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745A -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 Google Patents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745A
KR20200082745A KR1020180173626A KR20180173626A KR20200082745A KR 20200082745 A KR20200082745 A KR 20200082745A KR 1020180173626 A KR1020180173626 A KR 1020180173626A KR 20180173626 A KR20180173626 A KR 20180173626A KR 20200082745 A KR20200082745 A KR 20200082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mbal
mission equipment
installation
upper ba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649B1 (ko
Inventor
이승렬
이해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Priority to KR102018017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6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16M11/123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the axis of rotation intersecting in a single point, e.g. by using gimb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비행체에 임무장비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짐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벌룬, 열기구, 무인항공기, 드론 등의 무인비행체에 기상관측장비 또는 관측카메라 등의 임무장비가 바람에 의한 흔들림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베이스와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부에 스트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완충부재를 이용하여 연결설치되는 하부베이스로 구성됨으로써, 무인비행체의 흔들림이 임무장비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임무장비의 임무수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Gymbal for installation of mission equipment}
본 발명은 무인비행체에 임무장비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짐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벌룬, 열기구, 무인항공기, 드론 등의 무인비행체에 기상관측장비 또는 관측카메라 등의 임무장비가 바람에 의한 흔들림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계류기구 또는 항공기(이하, '무인비행체'라 한다.)에는 RF터브, 관측카메라, 전자파송수신장치, 기상관측장비 등과 같이 비행하면서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다양한 임무장비가 탑재된다.
상기와 같은 임무장비는 주로 무인비행체의 저부에 마련된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무인비행체의 흔들림에 의해 같이 흔들리게되고, 급격한 흔들림에 의해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무인비행체는 비행상태에서 바람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되고, 이와 같은 흔들림에 의해 장착부에 설치된 임무장비가 함께 흔들리게 되어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급격한 흔들림에 의해 상기 장착부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후 추락하여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임무장비는 무인비행체가 급격하게 승하강 및 이동되거나 흔들리게 되는 경우 장착부에 흔들림 또는 충격이 전달되고, 상기 장착부에 전달된 흔들림 또는 충격을 고스란히 전달받아 분리 또는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이에 따라 전달되는 흔들림 또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장착부(짐벌)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앞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인비행체에 설치되어 임무장비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100775호에는 상면에 중앙에 역 "V"형 측면을 구비하고 드론 동체 저부의 짐벌 고정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고정구를 구비한 상부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고정 플레이트의 저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링형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고정 플레이트와 링형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각각 120도 각도 차를 두고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고정 플레이트와 링형 하부 플레이트가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3개의 간격 유지봉과; 중앙에 환봉결합용 볼트 결합공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고정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3개의 스프링 댐퍼를 통해 상기 링형 하부 플레이트와 탄력적으로 결합된 형태를 갖고 환봉을 통해 전달되는 카메라의 하중 위치변화에 대응하여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되는 플로팅 플레이트와; 각각 120도의 각도 차를 갖고 상기 간격 유지봉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단부가 각각 상기 링형 하부 플레이트 내측과 플로팅 플레이트의 외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상기 환봉과 플로팅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되는 카메라의 하중 이동에 대응하여 각각 그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가 유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 및 드론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3개의 스프링 댐퍼와; 상단 볼트가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의 볼트 결합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카메라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카메라의 하중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링형 하부 플레이트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되며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를 통해 스프링 댐퍼들에 전달하여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가 스프링 댐퍼들을 완충시키며 카메라의 하중 위치변화에 대응하여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하는 환봉;으로 구성되는 드론을 이용한 가상현실 촬영용 카메라 짐벌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임무장비에 전달되는 흔들림 중 수평방향에 대한 흔들림을 최소화할 뿐 승하강에 따른 흔들림에 대한 충격을 완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10077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임무장비가 상기 무인비행체의 흔들림에 의해 주어진 임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의 사이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무인비행체의 흔들림의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에 임무장비가 설치되는 짐벌에 있어서,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상부베이스와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부에 완충되도록 복수 개의 완충부재로 이격되어 연결설치되고, 