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972A -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 Google Patents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972A
KR20220068972A KR1020220059694A KR20220059694A KR20220068972A KR 20220068972 A KR20220068972 A KR 20220068972A KR 1020220059694 A KR1020220059694 A KR 1020220059694A KR 20220059694 A KR20220059694 A KR 20220059694A KR 20220068972 A KR20220068972 A KR 20220068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length
leg
support
multipurp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성
Original Assignee
김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1668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42317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점성 filed Critical 김점성
Publication of KR20220068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25Uprights secured to ceiling and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02Plinths, e.g. between furniture and ceiling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16Uprights receiving panels and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92Details of rods for suspending clothes-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바닥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하부 받침부; 천장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상부 받침부; 복수 개의 관체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양단이 상기 상부 받침부와 하부 받침부에 각각 연결되며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천장과 바닥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기둥부; 일단이 상기 기둥부에 설치되고 양갈래로 분기되어 타단 각각이 주위의 구조물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양갈래지지부; 및 옷을 걸 수 있거나 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부에 설치된 선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변의 구조물에 지지됨으로써 옷이나 물건 등의 편중에 의한 전도가 방지되며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행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수납장 또는 선반 등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MULTI-PURPOSE HANGER FOR PREVENTING FALLING DOWN}
본 발명은 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행거 외의 다용도로 사용가능하면서 가구 및 물체의 전도(顚倒)를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행거는 옷걸이나 옷을 걸어 놓는 기구로, 지주의 하단에 받침판을 형성하여 바닥에 세워지게 설치된다.
통상 행거는 공간의 활용을 위해 벽면 또는 구석에 가깝게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종래에는 바닥과 천장에 대하여 수직된 지지력을 얻기 위해 지주의 하단 뿐만 아니라 지주의 상단이 각각 바닥과 천장을 가압하는 행거가 개시된 바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5439호(2012.10.02. 공고, 이하 특허문헌 1이라 칭함)는 바닥과 천장 사이에 지지되는 행거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지주가 바닥과 천장에 지지되더라도 걸이대에 의류 등이 걸림에 따라 무게의 편중이 발생하고 행거가 버티지 못하여 전도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안전사고를 일으킬 염려가 있다.
KR 10-1185439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의 구조물에 지지됨으로써 전도를 방지하는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건을 비치하더라도 상기 물건의 편중에 의해 전도가 방지되는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도를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는, 바닥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하부 받침부; 천장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상부 받침부; 복수 개의 관체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양단이 상기 상부 받침부와 하부 받침부에 각각 연결되며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천장과 바닥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서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둥부의 바닥에 대한 지지력을 보조하는 다리부;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서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주위의 구조물에 접촉하여 지지가능한 지지부; 및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서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부에 설치된 선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부는 상기 천장에 대하여 ‘T’자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부는, 상기 기둥부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체; 상기 삽입체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천장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부받침판; 및 상기 상부 받침판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과 밀착되며, 상기 천장에 대하여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 방지수단이 마련된 탄성받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수단은 상기 천장에 밀착되는 면에 형성된 요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다리회동체; 상기 기둥부 상에서 상기 다리회동체의 높이를 결정하는 제1높이결정수단; 상기 바닥과 평행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일단이 상기 다리회동체에 연결되는 제1수평다리와, 상기 기둥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일단이 상기 제1수평다리의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게 연결되며 타단이 바닥에 접하는 제1수직다리를 포함하는 제1다리; 및 상기 제1다리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다리와 대칭적으로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다리회동체에 연결되는 제2수평다리와, 상기 기둥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일단이 상기 제2수평다리의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게 연결되며 타단이 바닥에 접하는 제2수직다리를 포함하는 제2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다리회동체는,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1수평다리와 연결되는 제1다리회동체; 및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다리회동체의 내측면 사이에서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배치되는 제2다리회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다리회동체는 회동시 상기 제2다리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회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와 상기 제2다리가 180°보다 적은 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1다리와 제2다리 상부에 배치가능한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다리회동체에 연결되고 상기 테이블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이 끼워지는 끼움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다리와 제2수평다리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블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테이블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회동체; 