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121B1 -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 - Google Patents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121B1
KR102273121B1 KR1020200078166A KR20200078166A KR102273121B1 KR 102273121 B1 KR102273121 B1 KR 102273121B1 KR 1020200078166 A KR1020200078166 A KR 1020200078166A KR 20200078166 A KR20200078166 A KR 20200078166A KR 102273121 B1 KR102273121 B1 KR 102273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bone marrow
lidocaine
osteonecrosis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하우스
Priority to KR1020200078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121B1/ko
Priority to PCT/KR2021/008010 priority patent/WO2021261954A1/ko
Priority to US18/003,073 priority patent/US2023033862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03Bones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4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17Bone stimulation by chemical reactions or by osteogenic or biological products for enhancing ossification, e.g. by bone morphogenetic or morphogenic proteins [BMP] or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s [TG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35Bone graft implants for filling a bony defect or an endoprosthesis cavity, e.g. by synthetic material or biologic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52Polypeptides, proteins, e.g. glycoproteins, lipoproteins, cytokines
    • A61L2300/254Enzymes, pro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2Anaestetics, analgesics, e.g. lid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화 콜라겐 6%(w/v) 1cc; 트롬빈 5000 unit; 및 에피네프린의 함량이 리도카인 대비 1:100,000(v/v)인 리도카인과 에피네프린 혼합용액 0.5 ml를 포함하며 골수 내부에 주사되어 작용하는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골수 내의 미분화 세포를 활성화할 뿐 아니라 파골세포와 골모세포의 활성과 분화를 통하여 골수 내부의 골 재생 능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약물성 악골 괴사증(MRONJ)을 골수 활성화 치료법을 통하여 성공적인 치료를 하는 방법될 수 있으며 향후 골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 등의 골수 활성 인자를 이용하여 골수 활성화 치료법을 통하여 약물성 골 괴사증의 근본적 원인 치료를 개발하고 심미적 기능적 악골 상태를 완벽하게 재생할 수 있어 골재형성 부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Injectable composition for bone regeneration}
본 발명은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골수 내의 미분화 세포를 활성화할 뿐 아니라 파골세포와 골모세포의 활성과 분화를 통하여 골수 내부의 골 재생 능을 활성화 가능한 주입형 골 재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과영역에서 뼈에 관한 임상적 지식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고 분자생물학적 발전과 함께 조직공학적인 뼈 재생분야의 발전으로 인하여 획기적인 치료법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골다공증 치료제 및 항혈관화 약품, 스테로이드 계열의 면역 억제재, 고지혈증 치료제 등이 광범위하게 장기적으로 사용됨으로써 골 괴사증이나 골수염 등의 다양한 난치성 질환이 발견되고 있어 치료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003년도 알렌드로네이트 주사제에 의한 골 괴사증이 Marx에 의해 처음 발견된 이래 (Marx RE (September 2003). “Pamidronate (Aredia) and zoledronate (Zometa) induced avascular necrosis of the jaws: a growing epidemic” J. Oral Maxillofac. Surg. 61 (9): 1115-7) 국내에서도 2005년도 이후에 골다공증 치료제인 bisphosphonate 계열의 약물성 골 괴사증이 발견되었지만 골수염의 한 종류로 오인하게 되고 골수염치료방식으로 치료를 했으나, 지속적인 골수염증상이나 골 괴사증이 발생함으로써 커다란 부분까지 침범하게 되는 부작용과 합병증이 발생하게 되었다.
2005년도 당시에는 골수염증상으로 오인한 bisphosphonate계열 약물인 악토넬 주사제를 투여하고 있던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증례(case Presentation 1-1) 턱의 골 괴사 또는 뼈 조직의 국소적인 괴사증은 방사선, 화학 요법 또는 종양 또는 전염성 색전증 환자의 치료를 받는 암 환자에서 드문 잠재적인 합병증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003년에 비스포스포네이트 정맥 투여와 병행 치료를 받는 환자의 골 괴사의 위험이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었다.
