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094A -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3094A
KR20220073094A KR1020200160832A KR20200160832A KR20220073094A KR 20220073094 A KR20220073094 A KR 20220073094A KR 1020200160832 A KR1020200160832 A KR 1020200160832A KR 20200160832 A KR20200160832 A KR 20200160832A KR 20220073094 A KR20220073094 A KR 20220073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terminal
fa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닥터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닥터나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닥터나우
Priority to KR102020016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3094A/ko
Publication of KR20220073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 과목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진료 과목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의사 정보 리스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진료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진료 요청을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단말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병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료 접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단말로 푸쉬 알림 및 상기 수신된 진료 접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상기 의사 단말의 의사 간 진료가 완료되면, 상기 의사 단말로부터 진료비 청구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와 매칭되는 진료비가 결제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약국 정보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약국 정보 리스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약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약국 정보에 대응되는 약국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FACE-TO-FACE TELEMEDICINE SERVICE}
본 발명은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바이러스가 창궐함에 따라, 재외국민들의 경우,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환경에 노출되게 되었다. 즉, 최근 해외 현지에서는 바이러스 창궐로 인해 의료 시설 및 인력이 부족해짐에 따라, 자국민 우선 정책을 펼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재외국민들은 질병 또는 상해를 입은 경우에도 현지 의료기관으로부터 소외를 받게 되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노인,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 계층과 1인 가구 등 자신을 돌봐줄 동거 가족이 없는 시민들의 경우, 심각한 질병에 감염이 되거나 급성 질병에 걸렸을 때 직접 의료 기관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최근 바이러스 창궐로 인해 의료 시설 및 인력이 부족해짐에 따라, 사회적 취약 계층의 경우, 더욱 의료 혜택을 받기 어려워졌다.
심지어 대면 진료라는 의료 행위 자체가 부족한 의사수, 반복처방을 위한 평생 병원 방문, 짧은 진료 시간에 비해 과도한 긴 대기 시간 등의 문제로 인해 많은 시간과 돈을 환자에게 가중시킨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상황들로 인해, 최근 비대면 진료의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다만, 현행 의료법상, 환자와 의료진 간 비대면 의료행위는 불가능하다. 즉, 현행 의료법상, 의료법에서 규정한 의료기관 외의 시설에서 의료행위는 불가능하고,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의료행위 역시 불가능하다.
그러나, 최근 국내의 경우, 사람 간 접촉을 최소화(즉, 언택트(untact))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비대면 진료가 허용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의 개발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비대면 원격 진료, 처방전 전송, 처방약 배달, 간편 결제를 통한 진료비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 과목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진료 과목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의사 정보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진료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진료 요청을 토대로 사용자 단말을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단말로 연결시키는 단계, 병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진료 접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단말로 푸쉬 알림 및 수신된 진료 접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의사 단말의 의사 간 진료가 완료되면, 의사 단말로부터 진료비 청구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와 매칭되는 진료비가 결제되면, 사용자 단말로 약국 정보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약국 정보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약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약국 정보에 대응되는 약국 단말과 사용자 단말로 처방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된 진료 요청을 토대로 사용자 단말을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단말로 연결시키는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의사 정보에 연동된 오픈 채팅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전화를 통해 병원 단말과 연결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약국 정보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한 거리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약국 정보를 고려하여 약국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약국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약국 각각에 대한 거리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약국 정보를 반영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약국을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 과목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진료 과목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의사 정보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진료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진료 요청을 토대로 사용자 단말을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단말로 연결시키며, 병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진료 접수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단말로 푸쉬 알림 및 수신된 진료 접수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의사 단말의 의사 간 진료가 완료되면, 의사 단말로부터 진료비 청구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와 매칭되는 진료비가 결제되면, 사용자 단말로 약국 정보 리스트를 제공하고, 약국 정보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약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된 약국 정보에 대응되는 약국 단말과 사용자 단말로 처방전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을 선택된 의사 정보에 연동된 오픈 채팅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전화를 통해 병원 단말과 연결시킨다.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한 거리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약국 정보를 고려하여 약국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약국을 결정하고,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약국 각각에 대한 거리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약국 정보를 반영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며, 통신부가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약국을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부터 처방약 배달 서비스까지 원스톱(One Stop)으로 제공함으로써 의료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환자들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처방전이 환자의 진료비 결제 후에만 약국과 환자에게 전송되는바, 의료진은 환자의 진료비 결제를 대기하지 않고 처방전 전송과 진료비 청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대면 원격 진료시 환자의 진료비 결제 지연에 따른 의료진의 시간 낭비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환자의 진료비 결제 거부로 인한 의료진 피해도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는 간편 결제를 통해 진료비를 바로 수납할 수 있는바, 환자들의 결제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및 처방약 배달 서비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구성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등에 의해 구성도의 형태나 구조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로부터 변형된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다. 