상기 기둥부 상에서 상기 지지회동체의 높이를 결정하는 제2높이결정수단; 상기 지지회동체와 연결되고, 상기 기둥부와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막대; 상기 길이조절막대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며 상기 길이조절막대의 길이조절을 제한하는 제1길이결정수단; 및 상기 제1길이결정수단에 설치되며 주위의 구조물의 모서리 부분에 접하는 ‘ㄱ’자 형의 꺽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막대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상기 제2높이결정수단에 연결되는 제1길이조절막대; 및 상기 제1길이조절막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가능한 제2길이조절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선반회동체; 상기 기둥부 상에서 상기 선반회동체의 높이를 결정하는 제3높이결정수단; 상기 선반회동체에 고정되는 회동지지체; 및 상기 회동지지체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물건을 거치 가능한 선반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선반대는, 외면에 상기 회동지지체에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회동연결고리가 마련되고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상기 기둥부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도록 상기 가로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세로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선반대는, 판체 형상의 선반이 상기 선반대 내측에 거치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선반거치대; 및 상기 세로대 상에서 상기 선반거치대의 위치를 결정하는 선반거치대조절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상기 가로대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는 제1세로대; 상기 제1세로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제2세로대; 및 상기 제1 및 제2세로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길이결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제2세로대의 끝단에 마련되어 벽걸이 TV를 고정시키기 위해 TV와 결합가능한 TV 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다리부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선반부를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차단가능한 커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있어서, 상기 커튼부는,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기둥부에 설치되는 커튼지지체; 상기 커튼지지체의 높낮이 변경을 제한하는 제4높이결정수단; 및 상기 커튼지지체를 관통하고 ‘ㄷ’자 또는 ‘ㅁ’자 또는 ‘ㅇ’자 형상으로 형성된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의 시각을 차단가능한 커튼이 상기 길이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커튼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구나 행거가 지진 등의 이유로 전도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사망사고 및 가구나 행거에 깔리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행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TV 거치대, 수납장 또는 선반 등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다리부가 오므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상부 받침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상부 받침부의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기둥부에 다리가 회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다리회동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을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다른 실시예로써, 테이블을 끼울 수 있는 끼움구와 체결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테이블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서랍장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서랍장과 선반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선반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다른 실시예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TV 고정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커튼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1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다리부가 오므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상부 받침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상부 받침부의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기둥부에 다리가 회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다리회동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을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다른 실시예로써, 테이블을 끼울 수 있는 끼움구와 체결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테이블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서랍장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서랍장과 선반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선반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다른 실시예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TV 고정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에 커튼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는 하부 받침부(100), 상부 받침부(미도시), 기둥부(300), 다리부(400), 지지부(500) 및 선반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받침부(100)는 바닥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상부 받침부(200)는 천장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기둥부(300)의 길이 조절 또는 하부 받침부(100)와 상부 받침부(200) 자체적으로 길이를 조절하는 동작 등에 의해 상기 바닥과 천장에 가압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는 지지될 수 있다.
상부 받침부(200)는 삽입체(210)와 상부받침판(220) 및 탄성받침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체(210)는 후술하는 상부받침판(220)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하단이 개구된 중공형의 기둥형상일 수 있다. 삽입체(210)는 후술하는 기둥부(30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기둥부(300)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받침판(220)은 천장과 대면하는 판체형상일 수 있다. 상부받침판(220)은 하측으로 삽입체(210)가 돌출될 수 있다. 도면에는 ‘T’자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제작자의 선택사항으로 특별히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탄성받침판(230)은 천장과 접하며, 상부받침판(220)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받침판(230)은 상부받침판(220)의 일면에 부착되어 천장에 접면가능하고, 후술하는 기둥부(300) 또는 상부 받침부(200) 자체적으로 길이를 조절하는 동작 등에 의해 발생하는 천장에 대한 가압력을 일부 상쇄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받침판(230)은 미끄럼 방지부재(미부호)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오목부분과 볼록부분이 교번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3과 도 4에는 상부 받침부(200)가 도시되고 하부 받침부(100)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부 받침부(200)와 같은 구성으로 상부 받침부(200)와 대칭적으로 바닥에 밀착되어 가압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본 발명을 이해해야할 것이다.
