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810A -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810A
KR20220072810A KR1020220059680A KR20220059680A KR20220072810A KR 20220072810 A KR20220072810 A KR 20220072810A KR 1020220059680 A KR1020220059680 A KR 1020220059680A KR 20220059680 A KR20220059680 A KR 20220059680A KR 20220072810 A KR20220072810 A KR 20220072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artilage
fibrinogen
thrombin
chondrocy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363B1 (ko
Inventor
김석중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59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3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6Blood coagulation or fibrinolysis factors
    • A61K38/363Fibrin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9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2Serine endopeptidases (3.4.21)
    • A61K38/4833Thrombin (3.4.21.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25Fibrin; Fibrin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4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4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in the body
    • A61L27/3645Connective tissue
    • A61L27/3654Cartilage, e.g. menis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characterised by specific cells or progenitors thereof, e.g. fibroblasts, connective tissue cells, kidney cells
    • A61L27/3817Cartilage-forming cells, e.g. pre-chondr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8Agents promoting blood coagulation, blood-clotting agents, embolis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6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cartilage reconstruction, e.g. menis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ll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otan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i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다양한 적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특정 비율로 혼합 시, 목적으로 하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탄성이 우수하다. 이를 관절경하 수술을 수행하여 연골조직의 손상 부위에 주입 시, 낮은 재생 활성을 갖는 연골의 재생에 유효한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천연물질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자연연골과 유사한 조직공학적 연골을 재생하여 손상된 연골조직을 효과적으로 수복할 수 있는 연골 체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chondrocyte, fibrinogen, collagen or thrombin for arthroscopic cartilage regeneration procedure}
본 발명은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다양한 적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동물의 관절을 이루는 연골 조직에는 혈관, 신경 및 임파조직이 없어서 한번 손상되게 되면 정상적으로 생체 내에서 재생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관절의 연골조직이 손상될 경우 심한 통증과 함께 일상 활동에 제한을 받게 되며, 만성화될 경우 치명적인 퇴행성 관절염을 유발하게 되어 정상적인 생활이나 직업적인 활동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므로 손상된 관절연골은 스스로 회복 및 재생이 매우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의학적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도모되지만 아직 관절연골인 초자 연골을 자연과 같은 상태로 회복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임상적으로 연골을 재생시키는 수술 방법으로는 ① 줄기세포의 연골세포로의 분화유도를하는 방법, ② 골 연골 이식술(osteochondral transplantation)로 자가 혹은 동종의 연골조직을 연골 결손 부위에 이식하는 방법, ③미세 골절술(microfracture)로 손상된 연골을 잘 긁어내어 제거하고 연골하 골이 노출되면 여기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고 이를 통해서 흘러나온 골수세포가 연골 조직으로 재생되는 것을 도모하는 방법, ④ 연골세포 이식술(chondrocyte transplantation)로 연골 결손부위에 연골세포를 이식함으로써 연골 재생을 유도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미세 골절술(microfracture)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며, 그 대표적 방법인 관절경적 시술은 소형카메라가 장착된 관절경(arthroscopy)을 1㎝ 미만의 작은 구멍을 통해 관절강 내에 삽입하여, TV 모니터를 통해 관절 속을 확대 관찰하면서 진단 및 수술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미세 골절술(microfracture)은 실제의 관절에 필요한 초자연골(hyaline cartilage)이 아니라 섬유연골(fibro-cartilage)이 주로 생성되기 때문에,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 때는 만족할 만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골 연골 이식술은 환자의 정상부위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연골과 연골하골 부분을 함께 채취하여, 손상된 연골 부위에 적당한 구멍을 파고 이식하여 초자연골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이식된 부위와 원래 조직 사이에 틈이 남는 문제 등이 있어 완전한 치료 방법이라 하기 어려우며, 그나마 자가이식(autolaugous transplantation)이 가능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시행할 수 있어 보편적인 방법이 될 수 없다.
