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551A - 파우치 자동포장기 - Google Patents

파우치 자동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551A
KR20220077551A KR1020200166596A KR20200166596A KR20220077551A KR 20220077551 A KR20220077551 A KR 20220077551A KR 1020200166596 A KR1020200166596 A KR 1020200166596A KR 20200166596 A KR20200166596 A KR 20200166596A KR 20220077551 A KR20220077551 A KR 20220077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gripper
box
support plates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태
Original Assignee
(주)유한엔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한엔씨아이 filed Critical (주)유한엔씨아이
Priority to KR1020200166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551A/ko
Publication of KR20220077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65B35/18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8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individually gripped or guided for transfer 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파우치(1)가 적재된 매거진(10); 및 상기 매거진(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매거진(10)에 복수개의 파우치(1)가 적재된 형태의 파우치적층체(2)를 인출하여 박스(3)의 수납홈(4)에 수납시키는 그립퍼(20);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퍼(20)는 프레임(5)에 구비된 회동암(30)과, 이 회동암(30)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매거진(10)에 적재된 파우치적층체(2)를 파지하는 그립퍼헤드(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립퍼헤드(40)는 회동암(30)의 선단에 구비된 베이스판(41)과, 이 베이스판(41)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돌출되어 파우치적층체(2)의 대향되는 양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판(42,43)과, 상기 베이스판(41)에 구비되며 제1 및 제2지지판(42,43)이 서로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지지판(42,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베이스판(41)에서 이동시키는 헤드구동수단(44,45)을 포함하며, 상기 그립퍼헤드(4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 사이에 파지된 파우치적층체(2)가 박스(3)의 수납홈(3)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립퍼헤드(4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이 서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이동됨에 따라 파우치적층체(2)가 그립퍼헤드(40)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자동포장기이다.

Description

파우치 자동포장기{Auto packing machine of a pouch}
본 발명은 파우치 자동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치를 박스에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는 파우치 자동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는 3변이 밀봉되고 일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상태에서 내용물을 투입하고 투입구를 밀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용물이 투입구의 반대쪽으로 쏠리게 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파우치는 박스의 구획된 다수의 수납홈에 수납되는데, 각 수납홈에 다수의 파우치가 수납된다.
종래에는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파우치를 작업자가 일일이 파지하여 박스의 수납홈에 수납시켰으나, 작업이 번거롭고 이송되는 파우치들을 놓치게 될 수 있어 여러 명의 작업자가 요구되므로 인건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파우치의 폭과 수납홈의 폭이 거의 동일하므로, 작업자가 복수개의 파우치를 수납홈에 신속하게 넣기가 쉽지 않아서 작업이 더욱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때, 파우치를 세워지게 파지하면 파우치에 담겨진 내용물이 하측으로 쏠리게 되므로, 작업자가 복수개의 파우치를 좌우폭이 일정하게 파지하기가 쉽지 않아서 수납홈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위치 정렬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더욱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더욱 지연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18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파우치를 박스의 각 수납홈에 수납시키는 작업을 자동화시켜 인건비를 절감하고 내용물이 일측으로 쏠린 파우치를 박스의 각 수납홈에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납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기계장치가 파우치를 파지하여 박스의 수납홈에 수납시킬 때 파우치가 박스에서 후퇴하는 기계장치에 이끌려서 박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우치를 박스에 재수납할 필요없이 한 번의 공정으로 수납시킬 수 있어 작업공정 간소화로 인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고, 아울러 파우치를 박스에 수납하기 전에 파우치의 수량을 체크하면서 위치를 미리 정렬시키므로 박스에 더욱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킨 파우치 