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309A - 섬유 케어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 케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309A
KR20220076309A KR1020210151804A KR20210151804A KR20220076309A KR 20220076309 A KR20220076309 A KR 20220076309A KR 1020210151804 A KR1020210151804 A KR 1020210151804A KR 20210151804 A KR20210151804 A KR 20210151804A KR 20220076309 A KR20220076309 A KR 20220076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rinkle
chloride
acid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환
조윤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PCT/KR2021/0179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14931A1/ko
Publication of KR2022007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20Treatment influencing the crease behaviour, the wrinkle resistance, the crease recovery or the ironing ea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케어용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은 3-메틸-4,5-디하이드록시 에틸렌 우레아 (DMeDHEU)를 포함하고, 1)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2) 지방산, 이의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름 완화 성능 향상 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섬유 케어용 조성물은 가정 내 의류 건조기 또는 의류 관리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의류의 주름을 완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 케어 조성물{Fabric care composition}
본 발명은 섬유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섬유의 주름, 손상 및/또는 변형 방지 효과가 탁월한 섬유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의류 착용시 예로부터 의류의 다림질시 의류에 풀먹임을 하여 인위적으로 스타일링(styling) 효과를 부여하기도 하였다. 또한, 의류를 세탁한 후에 발생하는 의류의 주름제거도 소비자들 특히, 주부들의 오랜 숙제였다. 의류 세탁을 할 때나 일상적인 의생활을 함에 있어서 쉽게 발생하는 의류의 주름은 이를 없애고 원상 복구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는 일이고, 가정에서 다림질을 하는 자체가 주부들에겐 또다른 가사노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주름에 관한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지난 수십년간에 걸쳐서 각 의류업체는 세탁 후 다림질이 필요하지 않은 이른 바 방추가공법을 개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가공에 의하여 제조된 의류는 세탁 과정에서 주름 발생을 최대한 억제시킴으로써 의류에 대한 다림질을 줄일 수 있게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가공처리를 한 의류에도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해왔다. 예를 들면, 이러한 의류는 세탁수의 온도가 너무 높다든지, 의류를 너무 높은 온도에서 건조를 시킨다든지 또는 의류를 드라이어에서 말린 후 빨리 꺼내지 않았을 경우 쉽게 주름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의류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면 100% 또는 면 혼방 의류는 구김에 취약한 것이 특징이어서 항상 세탁 후 다림질을 요한다. 따라서, 의류에 대한 다림질 과정을 조금이라도 수월하게 하려는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한편, 최근 들어 생활의 편의성을 중요시하는 경향에 따라 가정 내 의류 건조기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건조기는 세탁물의 건조뿐만 아니라 의류 관리기 (상품명: 스타일러) 등이 많은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생활 경향에 맞추어 간편하게 의류를 관리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의류의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섬유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의류의 주름 발생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섬유케어용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탁의 일련 과정에서 발생되는 의류의 손상 및/또는 변형을 완화시킬 수 있는 섬유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의류에 부여하는 향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섬유 또는 의류의 주름, 손상 및/또는 변형 방지 효과가 탁월한 섬유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름 방지 효과가 탁월한 섬유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섬유 케어용 조성물은 직물 등에 주름이 잘 잡히지 않게 미리 처리하는 방추가공 등과 같이 섬유 제조 후처리 공정에서 처리되는 조성물과 구별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섬유 케어용 조성물은 세탁기, 세탁물 건조기, 의류 관리기, 드라이 크리닝기 등의 세탁물 처리 기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세탁과정에서 의류에 발생되는 주름을 별도의 다림질 처리없이, 헹굼 또는 건조 과정에서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고안하게 되었다.
