 통과한 후, 청정가스는 청정가스운반라인(10)을 통해 가스홀더(27)로 운반된다. 수집된 청정가스는 가열을 위한, 예컨대 열풍로(28)들 또는 증기의 생성을 위한 연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로설비의 다른 실시예로서, 열풍공급라인(16A, 16B)의 구성에는 질소공급라인(23)이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에, 청정가스벤트라인(11)은 압력 강하를 증가시키고 흡입에 의해 흐름을 촉진하기 위한 이젝터(30)를 구비한다. 청정가스벤트라인(11)은 이젝터(30)가 없는 제1 분기(11A) 및 이젝터(30)가 있는 제2 분기(11B)로 분할된다. 이젝터(30)의 하류에서, 2개의 라인(11A, 11B)은 단일 배기구로서 다시 결합된다. 배출밸브들(12, 32)은 라인들 중 하나를 개방한 후에 다른 하나의 라인을 폐쇄하기 위해 사용되며, 따라서 청정가스벤트라인(11)은 이젝터(30)와 함께 또는 이젝터 없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젝터(30)는 증기 또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동력 가스의 공급부(33)에 연결된다.
고로(2)를 위한 퍼징가스공급부들(24)(26)이 개방된다. 그 다음, 이젝터(30)를 우회하는 청정가스벤트라인(11A)의 밸브(12)가 개방되고, 가스홀더(27)로의 청정가스운반라인(10)의 청정가스차단밸브(13)가 폐쇄된다. 다음 단계에서, 이젝터(30)가 개방되는 반면, 이젝터(30)를 우회하는 청정가스벤트라인(11A)이 폐쇄된다. 시스템 내의 압력은 이젝터(30)에 의해 생성되는 흡입에 의해 제어된다. 설정 기간 후에, 업테이크들(3) 상부의 브리더밸브들(4)이 개방되고, 이어서 이젝터(30) 및 청정가스벤트라인(11)이 폐쇄된다.
종래의 고로의 재가동 공정에서는, 고로(2)의 셧 다운 이후부터 재가동 전까지 브리더밸브(4, 25)는 개방되어 있다. 고로의 재가동 전에 고로 상부의 퍼지공급부(24)(26)의 밸브와 가스청정섹션(6)의 퍼지공급부의 밸브들을 개방하여 배관 내부에 있는 공기를 브리더밸브(4)를 통해 배출하여 배관 내 공기가 없게 한다. 이는 재가동 후 고로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배관 내에 잔존할 수 있는 공기 중 산소에 의한 폭발 발생의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고로 재가동 전에 반청정가스 브리더밸브(25)는 닫고 브리더밸브(4)는 개방된 상태에서 열풍로밸브를 개방하여 재가동을 시작한다. 고로 재가동 후 청정가스운반라인(10) 내부 산소 성분을 측정하여 1% 이내가 되면 청정가스차단밸브(13)를 개방하여 고로가스를 가스홀더(27)로 이송하게 된다. 청정가스차단밸브(13)를 개방하면서 브리더 밸브(4)는 폐쇄시킨다. 재가동 이후 브리더밸브(4)를 닫기 전까지 고로가스는 가스청정섹션(6)을 거치지 않고 브리더밸브(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고로의 재가동 공정에서 고로가스가 브리더밸브(4)를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로의 가동 또는 재가동시 발생되는 고로가스 중에 더스트 및 유해성분이 포함된 상태로 브리더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고로의 재가동 전에 브리더밸브(4)(25)를 폐쇄하고 재가동 이후에는 고로가스가 가스청정섹션(6)을 거친 이후 청정가스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 제시된다.
