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223A -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 - Google Patents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223A
KR20220074223A KR1020200162470A KR20200162470A KR20220074223A KR 20220074223 A KR20220074223 A KR 20220074223A KR 1020200162470 A KR1020200162470 A KR 1020200162470A KR 20200162470 A KR20200162470 A KR 20200162470A KR 20220074223 A KR20220074223 A KR 20220074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yeing
chitosan
ag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275B1 (ko
Inventor
송홍종
이용현
Original Assignee
송홍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홍종 filed Critical 송홍종
Priority to KR1020200162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27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 A61K2800/4324Direct dyes in 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산성 염료를 이용하여 모발을 염색할 때 모발 트리트먼트 및 키토산을 혼합하여 모발에 처리하는 경우, 염색성이 개선되고, 모발 손상이 완화되며 색빠짐이 억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COMPOSITION FOR DYEING HAIR AND METHOD FOR DYE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발 염색 방법으로는 지속성이 높아 영구 염모제로 불리우는 산화형 염모제, 식물로부터 얻어진 색소 또는 탄닌과 철과 같은 다가 금속이온의 배위 결합에 의해 수불용성 상태로 모발 표면에 남아 색상을 나타내는 천연매염염색, 타르색소로 불리는 합성색소를 모발에 흡수시켜 색상을 나타내는 산성 염모제(헤어 매니큐어)와 같은 직접염색, 안료를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색상을 나타내고 세척 후에는 색상이 없어지는 일시 염모제 등이 있다.
산화형 염모제는 색상을 나타내지 않는 염료 중간체의 산화반응을 통하여 색상을 띄게 되는데 염료 중간체 중 일부는 알레르기 체질의 사람들이 사용했을 때 알레르기 접촉성 피부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빠른 염색을 위하여 사용되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산화성 물질에 의한 피부자극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염료 중간체의 모발 내 흡수 및 염색시간 단축을 위하여 액성이 알칼리 조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자극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천연매염염색의 경우에는 초기에 나타난 색상에 대한 지속력은 우수하나 색소가 주로 모발 표면에 남아 있게 됨에 따라 모발의 부드러움이 줄어들고 뻣뻣한 느낌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산성 염모제는 염색 기작이 화학반응에 의존하지 않아 산화형 염모제에 비하여 자극은 적으나 염착성 및 색상 지속력이 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산성 염료를 이용한 염색약의 겨우, 색소 용출이 심하고, 산성 환경에서 시술이 일어나기 때문에 모발에 손상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산성 색소가 모발에 최대한 많은 양이 흡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컨디셔닝(트리트먼트)를 위한 원료의 사용을 가급적 제한하고 있어 모발 손상은 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러한, 기존 염모제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산성 염료를 사용하되 염색성, 모발 손상 완화 및 견뢰도를 향상시킨 염모제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0691086호.
본 발명은 모발 염색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발 염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산성 염료를 포함하는 1제; 및 모발 트리트먼트와 키토산을 포함하는 2제;를 포함하는 모발 염색용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1제 및 2제는 1:0.5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모발 염색용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2제는 키토산을 0.005 내지 0.1 중량% 포함하는 것인, 모발 염색용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분자량이 2 kDa 내지 50 kDa인, 모발 염색용 조성물.
5. 위 1에 있어서, 상기 1제 및 2제는 분리 충진된 것인, 모발 염색용 조성물.
6. 모발을 위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로 염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염색 방법.
7. 위 6에 있어서, 상기 1제 및 2제는 1:0.5 내지 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모발 염색 방법.
8. 위 6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분자량이 2 kDa 내지 50 kDa인, 모발 염색 방법.
9. 위 6에 있어서, 상기 2제는 키토산을 0.005 내지 0.1 중량% 포함하는 것인, 모발 염색 방법.
본 발명은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산성 염료를 이용하여 모발을 염색할 때 모발 트리트먼트 및 키토산을 혼합하여 모발에 처리하는 경우, 염색성이 개선되고, 모발 손상이 완화되며 색빠짐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염색 조성물의 모발 염색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염색 조성물과 기존 산성 염색약의 염색 모발의 색소 용출액을 비교한 것이다.
