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876A -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 Google Patents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876A
KR20170040876A KR1020150140078A KR20150140078A KR20170040876A KR 20170040876 A KR20170040876 A KR 20170040876A KR 1020150140078 A KR1020150140078 A KR 1020150140078A KR 20150140078 A KR20150140078 A KR 20150140078A KR 20170040876 A KR20170040876 A KR 20170040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ate
rotor
subfram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성범
곽준범
곽현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에어로
곽준범
곽현범
곽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에어로, 곽준범, 곽현범, 곽성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에어로
Priority to KR1020150140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0876A/ko
Publication of KR20170040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1/00Propellers, e.g. of ducted type; Features common to propellers and rotors for rotorcraft
    • B64C11/001Shrouded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20Rotorcraft characterised by having shrouded rotors, e.g. flying platform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62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설치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DRONE HAVING ROTOR WHICH CAN RISE BY ITSELF}
본 발명은 로터가 프레임에 대해 자력으로 상승되는 드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Drone)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형태의 무인항공기(UAV : unmanned aerial vehicle / 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이다.
드론은 군사용으로서, 연습사격의 표적으로 사용되거나 정찰·감시와 대잠공격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2010년대를 전후하여서는 군사적 용도 외 다양한 민간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드론의 구조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로터가 몸체에서 돌출된 경우가 많다. 로터는 몸체가 공중으로 떠오르게 하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주로 프로펠러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로터는 몸체 내에 위치할 수는 없고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로터의 존재는 드론을 휴대, 보관하는 등에 있어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로터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에 주변 물건과의 간섭에 의해 파손되기도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보관 시에는 로터가 접혀져 있다가 작동 시에는 자력으로 작동 위치로 상승할 수 있게 하는,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은,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설치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측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스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부 프레임에 나란한 제1 상태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나란한 제2 상태 간에 스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부 프레임은, 수용 공간을 한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 공간은, 개구된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부 프레임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측부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측부 프레임은, 다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측부 프레임에 걸려서,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제1 상태에서 멈추게 하는 측부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에 걸려서,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제2 상태에서 멈추게 하는 상부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스윙 됨에 따라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측부 프레임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측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금속편;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금속편에 대응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측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편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탄성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측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에 의하면, 휴대, 보관 시에는 로터가 접혀져 있다가 작동 시에는 자력으로 작동 위치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휴대, 보관 시에 드론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로터가 외부로 돌출됨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100)의 제1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100)이 제2 상태로 전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의 도 1의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100)이 적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100)의 제1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100)이 제2 상태로 전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100)은, 메인 프레임(110), 서브 프레임(130), 로터(150), 및 고정 모듈(170)을 가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드론(100)의 뼈대를 이루는 구성이다. 메인 프레임(110)은 상부 프레임(111)과, 측부 프레임(121)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1)은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 영역을 차지하는 부분이다. 상부 프레임(111)은, 구체적으로, 상부 로드(112), 상부 코너 부재(113), 장착 보드(115), 및 상부 스톱퍼(117)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로드(112), 상부 코너 부재(113), 장착 보드(115) 등은 탄소 섬유로 제작되어,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로드(112)는 상기 상부 영역의 경계선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다. 상부 로드(112)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111)은 대체로 4각 형태를 가지므로, 상부 로드(112)는 총 4개가 구비된다.
상부 코너 부재(113)는 상부 프레임(111)의 코너에 위치하여, 이웃하는 상부 로드(112)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코너 부재(113)는 총 4개의 상부 로드(112)에 대응하여 역시 총 4개가 구비된다.
장착 보드(115)는 상부 코너 부재(113)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이다. 장착 보드(115)는 4개의 상부 로드(112)가 한정하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장착 보드(115)의 저면에는 로터(150)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 제어기판, 통신기(미도시)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부 스톱퍼(117)는 서브 프레임(130)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부 스톱퍼(117)는 장착 보드(115)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부 스톱퍼(117)에 의해, 서브 프레임(130)은 제2 상태(도 2 참조)에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더이상 스윙되지 않는다.