상기 섬유 케어용 조성물은 4,5-디하이드록시-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4,5-Dihydroxy-1,3-dimethyl-2-imidazolidinone(DMeDHEU))을 포함하는 섬유 주름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DMeDHEU는 의류건조기 및 의류관리기의 수분 및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셀룰로오스의 OH간에 가교를 이루도록 하여 의류의 구김이나 주름을 예방, 완화,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또는 섬유의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과정에서 유해물질의 발생 우려가 없는 물질을 선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된 섬유 케어용은 가공된 옷감, 의복 등의 관리를 돕기 위한 용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방추가공을 위한 가공제들은 대부분 고온 (바람직하게 100℃ 이상)에서 열처리를 거쳐야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 세탁업계나 가정에서 세탁제품에 상기 가공제(즉, 가교제)를 포함시켜 이용하는 것은 전혀 기대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섬유가공 공정에서 상기 가공제를 고농도로 사용하여 주름을 완화하는 방추가공을 완성하였지만, 이 공정은 고온과 연속으로 직조해야 하므로 빠르게 1~3분내에 고온압착을 진행하기 때문이다. 소비자가 집에서 의류를 건조하는 의류건조기의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을 고려할 때, 이러한 가교제에 요구되는 고온처리 조건은 세탁제품 제조 업계에서 기존에 상기 가교제를 도입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또한 해당 조건에서 세탁물을 처리하게 되면 세탁물에 손상을 입히므로, 세탁물 처리용 조성물 또는 제품에 도입을 기대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DMeDHEU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100℃ 미만 온도 또는 열처리 없이도 충분한 주름 완화 효과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을 착안하게 되었다. 특히 상기 조성물에 주름 완화 성능 향상 성분을 더 포함하여 목적하는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특히 의류건조기를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의류 주름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으며, DMeDHEU는 유해물질 발생에 대한 문제가 없으며 조성물의 제형화가 용이하고 섬유의 변색 문제가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구현예는 DMeDHEU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방지 또는 완화용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25중량%, 바람직하게 0.01~1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의 DMeDHE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때 섬유의 황변이 발생되거나, 세탁물의 이염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일 구현예는 DMeDHEU 및 주름 완화 성능 향상 성분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25중량%, 바람직하게 0.01~1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의 DMeDHE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총 중량 대비 1~90 중량%, 바람직하게 3~8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내지 80 중량%의 주름 완화 성능 향상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때 제형에서 해당 성분들이 석출되거나, 효과가 매우 미비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일 구현예는, 본 발명에서는 DMeDHEU를 포함하는 주름 방지 또는 주름 완화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세탁물 처리 단계에서 투입하여 세탁물 처리 기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의 주름을 방지 또는 완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주름 완화 성능 향상 성분은 1)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2) 카르복시기를 갖는 유기산 또는 지방산, 이의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4급암모늄염의 에스터쿼트, 사급화된 장쇄 모노/디/트리 알킬 암모늄 염, 친수기로 치환된 사급 장쇄 모노/디/트리 알킬 암모늄 염, 모노/디 알킬 아민, 염화 벤잘코늄 등과 같은 사급화된 알킬, 사급화된 알킬아미도, 사급화된 이미다졸린, 사급화된 폴리머 형태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등의 형태를 1종 이상 혼합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사급화 디메칠설페이트 혹은 디에칠 설페이트를 사용 가능하다. 사급화된 장쇄 모노/디/트리 알킬 암모늄 염에는 예를 들면, 베헤닐트리메틸아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올레알코늄클로라이드, 수소화된 탈로우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로제네이티드탈로우아미도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메토설페이트, 디알킬(14-18) 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탈로우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탈수소화된 탈로우알킬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된다. 또한 친수기로 치환된 장쇄 모노/디/트리알킬 암모늄 염은 디알킬아미도에틸히드록시에틸암모늄염, 디알킬아미도에 틸디메틸암모늄염, 디알키로일에틸히드록시에틸암모늄염, 디알키로일에틸디모늄염, 디알키로일에틸히드록시에틸 메틸암모늄염 및 그 혼합물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1차, 2차 혹은 3차 지방족 아민들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탄소 12 내지 22개의 3차 아민이 선호된다. 여기에 속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스테아르프로필디메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에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에틸디에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에틸디메틸아민, 팔미트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팔미트아미도프로필디에틸아민, 팔미트아미도에틸디에틸아민, 팔미트아미도에틸디메틸아민, 베헤닐아미도프로필디 메틸아민, 베헤닐아미도프로필디에틸아민, 베헤닐아미도에틸디에틸아민, 베헤닐아미도에틸디메틸아민, 아라키드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아라키드아미도프로필디에틸아민, 아라키드아미도에틸디에틸아민, 아라키드아미도에틸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미도에틸스테아르아마이드 등이 있다.