도 4 및 5는 키토산 수용액의 농도에 따른 염색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6 및 7은 키토산 처리 방법에 따른 염색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8 및 9는 키토산 분자량에 따른 염색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염색 조성물과 기존 산성 염색약으로 염색한 모발의 모발 표면 사진을 비교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모발 염색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성 염료를 포함하는 1제; 및 모발 트리트먼트와 키토산을 포함하는 2제;를 포함한다.
산성 염료는 분자 안에 산성기를 가진 수용성 염료로 착색제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산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타르계 산성 염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산성 염료는 통상의 염료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산성 염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Crystal Clear-001, Gold Yellow-002, Yellow Orange-003, Red Orange-004, ViVid Red-005, Nobless Wine-006, Lilac Violet-007, Sky Blue-008, Mint Green-009, Gold Brown-010, Natural Brown-011, Dark Brown-012, Rich Black-013, Light Brown-014, Mahogany Brown-015, Ash Blonde-016, Blue Black-017, Chestnut Brown Red-018, Red Violet-019, Rose Pink-020, Pink Red-021, Khaki Brown-022, 적색2호, 적색3호, 적색102호, 적색104호, 적색105호, 적색106호, 황색4호, 황색5호, 녹색3호, 청색1호, 청색2호, 적색201호, 적색227호, 적색230호, 적색231호, 적색232호, 등색204호, 등색207호, 황색202호, 황색203호, 녹색201호, 녹색204호, 녹색205호, 청색202호, 청색203호, 청색205호, 적색401호, 녹색402호, 자색401호, 흑색401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1제는 액상일 수 있고, 산성 염료가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된 것일 수 있다.
용매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물일 수 있다.
1제 내의 산성 염료는 원하는 색상 정도, 모발 손상 방지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모발 트리트먼트는 손상된 모발에 공급되어 두피 및 모발 조직을 보호하고, 추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성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디메치콘, 세틸알코올, 케라틴, 콜라겐, 단백질, 계면활성제 또는 보습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발 트리트먼트는 공지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2제는 액상일 수 있고, 모발 트리트먼트 및 키토산이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된 것일 수 있다.
용매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물일 수 있다.
2제 내의 트리트먼트 및 키토산은 모발 손상 방지, 염색 효과 향상 등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한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1제 및 2제는 예를 들어, 1:0.5 내지 2, 1:0.7 내지 1.7 또는 1:0.9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염색 효과가 향상되고, 모발 손상이 완화될 수 있다.
2제는 키토산을 예를 들어, 0.05 내지 1 중량%, 0.07 내지 0.8 중량% 또는 0.09 내지 0.5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제한되지 않으나, 키토산이 2제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모발에 염색된 색소의 용출 억제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2제는 예를 들어, 트리트먼트와 키토산 수용액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키토산 수용액은 예를 들면 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3 중량%, 0.1 내지 2 중량%, 0.5 내지 2 중량%, 0.5 내지 1.5 중량%, 0.8 내지 1.2 중량% 농도의 키토산 수용액일 수 있다. 트리트먼트와 키토산 수용액의 비율은 예를 들면 중량비가 1: 0.2 내지 1, 구체적으로 1: 0.2 내지 0.8, 1: 0.3 내지 0.7, 1: 0.4 내지 0.6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키토산은 분자량이 예를 들어, 2 kDa 내지 50 kDa, 10 kDa 내지 40 kDa 또는 20 kDa 내지 35 kDa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범위보다 작은 분자량의 키토산은 산성 염료와의 상호간 결합이 증가하여 모발 단백질과의 추가 결합이 감소되어 염료의 모발 결합력이 저하되며, 상기 범위보다 큰 분자량의 키토산은 산성 염료가 모발에 흡착되는 것을 오히려 방해할 수 있다.
