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902A - 배양기 - Google Patents

배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902A
KR20220075902A KR1020200164504A KR20200164504A KR20220075902A KR 20220075902 A KR20220075902 A KR 20220075902A KR 1020200164504 A KR1020200164504 A KR 1020200164504A KR 20200164504 A KR20200164504 A KR 20200164504A KR 20220075902 A KR20220075902 A KR 20220075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ensing unit
wavelength region
sensing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313B1 (ko
Inventor
성원기
조원보
Original Assignee
(주)피앤지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앤지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피앤지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200164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3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2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p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2Transparent or translucent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24Recirculation of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1/00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 C12M31/02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located outside th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4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g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021/3125Measuring the absorption by excited molec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021/3129Determining multicomponents by multiwavelength 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는 본체 및 도어로 그 외형을 이룬다. 그리고, 본체 및 도어 내부에는 배양용기, 제1감지체, 제2감지체, 광원, 제1감지유닛, 제2감지유닛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감지유닛 및 제2감지유닛으로부터 계측되는 각각의 빛의강도를 기초로 배양용기에 수용된 액체의 pH농도 및 용존산소량을 도출한다.

Description

배양기{CULTURE MEDIUM}
본 발명은 배양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양액의 PH농도와 용존산소량을 실시간으로 계측 할 수 있는 배양기에 관한 것이다.
배양기는 온도, 습도, 기타 다른 조건들을 목적에 맞추어 최적의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격리된 공간을 갖는다. 배양기의 종류에는 부화기나, 인큐베이터, 세균배양기 등이 있다. 특히, 세균배양기는 배양기 안의 세균이나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조절된 환경을 조성한다. 온도조절, 습도조절장치, 환기 장치들이 구비되고, 격리된 공간 안에는 특정 성분의 배양액을 담을 수 있는 용기가 배치된다.
배양기는 그 목적에 맞춰 배양기 내부의 환경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능이다. 따라서, 실제로 미생물이나 동물세포가 배양되는 배양액을 모니터링 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이와 관련한 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93690호(이하, '관련기술1'이라 함.)는 '알지비 센서를 이용한 수질측정용 광센서장치'를 개시한다. 관련기술1은 LED광원으로부터 형광막으로 특정 파장의 빛을 투사한 다음, 형광막으로부터 발산되는 형광을 기초로 용존산소 또는 pH농도와 같은 수질기준을 측정토록 한 광센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RGB센서로 pH농도 또는 용존산소량을 계측하는 것은 그 정확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pH농도의 계측과 용존산소량의 계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다는 불편함도 있었다. 그리고, pH농도를 계측하기 위한 LED와 용존산소량을 계측하기 위한 LED가 각기 별도로 구비되어야 해 장치의 소형화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배양액의 pH농도 및 용존산소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없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배양액의 pH농도 및 용존산소량을 계측하기 위해선 장치의 부피가 커야 했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배양액의 pH농도 및 용존산소량을 보다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배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는 내부에 제1격실, 제2격실 및 배양실이 형성되는 본체, 본체에 결합되어 배양실을 열거나 닫는 도어, 배양실에 구비되어 액체가 수용될 수 있으며, 바닥면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배양용기, 배양용기에 수용된 액체에 잠기도록 배양용기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배양용기에 수용된 액체의 pH농도에 따라 방사하는 광의 파장이 변화하는 제1감지체, 배양용기에 수용된 액체에 잠기도록 배양용기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배양용기에 수용된 액체의 용존산소량에 따라 방사하는 광의 파장이 변화하는 제2감지체, 제1격실에 구비되어 배양용기의 바닥면을 향해 미리 정해진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제2격실에 구비되어 제1감지체 및 제2감지체로부터 방사되는 빛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파장영역인 제1파장영역의 빛의강도를 감지하는 제1감지유닛, 제2격실에 구비되어 제1감지체 및 제2감지체로부터 방사되는 빛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파장영역인 제2파장영역의 빛의강도를 감지하는 제2감지유닛, 제1감지체 및 제2감지체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제1감지유닛 및 제2감지유닛으로 분광시키는 광분할기, 제1감지유닛 및 제2감지유닛으로부터 계측되는 각각의 빛의강도를 기초로 배양용기에 수용된 액체의 pH농도 및 용존산소량을 도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에서 도어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창으로 형성되는 관찰창, 배양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조절기, 배양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을 포함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에서 제1감지체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으로 인해 여기상태가 되고, 여기상태에서 제1파장영역 및 제2파장영역에 각각 속하는 두 개의 파장대를 지닌 빛을 방사하고, 제2감지체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으로 인해 여기상태가 되고, 여기상태에서 제1파장영역 및 제2파장영역에 속하는 각각 두 개의 파장대를 지닌 빛을 방사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에서 제1감지유닛은 제1감지체 및 제2감지체로부터 방사된 빛의 제1파장영역의 빛의강도를 각각 감지하고, 제2감지유닛은 제1감지체 및 제2감지체로부터 방사된 빛의 제2파장영역의 빛의강도를 각각 감지한다.