Matrix metalloproteinase 2는 턱뼈의 비스포스포네이트 관련 골 괴사에 대한 후보 유전자가 될 수 있는데, 뼈의 이상 및 심방세동과 관련된 유일한 유전자이기 때문에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또 다른 부작용이 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미국 식품 의약 품안전청(FDA)은 2005년에 모든 비스포스포네이트의 골 괴사 합병증에 대한 광범위한 의약품 경고를 발표했다.
2007년도 이후 Marx에 의한 광범위한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의 다기관 검사를 통해서 광범위한 골 괴사증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리게 되었다. 국내에서도 2007년도 골 괴사증의 발생을 보고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약물성 골 괴사증에 대한 원리나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으며 특히, 골 생물학의 발전이 대부분 osteoblast 골모세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최근 밝혀진 골 괴사증의 원인은 파골세포인 osteoclast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함으로써 골 재생능력을 가진 골모세포의 화학성 이주나 분화를 하지 못하게 되는 연관된 현상 때문으로 인지하게 되었다. 그래서 골 재생의 가장 중추적인 역할이 골모세포의 숫자적인 증가보다는 파골세포의 활성도가 골 재생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뼈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로는 골모세포 Osteoblast, 골세포 osteocyte, 파골세포 osteoclast로 구성되어 있는데, 뼈에 대한 생리학이나 생물학을 연구하는 분야 중 2000년 이후 stem cell(줄기세포)나 미분화세포들을 이용한 골모세포(osteoblast)와 골세포(osteocyte)의 숫자를 늘리고 뼈의 생성비율을 높이는데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특히, 치과 임플란트분야의 골 이식은 골세포를 증가시킬수 있는 뼈 재료의 관심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뼈 재료들은 골전도(osteoconduction)에 주요한 관심으로 집중되었고 골다공증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질환에 대한 뼈의 치료는 파골세포(osteoclast) 수 억제나 작용 억제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그러한 치료방법이 골다공증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등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동조를 받아 왔다.
2010년도 이후 뼈 생물학이나 골 이식학, 골 치유 연구를 하는 기초와 임상가 모두에게서 골세포나 파골세포의 수가 증가하고 감소하는 것만으로는 골 치유 또는 골 이식의 성공률을 높이는 방안이 아님을 증명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골다공증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bisphosphonate 계열의 약물의 부작용이 광범위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과 류마티스 관절염 약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 steoriod, 비 마약성 진통계 등이 골 괴사증과 골면역을 감소시키는 부작용을 유발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새로운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확산되고 있다.
뼈는 단백질과 광물의 복합조직으로 지속적인 리모델링을 한다. 뼈가 성장하고 손상을 치료하고 칼슘 및 인산염 대사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리모델링 과정에서 뼈를 흡수하는 파골세포와 골흡수성 물질, 뼈를 형성하는 골아세포(osteoblast)는 뼈를 형성하는 기본 다세포 단위로 인식하고 있다.
파골세포는 골세포에 의해 제공되는 cytokines인 MCSF(대식세포 식민지 자극인자)와 NF NF - κB 리간드 (RANKL)의 수용체 활성제의 영향하에 골수 전구 물질과 차별화된 multinucleated 거대 세포이다. 파골 세포는 단백질 분해 효소 (예, 카텝신 K) 및 산을 가수 분해 및 뼈의 유기 및 무기 성분을 각각 용해시킨다.
파골세포와 골모세포간의 커플링이 깨질 경우 재흡수와 형성 사이의 섬세한 균형이 상실되게 되면 뼈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골다공증 환자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bisphosphonate계열의 약물에서 부작용으로 다수 보고되고 있다. 재흡수 기전을 감소시켜서 골감소를 유도함으로서 골다공증을 치유하겠다는 기전에서 출발했던 bisphosphonate 계열의 약물인 악토넬, 본비바 등의 약물들은 파골세포와 골모세포 간의 커플링 네트워크 관계를 파괴함으로써 골 재생의 메카니즘을 불능의 상태로 만들게 되었다.
턱 골 괴사증(ONJ)은 턱뼈의 노출을 수반하는 구강 질환이다. 어떠한 증상도 경험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긴 하지만, 턱 골 괴사증은 보통 통증을 수반하고 고름이 배출될 수 있다.
