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908A -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908A
KR20230097908A KR1020210187863A KR20210187863A KR20230097908A KR 20230097908 A KR20230097908 A KR 20230097908A KR 1020210187863 A KR1020210187863 A KR 1020210187863A KR 20210187863 A KR20210187863 A KR 20210187863A KR 20230097908 A KR20230097908 A KR 20230097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ragrance
glutamide
dryer
gell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144B1 (ko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이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원 filed Critical 이재원
Priority to KR1020210187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144B1/ko
Publication of KR2023009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2Amides; Substitute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로서, 향료, 유연제, 유화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되, 향 지속을 위한 유성 겔화제가 더 포함하도록 한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향 휘산을 억제하는 보호막의 역할을 하는 유성 겔화제인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를 첨가하여 의류용 건조기에서 고열 건조에 따른 향 손실을 최소화하고, 의류에 부착된 향이 천천히 휘산되도록 하는 우수한 항 지속성을 가지도록 하며, 오일 겔화제가 첨가된 조성물이 미첨가된 조성물 대비 초기와 7일 경시에 따른 잔향 강도 테스트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Composition of flexible fabric sheet for dryer with long lasting fragrance}
본 발명은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 조성물의 향료를 유성 겔화제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를 사용하여, 향료를 겔제형으로 전환시킴에 따라, 향 휘산을 방지하는 보호막의 역할을 수행하고, 의류용 건조기에서 고열 건조에 따른 향 손실을 최소화하며, 의류에 부착된 향이 천천히 휘산되는 뛰어난 향 지속성을 가지도록 하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에 대한 정전기를 방지함과 아울러, 의류에 유연성과 향기를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탁시 섬유유연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섬유유연제는 가정은 물론 그 외 빨래방, 세탁업계에서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내 시판되는 섬유유연제는 대체로 액상 타입으로 5kg 단위의 대용량으로 주부에게 사용하기가 너무 무겁고, 섬유유연 효과와 향기부여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세탁기에 섬유유연제 추천 양보다 배가하여 첨가하여도 섬유유연제 대부분 세탁 헹굼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의류 등에 잔류량이 충분히 남아 섬유유연 효과와 향기부여 효과를 기대 이상으로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세탁 중 손실된 섬유유연제는 하천 오염원으로 환경 피해를 야기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기에 첨가하는 액상형 섬유유연제 대신, 최근 의류 건조기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는데, 의류 건조기에 사용되는 제형은 섬유유연시트 제형으로 판매되고 있어, 기존 세탁기에 사용하는 액상 섬유유연제에 대비 섬유유연시트의 유효성분이 최소량으로 되어 있어도 기대 이상의 섬유유연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세탁 후 의류용 건조기에서 세탁 섬유물 건조과정의 강한 고열로 건조하므로, 섬유유연시트의 유효성분 중 향이 대부분 휘산되어, 건조 후 향기가 적게 나타나며, 건조 후 7일 이내 잔향이 거의 남아 있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2198호의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2021.05.10 등록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2611호의 "잔향성이 개선된 섬유유연제 조성물", 2018.08.20 공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부직포시트에 코팅 또는 함침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향 휘산 보호막 역할을 하는 유성 겔화제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를 사용하여, 의류용 건조기에서 고열 건조에 따른 향 손실을 최소화하고, 의류에 부착된 향이 천천히 휘산되도록 하는 뛰어난 향 지속성을 가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로서, 향료, 유연제, 유화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되, 향 지속을 위한 유성 겔화제가 더 포함되는,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유성 겔화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인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 glutamide)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01 ~ 20.0 중량%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여기서, R은 Butyl이고, R'는 Lauroyl임.
