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772A - 광중합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부재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중합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부재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772A
KR20220074772A KR1020210164737A KR20210164737A KR20220074772A KR 20220074772 A KR20220074772 A KR 20220074772A KR 1020210164737 A KR1020210164737 A KR 1020210164737A KR 20210164737 A KR20210164737 A KR 20210164737A KR 20220074772 A KR20220074772 A KR 20220074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formula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acrylate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혁
윤혁민
여태훈
이상훈
오우람
안효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to PCT/KR2021/01759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14837A1/ko
Priority to CN202180079231.4A priority patent/CN116547321A/zh
Priority to JP2023532727A priority patent/JP2023553373A/ja
Priority to TW110144113A priority patent/TW202235447A/zh
Publication of KR20220074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772A/ko
Priority to US18/324,765 priority patent/US20230295357A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8Esters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고유연성, 고굴절률, 광투과성 및 낮은 헤이즈를 포함한 향상된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광학 부재의 형성을 가능케 하고, 잉크젯 공정에 적합한 점도 특성을 포함한 광중합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부재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중합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부재 및 표시 장치{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OPTICAL ELEMENT PREPARED THEREFROM,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우수한 광투과성 낮은 헤이즈 및 높은 굴절률을 포함한 광학 특성은 물론, 고유연성 및 우수한 굽힘 신뢰성을 포함한 기계적 물성 특성이 동시에 향상되는 광중합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부재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조화된 프리즘을 갖는 광투과성 광학 필름의 경우, 프리즘 구조를 이루고 있는 수지의 굴절률에 의하여 휘도 상승율이 변한다. 일반적으로 프리즘을 구성하는 수지의 굴절률이 증가할수록 휘도 상승률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투과성 광학 필름에 관해서는, 프리즘 구조를 이루는 수지의 굴절률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 프리즘을 이루는 고굴절률 수지는 일반적으로 고굴절률을 확보하기 위해 유기화합물에 금속산화물을 분산하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금속산화물 사용으로 굴절률은 높지만 헤이즈(Haze) 및 반사율도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반사율이 높으면 디스플레이의 야외 시인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금속산화물 분산의 형태로 형성된 수지는 분산 안정성에 의해 제품 유효 기간이 결정되는데, 이는 대량 생산을 어렵게 하여 단가 상승의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금속산화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경우 점도가 높아져 잉크젯 공정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나타내어 기술적으로 많은 제약을 갖는다.
더구나, 기존의 일반적인 광중합성 조성물을 단량체 조성물로 사용해서 상기 수지 및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단량체 조성물을 광경화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산소 영향으로 표면 경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결과, 상기 수지 및 광학 필름은 헤이즈가 증가하고, 자외선 투과율 등의 광투과성이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부족한 표면 경화는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켜 폴더블 소자(Foldable Device)에 요구되는 고유연성 및 굽힘 신뢰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질소 등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경화 공정을 진행하는 방안이 고려된 바 있으나, 이는 제조 단가의 큰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접거나(Folding), 롤(Roll) 형상으로 말거나, 고무줄처럼 늘리는 등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발 및 양산화 되고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소재 또한 변형이 가능한 기계적 물성을 갖추도록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제반 문제점으로 인해, 잉크젯 공정에 적합한 점도 특성을 나타내면서도, 우수한 광학 특성과 고유연성 등 면에서 만족할 수준으로 개발지 못하여, 우수한 광학 및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광학 필름 등의 형성을 가능케 하는 기술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본 명세서는 잉크젯 공정에 적합한 점도 특성을 나타내면서도, 경화 과정에서의 헤이즈 증가 등을 억제하여, 우수한 광투과성, 낮은 헤이즈 및 높은 굴절률을 포함한 향상된 광학 특성과 더불어, 고유연성(elongation) 및 우수한 굽힘 신뢰성을 포함한 기계적 물성 특성이 동시에 향상되는 광학 부재의 형성을 가능케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로 형성되어, 우수한 광투과성, 낮은 헤이즈 및 높은 굴절률을 포함한 향상된 광학 특성과 고유연성 및 우수한 굽힙 신뢰성의 기계적 물성을 갖는 광학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a) 경화 전 액상굴절률이 1.51 이상인 1종 이상의 고굴절률 단량체;
b) 1종 이상의 고유연성 단량체; 및
c)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기재; 및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한 경화막;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광중합성 조성물은 잉크젯 공정에 적합한 점도 특성을 나타내면서도, 높은 굴절률을 충족하는 경화막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의 형성을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된 특정 고유연성 단량체로 인해 경화물의 유연성 및 굽힙 신뢰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된 아민 증강제의 작용으로, 산소의 영향에 따른 감소된 표면 경화도의 문제를 크게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낮은 헤이즈, 우수한 자외선 투과율 등의 광투과성 및 높은 시인성을 나타내는 광학 부재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의 경화 과정에서, 질소 분위기 등의 적용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전체적인 공정상의 경제성 또한 크게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을 형성된 광학 부재는 낮은 제조 단가를 가지면서도, 낮은 헤이즈, 높은 굴절률, 우수한 광투과성 및 시인성 등을 나타내고 유연성 및 굽힘특성이 뛰어나서 폴더블 또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특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a) 경화 전 액상굴절률이 1.51 이상인 1종 이상의 고굴절률 단량체; b) 1종 이상의 고유연성 단량체; 및 c)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광중합성 조성물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고도, 고굴절률 단량체만으로도 고굴절 특성을 구현할 수 있고, 유연성(elongation)이 우수한 고유연성 단량체를 포함하여 경화막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경화막을 포함한 광학부재는 폴더블 또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되어 표시 소자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은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만 포함하여도 잉크젯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점도범위를 충족하고, 경화물에 대하여 뛰어난 광학 특성과 기계적 물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은 금속산화물을 사용하지 않아 광경화 과정에서의 표면 경화성이 우수하여 광학 필름의 헤이즈 특성, 광투과성,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고 제조단가 상승 요인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의 사용으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랙을 방지하여 폴더블 또는 플렉서블 장치에 요구되는 우수한 고유연성 및 굽힘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의 경화 과정에서, 질소 분위기 등의 적용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전체적인 공정상의 경제성 또한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은 아민 증강제, 광증감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성분을 1종 이상 더 포함함으로써, 경화막을 제공하기 위한 표면 경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민 증강제의 작용으로, 산소의 영향에 따른 표면 경화도 감소의 문제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경화 과정에서, 상기 아민 증강제에 포함된 아민기가 공기 중의 산소 라디칼을 포획함에 따라, 중합 개시제의 반응성을 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상기 광증감제의 사용에 의해 광중합시 중합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막 두께의 균일성이나 표면 평활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 및 광중합 개시제의 조성 뿐 아니라 추가 성분이 포함될 수 있는 일 구현예의 광중합성 조성물을 광경화하여 경화막 및 광학 부재를 형성하면, 공기 분위기 하에서도 높은 표면 경화도를 달성하여, 상기 경화막 등이 낮은 헤이즈와, 우수한 자외선 투과율 등의 광투과성 및 높은 시인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은 고유연성 및 굽힘 특성이 크게 개선되고 잉크젯 인쇄에 적합한 점도를 나타내어 도포 및 필름 형성 등의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의 경화 과정에서, 질소 분위기 등의 적용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전체적인 공정상의 경제성 또한 크게 높일 수 있다.