상기 주름 완화 성능 향상 성분 중 하나로 2) 카르복시기를 갖는 유기산 또는 지방산, 이의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르복시기를 갖는 유기산 또는 지방산은 바람직하게 탄소수 5 내지 26의 포화지방산 또는 탄소수 C14 내지 C22를 갖는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염은 유리산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아세테이트,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 아디프산(Adipic acid), BTCA(1,2,3,4-butanetetracarboxylic acid)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수화물(hydrate)은 비공유적 분자간력(non-covalent intermolecμLar force)에 의해 결합된 화학양론적(stoichiometric) 또는 비화학양론적(non-stoichiometric) 량의 물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지방산의 염을 의미한다. 상기 용매화물(solvate)은 비공유적 분자간력에 의해 결합된 화학양론적 또는 비화학양론적 양의 용매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지방산의 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르복시기를 갖는 유기산 또는 지방산, 이의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은 구연산, 구연산 모노하이드레이트, 아디프산(Adipic acid), 및 BTCA(1,2,3,4-butanetetracarboxyl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MeDHEU와 주름 완화 성능 향상 성분의 배합비율은 주름 완화 성능 향상 성분이 DMeDHEU 대비 2배 내지 30배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3 배 내지 27배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2 배 내지 26.5 배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비율로 배합될 때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유리할 수 있고, 우수한 주름 완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외에 추가의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추가의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적인 성분을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라우릴벤젠 술폰산(lauryl benzene sulfonic acid), a-올레핀 술포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소디움 라우릴 에톡실레이티드 설페이트(sodium lauryl ethoxylated sulfate), sec-알칸 술포네이트 (secondary alkanesulfonates) 및 메틸 에스테르 술포네이트(methyl ester sulfonate)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 종 이상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코코넛 디에탄올 아미드(coconut diethanolamide), 지방산 알카놀 아민(fatty acid alkanolamine), 아민 옥사이드(amine oxide), 알킬 폴리글루코시드(alkyl polyglucoside), 메틸 폴리에틸렌 알킬 에테르(methyl polyethylene alkyl ether) 또는 슈가 에테르(sugar ether) 등이 1 종 이상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적절한 것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알킬 베타인, 예컨대, 코코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 디메틸카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 디메틸 알파-카르복시-에틸 베타인, 세틸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카르복시 메틸 베타인, 스테아릴 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카르복시메틸 베타인, 올레일 디메틸 감마-카르복시프로필 베타인, 및 라우릴 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알파-카르복시에틸 베타인,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알킬 설테인, 예컨대, 코코디메틸 설포프로필 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 설포프로필 베타인, 라우릴 디메틸 설포에틸 베타인, 라우릴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설포프로필 베타인, 및 알킬아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 설테인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 종 이상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추가적인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그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방지 성분 및 주름 완화 성능 향상 성분이외에, 추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제 (향수), 착향제, 유연제, 크리스핑제(crisping agents), 방수/방오제, 재생제(refreshing agents), 정전기 방지제, 항미생물제, 소독제, 냄새 방지제, 악취 조절제, 마모방지제, 용제, 효소, 곤충/해충 퇴치제, 습윤제, UV 차단제, 피부/섬유 컨디셔닝제, 색 보호제, 실리콘, 방부제, 섬유 손상 방지제 등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트형의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시트형의 제품은 의류 건조용 시트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의류 건조용 시트는 의류 건조 시에 의류 건조기 또는 의류 관리기 (상품명: 엘지 스타일러) 등에 사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세탁성능은 가지지 않는다. 상기 시트형의 제품은 건조기 시트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트형의 제품은 상기 조성물이 기재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기재라 함은 조성물이 형태를 가지고 유통되거나 사용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성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내부 또는 표면에 상기 조성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형의 제품은 기재가 상기 조성물을 저장할 수도 있고, 기재의 표면에 조성물이 덮힌 상태일 수도 있고, 기재를 형성하는 고분자와 조성물이 혼합되어 고분자 매트릭스 사슬에 조성물이 존재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의 구체적인 종류는 상기 조성물이 의류 건조기 또는 의류 관리기에 사용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재는 상기 조성물이 함침될 수 있는 다공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기재로서, 각종 천연 소재, 합성 소재 또는 반합성 소재로 이루어진 직포, 부직포 또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천연 소재의 예로는, 종이, 면, 마, 린넨, 실크, 젤라틴, 펙틴, 덱스트란,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염, 콜라겐, 한천, 검류(ex. 아라비아 고무, 잔사 고무, 아카시아 고무, 카라야 고무, 토라간 고무 또는 구어 고무 등), 카라긴산, 알긴산 또는 알긴산염(ex. 