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959A -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959A
KR20220075959A KR1020200164623A KR20200164623A KR20220075959A KR 20220075959 A KR20220075959 A KR 20220075959A KR 1020200164623 A KR1020200164623 A KR 1020200164623A KR 20200164623 A KR20200164623 A KR 20200164623A KR 20220075959 A KR20220075959 A KR 20220075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ell stack
impedance
measuring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4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5959A/ko
Priority to US17/380,793 priority patent/US11901595B2/en
Publication of KR20220075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5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oth fuel cells and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34Other electric variables, e.g. resistance or impedance
    • H01M8/04649Other electric variables, e.g. resistance or impedanc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0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619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fuel cell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03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auxiliary motors, e.g. for pumps, compre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B60L58/33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4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controlling a combination of batteries and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16/003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 H01M16/006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of fuel cells with recharge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74Current
    • H01M8/04589Current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955Shut-off or shut-down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연료전지스택의 메인버스단에 병렬로 각각 연결된 에너지소모장치, 냉각장치 및 고전압배터리; 메인버스단에 마련되며, 냉각장치 및 고전압배터리를 연료전지스택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 연료전지스택에 AC전류를 인가하며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및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 릴레이를 오프(OFF)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IMPEDANCE OF FUEL CELL STACK}
본 발명은 연료전지 임피던스를 측정할 때 노이즈의 원인이 되는 고전압 에너지 소모 부품(압축기, 냉각 펌프 등)에 연료전지가 아닌 배터리에서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임피던스 측정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소모되는 에너지가 적기 때문에 연료전지의 운전 영역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체 연료전지 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하며 임의의 위치에 있는 복수 또는 하나의 셀의 임피던스를 측정 할 수 있고, 적은 양의 열이 생성되기 때문에 기존의 수냉 뿐만 아니라 공냉까지도 적용 가능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재생에너지와 친환경에너지에 대한 필요가 급증하며 차량용 연료전지 또는 산업용 연료전지에 대한 기술수요가 증대된다. 연료전지는 다양한 조건에서 수소와 산소의 민감한 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전류를 생산하기 때문에 작동조건과 환경에 의하여 셀의 열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현재 연료전지 셀의 열화 정도를 측정하는 직접ㅈ벅인 방법으로는 연료전지 셀 또는 스택 전체의 임피던스를 직접 측정하는 방식이 가장 정확하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전지시스템 임피던스 측정은 임피던스 측정을 위해 압축기와 수소 공급 장치를 이용해 연료전지스택을 에너지 생성이 가능한 상태로 전압을 OCV 상태로 만든후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AC 성분의 에너지를 연료전지스택으로부터 소비하고 이때 소비된 에너지는 COD(저항체)에서 마지막으로 소비되도록 하였다.
이때 COD(저항체)에서는 많은 발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냉각 펌프에 의한 수냉 열교환이 필연적이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경우, 임피던스 측정 시, 압축기 및 냉각 펌프 등과 같은 전기적 회로 및 스위칭 소자등의 구동 에너지를 연료전지스택으로부터 공급 받기 때문에 임피던스 측정부에 노이즈 성분이 필연적으로 반영되었다. 이에 따라 임피던스 측정에 대한 정확도가 낮아지고 제어에도 상당히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7-0100117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연료전지 임피던스를 측정할 때 노이즈의 원인이 되는 고전압 에너지 소모 부품(압축기, 냉각 펌프 등)에 연료전지가 아닌 배터리에서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임피던스 측정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소모되는 에너지가 적기 때문에 연료전지의 운전 영역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체 연료전지 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하며 임의의 위치에 있는 복수 또는 하나의 셀의 임피던스를 측정 할 수 있고, 적은 양의 열이 생성되기 때문에 기존의 수냉 뿐만 아니라 공냉까지도 적용 가능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은, 연료전지스택의 메인버스단에 병렬로 각각 연결된 에너지소모장치, 냉각장치 및 고전압배터리; 메인버스단에 마련되며, 냉각장치 및 고전압배터리를 연료전지스택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 연료전지스택에 AC전류를 인가하며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및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 릴레이를 오프(OFF)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 에너지소모장치는 연료전지스택에 인가된 AC전류성분에 의한 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다.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 냉각장치는 에너지소모장치를 냉각할 수 있다.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 냉각장치는 고전압배터리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연료전지스택의 일반 작동시 릴레이는 온(ON)되며 냉각장치는 연료전지스택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고 연료전지스택을 냉각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류인가라인과 전압측정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류인가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양 끝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측정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양 끝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류인가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양 끝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측정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일부 셀 구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류인가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일부 셀 구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측정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일부 셀 구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류인가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일부 셀 구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측정라인이 전류인가라인보다 좁은 범위의 셀 구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 종료 후, 릴레이를 온하고 연료전지스택에서 냉각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에너지소모장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 전자장비일 수 있다.
