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986B1 -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986B1
KR100791986B1 KR1020070026844A KR20070026844A KR100791986B1 KR 100791986 B1 KR100791986 B1 KR 100791986B1 KR 1020070026844 A KR1020070026844 A KR 1020070026844A KR 20070026844 A KR20070026844 A KR 20070026844A KR 100791986 B1 KR100791986 B1 KR 100791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height
support
adjust
ir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739A (ko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ublication of KR2007003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봉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접었다 폈다하거나, 지지대의 길이를 신축하거나, 철봉을 높이가 다른 위치로 옮기면서 그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완전히 접어 벽체에 걸어둠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체의 양측에 2개의 고정판을 이격시켜 각각 고정하고, 각 고정판에는 연결봉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하며, 연결봉에는 연결관을 각각 고정하고,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을 갖는 2개의 바닥판 상부에 지지대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각 지지대의 상단부에는 각 연결봉의 연결관과 동일한 직경의 연결관을 각각 고정하며, 각 연결관을 관통하여 철봉을 고정하여 지지대와 연결봉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철봉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지지대를 2중관식으로 구성하여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철봉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지지대에 다단의 철봉수용공 또는 철봉걸이대를 구성하여 철봉을 다른 높이로 위치 변경하여 철봉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철봉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철봉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대와 연결봉을 접어 벽체에 밀착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는 것이며, 벽체로부터 고정판을 분리해주기만 하면 철봉 구조물 전체가 분리될 수 있으므로 다른 장소에 이전설치하기 매우 용이하고, 야외, 일반적인 가정, 관공소, 학교 등 다양한 장 소에 설치가 가능하여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철봉, 높이조절

Description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METHOD TO INSTALL IRON ROD REGULABLE IT'S HEIGH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보관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연결봉과 지지대 사이의 연결부위 상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벽체 2 : 고정판 3 : 앵커볼트
4 : 연결봉 5, 11 : 힌지 6,12 : 연결관
7 : 철봉 8 : 고무판 9 : 바닥판
10 : 지지대 13 : 고정링 14 : 요철부
21 : 내관 22 : 외관 23,24 : 철봉높이조절공
25 : 고정핀 26 : 철봉수용공 27 : 철봉걸이대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봉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접었다 폈다하거나, 지지대의 길이를 신축하거나, 철봉을 높이가 다른 위치로 옮기면서 그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완전히 접어 벽체에 걸어둠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철봉은 원형 파이프를 일정한 높이에 가로방향으로 지지시켜 이를 양손으로 파지하여 운동을 하는 운동기구의 한 종류로서, 야외에 설치할 때에는 양쪽에 수직으로 지지대를 고정한 상태에서 그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철봉을 고정 설치함이 보통이고,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양쪽 문틀에 고무재질로 된 지지판을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철봉을 고정함이 보통이다.
그러나, 상기한 야외에 설치하는 일반적인 철봉이든 실내에 설치하는 간이 철봉이든 또는 기타 다른 구조의 철봉이든 대부분 철봉의 높이가 고정되어있어 사용자의 키 또는 운동능력에 따라 철봉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물론, 철봉의 양단부를 지지해주는 지지판에 철봉을 지지해주는 다단의 지지 부를 구비하여 철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도 있으나, 이 역시 사용상 불편함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으로, 예를 들어 철봉이 높은 위치의 지지부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키가 작은 사람이 자신의 신체에 맞게 철봉의 높이를 조절해주기 위해서는 발판 또는 의자 등을 받치고 올라선 후 철봉을 들어내어 다른 칸으로 옮겨야 하는 등 불편함이 큰 것이었다.