측부 프레임(121)은 메인 프레임(110)의 측부 영역을 차지하는 부분이다. 측부 프레임(121)은, 구체적으로, 제1 측부 로드(122), 제2 측부 로드(123), 측부 코너 부재(125)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부 로드(122), 제2 측부 로드(123), 및 측부 코너 부재(125)는 탄소 섬유로 제작되어,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측부 프레임(121)은 다각형을 이루도록 여러 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측부 프레임(121)은 4개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측부 로드(122)는 상부 로드(112)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측부 로드(122)는 상부 로드(112)와 마찬가지로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측부 로드(122)의 상단은 상부 코너 부재(1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부 로드(122)는 총 4개의 상부 코너 부재(113)에 대응하여 역시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측부 로드(123)는 제1 측부 로드(122)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그에 의해, 제2 측부 로드(123)는 상부 로드(112)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 측부 로드(123)는 역시 총 4개의 상부 로드(112)에 대응하여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측부 로드(123)는 제1 측부 로드(122)와 마찬가지로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측부 코너 부재(125)는 제1 측부 로드(122)와 제2 측부 로드(123)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측부 코너 부재(125)는 상부 코너 부재(113)와 대체로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제1 측부 로드(122), 제2 측부 로드(123), 및 측부 코너 부재(125)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은 수용 공간(A)이라 칭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 공간(A)은 개구된 영역이나, 뒤편이 막힌 리세스된(recessed)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서브 프레임(130)은 메인 프레임(110), 구체적으로 상부 로드(112)에 스윙 방향(S)을 따라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에 의해, 서브 프레임(130)의 스윙 축은 상부 로드(112)를 따르게 된다. 서브 프레임(130)은 측부 프레임(121)에 나란한 제1 상태(도 1 참조)와 상부 프레임(111)에 나란한 제2 상태(도 2 참조) 간에 스윙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130)은 복수 개의 측부 프레임(121)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각 서브 프레임(130)은 제1 상태에서 각 측부 프레임(121)의 수용 공간(A)에 위치한다.
서브 프레임(130)은, 구체적으로, 베이스(131), 덕트(133), 장착대(135), 및 연결대(137)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131)는 상부 로드(112)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31)는 상부 로드(112)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 튜브(131a)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회전 튜브(131a)는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덕트(133)는 베이스(131)에 연결되는 관체이다. 덕트(133)는 로터(150)의 후류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덕트(133)의 가장 자리(133a)는 서브 프레임(130)이 제1 상태에서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제1 측부 로드(122)에 걸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장 자리(133a)는, 상부 스톱퍼(117)에 대응하여, 측부 스톱퍼라 칭해질 수 있다. 상기 측부 스톱퍼는 상부 스톱퍼(117)처럼 덕트(133)에서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대(135)는 덕트(133) 내에 위치하며, 로터(150)가 설치되는 부재이다. 장착대(135)는 대체로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대(137)는 장착대(135)를 덕트(133)에 연결하는 부분이다. 연결대(137)는 기준 바(137a)와, 보강 바(137b)를 가질 수 있다. 기준 바(137a)는 측부 프레임(121)의 하부 영역 측에서 장착대(135)로 연장되는 것이다. 그에 대비하여, 보강 바(137b)는 한 쌍의 회전 튜브(131a)에 대응한 위치에서 장착대(135)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때 보강 바(137b)는 한 쌍을 이루며, 기준 바(137a) 보다 두꺼운 것이다.
로터(150)는 서브 프레임(130), 구체적으로 장착대(135)에 설치된다. 로터(150)는 4개의 서브 프레임(130)에 각 1개씩 설치될 수 있다. 로터(150)는 제1 상태에서 대체로 수용 공간(A) 내에 위치한다.
고정 모듈(170)은, 서브 프레임(130)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다운 스윙될 때 서브 프레임(130)을 측부 프레임(121)에 고정하는 구성이다. 고정 모듈(170)은 금속편(171), 자석(173), 탄성체(175), 및 하우징(177)을 가질 수 있다.