이에,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면, 낮은 제조 단가를 가지면서도, 낮은 헤이즈, 높은 굴절률, 고유연성, 우수한 광투과성 및 시인성 등을 나타내는 광학 부재의 형성이 가능해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의 특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하에서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각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일 구현예의 광중합성 조성물은 경화막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단량체로서, 경화 전 액상굴절률이 1.51 이상인 1종 이상의 고굴절률 단량체를 포함한다.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후술하는 광경화 공정에 의해, 상기 광경화성 작용기가 광중합 개시제의 매개로 가교 중합되어 경화막을 이루는 기본적인 수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특정한 액정굴절률 범위를 충족함에 따라,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한 경화막의 굴절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의 경화 전 액상굴절률을 1.51 내지 1.60일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의 액상 굴절률이 1.51 이하이면 경화막의 굴절률이 1.58이하로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1 이상의 방향족 고리 또는 1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방향족 또는 지환족 광경화성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1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거나 1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10 내지 40의 광경화성 작용기를 갖는 방향족 또는 지환족 광경화성 화합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포함하는 방향족 광경화성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B-Z1-Z2-R
상기 화학식 1에서, B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하나 이상의 황(S)이 치환된 5~7원환의 지방족 헤테로 고리 구조 또는 하나 이상의 황(S)이 치환된 5~7원환의 방향족 헤테로 고리 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조를 포함하고,
Z1은 직접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Z2는 직접결합 또는 하나 이상의 산소(O) 또는 황(S)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R은 광경화성 작용기이다.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B가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고, Z1은 직접결합이고, Z2는 하나 이상의 산소(O)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인 화학식 1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B가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고, Z1은 직접결합이고, Z2는 하나 이상의 산소(O) 및 방향족 고리 구조를 함께 포함하는 화학식 1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B가 하나 이상의 황(S)이 치환된 5~7원환의 방향족 헤테로 고리 구조를 포함하고, Z1은 직접결합이고, Z2는 하나 이상의 황(S)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인 화학식 1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액상일 수 있으나, 상기 화학식으로 표기한 안트라센 또는 황을 포함한 구조의 경우는 액상이 아닌 가루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O-페닐 페녹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바이 페닐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화학식 2 내지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1
[화학식 3]
Figure pat00002
[화학식 4]
Figure pat00003
[화학식 5]
Figure pat00004
[화학식 6]
Figure pat00005
[화학식 7]
Figure pat00006
[화학식 8]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2 내지 8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다)
특히, 상기 고굴절율 단량체는 안트라센, 황 함유 구조시 굴절율을 1.61 이상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는 고굴절률 단량체와 함께 경화되어, 경화막의 유연성 및 굽힘 특성을 크게 개선하여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는 최종 경화막에 대한 연신율(elongation)을 적어도 5%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1종 이상의 광경화성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신율은, 20㎛ 두께의 필름을 베어 글라스에서 탈락시켜 Dog bone 시편(크기 : 28mm X 4mm)을 제작한 후, Instron사의 UTM을 이용하여 측정된 인장 응력 변형 곡선(Tensile stress strain curve)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9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9]
(A)m-B-(A’)n
상기 화학식 9에서, A 및 A’은 광경화성 작용기로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B는 하나 이상의 산소 원자를 포함 또는 불포함하는 탄소수 6 내지 50의 지방족 구조로서, 적어도 탄소수 6 이상의 직쇄 알킬 구조를 포함하며,
m 및 n은 0 또는 1의 정수이다.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는 B가 4 내지 20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화학식 9의 구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지방족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6 내지 30의 지방족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의 점도는 1 내지 30cP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는 이소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 에톡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프로필렌글리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하기 화학식 10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10에서, a+b = 0 ~ 10이며, a와 b는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0의 a 및 b는 각각 1 내지 5의 정수일 수 있다.
이러한 고유연성 단량체는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적어도 10 중량부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는 광중합성 조성물 중에 10 중량부 이상으로 반드시 포함되도록 해야 경화막의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는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는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그 함량이 낮으면, 도막 형성 후 연신율이 5% 미만이 되어 유연성을 개선할 수 없다. 또,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의 함량이 90 중량부 이상으로 지나치게 많으면 굴절률이 낮아져 1.58이상의 고굴절률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일 구현예의 광중합성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는 상술한 2종의 특정 단량체의 광경화 반응을 개시 및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로는 이전부터 (메트)아크릴레이트기 등의 광경화성 작용기의 광경화 반응을 개시 및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예로는, 트리아진계, 벤조인계, 벤조페논계, 이미다졸계, 크산톤계, 옥심에스테르계 및 아세토페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p-메톡시스티릴-s-트리아진, 2-p-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틸나프틸-6-트리아진, 2-(o-클로로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o-클로로페닐)-4,5-디(m-메톡시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o-플루오르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o-메톡시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o-메톡시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4-디(p-메톡시 페닐)-5-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2,4-디메톡시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2-(p-메틸머캅토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 이량체,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바조일-3-일]-1-(O-아세틸옥심), 