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715A -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715A
KR20220076715A KR1020200165483A KR20200165483A KR20220076715A KR 20220076715 A KR20220076715 A KR 20220076715A KR 1020200165483 A KR1020200165483 A KR 1020200165483A KR 20200165483 A KR20200165483 A KR 20200165483A KR 20220076715 A KR20220076715 A KR 20220076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ape
unit
tape case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4770B1 (ko
Inventor
정도순
최영섭
우정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00165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770B1/ko
Priority to CN202110080359.4A priority patent/CN114571356A/zh
Publication of KR20220076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34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06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special purposes, e.g. for television tubes, car bu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2Frames; Beds; Carriages

Abstract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교체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연마를 위해 연마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테이프 케이스를 연마장치로 장착하거나 연마장치에서 분리하여 교체하는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교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교체장치{Apparatus for Replacing Polishing Tape Case}
본 발명은 기판 내 발생한 결함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용 테이프를 자동으로 교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핸드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대형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두께가 얇고 가벼운 평판 디스플레이 (Flat Panel Display) 분야의 발전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이 있는데, 평판 디스플레이의 핵심은 투명한 기판 사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화소를 박막 형태로 증착하여 다양한 컬러를 구현하는 평판표시패널에 있다.
하지만,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박막의 불균일성과 이물 등의 유입에 따라 돌기 형태의 결함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돌기 결함은 기판 사이의 높이 편차를 발생시키게 되어, 빛의 투과율을 방해하고 전기적인 단락 또는 단선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에, 통상 연마용 테이프를 이용하여 기판 내 발생한 돌기 결함을 제거한다. 연마용 테이프를 케이스 내에 보관하며, 별도의 연마장치 등을 이용해 테이프를 일정한 속도로 감으면서 돌기를 식각하여 제거한다.
다만, 종래에는 연마장치에 케이스가 장착되어 케이스 내부의 연마용 테이프가 연마에 사용되는 과정 및 테이프가 연마에 모두 사용된 후 케이스가 연마장치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모두 관리자의 수작업으로 수행되어 왔다. 이에, 테이프가 모두 사용될 시점마다 일일이 관리자가 교체를 해야하는 불편이 존재해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마를 위해 연마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테이프 케이스를 연마장치로 장착하거나 연마장치에서 분리하여 교체하는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교체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판 내 결함을 연마하기 위한 테이프 케이스를 교체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마에 사용되기 이전 테이프를 보관하는 사용 전 테이프 케이스 또는 연마에 사용된 후의 테이프를 보관하는 사용 후 테이프 케이스를 안착하는 팔레트(Pallet)와 상기 팔레트로부터 연마장치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 전 테이프 케이스를 안착시켜두거나, 상기 연마장치로부터 상기 팔레트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 후 테이프 케이스를 안착시켜두는 안착부와 테이프 케이스의 일 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팔레트로부터 사용 전 테이프 케이스를 상기 안착부로 이송하거나 상기 안착부로부터 사용 후 테이프 케이스를 상기 팔레트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 전 테이프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연마장치로 이송하거나, 상기 연마장치에 결합되어 있는 사용 후 테이프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안착부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팔레트는 바닥면에서 연직상방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여, 테이프 케이스를 안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팔레트는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하나의 돌기부만을, 반대측에는 2개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는 테이프 케이스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안착부는 테이프 케이스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마를 위해 연마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테이프 케이스를 연마장치로 장착하거나 연마장치에서 분리하여 교체함으로써, 관리자가 일일이 번거롭게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함 연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교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동력 수단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동력 수단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함 연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함 연마 시스템(100)은 테이프 케이스(110), 케이스 교체장치(120) 및 연마장치(130)를 포함한다.
테이프 케이스(110)는 기판 상에 발생한 돌기 결함을 제거하기 위한 연마용 테이프를 보관한다. 테이프 케이스(110)는 내부에 연마용 테이프가 장착되어 고정되며, 외부에 케이스 교체장치(120)나 연마장치(130)에 장착되어 이송되거나 결함을 연마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테이프 케이스(110) 내 연마용 테이프가 장착되는 것까지만 관리자의 손을 거치며, 테이프 케이스(110)가 케이스 교체장치(120)에 안착된 후부터는 케이스 교체장치(12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이송되거나, 연마장치(130)에 장착되어 연마부위를 연마할 수 있도록 한다. 테이프 케이스(110)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케이스 교체장치(120)는 연마장치(130)에 의해 모두 소비된 테이프 케이스(110)를 안착되어 있는 새 테이프 케이스(110)로 교체한다. 케이스 교체장치(120)는 관리자에 의해 연마용 테이프가 장착된 사용 전 케이스(이하에서, "사용 전 케이스"라 약칭함)와 연마장치(130)에 의해 연마용 테이프가 모두 사용된 사용 후 케이스(이하에서, "사용 후 케이스"라 약칭함)를 보관한다. 이때, 케이스 교체장치(120)는 보관중인 사용 전 케이스를 연마장치(130)로 이송하여 장착한다. 이 후, 연마장치(130)가 사용 전 케이스 내 연마용 테이프를 모두 사용한 경우, 연마장치(130)의 신호에 따라 케이스 교체장치(120)는 사용 후 케이스를 연마장치(130)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고, 새로운 사용 전 케이스를 연마장치(130)로 이송하여 장착한다. 케이스 교체장치(120)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도 5 내지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연마장치(130)는 테이프 케이스(110) 내 연마용 테이프를 이용하여 기판 내 돌기 결함을 연마한다. 연마장치(130)는 기판 내 돌기 결함의 위치를 센싱하거나, 별도의 결함 검출장치로부터 결함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연마장치(130)는 케이스 교체장치(120)로부터 이송되는 (사용 전) 테이프 케이스를 이송받아 고정하며, 돌기 결함의 위치로 연마용 테이프를 돌출시켜 결함을 연마한다. 연마장치(130)는 테이프 케이스(110) 내로 회전력을 가하여, 연마용 테이프가 배치된 위치에서는 일정한 속도로 풀리고 다른 위치에서 풀리는 연마용 테이프가 일정한 속도로 감기도록 한다. 이처럼, 풀리고 감기는 연마용 테이프가 돌기 결함과 접촉을 하게 되면, 연마용 테이프의 이동 속도에 의해 돌기 결함이 연마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연마장치(130)는 이송된 테이프 케이스를 고정한 후, 연마용 테이프를 일정한 속도로 풀리고 감기도록 테이프 케이스(110) 내로 회전력을 가하며, 연마용 테이프의 일 위치를 돌기 결함과 접촉시켜 결함을 연마시킨다. 연마 장치(130)는 결함의 연마를 위해 테이프 케이스(110) 내 연마용 테이프가 모두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여, 테이프 케이스(110)의 교체여부를 판단한다. 테이프 케이스(110)의 교체가 필요하다 판단된 경우, 연마장치(130)는 케이스 교체장치(120)가 테이프 케이스(11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케이스 교체장치(120)와 연마장치(130)가 동작하며, 테이프 케이스(110)가 각 장치(120, 130)에 장착되어 이송되거나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테이프 케이스(110)의 각 장치로의 장착과 교체가 관리자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케이스(110)는 결합공(210), 제1 고정공(220), 제1 안착공(230), 제2 고정공(240), 연마부 유입공(250), 제2 안착공(260), 홈부(310, 315), 휠(320, 325), 고정부(340, 350), 프리 롤러(360) 및 텐션바(370)를 포함한다.