또는,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에서 제1감지유닛은, 제1파장영역의 빛만을 투과하는 제1필터, 제1필터를 통과한 빛의 제1파장영역의 빛의강도를 계측하는 제1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2감지유닛은 제2파장영역의 빛만을 투과하는 제2필터, 제2필터를 통과한 빛의 제2파장영역의 빛의강도를 계측하는 제2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에서 본체는 제1격실을 형성하는 벽으로서 광원이 고정되는 고정선반, 고정선반에 결합되어 제1감지체 및 제2감지체로부터 방사된 빛을 광분할기로 집광시키는 집광렌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시에 배양액의 pH농도와 용존산소량을 계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지체로부터 발산되는 여러 파장의 빛을 감지해 pH농도 및 용존산소량을 도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계측값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양액의 pH농도 및 용존산소량을 계측하는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양액의 pH농도 및 용존산소량을 계측하기 위한 여러 구성들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에서 빛의 경로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에서 배양액의 성질을 검출하는 구성들을 개념적으로 도식화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절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는 그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측 일부를 여닫는 도어(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는 그 내부에 제1격실(40), 제2격실(50) 및 배양실(60)이 형성된다. 제1격실(40), 제2격실(50) 및 배양실(60)은 각기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양실(60)의 연직하방에 제1격실(40)이 배치되고, 제1격실(40)의 연직하방에 제2격실(50)이 배치된다. 즉, 배양실(60), 제1격실(40) 및 제2격실(50)은 상하로 수직한 가상의 직선상에 일렬로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는 본체(10) 및 도어(20)로 이루어진 함체 내부에 배양용기(110), 제1감지체(112), 제2감지체(114), 광원(212), 제1감지유닛(400), 제2감지유닛(500), 광분할기(3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배양용기(110)는 배양실(60)에 구비된다. 배양용기(110)에는 액체 배양액이 수용될 수 있다. 배양용기(110)는 적어도 일부분이 광 투과가 되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감지체(112) 및 제2감지체(114)는 각각 배양용기(110)의 바닥면에 부착된다. 또는 코팅될 수도 있다.
제1감지체(112) 및 제2감지체(114)는 배양용기(110)에 수용된 약체에 잠기도록 위치한다.
제1감지체(112)는 미리 정해진 파장의 빛이 조사되면 여기상태(혹은 들뜬상태, excited state)가 되고, 여기상태에서 형광색을 띄게 된다. 제1감지체(112)는 배양용기(110)에 수용된 액체의 pH농도에 따라 반사하는 빛의 파장이 변화한다.
제2감지체(114)는 미리 정해진 파장의 빛이 조사되면 여기상태가 되고, 여기상태에서 형광색을 띈다. 제2감지체(114)는 배양용기(110)에 수용된 액체의 용존산소율에 따라 반사하는 빛의 파장이 변화한다.
광원(212)은 제1격실(40)에 구비되어 배양용기(110)의 바닥면을 향해 미리 정해진 파장의 빛을 조사한다.