벤조페논, p-(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도데실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2-비스-2-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2-1,2-비이미다졸, (E)-2-(아세톡시이미노)-1-(9,9-디에틸-9H-플루오렌-2-yl)부탄온, (E)-1-(9,9-디부틸-7-니트로-9H-플루오렌-2-yl)에탄온 O-아세틸 옥심, (Z)-2-(아세톡시이미노)-1-(9,9-다이에틸-9H-플루오렌-2-yl)프로판온, Irgacure 369, Irgacure 651, Irgacure 907, Darocur TPO, Irgacure 819, OXE-01, OXE-02, OXE-03, OXE-04, 아데카사의 N-1919, NCI-831 및 NCI-930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이외에도 당업계에서 알려진 광중합 개시제를 별다른 제한 없이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와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부의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와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6 내지 28 중량%, 1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지면, 광경화가 제대로 일어나지 못할 수 있고, 반대로 이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경화막 등의 적산 투과도가, 예를 들어, 90% 이하로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일 구현예의 조성물은 금속산화물을 포함하지 않고도 상술한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사용에 의해, 잉크젯 공정에 적합한 절대 점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의 절대점도(25℃에서 측정)가 5cP 내지 40 cP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한 일 구현예의 조성물은 잉크젯 공정성이 매우 우수하며,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도막 특성을 갖는 경화막의 형성을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와, 후술하는 금속 산화물 입자 등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일 구현예의 조성물로 형성된 경화막 및 광학 부재는 1.58 이상의 높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절대 점도는, 25℃에서 측정된 절대점도 값을 의미하며, 이러한 절대 점도는 이 분야에 잘 알려진 점도측정기, 예를 들어, 브룩필드 점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일 구현예의 광중합성 조성물은 d) 아민기 및 광경화성 작용기를 갖는 아민 증강제, e) 광증감제 및 f)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d) 내지 f) 성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함에 따라, 광중합성 조성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물성을 구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먼저, 일 구현예의 광중합성 조성물은 아민기 및 광경화성 작용기를 갖는 아민 증강제(amine synergis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아민 증강제는 일 구현예의 조성물을 광경화하여 경화막 및 광학 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이에 포함된 아민기가 공기 중의 산소 라디칼 등을 포획하여 개시제의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아민 증강제 중의 광경화성 작용기가 단량체와 함께 가교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아민 증강제의 작용으로, 일 구현예의 조성물로 형성된 경화막 및 광학 부재는 높은 표면 경화도를 나타낼 수 있고, 이에 따른 낮은 헤이즈 및 향상된 광투과성 등 우수한 광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아민 증강제는 분자 내에 3급 이상의 아민기 및 광중합성 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민 증강제로는 분자 중의 아민기와 함께, 광경화성 작용기, 예를 들어, 상술한 단량체의 광경화성 작용기와 가교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 보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단량체와 동종의 광경화성 작용기인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임의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산소 라디칼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획하여 경화막 등의 표면 경화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아민 증강제는 분자 내에 3급 이상의 아민 구조를 포함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민 증강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11의 화합물, 에틸 다이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 부톡시에틸 다이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 비스(다이에틸아미노)벤조페논, 비스(2-하이드로에틸)-톨루아이딘, 에틸헥실-(다이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다이아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4-(다이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에틸헥실 4-(다이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 2-(다이부틸아미노)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4,4-(옥시비스(에탄-2, 1-다일))비스(옥시)비스(다이메틸아닐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아민기 및 광경화성 작용기를 갖는 다양한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1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에테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아민기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나타낸다.
또, 상용화된 아민계 광경화성 화합물을 상기 아민 증강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용화된 화합물의 예로는, P115 (에스케이사이텍사 제), MIRAMER AS2010(미원상사 제) 또는 MIRAMER AS5142(미원상사 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아민 증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d) 아민 증강제는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9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민 증강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지면, 표면 경화도가 저하되어 경화막 및 광학 부재의 헤이즈가 높아질 수 있고, 반대로 이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광중합성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공정성이 저하되거나, 경화막 등의 굴절률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e) 광증감제는 광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되어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경화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여 Haze 특성을 우수하게 하고 감도를 빠르게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광증감제는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피렌, 페릴렌, 트리페닐렌, 안트라센, 9,10-디부톡시안트라센, 9,10-디에톡시안트라센, 3,7-디메톡시안트라센, 9,10-디프로필옥시안트라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광증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e) 광증감제는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증감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지면, 표면 경화도 향상에 기여할 수 없고 반대로 이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광중합성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공정성이 저하되거나, 경화막 등의 투과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f)계면활성제는 막 두께의 균일성이나 표면 평활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실리콘계, 불소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 계면활성제는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지면, 막 두께의 균일성이나 표면 평활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이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막 내부에 기포가 생기거나 잉크젯 토출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 구현예의 광중합성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상술한 각 성분 외에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제는 상술한 광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되어 다른 성분의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산제의 종류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분산성 향상을 위해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제의 예로는, 아크릴계 분산제, 에폭시계 분산제 및 실리콘계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부, 혹은 0.5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에 따라, 각 성분이 더 균일하게 분산되어 원하는 경화막의 굴절률 범위 등이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다만, 분산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광중합성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잉크젯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 상술한 일 구현예의 조성물은 별도의 용매 또는 액상 매질을 포함하지 않은 무용제 타입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일 구현예의 조성물을 사용한 공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각 성분을 포함하는 일 구현예의 광중합성 조성물은 상술한 바대로 절대점도(25 ℃에서 측정)가 5 내지 40cP 혹은 5 cP 내지 30 cP일 수 있다. 상기 절대점도는 이미 상술한 잘 알려진 점도 측정기, 예를 들어, 브룩필드 점도 측정기 등을 사용해 측정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광중합성 조성물이 이러한 점도 범위를 충족함에 따라,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경화막의 형성이 가능해 지면서도, 잉크젯 공정성이 우수하게 될 뿐 아니라, 잉크젯 공정에 의한 양호한 도막 형성이 가능해진다.