키토산의 분자량은 예를 들어, 키토산을 키토산분해효소(chitosanase)로 처리하여, 그 분자량을 줄이는 등의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1제 및 2제는 분리 충진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염색 효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사용 전 1제 및 2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하이드록시카복시이미드, 하이드록시트리아졸,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하이드록시피리디논, 하이드록시페닐벤지미다졸, 하이드록시인돌린온, 하이드록시벤조트 리아진 및 옥시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결합 형성 반응 촉진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 결합 형성 반응 촉진첨가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 중량부이다. 10 중량부 이상 사용하여도 화학반응의 속도가 포화되기 때문에 제품의 경제성이 없고, 또한 제품의 안정성에 도움되지 않는다. 0.0001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반응성에 미미하게 도움이 되거나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수적으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팔미틱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등의 지방산, 지방 알코올, 직쇄와 분기쇄의 장쇄 알킬 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화 계면활성제,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구아, 양이온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양이온화 폴리머, 실리콘 등과 혼용하면 제제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품 제제로의 제형화를 위하여 용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안정화제, 방부제, 착색제, pH 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 펄화제, 외관 개선제, 에몰리언트, 안료, 분체 입자 등의 화장품 제제화를 위한 성분들을 부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화를 위한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99 중량부 또는 60 중량부 내지 99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관능기를 가지는 염료를 포함하여 염색용 조성물의 처방에 이용될 수 있다. 모발 제품의 적용 예로는 샴푸 전(pre-shampoo) 조성물,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왁스, 젤, 스프레이, 무스, 헤어 로션, 헤어팩, 헤어 에센스, 헤어 크림, 영구 염모제, 일시 염모제, 펌제, 부직포, 시트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피부 제품의 적용 예로는 일반적으로 피부를 정돈, 보호용의 기초 화장품(화장수,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 색조 화장품(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아이 쉐도우, 립글로즈, 립스틱, 립밤 등), 손발톱용 메이크업(메니큐어, 영양제, 강화제, 탑코트 등), 세정용 화장품(폼클렌징, 클렌징 오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클렌징 젤, 팩, 마스크, 비누, 클렌징 티슈 등), 선 케어 화장품, 바디용 화장품(로션, 샤워젤, 바디 크림, 바디 오일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미늄계 화합물을 포함하면서 동시에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고, 위의 제제가 수계에서 활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비수계 제형에서 그 활성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며, 사용 직전에 pH 조절을 위하여 완충액(buffer)과 혼합하거나, 세정 과정에서 물과 접촉 하는 방법으로 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비수계 제형의 예로는 통상의 비수계 화장품 제제로서 사용되는 액상형, 시트형, 분말 분체형, 정제형, 오일, 왁스, 앰플, 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늄계 화합물과 염료를 캡슐화 형태의 단일제 또는 각각 분리된 형태의 2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캡슐화를 통해 반응성을 가지는 관능기와 염색 기능을 갖는 성분이 결합된 형태의 유도체를 수분으로부터 차단하는 방법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색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디옥틸석시네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등과 같은 2-염기산 에스텔유와 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 실렌글리콜, 부타네디올 및 그들의 이성체, 글리세롤, 벤질 알코올, 에톡시디글리콜 및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용제는 모발, 피부, 손ㆍ발톱, 섬유 또는 가죽의 침투성을 증가시키며 난용성 물질의 용제로서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관능기를 가지는 염료의 활성 유지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제에는 디에틸 세바케이트, 에톡시글리콜, 비스-에톡시글리콜 시클로헥산 1,4-디카복실레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모발 염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모발을 상기 조성물로 염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산성 염료, 모발 트리트먼트 및 키토산에 관하여는 전술한 바와 같다.
1제 및 2제가 분리 충진된 경우, 사용자는 사용 전 이를 혼합하거나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 처리(사용)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염색 효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사용 전 1제 및 2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색은 상기 조성물을 모발에 분무, 도포 또는 침지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모발 부위에 상기 조성물이 골고루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적인 염색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방법 및 결과
1. 염색 효과
기존 산성 염색약(㈜가인화장품 Persona 제품) 및 본 발명의 염색 조성물의 염색 효과를 비교하였다.