알긴산 나트륨) 등 을 들 수 있고, 합성 또는 반합성 소재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또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염 또는 카복실기 함유 아크릴 수지와 같은 아크릴 수지; 가용성 전분, 디알데히드 전분 또는 카복시 메틸 전분 등과 같은 전분류;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또는 폴리덱스트로스와 같은 덱스트린류;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폴리비닐(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폴리비닐유도체; 폴리에틸렌옥시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시드와 같은 폴리알킬렌옥시드;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천연, 반합성 또는 합성 소재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원료를 사용하여, 상기 기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각종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시킨 수용성 합성고분자를 사용하여 기재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의 예에는 각종 이온성 및 비이온성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재를 이루는 중합체로서 단일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기재는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 기재로서, 천연 소재 또는 합성 소재로 이루어진, 직포(직물), 부직포 또는 필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이론, 레이온, 펄프 및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직포(직물), 부직포 또는 필름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직포, 부직포 또는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직포 부직포는 예를 들어,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 이성분 스펀본드, 이성분 멜트블로운, 이구성요소(biconstituent) 스펀본드, 이구성요소 멜트블로운, 써멀본드, 케미칼본드, 에어레이드, Ÿ‡레이드, 스펀레이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별법으로, 상기 부직포 대신, 천연펄프 및 재생펄프로 만들어진 종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의 합성 소재, 레이온 라이오셀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소재, 면 마 등의 천연 소재 및 이들의 조합으로 만든 직물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기재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기재로서, 예를 들면,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소재의 직포(직물), 부직포 또는 필름일 수 있다. 상기에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소재는, 예를 들면, 천연 소재, 반합성 소재 또는 합성 소재일 수 있다. 상기에서 천연 소재의 예로는 젤라틴, 펙틴, 덱스트란,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염(ex. 히알루론산 나트륨), 콜라겐, 한천, 검류(ex. 아라비아 고무, 잔사고무, 아카시아고무, 카라야고무, 토라간고무 또는 구어고무 등), 카라긴산, 알긴산 또는 알긴산염(ex. 알긴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반합성 소재의 예로는 셀룰로오스계 고분자(ex.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가용성 전분(ex. 카복시메틸 전분 또는 디알데히드 전분 등) 또는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으며, 합성 소재의 예로는, 폴리비닐유도체(ex.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폴리비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아크릴 수지(ex.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염 또는 카복시기 함유 아크릴 수지 등), 폴리알킬렌옥시드(ex.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시드 등), 카복시기 함유 폴리에스테르수지, 수용성 폴리아마이드, 수용성 폴리우레탄, 말토덱스트린 또는 폴리덱스트로스 등과 같은 범용의 합성 소재를 들 수 있다.
상기 기재는 바람직하게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부직포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의 중량은 예를 들어 20 내지 50gsm, 바람직하게 25 내지 45 gs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을 가질 때 제품화가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상기 시트형 제품에 포함되는 기재는, 예를 들면, 0.01 mm 내지 10 m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가 0.01 mm 미만이면, 기재로의 유효성분의 유지량이 저하되거나, 사용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10 mm를 초과하면, 제품화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섬유 케어용 조성물은 상기 두께를 갖는 기재(바람직하게 부직포) 1g에 0.01g 내지 5g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5g 내지 3g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를 가질 때 효과적으로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면서 상기 기재에 로딩시키기 용이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세탁 후 헹굼 단계에서 섬유유연제와 함께, 섬유유연제 대신, 또는 섬유유연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40 내지 90 ℃, 더 바람직하게 45 내지 85 ℃의 온도에서 처리될 수 있으며, 처리 시간은 대략 25분에서 2시간30분 정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또는 시간에서 처리될 때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세탁물의 이염, 황변문제, 또는 세탁물 손상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탁을 위해 사용되는 세탁물 처리 기기의 사용으로 인해 세탁물에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다. 일례로, 손상 방지, 수축 방지(치수안정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탁의 과정에서 의류에 부여하는 향을 고정해 주는 역할을 해주어, 향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된 '주름'라는 용어는 세탁 전후나 착용 전후로 생기는 의류 또는 섬유의 구겨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된 '주름 방지' 라는 용어는 세탁 전후나 착용 전후로 생긴 의류의 주름을 소비자가 착용 전에 없앨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방추가공 등 직물 가공 산업에서 칭하는 주름 방지 기술과는 차이가 있다. 여기서 주름 방지는 세탁 후나 보관시에 생긴 주름을 펴주는 의미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기재된 세탁물 처리 기기는 피복, 의류, 이불 등을 세탁을 하는 일련의 과정 또는 세탁을 더 편하게 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기기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세탁기, 세탁물 건조기, 의류 관리기(상품명 : 스타일러), 드라이 크리닝기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들은 배제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탁물 처리 기기는 세탁물 건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3-메틸-4,5-디하이드록시 에틸렌 우레아 (DMeDHEU)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 손상 또는 변형 방지용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3-메틸-4,5-디하이드록시 에틸렌 우레아 (DMeDHEU)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 지속용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기재된 건조기 시트 또는 섬유 유연제 제조 방법은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사용되었을 뿐, 기재된 제조방법에 한정되어 본 발명을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의류의 구김을 개선, 예방 또는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류 건조기 또는 의류 관리기로 처리되는 의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품은 옷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시트를 처리한 후 직물의 주름 정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유연제를 처리한 후 직물의 주름 정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각 등급에 따른 주름 정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주름 평가 기준이 되는, 표준주름 판(AATCC smoothness appearance replica)을 보여준다.