금속편(171)은 제2 측부 로드(123)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자석(173)은 금속편(171)에 대응하여 덕트(133)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175)는 제2 측부 로드(123)에 설치되어 금속편(171)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하우징(177)은 제2 측부 로드(123)에 설치되며, 탄성체(175)를 내장하고 금속편(171)의 일부 역시 내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로터(150)에 전원이 인가되면, 로터(150)는 메인 프레임(110)의 중심에서 외부로 나가는 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킨다. 그 추력은 서브 프레임(130)이 상부 로드(112)를 중심으로 하는 스윙 방향(S)으로 스윙하게 하여 서브 프레임(130) 및 로터(150)를 제2 상태로 전환되게 한다. 그에 따라 로터(150)의 상승은 자력(自力)으로 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서브 프레임(130)이 스윙 방향(S)으로 스윙되는 중에, 서브 프레임(130)의 베이스(131)는 상부 스톱퍼(117))에 걸리게 된다. 이는 서브 프레임(130)이 제2 상태를 넘어서서 스윙되지 않게 한다.
로터(150)가 작동을 계속함에 따라, 로터(150)를 통과한 후류는 공중에서 지상을 향한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는 드론(100)이 상승할 수 있는 추진력을 제공한다. 그 결과, 드론(100)은 공중으로 날아오르게 된다.
로터(150)에 대한 전원 인가가 종료되면, 로터(150) 및 서브 프레임(130)은 자중에 의해 다운 스윙하게 된다. 이때, 덕트(133)에 설치된 자석(173)이 제2 측부 로드(123)에 설치된 금속편(171)과 가까워짐에 따라, 양자 간에는 자기적 결합력이 발생된다. 그에 의해, 서브 프레임(130) 및 로터(150)는 수용 공간(A)에 위치하는 제1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덕트(133)가 제2 측부 로드(123)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금속편(171)은 탄성체(175)에 지지되므로 덕트(133)가 금속편(171)에 가하는 충격이 흡수된다. 그에 의해, 덕트(133)가 제2 측부 로드(123)를 충격하여 제2 측부 로드(123)나 덕트(133)가 파손될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또한, 하우징(177)에 탄성체(175) 및 금속편(171)이 수용됨에 의해, 이들은 하나의 유니트로서 제2 측부 로드(123)에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서브 프레임(130)이 다운 스윙되는 중에, 덕트(133)의 측부 스톱퍼(133a)는 제1 측부 로드(122)에 걸리게 된다. 이는 서브 프레임(130)이 제1 상태를 넘어서서 스윙되지 않게 한다.
이상의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100)의 분해 조립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도 1의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10)은, 상부 프레임(111)과 측부 프레임(121)로 분해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1)은 다시, 4개의 상부 로드(112), 역시 4개의 상부 코너 부재(113), 그리고 1 개의 장착 보드(115)로 분해될 수 있다.
상부 코너 부재(113)에는 2개의 인접한 상부 로드(112)가 끼워지는 2개의 상부 삽입홀(113a)이 형성된다. 2개의 상부 삽입홀(113a)은 장착 보드(115)와 평행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코너 부재(113)는 또한 제1 측부 로드(122)가 삽입되는 측부 삽입홀(113b)을 가질 수 있다. 측부 삽입홀(113b)은 2개의 상부 삽입홀(113a)이 이루는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부 코너 부재(113)의 상면에는 결합 돌기(113c)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113c)에 대응하여, 장착 보드(115)에는 결합 홈(115a)이 형성될 수 있다.
측부 코너 부재(125)의 구성은 상부 코너 부재(113)의 구성과 대체로 동일하다. 따라서 측부 코너 부재(125)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부 로드(112)는 상부 코너 부재(113)의 상부 삽입홀(113a)에 끼워져서 상부 코너 부재(113)와 결합된다. 제1 측부 로드(122)의 일 단부는 상부 코너 부재(113)의 측부 삽입홀(113b)에 끼워져서 상부 코너 부재(113)에 결합 된다.
제1 측부 로드(122)의 타 단부는 측부 코너 부재(125)에 끼워진다. 제2 측부 로드(123) 역시 측부 코너 부재(125)에 끼워진다.
장착 보드(115)는 4개의 상부 코너 부재(113)에 올려진 상태에서, 결합 돌기(113c)가 결합 홈(115a)에 구속됨으로써, 장착 보드(115)가 상부 코너 부재(113)에 결합 된다.
