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255Y1 - 완구용 비행 장치 - Google Patents

완구용 비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255Y1
KR200485255Y1 KR2020160001187U KR20160001187U KR200485255Y1 KR 200485255 Y1 KR200485255 Y1 KR 200485255Y1 KR 2020160001187 U KR2020160001187 U KR 2020160001187U KR 20160001187 U KR20160001187 U KR 20160001187U KR 200485255 Y1 KR200485255 Y1 KR 200485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main frame
support portions
wing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210U (ko
Inventor
장일형
Original Assignee
장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형 filed Critical 장일형
Priority to KR2020160001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255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2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2Helicopters ; Flying 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6Undercarriages f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79Other kinds of output
    • A63F2009/2482Electromo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38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shock damping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203/00Flying model aircraft, flying toy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완구용 비행 장치는 복수 개의 메인홀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하측에 결합되고,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된 제 1 및 제 2 지지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하측에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배터리 수용 바디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 상에 결합된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 상부면에는 상기 날개부가 결합되는 날개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날개부 결합홈에 배치되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는 상기 회전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안착되는 회로 결합부가 더 구성되고, 상기 회로 결합부는 상기 메인홀들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위치에 배치된 회로부 본체와, 상기 회로부 본체로부터 상기 메인홀로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디와, 상기 연장 바디의 단부측에 형성되어 전선이 통과하도록 하는 와이어 연결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완구용 비행 장치{Toy airplane}
본 고안은 완구용 비행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어린이가 직접 제작이 가능한 비행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는 주말 여가시간을 활용해서 다양한 종류의 취미를 함께 즐기는 가족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학교에서도 어린이의 교육용으로 다양한 완구들이 이용되고 있다.
완구나 스포츠 용품으로 활용되는 비행체로는 플라잉 디스크, 플라잉 링, 프리스비 등이 있다.
플라잉 디스크는 미국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어 있으며, 멀리 날리기 세계기록 대회가 열리고 있는 세계적인 스포츠로서 매년 수백만 개의 날으는 원반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비행기 완구가 있으나, 어린이 교육을 위한 비행기 완구는 아직 부족한 현실이다.
본 고안은 비행이 가능한 드론 형상의 비행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어린이가 직접 조립할 수 있을 정도로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면서, 비행이 가능한 드론 형태의 비행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완구용 비행 장치는 복수 개의 메인홀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하측에 결합되고,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된 제 1 및 제 2 지지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하측에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배터리 수용 바디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 상에 결합된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 상부면에는 상기 날개부가 결합되는 날개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날개부 결합홈에 배치되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는 상기 회전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안착되는 회로 결합부가 더 구성되고, 상기 회로 결합부는 상기 메인홀들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위치에 배치된 회로부 본체와, 상기 회로부 본체로부터 상기 메인홀로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디와, 상기 연장 바디의 단부측에 형성되어 전선이 통과하도록 하는 와이어 연결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서, 어린이가 직접 복수개의 패널들에 구성된 부품들을 조립하여 실제의 드론 형상에 가까운 비행 장치를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된 비행 장치는 공기의 이동에 따른 부력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어, 교육용으로 매우 유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비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비행 장치의 하부면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비행 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부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비행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패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비행 장치에 날개부 동작을 위한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비행 장치의 회로 결합부의 구성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고안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고안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되는 설명에 사용되는 접미어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비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비행 장치는, 회전되는 복수 개의 날개부(160)와, 상기 날개부(160) 보다 큰 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 홀(101)들과, 상기 메인 홀(101)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프레임들(111,112,113)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측을 형성하는 하측 프레임(113), 상측을 형성하는 상측 프레임(111)과, 상기 하측 프레임과 상측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프레임(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날개부들(160)의 회전으로 본 고안의 비행 장치가 비행이 이루어지는데, 낙하하는 경우에 상기 날개부(160)를 보호하기 위하여 지면에 가장 먼저 접하도록 하는 충격 완화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충격 완화부(12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 상에서 소정 두께 돌출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비행 장치는, 드론 형상의 비행 장치를 어린이가 조립할 수 있도록 되도록 간단한 구성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 프레임들은 우드락과 같이 어린이들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비행 장치에 대해서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여 본다.
