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419U -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 Google Patents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419U
KR20120002419U KR2020100010043U KR20100010043U KR20120002419U KR 20120002419 U KR20120002419 U KR 20120002419U KR 2020100010043 U KR2020100010043 U KR 2020100010043U KR 20100010043 U KR20100010043 U KR 20100010043U KR 20120002419 U KR20120002419 U KR 201200024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shelf
support
bracket
fold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735Y1 (ko
Inventor
이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사
Priority to KR2020100010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73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7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3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A47B57/4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the shelf supports being 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은, 각 지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선반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걸이공에 걸려 고정되는 걸이부를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에는 결합부를 갖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
상기 각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어 전방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고, 상향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결합부에 각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는 한 쌍의 받침 브라켓; 및
상기 받침 브라켓에 안착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SHELF HAVING FOLDING STRUCTURE}
본 고안은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의 브라켓을 고정용 브라켓과 지지용 브라켓으로 구분하여 구성한 후 지지용 브라켓과 고정용 브라켓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선반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선반을 접을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생활용품을 보관하기 위해서 옷장이나 장롱을 대신하여 최근에는 프레임을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벽면에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납장의 사용이 보편화 되어 있다.
이러한 수납장은 지주프레임들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골격을 유지한 채로 벽면에 밀착시켜 옷장이나 장롱과 대등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설치 및 비용 그리고 운반과 이동이 간편하여 기능적으로 편의성이 크고, 좁은 공간에서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경제적으로 다양하고 많은 물품을 충분히 보관할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한 수납장에 구비되는 선반의 조립구조는 벽면에 직립한 상태로 일정한 폭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주프레임들에 받침부재를 지지할 브라켓의 일단이 각각 걸려 고정되고, 이 브라켓에 받침부재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선반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벽면에 설치된 양측의 지주 프레임에 브라켓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수평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 브라켓에 받침부재가 안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선반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받침부재와 브라켓을 분리한 후 브라켓을 지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종래기술에 의한 선반이 고정식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지주 프레임에 설치되는 받침부재 지지용 브라켓을 접철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선반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을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각 지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선반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걸이공에 걸려 고정되는 걸이부를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에는 결합부를 갖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
상기 각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어 전방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고, 상향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결합부에 각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는 한 쌍의 받침 브라켓; 및
상기 받침 브라켓에 안착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걸이부에서 전방 하향으로 연장 절곡되어 상기 걸이부와 결합부 사이에 펼침상태 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와 이격된 위치에 멈춤공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 브라켓에는,
상기 받침 브라켓이 전방으로 펼쳐졌을 때 상기 펼침상태 유지부에 걸려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단이 일단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받침 브라켓이 상방으로 접혀졌을 때 상기 멈충공에 걸려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멈춤수단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받침 브라켓의 수직벽 일부가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멈춤돌기인 것이다.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받침 브라켓과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브라켓의 수직벽 외측에 결합되는 멈춤돌기인 것이다.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받침 브라켓의 수직벽에 구비되는 볼 스토퍼인 것이다.
상기 결합부의 끝단에는 상기 받침 브라켓이 상향으로 접혀졌을 때, 상기 걸림단에 걸려 상기 받침 브라켓의 접힘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는,
상기 받침 브라켓이 상향으로 접혀졌을 때, 상기 받침 브라켓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후방측으로 더 기울어지도록 상기 받침 브라켓을 상기 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받침부재를 지지하는 받침 브라켓이 고정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받침부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방 수평방향으로 펼쳐 물건을 보관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받침부재를 상향으로 회동시켜 접음으로써 선반이 설치되는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반의 결합상태로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반의 결합상태로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반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5b,5c는 도 1에 도시된 멈춤수단의 각 실시 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반의 결합상태로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반의 결합상태로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은 지지 프레임(10)에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30)과, 이 고정 브라켓(30)에 힌지(60)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 브라켓(40)과, 이 받침 브라켓(40)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받침부재(50)로 이루어져 받침부재(50)가 상향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요약하면, 선반을 구성하는 브라켓이 고정 브라켓(30)과 받침 브라켓(40)으로 각각 구성되고, 받침 브라켓(40)이 접철수단(힌지 및 멈춤수단, 걸림구조 등)에 의해 수평으로 펼쳐지고 상부 수직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 프레임(10)은 천장과 바닥에 고정되거나 벽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내부에 걸이공(12)이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벽면에 고정되는 타입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0)은 2개가 한 조를 이루어 선반의 구성에 이용된다.