이로써 메인 프레임(110)에 대한 조립이 완료된다. 조립 과정은 간단한 끼움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
서브 프레임(130)을 메인 프레임(110)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상부 로드(112)가 상부 코너 부재(113)에 끼워지기 전에 회전 튜브(131a)에 상부 로드(112)를 끼우면 된다.
로터(150)는 서브 프레임(130)의 장착대(135)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드론(100)을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100)이 적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 코너 부재(113)의 상면에는 또한 체결 돌기(113d)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돌기(113d)에 대응하여, 측부 코너 부재(125)의 하면에는 하방을 향해 개방된 체결 홈(125a)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홈(125a)은 체결 돌기(113d)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체결 돌기(113d)를 구속하는 사이즈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 개의 드론(100)을 적층함에 있어서, 밑에 위치한 드론(100)의 체결 돌기(113d)는 위에 위치한 드론(100)의 체결 홈(125a)에 삽입된다.
그에 의해, 적층된 드론(100)들이 적층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운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110: 메인 프레임
111: 상부 프레임 112: 상부 로드
113: 상부 코너 부재 115: 장착 보드
121: 측부 프레임 122: 제1 측부 로드
123: 제2 측부 로드 125: 측부 코너 부재
130: 서브 프레임 131: 베이스
133: 덕트 135: 장착대
137: 연결대 150: 로터
170: 고정 모듈 171: 금속편
173: 자석 175: 탄성체
177: 하우징

Claims (12)

  1.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설치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측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스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부 프레임에 나란한 제1 상태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나란한 제2 상태 간에 스윙 가능하게 구성되는,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프레임은, 수용 공간을 한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개구된 영역인,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프레임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측부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는,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측부 프레임은, 다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측부 프레임에 걸려서,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제1 상태에서 멈추게 하는 측부 스톱퍼를 포함하는,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에 걸려서,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제2 상태에서 멈추게 하는 상부 스톱퍼를 포함하는,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스윙 됨에 따라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측부 프레임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측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금속편;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금속편에 대응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측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편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탄성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측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KR1020150140078A 2015-10-06 2015-10-06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KR20170040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078A KR20170040876A (ko) 2015-10-06 2015-10-06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078A KR20170040876A (ko) 2015-10-06 2015-10-06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876A true KR20170040876A (ko) 2017-04-14

Family

ID=5857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078A KR20170040876A (ko) 2015-10-06 2015-10-06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08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4224A1 (zh) * 2017-05-22 2018-11-2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无人机
CN108995797A (zh) * 2018-07-17 2018-12-14 河南聚合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折叠式氢燃料混合动力四旋翼飞行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4224A1 (zh) * 2017-05-22 2018-11-2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无人机
CN109863083A (zh) * 2017-05-22 2019-06-0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无人机
CN108995797A (zh) * 2018-07-17 2018-12-14 河南聚合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折叠式氢燃料混合动力四旋翼飞行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7082B1 (ko) 지면 이동 및 자력 상승 가능한 드론
US9623969B2 (en) Multicopter with detachable wing
KR20170102503A (ko) 접이식 드론
US20170225783A1 (en) Durable modular unmanned aerial vehicle
JP5260781B1 (ja) 無人ヘリコプタ
CN103708032B (zh) 双电磁驱动式微扑翼飞行器
US11034446B2 (en) Power supply assembly
US11628932B2 (en) Multicopter
KR20170040876A (ko)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CN109661762A (zh) 电机、动力装置、动力套装及飞行器
CN105599895A (zh) 多轴飞行器
CN107323651B (zh) 机臂组件、机架及无人机
CN106976560B (zh) 一种无人机电机座、无人机驱动装置和无人机
CN208248488U (zh) 模块化微型无人机
CN108423153A (zh) 模块化微型无人机
KR20170040877A (ko) 분해 조립형 드론
KR20220071356A (ko) 분해 조립형 드론
WO2017010019A1 (ja) 無人航空機
US20210024204A1 (en) Rotor mount assembly
US11858618B2 (en) UAV foot stand and UAV
WO2020135637A1 (zh) 物流无人机
JP3231324U (ja) プロペラ駆動ユニット
KR102306734B1 (ko) 멀티콥터형 무인비행장치
CN210618461U (zh) 可驻扎于峭壁的无人机
KR101968727B1 (ko) 무인 비행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