도 2는 본 고안의 비행 장치의 하부면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비행 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부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비행 장치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을 지지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부력이 효율적으로 발생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지지부(130,140)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들은 상호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결합되는데, 도 6에 도시된 사항을 참조하면, 제 1 지지부(130)에는 하측을 향하는 결합홈(139)이 형성되고, 제 2 지지부(140)에는 상측을 향하는 결합홈(149)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결합홈들을 상호 결합시키게 되면, 제 1 지지부(130)와 제 2 지지부(140)는 상호 수직으로 교차하는 배열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제 1 지지부(130)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지지부(130)는 지지부의 상측면을 구성하고 날개부 결합홈(133)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 지지부(131)와, 경사진 면을 갖는 경사 지지부(1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날개부 결합홈(133)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부력홀들(135,136)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지지부(130)에는 외측에 제 1 부력홀(135)이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제 2 부력홀(1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력홀(135)과 제 2 부력홀(136) 사이에 상기 날개부 결합홈(133)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날개부(160)가 회전되는 때에는 공기가 메인홀(101)을 통하여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제 1 부력홀(135)과 제 2 부력홀(136)을 형성함으로써 아래로 하강하는 공기가 지지부에 접하는 면적을 줄여야만 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지지부들에 상기 제 1 부력홀(135)과 제 2 부력홀(136)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메인홀(101)을 통과하여 아래로 이동하는 공기가 지지부에 부딪히는 확률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공기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날개부(160)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홀(135,136)을 형성하여 두어야 한다.
한편, 상기 비행 장치에는 날개부(160)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용되어야 하며, 상기 배터리는 메인 프레임(110) 하측의 배터리 수용 바디(170)에 안착된다. 상기 배터리 수용 바디(170) 역시 소정의 두께감을 갖기 위하여, 복수개의 판네들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배터리 수용 바디(170)가 메인 프레임(110)의 하측에서 고정된 위치를 갖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들(130,140)들은 상기 배터리 수용 바디(170)측으로 연장형성된 바디 지지 연장부(137)를 갖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지지부들이 한쌍의 바디 지지 연장부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수용 바디(170)의 네면이 모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30) 상부면에 형성된 날개부 결합홈(133)에는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터(161)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 모터(161)의 회전축에는 날개(162)가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의 비행 장치의 주요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형상과 함께,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비행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패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의 예시된 패널에는 본 고안의 비행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 배터리 수용 바디 및 지지부 등의 구성이 조립전의 상태로 있으나, 각각의 패널에 구성되어 있는 부분들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각각의 패널에 특정 구성요소가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제 1 패널(11)에는 동일한 형상의 중간 프레임(112)과, 하측 프레임(113)이 구성된다. 특히, 상기 하측 프레임(113)에는 제 1 및 제 2 지지부(130,140)의 일측 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지지부 결합홈(113a)이 네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비행 장치를 조립하여 실시하는 자가 초등학생의 어린이가 될 수 있으므로, 그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고, 조립되는 부품들이 상호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의 제 2 패널(12)에는 메인홀(101)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 프레임(111)과, 배터리 수용 바디(170)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배터리 수용 바디(171,172,173)들과, 상측 프레임(111) 상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충격 완화부(120)가 구성될 수 있다.
도 6의 제 3 패널(13)에는 한쌍의 지지부들(130,140)과, 날개부(16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안착되는 회로 결합부(18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결합부(180)는 상기 상측 프레임(111)의 중간 영역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날개부(160)의 제어를 위한 회로 및 전선의 구성에 의하여 날개부(160)의 회전에 의한 공기 흐름에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로 결합부(180)에 대해서는, 비행 장치의 상측 프레임(111)에 상기 회로 결합부(180)가 구성되어 있는 도 7과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본다.
도 7은 본 고안의 비행 장치에 날개부 동작을 위한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비행 장치의 회로 결합부의 구성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측 프레임(111)의 중간 영역, 즉, 네 개의 메인홀(101)로 둘러싸이는 영역에 상기 회로 결합부(180)가 구성되고, 상기 회로 결합부(180)는 제어 회로가 안착되는 회로부 본체(181)와, 상기 회로부 본체(18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 바디(182)와, 상기 연장 바디(182)의 단부측에 와이어 통과홀이 구성된 와이어 연결부(183)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연장 바디(182)는 각각의 메인홀(101)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연결부(183)은 각각의 메인홀(101)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183)에 형성된 와이어 통과홀을 통과하도록 전선이 배치되고, 해당 전선들은 상기 회로부 본체(181)에 안착된 제어 회로와, 회전 모터(161)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행 장치에 의해서, 어린이가 직접 복수개의 패널들에 구성된 부품들을 조립하여 실제의 드론 형상에 가까운 비행 장치를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된 비행 장치는 공기의 이동에 따른 부력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어, 교육용으로 매우 유익할 수 있다.
110 : 메인 프레임 120 : 충격 완화부
130 : 제 1 지지부 140 : 제 2 지지부