최근, 손상된 관절 연골의 치료를 위해 조직 공학에 기초를 둔 새로운 치료법으로서 자기유래 연골세포 이식술이 각광받고 있다. 이는 무릎 관절 연골이 손상된 환자의 연골 부위 중 사용이 많지 않은 연골을 채취한 후 연골 세포를 분리하고, 상기 연골 세포를 배양하여 연골 결손 부위를 치료할 만큼의 연골 세포수를 획득하며, 배양된 연골세포를 환자의 연골 결손 부위에 이식하여 환자의 관절 연골을 복원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이미 생성된 연골조직을 손상부위에 주입하는 골 연골 이식술에 비해, 이식된 연골세포가 손상된 부위 내에서 직접 증식하면서 손상부위를 채우게 되므로, 이식된 부위와 정상 부위가 비교적 잘 융합되며, 초자연골을 재생할 가능성 또한 많다. 그러나 연골세포를 채취할 때, 그리고 체외에서 배양된 연골세포를 다시 관절연골손상 부위에 이식할 때 각각 수술이 필요하므로, 결국 2차례에 걸친 수술에 의해 환자의 고통, 후유증 및 경제적 부담이 크며, 시술 과정 또한 복잡하다. 또한, 채취된 연골세포는 대부분은 이미 성장이 다 이루어진 성인으로부터 얻은 것이므로, 채취된 세포의 증식 및 생장이 왕성하지 않아 세포의 체외 배양시 이식에 필요한 만큼의 세포 수를 얻기까지 상당한 기간이 걸리며, 세포가 분화능력을 잃어 아예 증식하지 않는 경우에는 치료 자체가 이루어질 수 없고, 연골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기 때문에 세포의 발현형이 변화되곤 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있다.
상기 방법을 응용하여 자가 유래 골수(bone marrow), 근육, 피부 등의 간엽 조직으로부터 연골세포(chondrocyte)의 전구모세포(precursor cell)인 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를 얻고, 체외에서 증식시켜 고분자와 함께 관절연골손상 부위에 주입하는 방법이 보고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성숙한 개체에서 얻은 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연골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은 자기유래연골세포 이식술에 비해, 보다 미분화된 세포를 얻어 체외 배양하므로 세포증식력이 다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기 방법 역시 다양한 연골 손상을 충분히 치료하기에는 여전히 미약한 수준의 세포증식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미약한 세포증식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를 관절연골 손상부위에 주입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3-069115호), 연골 재생 효과 면에서 아직 미흡한 점이 많고, 실제 관절연골 구조를 고려한 지지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다.
이상으로 볼 때, 연골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연골 형성능력이 있는 조직이어야 하고, 기질형성에 필요한 외적 요소를 갖추어야 하며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영양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최근에 손상되었거나 기능을 상실한 환자 자신의 조직이나 장기에서 세포를 일부 채취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 지지체를 이용해 체외에서 배양한 다음 체내의 원래 위치에 이식하여 조직이나 장기를 복원, 재생 또는 대체하는 조직공학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조직 공학을 이용하여 손상된 연골을 재생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연골 제조와 관련하여서는 시험관, 배양기 등과 같은 인공적 환경인 차원 담체 구조체에서 제작하거나, 지지체/세포 혼합물을 이용하여 생물체 내(in vivo)에서 제작하는 것이 연구된 바 있다.
그러나, 연골 조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앞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연골 재생층 단독만으로는 한계점이 있다. 연골은 발생학적으로 경골조직과 같은 중배엽에서 기원한 조직으로, 뼈와 함께 내골격을 형성한다. 이처럼 연골과 뼈는 유기적으로 작용하는 조직이지만 종래의 연골과 뼈의 조직공학적 치료는 이들을 각각 치료하였다. 또한 연골 손상이 심한 경우 연골 뿐만 아니라 연골 밑의 골조직 까지 손상을 입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런 점을 개선하여 뼈와 연골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지지체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었으나(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54236호),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뼈와 연골의 복합 재생용 지지체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자기 유래 연골세포 이식술과 같이 자신의 조직을 사용할 경우에는 조직을 채취하고 이식을 하는 두 번의 수술이 필요하고, 비용과 시간적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이고도 효율적인 관절연골 재생을 위해서는 제품화된 세포를 이용하고, 이를 관절경적 수술 즉 미세 침습적 수술로 치료에 적용해야 환자의 회복이 빠르고 재활이 빨라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큰 이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동종의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관절경하에 연골조직의 손상 부위에 주입하면 이식물이 관절내에 잘 머물러 효과적으로 손상 부위의 연골 조직을 재생시킬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5423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피브리노겐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제1조성물; 및 연골세포 및 트롬빈을 포함하는 제2조성물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 피브리노겐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제1조성물을 제조하고, 연골세포 및 트롬빈을 포함하는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을 혼합하고 골 또는 연골 손상 조직부위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브리노겐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제1조성물; 및 연골세포 및 트롬빈을 포함하는 제2조성물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피브리노겐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제1조성물을 제조하고, 연골세포 및 트롬빈을 포함하는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을 혼합하고 골 또는 연골 손상 조직부위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특정 비율로 혼합 시, 목적으로 하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탄성이 우수하다. 이를 관절경하 수술을 수행하여 연골조직의 손상 부위에 주입 시, 낮은 재생 활성을 갖는 연골의 재생에 유효한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천연물질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자연연골과 유사한 조직공학적 연골을 재생하여 손상된 연골조직을 효과적으로 수복할 수 있는 연골 체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험예 1의 각 구성에 따른 조성물의 비드 형태를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실험예 2의 각 구성에 따른 조성물의 비드 형태를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실험예 3의 각 구성에 따른 조성물의 비드 형태를 확인한 도이다.