기존 산성 염색약 6 g을 백색 모발에 도포한 후 상온에서 40분 동안 반응시키고, 샴푸 세척 2회 후 완전 건조하였다.
본 발명의 염색약(Bio-hCC)은 1제 (㈜가인화장품 persona 제품-산성색소(Lilac violet-007), 정제수, 에탄올, 벤질알콜, NMP(N-Methyl-2-pyrrolidone), Tween 60, Hydroxyethyl-cellulose, glycolic acid, citric acid, hydrolyzed collagen, 방부원료, 향료) 3 g, 트리트먼트 약 2.997 g 및 키토산 약 0.003 g을 포함하는 2제(표 1 참고) 3 g을 혼합한 후, 백색 모발에 도포 후 상온에서 40분 동안 반응시키고, 삼푸 세척 2회 후 완전 건조하였다.
성분명 원료명 함량 (중량%)
water D.I.Water 71.260
ceramide Ceraperse AQ 0.010
panthenol DL Panthenol 0.100
Docosyltrimethylammonium chloride Miconium BTAC80 4.000
hydroxyethyl-cellulose hydroxyethyl-cellulose 0.150
cetearyl alcohol MASCOL 68/70P 9.000
tochopherol Vitamin E Acetate 0.010
Baobab Oil Baobab Oil 0.100
polydimethylsiloxane SF 1000N 100cs 0.300
편백오일 편백오일 0.010
Avocado oil Avocado oil 0.010
Isopropyl myristate IPM 3.000
Sorbitan Sesquioleate Sorbitan Sesquioleate 1.500
Amodimethicone/Cetrimonium chloride, Trideceth-12 SI 6020Z 6.500
cetrimonium chloride Miconium CTAC29 2.000
alginine Alginine 0.050
Lysine Lysine 0.200
collagen peptimo H (hydrorized collagen) 1.000
ext)aloe ext)aloe 0.010
ext)불가리스쑥 ext)불가리스쑥 0.010
ext)창포 ext)창포 0.010
ext)마트리카리아꽃(카모마일) ext)마트리카리아꽃(카모마일) 0.010
ext)녹차 ext)녹차 0.010
ext)마치현 ext)마치현 0.010
ext)뽕나무껍질(상백피) ext)뽕나무껍질(상백피) 0.010
ext)살비아(세이지) ext)살비아(세이지) 0.010
ext)고삼 ext) 고삼 0.010
ext)감초 ext)감초 0.010
ext)소나무잎(송엽) ext)소나무잎(송엽) 0.010
ext)berry complex 7 ext)berry complex 7 0.010
ext)Rosemary ext)Rosemary 0.010
ext)아르간 ext)아르간 0.010
Hydrolyed Keratin Promois WK 0.010
Benzyl Glycol, Ethylhexylglycerin, Raspberry Ketone phytonside NS 0.400
향료 pf)S 37892 0.150
키토산 leadb Chitosan 0.100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모발 염색 후 사진을 비교해보면, 기존 산성 염색약보다 본 발명의 염색 조성물이 보다 밝은 색으로 염색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2. 색소 용출 정도 및 색소 용출액 흡광도 측정
색소 용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1% NaCl 용액을 제조하여, 15 ㎖ tube에 가득 채우고, 염색된 모발을 침지하여 24시간 동안 교반기에서 반응 시켰다. 24시간 후 용출 용액을 일부 취하여 595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용출된 색소의 양을 간접적으로 측정하여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염색 모발 색소 용출액을 1일차에 기존 산성 염색약의 경우, 훨씬 많은 색소가 용출되어 한색을 보이고, 5일, 7일, 9일 차일 때 기존 산성 염색약에 비해 본 발명의 염색 조성물(Bio-hCC)로 염색한 모발에서 색소 용출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3. 키토산 농도에 따른 염색 효과 확인
산성 염료를 포함하는 1제 (㈜가인화장품 persona 제품-산성색소(Lilac violet-007), 정제수, 에탄올, 벤질알콜, NMP(N-Methyl-2-pyrrolidone), Tween 60, Hydroxyethyl-cellulose, glycolic acid, citric acid, hydrolyzed collagen, 방부원료, 향료) 2 g과 키토산이 포함되지 않은 2제(표 1에서 키토산을 제외하고, 그 함량만큼 정제수를 첨가) 2 g을 먼저 혼합한 후, 추가적으로 증류수(대조군) 또는 농도가 다른 중저분자 키토산 수용액(1%, 0.5%, 0.25%, 0.1%)을 각각 1 g씩 첨가하여 모발 염색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4, 도 5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Sample 대조군 1% 0.5% 0.25% 0.1%
