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228A -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쿨러 - Google Patents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228A
KR20220078228A KR1020200167548A KR20200167548A KR20220078228A KR 20220078228 A KR20220078228 A KR 20220078228A KR 1020200167548 A KR1020200167548 A KR 1020200167548A KR 20200167548 A KR20200167548 A KR 20200167548A KR 20220078228 A KR20220078228 A KR 20220078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ling
flow path
plate
cool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일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8228A/ko
Publication of KR20220078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eat exchangers, e.g. pipes, plates, ribs, insulation, materials, or manufacturing and assembly
    • F02B29/0462Liquid cooled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9Expansio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3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conduits for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also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pontual, e.g. dim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083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2Charged air coo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기매니폴드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쿨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는 다수의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가 서로 교번되어 적층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로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어퍼 플레이트의 상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하면 사이에는 압축된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 사이로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냉각수의 유동시 난류화를 유도하는 다수의 엠보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쿨러{Cooling core for water-cooled intercooler and intercool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쿨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기매니폴드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쿨러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 터보차저 엔진은 엔진의 출력을 높이기 위하여 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에너지를 터빈으로 회수하여 터빈을 구동시키고, 터빈을 이용하여 압축기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며, 그 압축시킨 압축공기를 다시 엔진으로 공급하는 장치인 터보차저(Turbo-charger)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터보차저에 의해 급속히 압축된 압축공기는 온도가 높아져 팽창하고, 산소 밀도가 떨어져 결과적으로 실린더 내부의 효율이 떨어진다.
이에, 터보차저는 인터쿨러(Intercooler)를 이용하여 압축된 고온의 압축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한편, 가솔린 터보차저 엔진의 경우 이론 공연비 주행 규제의 만족을 위하여 수냉식 인터쿨러의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의 엔진 레이아웃에서는 수냉식 인터쿨러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흡기매니폴드에 통합하여 구성되는 인터쿨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0504호 (2017.06.22)
본 발명은 흡기매니폴드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쿨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는 다수의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가 서로 교번되어 적층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로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어퍼 플레이트의 상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하면 사이에는 압축된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 사이로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냉각수의 유동시 난류화를 유도하는 다수의 엠보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인접하는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 및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각각 냉각수가 "U"자 형태로 유동되도록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을 구획하는 분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분리돌기를 기준으로 유입측 유로와 배출측 유로로 구분되고, 상기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에는 유입측 유로의 선단 영역인 인렛과 배출측 유로의 후단인 아웃렛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유입측 유로의 후단과 배출측 유로의 선단이 연결되는 연통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렛과 아웃렛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엠보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 및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 중 유입측 유로와 배출측 유로가 형성된 영역에 형성되는 도트형 엠보와, 상기 연통 유로가 형성된 영역에 형성되는 선형 엠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트형 엠보는 냉각수의 난류화를 유도하도록 냉각수가 유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선단측은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후단측은 냉각수의 흐름과 수직인 직선형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트형 엠보는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형 엠보는 냉각수의 흐름을 수직 방향으로 변환시키도록 단면의 형상이 "ㄱ"자 형태로 돌출되는 제 1 선형 엠보와, 냉각수의 흐름을 직선 방향으로 유지시키도록 단면의 형상이 "ㅡ"자 형태로 돌출되는 제 2 선형 엠보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는 하부로 절곡되는 어퍼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어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는 상부로 절곡되는 로어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 절곡부와 로어 절곡부는 서로 중첩되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적층되는 다수의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의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평판형의 엔드 플레이트가 더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는 서지탱크 모듈과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냉각수와 공기가 열교환되는 냉각 모듈이 배치되는 수냉식 인터쿨러로서, 상기 냉각 모듈은, 다수의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가 서로 교번되어 적층되되, 서로 대향 배치되는 어퍼 플레이트의 상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하면 사이에는 압축된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 사이로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냉각수의 유동시 난류화를 유도하는 다수의 엠보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냉각 코어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냉각 코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 코어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유입 및 배출시키는 냉각수 탱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각 코어는 서로 인접하는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 및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각각 냉각수가 "U"자 형태로 유동되도록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을 구획하는 분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분리돌기를 기준으로 유입측 유로와 배출측 유로로 구분되고, 상기 냉각수 탱크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 코어의 유입측 유로와 배출측 유로로 연통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분리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냉식 인터쿨러 코어의 구조를 개선하여 흡기 매니폴드와 서지탱크 모듈 사이에서 배치함으로써, 인터쿨러에 의한 냉각성능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쿨러 코어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에 다양한 형태 및 배치의 엠보를 적용하여 냉각수의 유동시 난류화를 유도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쿨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쿨러의 요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코어를 구성하는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의 요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코어와 냉각수 탱크의 연결부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쿨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쿨러의 요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코어를 구성하는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의 요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코어와 냉각수 탱크의 연결부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는 서지탱크 모듈(10), 흡기 매니폴드(20) 및 상기 서지탱크 모듈(10)과 흡기 매니폴드(20) 사이에 배치되는 냉각 모듈(30)을 포함한다.