자동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복수개의 파우치(1)가 적재된 매거진(10); 및 상기 매거진(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매거진(10)에 복수개의 파우치(1)가 적재된 형태의 파우치적층체(2)를 인출하여 박스(3)의 수납홈(4)에 수납시키는 그립퍼(20);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퍼(20)는 프레임(5)에 구비된 회동암(30)과, 이 회동암(30)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매거진(10)에 적재된 파우치적층체(2)를 파지하는 그립퍼헤드(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립퍼헤드(40)는 회동암(30)의 선단에 구비된 베이스판(41)과, 이 베이스판(41)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돌출되어 파우치적층체(2)의 대향되는 양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판(42,43)과, 상기 베이스판(41)에 구비되며 제1 및 제2지지판(42,43)이 서로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지지판(42,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베이스판(41)에서 이동시키는 헤드구동수단(44,45)을 포함하며, 상기 그립퍼헤드(4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 사이에 파지된 파우치적층체(2)가 박스(3)의 수납홈(3)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립퍼헤드(4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이 서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이동됨에 따라 파우치적층체(2)가 그립퍼헤드(40)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자동포장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박스(3)의 상측에서 수평이동 및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그립퍼(20)의 그립퍼헤드(40)가 통과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링프레임(60)과, 이 링프레임(60)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링프레임(60)의 반경방향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우치적층체(2)를 파지한 그립퍼(20)의 그립퍼헤드(40)가 박스(3)의 수납홈(4)에 수납되도록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날개(70)와, 이 가이드날개(70)를 작동시키는 가이드구동수단(80)으로 이루어진 그립퍼가이더(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자동포장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그립퍼(20)의 그립퍼헤드(4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에는 삽입홈(44,45)이 선단부면에서 기단부로 연장되고, 상기 그립퍼가이더(50)에는 링프레임(60)을 통과하여 박스(3)의 수납홈(4)에 파우치적층체(2)를 수납한 그립퍼헤드(4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을 가로지르도록 출몰되며 적어도 제1 및 제2지지판(42,43)의 삽입홈(44,45) 중 어느 일측 삽입홈(44,45)에 끼워지는 파우치이탈방지핀(90)이 더 구비되어, 그립퍼헤드(40)가 박스(3)에서 후퇴되면 상기 박스(3)에 수납된 파우치적층체(2)가 파우치이탈방지핀(90)에 의해 차단되어 그립퍼헤드(40)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자동포장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5)에 구비되고 상면에 파우치적층체(2)를 파지한 그립퍼헤드(40)가 출입되는 투입구(102)가 형성된 하우징(101)과, 이 하우징(101)의 일측에 구비되어 투입된 파우치적층체(2)의 파우치(1)의 수량을 체크하는 파우치수량감지부(103)와, 상기 하우징(101)에 서로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투입된 파우치적층체(2)의 각 파우치(1)를 정렬시켜주는 한 쌍의 정렬가이더(104,105)를 포함하는 카운팅정렬수단(1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자동포장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매거진(10)에 복수개의 파우치(1)가 적재된 파우치적층체(2)를 그립퍼(20)가 파지하여 박스(1)에 수납하므로, 종래 수작업에 비해 자동화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고 인건비가 절감된다. 그리고 파우치적층체(2)의 양단부를 파지한 그립퍼(2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이 서로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지지판(42,43)이 박스(3)의 수납홈(4)에 투입되어 파우치적층체(2)를 박스(3)의 수납홈(4)에 진동을 주면서 털어낼 수 있어 그립퍼(20)가 박스(3)에서 후퇴될 때 파우치(1)가 그립퍼(2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에 이끌려서 박스(3)의 수납홈(4)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파우치(1)가 박스(3)의 수납홈(4)에서 흐트러지지 않고 정렬되며 수납홈(4)에서 삐져나오지 않으므로, 파우치 정렬을 위한 별도의 작업이나 파우치(1)를 박스(3)에 재수납시키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서 작업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고 장치의 부품수가 절감된다.
그리고 박스(3)의 수납홈(4)의 상측에 상기 파우치적층체(2)를 파지한 그립퍼(2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을 안내하도록 링프레임(60)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날개(70)로 이루어진 그립퍼가이더(50)를 구비함으로써, 파우치적층체(2)를 박스(3)의 수납홈(4)에 더욱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다. 이때, 그립퍼가이더(50)의 가이드날개(70)가 박스(3)의 수납홈(4)의 내벽을 좀 더 벌려주므로, 파우치적층체(2)를 박스(3)의 수납홈(4)에 더욱 더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납시킬 수 있다.