L* 86.98±0.03 71.69±0.06 74.88±0.13 79.68±0.08 87.14±0.06
a* 18.96±0.23 44.67±1.07 40.37±0.79 33.16±0.51 20.04±0.04
b* 17.72±0.12 15.06±0.22 14.32±0.29 12.62±0.07 14.32±0.14
그 결과 키토산 수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염색이 더욱 진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염색된 모발은 색차계를 통해 색을 확인하였으며, 명도를 나타내는 L*은 1% 키토산 수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낮아 진하게 염색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적색을 나타내는 a* 값의 경우도 1% 키토산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염색은 키토산 수용액의 농도 의존적으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으나, 트리트먼트제와의 적절한 배합을 위해 1% 키토산 수용액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4. 키토산 처리 방법에 따른 염색 효과
실험 3과 같이 산성 염료를 포함하는 1제 2 g과 키토산이 포함되지 않은 2제 2 g과 함께 증류수(비교예 1) 또는 1% 중저분자 키토산 수용액을 각각 1 g씩 혼합한 경우(실시예 1), 증류수(비교예 2) 또는 1% 중저분자 키토산 수용액을 각각 1 g씩 모발에 전처리하고 건조하여 1제 및 2제로 염색반응을 진행한 경우(실시예 2), 증류수(비교예 3) 또는 1% 중저분자 키토산 수용액을 각각 1 g씩 모발에 전처리 후 1제 및 2제로 염색반응을 진행한 경우 모발 염색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6, 도 7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Sample 비교예 1 실시예 1 비교예 2 실시예 2 비교예 3 실시예 3
L* 94.59±0.06 66.13±0.02 89.36±0.29 77.08±0.14 92.36±0.15 74.55±0.05
a* 7.51±
0.30
49.18±0.57 16.21±0.25 36.02±0.37 11.03±0.44 37.92±0.42
b* 16.61±0.06 17.64±0.13 17.97±0.17 13.06±0.09 16.09±0.06 13.91±0.10
그 결과는 키토산 수용액을 1제와 2제와 혼합하여 염색반응을 진행하였을 때 가장 높은 염색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5. 키토산 분자량에 따른 염색 효과
실험 3과 같이 산성 염료를 포함하는 1제 2 g과 키토산이 포함되지 않은 2제 2 g을 먼저 혼합한 후, 추가적으로 증류수(대조군) 또는 분자량이 다른 키토산(100000 kDa(고분자키토산), 30 kDa(중저분자키토산))을 포함하는 1% 키토산 수용액을 각각 1 g씩 첨가하여 모발 염색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8, 도 9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Sample 대조군 30 kDa 100000 kDa
L* 64.15±0.03 63.01±0.02 62.26±0.59
a* 62.00±0.49 68.41±0.36 65.89±0.57
b* 43.42±0.32 47.66±0.81 46.90±0.49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키토산 수용액이 혼합된 모발의 적색 값(a*)이 높게 나타났으며, 중저분자 키토산 처리시 가장 높았으며, 고분자 키토산 또한 증가하였으나, 중저분자 키토산보다는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저분자 키토산이 색소 흡착에 있어서 보다 높은 효율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6. 염색반응 후 모발 표면 비교
기존 산성 염색약으로 염색한 경우와 본 발명의 염색 조성물(Bio-hCC)로 염색한 경우의 모발 표면을 관찰하면 본 발명의 염색 조성물로 염색한 모발이 표면이 보다 매끄럽고, 큐티클 층 사이사이가 충분히 매워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0).

