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936B1 - 용기 픽업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픽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936B1
KR102419936B1 KR1020210134330A KR20210134330A KR102419936B1 KR 102419936 B1 KR102419936 B1 KR 102419936B1 KR 1020210134330 A KR1020210134330 A KR 1020210134330A KR 20210134330 A KR20210134330 A KR 20210134330A KR 102419936 B1 KR102419936 B1 KR 102419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xis direction
containers
accommodated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석
이대열
Original Assignee
우림이씨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우리에프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림이씨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우리에프엔비 filed Critical 우림이씨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4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8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individually gripped or guided for transfer 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5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용기 픽업 장치는 용기를 픽업함과 아울러 픽업을 통한 패킹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몸체부와,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X축 방향 일측면 및 타측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들의 외주연 일부가 대응될 수 있는 크기의 요홈들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구동부눈 상기 몸체부를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되, 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정렬시키는 상기 용기들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를 상기 요홈들이 바라볼 수 있게 상기 몸체부를 Z축 방향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를 바라보고 있는 상기 요홈들이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를 X축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요홈들을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에 면접시킴과 아울러 상기 면접을 통하여 상기 용기들을 픽업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를 Z 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픽업 장치{APPARATUS FOR PICK UP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 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음료수 등과 같은 내용물을 채워지는 용기를 픽업함과 아울러 픽업을 통한 패킹에도 적용할 수 있는 용기 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 등이 채워지는 용기를 픽업함과 아울러 언급한 픽업을 통하여 용기를 패킹하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할 경우에는 그 처리 속도가 매우 느린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용기 픽업 장치를 마련하여 용기를 픽업 및 패킹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언급한 용기 픽업 장치는 주로 그립퍼(gripper)를 사용하여 용기의 둘레를 그립핑(gripping)함에 용기를 픽업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언급한 용기 픽업 장치의 경우 픽업 및 패킹에 따른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립퍼의 개수를 상대적으로 많이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 구조가 다소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나아가 용기를 그립핑할 때 용기에 가해지는 가압력 등으로 인하여 심각할 경우 용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10-2012928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장치 구조가 매우 간소화면서도 용기의 픽업 및 패킹시 용기에 손상을 거의 가하지 않는 용기 픽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는 용기를 픽업함과 아울러 픽업을 통한 패킹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몸체부와,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X축 방향 일측면 및 타측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들의 외주연 일부가 대응될 수 있는 크기의 요홈들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구동부눈 상기 몸체부를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되, 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정렬시키는 상기 용기들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를 상기 요홈들이 바라볼 수 있게 상기 몸체부를 Z축 방향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를 바라보고 있는 상기 요홈들이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를 X축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요홈들을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에 면접시킴과 아울러 상기 면접을 통하여 상기 용기들을 픽업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를 Z 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요홈들은 Y축 방향으로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용기들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서는 2n(상기 n은 자연수) 개의 줄을 갖도록 수용될 수 있게 구비되는 수용부와,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2n 개의 줄을 갖도록 수용되는 상기 용기들이 상기 Y축 방향으로는 서로 마주하게 수용될 수 있게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용기들을 푸싱시켜 정렬시키는 푸싱부를 더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용기들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서는 상기 2n 개의 줄을 가질 수 있게 구획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수용부에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 아래에서 상기 수용부로 승강 및 하강하도록 구비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수용부에 상기 용기들이 수용되기 이전에 상기 수용부의 아래에서 상기 수용부로 승강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용기들을 상기 푸싱부를 사용하여 상기 용기를 푸싱시키기 이전에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수용부의 아래로 하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상기 용기들이 정해진 개수만큼 수용될 경우 상기 용기들이 상기 수용부로 전진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입구 앞쪽으로 전진하고 있는 