도 5는 주름의 Peak-Valley 개수를 카운트하여 주름을 수량으로 계수하는 이미지 자동검출프로그램 화면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품을 이용했을 때, 건조과정에서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내의 %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세탁 및 건조 처리 조건]
하기 실험을 위한 세탁 처리 조건과 건조 처리 조건은 아래와 같다.
1. 세탁 처리 조건
1) 세탁 처리 원단
질량 보정용 천: KS K ISO 6330:2012 I형, 및 수건 합 3kg
Swissatest Unsoiled Test Fabrics 213, 38 ㎝ Х 38 ㎝, 3장
2) 세탁세제 : 엘지생활건강의 피지 파워젤 액체세제 45g
3) 섬유유연제 : 비교예, 실시예 9.9g
4) 사용기기 : 교반식 세탁기(TS16VG / 제조회사 : 엘지전자)
5) 세탁처리 코스 : 표준코스(냉수, 수위 3, 헹굼 2회, 탈수 1회, 총 세탁시간 : 58분)
2. 건조 처리 조건
1) 건조기용 시트 : 비교예, 실시예 (24x15 사이즈, 실시예 및 비교예 성분 2g 포함)
2) 사용기기 : 건조기(RH14VH / 제조회사 : 엘지전자)
3) 건조코스 / 시간셋팅 : 온풍 / 90분
3. 주름 판정 전 샘플 컨디셔닝 조건
항온 항습실 24~27℃, 상대습도 48~52%RH에서 20 시간 동안 수직 건조 진행
4. 주름 판정 : 3D 외관 평활성 표준 판정판을 이용하여 판정함
세탁 후 의류건조기 처리 섬유의 외관 평활성 평가(KS K ISO 7768:2006)에 근거하여 평가함.
등급(Grade)가 높을수록 구김이 덜하다고 평가하였고, 각 등급에 따른 주름 정도는 도 3에 나타냈다.
[건조기 시트(matrix )의 제작]
하기 표 1에 나타난 성분 및 함량에 근거하여, 건조기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Esterquat을 물중탕하에 녹여서 교반기로 뭉치지않게 교반하는 방법으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제조된 코팅액에 기재로서, 25~45 gsm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를 압착 코팅하고, 냉각하여 시트형 건조기 시트를 제조하였다. 압착 코팅 시의 코팅액은 약 60℃온도의 액상이었으며, 상온에서 냉각 하였다. 또한, 비교예의 경우, 성분만 달리하여 실시예에 준한 방법에 의해 코팅액을 제조하고, 이를 부직포에 압착 코팅하여 부직포에 압착시킨 건조기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1은 Esterquat™(상표명,cas. no. 91995-81-2,100%)과 향료 투입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항목(단위:중량%) 비교예(그 외 구성) 실시예 (DMeDHEU+성능향상성분 구성)
1 2 3 4 5 1 2 3 4 5
벤토나이트 10
DMeDHEU - - - 3 - 0.3 1.5 3 3 3
주름완화 성능향상성분 Eseterquat1) 80 - 50 - 45 49.7 48.5 47 77
지방산류2) - 80 30 - 25 30 30 30 77
그외 성분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합계 합계 100 100 100 23 100 100 100 100 100 100
1)은 CAS.N0 91995-81-2, 2)는 CAS.No 84238-17-5.