에너지소모장치는 메인버스단과는 별개로 연료전지스택 또는 임피던스 측정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정시스템을 이용한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방법은, 릴레이를 오프하는 단계;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연료전지스택에 AC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에너지소모장치에서 연료전지스택에 인가된 AC전류성분에 의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단계; 및 고전압배터리에서 냉각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냉각장치가 에너지소모장치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연료전지 임피던스를 측정할 때 노이즈의 원인이 되는 고전압 에너지 소모 부품(압축기, 냉각 펌프 등)에 연료전지가 아닌 배터리에서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임피던스 측정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소모되는 에너지가 적기 때문에 연료전지의 운전 영역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체 연료전지 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하며 임의의 위치에 있는 복수 또는 하나의 셀의 임피던스를 측정 할 수 있고, 적은 양의 열이 생성되기 때문에 기존의 수냉 뿐만 아니라 공냉까지도 적용 가능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의 임피던스 측정부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방법의 순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의 임피던스 측정부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은, 연료전지스택(100)의 메인버스단(120)에 병렬로 각각 연결된 에너지소모장치(720,740), 냉각장치(900) 및 고전압배터리(950); 메인버스단(120)에 마련되며, 냉각장치(900) 및 고전압배터리(950)를 연료전지스택(10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300); 연료전지스택(100)에 AC전류를 인가하며 연료전지스택(10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500); 및 연료전지스택(100)의 임피던스 측정시, 릴레이(300)를 오프(OFF)하는 제어부(10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은 연료전지스택의 셀 전부 또는 일부 구간 내지 하나의 단일 셀의 임피던스를 정확히 측정함으로써 연료전지의 열화도 등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료전지시스템에는 메인버스단(120)이 연결되고, 해당 메인버스단(120)에 각종 장치들이 병렬로 연결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에너지소모장치(720,740), 냉각장치(900) 및 고전압배터리(950)는 연료전지스택(100)의 메인버스단(120)에 병렬로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메인버스단(120)에는 메인릴레이(140)가 마련되어 연료전지스택(100)을 전체 시스템과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릴레이(300)는 추가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냉각장치(900) 및 고전압배터리(950)를 연료전지스택(10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메인릴레이(140)와는 개별적으로 별도의 추가적인 릴레이(300)를 마련하는 것이고, 이를 통하여 메인버스단(120)에 병렬로 연결된 냉각장치(900) 및 고전압배터리(950)를 연료전지스택(10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연료전지스택(100)의 임피던스 측정시에는 릴레이(300)를 오프함으로써 냉각장치(900) 및 고전압배터리(950)가 연료전지스택(100)과는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냉각장치(900)는 연료전지스택(100)의 전류가 아닌 고전압배터리(950)의 전류를 소모하는 것이고, 이를 통하여 연료전지스택(100)의 임피던스 측정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저감하도록 한다.
한편, 임피던스 측정부(500)는 연료전지스택(100)에 AC전류를 인가하며 연료전지스택(10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도록 한다. 임피던스 측정부(500)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함께 마련되어 스위칭 등을 통해 필요시 연결되거나 또는 외부에서 필요시 장착되어 연결되는 등 다양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0)는 연료전지스택(100)의 임피던스 측정시에는 앞서 언급한 릴레이(300)를 오프(OFF)함으로써 냉각장치(900)와 고전압배터리(950)를 메인버스단(120)에서 분리하여 연료전지스택(100)과는 차단하고, 임피던스 측정부(500)를 통한 연료전지스택(100)의 임피던스 측정시 노이즈 발생을 저감한다. 그리고 냉각장치(900)를 제어함으로써 별도로 에너지소모장치(720,740)의 냉각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연료전지스택(100)의 임피던스 측정시에는 에너지소모장치(720,740)는 연료전지스택(100)에 인가된 AC전류성분에 의한 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다. 즉, 연료전지스택(100)의 임피던스 측정을 위해 DC로 구동되는 연료전지스택(100)에 AC전류를 인가하고, 이에 따른 잉여 에너지의 소모가 필요한바, 별도의 에너지소모장치(720,740)를 통하여 에너지를 소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에너지소모장치(720,740)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할 필요가 있어 냉각장치(900)를 고전압배터리(950)를 통하여 별도로 구동하는 것이다.