즉,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개의 단말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로 단말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단말들(110, 120, 130, 140)은 본 발명의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로, 복수의 단말들(110, 120, 130, 140) 각각은 사용자 단말(즉, 환자 단말), 의사 단말, 병원 단말, 약국 단말, 배달 대행 업체 단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10, 120, 130, 140)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컴퓨터, VR 기기, AR 기기 등과 같이 가상 상품 뽑기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말(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단말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 예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단말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6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제1 단말(110)로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110)은 서버(160)로부터 제공받은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 예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제1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제1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2에서는, 각 단말들(110~140) 간 내부 구성이 공통되고, 서버들(150, 160) 간 내부 구성이 공통될 수 있는바, 제1 단말(110)과 서버(15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말(110)과 서버(150)는 각각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P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대용량 기록장치(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 예로 제1 단말(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 예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 예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1 단말(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단말(일 예로 제2 단말(120)) 또는 다른 서버(일 예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말(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 예로 검색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콘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제1 단말(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제1 단말(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콘텐츠나 파일 등은 제1 단말(110)이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단말(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제2 단말(120)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콘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입출력 인터페이스(224) 또한 마찬가지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가 메모리(22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단말(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 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단말(1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제1 단말(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단말(11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즉, 환자 단말)인 경우)은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단말 또는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하여 GP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위치 정보를 서버(15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50)는 제1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한 거리 정보와 제1 단말(11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약국 정보를 고려하여 약국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약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50)는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약국 각각에 대한 거리 정보와 제1 단말(11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약국 정보를 반영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150)는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약국을 순차적으로 제1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제1 단말(110)이 서버(150)로부터 약국 리스트를 수신한 경우, 제1 단말(110)은 수신된 약국 리스트를 통해 원하는 약국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약국 정보를 서버(150)로 전송함으로써, 서버(150)에서 해당 약국으로 비대면 원격 진료에 따른 처방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서버(150)는 해당 약국으로 정보 전달 시 해당 처방전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전화번호, 처방전 상의 의약품을 받기 원하는 배송지 주소)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약국 단말의 경우, 서버(150)와의 통신을 통해 처방전 정보, 사용자(즉, 환자)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약사는 약국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처방전에 따른 처방약(예를 들어,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을 배달하기 위한 배달원(즉, 배달 대행 업체 단말)을 선택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제1 단말(110)과의 통화를 통해 복약지도를 실시할 수도 있다.
서버(150)는 본 발명의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및 처방약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로, 제1 단말(11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약국 정보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를 제1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약국 단말로 처방전 정보와,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전화번호, 배송지 주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서버(150)는 해당 약국 단말로부터 배달원(즉, 배달 대행 업체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배달 대행 업체 단말, 제1 단말(110) 또는 약국 단말로부터 배달 완료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물론, 서버(150)는 배달 완료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고 복약지도가 필요한 경우 복약지도를 실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된 메시지 또는 복약지도에 대한 실시를 수행하라는 정보를 약국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서버(150, 160)로부터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은 비대면 원격 진료를 수행하는 의사 단말일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의 진료 요청을 접수하는 병원 단말일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단말'은 처방전에 따라 처방약을 판매하는 약국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고, 처방약을 환자에게 배달해주는 배달 대행 업체 단말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단말'은 본 발명의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의 직접 당사자들인 '의사 단말', '사용자 단말'뿐만 아니라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의 간접 당사자들인 '병원 단말', '약국 단말', '배달 대행 업체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서버가 전술한 구성 및 특징을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및 처방약 배달 서비스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및 처방약 배달 서비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1~4)와 처방약 배달 서비스(5)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3의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와 처방약 배달 서비스는 도 1 및 도 2에서 전술된 단말 및 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는 4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이용자(즉, 환자 또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에 설치된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대면 진료를 신청할 수 있다. 참고로, 이용자는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환자 버전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용자의 비대면 진료 신청이 접수되면, 의료진(즉, 의사)은 자신의 단말에 설치된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의료진은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의사 버전으로 설치할 수 있다.