본 발명은 피브리노겐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제1조성물; 및 연골세포 및 트롬빈을 포함하는 제2조성물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연골은 연골세포와 그것을 둘러싸는 다량의 기질로 된 뼈로 이것에 대해 보통 말하는 뼈는 경골이다. 기질의 구성성분에 따라 초자연골, 탄성연골, 섬유연골로 나눈다. 연골의 작용에는 관절의 골단을 덮는 관절연골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골단의 마찰을 방지하는 외에 기관, 귓바퀴와 같이 탄력을 유지하거나, 늑연골, 치골결합 연골과 같이 압력에 대한 저항력을 주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초자연골에서는 기질이 반투명하고, 언뜻 보아 균일하며 무구조로 보이나 수분이 많고(60 ~ 80%), 황산콘드로이틴을 가지는 복합단백질(무코이드)을 포함하며, 늑연골, 비연골, 후두연골, 관절연골, 기관연골 등이 속한다. 탄성연골은 기질 중에 탄성섬유가 들어 있어 쉽게 만곡되며, 귓바퀴 연골, 외이도, 후두개 등이 속한다. 섬유연골에는 많은 교원질섬유가 들어 있어, 추간원판연골, 치골결합연골, 관절원판(악관절, 흉쇄관절에 있음) 등이 속한다.
이러한 연골조직이 손상될 경우 스스로 회복 및 재생이 매우 제한되며, 의학적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 관절연골인 초자연골을 자연과 같은 상태로 회복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상기 조성물은 생체 적합성 물질로서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생체적합성은 생체조직 또는 혈액과 접촉하여 조직을 괴사시키거나 혈액을 응고시키지 않는 조직적합성 및 혈액적합성을 의미하며, 생체적합성 고분자란 이러한 생체적합성을 갖추고 있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가교활성 촉매제로서 트롬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피브리노겐은 응고인자 역할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트롬빈은 혈액 응고에 관계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일종으로, 혈장 속에서는 프로트롬빈으로 존재하며, 출혈 시에 혈소판이 파괴되어 트롬보플라스틴이 혈장 중에 나오면 혈액의 칼슘이온의 존재 하에 활성화되어 트롬빈이 된다. 또한, 혈액 응고의 본질인 혈액 속의 가용성 피브리노겐을 가수분해하여 불용성인 피브린으로 변화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 피브리노겐에 대한 기질 특이성이 매우 높고 피브리노겐의 4개의 펩티드 결합을 자르는데, 그 곳은 아르지닌과 글리신 잔기 사이이다. 최적 pH는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 부근이다. 주성분은 단백질로 최소분자량은 8,000이며 중합하기 쉬운 성질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관절경은 관절강내의 변화를 직접 관찰하거나 사진으로 촬영하는 장치로서, 약간 굵은 천자침에 전구와 반사경을 장치하여 관절강 내에 꽂아넣고 전기조명에 의하여 반사경을 통해 관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 상, 관절경을 수행 시, 골조직의 손상 부위를 관찰하면서 본 발명의 조성물 손상 부위에 주입하면 정확하게 주입 가능하고, 이식물이 관절내에 잘 머물러 효과적으로 손상 부위의 연골 조직을 재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브리노겐 및 콜라겐은 각각 7:3 ~ 9:1의 혼합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2의 혼합비율일 수 있다.
