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064A - 다용도 주방 냄비 - Google Patents

다용도 주방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064A
KR20220077064A KR1020210104569A KR20210104569A KR20220077064A KR 20220077064 A KR20220077064 A KR 20220077064A KR 1020210104569 A KR1020210104569 A KR 1020210104569A KR 20210104569 A KR20210104569 A KR 20210104569A KR 20220077064 A KR20220077064 A KR 20220077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t
lower outer
heating tube
o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625B1 (ko
Inventor
팡인 잉
밍유 펑
구오정 린
윈칭 후
Original Assignee
저지앙 라팀 키친웨어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저지앙 라팀 키친웨어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저지앙 라팀 키친웨어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7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4/00Multi-purpose machines for preparing food with several driving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6Shields or jackets for cooking utensils minimising the radiation of heat, fastened or movably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0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5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부엌 냄비를 공개하는 데, 냄비 받침대, 냄비 및 냄비 뚜껑이 포함된다. 냄비 받침대는 외부 케이스, 제어기, 단열 케이스, 장착 내부 케이스, 팬 및 가열 튜브로 조성되어 있다. 하단 외부 케이스 측면에는 통풍구와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기는 하단 외부 케이스 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단열 케이스와 장착 내부 케이스의 밑부분은 오픈 설정으로 되어 있고 단열 케이스는 외부 케이스 바닥 부분에 고정시켰으며 팬은 단열 케이스의 안쪽에 고정시켰고 팬과 제어기는 전기 연결되어 있다. 장착 내부 케이스는 단열 케이스 안쪽 상단에 고정시켰고 가열 튜브는 장착 내부 케이스 안쪽 벽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었다. 가열 튜브의 터치 레버가 한쪽에 설치되어 있고, 장착 내부 케이스에 홈이 있으며, 단열 케이스에 액티브 스위치를 장착했다. 액티브 스위치를 콘센트와 연결시켰고 터치 레버가 홈에 접합되면 액티브 스위치와 전기 연결된다. 냄비는 가열 용 튜브 위에 놓고 가열하고 뚜껑은 하단 외부 케이스 위에 놓는다.

Description

다용도 주방 냄비 {MULTIFUNCTIONAL KITCHEN COOKER}
본 발명은 일종의 주방 기구이며 다용도 주방 냄비에 관한 발명이다.
생산과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요리 방식에 대한 욕구가 생겨났으며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냄비들은 대부분 기능이 단일하다. 예를 들면 전기 프라이팬은 오직 지지고 굽는 방식으로만 음식을 가공할 수 있다면 에어프라이어는 오직 에어. 튀김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반드시 여러 개의 서로 다른 기능의 팬을 갖추어야 서로 다른 조리 방식을 실현할 수 있다. 돈도 많이 들고 공간도 낭비되고 사용도 불편하며 저장 공간도 많이 필요하게 된다. 전통적인 팬은 세척하기 어렵고 시간도 많이 든다.
그러므로 이 분야의 기술자들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는 다용도 주방 냄비로 하나로 다양한 조리 방식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하기 편리하고 다양한 조리 모드를 전환하여 다양한 조리 효과를 낼 수 있는 다용도 주방 냄비를 제공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을 사용했다. 다용도 주방 냄비는 냄비 받침대, 냄비 및 냄비 뚜껑을 포함한다. 상술한 냄비 받침대는 하단 외부 케이스, 단열 케이스, 장착 내부 케이스, 제어기, 팬 및 가열 튜브로 조성되어 있다.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 측면에는 풍구와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단열 케이스와 장착 내부 케이스의 밑부분은 오픈 설정으로 되어 있고 상술한 단열 케이스는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에 고정시켰으며 또한 둘 사이에는 단열 간격이 있다. 상술한 제어기는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술한 콘센트와 전기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팬은 단열 케이스의 안쪽 바닥 오픈된 곳에 연결되어 있고 상술한 팬과 상술한 제어기는 전기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장착 내부 케이스는 단열 케이스 안쪽 상단 끝 부분에 고정시켰고 상술한 가열 튜브는 장착 내부 케이스 안쪽 벽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했다.