한편, 그립퍼(2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에 선단부면에서 기단으로 연장된 삽입홈(44,45)이 형성되고, 그립퍼가이더(50)에 그립퍼(2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을 가로지르도록 출몰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44,45)에 끼워지는 파우치이탈방지핀(90)이 구비되어, 그립퍼(20)가 박스(3)에서 후퇴하더라도 박스(3)에 수납된 파우치적층체(2)가 파우치이탈방지핀(90)에 의해 차단되어 그립퍼(20)에 이끌려 박스(3)의 수납홈(4)에서 이탈되거나 삐져나오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상기의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그리고 한편, 그립퍼(20)가 파지한 파우치적층체(2)의 파우치(1)의 수량이 정해진 수량이 맞는지를 확인하며 파우치적층체(2)의 각 파우치(1)를 정렬시키는 카운팅정렬수단(100)이 구비되어, 파우치(1)의 수량을 체크하면서 위치를 한 번 더 정렬시킴으로써, 박스(3)에 수납될 파우치(1)의 수량 불량률을 줄이면서 박스(3)의 수납홈(4)에 좀 더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자동포장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다른 요부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파우치를 박스에 수납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8 및 도 9는 상기 실시예의 파우치의 카운팅정렬수단을 보인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자동포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자동포장기는 복수개의 파우치(1)가 적재된 매거진(10)과, 이 매거진(10)에서 복수개의 파우치(1)를 인출하여 박스(3)의 수납홈(4)에 수납시키는 그립퍼(20)를 포함한다.
상기 매거진(10)은 복수개의 파우치(1)가 적재되는 것으로, 파우치(1)가 좌우 또는 상하로 적재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같이, 매거진(10)이 내부에는 파우치(1)가 눕혀진 상태로 상하로 적재될 수 있는 적재부(11)가 상하로 연장되고, 상면에는 파우치(1)가 적재부(11)로 적재될 수 있도록 개구된 출입구(12)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매거진(1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기 그립퍼(20)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13)가 상하로 연장될 수 있고, 개구부(13)의 상단은 상향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파우치(1)는 이송컨베이어(110)를 통해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고, 매거진(1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110)의 단부와 연결되는 보조이송컨베이어(111)가 설치되어 파우치(1)를 공급하는데, 보조이송컨베이어(111)는 2열로 이루어져서 파우치(1)를 2열로 공급할 수 있다. 매거진(10)은 이송컨베이어(110)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 2와 같이 별도의 턴테이블(120)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턴테이블(120)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매거진(1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110)의 일측에 위치된 픽업수단(130)이 파우치(1)를 픽업하여 매거진(10)의 출입구(12)를 통해 수납시킨다. 픽업수단(130)은 주지된 바와 같이 로봇암 형태를 예시하였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매거진(10)의 저면은 상하로 관통되고 매거진(10)의 관통된 저면을 통해 승강되면서 매거진(10)에 투입된 파우치(1)를 지지해주는 승강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립퍼(20)는 매거진(10)에 복수개의 파우치(1)가 상하로 적재된 형태의 파우치적층체(2)를 매거진(10)에서 인출하여 박스(3)에 수납시킨다. 이와 같은 그립퍼(20)는 프레임(5)에 구비된 회동암(30)과, 이 회동암(30)의 선단에 구비되어 매거진(10)에 복수개의 파우치(1)가 적재된 형태의 파우치적층체(2)를 파지하는 그립퍼헤드(40)를 포함한다. 이때, 프레임(5)은 턴테이블(120)의 측방에 위치되며, 턴테이블(120)을 중심으로 이송컨베이어(110)와 대향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립퍼헤드(40)는 회동암(30)의 선단에 구비된 베이스판(41)과, 이 베이스판(41)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돌출되어 파우치적층체(2)의 대향되는 양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판(42,43)과, 상기 베이스판(41)에 구비되며 제1 및 제2지지판(42,43)이 서로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지지판(42,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베이스판(41)에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46,47)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그립퍼헤드(40)는 도 2와 같이, 제1 및 제2지지판(42,43)이 상하로 배치된 상태로 매거진(10)의 개구부(13)를 통해 적재부(11)로 투입되되 파우치적층체(2)의 상면과 저면을 감싸도록 투입되며 구동수단(44,45)에 의해 제1 및 제2지지판(42,43)이 파우치적층체(2)를 파지하도록 근접된다. 그리고 그립퍼헤드(40)가 파우치적층체(2)를 파지한 상태로 회동암(30)이 회동되면서 매거진(10)의 개구부(13)를 따라 상승하여, 파우치적층체(2)를 매거진(10)에서 인출한다.