비대면 원격 진료가 완료되면, 이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진료비를 수납(즉, 결제)할 수 있다.
진료비가 수납되면, 이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처방전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처방전이 바로 약국으로도 전송되기를 원하는 경우, 이용자는 진료비 수납 후 처방전 전송 약국을 선택할 수 있다. 참고로, 약국 정보 리스트는 이용자의 위치 정보 기반으로 추천될 수 있다.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처방전 전송 약국을 선택한 경우, 해당 처방전 전송 약국의 단말로 처방전이 전달될 수 있다. 참고로,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약국의 단말로 처방전 정보와,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전화번호, 배송지 주소)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의 4단계가 완료된 후 이용자의 선택(또는 요청)에 따라 처방약 배달 서비스가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국 단말로 처방전이 전달되고,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처방약에 대한 배달을 요청하는 경우, 약국 단말은 배달 대행 업체 단말로 처방약 배달을 요청할 수 있다. 참고로, 약국 단말에 의해 선택된 배달 대행 업체 단말로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전화번호, 배송지 주소)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용자에게 처방약 배달이 완료된 후 복약지도가 필요한 경우, 약국 단말이 이용자의 단말로 복약지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부터 처방약 배달 서비스까지 원스톱(One Stop)으로 제공되는바, 의료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환자들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전세계적으로 바이러스가 창궐함에 따라, 제대로 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된 재외국민들과, 직접 의료 기관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기 어려운 사회적 취약 계층들의 의료 접근성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와 처방약 배달 서비스가 큰 폭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일 예로, 재외국민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를 통해 해외에서도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비대면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재외국민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진료비를 바로 결제할 수 있다. 그리고 재외국민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처방전을 국내 약국으로 전송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방약 배달 서비스를 통해 처방전에 따른 처방약을 해외 택배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재외국민이 비대면 원격 진료를 통해 받은 처방전을 현지에서 활용하기 어려운 경우, 재외국민은 자신의 단말을 통해 국내에 거주하는 보호자의 단말로 처방전을 전송하고, 보호자가 국내에서 직접 처방전에 따른 의약품을 구입하여 해외에 거주하는 재외국민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직접 의료 기관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기 어려운 사회적 취약 계층들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를 통해 1차 진료 기록(영상 자료, 진단서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회적 취약 계층들은 1차 진료 기록을 토대로 국내 병원의 2차 소견을 바로 받을 수 있는바, 자주 병원에 가야 하는 불편함을 덜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취약 계층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방약 배달 서비스를 통해 약국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처방약을 받을 수 있는바, 약국 방문에 따른 바이러스 2차 감염도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및 처방약 배달 서비스가 구현되는바,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말 및 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 과목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S100).
구체적으로,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로부터 진료 과목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즉, 환자)는 자신의 단말(예를 들어, 110)을 통해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자신이 원하는 진료 과목(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경과, 가정의학과, 소아청소년과, 피부과 등등) 중 어느 하나의 진료 과목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은 진료 과목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진료 과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진료 과목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S100), 진료 과목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S15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예를 들어, 110)을 통해 자신이 선택한 진료 과목의 의사 정보 리스트(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의사 정보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의사 정보 리스트는 사용자의 위치와 무관하게 다양한 기준(예를 들어, 최근 진료 받은 의사 순, 평점이 높은 의사 순, 의사 이름 기준 오름차순, 의사 이름 기준 내림차순 등)을 토대로 서버(150)에서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의사 정보 리스트는 사용자의 위치를 토대로 서버(150)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한 거리 정보와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 의사 정보를 고려하여 의사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의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50)는 결정된 하나 이상의 의사 정보 각각에 대한 거리 정보와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 의사 정보를 반영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150)는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하나 이상의 의사 정보를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로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이와 같은 의사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의사 정보는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 이름, 병원 이름, 진료 시간, 점심 시간, 진료 과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에 표시된 의사 정보 리스트 중 관심 있는 의사 정보를 터치 또는 클릭함으로써 해당 의사에 대한 상세 정보(예를 들어, 도 5의 (c)에 도시된 의사 상세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 의사 정보 리스트가 제공되면(S150), 의사 정보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진료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다(S20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예를 들어, 110)에 표시된 의사 정보 리스트 중 관심 있는 의사 정보를 터치 또는 클릭한 후 해당 의사에 대한 상세 정보(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의사 상세 정보)가 자신의 단말(예를 들어, 110)에 표시되면, 해당 화면의 하단에 위치한 '진료 요청하기' 버튼(또는 아이콘(icon))을 터치 또는 클릭함으로써 진료 요청을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진료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면(S200), 수신된 진료 요청을 토대로 사용자 단말을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단말로 연결시킨다(S250).