만일, 최종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노즐건조, 막힘 발생으로 토출 특성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또,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토출량 저하나, 패턴 및 면 형성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광중합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한 경화막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광학 부재는 기재; 및 기재 상에 형성된 상기 경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경화막은 일 구현예의 광중합성 조성물이 잉크젯 공정으로 기재 상에 도포된 후, 광경화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및 아민 증강제의 광경화성 작용기가 가교 결합된 단위를 포함한 중합체와, 상기 중합체 상에 분산된 분산제 및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화물을 주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물은 고굴절율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경화로 가교 형성된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올레핀 수지는 선택적으로 상기 아민 증강제의 광경화성 작용기와 추가 가교될 수 있다. 또, 상기 올레핀 수지는 상술한 광증감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광중합성 개선 및 막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올레핀 수지는 1종 이상의 광경화성 작용기를 갖는 고굴절률 단량체 및 1종 이상의 고유연성 단량체로부부터 가교 중합된 중합체로서, 이의 형태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단량체의 종류 및 중합 반응의 메커니즘에 따라, 호모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기재; 및 상술한 고유연 잉크젯용 광중합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한 경화막;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경화물을 포함한 경화막은 잉크젯 공정에 적합한 점도를 갖는 일 구현예의 광중합성 조성물로 형성됨에 따라, 우수한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과, 양호한 도막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경화막은 헤이즈가 3% 이하이고, 굴절률이 1.58 이상이며, 연신율 (Elongation)이 5%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막은 565nm의 파장 기준으로, 광중합 후의 굴절률이 1.58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막의 굴절율은 1.6 이상, 혹은 1.6 내지 2.0, 혹은 1.6 내지 1.65의 높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굴절률은 엘립소미터 (ellipsometer)를 이용하여 555 내지 575nm (평균)의 파장에 대해 측정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민 증강제의 작용으로 높은 표면 경화도를 나타내어, 예를 들어, 헤이즈가 3% 이하, 혹은 1% 이하, 혹은 0 내지 1%, 혹은 0.01 내지 0.8%, 혹은 0.1 내지 0.3%의 낮은 헤이즈 및 우수한 자외선 투과율 등의 광투과성 및 시인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경화막은 20㎛ 두께의 필름을 베어 글라스에서 탈락시켜 Dog bone 시편(크기 : 28mm X 4mm)을 제작한 후, Instron사의 UTM을 이용하여 측정된 인장 응력 변형 곡선(Tensile stress strain curve)에 의한 연신율 (Elongation)이 5% 이상 혹은 5 내지 10% 혹은 10%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광학 부재에서, 상기 기재로는 베어 글라스와 같은 잘 알려진 기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부재는, Mayer bar, 코팅용 어플리케이터 또는 잉크젯 장비 등을 사용하여, 상기 기재 상에 상술한 일 구현예의 광중합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예를 들어, 공기 분위기에서, LED 램프 또는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을 사용해 노광하여 광경화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은 단막 형태로 도포된 후 광경화되어, 일반적인 광학 필름 형태의 광학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잉크젯 장비를 이용해 일정한 패턴 형태를 갖도록 도포된 후 광경화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광학 부재는 기재 상에, 예를 들어, 프리즘 구조 등의 다면체 형태로 패턴화된 경화막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 필름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상술한 광학 필름 또는 패턴 필름 등의 광학 부재는 그 종류나 적용되는 표시 소자의 구조에 따른 일반적인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0.01 ㎛ 내지 1000 ㎛ 범위 내에서 조절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광학 부재는 감도 값이 3J 이하이고, 광 투과도는 9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감도 측정은 FT-IR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노광 전, 후의 흡광도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650~1750cm-1 의 C=O 피크와 780~880cm-1 C=C 피크를 적분하여 전환률을 구하며, 감도는 전환률이 80%이상에서 포화되는 노광량을 의미할 수 있다. 또, 상기 광 투과도는 광학 필름 등 광학 부재에 대해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380~780 ㎚의 파장에서 측정한 평균 투과율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학 필름은 상온에서 900 ℃까지 분당 10 ℃씩 승온하여 TGA로 측정된, 5 중량% Loss 온도가 270 ℃ 이상이 될 수 있어,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광학 필름 또는 패턴 필름 등의 다른 구현예의 광학 부재는 우수한 광학 특성, 내열성 및 기계적 특성 등을 충족하므로, 각종 표시 장치에 적용되어 그 특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광학 필름 또는 패턴 필름 등의 광학 부재가 적용된 표시 장치의 구성은 상술한 다른 구현예의 광학 부재가 적용됨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통상적인 구성에 따를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09, 비교예 1 내지 44 및 참고예 1 내지 9]
광중합성 조성물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먼저,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광중합성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성분은 하기 표 1 내지 5의 단량체 및 성분을 사용하였다.
고굴절률 단량체
1 벤질아크릴레이트
2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3 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4 바이페닐메틸아크릴레이트
5 O-페닐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6 화학식 1 (R=H)
7 화학식 1 (R=CH3)
8 화학식 2 (R=H)
9 화학식 2 (R=CH3)
10 화학식 3 (R=H)
11 화학식 3 (R=CH3)
12 화학식 4 (R=H)
13 화학식 4 (R=CH3))
14 화학식 5 (R=H)
15 화학식 5 (R=CH3)
16 화학식 6 (R=H)
17 화학식 6 (R=CH3))
18 화학식 7 (R=H)
19 화학식 7 (R=CH3)
고유연 단량체
1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2 라우릴아크릴레이트
3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4 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5 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6 트리에틸렌 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7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8 다이프로필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9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10 화학식 8 (a,b=0)
11 화학식 8 (a,b=2)
12 화학식 8에서 (a+b>10)
광개시제
1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바조일-3-일]-1-(O-아세틸옥심)
2 OXE-01
3 OXE-04
4 Darocure TPO
5 (E)-2-(아세톡시이미노)-1-(9,9-디에틸-9H-플루오렌-2-yl)부탄온
6 Irgacure 819
7 Irgacure 369
8 Irgacure 907
아민 증강제
1 에틸 다이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
2 부톡시에틸 다이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
3 다이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 P115 (에스케이사이텍사 제)
5 MIRAMER AS2010(미원상사 제)
6 MIRAMER AS5142(미원상사 제)
광증감제
1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2 9,10-디부톡시안트라센
3 9,10-디에톡시안트라센
4 3,7-디메톡시안트라센
그리고, 하기 표 6 내지 14의 조성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6 내지 14에서, 각 함량 단위는 중량부를 나타낸다.잉크젯 장비에 각 광중합성 조성물을 투입한 후 베어 글라스(Bare Glass)에 도포하여 두께가 20㎛가 되도록 단일막을 형성하였다.