상술한 가열 튜브의 터치 레버가 한쪽에 설치 되어 있고, 상술한 장착 내부 케이스에 측면 상단 홈에 접합되며 상술한 단열 케이스에 액티브 스위치를 장착했다. 또한 단열 케이스 액티브 스위치 상단 변두리에 배수조를 설치했으며 상술한 액티브 스위치를 콘센트와 전기 연결시켰다. 상술한 터치 레버를 상술한 홈에 접합해 액티브 스위치에 전기 연결 시켰다. 상술한 냄비는 가열 튜브 위에 놓고 가열 튜브 발열을 통해 냄비를 가열하고 상술한 뚜껑은 하단 외부 케이스 상단 부에 덮는다.
정성 들여 고른 상술한 냄비는 프라이팬, 에어프라이어, 스팀팬, 볶음팬, 수프팬의 임의의 종류이며, 가열 튜브 위에 올려놓고 음식을 가열할 수 있다.
정성 들여 고른 상술한 에어프라이어는 음식물 바스켓 및 기름 받침대를 포함한다. 기름 받침대는 루프형 홈 형태이며, 그 끝 부분에 냄비 귀가 있으며, 받침대는 장착 내부 케이스의 상단 계단 부위에 연결한다. 상술한 음식물 바스켓 아래쪽 고리에 지지대를 설치했고, 상술한 지지대는 상술한 기름 받침대 내에 접합되며 상술한 솥뚜껑은 상술한 음식물 바스켓의 바깥측 하단 외부 케이스 상단에 설치한다. 상술한 장착 내부 케이스의 안쪽 벽은 상술한 기름 받침대의 외곽 부위에 바람 유입 통로를 형성했고, 상술한 음식물 바스켓의 중부가 융기하여 상술한 기름 받침대의 안쪽 부위와 환풍 통로를 형성했다.
정성 들여 고른 상술한 팬에는 모터, 제1팬 층 및 제2팬 층이 포함되며, 상술한 모터는 지지대와 상술한 단열 케이스에 고정하여 연결했다. 상술한 제1팬 층 및 제2팬 층은 각각 상술한 모터의 출력 축에 전동 연결되었고 모터에서 순차적으로 떨어지게 설치했다. 상술한 제1팬 층은 상술한 단열 케이스의 안쪽에 위치하고 상술한 설치 내부 케이스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술한 제2팬 층은 상술한 장착 내부 케이스의 안쪽에 위치한다.
정성 들여 고른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의 안쪽 벽과 장착 내부 케이스의 바깥쪽에 모두 누전 방지 접지선 연결 단자를 설치했고, 상술한 가열 튜브 위에 누전 방지 접지선 조인트를 설치했다.
정성 들여 고른 상술한 장착 내부 케이스는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상술한 가열 튜브의 하부에 통풍구를 설치했고, 상술한 단열 케이스에 통풍구를 설치했으며, 상술한 풍구, 통풍구와 풍구의 위치에 대응된다.
정성 들여 고른 상술한 상술한 장착 내부 케이스의 하단 끝 부분에 배수구를 설치했고, 상술한 배수구의 하단에 배수관을 연결하여 배수로를 형성했으며, 상술한 배수로는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 외부까지 통한다.
정성 들여 고른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의 하단에 여러 개의 방열구를 설치했고,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의 하단에 여러 개의 다리를 설치했으며,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의 밑 부분과 지면이 일정한 거리를 둔다.
정성 들여 고른 상술한 단열 케이스에 온도 감지기를 설치했다. 상술한 온도 감지기의 온도 감지 헤드는 장착 내부 케이스를 통과하여 냄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술한 온도 감지기는 상술한 제어기와 전기 연결된다.
정성 들여 고른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의 풍구는 입풍구와 출풍구를 포함하며, 상술한 입풍구는 상술한 출풍구의 양쪽에 위치하며, 상술한 콘센트는 상술한 출풍구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정성 들여 고른 상술한 장착 내부 케이스 위에 지지대를 설치했고, 상술한 가열 튜브의 지지대는 상술한 지지대에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냄비 받침대는 하단 외부 케이스, 단열 케이스, 장착 내부 케이스, 팬, 제어기, 가열 튜브로 조성되었다. 단열 케이스는 단열 효과가 뛰어나고, 가열 튜브는 냄비를 가열하기 위해 장착 내부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으며, 조리법에 따라 각각 다른 냄비를 사용할 수 있다. 가열 튜브에 전기로 열을 가해 냄비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 튜브의 터치 레버는 액티브 스위치와 연결되어 가열 튜브를 뒤집으면 자동으로 전원이 꺼진다. 다른 냄비를 교체하여 가열 튜브 위에 올려 놓고 제어기를 통해 가열 온도 및 팬의 사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다른 조리 방식을 선택 완성한다. 안전성이 높고 사용이 편리하며 자유로이 냄비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조리 방식을 선택 할 수 있으며 통용성이 뛰어나고 편리하며 적응성이 강하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 냄비 기기의 냄비 받침대 분해도이다.