이 질환은 자연적으로 또는 발치, 외상 또는 머리와 목에 대한 방사선 요법(이 경우 이 질환을 방사선 골 괴사라고 함) 후 발생할 수 있다.
턱 골 괴사증은 실제로 뼈 감염(골수염)으로 골 괴사증이 아닐 수 있다. 턱 골 괴사증은 최근 고용량의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정맥으로 투여받은 사람들, 특히 암을 앓고 있거나 이 약물을 투여받는 동안 구강수술을 받은 사람들에서 관찰된다.
턱 골 괴사증은 골다공증 치료제로 경구 복용한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일상적인 사용과 관련이 없다라는 보고도 있지만 최근에는 장기복용을 3년 이상 시행했을 경우에는 골 괴사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파골세포의 기능이상으로 발생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바 있다.
국내에서는 약물성 골 괴사증의 대표적인 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jaws(BRONJ)의 유병률은 3년 이상 bisphosphonate를 복용하거나 1년 이상 주사제를 투여받은 환자에게서 2-10% 내외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약물의 복합투여가 더욱 증폭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관절염치료제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과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의 약물을 복합 투여하거나 고지혈증치료제와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의 약물을 동시 투여받는 경우에는 골 괴사증의 유병률을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치과 임상에서 약물복용 여부와 성분에 분석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뼈는 파고와 형성에 의해 항상 새롭게 다시 태어나게 되는데, 우리 인체를 지탱하는 뼈는 칼슘 등의 미네랄을 보관하는 장소이기도 하며, 뼈를 새롭게 다시 만들 수 있는 경우 낡은 뼈가 파골세포에 의해 파괴되어야 한다.
파골세포를 제 역할을 하지 못할 경우, IL-1, IL-6과 같은 인터루킨의 분비가 이루어지지 않고 이러한 인터루킨의 골모세포 분화와 재생에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골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골모세포가 파골세포를 기르기 위해 필요한 분자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lcear Factor kappa-B ligand)을 강력하게 발현하고 있어 RANKL을 제거한 골모세포를 가진 마우스(mouse)에서 파골세포가 자라지 않아서 심각한 대리석 골병(marble bone disease)이 발병한다는 사실도 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4265호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92056호
따라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골수 내의 미분화 세포를 활성화할 뿐 아니라 파골세포와 골모세포의 활성과 분화를 통하여 골수 내부의 골 재생 능을 활성화 가능한 주입형 골 재생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화 콜라겐 6%(w/v) 1cc;
트롬빈 5000 unit; 및
에피네프린의 함량이 리도카인 대비 1:100,000(v/v)인 리도카인과 에피네프린 혼합용액 0.5 ml
를 포함하며 골수 내부에 주사되어 작용하는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골수 내의 미분화 세포를 활성화할 뿐 아니라 파골세포와 골모세포의 활성과 분화를 통하여 골수 내부의 골 재생 능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약물성 악골 괴사증(MRONJ)을 골수 활성화 치료법을 통하여 성공적인 치료를 하는 방법될 수 있으며 향후 골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 등의 골수 활성 인자를 이용하여 골수 활성화 치료법을 통하여 약물성 골 괴사증의 근본적 원인 치료를 개발하고 심미적 기능적 악골 상태를 완벽하게 재생할 수 있어 골재형성 부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하악 피부에 누공이 형성되어 있고 농이 배출되고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 사진.
도 2: 우측 하악부위의 골수의 골 괴사증양상을 보이는 방사선투과상과 불투과상이 골 괴사증 경계부에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파노라마사진.
도 3: 구내로 농이 배출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사진.
도 4: 치조골능을 제거하고 골수 내부로 접근하여 괴사성 골수를 제거하고 있는 모습.
도 5: 협측 피질골과 설측 피질골에 피질골 천공을 통해서 골수내부로의 혈액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골수 내부에는 골수 활성화 치료성분(OSSCORE LMT collagen scaffold)을 채운 사진.
도 6: 연속 잠금 봉합과 단속봉합을 혼용하여 골수부위와 골수 활성화 미계체가 노출되지 않도록 봉합한 사진.