이후, LED 385nm 경화기를 이용해서, 1.5J/cm2의 노광량을 단일막에 조사하여, 광중합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한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코팅 필름(두께: 20㎛)을 광학 필름으로 제공하였다. 단, 굴절율 측정의 경우 Spin Coating 하여 2㎛의 코팅 필름을 제공하였다.
구분 고굴절률 단량체1 고유연 단량체1 광개시제
종류 함량 종류 함량 1
실시예1 1 90 1 10 0.5
실시예2 1 80 2 20 1
실시예3 1 70 3 30 5
실시예4 1 60 4 40 8
실시예5 1 50 5 50 10
실시예6 1 40 6 60 15
실시예7 1 30 7 70 20
실시예8 1 20 8 80 25
실시예9 1 10 9 90 30
실시예10 2 90 10 10 0.5
실시예11 2 80 11 20 1
실시예12 2 70 1 30 5
실시예13 2 60 2 40 8
실시예14 2 50 3 50 10
실시예15 2 40 4 60 15
실시예16 2 30 5 70 20
실시예17 2 20 6 80 25
실시예18 2 10 7 90 30
실시예19 3 90 8 10 0.5
실시예20 3 80 9 20 1
실시예21 3 70 10 30 5
실시예22 3 60 11 40 8
실시예23 3 50 1 50 10
실시예24 3 40 2 60 15
실시예25 3 30 3 70 20
실시예26 3 20 4 80 25
실시예27 3 10 5 90 30
실시예28 4 90 6 10 0.5
실시예29 4 80 7 20 1
실시예30 4 70 8 30 5
실시예31 4 60 9 40 8
실시예32 4 50 10 50 10
실시예33 4 40 11 60 15
실시예34 4 30 1 70 20
실시예35 4 20 2 80 25
실시예36 4 10 3 90 30
실시예37 5 90 4 10 0.5
실시예38 5 80 5 20 1
실시예39 5 70 6 30 5
실시예40 5 60 7 40 8
실시예41 5 50 8 50 10
실시예42 5 40 9 60 15
실시예43 5 30 10 70 20
실시예44 5 20 11 80 25
실시예45 5 10 1 90 30
실시예46 6 90 2 10 0.5
실시예47 6 80 3 20 1
실시예48 6 70 4 30 5
실시예49 6 60 5 40 8
실시예50 6 50 6 50 10
구분 고굴절률 단량체1 고유연 단량체1 광개시제
종류 함량 종류 함량 1
실시예51 6 40 7 60 15
실시예52 6 30 8 70 20
실시예53 6 20 9 80 25
실시예54 6 10 10 90 30
실시예55 7 90 11 10 0.5
실시예56 7 80 1 20 1
실시예57 7 70 2 30 5
실시예58 7 60 3 40 8
실시예59 7 50 4 50 10
실시예60 7 40 5 60 15
실시예61 7 30 6 70 20
실시예62 7 20 7 80 25
실시예63 7 10 8 90 30
실시예64 8 90 9 10 0.5
실시예65 8 80 10 20 1
실시예66 8 70 11 30 5
실시예67 8 60 1 40 8
실시예68 8 50 2 50 10
실시예69 8 40 3 60 15
실시예70 8 30 4 70 20
실시예71 8 20 5 80 25
실시예72 8 10 6 90 30
실시예73 9 90 7 10 0.5
실시예74 9 80 8 20 1
실시예75 9 70 9 30 5
실시예76 9 60 10 40 8
실시예77 9 50 11 50 10
실시예78 9 40 1 60 15
실시예79 9 30 2 70 20
실시예80 9 20 3 80 25
실시예81 9 10 4 90 30
실시예82 10 90 5 10 0.5
실시예83 10 80 6 20 1
실시예84 10 70 7 30 5
실시예85 10 60 8 40 8
실시예86 10 50 9 50 10
실시예87 10 40 10 60 15
실시예88 10 30 11 70 20
실시예89 10 20 1 80 25
실시예90 10 10 2 90 30
실시예91 11 90 3 10 0.5
실시예92 11 80 4 20 1
실시예93 11 70 5 30 5
실시예94 11 60 6 40 8
실시예95 11 50 7 50 10
실시예96 11 40 8 60 15
실시예97 11 30 9 70 20
실시예98 11 20 10 80 25
실시예99 11 10 11 90 30
실시예100 12 90 1 10 0.5
구분 고굴절률 단량체1 고유연 단량체1 광개시제
종류 함량 종류 함량 1
실시예101 12 80 2 20 1
실시예102 12 70 3 30 5
실시예103 12 60 4 40 8
실시예104 12 50 5 50 10
실시예105 12 40 6 60 15
실시예106 12 30 7 70 20
실시예107 12 20 8 80 25
실시예108 12 10 9 90 30
실시예109 13 90 10 10 0.5
실시예110 13 80 11 20 1
실시예111 13 70 1 30 5
실시예112 13 60 2 40 8
실시예113 13 50 3 50 10
실시예114 13 40 4 60 15
실시예115 13 30 5 70 20
실시예116 13 20 6 80 25
실시예117 13 10 7 90 30
실시예118 14 90 8 10 0.5
실시예119 14 80 9 20 1
실시예120 14 70 10 30 5
실시예121 14 60 11 40 8
실시예122 14 50 1 50 10
실시예123 14 40 2 60 15
실시예124 14 30 3 70 20
실시예125 14 20 4 80 25
실시예126 14 10 5 90 30
실시예127 15 90 6 10 0.5
실시예128 15 80 7 20 1
실시예129 15 70 8 30 5
실시예130 15 60 9 40 8
실시예131 15 50 10 50 10
실시예132 15 40 11 60 15
실시예133 15 30 1 70 20
실시예134 15 20 2 80 25
실시예135 15 10 3 90 30
실시예136 16 90 4 10 0.5
실시예137 16 80 5 20 1
실시예138 16 70 6 30 5
실시예139 16 60 7 40 8
실시예140 16 50 8 50 10
실시예141 16 40 9 60 15
실시예142 16 30 10 70 20
실시예143 16 20 11 80 25
실시예144 16 10 1 90 30
실시예145 17 90 2 10 0.5
실시예146 17 80 3 20 1
실시예147 17 70 4 30 5
실시예148 17 60 5 40 8
실시예149 17 50 6 50 10
실시예150 17 40 7 60 15
구분 고굴절률
단량체 1
고유연
단량체 1
광개시제
증감제
아민
증강제
종류 함량 종류 함량 1 2 3 4 5 6 7 8 1 1
실시예151 17 30 8 70 20                  
실시예152 17 20 9 80 25                  
실시예153 17 10 10 90 30                  
실시예154 18 90 11 10 0.5                  
실시예155 18 80 1 20 1                  
실시예156 18 70 2 30 5                  
실시예157 18 60 3 40 8                  
실시예158 18 50 4 50 10                  
실시예159 18 40 5 60 15                  
실시예160 18 30 6 70 20                  
실시예161 18 20 7 80 25                  
실시예162 18 10 8 90 30                  
실시예163 19 90 9 10 0.5                  
실시예164 19 80 10 20 1                  
실시예165 19 70 11 30 5                  
실시예166 19 60 1 40 8                  
실시예167 19 50 2 50 10                  
실시예168 19 40 3 60 15                  
실시예169 19 30 4 70 20                  
실시예170 19 20 5 80 25                  
실시예171 19 10 6 90 30                  
실시예182 3 60 4 40 0.5               3  
실시예183 3 60 4 40 1               3  
실시예184 3 60 4 40 5               3  
실시예185 3 60 4 40 10               3  
실시예186 3 60 4 40 15               3  
실시예187 3 60 4 40 30               3  
실시예182 3 60 4 40 0.5                 3
실시예183 3 60 4 40 1                 3
실시예184 3 60 4 40 5                 3
실시예185 3 60 4 40 10                 3
실시예186 3 60 4 40 15                 3
실시예187 3 60 4 40 30                 3
실시예182 3 60 4 40 0.5               3 3
실시예183 3 60 4 40 1               3 3
실시예184 3 60 4 40 5               3 3
실시예185 3 60 4 40 10               3 3
실시예186 3 60 4 40 15               3 3
실시예187 3 60 4 40 30               3 3
실시예188 3 60 6 40 8               0.1  
실시예189 3 60 6 40 8               1  
실시예190 3 60 6 40 8               5  
실시예191 3 60 6 40 8               10  
실시예192 3 60 6 40 8                 0.1
실시예193 3 60 6 40 8                 1
실시예194 3 60 6 40 8                 5
실시예195 3 60 6 40 8                 10
실시예196 3 60 6 40   8                
실시예197 3 60 6 40     8              
실시예198 3 60 6 40       8            
실시예199 3 60 6 40         8          
실시예200 3 60 6 40           8        
실시예201 3 60 6 40             8      
실시예202 3 60 6 40               8    
구분 고굴절률
단량체 1
고유연
단량체 1
광개시제
증감제
아민
증강제
종류 함량 종류 함량 1 2 3 4 5 6 7 8 2 3 4 2 3 4 5 6
실시예
203
3 60 6 40 8               3              
실시예204 3 60 6 40 8                 3            
실시예205 3 60 6 40 8                   3          
실시예206 3 60 6 40 8                     3        
실시예207 3 60 6 40 8                       3      
실시예208 3 60 6 40 8                         3    
실시예209 3 60 6 40 8                           3  
실시예210 3 60 6 40 8                             3
실시예211 3 60 6 40 8               3     3        
실시예212 3 60 6 40 8               3       3      
실시예213 3 60 6 40 8               3         3    
실시예214 3 60 6 40 8               3           3  
실시예215 3 60 6 40 8               3             3
실시예216 3 60 6 40   8               3   3        
실시예217 3 60 6 40     8             3     3      
실시예218 3 60 6 40       8           3       3    
실시예219 3 60 6 40         8         3         3  
실시예220 3 60 6 40           8       3           3
실시예221 3 60 6 40             8       3 3        
실시예222 3 60 6 40               8     3   3      
실시예223 3 60 6 40 8                   3     3    
실시예224 3 60 6 40 8                   3       3  
실시예225 3 60 6 40 8                   3         3
구분 고굴절률
단량체1
고굴절률
단량체 2
고유연
단량체 1
고유연
단량체2