고정 브라켓(30)은 양측 지지 프레임(10)의 각 걸이공(12)에 선택적으로 걸려 그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받침 브라켓(4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고정 브라켓(30)의 일측에는 걸이공(12)에 걸리기 위한 고리를 복수개 구비한 걸이부(32)가 일측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이 걸이부(32)의 타측에서 전방 하향으로 연장 절곡되어 결합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걸이부(32)와 결합부(34) 사이의 저부에는 오목한 펼침상태 유지부(37)가 형성되며, 결합부(34)에는 멈춤공(36)과 힌지공이 각각 거리를 유지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30)은 걸이부(32)에서 전방 방향(벽면을 기준으로)으로 직각 절곡되어 결합부(34)가 형성되고, 결합부(34)는 그 끝단이 하부로 연장되면서 형성된 구조를 갖으며, 좌측 지지 프레임(10)에 걸려 고정되는 것과, 우측의 지지 프레임(10)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 한 조를 이룬다.
또한, 이러한 고정 브라켓(30)은 판재 구조의 금속재로 구성되어 결합부(34)가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복원탄성을 갖는다.
한편, 결합부(34)의 끝단에는 받침 브라켓(40)이 상향으로 접혀졌을 때, 걸림단(42)이 걸려 받침 브라켓(40)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그 접힘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돌기(38)가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 브라켓(30)의 펼침상태 유지부(37)는 받침 브라켓(40)이 펼쳐졌을 때, 걸림단(42)이 걸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0) 측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고정 브라켓(30)의 소정 위치, 즉 걸이부(32)와 결합부(34) 사이에 소정의 깊이로 하부로 개방된 구조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받침 브라켓(40)은 수평상태로 펼쳐져 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받침 브라켓(40)은 물건 등이 보관되는 받침부재(50)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수직벽과 수평 안착부를 구비하여 그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 브라켓(40)는 고정 브라켓(30)과 대응되는 갯수로 구성되며, 각 일단(고정 브라켓과 결합되는 영역)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걸림단(42)이 형성되고, 이 걸림단(42)의 근접 위치에는 멈춤수단(44)이 구비된다. 걸림단(42)은 받침 브라켓(40)이 전방으로 펼쳐졌을 때 고정 브라켓(30)의 펼침상태 유지부(37)에 걸려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벽의 일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멈춤수단(44)은 받침 브라켓(40)이 상방으로 접혀졌을 때 멈충공(36)에 걸려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브라켓(40)의 수직벽 일부가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멈춤돌기(embossing)로 이루어진다. 이 멈춤돌기는 만곡진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받침 브라켓(40)이 회전할 때에는 고정 브라켓(30)의 결합부(34)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결합부(34)를 외측으로 밀어 복원탄성을 발생시키고, 멈춤공(36)에 위치하면 이 멈춤공(36)으로 삽입되어 받침 브라켓(40)에 큰 외력(결합부(34)를 외측으로 밀어 멈춤돌기가 멈춤공(36)에서 빠질 수 있는 힘)이 가해지기 전까지 받침 브라켓(40)이 회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받침부재(50)는 물건이 보관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소정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수직벽의 높이와 같은 두께로 형성되며, 나사 등에 의해 양측의 받침 브라켓(40)에 고정된다.