상기 유성 겔화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인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 glutamide)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1 ~ 10.0 중량%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상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10~30 중량%이고, 상기 유연제는, 상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20~50 중량%이고, 상기 유화제는, 상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5~30 중량%이고, 상기 경화제는, 상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10~4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에 의하면, 향 휘산을 억제하는 보호막의 역할을 하는 유성 겔화제인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를 첨가하여 의류용 건조기에서 고열 건조에 따른 향 손실을 최소화하고, 의류에 부착된 향이 천천히 휘산되도록 하는 우수한 항 지속성을 가지도록 하며, 오일 겔화제가 첨가된 조성물이 미첨가된 조성물 대비 초기와 7일 경시에 따른 잔향 강도 테스트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유화제 첨가와 무첨가의 상분리 현상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가용 샘플형태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은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로서, 향료, 유연제, 유화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되, 향 지속을 위한 유성 겔화제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의류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부직포시트에 코팅 또는 함침된 조성물에 포함된 유성 겔화제가 의류 건조기의 건조과정에서 뜨거운 열기로 인한 향 방출과 건조 후 경시에 따른 향료 손실을 억제함과 동시에, 잔향성이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은 양이온 계면 활성제, 유화제, 향료, 오일 겔화제, 방부제,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원료가 섬유유연제, 세탁세제, 세안이나 목욕용 세제,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성분으로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의 예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유화제, 향료, 방부제, 항균제, 경화제, 대전방지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에서, 섬유유연시트의 부직포 재질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릴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일론 및 레이온 등 합성수지 계통이 사용될 수 있는데, 부직포 종류로는 써말 본드(Termal boning), 스펀본드(Spunbond), 에어스루(Airthrough), 멜트브라운(Meltblow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향료는 섬유유연시트에 향의 발산을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것이라면, 인체에 무해함을 조건으로 그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조공정에서 섬유유연시트에 코팅되는 조성물 중 향료의 함량은 5 ~ 40 중량%일 수 있는데, 향료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의류에서 향의 효과가 미흡하고, 40 중량% 초과인 경우, 코팅 조성물이 상온에서 고체화되지 않아 섬유유연시트에 코팅된 조성물이 액상상태로 유지되어 손에 묻게 되어, 상품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섬유유연시트에 코팅되는 조성물 중에서 항료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5 ~ 40 중량%이나, 보다 안정적인 제약을 위하여, 10 ~ 30 중량%일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섬유에 유연 효과를 부여하는 유연제로서, 에스테르 쿼트(Ester Quat), 디메틸디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Dimetyl dialkyl ammonium chloride), 이미다졸린(Immidazoline), 아미도 아민(Amido amin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섬유산업에서 유연제로 사용되는 성분으로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유화제는 섬유유연시트에 코팅되는 조성물에 구성되는 양이온계면활성제, 향료, 경화제, 방부제, 항균제, 유성 겔링화제 및 기타 성분이 상분리되지 않고 균일상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화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 아릴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아민옥사이드, 소듐 코코일이세티네이트, 암모늄 코코 설페이트, 알루미늄 미리스테이트, 부틸렌 글리콜 코코에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라우릴 에테르, 글리콜 탈레이트, 글리콜 리시놀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올리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팔미테이트, 카르복시 메틸하이드록시에틸, 라우릴 알코올, 알코올실화 아미드, 소듐 카프로일 락틸레이트, 세틸 알코올, 부틸렌 글리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생활용품, 화장품, 산업용 세제분야에서 유화제로 사용되는 성분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경화제로서는 이소 스테리아산 헥실 데실,미리스틴산 옥틸 도데실,스테리아산 이소세틸,호박산 비스 에톡시 디글리콜,네오펜탄산 이소 스테아릴,트리에틸헥사노민,에틸 헥산 헥실데실,이소 노닌산 이소 노닐.미스티린산 이소 프로필,디카프린산 네오펜틸 글리콜을 사용할 수 있다.
유성 겔화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인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 glutamide)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01 ~ 20.0 중량% 함유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여기서, R은 Butyl이고, R'는 Lauroyl이다.
유성 겔화제의 성분은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인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 glutamide)와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로서, 향료를 최대 90 중량% 이상까지 함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정형(amorphous)한 겔 형성이 되는 것으로,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인 2개 성분은 서로간의 동일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어, 단독 또는 혼합비와 상관없이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향료를 겔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는 동일하다.
향료가 겔 형성이 되면, 향 휘산 보호막 역할을 하여 건조기의 고온에서 향 휘산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건조시킨 후 상온 상태에서 의류에 부착된 향이 천천히 휘산되는 롱 래스팅(Long lasting) 효과가 나타낸다.
섬유유연시트 코팅 조성물 중 향료 10 ~ 30 중량%일 때,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인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 glutamide)와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 2개 성분 총 0.01 ~ 20 중량%에서 겔링 효과가 나타나며, 0.01 중량% 미만에서는 겔화 효과가 미흡하고, 20 중량%을 초과할 경우 겔화 속도가 빨라 겔화제를 완전 분산시킬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 제조 공정상 제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유성 겔화제의 성분인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인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 glutamide)와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 2개 성분 총 0.01 ~ 20 중량%에서 겔링 효과가 나타나며, 바람직하게는 0.1 ~ 10 중량%가 제조공정상 안정적이다.