즉, 연료전지스택(100)의 임피던스 측정시, 냉각장치(900)는 에너지소모장치(720,740)를 냉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냉각장치(900)는 고전압배터리(950)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냉각장치(900)를 연료전지스택(100)이 아닌 고전압배터리(950)의 전류를 사용하여 구동함으로써 연료전지스택(100)의 임피던스 측정시 전류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연료전지스택(100)에는 임피던스의 측정에 필요한 정도의 전류만을 인가함으로써 결론적으로 에너지소모장치(720,740)에서 소모해야 하는 에너지 역시 매우 적은 양의 에너지만이 필요하다.
따라서 에너지소모장치(720,740)에서 필요한 냉각양도 저감되어 냉각장치(900) 전부를 구동할 필요가 없고, 최소한의 공냉만으로도 에너지소모장치(720,740)의 냉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냉매를 위한 압축기 등의 구동이 불필요하거나 저감되고, 그에 따라 고전압배터리(950)의 소모 역시 줄어들어 시스템 전체적으로 에너지 소모가 줄어 친환경적인 것이다.
물론, 연료전지스택(100)의 임피던스 측정이 아닌 일반적인 작동시에는 릴레이(300)는 온(ON)되며 냉각장치(900)는 연료전지스택(100)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고 연료전지스택(100)을 냉각하거나 필요한 시스템에서의 공조나 냉각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의 임피던스 측정부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임피던스 측정부(500)는 전류인가라인(520)과 전압측정라인(540)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료전지스택(100)의 전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임피던스 측정부(500)는 전류인가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양 끝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측정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양 끝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연결을 통하여 연료전지스택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고 전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일부 특정 구간의 임피던스 측정을 위해서는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류인가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양 끝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측정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일부 셀 구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일부 구간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여 임피던스를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임피던스 측정부(500)는 전류인가라인(520)이 연료전지스택(100)의 일부 셀 구간(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측정라인(540)이 동일한 지점에서 연료전지스택의 일부 셀 구간(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3과 같이 임피던스 측정부(500)는 전류인가라인(520)이 연료전지스택의 일부 셀 구간(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측정라인(540)이 전류인가라인(520)보다 좁은 범위의 셀 구간(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연료전지스택의 전 구간이 아닌 일부 특정 구간의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셀 하나의 독립적인 임피던스 측정도 가능하여 연료전지스택에서 어느 셀의 열화도가 많이 진행되었는지 등을 비교적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000)는 연료전지스택(100)의 임피던스 측정 종료 후, 릴레이(300)를 온하고 연료전지스택(100)에서 냉각장치(900)에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소모장치(720,740)는 구동모터(720)를 포함한 전자장비일 수 있다.
또는, 에너지소모장치(720,740)는 메인버스단(120)과는 별개로 연료전지스택(100) 또는 임피던스 측정부(5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도 1의 경우에는 모터(720) 또는 COD저항(740) 등이 에너지소모장치로서 메인버스단(120)에 연결된 경우와 별도의 에너지소모장치(700)가 임피던스 측정부(500)에 직접 연결된 경우를 모두 나타낸다. 물론 에너지소모장치는 도시된 것과 달리 모터(720) 또는 COD저항(740)으로만 구성되거나 또는 임피던스 측정부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에너지소모장치(700)가 임피던스 측정부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는 COD(740) 등의 경우 릴레이(300)의 후단에 마련됨으로써 릴레이(300) 오프시 함께 연결이 해제되거나 도시된 것과 같이 별도의 COD릴레이(742)를 마련하여 오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방법의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측정시스템을 이용한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방법은, 릴레이를 오프하는 단계;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연료전지스택에 AC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에너지소모장치에서 연료전지스택에 인가된 AC전류성분에 의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단계; 및 고전압배터리에서 냉각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냉각장치가 에너지소모장치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차량과 연료전지 시스템을 운전하도록 한다(S100). 그리고 임피던스의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릴레이를 오프하도록 한다(S120,S200). 그 후 고전압배터리에서 냉각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한다(S220). 그리고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연료전지스택에 AC전류를 인가한다. 그리고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다(S300).
그 후 에너지소모장치에서 연료전지스택에 인가된 AC전류성분에 의한 에너지를 소모하고(S320), 고전압배터리에서 냉각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냉각장치가 에너지소모장치를 냉각한다.
임피던스를 계산하고, 계산된 임피던스를 전달한 후 측정을 종료한다(S400,S420,S440). 종료 후에는 다시 릴레이를 온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연료전지스택에서 각 구동부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S500,S520).