서지탱크 모듈(10)은 터보차저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냉각 모듈(30)로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냉각 모듈(30)을 사이에 두고 흡기 매니폴드(20)와 대향되도록 냉각 모듈(30)의 일측으로 체결된다. 이때 서지탱크 모듈(10)과 냉각 모듈(30)은 클램핑(clamping) 수단에 의해 조립된 상태로 흡기 매니폴드(20)에 체결된다.
흡기 매니폴드(20)는 냉각 모듈(30)에서 냉각된 압축공기를 실린더 헤드(미도시)로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일측이 실린더 헤드에 볼트로 체결되고, 타측으로는 냉각 모듈(30)이 체결된다. 이때 흡기 매니폴드(20)의 내부에는 냉각 모듈(30)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에 숄더 볼트(Shoulder Bolt; 21)를 구성하여 냉각 모듈(30)이 체결되기 전에 실린더 헤드에 미리 장착시킨다. 그래서, 현재의 엔진 레이아웃에서 실린더 헤드에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쿨러를 체결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냉각 모듈(30)은 서지탱크 모듈(10)과 흡기 매니폴드(20) 사이에 배치되어 서지탱크 모듈(10)을 통과하여 유입된 공기를 수냉식으로 냉각시키는 수단으로서, 공기와 냉각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냉각 코어(100)와, 상기 냉각 코어(100)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유입 및 배출시키는 냉각수 탱크(200)를 포함한다.
특히, 냉각 코어(100)의 위치는 흡기 매니폴드(20)에 체결된 상태에서 흡기 매니폴드(20)의 러너(Runner)보다 상부에 배치하여 응축수 생성시 러너(Runner)를 통해 실린더 헤드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흡기 매니폴드(20)와 냉각 모듈(30) 사이는 가스켓(Gasket)으로 실링된다.
한편, 냉각 코어(100)는 냉각수 탱크(20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유동되면서 흡기 매니폴드(20)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수단으로서, 냉각수의 유동시 난류화를 유도하면서 냉각수의 유동 결로를 최적화시킨다.
이러한 냉각 코어(100)는 다수의 어퍼 플레이트(110)와 로어 플레이트(120)가 서로 교번되어 적층된다.
이때 서로 대향 배치되는 어퍼 플레이트(110)의 상면과 로어 플레이트(120)의 하면 사이에는 압축된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로(Pa)가 형성되고, 어퍼 플레이트(110)의 하면과 로어 플레이트(120)의 상면 사이로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유로(Pc)가 형성된다.
특히, 어퍼 플레이트(110)의 하면과 로어 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냉각수의 유동시 난류화를 유도하는 다수의 엠보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어퍼 플레이트(110)의 하면 및 로어 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각각 냉각수가 "U"자 형태로 유동되도록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을 구획하는 분리돌기(111, 121)가 형성되어 상기 분리돌기(111, 121)를 기준으로 유입측 유로(100a)와 배출측 유로(100b)로 구분된다.
그리고, 어퍼 플레이트(110)와 로어 플레이트(120)의 일측 단부에는 유입측 유로(100a)의 선단 영역인 인렛(101)과 배출측 유로(100b)의 후단인 아웃렛(102)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유입측 유로(100a)의 후단과 배출측 유로(100b)의 선단이 연결되는 연통 유로(100c)가 형성된다.
그래서, 냉각수 탱크(200)에서 인렛(101)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유입측 유로(100a)를 통과한 다음 연통 유로(100c)를 통과하면서 방향을 전환하여 배출측 유로(100b)를 통과한 후 아웃렛(102)을 통하여 냉각수 탱크(200)로 배출된다.
냉각수 탱크(200)는 냉각 코어(100)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유입 및 배출시키도록 냉각 코어의 일측 측면에 형성되는 인렛(101)과 아웃렛(102)을 감싸면서 냉각 코어(100)의 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냉각 코어(100)로 유입되는 냉각수와 배출되는 냉각수가 구분되어 유동되도록 도 7과 같이 냉각수 탱크(200)의 내부에는 냉각 코어(100)의 유입측 유로(100a)와 배출측 유로(100b)로 연통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분리벽(210)이 형성된다.