하부에 임무장비가 설치되는 하부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가 무인비행체에 결합되는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호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거나, 호 형태인 스트링 대신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거나,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이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구체 또는 타원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베이스는 관통형성되는 인입홀과, 하부에 설치되되, 압축력에 저항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은 상기 상부베이스의 인입홀에 내입되어 하부가 지지브라켓에 결합되고, 상부가 무인비행체에 결합되는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호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베이스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에 하부가 결합되는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보조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베이스는 상부면 일측 전후방과 타측 전후방에 돌출형성되는 두 쌍의 제1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은 상기 두 쌍의 제1고리 중 한 쌍의 제1고리를 통과하고, 양측이 무인비행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완충부재는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이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구체 또는 타원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되, 인장력에 저항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은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베이스와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부에 스트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완충부재를 이용하여 연결설치되는 하부베이스로 구성됨으로써, 무인비행체의 흔들림이 임무장비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임무장비의 임무수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짐벌이 무인비행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짐벌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짐벌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짐벌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의한 짐벌을 나타낸 사시도(a)와 측면도(b).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의한 짐벌을 나타낸 사시도(a)와 측면도(b).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의한 짐벌을 나타낸 사시도(a)와 측면도(b).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7에 의한 짐벌을 나타낸 사시도(a)와 측면도(b).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8에 의한 짐벌을 나타낸 사시도(a)와 측면도(b).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9에 의한 짐벌을 나타낸 사시도(a)와 측면도(b).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10에 의한 짐벌을 나타낸 사시도(a)와 측면도(b).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11에 의한 짐벌을 나타낸 사시도(a)와 측면도(b).
본 발명은 무인비행체에서 임무장비가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는 짐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벌룬, 열기구, 무인항공기, 드론 등의 무인비행체에 기상관측장비 또는 관측카메라 등의 임무장비가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무인비행체로부터 흔들림 등의 진동의 전달이 최소화 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상부베이스(100)와 상기 상부베이스(100)의 하부에 복수 개의 완충부재(300)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하부베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에 임무장비가 설치되는 짐벌에 있어서,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상부베이스(100);와 상기 상부베이스(100)의 하부에 완충되도록 복수 개의 완충부재(300)로 이격되어 연결설치되고, 하부에 임무장비가 설치되는 하부베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베이스(100)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가 무인비행체에 결합되는 지지봉(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완충부재(300)는 호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거나, 호 형태인 스트링 대신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거나,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이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구체 또는 타원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베이스(100)는 관통형성되는 인입홀(110);과, 하부에 설치되되, 압축력에 저항하는 탄성부재(120); 및 상기 탄성부재(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은 상기 상부베이스(100)의 인입홀(110)에 내입되어 하부가 지지브라켓(130)에 결합되고, 상부가 무인비행체에 결합되는 지지봉(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완충부재(300)는 호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베이스(100)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30)에 하부가 결합되는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보조완충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베이스(100)는 상부면 일측 전후방과 타측 전후방에 돌출형성되는 두 쌍의 제1고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은 상기 두 쌍의 제1고리(140) 중 한 쌍의 제1고리(140)를 통과하고, 양측이 무인비행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완충부재(300)는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완충부재(300)는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이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구체 또는 타원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의 사이에 설치되되, 인장력에 저항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와 이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상부베이스(100)는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직접연결되거나,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지지봉(400) 또는 와이어(60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무인비행체의 흔들림 등에 의한 진동(이하 '흔들림'이라 한다.)의 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1에서의 본 발명의 상부베이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직접연결설치될 수 있도록 사방으로 돌출형성되고, 결합홀(미표시)이 형성된 결합부(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홀과 결합부를 이용하여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직접연결된다.