힌지(60)는 고정 브라켓(30)의 결합부(34) 하부 측과 받침 브라켓(40)의 일측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이 힌지(60)는 받침 브라켓(40)을 회동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면 만족하는 것으로, 어느 한 구조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60)는 받침 브라켓(40)이 상향으로 접혀졌을 때, 받침 브라켓(4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60)를 중심으로(회전점) 후방측으로 더 기울어지도록 걸이부(32)와 소정의 거리를 유지한 결합부(34)에 설치된다. 즉, 회전 중심점이 벽면과 소정거리로 이격되도록 하여 받침 브라켓(40)이 충분히 벽면 측으로 더 기울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걸림돌기(38)가 힌지(60)보다 전방 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받침 브라켓(40)이 충분히 벽면 측으로 회동되나,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걸림단(42)이 걸림돌기(38)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지지 프레임(10)에 한 쌍의 고정 브라켓(30)이 각각 걸려 그 위치가 고정되고, 각 고정 브라켓(30)에는 받침 브라켓(40)이 힌지(60)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받침 브라켓(40)에는 받침부재(50)가 안착되면, 사용자는 펼쳐진 받침부재(50)에 물건을 얹어 보관한다. 이때, 걸림단(42)의 일측이 펼침상태 유지부(37)에 걸리게 되므로 받침 브라켓(40)은 수평상태(상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받침 브라켓(40)이 상방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이므로 물건이 전방 측으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중량의 물건이 얹혀진 경우에, 물건의 중량으로 받침 브라켓(40)이 전방측으로 소정량 기울어지더라도 최초 후방측(상방으로)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그 받침 브라켓(40)은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받침부재(50)를 접을 경우에, 사용자는 받침부재(5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 힌지(60)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받침 브라켓(40)은 힌지(60)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받침 브라켓(40)을 회동시킬 때, 고정 브라켓(30)의 각 결합부(34)는 각 받침 브라켓(40)의 멈춤돌기를 타고 넘으면서 각각 외측으로 복원탄성을 발생시키면서 변형된다. 그리고, 멈춤돌기가 멈춤공(36)에 다다르면 멈춤돌기는 멈춤공(36)에 삽입되고, 각 결합부(34)는 복원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멈춤돌기가 멈춤공(3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즉, 멈춤돌기가 결합부(34)를 외측으로 밀어 변형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큰 힘(사용자가 받침부재의 끝단을 잡고 하부로 회동시킬 때의 힘)을 제외하고는 자체 중량에 의해 멈춤돌기가 멈춤공(36)에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는 각 결합부(34)가 자체 복원 탄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때, 각 결합부(34)가 복원 탄성을 갖도록 할 수도 있으나, 받침 브라켓(40)의 수직벽(멈춤돌기가 형성된 영역)이 복원 탄성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멈춤돌기가 멈춤공(36)에 삽입되어 받침 브라켓(40)의 회동이 정지될 때, 걸림단(42)은 걸림돌기(38)에 걸려 받침 브라켓(40)이 더 이상 벽면 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그 회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받침 브라켓(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에 비하여 소정 각도 더 벽면 측으로 회동되어 기울어져 있게 되므로 받침부재(50)가 임의로 펼쳐지는 현상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멈춤수단(44)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멈춤수단(44)이 볼 스토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 볼 스토퍼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으로 지지된 강철볼이 멈춤공(36)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받침 브라켓(40)의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 5c는 멈춤수단(44)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의 멈춤돌기가 받침 브라켓(40)과는 별도로 제작되어 용접이나 나사 등에 의해 받침 브라켓(40)의 수직벽에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멈춤수단(44)이 볼 스토퍼나 별도로 제작된 멈춤돌기로 이루어질 경우에 마모나 훼손에 따른 교체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받침부재(50)가 필요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간의 활용이 극대화될 수 있고, 멈춤수단(44)이 구비됨으로써 받침부재(50)의 접혀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지지 프레임 12 : 걸이공
30 : 고정 브라켓 32 : 걸이부
34 : 결합부 36 : 멈춤공
37 : 펼침상태 유지부 38 : 걸림돌기
40 : 받침 브라켓 42 : 걸림단
44 : 멈춤수단 50 : 받침부재
60 : 힌지

Claims (7)

  1. 각 지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선반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걸이공에 걸려 고정되는 걸이부를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에는 결합부를 갖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