구체적으로,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로부터 진료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을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단말(예를 들어, 120)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은 선택된 의사 정보에 연동된 오픈 채팅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전화를 통해 해당 병원 단말(예를 들어, 120)과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예를 들어, 110)의 화면(즉, 스크린)에 표시된 '진료 요청하기' 버튼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서버(150)에 의해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이 바로 병원 단말(예를 들어, 120)과 오픈 채팅방 또는 전화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연결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의 화면에 오픈 채팅방 아이콘 또는 전화 아이콘(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이 팝업(pop-up)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오픈 채팅방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은 병원 단말(예를 들어, 120)과 오픈 채팅방으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전화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은 병원 단말(예를 들어, 120)과 전화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과 병원 단말(예를 들어, 120)이 연결되면, 사용자는 채팅 또는 전화를 통해 비대면 진료 접수에 필요한 정보를 병원 측(예를 들어, 접수 역할을 담당하는 병원 직원)에 전달할 수 있고, 병원 측은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비대면 진료 가능 여부 확인 후 진료 접수를 진행할 수 있다.
참고로, 비대면 진료 접수에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어, 증상, 진료 일정, 개인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과 병원 단말을 연결(S250)시킨 후, 사용자와 병원 측 간 진료 접수 채팅 또는 대화가 완료되면, 병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진료 접수 정보를 수신한다(S300).
구체적으로, 병원 측은 채팅 또는 전화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진료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진료가 가능한 경우, 병원 단말(예를 들어, 120)을 통해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의 진료 접수 정보를 서버(15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진료 접수 정보가 수신되면(S300),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단말로 푸쉬 알림 및 수신된 진료 접수 정보를 제공한다(S350).
구체적으로, 서버(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단말(예를 들어, 140)로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 및 진료 접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사 단말(예를 들어, 140)에는 새로운 진료 요청이 접수되었다는 푸쉬 알림이 표시될 수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 사 단말(예를 들어, 140)의 화면에는 새로운 진료 요청 내역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의사는 자신의 단말(예를 들어, 140)의 화면에 표시된 당일 진료 내역 목록을 통해 아직 진료 전인 사용자들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의사 단말(예를 들어, 140)의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의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간에는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의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상의 실행 화면이고, 도 6의 (b)는 의사 단말(예를 들어, 140)의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상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한편, 의사는 자신의 단말(예를 들어, 140)에 표시된 당일 진료 내역 목록을 통해 진료 대기 중인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확인 후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비대면 원격 진료를 진행할 수 있다.
물론, 전화 외에 채팅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비대면 원격 진료가 진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의사 단말의 의사 간 진료가 완료되면, 의사 단말로부터 진료비 청구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수신한다(S400).
구체적으로, 사용자(즉, 환자)와의 비대면 원격 진료가 종료되면, 의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 단말(예를 들어, 140)의 화면에 표시된 '진료비 입력' 항목에 진료비를 입력한 후 '진료비 청구' 아이콘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진료비 청구 정보를 서버(15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 단말(예를 들어, 140)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 선택 또는 파일 드래그 드롭해서 업로드' 항목에 처방전 파일을 첨부한 후 '전송하기' 아이콘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처방전 정보를 서버(150)로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의사 단말(예를 들어, 140)에서는 사용자가 진료비를 결제하기 전까지는 사용자에게 처방전이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의사는 사용자의 진료비 결제를 기다리고 확인할 필요 없이 진료비 청구와 처방전 전송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의사 단말로부터 진료비 청구 정보와 처방전 정보가 수신되면(S400), 사용자 단말로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를 제공한다(S450).
구체적으로, 서버(150)는 의사 단말(예를 들어, 140)로부터 진료비 청구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로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의 화면에는 진료비 수납 팝업창(예를 들어, 도 8의 (a))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예를 들어, 110)의 화면에 표시된 진료비 확인 후 '간편 결제' 아이콘을 통해 진료비를 바로 결제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카드 변경하기' 아이콘을 통해 결제 카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와 매칭되는 진료비가 결제되면, 사용자 단말로 약국 정보 리스트를 제공한다(S500).