도 7a: 수술 후 6개월 뒤의 안모사진으로 우측 하악 부위의 피부 누공이 사라진 상태를 볼 수 있는 사진.
도 7-b: 수술 후 6개월 뒤 구내 소견으로 구강 내의 농 배출이 전혀 없으며 봉합 부위의 일차적인 봉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관찰할 수 있는 사진.
도 7c는 수술 전 cone beam 3D CT와 수술 후 6개월 뒤 cone beam 3D CT 사진.
도 8a, 8b. 8c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다른 증례의 환자 치료 과정에 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수화 콜라겐; 및 리도카인(lidocaine)과 에피네프린(epinephrine)과 트롬빈의 혼합용액을 포함하는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트롬빈은 PAR-1(protease-activated receptor-1)을 활성화하여 골모세포 사멸화(apoptosis)를 저해하면서 증식을 촉진하게 된다. 이러한 촉진 현상은 골모세포를 이용한 콜라겐 분비와 RANKL의 저해시키는 OPG(Osteoprotegerin)작용을 하게 된다. 트롬빈은 골 재생의 초기 역할을 하면서 골모세포의 분화와 파골세포의 저해현상을 초기에 나타내게 한다. 골수 활성화 비계체인 리도카인-트롬빈-콜라겐이 적절하게 혼합되어 있을 경우 초기 동통이나 염증 유발을 감소시켜주며 혈관화를 유도하게 되고 이러한 혈관화를 통해서 미분화 줄기세포의 이동을 적극적으로 자극하게 된다.
상기 리도카인은 1943년 스웨덴의 화학자 닐스 뢰프그렌(Nils Lfgren)과 룬드 비스트(Bengt Lundqvist)가 개발한 아미드형 국소마취제이다. 국소마취 작용이 가장 강하다고 하는 테트라카인보다 작용이나 지속시간 측면으로 조금 뒤떨어진다. 그러나 테트라카인보다 독성이 약하고 충분한 약효를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국소마취에 사용하기 쉬운 국소마취제이다. 마취부 주위의 혈관을 수축시켜, 소량의 마취제로 지속적인 효과를 얻고 지혈작용에 의해 수술 중 출혈을 억제하기 위해서 에피네프린을 첨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지용성 단백질 결합능이 높고 지속시간이 길기 때문에 rhBMP-2와 collagen 단백질과도 잘 용해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용매제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트롬빈에 의해 발생되는 초기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 함께 서방형 형태의 비계체를 구성하는데 이온결합을 통해 서방형 제재 형태로 캡슐 약물화를 유도할 수 있다. 리도카인을 용매로서 사용되는 경우, 임상에서 다양한 잇점이 있다.
첫째는 염증성 증상으로 인한 동통이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둘째로는 리도카인 용매로 녹인 약물의 분비가 서서히 분비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에피네프린의 함유 리도카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1시간 30분간의 최대 분비되는 시간에 주변조직으로 흡수되는 양을 줄일수 있다.
세 번째로는 산성도를 띄고 있는 콜라겐 용액을 중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전체적으로 결정체를 가지는 강도가 증가한 덩어리형태로 굳는 형태로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세 가지 역할과 장점을 통해 LT collagen의 scaffold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골수 활성화 비계체의 성분으로 트롬빈과 리도카인이 초기 2시간 이내에 트롬빈과 리도카인 혼합체를 이식했을 때 골수 내부의 출혈이 감소하게 되고 최소한의 부종을 보이는 골 치유 과정을 가지게 된다.
