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356A - 분해 조립형 드론 - Google Patents

분해 조립형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356A
KR20220071356A KR1020200158367A KR20200158367A KR20220071356A KR 20220071356 A KR20220071356 A KR 20220071356A KR 1020200158367 A KR1020200158367 A KR 1020200158367A KR 20200158367 A KR20200158367 A KR 20200158367A KR 20220071356 A KR20220071356 A KR 20220071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assembled
drone
rod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환
Original Assignee
강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환 filed Critical 강석환
Priority to KR102020015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1356A/ko
Publication of KR2022007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06Frames; Stringers; Longerons ; Fuselage sections
    • B64C1/061Frames
    • B64C1/063Folding or collapsing to reduce overall dimensions, e.g. foldable tail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30Parts of fuselage relatively movable to reduce overall dimensions of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20Rotorcraft characterised by having shrouded rotors, e.g. 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U50/14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ducted or shrouded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62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조립용 골재를 경량성이고 길이 방향으로 굽힘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용 골재로서 종래의 주철이나 알루미늄 파이프보다 경량이면서 경제성을 제공하며 다수개의 철판이나 철심에 구성된 고정구와 소재의 요홈부와 고정수지의 역할로 구조적으로 합성수지제 몸체에 일체화로 고정되어 내구성 및 길이 방향으로 굽힘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조립용 골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조립용 골재, 길이방향으로 요홈부와 돌조부가 다수개 구성된 합성수지제 소재의 요홈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보강 철심 및 지지철판을 고정수지로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해 조립형 드론{Omitted}
본 발명은 분해 조립이 쉬운 드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Drone)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형태의 무인항공기(UAV : unmanned aerial vehicle / 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이다.
드론은 군사용으로서, 연습사격의 표적으로 사용되거나 정찰·감시와 대잠공격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2010년대를 전후하여서는 군사적 용도 외 다양한 민간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민간 분야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택배, 드론을 이용한 방송 촬영, 드론을 이용한 취미 영상 촬영, 드론에 조종에 대한 교육 등이 있다.
이러한 이용 중에, 드론을 일반인, 학생들이 직접 제작하는 교육이나 취미 활동도 가능하다. 그러나, 드론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각 부품 간의 결합을 위한 도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724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구 없이도 쉽게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분해 조립형 드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조립형 드론은,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해 조립형 드론은,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스윙 가능하게 구성되는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측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스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부 프레임에 나란한 제1 상태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나란한 제2 상태 간에 스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 프레임은, 수용 공간을 한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은, 개구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측부 프레임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측부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측부 프레임은, 다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측부 프레임에 걸려서,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제1 상태에서 멈추게 하는 측부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에 걸려서,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제2 상태에서 멈추게 하는 상부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스윙 됨에 따라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측부프레임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을 도구 없이도 쉽게 조립 및 분해 가능하다. 그에 의해, 학생들이 드론을 조립하여 분해하면서, 드론에 대한 이해를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조립형 드론(100)의 제1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조립형 드론(100)이 제2 상태로 전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의 도 1의 분해 조립형 드론(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해 조립형 드론(100)이 적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해 조립형 드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조립형 드론(100)의 제1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조립형 드론(100)이 제2 상태로 전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분해 조립형 드론(100)은, 메인 프레임(110), 서브 프레임(130), 로터(150), 및 고정 모듈(170)을 가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드론(100)의 뼈대를 이루는 구성이다. 메인 프레임(110)은 상부 프레임(111)과, 측부 프레임(121)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1)은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 영역을 차지하는 부분이다. 상부 프레임(111)은, 구체적으로, 상부 로드(112), 상부 코너 부재(113), 장착 보드(115), 및 상부 스톱퍼(117)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로드(112), 상부 코너 부재(113), 장착 보드(115) 등은 탄소 섬유로 제작되어,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있다.
상부 로드(112)는 상기 상부 영역의 경계선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다. 상부 로드(112)는, 파이프 형태로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111)은 대체로 4각 형태를 가지므로, 상부 로드(112)는 총 4개가구비된다.
상부 코너 부재(113)는 상부 프레임(111)의 코너에 위치하여, 이웃하는 상부 로드(112)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코너 부재(113)는 총 4개의 상부 로드(112)에 대응하여 역시 총 4개가 구비된다.
장착 보드(115)는 상부 코너 부재(113)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이다. 장착 보드(115)는 4개의 상부 로드(112)가 한정하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장착 보드(115)의 저면에는 로터(150)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 제어기판,통신기(미도시)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부 스톱퍼(117)는 서브 프레임(130)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부 스톱퍼(117)는 장착 보드(115)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부 스톱퍼(117)에 의해, 서브 프레임(130)은 제2 상태(도 2참조)에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더이상 스윙되지 않는다.