또한, 연골세포 및 트롬빈은 각각 7:3 ~ 9:1의 혼합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2의 혼합비율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항균성 부여를 위해 항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항생제는 당업계에 세균의 생육과 활성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암피실린(ampicillin), 젠타마이신(gentamicin), 메틸파라벤(methyl paraben), 에틸파라벤(ethyl paraben), 페니실린(penicillin),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모노박탐(monobactam), 카바페넴(carbapenem),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 마크롤라이드(macrolide),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클로르암페니콜(chloramphnicol), 퀴놀론(quinolone), 반코마이신(vancomycin),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 린코사미드(lincosamide),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설폰아미드(sulfonamide), 트리메소프림(trimethoprim) 및 이들의 염이 포함되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항생제는 각 항생제가 표적으로 하는 세균의 생육 및 활성을 저지하거나 억제하는데 최적으로 알려진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피브리노겐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제1조성물을 제조하고, 연골세포 및 트롬빈을 포함하는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을 혼합하고 골 또는 연골 손상 조직부위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브리노겐 및 콜라겐은 각각 7:3 ~ 9:1의 혼합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2의 혼합비율일 수 있다.
또한, 연골세포 및 트롬빈은 각각 7:3 ~ 9:1의 혼합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2의 혼합비율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0.5~20분간 겔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10분간 겔화시키는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피브리노겐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제1조성물; 및 연골세포 및 트롬빈을 포함하는 제2조성물을 포함하는 연골 손상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손상 치료용 조성물은 두개안면, 귓바퀴, 코, 관절 등의 외상, 선천기형, 이물 제거부, 노화에 따른 변성 등에 의해 발생된 연골 결손부의 수복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조직의 손상 부위, 특히 낮은 재생 활성을 갖는 연골을 효과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으며, 천연물질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자연 연골과 유사한 조직공학적 연골을 재생하여 손상된 연골조직을 효과적으로 수복할 수 있는 연골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관절 내시경 시술에 적용 가능한 생체 재료와 연골세포의 혼합방법
본 발명자들은 관절 내시경 시술 시에 수술부위에 잘 고정, 적용이 되는 조성비를 도출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구성을 달리한 재료들을 혼합하여 관절 내시경 시술에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그린 플라스트큐(Greenplast Q)에 트롬빈과 피브리노겐을 각각 주입한 후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의 혼합 비율에 알맞은 트롬빈, TGF-β1 유전자 도입 연골 세포(Invossa-K Inj, 코오롱 생명과학) 및 콜라겐을 각각 준비하였다. 3way를 이용하여 혼합하였으며, 실린지에 장착 후 Y자 관과 니들(needle)을 실린지의 연결부위에 고정하여 관절경 시술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세팅하였으며, 도 1 및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비율을 달리한 조성물을 시험관에 떨어뜨려 비드의 농도 및 굳기를 확인하였다.