한편, 프레임(5)에는 박스(3)가 올려지는 다이(6)가 전후로 연장되고, 다이(6)의 일측에는 박스(3)를 다이(6)의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도시안된 박스이송수단이 구비된다. 박스이송수단은 주지된 바와 같이 박스(3)를 파지하여 다이(6)의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과 같이, 프레임(5)의 전후단에는 박스공급부(7) 및 박스(3)에 도시안된 뚜껑을 덮고 테이핑하는 박스포장부(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자동포장기는 파우치적층체(2)가 박스(3)의 수납홈(4)에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그립퍼헤드(40)를 안내하는 그립퍼가이더(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립퍼가이더(50)는 링프레임(60), 복수개의 가이드날개(70) 및 가이드구동수단(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링프레임(60)은 박스(3)의 상측에 그립퍼헤드(40)가 상하로 통과되도록 상하로 관통되며 프레임(5)에 설치된 링프레임구동수단(61)에 의해 수평이동 및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링프레임(60)은 박스(3)의 수납홈(4)과 대응되는 사각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립퍼헤드(40)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가이드날개(70)는 링프레임(60)을 따라 이격되고 링프레임(60)의 반경방향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와 같이, 4개의 가이드날개(70)가 사각링 형상의 링프레임(60)의 각 변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가이드구동수단(80)은 가이드날개(7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데 실린더인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자동포장기의 그립퍼가이더(50)는 도 6과 같이 박스(3)의 상측에서 하강된다. 이때, 도 5와 같이 복수개의 가이드날개(70)가 박스(3)의 수납홈(4)에 삽입되며 가이드구동수단(80)에 의해 링프레임(6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박스(3)의 수납홈(4)의 내벽을 벌려줌으로써, 그립퍼헤드(40)가 박스(3)의 수납홈(4)에 좀 더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해준다. 도 5와 같이, 가이드날개(70)는 하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그립퍼헤드(40)가 박스(3)의 수납홈(4)에 더욱 더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자동포장기는 그립퍼(20)의 그립퍼헤드(4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에 삽입홈(44,4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삽입홈(44,45)은 제1 및 제2지지판(42,43)의 선단부면에서 기단부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립퍼가이더(50)에는 박스(3)의 수납홈(4)으로 투입된 그립퍼헤드(4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을 가로지르도록 출몰되는 파우치이탈방지핀(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파우치이탈방지핀(90)은 제1 및 제2지지판(42,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판(42,43)의 삽입홈(44,45)을 관통할 수 있는데, 도 7과 같이 제2지지판(43)을 관통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도 4와 같이, 그립퍼가이더(50)의 링프레임(60)에는 그립퍼헤드(4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판(42,43)의 삽입홈(44,45)이 삽입되는 가이드돌기(91)가 내향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립퍼헤드(40)가 그립퍼가이더(50)의 링프레임(60)의 내부 정위치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가이드돌기(91)의 선단면에는 파우치이탈방지핀(90)이 삽입되는 핀홈(9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파우치적층체(2)를 파지한 그립퍼헤드(40)가 하강하면서 그립퍼가이더(50)의 링프레임(60) 내측을 관통하여 박스(3)의 수납홈(4)에 삽입되어 파우치적층체(2)를 수납시킨다. 이때, 그립퍼헤드(40)가 박스(3)의 수납홈(4)에서 상승하게 되면 박스(3)의 수납홈(4)에 수납된 파우치적층체(2)의 일부 파우치(1)가 그립퍼헤드(40)의 제1지지판(42) 또는 제2지지판(43)에 의해 박스(3)의 수납홈(4)에서 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은 파우치이탈방지핀(90)이 그립퍼헤드(4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을 가로지르도록 내향돌출되어 가이드돌기(91)의 핀홈(92)에 삽입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가 해결된다. 