테이프 케이스(110)의 하우징(200)에는 결합공(210), 제1 고정공(220), 제1 안착공(230), 제2 고정공(240), 연마부 유입공(250), 제2 안착공(260) 및 홈부(310, 315)가 형성된다.
결합공(210)은 하우징(200) 내 양 측면에 형성된 구조로서, 케이스 교체장치(120) 내 제1 이송유닛(도 5를 참조하여 후술)과 결합되기 위한 구조이다. 결합공(210)은 테이프 케이스(110)가 케이스 교체장치(120) 또는 연마장치(130)와 결합되는 면이 아닌 해당 면과 수직인 측면에 형성된다. 제1 이송유닛 내에는 결합공(210)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의 지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지름으로 돌출된 구성이 포함된다, 결합공(210)은 제1 이송유닛 내의 전술한 구성(미도시)과 결합되어 제1 이송유닛에 의해 테이프 케이스(110) 전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이송유닛은 주로, 테이프 케이스(110)와 케이스 (높이방향으로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테이프 케이스(110)를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결합공(210)은 양 측면 내에서 (높이방향으로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일 측면에는 하나의 결합공(210c)이, 다른 측면에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결합공(210a, 210b)이 형성될 수 있다. 양 측면에 모두 하나의 결합공만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라면, 제1 이송유닛이 결합공(210)과 결합되어 테이프 케이스(110)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테이프 케이스(110)가 측면과 수직인 축으로 흔들릴 우려가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200)의 일 측면에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결합공(210a, 210b)이 형성된다. 모든 측면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할 경우, 결합공과 제1 이송유닛의 돌출된 구성의 결합시간이 상당히 길어지고, 결합의 정밀도가 상당히 요구된다. 이에, 이송 과정에서의 테이프 케이스(110)의 회전을 방지하며, 과도하게 결합과정에서 장시간이 소모되는 것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200)의 일 측면에는 하나의 결합공(210c)이, 다른 측면에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결합공(210a, 210b)이 형성된다.
제1 고정공(220)은 하우징(200) 내 케이스 교체장치(12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며, 케이스 교체장치(120)와 결합되어 케이스 교체장치(120)가 테이프 케이스(1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고정공(220)은 하우징(200) 내 케이스 교체장치(120)와 마주보는 면에, 일정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태로 형성된다. 제1 고정공(220)과 결합될 케이스 교체장치(120) 내 구성은 마찬가지로 일정 방향으로 길이기 긴 형태로 구현되며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케이스 교체장치(120) 내 구성은 제1 고정공(220)으로 유입되며, 유입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케이스 교체장치(120) 내 구성은 유입될 때의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한, 제1 고정공(220)으로부터 나오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제1 고정공(220)에 케이스 교체장치(120) 내 구성이 결합됨에 따라, 테이프 케이스(110)는 케이스 교체장치(120) 내 구성이 유입되는 방향(y축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제1 안착공(230)은 하우징 내 양 측면에 형성된 구조로서, 케이스 교체장치(120) 내 안착유닛(도 5를 참조하여 후술)과 결합되어 안착유닛에 안착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한다. 제1 안착공(230)은 하우징 내 양 측면의 (높이 방향으로의) 하부에 형성된다. 케이스 교체장치(120) 내 안착유닛에는 제1 안착공(230)과 결합되기 위한, 제1 안착공(230)의 지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지름으로 돌출된 구성이 포함된다, 이에, 테이프 케이스(110)가 안착유닛에 안착되면, 제1 안착공(230)과 전술한 구성이 결합됨으로써, 테이프 케이스(110)가 안착유닛에 안착되어 제1 이송유닛 또는 제2 이송유닛(도 5를 참조하여 후술)와 결합하여 이송되기 전까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한다.