제1조성물 제2조성물
실험예1 구성 1 피브리노겐 1㎖ 연골세포 0.9㎖ + 트롬빈 0.1㎖
구성 2 피브리노겐 1㎖ 연골세포 0.8㎖ + 트롬빈 0.2㎖
구성 3 피브리노겐 1㎖ 연골세포 0.7㎖ + 트롬빈 0.3㎖
구성 4 피브리노겐 1㎖ 연골세포 0.6㎖ + 트롬빈 0.4㎖
구성 5 피브리노겐 1㎖ 연골세포 0.5㎖ + 트롬빈 0.5㎖
실험예2 구성 1 피브리노겐 0.8㎖ + 연골세포 0.2㎖ 연골세포 0.8㎖ + 트롬빈 0.2㎖
구성 2 피브리노겐 0.7㎖ + 연골세포 0.3㎖ 연골세포 0.8㎖ + 트롬빈 0.2㎖
구성 3 피브리노겐 0.6㎖ + 연골세포 0.4㎖ 연골세포 0.8㎖ + 트롬빈 0.2㎖
실험예3 구성 1 피브리노겐 0.8㎖ + 콜라겐 0.2㎖ 연골세포 0.8㎖ + 트롬빈 0.2㎖
구성 2 피브리노겐 0.7㎖ + 콜라겐 0.3㎖ 연골세포 0.8㎖ + 트롬빈 0.2㎖
실험예 1에 따른 관절 내시경 시술에 적용 가능한 생체 재료와 연골세포의 최적 조성비 확인
관절경 수술 시 조작과 유지가 용이한 연골재생용 조성물의 최적 혼합비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표 1의 각 구성에 따라, 제1조성물로서 피브리노겐을, 제2조성물로서 연골 세포 및 트롬빈을 혼합하였다. 그 후,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을 혼합하여 비드의 형태 및 굳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구성 1의 비율로 혼합된 조성물의 비드는 형태를 유지하지 않고 그 모양이 무너지고 흘러내렸다. 또한, 구성 4, 5의 비드는 빠른 시간에 형태를 유지하였으나 압력을 가했을 때 모양이 변형되어 연골 재생용 조성물로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구성 2, 3의 비드는 형태를 구성함에 있어서 흘러내리거나 빠르게 굳지 않는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험예 1을 통하여, 구성 2, 3의 조성물이 가장 용이함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의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연골 세포가 0.7~0.8㎖ 가 포함되는 비율로 구성을 해야 비드의 형태를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에 따른 관절 내시경 시술에 적용 가능한 생체 재료와 연골세포의 최적 조성비 확인
관절경 수술 시 조작과 유지가 용이한 연골재생용 조성물의 최적 혼합비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표 1의 각 구성에 따라, 제1조성물로서 피브리노겐 및 연골세포를 혼합하고, 제2조성물로서 연골 세포 및 트롬빈을 각 비율로 혼합하였다. 그 후,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을 30회 이상 믹싱하였으며, 이 후 비드의 형태 및 굳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구성 3의 비율로 혼합된 조성물은 비드의 형태를 제대로 유지하지 못하고 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성 1의 비율로 혼합된 비드는 제1조성물과 제2조성물이 혼합되면서 비교적 비드의 형태유지에 있어서 좋았으나 전반적으로 굳기가 늦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구성 2, 3의 비율로 혼합된 조성물에서도 비드의 형태는 유지되었지만 빠르게 굳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 2는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세포를 이식물에 삽입하고자 실험한 것으로 피브리노겐에 세포를 추가하는 것은 관절경하 이식을 위해서는 적합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에 따른 관절 내시경 시술에 적용 가능한 생체 재료와 연골세포의 최적 조성비 확인
관절경 수술 시 조작과 유지가 용이한 연골재생용 조성물의 최적 혼합비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표 1의 각 구성에 따라, 제1조성물로서 피브리노겐 및 콜라겐을 혼합하였다. 또한, 제2조성물로서 연골 세포 및 트롬빈을 위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그 후,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을 30회 이상 믹싱하였으며, 비드의 형태 및 굳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구성 1, 2의 비율로 혼합된 조성물은 비드의 형태가 제대로 형성되면서 압력을 가하여도 퍼지지 않고 흘러내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중 구성 1이 구성 2보다 조금 더 비즈의 굳기가 단단하고 형태가 변형되지 않았다.
또한 구성 2의 비율로 혼합된 조성물도 비드의 형태가 제대로 형성되었으나, 압력을 가하였을 때 형태가 약간 변형되고 재료가 새어 나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구성 1의 조성물인 콜라겐 0.2㎖ + 피브리노겐 0.8㎖ / 연골세포 0.8㎖ + 트롬빈 0.2㎖ 혼합하였을 때 가장 최적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Claims (6)

  1. 피브리노겐 및 콜라겐이 생체 내에 혼합되는 제1조성물; 및
    TGF-β1 유전자 도입된 연골세포 및 트롬빈이 생체 내에 혼합되는 제2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조성물과 제 2조성물은 1:1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인,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관절경 수술 또는 시술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관절경하 부위에 주사제로 투여되는 것인,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4. (a) 피브리노겐 및 콜라겐이 생체 내에 혼합되는 제1조성물을 제조하고, TGF-β1 유전자 도입된 연골세포 및 트롬빈이 생체 내에 혼합되는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을 혼합하고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골 또는 연골 손상 조직부위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 방법으로서,
    상기 제 1조성물과 제 2조성물은 1:1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0.5~20분간 겔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 방법.