도면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 냄비 사용 실시 예1 안내도이다.
도면 3은 본 신형 다용도 주방 냄비 사용 실시 예2 안내도이다.
도면 4는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 냄비의 받침대 안내도 1이다.
도면 5는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 냄비의 받침대 안내도 2이다.
도면 6은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 냄비의 받침대 안내도 3이다.
도면 7은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 냄비의 받침대 A-A 단면 안내도이다.
도면 8은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 냄비의 단열 케이스 및 팬 조립 위치 안내도이다.
도면 9는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 냄비의 단열 케이스 B-B 단면 안내도이다.
도면 10은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 냄비의 팬 조립 안내도이다.
도면 11은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 냄비의 장착 내부 케이스 안내도이다.
도면 12는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 냄비의 장착 내부 케이스의 배수구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면 13은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 냄비 에어프라이어 안내도이다.
도면 14는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 냄비의 에어프라이어 풍향 안내도이다.
도면 15는 본 발명의 다용도 주방 냄비의 스팀팬 사용 안내도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 사례 중의 첨부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 실시 사례 기술 방안에 대하여 명료하고 완전하게 설명할 것이며, 설명한 실시 사례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사례일 뿐, 전체 실시 사례는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사례에 근거하여,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가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 전제 하에 취득한 모든 기타 실시 사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실시 사례 1
냄비를 에어프라이어 냄비를 선택할 경우, 본 발명 첨부 도면 1,3부터 14까지 참조한다. 본 발명 실시 사례에 근거하여 다용도 주방 냄비는 냄비 받침대1 냄비2 냄비 뚜껑3이 포함된다. 상술한 냄비 받침대1는 하단 외부 케이스101, 단열 케이스103, 장착 내부 케이스104, 제어기102, 팬105및 가열 튜브106로 조성되어 있다. 하단 외부 케이스101측면에는 풍구4와 콘센트5가 설치되어 있다. 단열 케이스103와 장착 내부 케이스104의 밑부분은 오픈 설정으로 되어 있고 단열 케이스103는 하단 외부 케이스101에 고정시켰으며 또한 둘 사이에는 단열 간격이 있다. 제어기102는 하단 외부 케이스101에 고정되어 있으며 콘센트5와 전기 연결되어 있다. 팬105은 단열 케이스103의 안쪽 바닥 오픈된 곳에 연결되어 있고 팬105과 제어기102는 전기 연결되어 있다. 장착 내부 케이스104는 단열 케이스103 안쪽 상단 끝 부분에 고정시켰고 가열 튜브106는 장착 내부 케이스104 안쪽 벽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가열 튜브106의 터치 레버1061가 한쪽에 설치 되어 있고 장착 내부 케이스104에 측면 상단 홈10에 접합되며 단열 케이스103에 액티브 스위치9를 장착했다. 또한 단열 케이스의 액티브 스위치9 상단 변두리에 배수조11를 설치했으며 배수조의 설정은 터치 레버가 내려와 배전될 때 주변의 물을 끌어와 터치 레버가 접촉된 위치의 감수를 방지한다. 액티브 스위치9가 콘센트와 전기 연결시키고 터치 레버1061가 홈10에 접합되면 스위치에 전기가 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에어프라이어 팬은 음식물 바스켓201과 기름 받침대202를 포함한다. 기름 받침대202는 루프형 홈 형태이며, 그 끝 부분에 귀16를 설치했으며, 귀16는 장착 내부 케이스104의 상단 계단 부위에 연결했다. 음식물 바스켓201 아래쪽 고리에 지지대17를 설치했고, 지지대17는 기름 받침대202 내에 접합되며 솥뚜껑3은 음식물 바스켓201의 바깥측 하단 외부 케이스101 상단에 설치한다. 장착 내부 케이스104의 안쪽 벽은 기름 받침대202의 외곽 부위에 공기 유입 통로를 형성했고, 상술한 음식물 바스켓201의 중부가 융기하여 상술한 기름 받침대202의 안쪽 부위와 환풍 통로를 형성했다. 가열 튜브 106의 터치 레버1061는 홈10에 접합되며 액티브 스위치에 전기 연결시켰고 냄비 뚜껑3은 하단 외부 케이스의 상단 부에 덮는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팬105에는 모터1051, 제1팬 층1052 및 제2팬 층1053이 포함된다. 모터1051는 지지대와 단열 케이스103에 고정하여 연결했다. 제1팬 층1052 및 제2팬 층1053은 각각 모터1051의 출력 축에 전동 연결되었고 모터에서 순차적으로 떨어지게 설치했다. 제1팬 층1052은 상술한 단열 케이스103의 안쪽에 위치해 있고 설치 내부 케이스104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술한 제2팬 층1053은 상술한 장착 내부 케이스104의 안쪽에 위치한다.