기둥부(300)는 복수 개의 관체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관체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기둥부(300)는 하부 받침부(100)와 상기 상부 받침부 사이에 배치되고 연결될 수 있다. 기둥부(300)는 양단이 하부 받침부(100)와 상기 상부 받침부에 각각 연결되며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바닥과 천장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바닥과 천장으로부터 지지되도록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기둥부(300)는 제1기둥부(310)와 제2기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둥부(300)가 제1 및 제2기둥부(310, 320) 2개의 관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둥부(300)는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둥부(310)는 하부 받침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기둥부(310)는 상기 바닥에 대하여 길이방향을 상방으로 가질 수 있다. 제1기둥부(310)는 상기 바닥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기둥부(320)의 상단은 상기 상부 받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기둥부(320)는 상기 천장에 대하여 길이방향을 하방으로 가질 수 있다. 제2기둥부(320)는 상기 천장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부(300)는 상기 천장과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직이 아닌 곳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기둥부(300)는 상기 천장과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 받침부(100)와 상기 상부 받침부는 그 각도를 변경이 가능한 볼 조절구 및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기둥부(300)는 어느 하나의 관체로만 이루어지고, 하단과 상단에 높이 조절 나사 등이 마련되어 상기 바닥과 천장을 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리부(400)는 기둥부(300)의 외주면에서 회동이 가능하다. 다리부(400)는 바닥에 대한 지지력을 보조하여 확보할 수 있다.
다리부(400)는 다리회동체(410)와 제1높이결정수단(420), 제1다리(430) 및 제2다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다리회동체(410)는 관체형상으로 기둥부(300)의 외주면에 다리부(400)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리회동체(410)는 기둥부(300)의 외측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다리회동체(410)는 제1다리회동체(411)와 제2다리회동체(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다리회동체(411)는 기둥부(300)의 외주면에서 기둥부(300)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후술하는 제1다리(430)의 제1수평다리(43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다리회동체(411)는 회피부(411a)가 형성될 수 있고, 회피부(411a)는 제1다리(430)와 제2다리(440)의 회동시 서로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참고로, 회피부(411a)는 후술하는 제2다리회동체(412)가 제1다리회동체(411)에 삽입될 때 제2다리(440)가 이동되며 간섭되지 않도록 상단의 개구부(미부호)와 이어지도록 별도의 회피부(미부호)를 마련할 수 있다.
제2다리회동체(412)는 기둥부(300)의 외주면과 제1다리회동체(411)의 내측면 사이에서 기둥부(300)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후술하는 제2다리(440)의 제2수평다리(44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는 기둥부(300)의 외주면에 제2다리회동체(412)가 마련되고, 제2다리회동체(412)의 외주면에 제1다리회동체(411)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다리(430) 및 제2다리(440)가 기둥부(30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서로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회피부(411a)만 마련된다면 그 배치 순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리회동체(410)는 기둥부(300)상에서 제1높이결정수단(420)에 의해 높이가 결정된다.
예컨대, 다리회동체(41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다리회동체(412) 각각에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제1높이결정수단(420)은 볼트와 같이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며, 제1높이결정수단(420)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기둥부(300)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다리회동체(410)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제1다리(430)는 제1수평다리(431)와 제1수직다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평다리(431)는 상기 바닥과 평행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수평다리(431)는 일단이 제1다리회동체(4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수직다리(432)는 기둥부(300)와 평행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수직다리(432)는 일단이 제1수평다리(431)의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게 연결되며, 타단이 바닥에 접할 수 있다. 이때, 제1수직다리(432)의 타단에는 롤러(미도시) 등이 마련되어 제1다리(430)의 회동을 더욱 원할하게 보조할 수 있다.
제2다리(440)는 제2수평다리(441)와 제2수직다리(442)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1다리(430)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상기 제1다리(430)의 설명으로 준용하고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다리(430)와 제2다리(440)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180°보다 작은 각도로 좁혀지게 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둥부(300)와 제1다리(430) 및 제2다리(440)가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다리(430) 및 제2다리(440)의 상부에는 판체(미도시)를 배치함으로써, 선반(미도시)이나 테이블(T)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다리(430)와 제2다리(440)가 180°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며, 제1수평다리(431)와 제2수평다리(441)에 각각 체결구(433, 443)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다리회동체(410), 즉 제1다리회동체(411)에는 끼움구(413)가 마련될 수 있고, 테이블(T)은 제1 및 제2수평다리(431, 441)와 끼움구(4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체결구(433, 443)는 테이블(T)의 하면에 위치하여 테이블(T)과 체결되어 테이블(T)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끼움구(413) 역시 테이블(T)의 상면에 위치하여 볼트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테이블(T)을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500)는 주위의 구조물에 접촉하여 지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500)는 기둥부(300)의 외주면에서 상하로 위치조절가능하고, 기둥부(300)의 외주면에서 기둥부(30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500)는 지지회동체(510)와 제2높이결정수단(520), 길이조절막대(530), 제1길이결정수단(540) 및 꺾쇠(5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회동체(510)는 기둥부(30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고, 기둥부(300)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지지회동체(510)는 기둥부(300)의 외측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2높이결정수단(520)은 기둥부(300) 상에서 지지회동체(510)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회동체(510)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제2높이결정수단(520)은 볼트와 같이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높이결정수단(520)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기둥부(300)의 외주면 일부를 가압하면 지지회동체(510)가 기둥부(300)에 고정 또는 이동제한되며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길이조절막대(530)는 지지회동체(510)와 연결될 수 있다. 길이조절막대(530)는 기둥부(300)와 수직방향 즉, 바닥에 수평한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길이조절막대(530)는 제1길이조절막대(531)와 제2길이조절막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길이조절막대(531)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양단이 개구된 중공의 관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길이조절막대(531)의 내부에는 2개의 제2길이조절막대(532)가 수용되며 제2길이조절막대(532)가 제1길이조절막대(531)의 양단으로 적어도 일부 노출되며 슬라이딩 가능하다. 즉, 제2길이조절막대(532)는 제1길이조절막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1길이결정수단(540)은 길이조절막대(53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길이결정수단(540)은 길이조절막대(530)의 길이조절을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길이조절막대(531)와 제1길이결정수단(540)은 서로 대응되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고 별도의 볼트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제1길이결정수단(540)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며 제2길이조절막대(532)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길이조절막대(530)의 길이 조절을 제한할 수 있다.