구체적으로, 서버(150)가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로 약국 정보 리스트(예를 들어, 도 8의 (b)에 도시)를 제공하기 전에,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로부터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50)는 S500에서,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한 거리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약국 정보를 고려하여 약국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약국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약국 각각에 대한 거리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약국 정보를 반영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약국을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로 제공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참고로, 약국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약국 정보는 예를 들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국 이름, 사용자 단말과 병원 사이의 거리, 전화 번호,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로 약국 정보 리스트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예를 들어, 110)의 화면에 표시된 약국 정보 리스트 중 원하는 약국 정보(즉, 처방전 정보가 전송되기를 원하는 약국 정보)를 선택한 후 '배달' 또는 '픽업' 아이콘을 터치 또는 클릭할 수 있다.
S500 이후 사용자의 처방전 전송 약국 선택이 완료되면, 약국 정보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약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다(S550).
구체적으로,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약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참고로,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로부터 약국 정보를 수신할 때, 처방전 정보에 대응되는 처방약의 픽업 또는 배달 요청도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약국 정보가 수신되면(S550), 수신된 약국 정보에 대응되는 약국 단말과 사용자 단말로 처방전 정보를 제공한다(S600).
구체적으로, 서버(150)는 수신된 약국 정보에 대응되는 약국 단말(예를 들어, 130)과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로 처방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기 자신이 처방전을 직접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약국으로도 처방전이 바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처방전을 직접 받아서 약국을 방문하여 처방전 접수를 기다리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나아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약국 정보(즉, 처방전 정보가 전송되기를 원하는 약국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배달' 및 '픽업' 아이콘 중 '배달' 아이콘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110)로부터 처방전 정보에 대응되는 배달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50)는 미리 정해진 배달 대행 업체 단말로 해당 처방약의 배달 요청과 함께 약국 정보(예를 들어, 약국의 주소 정보) 및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위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배달 대행 업체 단말은 해당 약국에서 처방약을 픽업하여 사용자에게 배달할 수 있다.
물론, 서버(150)가 아닌 약국 단말(예를 들어, 130)이 배달 대행 업체 단말을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서버(150)는 수신된 약국 정보에 대응되는 약국 단말(예를 들어, 130)로 처방전 정보 전달 시, 해당 처방전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전화번호, 처방전 상의 의약품을 받기 원하는 배송지 주소)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약사는 약국 단말(예를 들어, 130)을 통해 사용자에게 처방전에 따른 처방약(예를 들어,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을 배달하기 위한 배달 대행 업체 단말을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약국 단말(예를 들어, 130)은 선택된 배달 대행 업체 단말에 대한 정보를 서버(15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150) 약국 단말(예를 들어, 130)에 의해 선택된 배달 대행 업체 단말로 해당 처방약의 배달 요청과 함께 약국 정보(예를 들어, 약국의 주소 정보) 및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위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배달 대행 업체 단말은 해당 약국에서 처방약을 픽업하여 사용자에게 배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바,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표현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8의 서비스 및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대한 개념적인 구성을 표현한 것이다. 여기에서, 도 9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및 처방약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 1 및 도 2의 서버에 대한 개념적인 구성을 표현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700)은 통신부(710), 제어부(720), 데이터베이스(7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7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 과목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진료 과목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의사 정보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진료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진료 요청을 토대로 사용자 단말을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단말로 연결시킬 수 있다. 참고로, 통신부(710)는 사용자 단말을 선택된 의사 정보에 연동된 오픈 채팅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전화를 통해 병원 단말과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710)는 병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진료 접수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단말로 푸쉬 알림 및 수신된 진료 접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의사 단말의 의사 간 진료가 완료되면, 의사 단말로부터 진료비 청구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710)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와 매칭되는 진료비가 결제되면, 사용자 단말로 약국 정보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약국 정보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약국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된 약국 정보에 대응되는 약국 단말과 사용자 단말로 처방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처방전 정보에 대응되는 처방약의 픽업 또는 배달 요청을 수신하고, 픽업 또는 배달 요청 중 배달 요청이 수신된 경우, 배달 대행 업체 단말로 배달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20)는 통신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20)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한 거리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약국 정보를 고려하여 약국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약국을 결정하고,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약국 각각에 대한 거리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약국 정보를 반영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20)는 통신부(710)가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약국을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통신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베이스(730)는 본 발명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들(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병원 단말, 의사 단말, 약국 단말, 배달 대행 업체 단말 등)의 정보뿐만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참고로, 도 9의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700)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도 9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는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부터 처방약 배달 서비스까지 원스톱(One Stop)으로 제공함으로써 의료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환자들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처방전이 환자의 진료비 결제 후에만 약국과 환자에게 전송되는바, 의료진은 환자의 진료비 결제를 대기하지 않고 처방전 전송과 진료비 청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대면 원격 진료시 환자의 진료비 결제 지연에 따른 의료진의 시간 낭비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환자의 진료비 결제 거부로 인한 의료진 피해도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환자는 간편 결제를 통해 진료비를 바로 수납할 수 있는바, 환자들의 결제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8)