또한, 철봉이 고정되어 있는 공간은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어 공간이 낭비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벽체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각 연결봉의 자유단부와 바닥부에 세워지는 지지대의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철봉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하고,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바닥부와 접촉시 미끄러지지 않는 바닥판과 회전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능력에 따라 철봉의 높이를 지지대를 벌려주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조절토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벽체에 붙여 접어놓을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된 각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보관시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은, 벽체(1)의 양측에 2개의 고정판(2)을 이격시켜 앵커볼트(3)를 통해 각각 고정하고, 각 고정판(2)에는 연결봉(4)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힌지(5)로 결합하며, 연결봉(4)에는 연결관(6)을 각각 고정하여 이들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철봉(7)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8)을 갖는 2개의 바닥판(9) 상부에 지지대(10)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힌지(11)로 결합하고, 각 지지대(10)의 상단부에는 각 연결봉(4)의 연결관(6)과 동일한 직경의 연결관(12)을 각각 고정하여 철봉(7)의 연결봉 연결위치 바로 옆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각 연결관(6)(12)이 철봉(7)의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각 연결관(6)(12)의 외측 위치에는 각각 고정링(13)을 고정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고무판(8)의 하면에는 바닥부와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부(14)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지지대(10)를 벌려주면 철봉(7)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지지대(10)를 오므려주면 철봉(7)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며, 철봉(7)을 벽체(1)에 연결해주는 연결봉(4)은 벽체(1)에 고정되어 있고 철봉(7)의 하부를 받쳐주는 지지대(10)의 하단부에는 바닥판(9)이 바닥부로부터 미끄러지지 않 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지지대(10)가 벌려져 있다 하더라도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철봉(7), 연결봉(4), 지지대(10) 등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한 구조물(이하, 철봉구조물로 통칭함)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대(10)와 연결봉(4)을 접어 벽체(1)에 밀착시키게 되면 철봉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던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철봉구조물은 야외에 설치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주택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학교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야외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닥판(9)이 밀리지 않도록 흙에 바닥판을 고정해줄 수 있는 다수의 고정핀을 바닥판의 하부에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연결봉(4)과 지지대(10)가 연결관(6)(12)을 통해 철봉(7)과 연결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연결관(6)(12) 대신 힌지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고정판(2)을 벽체(1)에 고정하는 앵커볼트(3)만 빼내면 본 발명에 따른 철봉 구조물 전체를 벽체(1)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철봉 구조물은 얼마든지 다른 장소에 쉽게 이전 설치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제 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은 모든 기술적 구성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동일하며, 지지대(10)의 형상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지대(10)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내관(21)과 외관(22)의 2중관식으로 구성되고, 내관(21)과 외관(22)에는 서로 대응되는 다수의 철봉높이조절공(23)(24)이 각각 형성되며, 내관(21)과 외관(22)의 철봉높이조절공(23)(24)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일치된 각 철봉높이조절공(23)(24)을 고정핀(25)이 관통하여 내관(21)과 외관(22)의 위치를 고정해주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지지대(10)에 구비된 고정핀(25)을 빼내고 내관(21)을 외관(22)에 삽입하거나 빼내는 방법으로 적정한 길이를 갖도록 하면서 내관(21)과 외관(22)의 각 철봉높이조절공(23)(24)을 일치시키게 되며, 고정핀(25)을 철봉높이조절공(23)(24)의 사이로 통과시켜 고정하면 지지대(10)의 길이가 조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대(10)가 수직방향이 되도록 적정하게 벌려주면 되는 것이다.
물론, 지지대(10)를 약간 벌려주어 각 철봉높이조절공(23)(24) 사이의 간격 내에 해당하는 높이로 미세 조정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하면 철봉(7)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도 지지대(10)를 수직에 가깝게 유지할 수 있어 철봉(7)의 사용시 지지대(10)에 걸리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음은 물론 지지대(10)에 하중이 전달되더라고 지지대(10)가 연결봉(4)과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벌려지지 않아 사용상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철봉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대(10)를 접어 벽체(1)에 붙여 보관할 수 있어 철봉구조물이 차지하던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 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연결봉과 지지대 사이의 연결부위 상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은 대부분의 기술적 구성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철봉(7)만을 분리하여 높이가 다른 위치로 옮길 수 있는 부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연결봉(4)과 지지대(10)의 각 연결관(6)(12)이 서로 회전은 가능하면서 서로 분리되지 않게 고정되고, 각 지지대(10)의 상부에서부터 다단으로 철봉수용공(26)이 등간격 