팬이 작동하면 열풍은 유입 통로18에서 음식물 바스켓 안으로 들어가 음식물 바스켓 안의 음식물을 가열시키고, 기류는 음식물 바스켓 중부의 융기 부위20를 거쳐 환풍 통로19로 들어가서 다시 장착 내부 케이스, 단열 케이스 및 하단 외부 케이스의 풍구, 통풍구 및 풍구에서 공기를 출입 시켜 에어 순환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치 레버1061는 액티브 스위치와 전기 연결될 수 있다. 터치 레버는 가열 튜브의 한쪽에 설치해 있고 가열 튜브를 뒤집어 냄비를 세척할 때 자동으로 전기가 차단되며 회로의 안전성을 높였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단 외부 케이스101의 안쪽 벽과 장착 내부 케이스의 바깥쪽에 모두 누전 방지 접지선 연결 단자22를 설치했고, 가열 튜브 위에 누전 방지 접지선 조인트21를 설치하여 감전 방지 능력을 높였다.
더 한층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단 외부 케이스101의 바닥에 여러 개의 다리8를 설치했다. 하단 외부 케이스101의 밑 부위와 지면에 일정한 거리가 있어 물을 유출시키는 데 유리하며 하단 외부 케이스가 물에 쉽게 젖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열 케이스103에 온도 감지기7를 설치했다. 온도 감지기7의 온도 감지 헤드701는 장착 내부 케이스를 통과하여 가열 튜브106의 하단에 위치해 있다. 에어프라이어 사용 시 온도 감지 헤드701는 음식물 바스켓 안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온도 감지기7는 제어기102와 전기 연결되어 온도 감지기를 통해 음식물 바스켓 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기를 통해 가열 온도를 제어 가능하며 조절이 용이하여 좋은 조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단 외부 케이스101의 풍구4는 입풍구401와 출풍구402를 포함한다. 상술한 입풍구401는 출풍구402의 양쪽에 위치하고, 콘센트5는 출풍구402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바람의 흐름을 최적화한다. 팬을 통해 가열된 바람을 유입 통로18를 통해 음식물 바스켓의 음식물 표면을 통과하여 음식물을 가열시키고 기름 량을 줄이며 환풍 통로19를 통해 순환 가열한다. 하단 외부 케이스에 풍구를 개설하여 부품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 설계를 최적화 했으며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식물 바스켓 밑의 융기 부위20로 기름을 쉽게 모집할 수 있고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다. 음식물의 기름이 흘러 나오면 기름 받침대 안에 모아서 세척하기도 쉽다.