제2 고정공(240)은 하우징 내 연마장치(13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며, 연마장치(130)와 결합되어 연마장치(130)가 테이프 케이스(1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연마장치(130) 내에는 제2 고정공(240)과 결합되기 위한, 제2 고정공(240)의 지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지름으로 돌출된 구성이 포함된다, 이에, 제2 고정공(240)은 테이프 케이스(110)가 연마장치(130)에 결합되어, 연마과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연마부 유입공(250)은 하우징 내 상면에 형성된 구조로서, 결함의 위치로 연마용 테이프를 돌출시키기 위한 연마장치(130) 내 구성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연마부 유입공(250)은 연마장치(130) 내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구현된다. 연마부 유입공(250)은 연마장치(130)에 테이프 케이스(110)가 결합되어 고정된 후 전술한 구성이 연마용 테이프를 돌기 결함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2 안착공(260)은 하우징 내 하면에 형성된 구조로서, 테이프 케이스(110)가 케이스 교체장치(120) 내 팔레트(도 5를 참조하여 후술)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팔레트에는 제2 안착공(260)과 결합되기 위한, 제1 안착공(230)의 지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지름으로 돌출된 구성이 포함된다, 테이프 케이스(110)는 케이스 교체장치(120) 내 제1 이송유닛에 의해 팔레트로 이송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최초로, 팔레트 내 전술한 구성과 제2 안착공(260)이 결합되도록 안착된다. 양 구성이 결합됨에 따라, 테이프 케이스(110)는 팔레트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팔레트 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우징 내 하면의 일 측에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제2 안착공이(260a, 260b), 다른 일 측에는 하나의 제2 안착공(260c) 만이 형성될 수 있다. 관리자가 사용 전 케이스(110)를 케이스 교체장치(120) 내 팔레트로 안착시킨다. 이때, 관리자는 많은 테이프 케이스(110)를 팔레트로 안착시켜야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테이프 케이스(110)의 방향을 정확히 확인하지 못하고 팔레트로 안착시킬 수 있다. 테이프 케이스(110)는 케이스 교체장치(120)와 연마장치(130)가 결합하는 방향이 상이하기에, 정확한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관리자가 최초로 팔레트에 사용 전 케이스(110)를 안착시킴에 있어, 굳이 일일이 방향을 정확히 확인하지 않더라도 팔레트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홈부(310, 315)는 하우징 내 연마장치(13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관통공으로서, 휠(320, 325)로 연마장치(130) 내 구성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홈부(310)는 휠(320, 325)이 배치될 장소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으로서, 휠(320, 325)로 회전력을 제공하거나 휠(320, 325)과 결합되어 테이프 케이스(110)를 고정시킬 연마장치(130) 내 구성이 휠(320, 325)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휠(320, 325)은 연마용 테이프(330) 또는 연마용 테이프의 끝단이 안착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테이프가 풀릴 수 있도록 한다.
제1 휠(320)은 연마용 테이프(330)가 안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연마용 테이프(330)를 안착시킨다. 통상, 연마용 테이프(330)는 회전력을 받아 풀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회전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한다. 제1 휠(320)은 관통공에 결합될 수 있는 돌출구성을 가져, 연마용 테이프(3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휠(325)은 연마용 테이프의 끝단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연마용 테이프의 끝단을 감는다. 제2 휠(325)은 제1 휠(320)에 안착된 연마용 테이프(330)의 끝단이 결합된다. 이에, 제2 휠(325)이 회전력을 받아 연마용 테이프의 끝단을 감을 경우, 연마용 테이프(330)는 제1 휠(320) 내에서 풀린다. 제1 휠(320)과 제2 휠(325)의 동작에 따라, 연마용 테이프(330)는 일정한 속도로 풀릴 수 있다. 제1 휠(320)과 제2 휠(325)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의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2 휠(325)은 제2 유입공(415)을 포함한다. 제2 유입공(415)으로는 홈부(315)를 거쳐 진입한 연마장치(130) 내 회전력을 전달하는 수단(이하에서, '동력 수단'으로 칭함, 미도시)이 유입된다. 동력 수단(미도시)이 제2 유입공(415)으로 유입되어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제2 휠(325)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2 유입공(415)은 동력 수단(미도시)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각 끝단이 테이퍼링(Tapering)되어 있다. 또한, 동력 수단은 제2 유입공(415)과 온전한 결합을 위해, 연마장치(13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적극적으로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동력 수단(미도시)이 제2 유입공(415)이 형성된 곳으로 한번에 진입하기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동력 수단(미도시)은 동력을 제공받아 적극적으로 위치를 가변하며 제2 유입공(415)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동력 수단(미도시)이 위치를 가변할 수 있기에, 제2 유입공(415)은 (제1 유입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구현되어, 추후 동력 수단(미도시)이 제2 휠(325)로 회전력을 가할 때 있어 보다 원활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휠(315)은 중앙부에 연마장치(130) 내 테이프 케이스(11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유입될 수 있는 결합홀(425)을 포함한다. 결합홀(425)은 연마장치를 향하는 반대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연마용 테이프의 두께 이상)만큼 돌출되며, 연마장치(130)를 향한 방향으로는 전술한 구성이 유입될 수 있는 구멍을 가져, 전술한 구성이 일정 길이만큼 유입되며 연마용 테이프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결합홀(425) 내로는 연마장치(130) 내 전술한 구성이 유입됨으로써, 제2 휠(315)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높이방향으로 승·하강하거나 측면으로 벗어나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휠(320)은 제1 유입공(410)을 포함한다. 제1 유입공(410)으로는 연마장치(130) 내 테이프 케이스(11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하에서, '고정 수단'이라 약칭함)이 유입된다. 어차피, 연마용 테이프(330)는 양 휠(320, 325)에 걸쳐 안착되어 있으며, 하나의 휠만이 회전하더라도 양 휠이 모두 회전할 수 있기에, 연마장치(130)는 양 휠 모두에 회전력을 가하기 위한 동력 수단과 동력 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에, 제1 유입공(410)으로는 굳이 동력 수단이 유입되지 않고 고정 수단이 유입된다.