상기 제조된 건조기 시트를 이용하여 주름 평가를 실시하였다. 세탁코스에 투입한 세탁세제는 엘지생활건강의 피지 파워젤 액체세제가 사용되었으며, 헹굼탈수 코스에는 비교예 6의 섬유 유연제를 사용하였다. 건조기 투입 시료는 각각 준비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투입하였다.
구분 실험1 실험2 실험3 실험4 실험5 실험6 실험7 실험8 실험9 실험10 실험11 실험12 비고
세탁코스투입시료 없음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표기사용량
헹굼탈수코스투입시료 없음 없음 비교예6 비교예6 비교예6 비교예6 비교예6 비교예6 비교예6 비교예6 비교예6 비교예6 표기사용량
건조기투입시료 없음 없음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표기사용량
주름평가결과 1 1 1 1 1 1 1 2.5 2.5 3.5 1.5 1.5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DMeDHEU를 지방산과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함께 사용했을 때 의류에 생기는 구김 발생이 가장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5, 6 및 10에 대한 결과는 도 1에 사진으로 나타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험 10으로 처리된 섬유의 구김이 가장 적었다.
[액상 유연제의 제작]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성(단위 중량%)에 따라 액상의 섬유 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즉, 하기 성분들을 모두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액상의 섬유 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및 실시예는 상기의 표와 같이 중량%대로, 비교예6의 경우 Esterquat™(다이하이드로제네이티드탈로우아미도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메토설페이트, cas. no. 91995-81-2,100%)과 향료 및 가용화제(cas, no. 9002-92-0)를 투입하여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통칭 구연산(cas, no. 77-92-9, cas, no. 5949-29-1)과 향료 및 가용화제(cas, no. 9002-92-0)를 투입하여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통칭구연산나트륨(cas, no. 68-04-2, cas, no. 6132-04-3)을 pH조절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항목(단위:중량%) 비교예 (그외 구성) 실시예 (DMeDHEU+성능향상성분 구성)
6 7 8 9 10 6 7 8 9
실리콘 1
DMeDHEU - - - 3 - 1.5 3 1.5 3
주름완화
성능향상 성분
EQ 10 - 10 - 10 10 10 - -
구연산류 - 10 10 - - - 10 10
유연제
그 외 성분
5 5 5 - 5 5 5 5 5
가용화제 5 5 5 - 5 5 5 5 5
80 85 70 97 80 78.5 77 78.5 77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상기 제조된 액상 섬유 유연제를 처리한 후 주름 평가를 실시하였다. 세탁코스에 투입한 세탁세제는 엘지생활건강의 피지 파워젤 액체세제가 사용되었으며, 헹굼탈수 코스에서 각각의 시료를 투입하였다.
구분 실험13 실험14 실험15 실험16 실험17 실험18 실험19 실험20 실험21 실험22 실험23 비고
세탁코스투입시료 없음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세탁세제 표기사용량
헹굼탈수코스투입시료 없음 없음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표기사용량
건조기투입시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표기사용량
주름평가결과 1 1 1 1 1 1 1 2 3 1.5 3.5 높을수록양호
[주름 포인트 수량 계수]
도 5에서와 같은 자동검출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름의 Peak-Valley 개수를 카운트하였다. 앞선 주관평가외에 실험한 이미지를 자동검출프로그램에 의해 수량으로 계수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와 같이 나타냈다.
프로그램은 Mediacybernetics社의 Image-pro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및 건조기 시트는 의류의 구김을 완화하거나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섬유 손상 방지 효과 확인]
건조과정에서 섬유의 손상 방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는 도 6에 나타냈다.