트롬빈을 이용한 골 이식의 지속적인 개발과제가 이루어짐으로써 골질의 초기 과정과 트롬빈의 다양한 골 재생 능력을 이용한 주입형 골 재생 조성물을 유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콜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화 콜라겐의 콜라겐 함량은 3~6%(w/v)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콜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액의 리도카인의 함량은 1~3% (w/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콜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액의 에피네프린의 함량은 리도카인 대비 1:50,000~200,000(v/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콜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액의 트롬빈의 함량은 1~3% (w/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콜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화 콜라겐과 상기 리도카인(lidocaine) 에피네프린(epinephrine), 트롬빈의 혼합용액의 비율이 1:0.3 내지 1.7(w/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함유 비율들은 본 발명의 발명자들의 다양한 시험과 경험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 본 발명의 최상의 효과를 내기 위한 최적의 비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골수 내의 미분화 세포를 활성화할 뿐 아니라 파골세포와 골모세포의 활성과 분화를 통하여 골수 내부의 골 재생 능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약물성 악골 괴사증(MRONJ)을 골수 활성화 치료법을 통하여 성공적인 치료를 하는 방법이 될 수 있으며 향후 골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 등의 골수 활성 인자를 이용하여 골수 활성화 치료법을 통하여 약물성 골 괴사증의 근본적 원인 치료를 개발하고 심미적 기능적 악골 상태를 완벽하게 재생할 수 있는데 이를 하기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증례 환자들과 치료방법>
증례 1.
56세 남성으로 다발성 골수종으로 항암치료와 악골전이를 방지하기 위한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의 악토넬을 3년동안 주사제로 치료받았다. 1년 전부터 우측 하악의 통증과 구내에 노란 농이 배출되면서 피부에 누공과 함께 농이 배출되는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관련 병원의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지속적인 소독과 배농을 시행하였으나 지속적으로 농이 배출되고 동통을 호소하고 있다(도 1 참조).
5번의 국소마취하에 배농 치료와 함께 골 괴사 조직을 제거하였으며 일차봉합을 통하여 치료를 진행하였으나 피부 누공과 구내 농 배출이 지속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미국구강악안면외과학회의 약물성 악골 괴사증 분류에 기준에 따르면 제3기 Stage III 단계로 진단이 되며 골 괴사증과 골수염적인 농이 골수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것을 파노라마와 콘빔 CT를 통해서 확인 가능하였다(도 2 참조).
또한, 도 3을 통해 구내로 농이 배출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치료방법
치조골능(alveolar crest)에 절개를 시행하고 협측 피질골과 설측 피질골을 최대한 남겨두면서 치조골 능을 제거하면서 골수에 접근하면서 괴사성 골을 둥근 형태의 버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골수의 최대한 깊은 부위까지 제거를 시행한다. 협측 피질골, 설측 피질골, 하악이나 상악의 저벽에 존재하는 피질골을 남겨둔 후 골수 내부의 골 괴사 조직을 제거한다. 협 측피질골과 설측 피질골에는 각각 천공을 4-5개 이상을 치아 위치별로 뚫어서 골수 내부로 혈액이 차오를수 있도록 피질골 천공을 시행한다(도 4 참조).
협측 피질골과 설측 피질골을 유지하면서 치조골능 부위를 제거하고 골수로 접근하고 있는 모습으로 괴사성 골수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면서 하치조 신경관까지 접근하여 하치조 신경관을 보호하면서 골수조직을 제거한다.
치료제의 구성은 트롬빈(이연트롬빈동결건조분말-이연제약 5000 unit, 소혈장에서 추출하여 독일에서 수입한 의약품제품), 리도카인(에피네프린 1:100,000함유 1.8ml 중 0.5 ml를 사용), 수화 콜라겐 6% 1cc (OSSCORE 덴하우스)등을 혼합하여 1.5 ml의 콜라겐-트롬빈-리도카인 복합 혼합제(OSSCORE LMT collagen scaffold, Lidocaine-Maltodextrin-Thrombin collagen)를 만들어서 주사기 형태로 제거된 골수 결손부위를 채우고 플러그형태의 콜라겐에 LT soluton(Lidocaine-Thrombin)을 뿌려서 골수의 넓은 부피를 모두 채우게 한다(도 5 참조).
즉 협측 피질골과 설측 피질골에 피질골 천공을 통해서 골수 내부로의 혈액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골수 내부에는 골수 활성화 치료성분(OSSCORE LMT collagen scaffold)을 채우고 피질골 상방에는 흡수성 콜라겐 막을 Lidocaine-Thrombin solution을 적셔서 골막주변에 이장하는 방법으로 골수 활성화 성분을 보호하였다.