꺾쇠(550)는 제1길이결정수단(540)에 설치될 수 있다. 꺾쇠(550)는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주위의 구조물의 모서리에 접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조물의 모서리와 ‘ㄱ’자 형상의 꺾어진 부분이 서로 대응하여 접하고 지지력이 확보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는 전도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가 서랍장(D)에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1다리(430)와 제2다리(44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그 배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다리(430)와 제2다리(440)를 180°이상으로 벌려져 설치될 서랍장(D)과의 간섭을 배제한 후에 서랍장(D)을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10)는 후술하는 지지부(500)가 구조물에 접촉하여 지지함으로써 전도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1과와 도 12에서는 구조물로써 서랍장(D)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구조물은 서랍장(D)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가구 또는 구조물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은 서랍장(D)과 같이 이동가능한 가구가 아닌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고정된 구조물일 수 있다.
선반부(600)는 기둥부(300)에 설치되고 기둥부(300)의 외주면에서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선반부(600)는 기둥부(300)의 외주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반(S)이 선반대(640)에 배치되어 물품을 선반(S)에 거치가능하다.
선반부(600)는 선반회동체(610)와 제3높이결정수단(620), 회동지지체(630) 및 선반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회동체(610)는 기둥부(300)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선반회동체(610)는 기둥부(30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제3높이결정수단(620)은 기둥부(300) 상에서 선반회동체(610)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선반회동체(610)가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제3높이결정수단(620)이 볼트와 같이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며, 제3높이결정수단(620)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기둥부(300)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선반회동체(610)의 높이는 결정될 수 있다.
회동지지체(630)는 선반회동체(61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선반대(640)는 회동지지체(630)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선반(S)을 설치하여 물건을 거치가능하다.
선반대(640)는 가로대(641)와 세로대(642)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대(641)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질 수 있고, 기둥부(300)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로대(641)는 외면 일측에 마련된 회동연결고리(641a)를 포함하며, 회동지지체(630)에 회동연결고리(641a)가 회동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세로대(642)는 가로대(641)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도록 가로대(641)의 양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세로대(642)는 제1세로대(642a)와 제2세로대(642b) 및 제2길이결정수단(64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세로대(642a)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질 수 있고, 가로대(641)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세로대(642b)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제1세로대(642a)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세로대(642a)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2길이결정수단(642c)은 제1 및 제2세로대(642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세로대(642a)에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고, 볼트와 같은 나사산(미도시)을 포함하는 제2길이결정수단(642c)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제2세로대(642b)의 외면 일부를 가압함으로써 세로대(642)의 길이 조절은 제한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선반대(640)는 선반거치대(643)와 선반거치대 조절구(644)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거치대(643)는 판체 형상의 선반(S)이 선반대(640) 내측에 거치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어 선반(S)을 지지가능하다.
선반거치대 조절구(644)는 세로대(642) 상에 배치되고 선반거치대(643)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가로선반대(640)는 회동지지체(63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회동관절체(641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회동지지체(630)의 양단에는 관통공(611a)이 형성된 지지판체(611)가 마련되고, 회동관절체(641b)는 회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641c)이 마련되며, 장공(641c)과 관통공(611a)에 고정볼트(641d)가 삽입되고 고정너트(미부호)가 지지판체(611)와 고정볼트(641d)를 가압함으로써 선반대(640)의 회동은 제한될 수 있다.