- 반복 처리 조건 : 드럼세탁기 표준코스(테크 분말세제 사용) -> 의류건조기 시간건조코스(1시간 30분), 총 30회 반복, 빨래량 : 3kg
- 평가 의류 : 니트(아크릴 50%, 레이온 50%), 혼방 티(면 66%, 폴리에스터 34%)
- 드럼세탁기 (F21VDD, LG전자), 의류건조기(RH14VH, LG전자)
- 시트1장 24cmX15cm (실시예 또는 비교예 조성물 2g 함유)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DMeDHEU와 지방산을 함께 사용한 실시예 1은 이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과 비교했을 때, 옷감의 손상이 훨씬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2)

  1. 섬유 케어용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은 3-메틸-4,5-디하이드록시 에틸렌 우레아 (DMeDHEU)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방지 또는 완화용 섬유 케어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완화 성능 향상 성분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주름 완화 성능 향상 성분은 1)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2) 카르복시기를 갖는 유기산 또는 지방산, 이의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또는 3) 이들의 혼합물인 섬유 케어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베헤닐트리메틸아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올레알코늄클로라이드, 수소화된 탈로우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로제네이티드탈로우아미도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메토설페이트, 디알킬(C14-18) 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탈로우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탈수소화된 탈로우알킬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아미도에틸히드록시에틸암모늄염, 디알킬아미도에틸디메틸암모늄염, 디알키로일에틸히드록시에틸암모늄염, 디알키로일에틸디모늄염, 디알키로일에틸히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염, 스테아르프로필디메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에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에틸디에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에틸디메틸아민, 팔미트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팔미트아미도프로필디에틸아민, 팔미트아미도에틸디에틸아민, 팔미트아미도에틸디메틸아민, 베헤닐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베헤닐아미도프로필디에틸아민, 베헤닐아미도에틸디에틸아민, 베헤닐아미도에틸디메틸아민, 아라키드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아라키드아미도프로필디에틸아민, 아라키드아미도에틸디에틸아민, 아라키드아미도에틸디메틸아민, 및 디에틸아미도에틸스테아르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기를 갖는 유기산 또는 지방산은 구연산, 구연산 모노하이드레이트, 아디프산(Adipic acid), 및 BTCA(1,2,3,4-butanetetracarboxyl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완화 성능 향상 성분은 1)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2) 지방산, 이의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MeDHEU와 주름 완화 성능 향상 성분의 배합비율은 주름 완화 성능 향상 성분이 DMeDHEU 대비 2배 내지 30배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의 조성물; 및 기재를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용 시트.
  8.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9. DMeDHEU를 포함하는 주름 방지 또는 주름 완화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세탁물 처리 단계에서 투입하여 세탁물 처리 기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의 주름을 방지 또는 완화하는 방법.
  10. 제9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 기기는 세탁물 건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섬유 케어용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은 3-메틸-4,5-디하이드록시 에틸렌 우레아 (DMeDHEU)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 손상 또는 변형 방지용 섬유 케어용 조성물.
  12. 섬유 케어용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은 3-메틸-4,5-디하이드록시 에틸렌 우레아 (DMeDHEU)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 지속용 섬유 케어용 조성물.
KR1020210151804A 2020-11-30 2021-11-05 섬유 케어 조성물 KR20220076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7919 WO2022114931A1 (ko) 2020-11-30 2021-11-30 섬유 케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64247 2020-11-30
KR1020200164247 2020-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309A true KR20220076309A (ko) 2022-06-08

Family

ID=8198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804A KR20220076309A (ko) 2020-11-30 2021-11-05 섬유 케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3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06269A (ja) 帯電防止性繊維布軟化剤組成物
JP6058961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布帛、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衣料品
KR20220076309A (ko) 섬유 케어 조성물
JP7229802B2 (ja) セルロース系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6763765B2 (ja) 繊維処理剤、及び該繊維処理剤の使用方法
WO2022114931A1 (ko) 섬유 케어 조성물
JP2005015965A (ja) 蛋白質系繊維材料の抗ピリング加工方法
JP2013129938A (ja) 機能性繊維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DE2122764A1 (de) Behandlung von Tuch- bzw. Textilware
KR20090044084A (ko)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158545A (ja) 絹フィブロイン−グラフト重合体加工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97908A (ko)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
KR101225400B1 (ko) 저온 활성이 가능한 시트형 섬유 유연제 조성물
JPS5943171A (ja) 繊維製品処理用物品
JP5430383B2 (ja) 布帛に防風性を付与する加工方法
KR20140092646A (ko) 섬유 처리제 조성물
EP2089570A1 (en) Benefit compositions and methods
JP7432436B2 (ja) 繊維処理剤
JP4446301B2 (ja) 繊維製品用液状縮み及びしわ防止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る繊維製品の処理方法
JP2954368B2 (ja) 衣料処理用製品
JP2004091949A (ja) 繊維改質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改質方法
KR100757114B1 (ko) 섬유처리제 조성물
JPH0718578A (ja) 繊維製品処理用物品
JP3181439B2 (ja) 繊維製品処理用物品
JP2001192970A (ja) 柔軟剤およびそれを担持してなる繊維処理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