상기 용기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압박함에 의해 상기 용기가 상기 수용부로 전진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용기들이 픽업되어 있는 상기 몸체부를 상기 용기의 패킹을 위한 박스 상부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박스 내부에 상기 용기가 놓일 수 있게 위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에 상기 요홈들이 위치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를 Z축 방향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요홈들이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를 바라볼 수 있게 상기 몸체부를 X축 방향으로 후진시키고, X축 방향으로의 후진에 의해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에 바라보고 있는 상기 몸체부를 Z 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용기들을 상기 박스에 패킹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는 용기의 픽업 및 패킹시 용기를 그립핑하는 구조가 아니라 용기의 일부분을 걸친 상태에서 들어 올리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하기 때문에 용기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는 용기의 픽업 및 패킹시 용기를 안정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는 단일 구조물에 용기의 일부분이 걸쳐질 수 있는 부분을 다수개를 갖는 구조로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는 장치 구조의 간소화를 통하여 그 제조 단가까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과제 및 효과는 상기 언급한 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에서의 푸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를 사용하여 용기를 픽업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에서의 구획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를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에서의 푸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를 사용하여 용기를 픽업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에서의 구획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는 음료수 등이 채워지는 용기(10), 예를 들면 PET 용기 등을 픽업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용기(10)를 픽업하는 작업과 함께 용기(10)의 픽업을 통하여 용기(10)를 패킹하는 작업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는 용기(10)의 둘레를 그립핑하여 용기(10)를 픽업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10)의 일부분을 후술하는 몸체부(11)의 요홈(31)에 걸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들어 올림에 의해 용기(10)를 픽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에 적용할 수 있는 용기(1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용기(10)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부(33)가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인데, 언급한 돌출부(33)는 용기(10) 입구 아래쪽에 용기(10)의 핸들링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는 몸체부(11), 구동부(13), 수용부(15), 푸싱부(23), 구획부(51), 차단부(17) 등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1)는 용기(10)의 픽업시 용기(10)의 돌출부(33)가 걸쳐질 수 있게 돌출부(33)의 하부면과 면접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주로 직사각형의 플레이트에 요홈(31)들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11)는 X축 방향이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고 플레이트의 X축 방향 일측면 및 타측면에 요홈(31)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데, 요홈(31)들이 Y축 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더불어 요홈(31)들은 용기(10)들의 외주연 일부가 대응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1)는 언급한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 자체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하우징 내에 언급한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이 수용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언급한 요홈(31)들의 크기인 용기(10)들의 외주연 일부가 대응될 수 있는 크기는 용기(10)들의 외주면 일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용기(10)들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에서 몸체부(11)가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는 정도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의 몸체부(11)에 형성되는 요홈(31)들에 대한 개수를 늘릴 경우 한 번에 작업에 보다 많은 용기(10)들에 대한 픽업 및 패킹 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에는 몸체부(11)를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몸체부(11)가 하나가 구비될 경우 용기(10)의 픽업시 용기(10)는 X축 방향을 따라 두 개의 줄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을 것이고, 몸체부(11)가 두 개가 구비될 경우에는 용기(10)의 픽업시 용기(10)는 X축 방행을 따라 네 개의 줄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는 몸체부(11)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요홈(31)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픽업이 이루어지는 용기(10)들이 X축 방향을 따라서 2n(n은 자연수) 개의 줄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에서의 용기(10)들의 픽업시 용기(10)들을 수용하는 수용부(15)는 용기(10)들이 X축 방향을 따라서는 2n(n은 자연수) 개의 줄을 갖도록 수용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몸체부(11)가 한 개가 구비될 경우 수용부(15)는 용기(10)들이 X축 방향을 따라 두 개의 줄을 갖도록 수용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을 것이고, 몸체부(11)가 두 개가 구비될 경우 수용부(15)는 용기(10)들이 X축 방향을 따라 네 개의 줄을 갖도록 수용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수용부(15)는 몸체부(11)의 아래, 즉 몸체부(11)와 Z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수용부(15)에 수용되는 용기(10)들, 특히 X축 방향을 따라 언급한 2n 개의 줄을 갖도록 수용되는 용기(10)들이 Y축 방향으로는 서로 마주하게 수용되어야만 몸체부(11)가 Z축을 따라 하강할 때 요홈(31)들과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수용부(15)에 수용되는 용기(10)들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푸싱부(23)는 수용부(15)에 수용되는 용기(10)들을 푸싱시켜 정렬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푸싱부(23)는 수용부(15)에 수용되는 용기(10)들을 X축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푸싱시킴과 