실시 사례 2
프라이팬을 선택할 때, 본 발명 첨부 도면 1,2,4부터 12까지 참조한다. 실시 사례에 따라 본 발명은 냄비 받침대1, 프라이팬 2' 및 프라이팬 뚜껑3'을 포함한다. 냄비 받침대1는 하단 외부 케이스101, 단열 케이스103, 장착 내부 케이스104, 제어기102, 팬105 및 가열 튜브106로 조성되어 있다. 하단 외부 케이스101에는 하단 외부 케이스 측면에는 풍구4와 콘센트5가 설치되어 있다. 단열 케이스103와 장착 내부 케이스104의 밑부분은 오픈 설정으로 되어 있고 단열 케이스103는 하단 외부 케이스101에 고정시켰다. 또한 둘 사이에는 단열 간격이 있으며 제어기102는 하단 외부 케이스101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술한 콘센트5와 전기 연결되어 있다. 팬105는 단열 케이스의 안쪽에 연결되어 있다. 송풍105기와 제어기102는 전기 연결되어 있으며 장착 내부 케이스104는 단열 케이스103 안쪽 상단 끝 부분에 고정시켰고 상술한 가열 튜브106는 장착 내부 케이스104는 안쪽 벽에 연결시켰으며 가열 튜브106는 회전 가능하다. 이는 가열 튜브106를 회전하여 냄비를 세척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가열 튜브106의 터치 레버1061가 한쪽에 설치 되어 있고, 장착 내부 케이스104에 측면 상단 홈10에 설치했으며 단열 케이스103에 액티브 스위치9를 장착했다. 또한 단열 케이스의 액티브 스위치9 상단 변두리에 배수조11를 설치했으며 액티브 스위치9를 콘센트와 전기 연결시켰다. 터치 레버1061를 홈10에 접합해 액티브 스위치와 전기 연결시켰다. 프라이팬2'은 가열 튜브106 위에 놓고 가열 튜브 발열을 통해 프라이팬2'을 가열하고 프라이팬 뚜껑3'은 하단 외부 케이스 상단에 덮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프라이팬은 장착 내부 케이스의 상단 계단 부위에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치 레버1061는 액티브 스위치9와 전기 연결되며 터치 레버는 가열 튜브의 한쪽에 설치했다. 가열 튜브를 뒤집어 냄비를 세척할 때 자동으로 전기가 끊기게 함으로써 전기 회로의 안전성을 높였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액티브 스위치는 액티브 레버 901와 다이얼 902로 조성되었다. 터치 레버가 액티브901의 상단에 닿아, 상단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액티브 레버 901 하단의 다이얼 902를 함께 아래로 이동시켜, 다이얼 902과 스위치를 전기 연결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착 내부 케이스의 바깥쪽에는 누전 방지를 위한 접지선 연결 단자22를 설치했고 가열 튜브106에는 누전 방지를 위한 접지선 조인트21를 설치하여 가열 튜브의 누전을 방지하고 주방 기구의 감전 방지 능력을 높였다.
더 한층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착 내부 케이스에 지지대12를 설치했다. 가열 튜브106의 지지대를 지지대12에 끼울 수 있으며 가열 튜브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더 한층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단 외부 케이스101의 하단에 여러 개의 방열구15를 설치했고, 하단 외부 케이스의 하단에 여러 개의 다리8를 설치했으며, 하단 외부 케이스101의 밑 부분과 지면이 일정한 거리를 두어 물을 쉽게 배출해 낼 수 있다. 외부 하단 케이스에 물에 쉽게 젖지 않으며, 바람 흡입과 열 방출에 유리하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착 내부 케이스104의 하단 끝 부분에 배수구14를 설치했고, 배수구14의 하단에 배수관을 연결하여 배수로6를 형성했으며, 배수로6는 하단 외부 케이스101 외부까지 통한다. 사용 시 단열 케이스 내의 기름과 물을 쉽게 배출되며, 또한 냄비 바깥쪽의 기름과 물을 하단 외부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수구 변두리는 계단 모양이고 사용시 배수구 주위의 계단 막이 작용으로 인해 유수 오물이 주위 변두리로 모인다. 청결 시, 티슈나 행주로 닦아주면 청결이 용이하고, 유수 오물이 직접 탁상까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고객 사용에 편리함을 준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열 케이스103에 온도 감지기7를 설치했다. 온도 감지기7의 온도 감지 헤드701는 장착 내부 케이스를 통과하여 냄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요리 온도 조절이 용이하다. 온도 감지기7는 제어기102와 전기 연결되어 온도 감지기를 통해 가열 튜브의 가열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기를 통해 가열 온도를 제어하여 좋은 요리 효과를 얻을 있다. 제어기 바깥 쪽에는 여러 기능 설정 버튼과 디스플레이를 통해 쉽게 제어 가능하다.
프라이팬을 사용할 때, 팬을 작동시키는데 이는 받침대 안의 열을 분산시켜 주고 프라이팬을 보호해 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타 일부 실시 사례에서, 조리 방식의 선택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스팀팬, 볶음팬, 스프팬을 선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음식을 요리할 수 있다. 일일이 설명하지 않는다.