즉, 박스(3)의 수납홈(4)에 수납된 파우치(1)는 파우치이탈방지핀(90)에 의해 차단되어 그립퍼헤드(40)에서 이탈되므로, 파우치(1)가 그립퍼헤드(40)와 함께 박스(3)의 수납홈(4)에서 이탈되거나 삐져나오는 등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자동포장기는 파우치의 수량을 체크하는 카운팅정렬수단(1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카운팅수단(100)은 프레임(5)에 구비되며 상면에 파우치적층체(2)를 파지한 그립퍼헤드(40)가 출입되는 투입구(102)가 형성된 하우징(101)과, 이 하우징(101)의 일측에 구비되어 투입된 파우치적층체(2)의 파우치(1)의 수량을 체크하는 파우치수량감지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파우치수량감지부(103)는 카메라로 구성되어 파우치적층체(2)를 촬영함으로써 정량인지 여부를 체크하게 된다. 만약, 파우치적층체(2)의 파우치(1)가 정해진 수량에 해당되지 않으면 박스(3)로 투입되지 않고 이송컨베이어(110)로 보내지게 된다.
한편, 도 9와 같이 카운팅정렬수단(100)은 하우징(101)에 투입된 파우치적층체(2)의 각 파우치(1)를 정렬시켜주는 한 쌍의 정렬가이더(104,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한 쌍의 정렬가이더(104,105)는 나란하게 형성되며 정렬가이더구동부(106)에 의해 서로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작동되며, 한 쌍의 정렬가이더(104,105) 사이로 투입된 파우치적층체(2)의 양측을 가압하여 파우치적층체(2)의 각 파우치(1)를 정렬시켜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파우치 2 : 파우치적층체
3 : 박스 4 : 수납홈
10 : 매거진 20 : 그립퍼
30 : 회동암 40 : 그립퍼헤드
42 : 제1지지판 43 : 제2지지판
50 : 그립퍼가이더 60 : 링프레임
70 : 가이드날개 80 : 가이드구동수단
90 : 파우치이탈방지핀

Claims (4)

  1. 복수개의 파우치(1)가 적재된 매거진(10); 및
    상기 매거진(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매거진(10)에 복수개의 파우치(1)가 적재된 형태의 파우치적층체(2)를 인출하여 박스(3)의 수납홈(4)에 수납시키는 그립퍼(20);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퍼(20)는 프레임(5)에 구비된 회동암(30)과, 이 회동암(30)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매거진(10)에 적재된 파우치적층체(2)를 파지하는 그립퍼헤드(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립퍼헤드(40)는 회동암(30)의 선단에 구비된 베이스판(41)과, 이 베이스판(41)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돌출되어 파우치적층체(2)의 대향되는 양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판(42,43)과, 상기 베이스판(41)에 구비되며 제1 및 제2지지판(42,43)이 서로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지지판(42,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베이스판(41)에서 이동시키는 헤드구동수단(44,45)을 포함하며,
    상기 그립퍼헤드(4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 사이에 파지된 파우치적층체(2)가 박스(3)의 수납홈(3)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립퍼헤드(4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이 서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이동됨에 따라 파우치적층체(2)가 그립퍼헤드(40)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자동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3)의 상측에서 수평이동 및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그립퍼(20)의 그립퍼헤드(40)가 통과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링프레임(60)과, 이 링프레임(60)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링프레임(60)의 반경방향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우치적층체(2)를 파지한 그립퍼(20)의 그립퍼헤드(40)가 박스(3)의 수납홈(4)에 수납되도록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날개(70)와, 이 가이드날개(70)를 작동시키는 가이드구동수단(80)으로 이루어진 그립퍼가이더(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자동포장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20)의 그립퍼헤드(4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에는 삽입홈(44,45)이 선단부면에서 기단부로 연장되고,