본 발명의 고로의 가동 또는 재가동 공정의 실시예에서는 브리더밸브(4)(25)를 폐쇄한 상태에서 고로(2) 및 가스청정섹션(6)에 스팀 및 질소 등을 퍼지하여 업테이크(3) 및 다운코머(5), 청정가스운반라인(10)에 있는 공기를 청정가스벤트라인(11)으로의 흐름을 생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고로(2)가 가동 또는 재가동하기 전에도 고로 내부에 있는 철광석과 코크스가 반응하여 고로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브리더밸브(4)를 폐쇄하고 청정가스벤트라인(11)으로 흐름을 바꾸는 경우 가스청정섹션(6) 및 청정가스운반라인(10)에 잔류하는 산소와의 혼합가스를 만들어 폭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브리더밸브(4)의 폐쇄 전에 청정가스운반라인(10) 내부의 산소 농도는 폭발점 미만으로, 2% 보다 작게 관리한다.
산소 측정은 디미스터(9) 이후의 청정가스운반라인(10)에서 실시하게 되는데 브리더밸브(4)(25)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압력이 낮아 산소측정이 어렵다. 청정가스운반라인(10) 내부의 압력 증대는 스크러버(8) 내부에 가스 흐름 통로를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으며, 대안으로는 1차로 브리더밸브(25)를 닫고, 2차로 브리더밸브(4)를 단계적으로 폐쇄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브리더밸브(4)(25)를 폐쇄할 때 고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로가스 또는 고로 상부 스팀퍼지 등에 의한 압력 변동이 발생하여 고로 내부 가스가 송풍구(14)로 역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브리더 밸브(4)(25)를 폐쇄하기 전에 밸브(23)를 개방하여 질소를 주입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개선할 수 있다.
브리더밸브(4)(25)를 폐쇄하고 고로(2) 상부 및 가스청정섹션(6)에 퍼지되고 있는 질소와 스팀이 청정가스벤트라인(11)으로 흐름이 형성된 것을 확인한 이후에 고로 재가동이 가능하다. 열풍로 밸브(19)를 개방하여 고로에 열풍을 넣어준 이후 밸브(23)를 닫아 고로 송풍구로 주입되는 질소는 중지 할 수 있다.
고로 가동 또는 재가동으로 발생되는 고로가스는 가스청정섹션(6)을 거쳐 청정가스 상태가 되고, 상기 청정가스는 청정가스벤트라인(11)으로 배출되게 된다.
청정가스를 가스홀더(27)로 이송 시 폭발 방지를 위하여 청정가스운반라인(10)에서 산소 성분을 측정하여 1% 이내 농도 확인 시 혼합가스로의 기준은 충분하다.
가스홀더(27)로 청정가스를 이송하기 위하여 청정가스운반라인(10)의 압력이 가스홀더(27)와 유사한 수준이 될 때 청정가스차단밸브(13)를 개방할 수 있다. 청정가스운반라인(10)의 압력을 높여주기 위하여 송풍구(14)로 들어가는 열풍을 송풍량 또는 송풍압으로 단계적으로 증대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2000~2500 Nm3 / min의 용량이면 충분할 것이다. 이는 각 고로의 내용적마다 상이하다.
가스홀더(27)로의 이송 조건이 만족할 경우 청정가스차단밸브(13)를 개방하여 청정가스의 흐름을 가스홀더(27)로 유도하며 청정가스벤트라인(11)의 배출밸브(12)를 차단하여 정상조업 상태로 가스흐름을 유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에서 고로가스에 대해서 브리더밸브를 폐쇄시키고, 가스청정섹션에서 청정가스벤트라인으로의 흐름을 생성시키는 기술적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 고로설비
2: 고로
3: 업테이크
4: 브리더밸브
5: 다운코머
6: 가스청정섹션
10: 청정가스운반라인
11: 청정가스벤트라인
12: 배출밸브
13: 청정가스차단밸브
14: 송풍구
15: 블로어
16A: 제1 분기(열풍라인)
16B: 제2 분기(냉풍라인)
17: 열풍로
25: 반청정가스 브리더밸브
27: 가스홀더
30: 이젝터