제2 유입공(415)과 마찬가지로, 제1 유입공(410)도 각 끝단이 테이퍼링(Tapering)되어 있다. 다만, 제1 유입공(410)은 제2 유입공(415)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다. 전술한 대로, 제2 유입공(415)으로 유입되는 동력 수단은 적극적으로 위치를 가변할 수 있기에, 최초로 진입하는 위치가 제2 유입공(415)이 형성된 곳이 아니더라도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유입공(410)으로는 동력 수단이 아닌 고정 수단이 유입된다. 고정 수단은 동력을 제공받는 구성이 아니어서 동력 수단과 같이 위치를 가변할 수 없다. 이에, 제1 유입공(410)이 제2 유입공(415)과 같이 동일한 면적으로 구현된다면 고정수단의 유입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유입공(410)은 상대적으로 제2 유입공(415)에 비해 큰 면적을 갖는다.
제1 휠(310)도 중앙부에 제2 휠(315)과 마찬가지로 결합홀(420)을 포함한다. 결합홀(420) 내로 연마장치(130) 내 테이프 케이스(11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유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입공(410, 415)은 각 결합홀(420, 425)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3을 참조하면, 고정부(340, 350)는 각 휠(310, 315)과 결합되어, 휠에 안착된 연마용 테이프(330)나 연마용 테이프의 끝단의 이탈을 방지한다. 연마용 테이프(330)가 휠에 안착되거나 연마용 테이프의 끝단이 휠에 결합되더라도, 회전 과정에서 연마용 테이프(330)나 연마용 테이프의 끝단이 원심력 등에 의해 유입되는 연마장치(130)와 멀어지는 방향(+y축 방향)으로 이탈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340, 350)는 (연마장치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각 휠의 결합홀(420, 425)과 결합된다. 고정부(340, 350)가 각 휠의 결합홀(420, 425)과 결합됨에 따라, 각 휠(310, 315)에 안착된 연마용 테이프(330)나 연마용 테이프의 끝단의 이탈을 방지한다.
각 고정부(340, 350)의 일 위치(예를 들어, 중앙)에는 연마장치의 각 구성이 유입되는 방향(+y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45, 355)가 형성될 수 있다. 해당 방향으로 돌출부(345, 355)가 돌출됨으로써, 고정부(340, 350)와 텐션바(370)는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다. 고정부(340, 350)와 텐션바(370)가 직접 접촉을 하게되면 접촉면적이 커지게 된다. 접촉면적의 증가는 고정부(340, 350)가 연마용 테이프(330)를 가압하는 세기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어, 연마용 테이프(330)의 회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 고정부(340, 350)는 돌출부(345, 355)를 포함하여, 접촉면적을 줄인다.
프리 롤러(360)는 테이프 케이스(110) 내 안착되어 풀어질 연마용 테이프(330)의 경로를 조정한다. 연마용 테이프(330)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프리 롤러(360)는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연마용 테이프(330)가 거쳐 지나가기를 원하는 경로 상에 배치된다. 제1 휠(320)에 안착되어 회전력을 받아 연마용 테이프(330)가 풀어지면, 프리 롤러(360)는 풀린 연마용 테이프(330)가 바로 제2 휠(325)로 감기는 것이 아니라 프리 롤러(360)를 거친 후 제2 휠(325)로 감기도록 한다. 프리 롤러(360)는 연마용 테이프(330)가 자신을 지나도록 함으로써 경로를 조정한다. 이때, 프리 롤러(360)는 테이프 배출구(380)가 위치한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연마용 테이프(330)는 각 프리 롤러(360)를 거치며 테이프 배출구(380)를 거쳐 외부로 드러나며 제2 휠(325)로 감길 수 있다. 테이프 배출구(380)에서 드러나도록 연마용 테이프(330)가 진행함에 따라, 연마부 유입공(250)으로 유입된 (연마용 테이프를 돌출시키기 위한) 연마장치(130) 내 구성에 의해 테이프 배출구(380)의 외부로 연마용 테이프(330)가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텐션바(370)는 일면으로는 테이프 케이스(110)의 하우징(200)과 접촉하고 타면으로는 고정부(340, 350)와 각각 접촉하여, 고정부(340, 350)의 이탈을 방지한다. 텐션바(370)는 텐션을 갖는 부재로 구현되어, 하우징(200)과 고정부(340, 350)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부(340, 350), 주로, 고정부(340)가 연마용 테이프(330)로부터 연마장치의 각 구성이 유입되는 방향(+y축 방향)으로 과도한 힘을 받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아무리 고정부(340)와 제1 휠(320)이 결합되었다 하더라도, 결합력이 연마용 테이프(3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텐션바(370)는 고정부(340, 350)와 결합하는 반대측 면으로 테이프 케이스(110)의 하우징(200)과 접촉하고 있기에, 고정부(340, 3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텐션바(370)와 고정부(340, 350)가 접촉하는 부분의 반대측 면에는 완충부재(375)가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고정부(340, 350), 주로 고정부(340)로부터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경우, 텐션바(370)와 고정부(340, 350)가 접촉하는 부분의 반대측 면은 하우징(200)과 강하게 충돌하게 된다. 이러할 경우나 이런 경우가 지속적으로 반복될 경우, 텐션바(370) 또는 하우징(200)에 악영향이 미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텐션바(370)와 고정부(340, 350)가 접촉하는 부분의 반대측 면에 완충부재(375)가 부착되어 충격을 완화한다. 완충부재(375)는 실리콘이나 젤과 같이 충격 흡수에 우수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테이프 케이스(110)는 하우징(200) 내에 구비된 다양한 구성들에 의해, 케이스 교체장치(120) 또는 연마장치(130)와 자동으로 결합됨에 있어 용이하게 결합되어 이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교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교체장치(120)는 팔레트(510), 제1 이송유닛(520), 안착유닛(530), 제2 이송유닛(54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팔레트(510, Pallet)는 사용 전 케이스 또는 사용 후 케이스를 보관한다. 팔레트(510)는 관리자에 의해 안착된 사용 전 케이스를 보관하거나, 제1 이송유닛(520)에 의해 이송되어 온 사용 후 케이스를 보관한다. 팔레트(510)는 사용 전 케이스 또는 사용 후 케이스를 보관함에 있어, 케이스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팔레트(510)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510)는 돌기부(610)를 포함한다.