이때, 실시예1에서의 본 발명의 상부베이스는 앞서 설명된 지지봉(400) 또는 와이어(600)에 의해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연결되지 않지만,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복수 개의 완충부재(300)에 의해 흔들림의 전달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종래의 장착부 즉, 짐벌의 상부베이스는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직접 설치되고, 이후에 설명될 하부베이스가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부에 직접연결되어 상기 무인비행체의 흔들림을 고스란히 전달 받았다면, 본 발명의 상부베이스(100)는 무인비행체에 직접 연결되기 보다는 상기 지지봉(400)에 의해 연결되거나, 상기 지지봉(400) 보다는 와이어(600)에 의해 연결되고, 완충부재(300)에 의해 하부베이스(200)가 연결됨으로써, 흔들림이 더욱더 최소화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하부베이스(200)는
상기 상부베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임무장비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완충부재(300)를 통해 상기 상부베이스(100)의 하부에 연결설치됨으로써, 무인비행체의 흔들림 즉, x, y, z방향의 흔들림이 완충되어 하부에 설치된 임무장비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하부베이스(200)는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상부베이스(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한데, 이는 금형에 따른 제조비용의 상승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실시예1에서의 본 발명의 하부베이스(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베이스(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는데, 이는 상기 상부베이스(100)가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직접연결될 때, 더욱더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실시예1에서의 본 발명의 완충부재(30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호 형태의 스트링으로 형성되거나, 환형의 형태의 스트링으로 형성되거나,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이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구체 또는 타원체로 형성되어 무인비행체로부터 전달되는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호 형태의 스트링보다는 환형의 형태의 스트링이 더욱더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환형의 형태의 스트링보다는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이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구체 또는 타원체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더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2 내지 실시예4를 도 2 내지 5와 앞서 설명된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2 내지 실시예4에서의 본 발명의 짐벌은 앞서 설명된 상부베이스(100)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가 무인비행체에 결합되는 지지봉(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봉(400)에 의해 짐벌이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연결설치된다.
이때, 실시예2 내지 실시예4에서의 본 발명의 상부베이스(100)는 복수 개의 완충부재(300)가 균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원반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베이스(100)의 상부에 상기 지지봉(400)의 하부가 고정결합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지지봉(400)은 본 발명의 짐벌을 무인비행체의 하부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무인비행체의 흔들림의 진동을 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즉, 무인비행체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흔들림이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에 전달되는 것을 줄여주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길이가 길수록 무인비행체의 흔들림이 더욱더 감쇄되어 상부베이스(100) 및 하부베이스(200)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지지봉(400)은 길이가 길수록 흔들림의 전달이 약하기 때문에 완충부재(300)에 의해 하부베이스(200)에 전달되는 흔들림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지지봉(400)의 길이가 너무 긴경우 바람에 의해 본 발명의 짐벌이 흔들릴 수 있으므로, 약 50cm ~ 110cm 가량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의 상기 완충부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형태인 스트링 대신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스트링과 이후에 설명될 모든 스트링의 구성은 강철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호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지므로, 무인비행체로부터 전달되는 흔들림이 탄성력에 의해 완충되어 임무장비가 설치된 하부베이스(200)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3에서의 상기 완충부재(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앞서 설명된 호 형태보다 더욱더 안정적인 탄성력을 가지게 되어 무인비행체로부터 전달되는 흔들림이 탄성력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완충되어 임무장비가 설치된 하부베이스(200)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4에서의 상기 완충부재(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이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구체 또는 타원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앞서 설명된 환형의 형태보다 더욱더 안정적인 탄성력을 가지게 되어 무인비행체로부터 전달되는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5와 실시예6을 도 6과 도 7 및 앞서 설명된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5에서의 본 발명의 상부베이스(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인입홀(110)과, 하부에 상부가 고정설치되되, 압축력에 저항하는 탄성부재(120) 및 상기 탄성부재(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실시예5에서의 본 발명의 짐벌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실시예2 내지 4에서 설명된 지지봉(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봉(400)은 실시예 2 내지 4에서와 다르게 상기 상부베이스(100)의 인입홀(110)에 내입되어 하부가 상기 지지브라켓(13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실시예5에서의 본 발명의 짐벌은 상기 지지봉(400)의 하부 말단이 압축력에 저항하는 탄성부재(120)와 지지브라켓(130)에 의해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의 사이에 위치되고, 무인비행체로부터 전달되는 흔들림에 의해 상기 지지봉(400)의 하부 말단이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의 사이에서 유동되어 임무장비에 