제조공정에서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 원료인 양이온 계면 활성제, 유화제, 향료, 방부제, 경화제 등 기타 원료를 투입하여 고온에서 용융 액상화시킨 후, 유성 겔화제를 첨가한 다음, 10 ~ 20분 사이에 겔화가 완료되며, 유성 겔화제의 엉김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향료는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10 ~ 30 중량%일 수 있고, 유연제는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20 ~ 50 중량%일 수 있으며, 유화제는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5 ~ 30 중량%일 수 있으며, 경화제는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10 ~ 40 중량%일 수 있다.
섬유유연시트의 코팅 조성물의 물성에서 60 ~ 70℃ 이상에서 액상이 되고, 60℃ 이하 상온에서 고상 형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부직포시트에 코팅 또는 함침된 조성물중 향료를 유성 겔화제로 겔화를 시킴으로써, 향 휘산 보호막 역할을 하여 건조기의 고온에서 향 휘산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건조시킨 후 상온 상태에서 의류에 부착된 향이 천천히 휘산되는 롱 래스팅(Long lasting) 효과를 나타내어, 다른 건조기용 섬유유연제시트 대비 향 지속성이 우수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례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례는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는 부직포 및 조성물로 구성되며, 부직포에 조성물을 코팅 또는 함침한 것이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이다.
실시례와 비교례의 비교를 위하여, 부직포를 준비한다.
부직포의 제조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써말 본드(Termal boning), 스펀본드(Spunbond), 에어스루(Airthrough), 멜트 브라운(Meltblown)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부직포로 제조되는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레이온, 펄프, 아크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부직포에 코팅 또는 함침되는 조성물을 준비한다.
조성물은 향료, 오일 겔화제, 유화제가 주성분으로 물성과 기능성 향상을 위해 유화제, 경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및 항균제가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유연제로 사용할 수 있는 성분의 대표적인 예로는 에스테르 쿼트(Ester Quat), 디메틸디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Dimetyl dialkyl ammonium chloride), 이미다졸린(Immidazoline), 아미도 아민(Amido amine)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핵심기술의 성분으로는 유성 겔화제인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인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 glutamide)와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로서 2개 성분 중 단독 또는 혼합 첨가해도 같은 중량%에서는 향료에 대한 겔화 성능이 동일할 수 있다.
실시례와 비교례와의 구분은 실시례의 경우 유성 겔화제가 첨가되고, 비교례는 유성 겔화제가 무첨가된다. 그런 다음, 조성물을 부직포에 함침시킨다.
조성물 함침을 위한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잉크젯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롤 코팅법 및 그라비아 코팅법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를 상온에서 5 ~ 10분 방치시킨다. 부직포 평량은 1 ~ 100gsm 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40gsm일 수 있으며, 본 실시례와 비교례에서는 부직포 평량 20gsm으로 선정하고, 부직포 사이즈는 20 x 20mm 1매로 한정한다. 부직포 1매당 조성물 함침량은 0.5 ~ 5g/매이나 함침량이 5g/매 이상일 경우 제조공정에서 부직포간에 달라붙은 현상의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1 ~ 2g/매로 할 수 있으며, 실시례와 비교례에서도 부직포에 조성물 함침량에 따른 향 지속성 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하, 실시례 및 비교례를 기재한다. 그러나 실시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례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례는 본 발명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례]
오일 겔화제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인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glutamide, 상품명: Gelling agent EB-1, 일본 아지노모토),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 상품명: Gelling agent EB-1, 일본 아지노모토), 유성 향료 SP-83319(유럽 GIVAUDAN), 유연제인 Ester Quat(애경산업), 유화제로서 계면활성제인 AMINEOXIDE(한국 태동) 및 방부제 등 일반 원료를 준비한다.
제조순서는 유연제인 Ester Quat, 유화제인 AMINEOXIDE 및 일반 첨가물을 순서대로 첨가한 후, 고온 80℃ 이상 용융 상태에서 5 ~ 10분 교반 후 오일 겔화제를 총 5 중량% 투입하고, 10 ~ 20분 교반하여 완전 용해된 상태에서 향료 실시례와 비교례에 따라 15, 20, 30 중량%를 각각 첨가한 다음, 5 ~ 10분 교반한 후, 상온 방치하면, 겔화 고상 형태의 조성물이 완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준비된 원료를 정상 투입한 1번과 달리유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2번의 경우 상분리 현상이 발생된다.