돌기부(610)는 팔레트(510)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직상방으로 돌출된 구성으로서, 테이프 케이스 내 안착공(260)과 결합하여 테이프 케이스를 고정시킨다. 안착공(260)과 대응되도록 돌기부(610) 역시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돌기부(610a, 610b)가, 타측에는 하나의 돌기부(610c)가 형성된다. 서로 다른 개수의 돌기부(610)가 중앙을 중심으로 형성됨에 따라, 관리자가 사용 전 케이스(110)를 팔레트(510)에 안착시킴에 있어 앞·뒤 방향을 원활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이송유닛(520)은 팔레트(510)에 안착된 사용 전 케이스를 안착유닛(530)으로 이동시키거나, 안착유닛(530)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 후 케이스를 팔레트(510)로 이송한다. 팔레트(510)에는 복수 개의 테이프 케이스가 안착되어 있으며, 이 중 적절한 테이프 케이스가 선택적으로 이송되거나 이송되어 온다. 이에, 팔레트(510)에서 직접 연마장치(130)로의 이송과 장착은 어려움이 존재하고, 가능하더라도 상당한 시간이 소모된다. 이에, 제1 이송유닛(520)은 팔레트(510)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 전 케이스들 중 적절한 케이스를 1차적으로 안착유닛(530)으로 이동시키고, 안착유닛(530)에 안착된 사용 후 케이스를 최종적으로 팔레트(510)로 이송한다.
전술한 대로, 팔레트(510)에 안착된 테이프 케이스들이 직접 연마장치(130)로 이송되는 것은 어려움이 존재하기도 하고 비효율적이기에, 팔레트(510)와 안착유닛(530)은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양자(510, 530)는 높이(z축 방향)도 상이하고, 전·후 방향(케이스 교체장치에 의해 테이프 케이스가 연마장치로 접근하는 방향, y축 방향)으로도 상이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에, 제1 이송유닛(520)은 테이프 케이스를 고정하며 높이방향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여 팔레트(510) 또는 안착유닛(530)으로 이송한다.
제1 이송유닛(520)은 케이스 고정부(522), 모터(524), 제1 이동레일(525) 및 제2 이동레일(528)을 포함한다.
케이스 고정부(522)는 테이프 케이스(110) 내 결합공과 결합하여 테이프 케이스를 고정한다. 케이스 고정부(522)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스 고정부(522)는 결합수단(710), 돌출부(720), 센서(730) 및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결합수단(710)은 테이프 케이스(110)의 하우징 상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져, 테이프 케이스(110)가 이탈하지 않고 온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결합수단(710)은 센서(730)를 중심으로 분리된 두 개의 구성(710a, 710b)으로 구현되며, 각 구성은 테이프 케이스(110)의 하우징 상부와 같이 'ㄱ'자 또는 그에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테이프 케이스(110) 내 결합공(210)과 돌출부(720)가 결합됨에 있어, 테이프 케이스(110)의 하우징 상부가 결합수단(710)에 방해를 받으며 온전히 결합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돌출부(720)는 결합수단(710)의 끝단에서 내측방향(각 결합수단이 서로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구성으로, 테이프 케이스(110) 내 결합공(210)과 결합하여 테이프 케이스(110)를 고정한다. 돌출부(720)는 결합공(210)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지름을 가져, 결합공(210)에 유입될 수 있다. 결합공(210)과 동일한 개수만큼 돌출부(720)도 형성된다. 특히, 결합공(210)이 (테이프 케이스의) 하우징의 양 측면에 서로 다른 개수로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돌출부(720) 역시 서로 다른 개수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력과 테이프 케이스(110)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결합과정에서 지나치게 오랜 시간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730)는 높이 방향에 있어 하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테이프 케이스(110)의 접근을 감지한다. 별도의 센싱없이 케이스 고정부(522)가 테이프 케이스(110)로 진행하게 된다면, 케이스 고정부(522)와 테이프 케이스(110)가 충돌하며 양자 또는 일방이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센서(730)가 전술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테이프 케이스(110)를 감지한다.
모터(미도시)는 결합수단(710)의 양 구성(710a, 710b)간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결합수단(710)의 양 구성(710a, 710b)이 테이프 케이스(110)의 하우징 상부의 폭과 동일한 폭만큼 떨어져 테이프 케이스(110)로 접근을 한다면, 테이프 케이스를 고정함에 있어 상당한 시간이 소모될 수 있다. 이에, 모터(미도시)는 결합수단(710)의 양 구성(710a, 710b)간 간격을 조정하여 테이프 케이스를 고정하는 과정에 있어 고정의 난이도와 소모 시간을 감소시킨다. 최초, 테이프 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테이프 케이스(110)로 접근함에 있어서는, 양 구성 간 간격을 하우징 상부의 폭보다 넓게 함으로써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적절한 위치까지 결합수단(710)이 접근을 한 경우, 하우징 상부의 폭만큼 양 구성의 폭을 좁힘으로써 돌출부(720)와 결합공(2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모터(524)는 케이스 고정부(522)가 제1 이동레일(526) 또는 제2 이동레일(52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제1 이동레일(526)은 케이스 고정부(522)가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제1 이동레일(526)은 높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케이스 고정부(522)가 모터(524)로부터 동력을 받아 제1 이동레일(526)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이동레일(528)은 제1 이동레일(526)의 높이방향으로의 하부와 연결되어, 제1 이동레일(526)을 전·후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 이동레일(528)은 높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제1 이동레일(526)이 모터(524)로부터 동력을 받아 제2 이동레일(528) 상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구성을 포함함에 따라, 제1 이송유닛(520)은 테이프 케이스(110)를 고정하여 팔레트(510) 및 안착유닛(530)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이송할 수 있다.