제1감지유닛(400) 및 제2감지유닛(500)은 제2격실(50)에 구비된다. 제1감지유닛(400)과 제2감지유닛(500)은 제1감지체(112) 및 제2감지체(114)로부터 반사되는 빛으로부터 각기 제1파장영역 및 제2파장영역의 빛의강도를 감지한다.
광분할기(300)는 제1감지체(112) 및 제2감지체(114)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빛을 제1감지유닛(400) 및 제2감지유닛(500)의 방향으로 분광시킨다.
제어부(600)는 제1감지유닛(400) 및 제2감지유닛(500)으로부터 계측되는 빛의강도를 기초로 배양용기(110)에 수용된 액체의 pH농도 및 용존산소량을 도출한다.
아래에서는 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를 각 구성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에서 빛의 경로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배양실(60), 제1격실(40) 및 제2격실(50)을 포함한다. 배양실(60)은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도어(20)를 통해 열리거나 닫힌다. 도어(20)는 본체(10)와 힌지결합부(30)를 통해 결합된다. 도어(20)는 닫힌 상태에서 배양실(6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창(22)을 포함할 수 있다. 관찰창(22)은 도어(20)의 적어도 일부에 투명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선 도어(20)에 온습도조절기(24) 및 팬(26)이 구비될 수 있다. 온습도조절기(24) 및 팬(26)은 배양실(60) 내부의 온도, 습도를 조절하고, 환기를 수행한다.
배양실(60)에는 배양선반(100)이 구비될 수 있다. 배양선반(100)은 배양실(60)과 제1격실(40)을 상하로 구분하는 경계이다. 배양선반(100)의 중심에는 상하로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고, 개구에는 배양용기(110)가 놓인다.
배양용기(11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배양용기(110)는 넓은 바닥면을 갖고, 그 내부에 액체를 수용한다.
제1감지체(112) 및 제2감지체(114)는 각각 배양용기(110)의 바닥면에 부착되거나 코팅된다. 제1감지체(112) 및 제2감지체(114)는 형상물질로서 미리 정해진 파장의 빛이 조사되면 여기상태가 된다. 그리고, 여기상태에서 형광색을 띄게 된다.
제1감지체(112) 및 제2감지체(114)는 빛을 흡수해 여기상태에 도달하고 여기상태에선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하는 방사과정 일어난다. 이러한 방사과정에서 형광이 방사된다.
제1감지체(112)에는 두 가지 형광물질이 사용된다. 제1감지체(112)에 포함되는 두 가지 형광물질은 제1감지체(112)와 접하는 액체의 pH농도에 따라 방사광의 강도가 변화한다. 즉, 제1감지체(112)에 포함되는 두 가지 형광물질을 A1, A2라고 할 때, 동일한 여기광이 조사되었을 때 A1, A2물질 각각이 여기상태가 되어 방사하는 방사광의 강도는 변화한다.
구체적으로 배양용기(110)에 수용된 액체의 pH농도가 x1일 때, A1 및 A2 물질의 방사광의 빛의강도 비가 2:8 이었다면, pH농도가 x2일 때는 A1 및 A2 물질의 방사광의 빛의강도 비가 5: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는 이러한 두 물질의 방사광 강도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액체의 pH농도를 도출한다.
또한, A1 및 A2 물질 각각의 방사광이 갖는 파장은 각기 다른 영역대이나 고유한 파장일 수 있다.
그리고, 제2감지체(114)에도 두 가지 형광물질이 사용된다. 제2감지체(114)에 포함되는 두 가지 형광물질은 제2감지체(114)와 접하는 액체의 용존산소량(DO)에 따라 방사광의 강도가 변화한다. 즉, 제2감지체(114)에 포함되는 두 가지 형광물질을 B1, B2라고 할 때, 동일한 여기광이 조사되었을 때, B1, B2물질 각각이 여기상태가 되어 방사하는 방사광의 강도는 변화한다.
구체적으로 배양용기(110)에 수용된 액체의 용존산소량이 y1일 때, B1 및 B2 물질의 방사광의 빛의 강도 비가 2:8 이었다면, 용존산소량이 y2일 때는 B1 및 B2 물질의 방사광의 빛의강도 비가 5: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는 이러한 두 물질의 방사광 강도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액체의 용존산소량을 도출한다.