가로대(641)에는 선반받침대(641e)가 마련될 수 있고, 선반받침대(641e)는 세로대(642)의 선반거치대(643)와 함께 선반(S)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선반대(640) 또는 선반(S)에는 벽걸이 TV 모니터가 설치되도록 TV 모니터 설치수단이 TV 고정구(642d)로써 마련될 수 있고, TV 모니터 설치수단은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으며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는 다양한 구조물이 추가로 설치가능하다.
예를 들면, 선반부(600)를 가로대(641) 2개와 세로대(642) 2개의 사각형상으로 배치하고, 기둥부(300)와 상기 사각형상의 선반부(600)의 가로대(641)를 끈과 같은 회동제한부재(미도시)를 통해 수평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각 가로대(641)와 세로대(642)에 비닐이나 천으로 형성된 커튼(미도시)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로써, 주위공간과 독립적인 공간이 탄생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커튼 내부에서 환복 또는 공부 등 다양한 행동을 수행가능하다.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10)는 커튼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튼부(700)는 기둥부(300) 상에서 다리부(400)와 지지부(500) 및 선반부(600)보다 더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튼부(70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리부(400)와 지지부(500) 및 선반부(600)를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차단가능하다.
커튼부(700)는 커튼지지체(710)와 제4높이결정수단(720) 및 커튼레일(730)을 포함할 수 있다.
커튼지지체(710)는 기둥부(300)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고, 기둥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커튼지지체(710)는 일측으로 돌출된 돌부(미부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부는 기둥부(300)와 수직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상기 돌부는 후술하는 커튼레일(730)이 관통할 수 있다.
제4높이결정수단(720)은 커튼지지체(710)의 높낮이 변경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커튼지지체(710)가 미리 정해진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는 제4높이결정수단(720)을 이용하여 커튼지지체(710)를 기둥부(300)의 외주면에 고정시킴으로써 높낮이 변경을 제한가능하다. 이때, 제4높이결정수단(720)은 커튼지지체(710)를 관통하는 볼트일 수 있고, 회전에 의해 기둥부(300)의 외면을 가압하여 커튼지지체(710)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커튼레일(730)은 커튼지지체(710)의 상기 돌부를 관통할 수 있다. 커튼레일(730)은 ‘ㄷ’자 또는 ‘ㅁ’자 또는 ‘ㅇ’자 형상으로 형성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의 시각을 차단가능한 커튼(미도시)이 커튼레일(730)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100 : 하부 받침부 200 : 상부 받침부 210 : 삽입체
220 : 상부받침판 230 : 탄성받침판 300 : 기둥부
310 : 제1기둥부 320 : 제2기둥부 400 : 다리부
410 : 다리회동체 411 : 제1다리회동체 411a : 회피부
412 : 제2다리회동체 413 : 끼움구 420 : 제1높이결정수단
430 : 제1다리 431 : 제1수평다리 432 : 제1수직다리
433 : 체결구 440 : 제2다리 441 : 제2수평다리
442 : 제2수직다리 443 : 체결구 500 : 지지부
510 : 지지회동체 520 : 제2높이결정수단 530 : 길이조절막대
531 : 제1길이조절막대 532 : 제2길이조절막대 540 : 제1길이결정수단
550 : 꺾쇠 600 : 선반부 610 : 선반회동체
611 : 지지판체 611a : 관통공 620 : 제3높이결정수단
630 : 회동지지체 640 : 선반대 641 : 가로대
641a : 회동연결고리 641b : 회동관절체 641c : 장공
641d : 고정볼트 641e : 선반받침대 642 : 세로대
642a : 제1세로대 642b : 제2세로대 642c : 제2길이결정수단
642d : TV 고정구 643 : 선반거치대 644 : 선반거치대 조절구
700 : 커튼부 710 : 커튼지지체 720 : 제4높이결정수단
730 : 커튼레일
T : 책상 D : 서랍장 S : 선반

Claims (7)

  1. 바닥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하부 받침부;
    천장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상부 받침부;
    복수 개의 관체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양단이 상기 상부 받침부와 하부 받침부에 각각 연결되며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천장과 바닥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서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둥부의 바닥에 대한 지지력을 보조하는 다리부;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서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주위의 구조물에 접촉하여 지지가능한 지지부; 및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서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부에 설치된 선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회동체;
    상기 기둥부 상에서 상기 지지회동체의 높이를 결정하는 제2높이결정수단;
    상기 지지회동체와 연결되고, 상기 기둥부와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막대;
    상기 길이조절막대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며 상기 길이조절막대의 길이조절을 제한하는 제1길이결정수단; 및
    상기 제1길이결정수단에 설치되며 주위의 구조물의 모서리 부분에 접하는 ‘ㄱ’자 형의 꺽쇠;
    를 포함하는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부는 상기 천장에 대하여 ‘T’자 형상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부는,
    상기 기둥부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체;