개시제
종류 함량 종류 함량 종류 함량 종류 함량 1
실시예226 4 30 10 30 4 40     0.5
실시예227 4 40 10 20 4 40     1
실시예228 4 50 10 10 4 40     5
실시예229 4 30 13 30 4 40     10
실시예230 4 40 13 20 4 40     15
실시예231 4 50 13 10 4 40     30
실시예232 4 55 13 5 4 40     0.5
실시예233 5 30 15 30 4 40     1
실시예234 5 40 15 20 4 40     5
실시예235 5 50 15 10 4 40     10
실시예236 5 55 15 5 4 40     15
실시예237 5 30 15 30 5 15 11 25 30
실시예238 5 40 15 20 5 20 11 20 0.5
실시예239 5 50 15 10 5 25 11 15 1
실시예240 5 55 15 5 5 30 11 10 5
실시예241 3 60     5 15 11 25 10
실시예242 3 60     5 20 11 20 15
실시예243 3 60     5 25 11 15 30
실시예244 3 60     5 30 11 10 5
구분 고굴절률
단량체1
고굴절률
단량체2
고유연
단량체1
고유연
단량체2

개시제

증감제
아민
증강제
종류 함량 종류 함량 종류 함량 종류 함량 1 1 1
실시예
245
1 70     1 30     5 3 5
실시예246 2 70     1 30     5 3 5
실시예247 3 70     1 30     5 3 5
실시예248 4 70     1 30     5 3 5
실시예249 5 70     1 30     5 3 5
실시예250 6 70     1 30     5 3 5
실시예251 7 70     1 30     5 3 5
실시예252 8 70     1 30     5 3 5
실시예253 9 70     1 30     5 3 5
실시예254 4 10     1 90     5 3 5
실시예255 4 30     1 70     5 3 5
실시예256 4 50     1 50     5 3 5
실시예257 4 60     1 40     5 3 5
실시예258 4 80     1 20     5 3 5
실시예259 4 90     1 10     5 3 5
실시예260 4 70     2 30     5 3 5
실시예261 4 70     3 30     5 3 5
실시예262 4 70     4 30     5 3 5
실시예263 4 70     5 30     5 3 5
실시예264 4 70     6 30     5 3 5
실시예265 4 70     7 30     5 3 5
실시예266 4 70     8 30     5 3 5
실시예267 4 70     9 30     5 3 5
실시예268 4 70     10 30     5 3 5
실시예269 4 70     11 30     5 3 5
실시예270 4 55 6 15 1 30     5 3 5
실시예271 4 40 6 30 1 30     5 3 5
실시예272 4 55 7 15 1 30     5 3 5
실시예273 4 40 7 30 1 30     5 3 5
실시예274 4 55 8 15 1 30     5 3 5
실시예275 4 40 8 30 1 30     5 3 5
실시예276 4 55 9 15 1 30     5 3 5
실시예277 4 40 9 30 1 30     5 3 5
실시예
278
4 70     1 15 3 15 5 3 5
실시예279 4 70     1 20 3 10 5 3 5
실시예280 4 70     5 15 10 15 5 3 5
실시예281 4 70     5 20 10 10 5 3 5
구분 고굴절률
단량체1
고유연
단량체1
광개시제
증감제 
아민
증강제
종류 함량 종류 함량 1 2 3 4 5 6 7 8 1 2 3 4 1 2 3 4 5 6
실시예
282
4 70 1 30 5             3       5          
실시예283 4 70 1 30   5           3       5          
실시예284 4 70 1 30     5         3       5          
실시예285 4 70 1 30       5       3       5          
실시예286 4 70 1 30         5     3       5          
실시예287 4 70 1 30           5   3       5          
실시예288 4 70 1 30             5 3       5          
실시예289 4 70 1 30 5               3     5          
실시예290 4 70 1 30 5                 3   5          
실시예291 4 70 1 30 5                   3 5          
실시예292 4 70 1 30 5               3       5        
실시예293 4 70 1 30 5               3         5      
실시예294 4 70 1 30 5               3           5    
실시예295 4 70 1 30 5               3             5  
실시예296 4 70 1 30 5               3               5
실시예297 4 70 1 30 5               3       0.1          
실시예298 4 70 1 30 5               3       1          
실시예299 4 70 1 30 5               3       3          
실시예300 4 70 1 30 5               3       7          
실시예301 4 70 1 30 5               3       10          
실시예302 4 70 1 30 5               0.1       5          
실시예303 4 70 1 30 5               1       5          
실시예304 4 70 1 30 5               5       5          
실시예305 4 70 1 30 5               7       5          
실시예306 4 70 1 30 5               10       5          
실시예307 4 70 1 30 10               3       5          
실시예308 4 70 1 30 15               3       5          
실시예309 4 70 1 30 30               3       5          
구분 고굴절률
단량체 1
고유연
단량체 1
광개시제
증감제
아민
증강제
종류 함량 종류 함량 1 2 3 4 5 6 7 8 1 2
비교예1 1 100 1
비교예2 1 100 0.4
비교예 3 1 100 31
참고예1 1 91 1 9 8
참고예2 2 91 2 9 8
참고예3 3 91 3 9 8
참고예4 4 91 4 9 8
참고예5 5 91 5 9 8
참고예6 6 91 6 9 8
참고예7 7 91 7 9 8
참고예8 8 91 8 9 8
참고예9 9 91 9 9 8
참고예10 10 91 10 9 8
참고예11 11 91 11 9 8
참고예12 12 91 1 9 8
참고예13 13 91 2 9 8
참고예14 14 91 3 9 8
참고예15 15 91 4 9 8
참고예16 16 91 5 9 8
참고예17 17 91 6 9 8
참고예18 18 91 7 9 8
참고예19 19 91 8 9 8
참고예20 17 60 6 40 8 11
참고예21 18 60 7 40 8 11
참고예22 19 60 8 40 8 11 11
참고예23 4 91 1 9 5 3 5
참고예24 4 70 1 30 5 3
참고예25 4 70 1 30 5 5
참고예26 4 70 1 30 5
참고예27 1 90 12 10 8 3 5
참고예28 1 80 12 20 8 3 5
참고예29 1 70 12 30 8 3 5
참고예30 1 60 12 40 8 3 5
참고예31 1 50 12 50 8 3 5
참고예32 1 40 12 60 8 3 5
참고예33 1 30 12 70 8 3 5
참고예34 1 20 12 80 8 3 5
참고예35 1 10 12 90 8 3 5
[실험예]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광학 필름에 대하여, 다음 방법으로 굴절율, 헤이즈 및 점도 등의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5 내지 22에 나타내었다.
* 광학 필름의 물성 측정 방법
1) 감도
FT-IR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노광 전, 후 흡광도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1650~1750cm-1 의 C=O 피크와 780~880cm -1 C=C 피크를 적분하여 전환률을 구하며, 감도는 전환률이 80%이상에서 포화되는 노광량을 의미한다.
판정
○: 감도 값이 3J 이하인 경우
X: 감도 값이 3J 초과인 경우
2) 굴절율
상기 2㎛ 코팅 필름이 형성된 베어 글라스에 대해, 엘립소미터를 이용해 굴절율 (555~575nm 평균: 565nm의 파장)을 측정하였다.
판정
◎ : 코팅필름의 굴절율 측정 값이 1.61이상인 경우
○: 코팅필름의 굴절율 측정 값이 1.58 이상 1.61미만인 경우
X: 코팅필름의 굴절율 측정 값이 1.58 미만인 경우
3) 투과도