Claims (15)

  1. 고로 및 고로로부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가스청정섹션을 포함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으로서,
    청정가스가 상기 가스청정섹션의 하류에서 청정가스벤트라인을 통해 대기로 배출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2. 고로 및 고로로부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가스청정섹션을 포함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으로서,
    상기 가스청정섹션으로부터 청정가스벤트라인으로의 흐름을 생성시키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3. 고로 및 고로로부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가스청정섹션을 포함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으로서,
    상기 고로 및 가스청정설비에 스팀 및 질소 등을 퍼지하여 고로 또는 고로 송풍구에서 청정가스벤트라인으로의 흐름을 생성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의 브리더밸브들은 폐쇄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5. 고로 및 고로로부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가스청정섹션을 포함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으로서,
    브리더밸브를 폐쇄하고, 고로 및 가스청정섹션에 질소 및 스팀을 퍼지하여 고로의 업테이크, 다운코머, 청정가스운반라인에 잔존하는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가스청정섹션의 하류에 구비된 청정가스벤트라인으로의 흐름을 생성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밸브들을 폐쇄하기 전 상기 청정가스운반라인의 내부 산소 농도는 2% 보다 낮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청정가스운반라인 내부의 산소 측정을 위해, 상기 청정가스운반라인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청정가스운반라인의 내부압력의 증가를 위해, 반청정가스 브리더밸브를 폐쇄시킨 후 이어서 브리더밸브들을 단계적으로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청정가스운반라인의 내부압력의 증가를 위해, 스크러버 내부의 콘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밸브를 폐쇄하기 전 질소공급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밸브를 폐쇄하기 전 질소공급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청정가스벤트라인으로의 흐름이 생성된 후, 송풍구를 통해 열풍을 주입한 후 상기 질소공급밸브를 폐쇄시키고 고로에의 송품 및 재송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고로의 재가동으로 발생하는 고로가스는 가스청정섹션을 거쳐 청정가스 상태로 정화되어 상기 청정가스벤트라인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청정가스가 청정가스벤트라인으로 배출되면서 청정가스운반라인의 압력이 가스홀더의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청정가스차단밸브는 상기 청정가스운반라인을 통해 상기 가스홀더로 운반되는 청정가스에 대해 개방되고, 상기 청정가스벤트라인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15. 적어도 하나의 브리더밸브를 구비한 고로, 가스청정섹션, 및 상기 가스정화섹션에서 정화된 가스의 운반을 위한 가스홀더로의 청정가스운반라인을 포함하는 고로 설비로서,
    상기 가스홀더로의 상기 청정가스운반라인은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에서 고로의 재가동 전 상기 브리더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가스청정섹션에서 정화된 고로가스와 배관내의 잔존 공기를 배출하는 청정가스벤트라인을 포함하는 고로 설비.


KR1020200168840A 2020-12-04 2020-12-04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 설비 KR20220079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840A KR20220079251A (ko) 2020-12-04 2020-12-04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 설비
PCT/KR2021/017217 WO2022119209A1 (ko) 2020-12-04 2021-11-23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840A KR20220079251A (ko) 2020-12-04 2020-12-04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251A true KR20220079251A (ko) 2022-06-13

Family

ID=8185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840A KR20220079251A (ko) 2020-12-04 2020-12-04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 설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79251A (ko)
WO (1) WO202211920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032B1 (ko) 2019-06-27 2019-10-25 용운중공업 주식회사 고로공장의 탑블리더밸브 공해방지 및 저감을 위한 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202B2 (ja) * 1981-03-19 1985-05-25 川崎製鉄株式会社 高炉の空炉吹卸し時の炉内発生ガスの処理方法
KR20020051629A (ko) * 2000-12-23 2002-06-29 이구택 고로 휴풍시 배출관 유지장치 및 방법
KR20050023886A (ko) * 2003-09-03 2005-03-10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휴,송풍작업시 분진제거 장치
KR101167213B1 (ko) * 2010-04-29 2012-07-24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설비의 휴풍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032B1 (ko) 2019-06-27 2019-10-25 용운중공업 주식회사 고로공장의 탑블리더밸브 공해방지 및 저감을 위한 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9209A1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5025B1 (en) Method for feeding a burden to a blast furnace
KR101534589B1 (ko) 용광로 플랜트에서 축열식 히터들을 작동시키는 방법
CN102425940A (zh) 石灰回转窑煤粉制备与输送装置及其方法
KR101866929B1 (ko) 선철 제조를 위한 설비로부터의 폐가스 또는 합성 가스의 주울값을 조절하기 위한 프로세스
CN100471960C (zh) 用于直接熔炼工艺的固体供给材料的供给方法和设备
US20230026068A1 (en) Blast furnace plant and shutdown process
KR20220079251A (ko) 고로의 송풍 또는 재송풍 공정 및 이를 위한 고로 설비
KR101557776B1 (ko) 용광로에 장입물을 공급하는 장치
KR100584735B1 (ko) 콜 더스트 취입장치를 갖는 코렉스 용융로
JP2016094647A (ja) 高炉設備のガス置換装置
CN202329087U (zh) 石灰回转窑煤粉制备输送装置
LU100035B1 (en) Shaft Furnace Plant With Full Recovery Pressure Equalizing System
KR20230133963A (ko) 용광로 플랜트 작동 방법
CN102382935A (zh) 提钒转炉一次烟气干法除尘工艺
JPH0257624A (ja) 高炉々内ガスの空気置換方法
JP2006200764A (ja) シャフト炉式廃棄物溶融炉における送風羽口のパージ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