측부 프레임(121)은 메인 프레임(110)의 측부 영역을 차지하는 부분이다. 측부 프레임(121)은, 구체적으로, 제1측부 로드(122), 제2 측부 로드(123), 측부 코너 부재(125)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부 로드(122), 제2측부 로드(123), 및 측부 코너 부재(125)는 탄소 섬유로 제작되어,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측부 프레임(121)은 다각형을 이루도록 여러 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측부 프레임(121)은 4개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측부 로드(122)는 상부 로드(112)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구체적으로2예를 들어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측부 로드(122)는 상부 로드(112)와 마찬가지로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측부로드(122)의 상단은 상부 코너 부재(1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부 로드(122)는 총 4개의 상부 코너 부재(113)에 대응하여 역시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측부 로드(123)는 제1 측부 로드(122)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그에 의해, 제2 측부 로드(123)는 상부 로드(112)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 측부 로드(123)는 역시 총 4개의 상부 로드(112)에 대응하여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측부 로드(123)는 제1 측부로드(122)와 마찬가지로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측부 코너 부재(125)는 제1 측부 로드(122)와 제2 측부 로드(123)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측부 코너 부재(125)는상부 코너 부재(113)와 대체로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제1 측부 로드(122), 제2 측부 로드(123), 및 측부 코너 부재(125)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은 수용 공간(A)이라 칭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 공간(A)은 개구된 영역이나, 뒤편이 막힌 리세스된(recessed)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서브 프레임(130)은 메인 프레임(110), 구체적으로 상부 로드(112)에 스윙 방향(S)을 따라 스윙 가능하게 [0051] 구성되는 것이다. 그에 의해, 서브 프레임(130)의 스윙 축은 상부 로드(112)를 따르게 된다. 서브 프레임(130)은 측부 프레임(121)에 나란한 제1 상태(도 1 참조)와 상부 프레임(111)에 나란한 제2 상태(도 2 참조) 간에 스윙될수 있다.
서브 프레임(130)은 복수 개의 측부 프레임(121)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각 서브 프레임(130)은 제1 상태에서 각 측부 프레임(121)의 수용 공간(A)에 위치한다.
서브 프레임(130)은, 구체적으로, 베이스(131), 덕트(133), 장착대(135), 및 연결대(137)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131)는 상부 로드(112)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31)는 상부 로드(112)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 튜브(131a)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회전 튜브(131a)는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덕트(133)는 베이스(131)에 연결되는 관체이다. 덕트(133)는 로터(150)의 후류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덕트(133)의 가장 자리(133a)는 서브 프레임(130)이 제1 상태에서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더이상 회전되지 않게 제1 측부 로드(122)에 걸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장 자리(133a)는, 상부 스톱퍼(117)에대응하여, 측부 스톱퍼라 칭해질2수 있다. 상기 측부 스톱퍼는 상부 스톱퍼(117)처럼 덕트(133)에서 부분적으로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대(135)는 덕트(133) 내에 위치하며, 로터(150)가 설치되는 부재이다. 장착대(135)는 대체로 원판 형태를가질 수 있다.
연결대(137)는 장착대(135)를 덕트(133)에 연결하는 부분이다. 연결대(137)는 기준 바(137a)와, 보강 바(137b)를 가질 수 있다. 기준 바(137a)는 측부 프레임(121)의 하부 영역 측에서 장착대(135)로 연장되는 것이다. 그에대비하여, 보강 바(137b)는 한 쌍의 회전 튜브(131a)에 대응한 위치에서 장착대(135)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때보강 바(137b)는 한 쌍을 이루며, 기준 바(137a) 보다 두꺼운 것이다.
로터(150)는 서브 프레임(130), 구체적으로 장착대(135)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로터(150)는 4개의 서브 프레임(130)에 각 1개씩 설치될 수 있다. 로터(150)는 제1 상태에서 대체로 수용 공간(A) 내에 위치한다.
고정 모듈(170)은, 서브 프레임(130)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다운 스윙될 때 서브 프레임(130)을 측부 프레임(121)에 고정하는 구성이다. 고정 모듈(170)은 금속편(171), 자석(173), 탄성체(175), 및 하우징(177)을 가질수 있다.