부직포에 조성물을 함침하는 과정은 상기의 겔화 고상 형태 조성물을 60 ~ 70℃에서 교반하면 용융 액상 상태가 되므로, 액상 상태에서 부직포에 일정량 함침하면,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가 된다.
실시례 1
실시례 1은 유연제 30 중량%, 유화제 등 기타 원료 50 중량%, 향료 15 중량%, 오일 겔화제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 glutamide) 2.5 중량%,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 2.5 중량%를 함량별로 실시례에서 제시된 제조방법에 준하여 제조한다.
실시례 2~4
실시례 2는 실시례 1의 원료구성과 제조방법을 따르며, 원료 중 오일 겔화제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를 제외하고,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 glutamide)를 5 중량% 투입한다.
실시례 3은 실시례 1의 원료구성과 제조방법을 따르며, 원료 중 오일 겔화제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를 제외하고,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 glutamide)를 5 중량% 투입하며, 향료를 20 중량%로 투입한다.
실시례 4는 실시례 1의 원료구성과 제조방법을 따르며, 원료 중 오일 겔화제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 glutamide)를 제외하고,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를 5 중량% 투입하며, 향료 30 중량% 투입한다.
[비교례]
비교례 1 ~ 3
비교례 1는 실시례 1의 원료구성과 제조방법을 따르나, 오일 겔화제를 투입하지 않으며, 향료가 15 중량% 투입한다.
비교례 2는 비교례 1의 원료구성과 제조방법이 동일하나, 향료가 20 중량% 투입한다.
비교례 3은 비교례 1과 동일하나, 향료가 30 중량% 투입한다.
구분 실시례 비교례
1 2 3 4 1 2 3
Dibutyl-ethylhexylglutamide 2.5 5 5 - - - -
Dibutyl-lauroyl glutamide 2.5 - - 5 - - -
향료 15 15 20 30 15 20 30
유연제 30 30 30 30 30 30 30
유화제 등 기타 50 50 45 35 55 50 40
표 1의 실시례 1~4, 비교례 1~3으로 제조된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시트의 조성물을 60 ~ 70℃ 용융시킨 액상상태에서 평량 20gsm의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에 롤 코팅하는 방법으로 함침한다. 도 2의 1번 조성물 함침된 롤 부직포를 도 2의 2번과 같이 1매당 사이즈 20 × 20cm로 제작한다.
롤 방식으로 부직포에 조성물 함침시 1매당 사이즈 20 × 20cm에 조성물의 함침량이 2g 되도록 하여 실시례 1~4, 비교례 1~3에 비교 평가하도록 한다.
평가방법으로는 대상 건조물을 시판 100% 면타올 각각 5매, 표 1의 실시례 1~4와 비교례 1~3 조성물을 함침한 도 2의 2번 시트 1매를 LG 전자 트롬건조기 RH17VTLN(모델명)에 17kg 투입하고, 건조 표준시간으로 건조한 후, 초기, 1일차, 3일차, 7일차 순으로 잔향 효과를 평가한다.
건조된 타월을 대상으로 10명의 30 ~ 40대 숙련된 주부 평가원(panelist)의 관능 평가시험에 의하여 향의 강도를 점수로 최저 1점에서 7점까지의 7점 척도로 부여하고, 이것을 3회 반복하여 그 평균값으로써 잔향 강도를 측정하였다.