도면 15에 표시된 것은 스팀팬 조합 도면이다. 스팀팬을 사용할 때, 스팀팬 뚜껑3''은 스팀팬2'' 위에 놓고, 스팀팬2''는 가열 튜브 위에 놓으며 스팀팬 안의 음식을 가열해 준다.
본 발명은 다용도 주방 냄비로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리 방식에 따라 다른 식감의 음식을 얻을 수 있다. 가열 튜브는 장착 케이스 안쪽 벽에 설치했으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가열 튜브를 뒤집어 냄비를 세척하는 데 편리하다.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고 적용 성이 강하며 사용 비용이 낮다.
실시 사례에서 공개된 장치와 사용방법은 실시 사례에서 공개된 방법과 같아 비교적 간단하게 설명하며 관련 사용 방법 부분 설명을 참고하면 된다.
공개된 실시 사례에 대한 상술한 설명은 본 분야의 전문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현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사례에 대한 여러 가지 수정은 이 분야의 전문 기술자에게서 흔히 볼 수 있을 것이며 본 문서에서 정의한 일반적인 원리는 본 발명의 목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다른 실시 사례에서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문서에 나타난 이러한 실시 사례에만 국한되지 않고, 본 문서에 공개된 원리와 참신한 특징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되어야 한다.
1 냄비 받침대, 101 하단 외부 케이스, 102 제어기, 103 단열 케이스, 104 장착 내부 케이스, 105 팬, 1051 모터, 1052 제1팬 층, 1053 제2 팬 층, 106 가열 튜브, 1061 터치 레버, 2 냄비, 201 음식물 바스켓, 202기름 받침대, 2'프라이팬, 2''스팀팬, 3솥 뚜껑, 3'프라이팬 뚜껑, 3''스팀팬 뚜껑, 4 풍구, 401 입풍구, 402 출풍구, 5 콘센트, 6 배수로, 7 온도 감지기, 701 온도 감지 헤드, 8 다리, 9 액티브 스위치, 901 액티브 레버, 902 다이얼, 10 홈, 11 배수조, 12 지지대, 13 통풍구, 14 배수구, 15 방열구, 16 귀, 17 지지대, 18 공기 유입 통로, 19 환풍 통로, 20 융기 부위, 21 접지선 조인트, 22 접지선 연결 단자.

Claims (10)

  1. 냄비 받침대 (1), 냄비(2), 냄비 뚜껑(3)을 포함하는 다용도 주방 냄비에 있어서,
    상술한 냄비 받침대(1)는 하단 외부 케이스(101), 단열 케이스(103), 장착 내부 케이스(104), 제어기(102), 팬(105)및 가열 튜브(106)로 조성되어 있고,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101)에는 하단 외부 케이스 측면에는 풍구(4)와 콘센트(5)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단열 케이스(103)와 장착 내부 케이스(104)의 밑부분은 오픈 설정으로 되어 있고 상술한 단열 케이스(103)는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 (101)에 고정시켰다. 또한 둘 사이에는 단열 간격이 있으며 상술한 제어기(102)는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101)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술한 콘센트(5)와 전기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팬(105)은 단열 케이스(103)의 안쪽 바닥 오픈된 곳에 연결되어 있고 상술한 팬(105)과 상술한 제어기(102)는 전기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장착 내부 케이스(104)는 단열 케이스(103) 안쪽 상단 끝 부분에 고정시켰고 상술한 가열 튜브(106)는 장착 내부 케이스(104) 안쪽 벽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시켰다.
    상술한 가열 튜브(106)의 터치 레버(1061)가 한쪽에 설치 되어 있고, 상술한 장착 내부 케이스(104)에 측면 상단 홈(10)에 접합되며 상술한 단열 케이스(103)에 액티브 스위치(9)를 장착했고 또한 단열 케이스에 액티브 스위치(9)의 상단 변두리에 배수조(11)를 설치했으며 상술한 액티브 스위치(9)를 콘센트와 전기 연결시켰다. 상술한 터치 레버(1061)를 상술한 홈(10)에 접합해 액티브 스위치와 전기 연결 시켰다. 상술한 냄비(2)는 가열 튜브(106) 위에 놓고 가열 튜브 발열을 통해 냄비(2)를 가열하고 상술한 뚜껑(3)은 하단 외부 케이스 상단 부에 덮는다.