아울러 Y축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푸싱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주로 실린더 구동에 의해 푸싱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X축 타측 방향 및 Y축 타측 방향은 수용부(15)의 벽면 등과 같이 고정된 구조물일 수 있고, 다만 Y축 타측 방향은 후술하는 차단부(17)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용기(10)들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푸싱부(23)는 수용부(15)에 수용되는 용기(10)들을 X축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푸싱시킴과 아울러 Y축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푸싱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으로써, 마찬가지로 실린더 구동에 의해 푸싱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는 컨베이어(19)를 사용하여 용기(10)들을 수용부(15)로 이송 및 수용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용부(15)에 수용되는 용기(10)들을 분류 부재를 사용하여 좌,우로 정렬되게 함에 의해 수용부(15)에 고르게 용기(10)들이 수용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수용부(15)에는 용기(10)들이 정해진 개수만큼만 수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는 수용부(15)에 용기(10)들이 정해진 개수만큼 수용될 경우 용기(10)들이 수용부(15)로 전진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부(17)는 수용부(15)에 용기(10)들이 정해진 개수만큼 수용될 경우 용기(10)들이 수용부(15)로 전진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즉 컨베이어(19)를 통하여 수용부(15)로 전전하는 용기(10)들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에서의 차단부(17)는 수용부(15), 즉 수용부(15)의 입구 앞쪽으로 전진하고 있는 용기(10)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압박함에 의해 용기(10)가 수용부(15)로 전진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차단부(17)는 수용부(15)의 입구 쪽에 배치되게 위치함과 아울러 Z 방향으로 하강하여 수용부(15)의 입구 앞쪽으로 전진하고 있는 용기(10)를 접촉하여 압박함으로써 용기(10)들이 수용부(15)로 더 이상 전진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언급한 바와 같이, 수용부(15)에 수용되는 용기(10)들은 X축 방향을 따라서는 2n 개의 줄을 갖도록 수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수용부(15)에 수용되는 용기(10)들은 X축 방향을 따라서는 2n 개의 줄을 갖도록 수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구획부(51)는 수용부(15)에 수용되는 용기(10)들이 X축 방향을 따라서는 2n 개의 줄을 가질 수 있게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도 5 및 도 6에서 같이 수용부(15)에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Z 방향을 따라 수용부(15) 아래에서 수용부(15)로 승강 및 하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구획부(51)는 수용부(15)에 용기(10)들이 수용되기 이전에 Z 방향을 따라 수용부(15)의 아래에서 수용부(15)로 승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고, 수용부(15)에 수용된 용기(10)들을 푸싱부(23)를 사용하여 용기(10)를 푸싱시키기 이전에 Z 방향을 따라 수용부(15)에서 수용부(15)의 아래로 하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에서의 구동부(13)는 몸체부(11)를 구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실린더 구동을 통해 몸체부(11)를 상승 및 하강 그리고 일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특히 몸체부(11)를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3)는 도 3에서와 같이 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정렬시키는 용기(10)들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를 몸체부(11)에서의 요홈(31)들이 바라볼 수 있게 몸체부(11)를 Z축 방향으로 하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고, 도 4에서와 같이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를 바라보고 있는 몸체부(11)에서의 요홈(31)들이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게 몸체부(11)를 X축 방향으로 전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고,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몸체부(11)에서의 요홈(31)들을 돌출부(33)의 하부면에 면접시킴과 아울러 면접을 통하여 용기(10)들을 픽업할 수 있게 몸체부(11)를 Z 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3)는 용기(10)들이 픽업되어 있는 몸체부(11)를 용기(10)의 패킹을 위한 박스(21) 상부로 이동시킨 다음 박스(21) 내부에 용기(10)가 놓일 수 있게 위치시킴과 아울러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에 몸체부(11)에서의 요홈(31)들이 위치할 수 있게 몸체부(11)를 Z축 방향으로 하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고,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몸체부(11)에서의 요홈(31)들이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를 바라볼 수 있게 몸체부(11)를 X축 방향으로 후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고, X축 방향으로의 후진에 의해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에 바라보고 있는 몸체부(11)를 Z 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에서의 구동부(13)는 몸체부(11)를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실린더 동작에 의해 몸체부(11)를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는 용기(10)들이 픽업되어 있는 몸체부(11)를 용기(10)의 패킹을 위한 박스(21)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용기(10)들을 픽업한 후 몸체부(11)를 수용부(15) 상부로 다시 이동시킬 수 있게 몸체부(11)를 스윙시키는 스윙 부재 등을 더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는 용기(10)를 픽업하는 작업과 함께 용기(10)의 픽업을 통하여 용기(10)를 패킹하는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용기(10)의 픽업 및 패킹시 용기(10)를 그립핑하는 구조가 아니라 용기(10)의 일부분을 걸친 상태에서 들어 올리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하기 때문에 용기(10)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고, 용기(10)의 일부분이 걸쳐질 수 있는 부분, 즉 요홈(31)들을 몸체부(11)에 다수개를 갖는 구조로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를 사용하는 용기의 픽업 및 패킹 작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컨베이어(19)를 통하여 수용부(15)로 용기(10)들이 수용될 수 있고, 이때 구획부(51)가 상승되어 있음에 따라 용기(10)들이 X축 방향을 따라서는 2n 개의 줄을 갖도록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분류 부재가 수용부(15)에 수용되는 용기(10)들이 좌,우로 정렬되게 수용되도록 함에 의해 수용부(15)에 고르게 용기(10)들이 