    상기 삽입체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천장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부받침판; 및
    상기 상부 받침판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과 밀착되며, 상기 천장에 대하여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 방지수단이 마련된 탄성받침판;
    을 포함하는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수단은 상기 천장에 밀착되는 면에 형성된 요철인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막대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상기 제2높이결정수단에 연결되는 제1길이조절막대; 및
    상기 제1길이조절막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가능한 제2길이조절막대;
    를 포함하는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다리부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선반부를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차단가능한 커튼부;
    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부는,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기둥부에 설치되는 커튼지지체;
    상기 커튼지지체의 높낮이 변경을 제한하는 제4높이결정수단; 및
    상기 커튼지지체를 관통하고 ‘ㄷ’자 또는 ‘ㅁ’자 또는 ‘ㅇ’자 형상으로 형성된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의 시각을 차단가능한 커튼이 상기 길이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커튼레일;
    을 포함하는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KR1020220059694A 2020-01-28 2022-05-16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KR202200689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9619 2020-01-28
KR1020200009619 2020-01-28
KR1020200116682A KR102442317B1 (ko) 2020-01-28 2020-09-11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682A Division KR102442317B1 (ko) 2020-01-28 2020-09-11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972A true KR20220068972A (ko) 2022-05-26

Family

ID=770796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697A KR20220070180A (ko) 2020-01-28 2022-05-16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KR1020220059694A KR20220068972A (ko) 2020-01-28 2022-05-16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697A KR20220070180A (ko) 2020-01-28 2022-05-16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20070180A (ko)
WO (1) WO202115399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439B1 (ko) 2010-09-28 2012-10-02 고한영 바닥과 천장 사이에 지지되는 행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1A (ja) * 1996-06-14 1998-01-06 Akaishi Kogyo Kk 家庭用棚枠構造
JP2005304991A (ja) * 2004-04-26 2005-11-04 Yoshitaka Arai 三面突っ張り構造
KR200473086Y1 (ko) * 2009-07-01 2014-06-10 이영철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JP2013132376A (ja) * 2011-12-26 2013-07-08 Esutsuu Corporation:Kk 家具転倒防止器具
CN208875713U (zh) * 2018-04-09 2019-05-21 山东智联家具有限公司 多功能拼桌支撑架联接器
CN209846550U (zh) * 2019-03-11 2019-12-27 长泰县永恒家具有限公司 一种便于携带的室内装饰物品悬挂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439B1 (ko) 2010-09-28 2012-10-02 고한영 바닥과 천장 사이에 지지되는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53994A1 (ko) 2021-08-05
KR20220070180A (ko) 202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4993A (en) Adjustable shelving unit
US6561107B1 (en) Foldable shelf assembly
NO311486B1 (no) Modul¶rt innredningssystem
KR200460213Y1 (ko)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자유낙하 방지장치
KR101613689B1 (ko) 접이식 선반
CN211961257U (zh) 一种可调支撑架
KR102442317B1 (ko)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KR20220068972A (ko)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KR102461923B1 (ko) 벽체 고정식 빨래 건조대
KR200467112Y1 (ko) 세탁물 건조대
RU195848U1 (ru) Стол регулируемый
KR20160041716A (ko) 다기능 복합 가구
NL2020837B1 (en) Sunlight-blocking article display stand
KR101794481B1 (ko)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선반이 구비된 건조대
RU2614967C1 (ru) Мольберт
KR200494455Y1 (ko)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회동억제 장치
CN211186339U (zh) 一种方便拆装的多功能衣柜
KR20140001103U (ko) 접이식 선반
KR100791986B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KR101441417B1 (ko) 가구의 좁은 공간에 수납되는 건조대
KR102083128B1 (ko)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KR200473928Y1 (ko) 가구 삽입형 건조대
KR200475617Y1 (ko) 다용도 기능을 갖는 가구
CN210581547U (zh) 一种可折叠挂桌
KR20130085896A (ko) 회전 접이식 ''탁자와 진열대 또는 조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