한편, 인렛(101)과 아웃렛(102)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인렛(101)과 아웃렛(102)을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어퍼 플레이트(110)에서 인렛(101) 및 아웃렛(102)을 형성하는 영역은 내부에서 외부로 향할수록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로어 플레이트(120)에서 인렛(101) 및 아웃렛(102)을 형성하는 영역은 내부에서 외부로 향할수록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인렛(101)과 아웃렛(102)은 내부에서 외부 방향, 즉 냉각수 탱크(200)와 가까워질수록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어퍼 플레이트(110)와 로어 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엠보는 서로 대향되도록 돌출되어 어퍼 플레이트(110)와 로어 플레이트(120) 사이로 유동되는 냉각수의 난류화를 유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는 어퍼 플레이트(110)의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로어 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어퍼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엠보와 로어 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엠보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엠보는 어퍼 플레이트(110)의 하면 및 로어 플레이트(120)의 상면 중 유입측 유로(100a)와 배출측 유로(100b)가 형성된 영역에 형성되는 도트형 엠보(112, 122)와, 상기 연통 유로(100c)가 형성된 영역에 형성되는 선형 엠보(113, 123)를 포함한다.
이때 다수의 도트형 엠보(112, 122)는 냉각수의 난류를 유도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각각의 도트형 엠보(112, 122)는 냉각수가 유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선단측은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후단측은 냉각수의 흐름과 수직인 직선형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래서 냉각수의 유동을 전체적으로 직선형 유동이 아닌 지그재그형 유동을 유도하면서 각각의 도트형 엠보(112, 122)의 후단측에서 난류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선형 엠보(113, 123)는 유입측 유로(100a)로 유입된 냉각수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켜 배출측 유로(100b)로 유동시키기 위하여 연통 유로(100c)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선형 엠보(113, 123)는 냉각수의 흐름을 수직 방향으로 변환시키도록 단면의 형상이 "ㄱ"자 형태로 돌출되는 제 1 선형 엠보(113a, 123a)와, 냉각수의 흐름을 직선 방향으로 유지시키도록 단면의 형상이 "ㅡ"자 형태로 돌출되는 제 2 선형 엠보(113b, 123b)를 포함한다.
그래서, 유입측 유로(100a)로 유입된 냉각수가 제 1 선형 엠보(113a, 123a)를 통과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전환되고, 제 2 선형 엠보(113b, 123b)를 통과하면서 배출측 유로(100b)로 유동된 다음 다시 제 1 선형 엠보(113a, 123a)을 통과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전환되어 배출측 유로(100b)를 통과하게 된다.
한편, 다수의 어퍼 플레이트(110)와 로어 플레이트(120)가 서로 교번되어 적층될 때, 도 5 및 6과 같이 어퍼 플레이트(110)와 로어 플레이트(120)의 용이한 적층 및 공기 유로의 올바른 실링을 위하여 어퍼 플레이트(110)의 양측 단부는 하부로 절곡되는 어퍼 절곡부(110a)가 형성되고, 상기 로어 플레이트(120)의 양측 단부는 상부로 절곡되는 로어 절곡부(120a)가 형성된다. 이때 어퍼 절곡부(110a)와 로어 절곡부(120a)는 일정 부분을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한 다음 중첩된 부분을 용접(Brazing)하여 실링되도록 한다.