제1감지체(112) 및 제2감지체(114)는 배양용기(110)의 바닥면에 부착 또는 코팅 될 수 있고, 탈부착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배양용기(110)의 아래쪽에는 제1격실(40)이 형성된다. 제1격실(40)은 상면이 배양선반(100), 바닥면이 고정선반(200)으로 이뤄질 수 있다. 고정선반(200)은 본체(10)로부터 연장되는 벽체로 이뤄질 수 있다. 고정선반(200)은 제1격실(40) 및 제2격실(50)을 구분하는 경계이다. 고정선반(200)의 중심에는 상하로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고, 개구에는 집광렌즈가 구비된다. 집광렌즈는 배양용기(110)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제2격실(50)을 향해 구체적으로는 제2격실(50)에 배치되는 광분할기(300)로 집광시킨다.
고정선반(200)은 집광렌즈 주변이 경사면(210)이 형성된다. 경사면(210)은 그 법선이 배양용기(110)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그 각도가 결정된다. 경사면(210)에는 광원(212)이 구비된다.
광원(212)은 LED일 수 있다. 광원(212)에는 숏패스필터(short-pass filter), 밴드패스필터(band0pass filter), 롱패스필터(long-pass filter)와 같이 특정 파장의 빛만을 투과하는 필터가 마련될 수 있다. 광원(212)은 미리 정해진 파장의 빛을 제1감지체(112) 및 제2감지체(114)를 향해 조사한다.
광원(212)은 경사면(210)에 구비되어 경사면(210)의 법선이 향하는 방향을 향해 미리 정해진 파장의 빛을 조사한다.
제1격실(40)의 아래쪽에는 제2격실(50)이 형성된다. 제2격실(50)은 상면이 고정선반(200)으로 이루어진다.
배양실(60), 제1격실(40) 및 제2격실(50)은 상하로 직선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배양용기(110)의 바닥면, 집광렌즈 및 광분할기(300)는 상하로 직선상에 배치된다.
제2격실(50)에는 광분할기(300), 제1감지유닛(400) 및 제2감지유닛(500)이 구비된다. 광분할기(300)에는 제1감지체(112) 및 제2감지체(114)로부터 방사되어 집광렌즈를 통과한 빛이 도달한다. 광분할기(300)는 도달한 빛을 5:5의 비율로 나누어 투과한다. 구체적으로는, 광분할기(300)는 도달한 빛을 두 개의 경로로 나누어 보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분할기(300)는 빛을 두 개의 경로로 나누되, 빛이 진행하던 방향과 빛이 진행하던 방향과 수직한 측방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두 개의 빛의 경로를 나눌 수 있다.
광분할기(300)를 통해 두 개의 경로로 나뉜 빛은 각각 제1감지유닛(400) 및 제2감지유닛(500)에 도달한다. 제1감지유닛(400)과 제2감지유닛(500)은 각각 미리 정해진 파장영역의 빛의강도를 계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감지유닛(400)은 제1파장영역의 빛을, 제2감지유닛(500)은 제2파장영역의 빛을 감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기에서 배양액의 성질을 검출하는 구성들을 개념적으로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감지유닛(400)은 제1필터(410) 및 제1포토다이오드(420)를 포함한다. 제1필터(410)는 제1파장영역의 빛 만을 투과한다. 제1포토다이오드(420)는 제1파장영역대의 빛의 강도를 계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감지체(112) 및 제2감지체(114)로부터 방사되는 A1 및 B1의 방사광이 제1파장영역에 속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제1포토다이오드(420)는 A1 및 B1의 파장을 지닌 방사광 각각의 빛의 강도를 계측한다. 이는 pH농도에 따라 제1감지체(112)에서 방사되는 빛의 파장 A1과 용존산소량에 따라 제2감지체(114)에서 방사되는 빛의 파장 B1의 파장이 제1파장영역에 속하기는 하나 서로 다른 파장을 지님으로 가능하게 된다.