  2. 제1항에 있어서
    다용도 주방 냄비의 특징으로 상술한 냄비(2)는 프라이팬, 에어프라이어, 스팀팬, 볶음팬 및 수프팬의 임의의 종류이며, 가열 튜브(106) 위에 놓고 냄비의 음식을 가열할 수 있다.
  3. 제2항에 있어서
    다용도 주방 냄비 특징으로 에어프라이어는 음식물 바스켓(201)과 기름 받침대(202)를 포함하며, 기름 받침대 (202)는 루프형 홈 형태이며, 그 끝 부분에 귀(16)를 설치했고, 받침대(16)는 장착 내부 케이스(104)의 상단 계단 부위에 놓는다. 상술한 음식물 바스켓(201) 아래쪽 고리에 지지대(17)를 설치했고, 상술한 지지대(17)는 상술한 기름 받침대(202) 내에 접합되며 상술한 솥뚜껑(3)은 상술한 음식물 바스켓(201)의 바깥측 하단 외부 케이스(101) 상단에 설치한다. 상술한 장착 내부 케이스(104)의 안쪽 벽은 상술한 기름 받침대(202)의 외곽 부위에 공기 유입 통로(18)를 형성했고, 상술한 음식물 바스켓(201)의 중부가 융기하여 상술한 기름 받침대(202)의 안쪽 부위와 환풍 통로(19)를 형성했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다용도 주방 냄비의 특징으로 팬(105)에는 모터(1051), 제1팬 층(1052) 및 제2팬 층(1053)이 포함되며, 상술한 모터(1051)는 지지대와 상술한 단열 케이스(103)에 고정하여 연결했다. 상술한 제1팬 층(1052) 및 제2팬 층(1053)은 각각 상술한 모터(1051)의 출력 축에 전동 연결되었고 모터에서 순차적으로 떨어지게 설치했다. 상술한 제1팬 층(1052))은 상술한 단열 케이스(103)의 안쪽에 위치하고 상술한 설치 내부 케이스(104)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술한 제2팬 층(1053)은 상술한 장착 내부 케이스(104)의 안쪽에 위치한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다용도 주방 냄비의 특징으로 하단 외부 케이스(101)의 안쪽 벽과 장착 내부 케이스(104)의 바깥쪽에 모두 누전 방지 접지선 연결 단자(22)를 설치했고, 상술한 가열 튜브(106) 위에 누전 방지 접지선 조인트(21)를 설치했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다용도 주방 냄비의 특징으로 상술한 장착 내부 케이스(104)는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상술한 가열 튜브(106)의 하부에 통풍구(13)를 설치했고, 상술한 단열 케이스(103)에 통풍구를 설치했으며, 상술한 풍구, 통풍구(13)와 풍구(4)의 위치는 대응된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다용도 주방 냄비의 특징으로 상술한 장착 내부 케이스(104)의 하단 끝 부분에 배수구(14)를 설치했고, 상술한 배수구(14)의 하단에 배수관을 연결하여 배수로(6)를 형성했으며, 상술한 배수로(6)는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101) 외부까지 통한다.
  8. 제5항에 있어서
    상술한 다용도 주방 냄비의 특징으로 하단 외부 케이스(101)의 하단에 여러 개의 방열구(15)을 설치했고,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101)의 하단에 여러 개의 다리(8)를 설치했으며,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101)의 밑 부분과 지면이 일정한 거리를 둔다.
  9.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다용도 주방 냄비의 특징으로 단열 케이스(103)에 온도 감지기(7)를 설치했다. 상술한 온도 감지기(7)의 온도 감지 헤드(701)는 장착 내부 케이스를 통과하여 상술한 냄비(2)에 접하여 상술한 냄비(2)의 온도를 감지하며 상술한 온도 감지기(7)는 상술한 제어기(102)와 전기 연결된다.