  1.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 과목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진료 과목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의사 정보 리스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진료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진료 요청을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단말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병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료 접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단말로 푸쉬 알림 및 상기 수신된 진료 접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상기 의사 단말의 의사 간 진료가 완료되면, 상기 의사 단말로부터 진료비 청구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와 매칭되는 진료비가 결제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약국 정보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약국 정보 리스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약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약국 정보에 대응되는 약국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진료 요청을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단말로 연결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선택된 의사 정보에 연동된 오픈 채팅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전화를 통해 상기 병원 단말과 연결되는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약국 정보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한 거리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약국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약국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약국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약국 각각에 대한 거리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약국 정보를 반영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약국을 순차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5.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 과목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진료 과목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정보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의사 정보 리스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진료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진료 요청을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단말로 연결시키며, 상기 병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료 접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의사 정보에 대응되는 의사 단말로 푸쉬 알림 및 상기 수신된 진료 접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상기 의사 단말의 의사 간 진료가 완료되면, 상기 의사 단말로부터 진료비 청구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수신된 진료비 청구 정보와 매칭되는 진료비가 결제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약국 정보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약국 정보 리스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약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약국 정보에 대응되는 약국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선택된 의사 정보에 연동된 오픈 채팅방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전화를 통해 상기 병원 단말과 연결시키는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한 거리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약국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약국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약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약국 각각에 대한 거리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약국 정보를 반영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통신부가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약국을 순차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160832A 2020-11-26 2020-11-26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73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832A KR20220073094A (ko) 2020-11-26 2020-11-26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832A KR20220073094A (ko) 2020-11-26 2020-11-26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094A true KR20220073094A (ko) 2022-06-03

Family

ID=8198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832A KR20220073094A (ko) 2020-11-26 2020-11-26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30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429B1 (ko) * 2023-04-13 2023-10-13 로봇앤컴주식회사 Crm과 emr 등을 통합한 환자 및 병원 간 소통 기반의 비대면 의료 서비스 플랫폼 서버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429B1 (ko) * 2023-04-13 2023-10-13 로봇앤컴주식회사 Crm과 emr 등을 통합한 환자 및 병원 간 소통 기반의 비대면 의료 서비스 플랫폼 서버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18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cription management
US11240192B2 (en)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social network platform
US750926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rrent industry specific data to physicians
US104173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communicating a prescription benefit coverage denial to a prescriber
CN105931162A (zh) 利用移动终端医疗实时挂号就诊支付系统
Nouch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lost to follow-up after hepatitis C treatment delivered by primary care teams in an inner-city multi-site program, Vancouver, Canada
US20160019473A1 (en) Arranging transport amongst parties through use of mobile devices
KR20220073094A (ko)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73095A (ko) 약 배달 서비스와 연계된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6172742B2 (ja) 往診状況確認支援装置及び往診状況確認支援方法
JP2016148999A (ja) 医療支援システム、その作動方法及び医療支援プログラム並びに医療支援装置
US20130066650A1 (en) Provision of a Mobile Health Product
JP7100974B2 (ja) ユーザ間の品物伝達を、メッセンジャを利用してサポート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18580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rescription advertising
US20130060574A1 (en) Provision of a mobile health product
US20140297308A1 (en) Referral and record sharing systems and methods
JP6921177B2 (ja) 医療情報システム、医療情報装置、医療情報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210066294A (ko) 주문된 의약품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1325358A (ja) 処方箋情報の管理装置
WO20170646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care through instant patient access
US201600861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real-time updates on status of appointments or tokens
KR101725434B1 (ko) 고객 요청 정보를 서비스 제공업체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JP7351594B2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
WO2014055886A2 (en) Healthcare facility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US20230385949A1 (en) Computer architectur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enabling real-time data determinations and distrib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