수용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15)에 정해진 개수만큼 용기(10)들이 수용될 경우 차단부(17)를 사용하여 수용부(15)로 용기(10)들이 더 이상 전진하는 것을 차단시킴과 아울러 구획부(51)를 수용부(15)의 아래로 하강시키고, 그리고 푸싱부(23)를 사용하여 수용부(15)에 수용되어 있는 용기(10)들이 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수용될 수 있게 정렬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구동부(13)를 사용하여 몸체부(11)를 Z축 방향을 따라 하강시키는데, 용기(10)들에서의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를 몸체부(11)의 요홈(31)들이 바라볼 수 있는 위치까지 몸체부(11)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를 바라보고 있는 몸체부(11)의 요홈(31)들이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게 구동부(13)를 사용하여 몸체부(11)를 X축 방향으로 전진시킨 다음 몸체부(11)를 하강시킨 것과 반대로 구동부(13)를 사용하여 몸체부(11)를 Z 방향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요홈(31)들을 돌출부(33)의 하부면에 면접시킴과 아울러 면접을 통하여 용기(10)들을 픽업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10)들이 픽업되어 있는 몸체부(11)를 용기(10)들의 패킹을 위한 박스(21) 상부로 이동시킨 다음 박스(21) 내부에 용기(10)들이 놓일 수 있게 위치시킴과 아울러 용기(10)들의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에 몸체부(11)에서의 요홈(31)들이 위치할 수 있게 구동부(13)를 사용하여 몸체부(11)를 Z축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몸체부(11)에서의 요홈(31)들이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를 바라볼 수 있게 구동부(13)를 사용하여 몸체부(11)를 X축 방향으로 후진시킬 수 있고, X축 방향으로의 후진에 의해 용기(10)들의 돌출부(33)의 하부면 아래에 바라보고 있는 몸체부(11)를 Z 방향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용기(10)들을 박스(21)에 패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100)는 용기(10)의 픽업 및 패킹시 용기(10)를 들어 올리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장치 구조가 매우 간소화면서도 용기(10)들의 픽업시 용기(10)에 손상을 거의 가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는 음료수 등이 채워지는 용기를 취급하는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고, 화장품 등이 채워지는 용기를 취급하는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미용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고, 약품 등이 채워지는 용기를 취급하는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픽업 장치는 용기의 취급이 가능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 그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용기 11 : 몸체부
13 : 구동부 15 : 수용부
17 : 차단부 19 : 컨베이어
21 : 박스 23 : 푸싱부
31 : 요홈 33 : 돌출부
51 : 구획부 100 : 용기 픽업 장치

Claims (8)

  1. 용기를 픽업함과 아울러 픽업을 통한 패킹에도 적용할 수 있는 용기 픽업 장치에 있어서,
    X축 방향 일측면 및 타측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들의 외주연 일부가 대응될 수 있는 크기의 요홈들을 갖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되, 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정렬시키는 상기 용기들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를 상기 요홈들이 바라볼 수 있게 상기 몸체부를 Z축 방향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를 바라보고 있는 상기 요홈들이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를 X축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요홈들을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에 면접시킴과 아울러 상기 면접을 통하여 상기 용기들을 픽업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를 Z 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픽업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들은 Y축 방향으로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픽업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들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서는 2n(상기 n은 자연수) 개의 줄을 갖도록 수용될 수 있게 구비되는 수용부; 및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2n 개의 줄을 갖도록 수용되는 상기 용기들이 상기 Y축 방향으로는 서로 마주하게 수용될 수 있게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용기들을 푸싱시켜 정렬시키는 푸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픽업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용기들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서는 상기 2n 개의 줄을 가질 수 있게 구획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수용부에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 아래에서 상기 수용부로 승강 및 하강하도록 구비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픽업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수용부에 상기 용기들이 수용되기 이전에 상기 수용부의 아래에서 상기 수용부로 승강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용기들을 상기 푸싱부를 사용하여 상기 용기를 푸싱시키기 이전에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수용부의 아래로 하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픽업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상기 용기들이 정해진 개수만큼 수용될 경우 상기 용기들이 상기 수용부로 전진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픽업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입구 앞쪽으로 전진하고 있는 상기 용기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압박함에 의해 상기 용기가 상기 수용부로 전진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픽업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용기들이 픽업되어 있는 상기 몸체부를 상기 용기의 패킹을 위한 박스 상부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박스 내부에 상기 용기가 놓일 수 있게 위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에 상기 요홈들이 위치할 수 있게 상기 몸체부를 Z축 방향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요홈들이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를 바라볼 수 있게 상기 몸체부를 X축 방향으로 후진시키고, X축 방향으로의 후진에 의해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 아래에 바라보고 있는 상기 몸체부를 Z 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용기들을 상기 박스에 패킹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픽업 장치.