전달되는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실시예6에서의 본 발명의 짐벌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인, 상기 상부베이스(100)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30)에 하부가 결합되는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보조완충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보조완충부재(500)를 통해 지지봉(400)의 유동이 더욱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즉, 무인비행체의 흔들림에 의해 유동되는 지지봉(400)의 유동이 급격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인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120)와 지지브라켓(13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실시예5와 실시예6에서의 상기 완충부재(300)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호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탄성부재(120)와 지지브라켓(130)과 함께 무인비행체로부터 전달되는 흔들림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완충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실시예5와 실시예6에서의 상기 완충부재(300)는 상기 탄성부재(120)와 지지브라켓(130)에 의해 실시예3 및 실시예4와 같이, 환형의 형태의 스트링은 구성될 수 없고 상기 탄성부재(120)는 일예로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7 내지 실시예11을 도 8 내지 12와 앞서 설명된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7 내지 실시예11에서의 본 발명의 상부베이스(100)는 도 8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일측 전후방과 타측 전후방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두 쌍의 제1고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7 내지 실시예11에서의 본 발명의 짐벌은 상기 두 쌍의 제1고리(140) 중 한 쌍의 제1고리(140)를 통과하고, 양측이 무인비행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실시예7 내지 실시예11에서의 본 발명의 짐벌은 상기 두쌍의 제1고리(140)와 한 쌍의 와이어(600)를 통해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무인비행체에 흔들림이 발생한 경우 상기 와이어(600)를 따라 이동되어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실시예11에서의 상부베이스(100)는 상부에 상부면 일측 전후방과 타측 전후방에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고리(140)와 직교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두 쌍의 제2고리(1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의 짐벌은 상기 두 쌍의 제2고리(142) 중 한 쌍의 제2고리(142)를 통과하고, 양측이 무인비행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제1고리(140)가 와이어(600)를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게 하였다면, 상기 제2고리(142)는 와이어(600)를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게 하여 무인비행체의 전후 및 좌우방향의 흔들림을 모두 완충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실시예7 내지 실시예11에서의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는 도 8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송풍홀(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송풍홀을 통해 바람이 통과되도록 하여 바람에 의한 저항을 줄여 무인비행체의 흔들림 외에 바람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실시예7에서의 완충부재(300)는 호의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같이 무인비행체의 흔들림을 완충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실시예8에서의 완충부재(300)는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실시예9 내지 11에서의 완충부재(300)는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이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구체 또는 타원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같이 무인비행체의 흔들림을 완충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실시예7 내지 실시예11에서의 상부베이스(100)는 상기 두 쌍의 제1고리(140)가 설치되기 위해 실시예2 내지 실시예6과 다르게 다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따라 실시예2 내지 실시예6보다 더욱 많은 갯수의 완충부재(300)가 설치될 수 있어 더욱더 안정적으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실시예10과 실시예11에서의 본 발명의 짐벌은 상기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의 사이에 설치되되, 인장력에 저항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700)는 일예로, 인장력에 저항하는 합성수지재질의 고무줄일 수 있고,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충부재(300)의 탄성력이 원활하게 작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실시예10과 실시예11에서의 상기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는 상기 탄성부재(7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상부와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부베이스(100)는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부(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베이스(200)는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부돌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부(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700)는 상부가 상기 상부돌기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돌기부에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시예12로서, 실시예7 내지 실시예11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실시예5와 실시예6에서 언급된 인입홀(110)과 탄성부재(120)와 지지브라켓(130) 및 지지봉(4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실시예12는 와이어(600)와 함께 지지봉(400)을 이용하여 무인비행체의 흔들림 발생시 짐벌 전체가 크게 유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높은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어 흔들림을 효율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특히, 실시예12는 하중이 비교적 무거운 임무장비를 이용하여 임무를 수행할 때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무인비행체 20 : 임무장비
30 : 짐벌 100 : 상부베이스
110 : 인입홀 120, 700 : 탄성부재
130 : 지지브라켓 140 : 제1고리
142 : 제2고리 200 : 하부베이스
300 : 완충부재 400 : 지지봉
500 : 보조완충부재 600 : 와이어

Claims (10)

  1.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에 임무장비가 설치되는 짐벌에 있어서,