안착유닛(530)은 제1 이송유닛(520)에 의해 이송되는 사용 전 케이스가 연마장치(130)로 이송되기 전까지 또는 제2 이송유닛(540)에 의해 이송되는 사용 후 케이스가 팔레트(510)로 이송되기 전까지 각 테이프 케이스를 안착시킨다. 안착유닛(530)의 구조는 도 8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유닛(530)은 결합수단(810), 이동레일(820), 센서(830) 및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결합수단(810)은 안착유닛(520)의 이동레일(820)로부터 연직상방으로 돌출된 구성으로서, 안착유닛(520)으로 안착되는 테이프 케이스와 결합하여 테이프 케이스를 고정시킨다.
결합수단(810)은 2개의 구성(810a, 810b)으로 구현되며, 양자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면에 해당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815)를 포함한다. 돌출부(815)는 양자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안착유닛(530)의 이동레일(820)에 안착되는 테이프 케이스 내 제1 안착공(230)과 결합된다. 돌출부(815)는 제1 안착공(230)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지름을 가져 제1 안착공(230)과 결합되며, 양자(230, 815)의 결합에 의해, 안착유닛(530)에 안착된 테이프 케이스(110)가 안착유닛(530)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이동레일(820)은 안착유닛(530)으로 이송되어 오는 테이프 케이스를 안착시키며, 결합수단(810)이 자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레일(820)은 테이프 케이스(110)가 자신의 상단에 온전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레일(820)은 테이프 케이스(110) 하우징의 폭과 동일하거나 큰 폭을 갖는 동시에, 평평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이동레일(820)은 테이프 케이스(110)가 자신의 상단에 온전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안착이 되었을 경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동레일(820)은 결합수단(810)의 각 구성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에, 결합수단(810)의 각 구성(810a, 810b)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아 이동레일(820) 상을 이동할 수 있다. 테이프 케이스(110)가 안착유닛(530)으로 접근하여 이동레일(820) 상에 안착되려고 할 경우, 각 구성(810a, 810b)은 상호 간 간격을 벌려 용이하게 테이프 케이스(1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테이프 케이스(110)가 이동레일(820) 상에 온전히 안착된 경우, 각 구성(810a, 810b)은 상호 간 간격을 좁히며, 돌출부(815)와 제1 안착공(2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센서(830)는 안착유닛(530) 내 이동레일(82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동레일(820)로 접근하는 테이프 케이스를 센싱한다. 센서(830)는 이동레일(820)로의 테이프 케이스의 접근을 센싱하여, 접근 여부에 따라 결합수단(810)이 적절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2 이송유닛(540)은 안착유닛(530)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 전 케이스를 연마장치(130)로 이송하거나, 연마장치(130)로부터 사용 후 케이스를 안착유닛(530)으로 이송한다. 제2 이송유닛(540)은 연마장치(130)와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나 전·후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2 이송유닛(540)은 안착유닛(530)에 비해 연마장치(130)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하여, 안착유닛(530)에 안착된 사용 전 케이스를 연마장치(130)로 이송하거나 사용 후 케이스를 연마장치(130)에서 안착유닛(530)으로 이송한다. 제2 이송유닛(540)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유닛(540)은 결합부(910), 샤프트(920), 가압부(930), 센서(940), 이송부(950), 이동레일(960) 및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결합부(910)는 테이프 케이스 내 제1 고정공(2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여, 테이프 케이스와 탈착된다.
전술한 대로, 제1 고정공(220)은 일정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태로 구현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결합부(910)도 제1 고정공(22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정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태로 구현된다. 최초, 결합부(910)는 긴 부분이 제1 고정공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한다. 이송부(950)가 프레임(900)을 안착유닛(530)에 안착된 테이프 케이스 가까이(+y축 방향)로 이송할 경우, 결합부(910)는 제1 고정공(220)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샤프트(920)에 의해 결합부(910)는 기 설정된 각도, 예를 들어, 일 방향으로 90도 각도만큼 회전한다. 결합부(910)가 제1 고정공(220)으로 유입된 후에 회전하게 되면, 길이가 긴 부분의 방향이 상호(220, 910) 간에 상이해진다. 이에, 테이프 케이스(110)는 케이스 교체장치(120)가 자신에 가까워지는 방향(+y축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결합부(910)가 제1 고정공(220)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 고정공(220)을 지탱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결합부(910)는 테이프 케이스(110)를 높이방향으로도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한편, 전술한 대로 자신에 결합되어 있는 테이프 케이스가 분리되어야 하는 경우, 샤프트(920)에 의해 결합부(910)는 결합부(910)와 제1 고정공(220)의 길이가 긴 부분의 방향이 서로 동일하도록 다시 회전한다. 결합부(910)는 제1 고정공(220)으로부터 다시 분리되며, 결합부(910)에 의한 테이프 케이스의 고정도 해제된다.
샤프트(920)는 결합부(910)와 연결되어,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받아 테이프 케이스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y축 방향)으로 신축하거나, 회전한다. 샤프트(920)의 신축에 따라, 결합부(910)는 안착유닛(530)에 안착된 테이프 케이스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샤프트(920)의 회전에 따라, 결합부(910)도 함께 회전하며, 결합부(910)가 제1 고정공(22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가압부(930)는 테이프 케이스의 하우징과 접촉하여 테이프 케이스의 하우징을 가압한다. 가압부(930)는 프레임(900)으로부터 안착유닛(530)에 안착된 테이프 케이스를 향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돌출된 구성이다. 가압부(930)는 테이프 케이스의 하우징과 접촉하여, 테이프 케이스의 하우징을 안착유닛(530)에 안착된 테이프 케이스를 향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테이프 케이스는 가압부(930)의 가압에 의해, 케이스 교체장치(120)가 자신에 멀어지는 방향(-y축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테이프 케이스는 결합부(910)에 의해 높이방향으로의 이탈이나 케이스 교체장치(120)가 자신에 가까워지는 방향(+y축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가압부(930)에 의해 케이스 교체장치(120)가 자신에 멀어지는 방향(+y축 방향)으로의 이탈도 방지되므로, 제2 이송유닛(540)의 이송과정에서 움직임없이 온전히 연마장치(130)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900)이 이송부(950)에 의해 안착유닛(530)에 안착된 테이프 케이스로부터 멀어질 경우, 가압부(930)에 의한 가압은 중단되며 테이프 케이스의 고정도 해제된다.