금속편(171)은 제2 측부 로드(123)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자석(173)은 금속편(171)에 대응하여 덕트(133)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175)는 제2 측부 로드(123)에 설치되어 금속편(171)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하우징(177)은 제2 측부 로드(123)에 설치되며, 탄성체(175)를 내장하고 금속편(171)의 일부 역시 내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로터(150)에 전원이 인가되면, 로터(150)는 메인 프레임(110)의 중심에서 외부로 나가는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킨다. 그 추력은 서브 프레임(130)이 상부 로드(112)를 중심으로 하는 스윙 방향(S)으로스윙하게 하여 서브 프레임(130) 및 로터(150)를 제2 상태로 전환되게 한다. 그에 따라 로터(150)의 상승은 자력(自力)으로 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서브 프레임(130)이 스윙 방향(S)으로 스윙되는 중에, 서브 프레임(130)의 베이스(131)는 상부 스톱퍼(117))에 걸리게 된다. 이는 서브 프레임(130)이 제2 상태를 넘어서서 스윙되지 않게 한다.
로터(150)가 작동을 계속함에 따라, 로터(150)를 통과한 후류는 공중에서 지상을 향한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는
드론(100)이 상승할 수 있는 추진력을 제공한다. 그 결과, 드론(100)은 공중으로 날아오르게 된다.
로터(150)에 대한 전원 인가가 종료되면, 로터(150) 및 서브 프레임(130)은 자중에 의해 다운 스윙하게 된다.
이때, 덕트(133)에2설치된 자석(173)이 제2 측부 로드(123)에 설치된 금속편(171)과 가까워짐에 따라, 양자 간에는 자기적 결합력이 발생된다. 그에 의해, 서브 프레임(130) 및 로터(150)는 수용 공간(A)에 위치하는 제1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덕트(133)가 제2 측부 로드(123)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금속편(171)은 탄성체(175)에 지지되므로 덕트(133)[0068] 가금속편(171)에 가하는 충격이 흡수된다. 그에 의해, 덕트(133)가 제2 측부 로드(123)를 충격하여 제2 측부 로드(123)나 덕트(133)가 파손될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또한, 하우징(177)에 탄성체(175) 및 금속편(171)이 수용됨에 의해, 이들은 하나의 유니트로서 제2 측부 로드(123)에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서브 프레임(130)이 다운 스윙되는 중에, 덕트(133)의 측부 스톱퍼(133a)는 제1 측부 로드(122)에 걸리게 된다. 이는 서브 프레임(130)이 제1 상태를 넘어서서 스윙되지 않게 한다.
이상의 분해 조립형 드론(100)의 분해 조립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도 1의 분해 조립형 드론(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10)은, 상부 프레임(111)과 측부 프레임(121)로 분해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1)은 다시, 4개의 상부 로드(112), 역시 4개의 상부 코너 부재(113), 그리고 1 개의 장착 보드(115)로 분해될 수 있다.
상부 코너 부재(113)에는 2개의 인접한 상부 로드(112)가 끼워지는 2개의 상부 삽입홀(113a)이 형성된다. 2개의상부 삽입홀(113a)은 장착 보드(115)와 평행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코너 부재(113)는 또한 제1 측부로드(122)가 삽입되는 측부 삽입홀(113b)을 가질 수 있다. 측부 삽입홀(113b)은 2개의 상부 삽입홀(113a)이 이루는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부 코너 부재(113)의 상면에는 결합 돌기(113c)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113c)에 대응하여, 장착 보드(115)에는 결합 홈(115a)이 형성될 수 있다.
측부 코너 부재(125)의 구성은 상부 코너 부재(113)의 구성과 대체로 동일하다. 따라서 측부 코너 부재(125)에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부 로드(112)는 상부 코너 부재(113)의 상부 삽입홀(113a)에 끼워져서 상부 코너 부재(113)와 결합된다. 제1 측부 로드(122)의 일 단부는 상부 코너 부재(113)의 측부 삽입홀(113b)에 끼워져서 상부코너 부재(113)에 결합 된다.
제1 측부 로드(122)의 타 단부는 측부 코너 부재(125)에 끼워진다. 제2 측부 로드(123) 역시 측부 코너 부재(125)에 끼워진다.
장착 보드(115)는 4개의 상부 코너 부재(113)에 올려진 상태에서, 결합 돌기(113c)가 결합 홈(115a)에 구속됨으로써, 장착 보드(115)가 상부 코너 부재(113)에 결합 된다.
이로써 메인 프레임(110)에 대한 조립이 완료된다. 조립 과정은 간단한 끼움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도구가필요하지 않다.
서브 프레임(130)을 메인 프레임(110)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상부 로드(112)가 상부 코너 부재(113)에끼워지기 전에 회전 튜브(131a)에 상부 로드(112)를 끼우면 된다.
로터(150)는 서브 프레임(130)의 장착대(135)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드론(100)을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분해 조립형 드론(100)이 적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 코너 부재(113)의 상면에는 또한 체결 돌기(113d)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돌기(113d)에 대응하여, 측부 코너 부재(125)의 하면에는 하방을 향해 개방된 체결 홈(125a)이 형성될 수있다.