KR1020210134330A 2021-10-08 2021-10-08 용기 픽업 장치 KR10241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330A KR102419936B1 (ko) 2021-10-08 2021-10-08 용기 픽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330A KR102419936B1 (ko) 2021-10-08 2021-10-08 용기 픽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936B1 true KR102419936B1 (ko) 2022-07-12

Family

ID=8241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330A KR102419936B1 (ko) 2021-10-08 2021-10-08 용기 픽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93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5223A (ja) * 2005-01-28 2010-12-24 Kao Corp 容器搬送具
KR101300385B1 (ko) * 2012-03-30 2013-08-26 백경율 액체용기의 팩킹장치
KR101373553B1 (ko) * 2013-01-14 2014-03-12 케이시시정공 주식회사 병 이송장치
US20180282004A1 (en) * 2017-04-02 2018-10-04 Gérard Béland Bottle transfer apparatus
CN208278387U (zh) * 2018-06-13 2018-12-25 湖北澳利龙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饮料瓶组随行夹具
KR102012928B1 (ko) 2018-03-29 2019-08-21 박준희 포장용기 적재장치
CN112389712A (zh) * 2020-11-12 2021-02-23 利康医药科技江苏有限公司 免洗手消毒凝胶生产线的自动瓶装箱装置
CN213384882U (zh) * 2020-02-05 2021-06-08 宇厚企业有限公司 智能分瓶容器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5223A (ja) * 2005-01-28 2010-12-24 Kao Corp 容器搬送具
KR101300385B1 (ko) * 2012-03-30 2013-08-26 백경율 액체용기의 팩킹장치
KR101373553B1 (ko) * 2013-01-14 2014-03-12 케이시시정공 주식회사 병 이송장치
US20180282004A1 (en) * 2017-04-02 2018-10-04 Gérard Béland Bottle transfer apparatus
KR102012928B1 (ko) 2018-03-29 2019-08-21 박준희 포장용기 적재장치
CN208278387U (zh) * 2018-06-13 2018-12-25 湖北澳利龙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饮料瓶组随行夹具
CN213384882U (zh) * 2020-02-05 2021-06-08 宇厚企业有限公司 智能分瓶容器装置
CN112389712A (zh) * 2020-11-12 2021-02-23 利康医药科技江苏有限公司 免洗手消毒凝胶生产线的自动瓶装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3661A (en) Handling device for articles or containers
EP1924504B1 (en) Process and automatic system for orderly packaging of plastic preforms in carton boxes
US7104748B2 (en) Methods for use with tray-based integrated circuit device handling systems
KR101939565B1 (ko) 오토 트레이 패킹 시스템
US20190217976A1 (en) Lidding machine and method
US20220111538A1 (en) End effector and robot with the same
CN111908003A (zh) 摩天轮料库系统
KR102419936B1 (ko) 용기 픽업 장치
CN219123186U (zh) 一种半导体模组芯片溅镀制程后的高精度顶胶取放设备
CN207061296U (zh) 一种自动收纳设备
CN207943228U (zh) 一种装填流水线设备
CN213443302U (zh) 吹塑瓶自动装箱机
CN210761528U (zh) 一种太阳能芯片装盒设备
CN116323444A (zh) 重新布置陶瓷制品的组合中的陶瓷制品的搬运方法和机器
KR20220077551A (ko) 파우치 자동포장기
KR101704618B1 (ko)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CN112124683A (zh) 吹塑瓶自动装箱机
WO2003024803A3 (en)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articles into a folded blank
IT201800006715A1 (it) Attrezzatura e metodo per l’imballaggio di oggetti
KR102417033B1 (ko) 밀폐용기의 패킹 삽입장치
CN218907884U (zh) 一种自动护角机
CN212951386U (zh) 一种自动摆盘包装装置
CN212580997U (zh) 一种防止箱体掉落的码垛机
CN217626319U (zh) 插片自动化设备
JP6043509B2 (ja) 箱詰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