가압부(930)는 테이프 케이스를 가압함에 있어 테이프 케이스가 일정 각도로 틀어지지 않도록 복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930)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3개의 구성(930a 내지 930c)이 삼각형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테이프 케이스가 일정 각도로 틀어지지 않도록 가압할 수 있다면 다양한 개수의 가압부가 다양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센서(940)는 프레임(900) 상에 안착유닛(5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프레임(900)이 안착유닛(530)에 배치된 테이프 케이스(110)와 얼마나 근접하였는지를 센싱한다. 결합부(910)와 가압부(930)가 적절히 이동하여 테이프 케이스 내 각 구성과 결합할 수 있도록, 센서(940)는 테이프 케이스(110)와의 근접도를 센싱한다.
이송부(950)는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프레임(900)을 안착유닛(530)에 안착된 테이프 케이스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송한다. 전술한 대로, 결합부(910)가 제1 고정공(220)으로 유입되거나 가압부(930)가 테이프 케이스의 하우징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이송부(950)는 프레임(900)을 안착유닛(530)에 안착된 테이프 케이스 가까이로 이송한다. 반대로, 제2 이송유닛(9540)으로부터 테이프 케이스의 분리를 위해, 결합부(910)가 제1 고정공(22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가압부(930)가 테이프 케이스의 하우징에 대한 가압을 중단하도록, 이송부(950)는 프레임(900)이 안착유닛(530)에 안착된 테이프 케이스와 멀어지도록 이송한다.
이동레일(960)은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부(950)를 포함한 프레임(900) 전체가 연마장치(13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한다. 사용 전 케이스가 안착유닛(530)에 안착되어 있다면, 사용 전 케이스는 결합부(910) 및 가압부(930)에 의해 고정되어 결합된 채 연마장치(130)로 전달되어야 한다. 반대로, 연마장치(130)에서 연마용 테이프가 모두 사용된 경우라면, 사용 후 케이스는 결합부(910) 및 가압부(930)에 의해 고정되어 결합된 채 연마장치(130)로부터 안착유닛(530)으로 이송되어야 한다. 테이프 케이스가 연마장치(130) 또는 안착유닛(530)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이동레일(960)은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부(950)를 포함한 프레임(900) 전체가 연마장치(13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케이스 교체장치(120) 내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팔레트(510)의 위치, 팔레트(510) 내 각 돌기부의 위치, 안착유닛(530)의 위치 및 연마장치(130)의 위치를 모두 저장해둔다. 이에, 각 이송유닛(520, 540)이 테이프 케이스를 특정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미도시)는 팔레트(미도시)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 전 케이스를 안착유닛(530)으로 이송하도록 제1 이송유닛(520)을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 이송유닛(520)이 팔레트(미도시) 내 특정 사용 전 케이스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제1 이송유닛(520) 내 센서(730)로부터 센싱값을 수신하여, 케이스 고정부(520)가 적절하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 이송유닛(520)이 사용 전 케이스를 안착유닛(530)으로 이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안착유닛(530) 내 센서(830)로부터 센싱값을 수신하여, 결합수단(810)이 적절한 간격만큼 벌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 전 케이스가 이동레일(820)에 안착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이송유닛(520)과 안착유닛(530) 내 결합수단(810)을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안착유닛(530)에 안착된 사용 전 케이스를 연마장치(130)로 이송하도록 제2 이송유닛(540)을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샤프트(920)에 의해 결합부(910)가 사용 전 케이스로 접근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샤프트(920)가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모터(미도시)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미도시)는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프레임(900)이 사용 전 케이스로 접근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센서(940)로부터 센싱값을 수신하여 가압부(930)가 사용 전 케이스와 접촉할 수 있는 정도까지 이동하도록 모터(미도시)를 제어한다. 결합부(910)와 가압부(930)의 제어가 완료된 후, 제어부(미도시)는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이송부(950)를 포함한 프레임(900)이 이동레일(960)을 따라 연마장치(130)로 접근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연마장치(130)에 의해 연마용 테이프의 사용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연마장치(130)로부터 사용 후 케이스를 안착유닛(530)으로 이송하도록 제2 이송유닛(9540)을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이송부(950)를 포함한 프레임(900)이 연마장치(130)로 접근하도록 제어한 후, 전술한 동작에 따라 결합부(910)와 가압부(930)가 사용 후 케이스를 결합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미도시)는 사용 후 케이스를 안착유닛(530)으로 이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안착유닛(530)에 안착된 사용 후 케이스를 팔레트(510)로 이송하도록 제1 이송유닛(520)을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착유닛(530) 및 제1 이송유닛(520)을 제어하여, 사용 후 케이스를 팔레트(510)로 이송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결함 연마 시스템
110: 테이프 케이스
120: 케이스 교체장치
130: 연마장치
200: 하우징
210: 결합공
220: 제1 고정공
230: 제1 안착공
240: 제2 고정공
250: 연마부 유입공
260: 제2 안착공
310, 315: 홈부
320, 325: 휠
330: 연마용 테이프
340, 350: 고정부
345, 355: 돌출부
360: 프리롤러
370: 텐션 바
380: 테이프 배출구
410: 제1 유입공
415, 425: 결합홀
420: 제2 유입공
510: 팔레트
520: 제1 이송유닛
522: 케이스 고정부
524: 모터
526, 528, 820, 960: 이동레일
530: 안착유닛
540: 제2 이송유닛
610: 돌기부
710: 결합수단
720, 815: 돌출부
730, 830, 940: 센서
810: 결합수단
910: 결합부
920: 샤프트
930: 가압부
950: 이송부

Claims (5)

  1. 기판 내 결함을 연마하기 위한 테이프 케이스를 교체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마에 사용되기 이전 테이프를 보관하는 사용 전 테이프 케이스 또는 연마에 사용된 후의 테이프를 보관하는 사용 후 테이프 케이스를 안착하는 팔레트(Pallet);
    상기 팔레트로부터 연마장치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 전 테이프 케이스를 안착시켜두거나, 상기 연마장치로부터 상기 팔레트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 후 테이프 케이스를 안착시켜두는 안착부;
    테이프 케이스의 일 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팔레트로부터 사용 전 테이프 케이스를 상기 안착부로 이송하거나 상기 안착부로부터 사용 후 테이프 케이스를 상기 팔레트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 전 테이프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연마장치로 이송하거나, 상기 연마장치에 결합되어 있는 사용 후 테이프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안착부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는,
    바닥면에서 연직상방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여, 테이프 케이스를 안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는,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하나의 돌기부만을, 반대측에는 2개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는,
    테이프 케이스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테이프 케이스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장치.