Claims (9)

  1. 산성 염료를 포함하는 1제; 및
    모발 트리트먼트와 키토산을 포함하는 2제;를 포함하는 모발 염색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제 및 2제는 1:0.5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모발 염색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제는 키토산을 0.005 내지 0.1 중량% 포함하는 것인, 모발 염색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분자량이 2 kDa 내지 50 kDa인, 모발 염색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제 및 2제는 분리 충진된 것인, 모발 염색용 조성물.
  6. 모발을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로 염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염색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1제 및 2제는 1:0.5 내지 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모발 염색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분자량이 2 kDa 내지 50 kDa인, 모발 염색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2제는 키토산을 0.005 내지 0.1 중량% 포함하는 것인, 모발 염색 방법.
KR1020200162470A 2020-11-27 2020-11-27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 KR102519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470A KR102519275B1 (ko) 2020-11-27 2020-11-27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470A KR102519275B1 (ko) 2020-11-27 2020-11-27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223A true KR20220074223A (ko) 2022-06-03
KR102519275B1 KR102519275B1 (ko) 2023-04-06

Family

ID=8198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470A KR102519275B1 (ko) 2020-11-27 2020-11-27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2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737B1 (ko) * 2022-08-12 2023-09-07 주식회사 신도피앤지 이온결합에 의해 착색효과를 향상시킨 모발 염색 및 세정용 조성물의 사용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9335A (ja) * 1999-09-24 2001-04-03 Sanei Kagaku Kk 毛髪用染毛料組成物
JP2003048819A (ja) * 2001-07-31 2003-02-21 Chuo Aerosol Kagaku Kk 染毛のための頭髪化粧品
KR100691086B1 (ko) 2006-01-26 2007-03-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산성 염모제 조성물
KR20110059042A (ko) * 2009-11-27 2011-06-02 전기평 염모제의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9335A (ja) * 1999-09-24 2001-04-03 Sanei Kagaku Kk 毛髪用染毛料組成物
JP2003048819A (ja) * 2001-07-31 2003-02-21 Chuo Aerosol Kagaku Kk 染毛のための頭髪化粧品
KR100691086B1 (ko) 2006-01-26 2007-03-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산성 염모제 조성물
KR20110059042A (ko) * 2009-11-27 2011-06-02 전기평 염모제의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737B1 (ko) * 2022-08-12 2023-09-07 주식회사 신도피앤지 이온결합에 의해 착색효과를 향상시킨 모발 염색 및 세정용 조성물의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275B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0033B2 (ja)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組成物
AU2003283894B2 (en) Personal care formulations containing keratin
AU2006231992C1 (en) Improved oxidative hair dyes and related topical compositions
JP3309221B1 (ja) 染毛性整髪用組成物
US20100313362A1 (en) Henna and vegetable dye based compositions for coloring of human hair
BR112016026378B1 (pt) Método para o branqueamento dos cabelos e uso de um agente ativo que é ácido maleico para reduzir ou prevenir o dano ao cabelo
EP3388052A1 (en) Functional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JP2014024766A (ja) 不安定染料を安定的に配合した肌、毛髪の着色を目的とした外用剤
KR102519275B1 (ko)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
JP2004284988A (ja) 毛髪化粧料及び毛髪の蛋白質のカルボニル化を抑制する方法
KR100569788B1 (ko) 상심자, 상엽 또는 상백피를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KR100850928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502511B1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2681B1 (ko)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
KR101773678B1 (ko)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102492912B1 (ko) 모발 염색용 조성물
JP2003048819A (ja) 染毛のための頭髪化粧品
KR20090012647A (ko) 동백 오일과 올리브 오일이 함유된 염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491996B1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104850A (ja) 頭皮頭髪用組成物
KR100838996B1 (ko) 감귤류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739227B1 (ko) 자작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239877B1 (ko) 두피보호용 염모제 조성물
KR100739225B1 (ko) 측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BG2712U1 (bg) Фиксиращ серум балсам за коса след боядисван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