체결 홈(125a)은 체결 돌기(113d)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체결 돌기(113d)를 구속하는 사이즈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 개의 드론(100)을 적층함에 있어서, 밑에 위치한 드론(100)의 체결 돌기(113d)는위에 위치한 드론(100)의 체결 홈(125a)에 삽입된다.
그에 의해, 적층된 드론(100)들이 적층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운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분해 조립형 드론 110: 메인 프레임
111: 상부 프레임 112: 상부 로드
113: 상부 코너 부재 115: 장착 보드
121: 측부 프레임 122: 제1 측부 로드
123: 제2 측부 로드 125: 측부 코너 부재
130: 서브 프레임 131: 베이스
133: 덕트 135: 장착대
137: 연결대 150: 로터
170: 고정 모듈 171: 금속편
173: 자석 175: 탄성체
177: 하우징

Claims (9)

  1.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스윙 가능하게 구성되는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분해 조립형 드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측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스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부 프레임에 나란한 제1 상태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나란한 제2 상태 간에 스윙 가능하게 구성되는, 분해 조립형 드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복수의 상부 로드; 및
    상기 복수의 상부 로드 중 인접한 두 개의 상부 로드가 각각 고정되는 상부 코너 부재를 포함하는, 분해 조립형드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너 부재는,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상부 로드가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상부 삽입홀을 포함하는, 분해 조립형 드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너 부재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결합 돌기를 구속하는 결합 홈을 구비하는 장착 보드를 더 포함하는, 분해 조립형 드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상부 로드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 튜브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 내에 위치하며 상기 로터가 장착되는 장착대를 포함하는, 분해 조립형 드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장착대를 상기 덕트에 대해 연결하기 위해 상기 덕트에서 상기 장착대로 연장되는 연결대를 더 포함하는, 분해 조립형 드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튜브는, 상기 상부 로드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대는, 상기 측부 프레임의 하부 영역 측에서 상기 장착대로 연장되는 기준 바; 및
    상기 한 쌍의 회전 튜브에 대응한 위치에서 상기 장착대로 연장되며 상기 기분 바 보다 두꺼운 한 쌍의 보강 바를 포함하는, 분해 조립형 드론.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로드의 배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측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코너 부재는, 상기 제1 측부 로드가 삽입되는 측부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분해 조립형 드론.
KR1020200158367A 2020-11-24 2020-11-24 분해 조립형 드론 KR20220071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367A KR20220071356A (ko) 2020-11-24 2020-11-24 분해 조립형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367A KR20220071356A (ko) 2020-11-24 2020-11-24 분해 조립형 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356A true KR20220071356A (ko) 2022-05-31

Family

ID=8178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367A KR20220071356A (ko) 2020-11-24 2020-11-24 분해 조립형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13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249B1 (ko) 2019-01-11 2019-04-09 김종성 드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249B1 (ko) 2019-01-11 2019-04-09 김종성 드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2503A (ko) 접이식 드론
KR101807082B1 (ko) 지면 이동 및 자력 상승 가능한 드론
US20170225783A1 (en) Durable modular unmanned aerial vehicle
US10919646B2 (en) Unmanned vehicle
US20180126294A1 (en) Connector for magnetic modules and toy construction kits employing same
KR101615166B1 (ko) 회로조립 및 프로그램 학습을 위한 학습교구용 드론
KR102085790B1 (ko) 탈착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드론
KR20220071356A (ko) 분해 조립형 드론
KR20170040876A (ko)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KR20170040877A (ko) 분해 조립형 드론
KR101816285B1 (ko) 조립이 용이한 드론
CN107707803B (zh) 拍摄组件及具有此拍摄组件的无人飞行器
KR101783213B1 (ko) 이동성과 내진성이 보강된 랙의 프레임 구조
JP2013066652A (ja) 組立式迷路
CN206802167U (zh) 减震结构、减震组件及飞行器
KR200485255Y1 (ko) 완구용 비행 장치
KR20200082745A (ko)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KR20070099160A (ko) 넉다운 파티션 결합장치
CN204527658U (zh) 一种低空飞行器及其机架
KR20180096035A (ko)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KR20200114904A (ko) 일 실시 예는 무인항공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 부위별 부품들을 교체할 수 있는 레이싱드론 프레임
CN209596552U (zh) 可移动平台
CN209684017U (zh) 具有防抖动摄影装置的四轴飞行器
CN218477630U (zh) 尾翼和飞行器
CN213414198U (zh) 连接件、无人机身、多旋翼无人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