제2감지유닛(500)은 제2필터(510) 및 제2포토다이오드(520)를 포함한다. 제2필터(510)는 제2파장영역의 빛 만을 투과한다. 제2포토다이오드(520)는 제2파장영역대의 빛의 강도를 계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감지체(112) 및 제2감지체(114)로부터 방사되는 A2 및 B2의 방사광이 제2파장영역에 속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제2포토다이오드(520)는 A2 및 B2의 파장을 지닌 방사광 각각의 빛의강도를 계측한다. 이는 pH농도에 따라 제1감지체(112)에서 방사되는 빛의 파장 A2와 용존산소량에 따라 제2감지체(114)에서 방사되는 빛의 파장 B2의 파장이 제2파장영역에 속하기는 하나 서로 다른 파장을 지님으로 가능하게 된다.
제어부(600)는 제1감지유닛(400) 및 제2감지유닛(500)으로부터 계측된 정보를 입력받고, 구체적으로는 제1포토다이오드(420) 및 제2포토다이오드(520)로부터 계측된 정보를 입력받는다.
제어부(600)는 A1 및 A2 반사광의 빛의강도를 기초로 pH농도를 도출한다. 제어부(600)는 B1 및 B2 반사광의 빛의강도를 기초로 용존산소량을 도출한다. 제어부(600)는 pH농도 및 용존산소량을 도출할 수 있는 샘플데이터가 미리 입력될 수 있다. 이는 실험을 통해 수집될 수도 있고, 데이터베이스가 제어부(600)와 연계된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진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개시되는 내용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들까지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본체 20: 도어
22: 관찰창 24: 온습도조절기
26: 팬 30: 힌지결합부
40: 제1격실 50: 제2격실
60: 배양실
100: 배양선반 110: 배양용기
112: 제1감지체 114: 제2감지체
200: 고정선반 210: 경사면
212: 광원
300: 광분할기 400: 제1감지유닛
410: 제1필터 420: 제1포토다이오드
500: 제2감지유닛 510: 제2필터
520: 제2포토다이오드 600: 제어부

Claims (6)

  1. 내부에 제1격실, 제2격실 및 배양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배양실을 열거나 닫는 도어;
    상기 배양실에 구비되어 액체가 수용될 수 있으며, 바닥면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배양용기;
    상기 배양용기에 수용된 액체에 잠기도록 상기 배양용기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상기 배양용기에 수용된 액체의 pH농도에 따라 방사하는 광의 파장이 변화하는 제1감지체;
    상기 배양용기에 수용된 액체에 잠기도록 상기 배양용기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상기 배양용기에 수용된 액체의 용존산소량에 따라 방사하는 광의 파장이 변화하는 제2감지체;
    상기 제1격실에 구비되어 상기 배양용기의 바닥면을 향해 미리 정해진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제2격실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감지체 및 상기 제2감지체로부터 방사되는 빛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파장영역인 제1파장영역의 빛의강도를 감지하는 제1감지유닛;
    상기 제2격실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감지체 및 상기 제2감지체로부터 방사되는 빛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파장영역인 제2파장영역의 빛의강도를 감지하는 제2감지유닛;
    상기 제1감지체 및 상기 제2감지체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상기 제1감지유닛 및 상기 제2감지유닛으로 분광시키는 광분할기; 및
    상기 제1감지유닛 및 상기 제2감지유닛으로부터 계측되는 각각의 빛의강도를 기초로 상기 배양용기에 수용된 액체의 pH농도 및 용존산소량을 도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창으로 형성되는 관찰창;
    상기 배양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조절기; 및
    상기 배양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배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체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으로 인해 여기상태가 되고, 여기상태에서 상기 제1파장영역 및 상기 제2파장영역에 속하는 각각 두 개의 파장대를 지닌 빛을 방사하고,
    상기 제2감지체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으로 인해 여기상태가 되고, 여기상태에서 상기 제1파장영역 및 상기 제2파장영역에 속하는 각각 두 개의 파장대를 지닌 빛을 방사하는,
    배양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유닛은 상기 제1감지체 및 상기 제2감지체로부터 방사된 빛의 제1파장영역의 빛의강도를 각각 감지하고,
    상기 제2감지유닛은 상기 제1감지체 및 상기 제2감지체로부터 방사된 빛의 제2파장영역대의 빛의강도를 각각 감지하는,
    배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유닛은,
    상기 제1파장영역의 빛만을 투과하는 제1필터; 및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한 빛의 제1파장영역의 빛의강도를 계측하는 제1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감지유닛은,
    상기 제2파장영역의 빛만을 투과하는 제2필터; 및
    상기 제2필터를 통과한 빛의 제2파장영역의 빛의강도를 계측하는 제2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배양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격실을 형성하는 벽으로서 상기 광원이 고정되는 고정선반;
    상기 고정선반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감지체 및 상기 제2감지체로부터 방사된 빛을 상기 광분할기로 집광시키는 집광렌즈;를 포함하는,
    배양기.