    무인비행체의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상부베이스(100);와
    상기 상부베이스(100)의 하부에 완충되도록 복수 개의 완충부재(300)로 이격되어 연결설치되고, 하부에 임무장비가 설치되는 하부베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은
    상기 상부베이스(100)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가 무인비행체에 결합되는 지지봉(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완충부재(300)는
    호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0)는
    호 형태인 스트링 대신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0)는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이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구체 또는 타원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베이스(100)는
    관통형성되는 인입홀(110);과,
    하부에 설치되되, 압축력을 갖는 탄성부재(120); 및
    상기 탄성부재(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은
    상기 상부베이스(100)의 인입홀(110)에 내입되어 하부가 지지브라켓(130)에 결합되고, 상부가 무인비행체에 결합되는 지지봉(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완충부재(300)는
    호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은
    상기 상부베이스(100)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30)에 하부가 결합되는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보조완충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베이스(100)는
    상부면 일측 전후방과 타측 전후방에 돌출형성되는 두 쌍의 제1고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은
    상기 두 쌍의 제1고리(140) 중 한 쌍의 제1고리(140)를 통과하고, 양측이 무인비행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0)는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0)는
    환형의 형태인 스트링이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구체 또는 타원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은
    상기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의 사이에 설치되되, 인장력을 갖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KR1020180173626A 2018-12-31 2018-12-31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KR102155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26A KR102155649B1 (ko) 2018-12-31 2018-12-31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26A KR102155649B1 (ko) 2018-12-31 2018-12-31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45A true KR20200082745A (ko) 2020-07-08
KR102155649B1 KR102155649B1 (ko) 2020-09-14

Family

ID=7160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626A KR102155649B1 (ko) 2018-12-31 2018-12-31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6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0918A (zh) * 2021-03-31 2021-07-09 王春龙 一种甘蔗田间管理用车载监控巡逻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399056B1 (ko) * 2022-01-06 2022-05-17 (주)미래시티글로벌 와이어 이동형 구조물 검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구조물 검사 장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4759A (en) * 1989-11-28 1991-07-23 Ronald Watson Photo device
KR101692710B1 (ko) * 2016-07-27 2017-01-06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영상데이터의 실시간 영상처리 시스템
KR20170083980A (ko) * 2017-05-31 2017-07-19 주식회사 하우앳 촬영 모듈의 방진 구조를 가지는 헬리캠
KR20170095553A (ko) * 2016-02-15 2017-08-23 공화진 크린룸용 드론
KR20170100775A (ko) 2016-02-26 2017-09-05 송기준 드론을 이용한 가상현실 촬영용 카메라 짐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4759A (en) * 1989-11-28 1991-07-23 Ronald Watson Photo device
KR20170095553A (ko) * 2016-02-15 2017-08-23 공화진 크린룸용 드론
KR20170100775A (ko) 2016-02-26 2017-09-05 송기준 드론을 이용한 가상현실 촬영용 카메라 짐벌
KR101692710B1 (ko) * 2016-07-27 2017-01-06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영상데이터의 실시간 영상처리 시스템
KR20170083980A (ko) * 2017-05-31 2017-07-19 주식회사 하우앳 촬영 모듈의 방진 구조를 가지는 헬리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0918A (zh) * 2021-03-31 2021-07-09 王春龙 一种甘蔗田间管理用车载监控巡逻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399056B1 (ko) * 2022-01-06 2022-05-17 (주)미래시티글로벌 와이어 이동형 구조물 검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구조물 검사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649B1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1451B1 (ja) 飛行体の保護部材
CN108458038B (zh) 减震装置及采用该减震装置的车载云台
US9988145B2 (en) Supporting assembly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 same
US20180128338A1 (en) Shock absorber for aircrafts
CN107310740B (zh) 一种云台相机和无人机
KR20200082745A (ko) 임무장비 설치용 짐벌
US20210316880A1 (en) Unmanned vehicle
CN104791412B (zh) 无人机传感器及设备减震平台
KR20170100775A (ko) 드론을 이용한 가상현실 촬영용 카메라 짐벌
WO2018053925A1 (zh) 云台减震装置及拍摄装置
US7510147B2 (en) Vibration damping pylon
US5710945A (en) Resilient camera mount usable on a helicopter
CN103754377A (zh) 航拍云台
KR102122074B1 (ko) 선박용 스크린 골프 장치
JP5130785B2 (ja) 塔状構造物の制振方法および装置
US7226024B2 (en) Magnetic altitude adjusting mechanism
CN109681576B (zh) 一种用于高频与低频减震的无人机偏转装置
CN205559664U (zh) 减震机构及使用该减震机构的无人飞行器
CN217301410U (zh) 一种用于无人驾驶运输器的减震组件以及一种无人驾驶运输器
EP3505452A1 (en) Vibration control device and unmanned aircraft
CN209617464U (zh) 一种具有缓冲吸震功能的无人机起落支架
CN204674841U (zh) 航拍器
CN210592470U (zh) 吊舱减震机构
CN106114914A (zh) 一种用于太阳翼板吊挂的柔性吊挂装置
JPH0228746B2 (ja) Furikoshikidokyushink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