표 2에서 실시례 1 및 2의 오일 겔화제인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 glutamide)와,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간의 초기와 경시에 따른 잔향 효과가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오일 겔화제가 첨가된 실시례 1~4가 미첨가된 비교례 1~3 보다 초기와 경시에 따른 잔향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므로 오일 겔화제의 작용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잔향 1일차 잔향 3일차 잔향 7일차 잔향
실시례 1 5.2 4.8 4.5 3.9
실시례 2 5.3 4.7 4.4 4.0
실시례 3 5.8 5.3 4.9 4.5
실시례 4 6.5 6.2 5.8 5.3
비교례 1 4.5 3.8 3.0 2.2
비교례 2 5.0 4.2 3.5 2.8
비교례 3 6.0 5.3 4.7 4.0
평가척도에서, 1점은 잔향성이 거의 없고, 2점은 잔향성이 미흡하며, 3점은 잔향성이 조금 미흡하고, 4점은 잔향성이 있으며, 5점은 잔향성이 좋고, 6점은 잔향성이 강하며, 7점은 잔향성이 아주 강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에 따르면, 향 휘산을 억제하는 보호막의 역할을 하는 유성 겔화제인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를 첨가하여 의류용 건조기에서 고열 건조에 따른 향 손실을 최소화하고, 의류에 부착된 향이 천천히 휘산되도록 하는 우수한 항 지속성을 가지도록 하며, 오일 겔화제가 첨가된 조성물이 미첨가된 조성물 대비 초기와 7일 경시에 따른 잔향 강도 테스트에서 우수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로서,
    향료, 유연제, 유화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되, 향 지속을 위한 유성 겔화제가 더 포함되는,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성 겔화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인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 glutamide)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01 ~ 20.0 중량% 함유하는,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여기서, R은 Butyl이고, R'는 Lauroyl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성 겔화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글루타마이드(Grutamide)계인 디부틸에틸헥실글루타미드(Dibutyl-ethylhexyl glutamide)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Dibutyl-lauroyl glutamid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1 ~ 10.0 중량% 함유하는,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상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10~30 중량%이고,
    상기 유연제는,
    상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20~50 중량%이고,
    상기 유화제는,
    상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5~30 중량%이고,
    상기 경화제는,
    상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10~40 중량%인,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
KR1020210187863A 2021-12-24 2021-12-24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 KR102658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863A KR102658144B1 (ko) 2021-12-24 2021-12-24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863A KR102658144B1 (ko) 2021-12-24 2021-12-24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908A true KR20230097908A (ko) 2023-07-03
KR102658144B1 KR102658144B1 (ko) 2024-04-16

Family

ID=8715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863A KR102658144B1 (ko) 2021-12-24 2021-12-24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070B1 (ko) * 2023-12-04 2024-04-03 주식회사 르마 건조기용 시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611A (ko)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잔향성이 개선된 섬유유연제 조성물
US20180272308A1 (en) * 2015-09-28 2018-09-27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Hybrid capsules
US20200188293A1 (en) * 2018-12-18 2020-06-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 With Increased Vapor Release
KR102252198B1 (ko) 2019-12-05 2021-05-13 이난희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72308A1 (en) * 2015-09-28 2018-09-27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Hybrid capsules
KR20180092611A (ko)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잔향성이 개선된 섬유유연제 조성물
US20200188293A1 (en) * 2018-12-18 2020-06-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 With Increased Vapor Release
KR102252198B1 (ko) 2019-12-05 2021-05-13 이난희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070B1 (ko) * 2023-12-04 2024-04-03 주식회사 르마 건조기용 시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144B1 (ko)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6413A (en) Gelled, dryer-added fabric-modifier sheet
US5173200A (en) Low-solvent gelled dryer-added fabric softener sheet
US5062973A (en) Stearate-based dryer-added fabric modifier sheet
US6254932B1 (en) Fabric softener device for in-dryer use
US4238531A (en) Additives for clothes dryers
US4327133A (en) Additives for clothes dryers
US4012326A (en) Additives for clothes dryers
US4421792A (en) Additives for clothes dryers
US3977980A (en) Solid fabric conditioner composition
CA2305150A1 (en) Dry-cleaning kits includ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sulfonic acid
JP2003511575A (ja) 布地柔軟剤組成物
CA1315048C (en) Stearate-based dryer-added fabric softener sheet
JP2002212879A (ja) 布帛におけるしわを減少させ、触感を改良する方法
KR102658144B1 (ko) 향 지속성을 가지는 건조기용 섬유유연시트의 조성물
KR102252198B1 (ko) 건조기용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90044084A (ko)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763651B2 (ja) 柔軟仕上剤
KR102671264B1 (ko) 섬유유연제시트용 액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50879B1 (ko) 섬유처리제 조성물
JPH03287867A (ja) 柔軟仕上剤
KR20090001093A (ko) 시트형 섬유유연제
JPS5943171A (ja) 繊維製品処理用物品
DE2350543A1 (de) Konditionieren von textilien
JP4446301B2 (ja) 繊維製品用液状縮み及びしわ防止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る繊維製品の処理方法
KR100757114B1 (ko) 섬유처리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