    상기 그립퍼가이더(50)에는 링프레임(60)을 통과하여 박스(3)의 수납홈(4)에 파우치적층체(2)를 수납한 그립퍼헤드(40)의 제1 및 제2지지판(42,43)을 가로지르도록 출몰되며 적어도 제1 및 제2지지판(42,43)의 삽입홈(44,45) 중 어느 일측 삽입홈(44,45)에 끼워지는 파우치이탈방지핀(90)이 더 구비되어, 그립퍼헤드(40)가 박스(3)에서 후퇴되면 상기 박스(3)에 수납된 파우치적층체(2)가 파우치이탈방지핀(90)에 의해 차단되어 그립퍼헤드(40)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자동포장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에 구비되고 상면에 파우치적층체(2)를 파지한 그립퍼헤드(40)가 출입되는 투입구(102)가 형성된 하우징(101)과, 이 하우징(101)의 일측에 구비되어 투입된 파우치적층체(2)의 파우치(1)의 수량을 체크하는 파우치수량감지부(103)와, 상기 하우징(101)에 서로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투입된 파우치적층체(2)의 각 파우치(1)를 정렬시켜주는 한 쌍의 정렬가이더(104,105)를 포함하는 카운팅정렬수단(1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자동포장기.
KR1020200166596A 2020-12-02 2020-12-02 파우치 자동포장기 KR20220077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596A KR20220077551A (ko) 2020-12-02 2020-12-02 파우치 자동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596A KR20220077551A (ko) 2020-12-02 2020-12-02 파우치 자동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551A true KR20220077551A (ko) 2022-06-09

Family

ID=8198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596A KR20220077551A (ko) 2020-12-02 2020-12-02 파우치 자동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75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7925A (zh) * 2023-10-16 2023-11-21 烟台金丝猴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糖果定量供给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182Y1 (ko) 2005-11-23 2006-02-07 김봉환 생활용수 급수시스템의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182Y1 (ko) 2005-11-23 2006-02-07 김봉환 생활용수 급수시스템의 감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7925A (zh) * 2023-10-16 2023-11-21 烟台金丝猴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糖果定量供给装置
CN117087925B (zh) * 2023-10-16 2023-12-15 烟台金丝猴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糖果定量供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628B1 (ko) 원통 전지 외부탭 용접 방법
KR101900403B1 (ko) 원통 전지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접 장치
KR20220077551A (ko) 파우치 자동포장기
JPH0955598A (ja) チップ供給装置
CN209157573U (zh) 模块化装配生产线
CN108928525B (zh) 用于手电筒的包装设备及包装工艺
CN211051839U (zh) 一种自动摆料机
KR101871377B1 (ko) 렌즈배럴용 레이저 마킹장치
CN212333080U (zh) 一种移液吸头自动装盒机
WO2022269460A1 (en) Apparatus for the packaging of containers of devices for pharmaceutical use
KR20220077550A (ko) 파우치 자동포장기
CN110461743B (zh) 纸页类处理装置
CN213139245U (zh) 一种手套包装系统
CN111540875A (zh) 一种电池注液机
JP3873982B2 (ja) 蓋付きマイクロプレートの供給装置
CN220974752U (zh) 一种入盒装置
CN218370530U (zh) 血袋码放机构
KR102419936B1 (ko) 용기 픽업 장치
CN217070959U (zh) 一种板材上料台
JP2714524B2 (ja) 箱詰装置
CN214610352U (zh) 自动上料和接收装置
CN217624359U (zh) 一种瓶盖自动装箱机
JP4552040B2 (ja) 中仕切板自動組立装置
CN218554828U (zh) 一种全自动杯子生产线
EP4108576B1 (en) Apparatus for the packaging of containers of devices for pharmaceutical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