  10.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다용도 주방 냄비의 특징으로 상술한 하단 외부 케이스(101)의 풍구(4)는 입풍구(401)와 출풍구(402)를 포함하며, 상술한 입풍구(401)는 상술한 출풍구(402)의 양쪽에 위치하며, 상술한 콘센트(5)는 상술한 출풍구(402)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KR1020210104569A 2020-12-01 2021-08-09 다용도 주방 냄비 KR102489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188566.3A CN112315352A (zh) 2020-12-01 2020-12-01 一种多功能厨具
CN202011188566.3 2020-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064A true KR20220077064A (ko) 2022-06-08
KR102489625B1 KR102489625B1 (ko) 2023-01-17

Family

ID=7429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569A KR102489625B1 (ko) 2020-12-01 2021-08-09 다용도 주방 냄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9625B1 (ko)
CN (1) CN112315352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078A (ja) * 1994-08-12 1996-02-27 Kanazawa Kogyo Kk 電気調理器の安全装置
KR200170825Y1 (ko) * 1999-09-07 2000-03-15 주식회사창성어플라이언스 분리식 전기 요리팬의 대류장치
KR20010077959A (ko) * 2001-01-03 2001-08-20 강규석 전기 구이기
KR101253705B1 (ko) * 2011-12-21 2013-04-11 전명진 공기순환이 용이한 에어 프라이어
KR101445747B1 (ko) * 2013-07-11 2014-09-26 주식회사 모닝아트 다기능 조리기
JP2017113045A (ja) * 2015-12-21 2017-06-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95807Y (zh) * 2008-01-16 2009-02-18 林于纮 真空快速烘衣机
CN203762846U (zh) * 2014-01-03 2014-08-13 威斯达电器(中山)制造有限公司 多功能烹饪装置
CN105125100A (zh) * 2015-09-30 2015-12-09 广州煌子西厨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立式电热炸炉
CN207355982U (zh) * 2017-05-11 2018-05-15 浙江手拉手电器科技有限公司 翻转式发热管组件
CN110754960A (zh) * 2018-07-28 2020-02-0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烤制烹饪装置的加热结构
CN209018499U (zh) * 2018-07-28 2019-06-2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烤制烹饪装置的加热结构
CN109464000B (zh) * 2018-12-29 2024-03-15 浙江天喜厨电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压力锅
CN110448189A (zh) * 2019-08-13 2019-11-15 宁波市嘉乐电器有限公司 一种带有高压煮食功能的空气炸锅
CN111657758B (zh) * 2020-07-05 2021-11-30 浙江英弘金属制品股份有限公司 多功能烤箱
CN111887738A (zh) * 2020-08-08 2020-11-06 广东顺德乐凡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空气炸锅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078A (ja) * 1994-08-12 1996-02-27 Kanazawa Kogyo Kk 電気調理器の安全装置
KR200170825Y1 (ko) * 1999-09-07 2000-03-15 주식회사창성어플라이언스 분리식 전기 요리팬의 대류장치
KR20010077959A (ko) * 2001-01-03 2001-08-20 강규석 전기 구이기
KR101253705B1 (ko) * 2011-12-21 2013-04-11 전명진 공기순환이 용이한 에어 프라이어
KR101445747B1 (ko) * 2013-07-11 2014-09-26 주식회사 모닝아트 다기능 조리기
JP2017113045A (ja) * 2015-12-21 2017-06-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15352A (zh) 2021-02-05
KR102489625B1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19691A1 (zh) 一种家用烧烤器
CN210673100U (zh) 多功能空气炸锅
CN205031010U (zh) 自动蒸饭电饭锅
CA2324747C (en) Boiling sink cooking system for a kitchen
KR102489625B1 (ko) 다용도 주방 냄비
CN213850036U (zh) 一种可蒸煮的食品加工机
CN213963071U (zh) 一种升降式蒸烤炸一体食物处理机
CN214180160U (zh) 一种底部可旋转的机头旋转式升降式烤炸一体食物处理机
CN210138088U (zh) 一种沥油盘和油锅装置
CN211380907U (zh) 反射罩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4231017U (zh) 一种加热效率好的机头旋转式烤炸一体食物处理机
CN212261149U (zh) 一种分体式涮烤锅
CN217137675U (zh) 煎烤器具
CN214017190U (zh) 一种机头旋转式烤炸一体食物处理机
CN214048575U (zh) 一种翻盖式的烤炸一体食物处理机
CN217185738U (zh) 一种多功能空气炸锅
CN215077465U (zh) 一种便携式的料理机
CN216439031U (zh) 盖体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3963070U (zh) 一种头部可旋转的蒸烤炸一体食物处理机
CN215687023U (zh) 一种可蒸加工的煎烤机
CN214180162U (zh) 一种加热效率好的翻盖式烤炸一体食物处理机
CN214905857U (zh) 烤涮蒸一体自助加水火锅炉
CN2912446Y (zh) 多功能电炉灶锅
CN214180159U (zh) 一种散热好的翻盖式烤炸一体食物处理机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