형성된 코팅 막을 UV-VIS spectrophotometer(Cary4000, Agilent)를 이용하여 380~780 ㎚에서의 평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판정
○: 평균 투과도 값이 90% 이상인 경우
X: 평균 투과도 값이 90% 미만인 경우
4) 헤이즈
NIPPON DENSHOKU사의 헤이즈 미터COH 400을 이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판정
◎ : 헤이즈 측정 값이 1.0 미만인 경우
○: 헤이즈 측정 값이 1.0 내지 3.0 이하인 경우
X: 헤이즈 측정 값이 3.0 초과인 경우
5) 점도(절대점도)
상기 참고예 및 실시예의 각 광중합성 조성물, 혹은 올레핀 단량체에 대하여, 25 ℃ 온도에서 점도측정기(상품명 : Brook Field viscometer)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판정
○: 점도 값이 5 내지 40cP인 경우
X: 점도 값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6) 잉크젯 특성
잉크젯 장비의 노즐 온도를 변경하며 면 형성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판정
노즐 온도 25 내지 35℃ 미만에서 면 형성 = ◎
노즐 온도 35 내지 50℃ 에서 면 형성 = ○
노즐 온도 25 내지 50℃ 에서 면 형성 안됨 = X
7) 유연성
유연성은 Instron사의 UT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상기 20㎛ 두께로 28mm X 4mm)을 제작하고 Instron사의 UTM을 이용하여 인장 변형율 (Tensile Strain)을 측정하였다. 이후, 상기 인장 변형률을 통해 얻어진 인장 응력 변형 곡선(Tensile stress strain curve)으로부터 연신율 (Elongation)을 평가하였다.
판정
◎ : Tensile Strain 10% 이상인 경우 (인장 응력 변형 곡선(Tensile stress strain curve)에 의해 측정된 연신율 (Elongation)이 10% 이상인 경우를 의미함)
○ : Tensile Strain 5% 이상인 10% 미만인 경우 (인장 응력 변형 곡선(Tensile stress strain curve)에 의해 측정된 연신율 (Elongation)이 5% 이상 10% 미만인 경우를 의미함)
△ : Tensile Strain 1% 이상인 5% 미만인 경우 (인장 응력 변형 곡선(Tensile stress strain curve)에 의해 측정된 연신율 (Elongation)이 1% 이상 5% 미만인 경우를 의미함)
X : Tensile Strain 1% 미만인 경우 (인장 응력 변형 곡선(Tensile stress strain curve)에 의해 측정된 연신율 (Elongation)이 1% 미만인 경우를 의미함)
구분 감도 굴절률 투과도 Haze 절대점도 잉크젯 특성 유연성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실시예19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실시예25
실시예26
실시예27
실시예28
실시예29
실시예30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실시예34
실시예35
실시예36
실시예37
실시예38
실시예39
실시예40
실시예41
실시예42
실시예43
실시예44
실시예45
실시예46
실시예47
실시예48
실시예49
실시예50
구분 감도 굴절률 투과도 Haze 절대점도 잉크젯 특성 유연성
실시예51
실시예52
실시예53
실시예54
실시예55
실시예56
실시예57
실시예58
실시예59
실시예60
실시예61
실시예62
실시예63
실시예64
실시예65
실시예66
실시예67
실시예68
실시예69
실시예70
실시예71
실시예72
실시예73
실시예74
실시예75
실시예76
실시예77
실시예78
실시예79
실시예80
실시예81
실시예82
실시예83
실시예84
실시예85
실시예86
실시예87
실시예88
실시예89
실시예90
실시예91
실시예92
실시예93
실시예94
실시예95
실시예96
실시예97
실시예98
실시예99
실시예100
구분 감도 굴절률 투과도 Haze 절대점도 잉크젯 특성 유연성
실시예101
실시예102
실시예103
실시예104
실시예105
실시예106
실시예107
실시예108
실시예109
실시예110
실시예111
실시예112
실시예113
실시예114
실시예115
실시예116
실시예117
실시예118
실시예119
실시예120
실시예121
실시예122
실시예123
실시예124
실시예125
실시예126
실시예127
실시예128
실시예129
실시예130
실시예131
실시예132
실시예133
실시예134
실시예135
실시예136
실시예137
실시예138
실시예139
실시예140
실시예141
실시예142
실시예143
실시예144
실시예145
실시예146
실시예147
실시예148
실시예149
실시예150
구분 감도 굴절률 투과도 Haze 절대점도 잉크젯 특성 유연성
실시예151
실시예152
실시예153
실시예154
실시예155
실시예156
실시예157
실시예158
실시예159
실시예160
실시예161
실시예162
실시예163
실시예164
실시예165
실시예166
실시예167
실시예168
실시예169
실시예170
실시예171
실시예182
실시예183
실시예184
실시예185
실시예186
실시예187
실시예182
실시예183
실시예184
실시예185
실시예186
실시예187
실시예182
실시예183
실시예184
실시예185
실시예186
실시예187
실시예188
실시예189
실시예190
실시예191
실시예192
실시예193
실시예194
실시예195
실시예196
실시예197
실시예198
실시예199
실시예200
실시예201
실시예202
구분 감도 굴절률 투과도 Haze 절대점도 잉크젯 특성 유연성
실시예203
실시예204
실시예205
실시예206
실시예207
실시예208
실시예209
실시예210
실시예211
실시예212
실시예213
실시예214
실시예215
실시예216
실시예217
실시예218
실시예219
실시예220
실시예221
실시예222
실시예223
실시예224
실시예225
실시예226
실시예227
실시예228
실시예229
실시예230
실시예231
실시예232
실시예233
실시예234
실시예235
실시예236
실시예237
실시예238
실시예239
실시예240
실시예241
실시예242
실시예243
실시예244
구분 감도 굴절률 투과도 Haze 절대점도 잉크젯 특성 유연성
실시예245
실시예246
실시예247
실시예248
실시예249
실시예250
실시예251
실시예252
실시예253
실시예254
실시예255
실시예256
실시예257
실시예258
실시예259
실시예260
실시예261
실시예262
실시예263
실시예264
실시예265
실시예266
실시예267
실시예268
실시예269
실시예270
실시예271
실시예272
실시예273
실시예274
실시예275
실시예276
실시예277
실시예278
실시예279
실시예280
실시예281
구분 감도 굴절률 투과도 Haze 절대점도 잉크젯 특성 유연성
실시예282
실시예283
실시예284
실시예285
실시예286
실시예287
실시예288
실시예289
실시예290
실시예291
실시예292
실시예293
실시예294
실시예295
실시예296
실시예297
실시예298
실시예299
실시예300
실시예301
실시예302
실시예303
실시예304
실시예305
실시예306
실시예307
실시예308
실시예309
구분 감도 굴절률 투과도 Haze 절대점도 잉크젯 특성 유연성
비교예1 X
비교예2 X
비교예3 개시제 석출
참고예1
참고예2
참고예3
참고예4
참고예5
참고예6
참고예7
참고예8
참고예9
참고예10
참고예11
참고예12
참고예13
참고예14
참고예15
참고예16
참고예17
참고예18
참고예19
참고예20 X X X X
참고예21 X X X X
참고예22 X X X X
참고예23 X
참고예24 X
참고예25 X
참고예26 X X
참고예27 X
참고예28 X
참고예29 X X
참고예30 X X
참고예31 X X
참고예32 X X
참고예33 X X
참고예34 X X
참고예35 X X
상기 표 15 내지 22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 내지 309는 고굴절 특성의 단량체 및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고유연성 단량체를 고굴절율 단량체 및 광개시제 등과 함께 최적의 구성으로 포함함에 따라, 비교예 및 참고예들에 비해, 굴절률이 높고 점도가 양호하면서도, 낮은 헤이즈를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특히, 상기 실시예들은 비교예들 및 참고예들에 비해 유연성이 더욱 우수하면서도 감도, 투과도 및 내열성 뿐 아니라 잉크젯 공정성이 모두 뛰어나, 폴더블 또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광학 부재로 적용시 성능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비교예 1에서 고유연 단량체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유연 특성을 나타낼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 및 3는 광개시제 함량이 너무 적거나 많아서 감도를 측정할 수 없거나 개시제가 석출되서 물성 측정이 불가하였다.