골수 활성화 비계체를 채우고 난 다음 절개부위는 연속 잠금 봉합과 단속봉합을 혼용하여 골수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봉합을 하였다(도 6 참조). 흡수성 vicryle 4-0계열의 봉사를 이용하여 봉합을 시행하고 2주 이상 유지하도록 하였다.
환자는 페니실린계 항생제와 클란다마이신 계열의 항생제를 병용투여하였으며 수술 후 7일간 유지하였다. 2주 이상이 지난 후 느슨한 부위의 봉합사만을 제거하는 수준에서 점막부위가 완전히 봉합되기까지 연저작 음식을 섭취하도록 하고 틀니를 제거하지 않도록 하였다. 환자는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단위로 지속적인 검진을 받았으면 5년 동안 재발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다(도 7-a, b. c 참조).
도 7a는 수술 후 6개월 뒤의 안모사진으로 우측 하악 부위의 피부 누공이 사라진 상태를 볼 수 있으며, 도 7-b는 수술 후 6개월 뒤 구내 소견으로 구강 내의 농배출이 전혀 없으며 봉합부위의 일차적인 봉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도 7c는 수술 전 cone beam 3D CT와 수술 후 6개월 뒤 cone beam 3D CT로 수술 과정의 성공은 임상 관찰과 방사선학적인 관찰을 통해서 확인하였으며 골수 괴사성 조직을 제거하고 골수 활성화 치료법을 통하여 완전히 골수와 피질골 재생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치료 과정에 유사한 다른 환자에 대한 도면을 8a, 8b 및 8c로 제공하여 이 실시예에 의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수화 콜라겐 6%(w/v) 1cc;
    트롬빈 5000 unit; 및
    에피네프린의 함량이 리도카인 대비 1:100,000(v/v)인 리도카인과 에피네프린 혼합용액 0.5 ml
    를 포함하며 골수 내부에 주사되어 작용하는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78166A 2020-06-26 2020-06-26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 KR102273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166A KR102273121B1 (ko) 2020-06-26 2020-06-26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
PCT/KR2021/008010 WO2021261954A1 (ko) 2020-06-26 2021-06-25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
US18/003,073 US20230338620A1 (en) 2020-06-26 2021-06-25 Injectable composition for bone regen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166A KR102273121B1 (ko) 2020-06-26 2020-06-26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121B1 true KR102273121B1 (ko) 2021-07-06

Family

ID=7686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166A KR102273121B1 (ko) 2020-06-26 2020-06-26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38620A1 (ko)
KR (1) KR102273121B1 (ko)
WO (1) WO202126195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515A1 (ko) * 2020-10-29 2022-05-05 주식회사 덴하우스 동결건조된 콜라겐 스펀지 타입 골 재생용 조성물
KR102565364B1 (ko) 2023-04-04 2023-08-09 김재열 자가골 회복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서방성 국소 약물전달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3191176A1 (ko) * 2022-03-28 2023-10-05 주식회사 덴하우스 골 재생용 조성물 및 투여 제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237A (ja) * 2001-08-15 2003-02-26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骨再生促進剤
KR100894265B1 (ko) 2007-06-05 2009-04-2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골형성 촉진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입형 골재생재
KR100932945B1 (ko) * 2009-01-16 2009-12-2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골 분말과 피브린 글루로 이루어진 고형의 스캐폴드
KR20100092056A (ko) 2002-11-27 2010-08-1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중합체 필름 연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90481A (ko) * 2013-01-09 2014-07-1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피브리노겐, 아프로티닌, 리도카인, 에피네프린 및 콜라겐 막을 포함하는 서방성 국소 약물전달체,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골병증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0092A (ko) * 2017-06-22 2019-01-02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날씨 상태에 기반한 영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영화 추천 서버, 그리고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20190092059A (ko) * 2018-01-30 2019-08-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180A (ko) * 2008-07-11 2010-01-22 세원셀론텍(주) 뼈 재생용 콜라겐 젤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85896B1 (ko) * 2012-04-13 2018-08-08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인체뼈 유래 무기질을 포함하는 천연 골재생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237A (ja) * 2001-08-15 2003-02-26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骨再生促進剤
KR20100092056A (ko) 2002-11-27 2010-08-1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중합체 필름 연신 방법 및 장치
KR100894265B1 (ko) 2007-06-05 2009-04-2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골형성 촉진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입형 골재생재