본 발명의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연료전지 임피던스를 측정할 때 노이즈의 원인이 되는 고전압 에너지 소모 부품(압축기, 냉각 펌프 등)에 연료전지가 아닌 배터리에서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임피던스 측정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소모되는 에너지가 적기 때문에 연료전지의 운전 영역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체 연료전지 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하며 임의의 위치에 있는 복수 또는 하나의 셀의 임피던스를 측정 할 수 있고, 적은 양의 열이 생성되기 때문에 기존의 수냉 뿐만 아니라 공냉까지도 적용 가능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연료전지스택 300 : 릴레이
500 : 인피던스 측정부 1000 : 제어부

Claims (14)

  1. 연료전지스택의 메인버스단에 병렬로 각각 연결된 에너지소모장치, 냉각장치 및 고전압배터리;
    메인버스단에 마련되며, 냉각장치 및 고전압배터리를 연료전지스택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
    연료전지스택에 AC전류를 인가하며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및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 릴레이를 오프(OFF)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 에너지소모장치는 연료전지스택에 인가된 AC전류성분에 의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 냉각장치는 에너지소모장치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 냉각장치는 고전압배터리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료전지스택의 일반 작동시 릴레이는 온(ON)되며 냉각장치는 연료전지스택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고 연료전지스택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류인가라인과 전압측정라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류인가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양 끝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측정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양 끝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류인가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양 끝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측정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일부 셀 구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류인가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일부 셀 구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측정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일부 셀 구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임피던스 측정부는 전류인가라인이 연료전지스택의 일부 셀 구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측정라인이 전류인가라인보다 좁은 범위의 셀 구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 종료 후, 릴레이를 온하고 연료전지스택에서 냉각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에너지소모장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 전자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에너지소모장치는 메인버스단과는 별개로 연료전지스택 또는 임피던스 측정부에 직접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14. 청구항 1의 측정시스템을 이용한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방법으로서,
    릴레이를 오프하는 단계;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연료전지스택에 AC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에너지소모장치에서 연료전지스택에 인가된 AC전류성분에 의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단계; 및
    고전압배터리에서 냉각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냉각장치가 에너지소모장치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방법.
KR1020200164623A 2020-11-30 2020-11-30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KR20220075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623A KR20220075959A (ko) 2020-11-30 2020-11-30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US17/380,793 US11901595B2 (en) 2020-11-30 2021-07-20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impedance of a fuel cell st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623A KR20220075959A (ko) 2020-11-30 2020-11-30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959A true KR20220075959A (ko) 2022-06-08

Family

ID=8175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623A KR20220075959A (ko) 2020-11-30 2020-11-30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01595B2 (ko)
KR (1) KR202200759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0117A (ko) 2016-02-25 2017-09-04 (주)엠텍정보기술 소형 이동형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의 셀 내부저항 측정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8378B2 (ja) * 2016-02-26 2018-0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7132088B2 (ja) * 2018-11-02 2022-09-06 株式会社Soken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200060899A (ko) * 2018-11-23 2020-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 스택의 임피던스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0117A (ko) 2016-02-25 2017-09-04 (주)엠텍정보기술 소형 이동형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의 셀 내부저항 측정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73417A1 (en) 2022-06-02
US11901595B2 (en)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7993B2 (en) Fuel cell system
US20220402363A1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a fuel cell electric vehicle stack
CN111180765B (zh) 用于燃料电池的冷启动控制系统和控制方法
CN106571480B (zh) 在不断开接触器的情况下估算多电压燃料电池系统的冷却剂导电率
CN113784869B (zh) 电驱动机动车的车载网络的电路布置及用于操作其的方法
US8445153B2 (en) Fuel cell high-potential prevention control system
CA2450849C (en) Diagnostic apparatus and diagnostic method for fuel cell
US10099573B2 (en) Drive system and vehicle
CN107310400B (zh) 用于燃料电池车辆的空气压缩机的控制方法和系统
EP3722138B1 (en)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11063280B2 (en) Fuel cell system
JP2008067500A (ja) 電力供給装置
CN109841878B (zh) 用于燃料电池的cod控制方法和系统
KR20220075959A (ko) 연료전지스택의 임피던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JP4380766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20080311453A1 (en) Fuel cell system and fuel cell vehicle
JPH07194015A (ja) 充電制御装置
JP2009044817A (ja) 燃料電池車両
KR20190007542A (ko) 연료전지 차량의 프리차지 릴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444789B (zh) 燃料电池系统及其控制方法
JP6575873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30061899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냉각수 부족 감지/경고 장치 및 방법
JP2023017351A (ja) 燃料電池車
KR20210073052A (ko) 전기 자동차용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8074844A (ja) バッテ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