KR1020200165483A 2020-12-01 2020-12-01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교체장치 KR102454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483A KR102454770B1 (ko) 2020-12-01 2020-12-01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교체장치
CN202110080359.4A CN114571356A (zh) 2020-12-01 2021-01-21 研磨用带盒更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483A KR102454770B1 (ko) 2020-12-01 2020-12-01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715A true KR20220076715A (ko) 2022-06-08
KR102454770B1 KR102454770B1 (ko) 2022-10-14

Family

ID=8177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483A KR102454770B1 (ko) 2020-12-01 2020-12-01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교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4770B1 (ko)
CN (1) CN11457135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792A (en) * 1990-10-25 1993-09-21 Maschinenfabrik Liechti & Co. Ag Machining center for grinding workpieces with complex shaped surfaces
KR19980062178U (ko) * 1997-03-31 1998-11-16 윤종용 현상기 지지용 지그 팔레트
KR20010027482A (ko) * 1999-09-14 2001-04-06 이구택 스트립 그라인더의 연마 벨트 교환장치
JP2002018662A (ja) * 2000-06-30 2002-01-22 Toshiba Mach Co Ltd 磨き加工用工具
CN108000300A (zh) * 2017-12-05 2018-05-08 上海航天设备制造总厂 一种适用于机器人的打磨末端执行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0059B2 (ja) * 1995-03-24 1998-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研摩装置
JP2000354989A (ja) * 1999-06-16 2000-12-26 Fanuc Ltd 自動刃具交換装置
JP3844705B2 (ja) * 2002-03-13 2006-11-15 株式会社アクト・ブレイン 基板欠陥のリペア装置及び方法
FR2911527B1 (fr) * 2007-01-18 2009-03-13 Snecma Sa Dispositif de stockage et de distribution de bandes travaillantes sans fin pour une installation robotisee
JP2014034090A (ja) * 2012-08-10 2014-02-24 Ntn Corp テープ研磨装置のテープ交換冶具およびテープ交換方法
CN110328587B (zh) * 2019-06-19 2024-02-06 禹奕智能科技(杭州)有限公司 适用于机器人磨抛磨具存储库及更换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792A (en) * 1990-10-25 1993-09-21 Maschinenfabrik Liechti & Co. Ag Machining center for grinding workpieces with complex shaped surfaces
KR19980062178U (ko) * 1997-03-31 1998-11-16 윤종용 현상기 지지용 지그 팔레트
KR20010027482A (ko) * 1999-09-14 2001-04-06 이구택 스트립 그라인더의 연마 벨트 교환장치
JP2002018662A (ja) * 2000-06-30 2002-01-22 Toshiba Mach Co Ltd 磨き加工用工具
CN108000300A (zh) * 2017-12-05 2018-05-08 上海航天设备制造总厂 一种适用于机器人的打磨末端执行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770B1 (ko) 2022-10-14
CN114571356A (zh)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387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31400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355152A1 (en) Display device
CN112967602B (zh) 显示组件和显示装置
KR101448810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KR102010247B1 (ko) 보호 필름 박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1182375B1 (ko) 패널 자세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패널 부착장치
KR102454770B1 (ko)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교체장치
CN102193326B (zh) 邻近曝光装置、载台温度控制方法及面板基板的制造方法
KR20190079024A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20180058091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455686B1 (ko)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KR20150113420A (ko) 절곡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KR102480683B1 (ko) 연마용 테이프를 이용한 결함 연마장치
KR102106880B1 (ko) 커브드 윈도우 라미네이팅 장치 및 커브드 윈도우 라미네이팅 장치용 틸팅롤링뭉치
KR20160009557A (ko)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시스템
KR20110014510A (ko) 패널의 평형도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패널 부착장치
KR102106881B1 (ko) 커브드 윈도우 라미네이팅 장치 및 커브드 윈도우 라미네이팅 장치용 틸팅롤링뭉치
US8854569B2 (en) Display apparatus, bonding film used for th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onding film
CN214174774U (zh) 一种偏光片贴片机
KR102490812B1 (ko) 연마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연마 장치
CN212434149U (zh) 一种防脱落的lcd液晶显示模组用对接结构
KR102148674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20050002466A (ko) 백라이트 제조용 쉬트 분리장치
KR20070119167A (ko) 러빙 장치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러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