KR100932945B1 (ko) * 2009-01-16 2009-12-2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골 분말과 피브린 글루로 이루어진 고형의 스캐폴드
KR20140090481A (ko) * 2013-01-09 2014-07-1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피브리노겐, 아프로티닌, 리도카인, 에피네프린 및 콜라겐 막을 포함하는 서방성 국소 약물전달체,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골병증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0092A (ko) * 2017-06-22 2019-01-02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날씨 상태에 기반한 영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영화 추천 서버, 그리고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20190092059A (ko) * 2018-01-30 2019-08-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골세포,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트롬빈을 포함하는 관절경하 수술을 위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 Sivagurunathan et al., "Thrombin inhibits osteoclast differentiation through a non-proteolytic mechanism", Journal of Molecular Endocrinology(2013), Vol. 50, pp. 349-359*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515A1 (ko) * 2020-10-29 2022-05-05 주식회사 덴하우스 동결건조된 콜라겐 스펀지 타입 골 재생용 조성물
WO2023191176A1 (ko) * 2022-03-28 2023-10-05 주식회사 덴하우스 골 재생용 조성물 및 투여 제형
KR102565364B1 (ko) 2023-04-04 2023-08-09 김재열 자가골 회복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서방성 국소 약물전달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1954A1 (ko) 2021-12-30
US20230338620A1 (en)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121B1 (ko) 골 재생용 주입형 조성물
MX2007005035A (es) Inyeccion de sellador de fibrina que incluye un anestesico en aplicaciones espinales.
Demiralp et al. Treatment of periapical inflammatory lesion with the combination of platelet-rich plasma and tricalcium phosphate: a case report
Ashurko et al. Current concepts of surgical methods to increase mucosal thickness during dental implantation
Bagoff et al. Socket preservation and sinus augmentation using a medical grade calcium sulfate hemihydrate and mineralized irradiated cancellous bone allograft composite
Saad et al. Report of a jaw osteonecrosis possibly caused by denosumab.
KR101540691B1 (ko) 피브리노겐, 아프로티닌, 리도카인, 에피네프린 및 콜라겐 막을 포함하는 서방성 국소 약물전달체,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골병증 치료용 조성물
JP6644709B2 (ja) 長期間薬物送達システムによる歯内療法
Kesting et al. Severe osteomyelitis following immediate placement of a dental implant.
Guerrero et al. Lateral Wall Sinus Floor Elevation: Revisiting Fundamentals and the Surgical Technique
Dudek et al. The use of grafting material biphasic calcium sulfate for the treatment of osseous defects resulting from radicular cysts. Clinical study and six-month follow up
US20230364299A1 (en) Freeze-dried collagen-sponge-type composition for bone regeneration
KR102451667B1 (ko) 골, 연골, 치아 및 치주의 재생 및 종양 및 낭포의 치료를 위한 제형
US6046164A (en) Therapeutic agent for diseases of periodontal tissue
Bhat et al. Drug induced orthodontic tooth movement: a comprehensive review
RU2811283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рецессии десны
AU680204B2 (en) Periodontal disease remedy
Valente et al. A combined treatment for a case of peri-implant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Beneytout et al. Guided bone regeneration using a platelet-rich fibrin membrane and sticky bone graft: case reports
Hifny et al. Role of platelet-rich plasma in maxillofacial surgery
Gutmann et al. Alternative and contemporary management of large periradicular lesions.
RU2383348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ого генерализованного пародонтита с агрессивным течением
Liao et al. Injectable Calcium Phosphate Cements for the Reconstruction/Repair of Oral and Cranio-maxillofacial Bone Defects: Clinical Outcome and Perspectives
SEBAN et al.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necrosis of the jaws using Pentoxifylline and tocopherol: A case series of patients under antiresorptive or antiangiogenic agents inducing osteonecrosis of the jaws
Saeed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USING FIBLIN GLUE VERSUS TITANIUM PLATELET-RICH FIBRIN IN LATERAL SINUS LIFTING PROCEDURE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