KR1020200164504A 2020-11-30 2020-11-30 배양기 KR102494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504A KR102494313B1 (ko) 2020-11-30 2020-11-30 배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504A KR102494313B1 (ko) 2020-11-30 2020-11-30 배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902A true KR20220075902A (ko) 2022-06-08
KR102494313B1 KR102494313B1 (ko) 2023-02-06

Family

ID=8198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504A KR102494313B1 (ko) 2020-11-30 2020-11-30 배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3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3243A (ja) * 1995-09-11 1999-11-16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蛍光検出器
KR101002716B1 (ko) 2008-12-05 2010-12-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용존산소, pH 및 온도의 2종 이상의 변수의 동시 검출용 다중층 광학 센서막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837718B1 (ko) 2016-11-30 2018-03-12 (주) 동국이노텍 웰 플레이트용 형광패치 제조방법 및 형광패치
KR101838640B1 (ko) * 2015-06-17 2018-03-14 (주)동국이노텍 마이크로플레이트 기반 세포 대사 측정 실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3243A (ja) * 1995-09-11 1999-11-16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蛍光検出器
KR101002716B1 (ko) 2008-12-05 2010-12-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용존산소, pH 및 온도의 2종 이상의 변수의 동시 검출용 다중층 광학 센서막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838640B1 (ko) * 2015-06-17 2018-03-14 (주)동국이노텍 마이크로플레이트 기반 세포 대사 측정 실험 장치
KR101837718B1 (ko) 2016-11-30 2018-03-12 (주) 동국이노텍 웰 플레이트용 형광패치 제조방법 및 형광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313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47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US7041493B2 (en) Bioreactor and bioprocessing technique
US8373861B2 (en) System for rapid analysis of microbiological materials in liquid samples
KR101898712B1 (ko) 침지형 피코시아닌 센서를 이용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JP2005516596A (ja) 蓋要素
US20180011027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he automated determination of optical densities or of the change in optical densities of reaction mixtures in shaken reactors
CA2607086A1 (en) System for rapid analysis of microbiological materials in liquid samples
US5739003A (en) Detection of microbial growth
CA2016872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EA021562B1 (ru) Устройство мониторинга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свертывания крови и ее компонентов
US20210155890A1 (en) Incubator device, cell culture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cell culture environment control method
KR20220075902A (ko) 배양기
US11536704B2 (en) Producing a hole in a bird egg for determining the sex of the bird egg
EP3805357A2 (en) Cell culture flasks, sensor inserts, and systems and methods comprising the same
US10626359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mitigate evaporation in high throughput measurements
US20130217039A1 (en) Optical pathogen detection system and quality control materials for use in same
RU123166U1 (ru) Устройство мониторинга п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свертывания крови и ее компонентов
JP6239759B2 (ja) 温度調整容器
ES2857686T3 (es) Dispositivo para monitorizar la dinámica espacial y temporal de trombina
JPWO2013161664A1 (ja) 呈色解析装置
JP2022523031A (ja) 連続実時間血液培養測定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11391630B2 (en) Spectrum measuring device and spectrum measuring method
Sieben Characterization of the permeability of sealing tapes and development of a viscosity measuring technique in shaken reactors
JP2004357523A (ja) 細胞培養検出装置
JP2001004318A (ja) 光路長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