한편, 도 2와 같이 서로 적층되는 다수의 어퍼 플레이트(110)와 로어 플레이트(120)의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평판형의 엔드 플레이트(130)가 더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코어(100)의 최상단과 최하단에서 형성되는 냉각수 유로(Pc) 또는 공기 유로(Pa)에서의 누출(leak)을 방지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서지탱크 모듈 20: 흡기 매니폴드
21: 숄더 볼트 30: 냉각 모듈
100: 냉각 코어 100a: 유입측 유로
100b: 배출측 유로 100c: 연통 유로
101: 인렛 102: 아웃렛
110: 어퍼 플레이트 120: 로어 플레이트
110a: 어퍼 절곡부 120a: 로어 절곡부
111, 121: 분리돌기 112. 122: 도트형 엠보
113, 123: 선형 엠보 113a, 123a: 제 1 선형 엠보
113b, 123b: 제 2 선형 엠보 130: 엔드 플레이트
200: 냉각수 탱크 210: 분리벽
Pa: 공기 유로 Pc: 냉각수 유로

Claims (12)

  1. 다수의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가 서로 교번되어 적층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로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어퍼 플레이트의 상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하면 사이에는 압축된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 사이로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냉각수의 유동시 난류화를 유도하는 다수의 엠보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 및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각각 냉각수가 "U"자 형태로 유동되도록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을 구획하는 분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분리돌기를 기준으로 유입측 유로와 배출측 유로로 구분되고,
    상기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에는 유입측 유로의 선단 영역인 인렛과 배출측 유로의 후단인 아웃렛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유입측 유로의 후단과 배출측 유로의 선단이 연결되는 연통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렛과 아웃렛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엠보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 및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 중 유입측 유로와 배출측 유로가 형성된 영역에 형성되는 도트형 엠보와,
    상기 연통 유로가 형성된 영역에 형성되는 선형 엠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트형 엠보는 냉각수의 난류화를 유도하도록 냉각수가 유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선단측은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후단측은 냉각수의 흐름과 수직인 직선형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트형 엠보는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선형 엠보는 냉각수의 흐름을 수직 방향으로 변환시키도록 단면의 형상이 "ㄱ"자 형태로 돌출되는 제 1 선형 엠보와, 냉각수의 흐름을 직선 방향으로 유지시키도록 단면의 형상이 "ㅡ"자 형태로 돌출되는 제 2 선형 엠보를 포함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는 하부로 절곡되는 어퍼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어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는 상부로 절곡되는 로어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 절곡부와 로어 절곡부는 서로 중첩되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로 적층되는 다수의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의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평판형의 엔드 플레이트가 더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10. 서지탱크 모듈과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냉각수와 공기가 열교환되는 냉각 모듈이 배치되는 수냉식 인터쿨러로서,
    상기 냉각 모듈은,
    다수의 어퍼 플레이트와 로어 플레이트가 서로 교번되어 적층되되, 서로 대향 배치되는 어퍼 플레이트의 상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하면 사이에는 압축된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 사이로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과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냉각수의 유동시 난류화를 유도하는 다수의 엠보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냉각 코어를 포함하는 수냉식 인터쿨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냉각 코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 코어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유입 및 배출시키는 냉각수 탱크를 더 포함하는 수냉식 인터쿨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냉각 코어는 서로 인접하는 어퍼 플레이트의 하면 및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각각 냉각수가 "U"자 형태로 유동되도록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을 구획하는 분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분리돌기를 기준으로 유입측 유로와 배출측 유로로 구분되고,
    상기 냉각수 탱크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 코어의 유입측 유로와 배출측 유로로 연통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분리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
KR1020200167548A 2020-12-03 2020-12-03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쿨러 KR20220078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48A KR20220078228A (ko) 2020-12-03 2020-12-03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48A KR20220078228A (ko) 2020-12-03 2020-12-03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쿨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228A true KR20220078228A (ko) 2022-06-10

Family

ID=8198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548A KR20220078228A (ko) 2020-12-03 2020-12-03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쿨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82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504A (ko) 2015-12-14 2017-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냉식 인터쿨러 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504A (ko) 2015-12-14 2017-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냉식 인터쿨러 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871B1 (ko) 수랭식 인터쿨러
US7992628B2 (en) Multi-passing liquid cooled charge air cooler with coolant bypass ports for improved flow distribution
JP5664586B2 (ja) 内燃機関の吸気システム
US10605545B2 (en) Heat exchanger and core for a heat exchanger
US20160245597A1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a Flow of Compressed Air Using a Liquid Coolant
CN103061865B (zh) 用于车辆的中间冷却器
KR20140004688A (ko) 통합식 인터쿨러를 구비한 흡기 파이프
EP1626168A2 (en) Engine with optimized engine charge air-cooling system
KR101702299B1 (ko) 특히 자동차 엔진 급기 냉각기인 열교환기
KR20080056685A (ko) 배기가스 재순환 쿨러를 포함하는 내연기관
JP6011315B2 (ja) 熱交換器
KR20220078228A (ko) 수냉식 인터쿨러용 냉각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쿨러
JP6481275B2 (ja) コルゲートフィン式熱交換器
JPS625098A (ja) 熱交換器のインナ−フィン
US7165537B2 (en) Charge air cooler
CN204663655U (zh) 一种发动机及其中冷器
JP5617789B2 (ja) 矩形用ガスケット
JP3890799B2 (ja) プレートフィン式熱交換器
EP4166767B1 (en) A heat exchanger
CN106014718A (zh) 一种集成有中冷器的进气歧管
JP6413706B2 (ja) エンジンの吸気供給構造
JPH10288478A (ja) 熱交換器
JPS6172832A (ja) 内燃機関の給気冷却装置
JP6405949B2 (ja) インタークーラ
JPS59137795A (ja) タ−ボ過給エンジン用インタク−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