형성되어 여기에 철봉(7)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에서는 철봉(7)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철봉(7)을 지지하는 지지대(10)의 높이를 조정하여 철봉(7)의 높이를 조절한 것인데 반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철봉(7)을 다른 위치로 옮겨 철봉(7)의 높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지지대(10)는 그 위치를 고정시켜 놓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대(10)를 벌려 지지대(10)와 연결봉(4) 사이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철봉(7)의 높이 조정이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지지대(10)를 세운 상태에서 철봉(7)을 빼내 원하는 높이의 철봉수용공(26)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철봉(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에 비해 보다 적극적으로 또 보다 쉬운 방법으로 철봉(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철봉수용공(26) 사이의 간격은 5㎝ 단위 또는 10㎝ 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철봉수용공(26)의 간격 이내의 높이로 철봉(7)의 높이를 조절할 때에는 철봉(7)을 철봉수용공(26)에 끼워 놓은 상태에서 지지대(10)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방식으로 미세 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철봉(7)의 높낮이 조절이 매우 용이해지며, 철봉(7)의 높낮이 조절폭이 커지게 되어 철봉(7)의 사용 연령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철봉(7)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도 지지대(10)를 수직에 가깝게 유지할 수 있어 철봉(7)의 사용시 지지대(10)에 걸리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음은 물론 지지대(10)에 하중이 전달되더라고 지지대(10)가 연결봉(4)과의 연결부위를 중 심으로 벌려지지 않아 사용상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철봉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대(10)를 접어 벽체(1)에 붙여 보관할 수 있어 철봉구조물이 차지하던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각 연결관의 연결구조는 동일한 기능을 하면서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따라서 이러한 각 연결관의 연결구조가 변형되어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4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구조적으로 변형하여 구성한 다른 실시예로서, 각 지지대(10)의 상부에서부터 철봉(7)을 걸 수 있는 다단의 철봉걸이대(27)를 등간격으로 고정하여 구성한 것이며, 나머지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와는 다르게 지지대(10)의 외측에 철봉(7)이 걸릴 수 있도록 다단의 철봉걸이대(27)를 고정하여 여기에 철봉(7)을 걸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지지대(10)를 세워놓고 철봉(7)을 지지대(10)로부터 분리하여 원하는 높이에 위치한 철봉걸이대(27)에 걸어주는 방식으로 철봉(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적극적이면서 용이하게 철봉(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철봉걸이대(27) 사이의 간격 이내의 높이로 철봉(7)의 높이를 조절할 때에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철봉(7)을 철봉걸이대(27)에 걸어준 상태에서 지지대(10)를 벌려주는 방식으로 철봉(7)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르게 되면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비해 철봉(7)을 옮겨주는 작업이 편리한 대신 철봉(7)을 철봉걸이대(27)에 걸어준 상태에서 상방향으로는 자유상태에 있게 되므로 철봉(7)이 되빠질 우려가 있는 것이나, 철봉(7)은 기본적으로 하방향으로 하중이 작용되는 것이므로 철봉(7)의 사용에는 큰 지장이 없으며,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철봉(7)의 고정부위에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철봉걸이대(27)의 전면 걸림부위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또는 철봉(7)의 삽입시 록킹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철봉(7)의 높낮이 조절이 매우 용이해지며, 철봉(7)의 높낮이 조절폭이 커지게 되어 철봉(7)의 사용 연령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철봉(7)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도 지지대(10)를 수직에 가깝게 유지할 수 있어 철봉(7)의 사용시 지지대(10)에 걸리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음은 물론 지지대(10)에 하중이 전달되더라고 지지대(10)가 연결봉(4)과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벌려지지 않아 사용상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철봉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대(10)를 접어 벽체(1)에 붙여 보관할 수 있어 철봉구조물이 차지하던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 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각 연결관의 연결구조는 동일한 기능을 하면서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따라서 이러한 각 연결관의 연결구조가 변형되어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벽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연결봉과 바닥부를 받쳐주는 지지대의 사이에 철봉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철봉이 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어 지지대를 벌리거나 오므려주는 방식, 또는 철봉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 또는 철봉을 분리하여 원하는 높이에 고정하는 방식 등으로 철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높낮이 조절이 매우 용이하며, 또한 철봉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대와 연결봉을 접어 벽체에 밀착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벽체로부터 고정판을 분리해주기만 하면 철봉 구조물 전체가 분리될 수 있으므로 다른 장소에 이전설치하기 매우 용이하며, 야외, 일반적인 가정, 관공소, 학교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여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벽체(1)의 양측에 2개의 고정판(2)을 이격시켜 각각 고정하고, 상기 각 고정판(2)에는 연결봉(4)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하며, 상기 연결봉(4)에는 연결관(6)을 각각 고정하여 이들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철봉(7)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8)을 갖는 