Claims (4)

  1. 복수 개의 메인홀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하측에 결합되고,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된 제 1 및 제 2 지지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하측에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우드락 소재로 이루어진 배터리 수용 바디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 상에 결합된 우드락 소재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 상부면에는 상기 날개부가 결합되는 날개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날개부 결합홈에 배치되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우드락 소재의 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는 상기 회전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안착되는 회로 결합부가 더 구성되고,
    상기 회로 결합부는 상기 메인홀들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위치에 배치된 회로부 본체와, 상기 회로부 본체로부터 상기 메인홀로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디와, 상기 연장 바디의 단부측에 형성되어 전선이 통과하도록 하는 와이어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홀 하측에 위치하는 우드락 소재의 제 1 및 제 2 지지부에는 상기 날개부의 회전에 따른 부력 저항을 줄이기 위한 제 1 부력홀과, 제 2 부력홀이 구성되고,
    상기 제 1 부력홀과 제 2 부력홀 사이에 상기 날개부 결합홈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부력홀과 제 2 부력홀은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비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면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날개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된 충격 완화부들이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비행 장치.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1187U 2016-03-07 2016-03-07 완구용 비행 장치 KR200485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87U KR200485255Y1 (ko) 2016-03-07 2016-03-07 완구용 비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87U KR200485255Y1 (ko) 2016-03-07 2016-03-07 완구용 비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10U KR20170003210U (ko) 2017-09-15
KR200485255Y1 true KR200485255Y1 (ko) 2017-12-12

Family

ID=6057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187U KR200485255Y1 (ko) 2016-03-07 2016-03-07 완구용 비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2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936B1 (ko) * 2018-04-30 2019-10-29 (주)스마트에어 조립식 드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234B1 (ko) 2005-04-20 2007-01-12 오원섭 수직이착륙기
JP2016505435A (ja) 2012-11-15 2016-02-25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多重回転子無人航空機
JP6006199B2 (ja) 2011-03-31 2016-10-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蛍光観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199B2 (ja) * 1981-05-29 1985-02-16 新燃料油開発技術研究組合 バイオマス酵素処理用前処理法
KR20120136797A (ko) * 2011-06-10 2012-12-20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무인 비행체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234B1 (ko) 2005-04-20 2007-01-12 오원섭 수직이착륙기
JP6006199B2 (ja) 2011-03-31 2016-10-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蛍光観察装置
JP2016505435A (ja) 2012-11-15 2016-02-25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多重回転子無人航空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10U (ko) 2017-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57135A1 (en) Self-righting aeronautical vehicle and method of use
CN108569395A (zh) 具有管道结构的无人驾驶飞行器
US20180126294A1 (en) Connector for magnetic modules and toy construction kits employing same
KR200485255Y1 (ko) 완구용 비행 장치
US20150298017A1 (en) Hand-launched, solar-powered aircraft
CN108622381A (zh) 一种飞行器用降落缓冲底座
KR20170120802A (ko) 나무 재질의 조립식 드론키트 제조방법
KR101807082B1 (ko) 지면 이동 및 자력 상승 가능한 드론
CN100569328C (zh) 一种具有多个多面体形状部件的玩具
KR20190092733A (ko) 완구용 로켓 장치
JP6749536B1 (ja) 簡易飛行物体
CN204395427U (zh) 一种两轴全向旋转座椅
Bilen et al. MAKER: applying 3D printing to model rocketry to enhance learning in undergraduate engineering design projects
KR200489054Y1 (ko) 교육 실험용 비행기
CN114187806A (zh) 一种vr模拟直升机飞行平台
KR20050051700A (ko) 자석 조립완구
CN220232594U (zh) 一种飞行器模型结构
KR20170040876A (ko) 로터 자력 상승형 드론
US4106232A (en) Toy glider
KR20200116604A (ko) 블록단위의 자유로운 분해 조립이 가능한 드론
CN217348219U (zh) 一种无人机缓冲脚架
CN208493204U (zh) 一种六自由度赛车游戏平台
CN214714348U (zh) 多功能飞行器玩具组件
CN211462061U (zh) 一种新型玩具飞机
CN114677875A (zh) 无人机训练模拟场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