Claims (22)

  1. a) 경화 전 액상굴절률이 1.51 이상인 1종 이상의 고굴절률 단량체;
    b) 1종 이상의 고유연성 단량체; 및
    c)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1 이상의 방향족 고리 또는 1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방향족 또는 지환족 광경화성 화합물인 광중합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포함하는 방향족 광경화성 화합물인 광중합성 조성물;
    [화학식 1]
    B-Z1-Z2-R
    상기 화학식 1에서, B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하나 이상의 황(S)이 치환된 5~7원환의 지방족 헤테로 고리 구조 또는 하나 이상의 황(S)이 치환된 5~7원환의 방향족 헤테로 고리 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조를 포함하고,
    Z1은 직접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Z2는 직접결합 또는 하나 이상의 산소(O) 또는 황(S)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R은 광경화성 작용기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B가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고, Z1은 직접결합이고, Z2는 하나 이상의 산소(O)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인 화학식 1의 구조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B가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고, Z1은 직접결합이고, Z2는 하나 이상의 산소(O) 및 방향족 고리 구조를 함께 포함하는 화학식 1의 구조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는 B가 하나 이상의 황(S)이 치환된 5~7원환의 방향족 헤테로 고리 구조를 포함하고, Z1은 직접결합이고, Z2는 하나 이상의 황(S)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인 화학식 1의 구조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가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O-페닐 페녹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바이 페닐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화학식 2 내지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10

    [화학식 3]
    Figure pat00011

    [화학식 4]
    Figure pat00012

    [화학식 5]
    Figure pat00013

    [화학식 6]
    Figure pat00014

    [화학식 7]
    Figure pat00015

    [화학식 8]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2 내지 8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9의 구조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화학식 9]
    (A)m-B-(A’)n
    상기 화학식 9에서, A 및 A'은 광경화성 작용기로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B는 하나 이상의 산소 원자를 포함 또는 불포함하는 탄소수 6 내지 50의 지방족 구조로서, 적어도 탄소수 6 이상의 직쇄 알킬 구조를 포함하며,
    m 및 n은 0 또는 1의 정수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는 B가 4 내지 20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화학식 9의 구조인 광중합성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는 이소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 에톡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프로필렌글리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하기 화학식 1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화학식 10]
    Figure pat00017

    (상기 화학식 10에서, a+b = 0 ~ 10이며, a와 b는 정수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0의 a 및 b는 각각 1 내지 5의 정수인, 광중합성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는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연성 단량체는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와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부의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의 절대점도(25℃에서 측정)가 5cP 내지 40 cP인, 광중합성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아민 증강제를 더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증강제는 하기 화학식 11의 화합물, 에틸 다이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 부톡시에틸 다이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 비스(다이에틸아미노)벤조페논, 비스(2-하이드로에틸)-톨루아이딘, 에틸헥실-(다이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다이아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4-(다이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에틸헥실 4-(다이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 2-(다이부틸아미노)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4,4-(옥시비스(에탄-2, 1-다일))비스(옥시)비스(다이메틸아닐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화학식 11]
    Figure pat00018

    상기 화학식 1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에테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아민기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나타낸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단량체 및 고유연성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광증감제를 더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증감제는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피렌, 페릴렌, 트리페닐렌, 안트라센, 9,10-디부톡시안트라센, 9,10-디에톡시안트라센, 3,7-디메톡시안트라센, 9,10-디프로필옥시안트라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광중합성 조성물.
  20. 기재; 및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유연 잉크젯용 광중합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한 경화막;
    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21. 제15항에 있어서, 경화막의 헤이즈가 3% 이하이고, 굴절률이 1.58 이상이며, 연신율 (Elongation)이 5% 이상인 광학 부재.
  22. 제20항의 광학부재를 광학필름 또는 패턴필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164737A 2020-11-27 2021-11-25 광중합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부재 및 표시 장치 KR20220074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7596 WO2022114837A1 (ko) 2020-11-27 2021-11-26 광중합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부재 및 표시 장치
CN202180079231.4A CN116547321A (zh) 2020-11-27 2021-11-26 光聚合性组合物、由此形成的光学部件和显示装置
JP2023532727A JP2023553373A (ja) 2020-11-27 2021-11-26 光重合性組成物、それから形成された光学部材および表示装置
TW110144113A TW202235447A (zh) 2020-11-27 2021-11-26 光聚合性組成物、由此形成之光學部件和顯示裝置
US18/324,765 US20230295357A1 (en) 2020-11-27 2023-05-26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optical element prepared therefrom, an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62700 2020-11-27
KR1020200162700 2020-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772A true KR20220074772A (ko) 2022-06-03

Family

ID=81982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737A KR20220074772A (ko) 2020-11-27 2021-11-25 광중합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부재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47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590B1 (ko)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381307B1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70097602A (ko) 무기 미립자 분산액의 제조 방법, 당해 분산액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
TWI809202B (zh) 偏光膜及其製造方法
JP2010116562A (ja) インプリンティング用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基板上に有機膜を形成する方法
WO2020156262A1 (zh) 投影屏幕光学涂料
EP2687549A1 (en) Lipophilic, highly branched polymer, and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1860116B1 (ko) 도광판 미세 패턴 형성용 광경화형 임프린팅 조성물 및 그 임프린팅 도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디스플레이 장치
TW201817828A (zh) 光硬化型噴墨印刷用透明墨水組成物
JP6826092B2 (ja)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から形成された光硬化膜
KR20220074772A (ko) 광중합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부재 및 표시 장치
JP7070002B2 (ja) 多分岐ウレタン化合物含有重合性組成物
KR20120069565A (ko) 프린팅 프로세스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30032658A (ko) 자외선 경화성 코팅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 경도 코팅막
CN116547321A (zh) 光聚合性组合物、由此形成的光学部件和显示装置
US20220098334A1 (en)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cured fil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230295357A1 (en)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optical element prepared therefrom, and display device
JP2019112484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加飾シート、および成型加工品
KR20210106365A (ko) 광중합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부재 및 표시장치
CN111435220B (zh) 感光性树脂组合物、光学膜及其制造方法
US20220389251A1 (en)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optical member and display device formed therefrom
KR102586154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디지타이저 상에 형성되는 점접착제 조성물 ocr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KR101423618B1 (ko) 도광판 미세 패턴 형성용 광경화형 임프린팅 조성물 및 그 임프린팅 도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디스플레이 장치
TW201504316A (zh) 紫外線硬化性遮光用組成物
JP6701702B2 (ja) 光硬化性樹脂成形体、こ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透過型液晶ディスプレ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