2개의 바닥판(9) 상부에 지지대(10)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각 지지대(10)의 상단부에는 상기 각 연결봉(4)의 연결관(6)과 동일한 직경의 연결관(12)을 각각 고정하여 상기 철봉(7)의 연결봉 연결위치 바로 옆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각 연결관(6)(12)이 상기 철봉(7)의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각 연결관(6)(12)의 외측 위치에는 각각 고정링(13)을 고정하고, 상기 고무판(8)의 하면에는 바닥부와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부(14)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10)를 벌려주거나 오므려주는 것에 따라 상기 철봉(7)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지지대(10)와 상기 연결봉(4)을 접어 상기 벽체(1)에 밀착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내관(21)과 외관(22)의 2중관식으로 구성하고, 상기 내관(21)과 상기 외관(22)에는 서로 대응되는 다수의 철봉높이조절공(23)(24)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내관(21)과 상기 외관(22)의 철봉높 이조절공(23)(24)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일치된 각 철봉높이조절공(23)(24)을 통해 고정핀(25)을 관통시켜 상기 내관(21)과 상기 외관(22)의 위치를 고정해주는 방법으로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철봉(7)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3. 벽체(1)의 양측에 2개의 고정판(2)을 이격시켜 각각 고정하고, 상기 각 고정판(2)에는 연결봉(4)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하며, 상기 연결봉(4)에는 연결관(6)을 각각 고정하고,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8)을 갖는 2개의 바닥판(9) 상부에 지지대(10)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각 지지대(10)의 상단부에는 상기 각 연결봉(4)의 연결관(6)과 동일한 직경의 연결관(12)을 각각 고정하여 상기 각 연결관(6)(12)을 서로 회전은 가능하면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되, 상기 각 지지대(10)에는 상부에서부터 다단으로 수평방향의 철봉수용공(26)을 형성하여 이중 하나의 철봉수용공(26)에 철봉(7)을 가로방향으로 수용하고, 상기 고무판(8)의 하면에는 바닥부와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부(14)를 형성하여 상기 철봉(7)을 상기 철봉수용공(26)을 선택하여 삽입 고정하는 것에 따라 상기 철봉(7)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4. 벽체(1)의 양측에 2개의 고정판(2)을 이격시켜 각각 고정하고, 상기 각 고정판(2)에는 연결봉(4)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하며, 상기 연결봉(4)에는 연결 관(6)을 각각 고정하고,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판(8)을 갖는 2개의 바닥판(9) 상부에 지지대(10)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각 지지대(10)의 상단부에는 상기 각 연결봉(4)의 연결관(6)과 동일한 직경의 연결관(12)을 각각 고정하여 상기 각 연결관(6)(12)을 서로 회전은 가능하면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되, 상기 각 지지대(10)에는 상부에서부터 다단으로 철봉걸이대(27)를 고정하여 이중 하나의 철봉걸이대(27)에 철봉(7)을 가로방향으로 걸어 고정하고, 상기 고무판(8)의 하면에는 바닥부와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부(14)를 형성하여 상기 철봉(7)을 상기 철봉걸이대(27)를 선택하여 걸어주는 것에 따라 상기 철봉(7)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KR1020070026844A 2007-03-12 2007-03-19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KR100791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231 2007-03-12
KR1020070024231A KR20070108461A (ko) 2007-03-12 2007-03-12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739A KR20070037739A (ko) 2007-04-06
KR100791986B1 true KR100791986B1 (ko) 2008-01-04

Family

ID=381593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231A KR20070108461A (ko) 2007-03-12 2007-03-12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KR1020070026844A KR100791986B1 (ko) 2007-03-12 2007-03-19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231A KR20070108461A (ko) 2007-03-12 2007-03-12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701084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71Y1 (ko) 2016-06-28 2017-12-14 박동규 벽면 설치용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3705A (zh) * 2014-03-26 2014-07-23 济南大学 一种上肢锻炼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71Y1 (ko) 2016-06-28 2017-12-14 박동규 벽면 설치용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739A (ko) 2007-04-06
KR20070108461A (ko) 2007-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692677U (zh) 一种学生公寓用上下床
KR100791986B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KR101716002B1 (ko) 다기능 복합 가구
KR20120002419U (ko)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KR200467112Y1 (ko) 세탁물 건조대
KR200391887Y1 (ko) 이동식 세탁물 건조대
CN210766035U (zh) 椅背伸缩晾晒架
KR200244469Y1 (ko)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
CN201767678U (zh) 组合式衣服架
KR100763804B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철봉의 구성방법
CN210796982U (zh) 一种折叠晾晒架
KR101994207B1 (ko) 빨래건조대
KR101387783B1 (ko) 접철식 행거
CN208807886U (zh) 可折叠成梯子的桌子
CN218338318U (zh) 一种折叠毛巾架
KR101884982B1 (ko) 이동식 선반장치용 선반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선반장치
CN209890934U (zh) 一种高度可调节的晾衣架
RU62781U1 (ru) Кровать откидная
KR20090014836A (ko) 접이식 세탁물 걸이대
CN219862007U (zh) 可变限位式晾挂杆
RU219787U1 (ru) Стол с вращающейся круговой вешалкой карусельного типа
CN215382914U (zh) 一种可挂隔离衣的屏风
CN212415153U (zh) 一种可变换挂衣和折叠衣放置空间的装配式衣柜
CN209915529U (zh) 一种儿童多功能衣柜
CN210643221U (zh) 一种自由调节式床头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