  6. (a) 피브리노겐 및 콜라겐이 생체 내에 혼합되는 제1조성물을 제조하고, TGF-β1 유전자 도입된 연골세포 및 트롬빈이 생체 내에 혼합되는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 1조성물과 제 2조성물은 1:1부피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20059680A 2018-01-30 2022-05-16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KR10252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680A KR102520363B1 (ko) 2018-01-30 2022-05-16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89A KR20190092059A (ko) 2018-01-30 2018-01-30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KR1020220059680A KR102520363B1 (ko) 2018-01-30 2022-05-16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389A Division KR20190092059A (ko) 2018-01-30 2018-01-30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810A true KR20220072810A (ko) 2022-06-02
KR102520363B1 KR102520363B1 (ko) 2023-04-11

Family

ID=676216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389A KR20190092059A (ko) 2018-01-30 2018-01-30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KR1020220059680A KR102520363B1 (ko) 2018-01-30 2022-05-16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389A KR20190092059A (ko) 2018-01-30 2018-01-30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920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121B1 (ko) * 2020-06-26 2021-07-06 주식회사 덴하우스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
WO2022092515A1 (ko) * 2020-10-29 2022-05-05 주식회사 덴하우스 동결건조된 콜라겐 스펀지 타입 골 재생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068A (ko) * 2003-12-23 2005-06-29 주식회사 셀론텍 연골치료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KR20060054236A (ko) 2006-02-22 2006-05-22 박사룡 개량된 재밀폐가능한 지퍼 스트립
KR20070010990A (ko) * 2005-07-20 2007-01-24 세원셀론텍(주) 주입형 연골세포치료제의 이식방법
KR20090111843A (ko) * 2007-01-18 2009-10-27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Tgf-베타의 제어 방출용 피브린 겔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068A (ko) * 2003-12-23 2005-06-29 주식회사 셀론텍 연골치료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KR20070010990A (ko) * 2005-07-20 2007-01-24 세원셀론텍(주) 주입형 연골세포치료제의 이식방법
KR20060054236A (ko) 2006-02-22 2006-05-22 박사룡 개량된 재밀폐가능한 지퍼 스트립
KR20090111843A (ko) * 2007-01-18 2009-10-27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Tgf-베타의 제어 방출용 피브린 겔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363B1 (ko) 2023-04-11
KR20190092059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363B1 (ko)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CA2912930C (en)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cartilage disease
KR100531922B1 (ko) 연골치료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US20090181892A1 (en) Methods and kits for treating joints and soft tissues
JP5739894B2 (ja) 軟骨組織修復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181092A1 (en) Methods for Treating Joints and Discs with a Carrier Matrix and Cells
US20190184061A1 (en)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and preparing thereof
US20090181093A1 (en) Methods for treating soft tissue damage associated with a surgical procedure
Shetty et al. Autologous bone-marrow mesenchymal cell induced chondrogenesis: single-stage arthroscopic cartilage repair
RU2593011C1 (ru) Биотрансплантат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дефектов хрящевой ткани суставов
Filová et al. Composite hyaluronate-type I collagen-fibrin scaffold in the therapy of osteochondral defects in miniature pigs
EP1987804B1 (en) Implantable system for an intervertebral disc and intervertebral disc implant
KR20160129108A (ko)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
CN101048190A (zh) 在脊柱应用中注射使用重构组分的纤维蛋白封闭剂
AU2013342255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suitable for improved reattachment of detached cartilage to subchondral bone
Ko et al. Cartilage regeneration using a fibrin and autologous cultured chondrocytes mixture in a canine model
Wood et al. Matrix-induced 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US20140099694A1 (en) Method for obtaining a tissue-engineering product for regeneration of cartilaginous tissue
AU2013204006B2 (en)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cartilage disease
Zadeh Freeze-Dried Chitosan Platelet-Rich Plasma Mixtures for Knee Meniscus Repair
Griffin et al. Update into articular cartilage tissue engineering
Wennink et al. Injectable Hydrogels for Articular Cartilage Tissue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