    상기 각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어 전방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고, 상향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결합부에 각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는 한 쌍의 받침 브라켓; 및
    상기 받침 브라켓에 안착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걸이부에서 전방 하향으로 연장 절곡되어 상기 걸이부와 결합부 사이에 펼침상태 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와 이격된 위치에 멈춤공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 브라켓에는,
    상기 받침 브라켓이 전방으로 펼쳐졌을 때 상기 펼침상태 유지부에 걸려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단이 일단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받침 브라켓이 상방으로 접혀졌을 때 상기 멈충공에 걸려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멈춤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받침 브라켓의 수직벽 일부가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멈춤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받침 브라켓과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브라켓의 수직벽 외측에 결합되는 멈춤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받침 브라켓의 수직벽에 구비되는 볼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끝단에는 상기 받침 브라켓이 상향으로 접혀졌을 때, 상기 걸림단에 걸려 상기 받침 브라켓의 접힘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받침 브라켓이 상향으로 접혀졌을 때, 상기 받침 브라켓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후방측으로 더 기울어지도록 상기 받침 브라켓을 상기 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KR2020100010043U 2010-09-29 2010-09-29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KR200464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43U KR200464735Y1 (ko) 2010-09-29 2010-09-29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43U KR200464735Y1 (ko) 2010-09-29 2010-09-29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419U true KR20120002419U (ko) 2012-04-06
KR200464735Y1 KR200464735Y1 (ko) 2013-01-21

Family

ID=4660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043U KR200464735Y1 (ko) 2010-09-29 2010-09-29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73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270U (ko) * 2016-06-10 2017-12-20 윤장노 접이식 벽걸이선반
KR20180109628A (ko) * 2017-03-28 2018-10-08 황종식 접이식 선반
KR102318289B1 (ko) * 2021-04-05 2021-10-26 황종식 디귿자형 가구를 포함하는 드레스룸 시스템
KR20220076126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유니퍼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063A (ko) 2019-01-04 2020-07-14 김은주 접이식 선반 받침대
KR102362934B1 (ko) 2019-10-16 2022-02-14 심병섭 접이식 선반 받침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756Y1 (ko) 1997-07-05 1999-11-01 양경호 경사날개형 선반받침구의 브라켓과 어태치먼트의 조립구조
KR20000017356U (ko) * 1999-02-24 2000-09-25 체흐시웅 후앙 골조 고정 구조
KR200447188Y1 (ko) * 2008-01-11 2010-01-06 주식회사 우아미가구 접이식 시스템선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270U (ko) * 2016-06-10 2017-12-20 윤장노 접이식 벽걸이선반
KR20180109628A (ko) * 2017-03-28 2018-10-08 황종식 접이식 선반
KR20220076126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유니퍼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KR102318289B1 (ko) * 2021-04-05 2021-10-26 황종식 디귿자형 가구를 포함하는 드레스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735Y1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735Y1 (ko)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US6561107B1 (en) Foldable shelf assembly
KR100953909B1 (ko) 안정된 단계적 접힘 기능이 구비된 행거
TWI676436B (zh) 模組化儲存設備
US8622488B1 (en) Vertically retractable shelf system
US10925391B1 (en) Hinged shelf container
KR101613689B1 (ko) 접이식 선반
KR20150137604A (ko) 접이식 선반 받침구
KR200460213Y1 (ko)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자유낙하 방지장치
KR101716002B1 (ko) 다기능 복합 가구
US11109678B2 (en) Collapsible hanging shelf
US5680943A (en) Standing closet device
KR200448204Y1 (ko) 회전 캐비닛
KR102497931B1 (ko)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KR20200085063A (ko) 접이식 선반 받침대
JP6635807B2 (ja) 収納ベッド
KR100997904B1 (ko) 개선된 선반 구조
KR20170000391U (ko) 접이식 이동선반
KR200461401Y1 (ko) 가구용 넥타이 걸이대
US20070080125A1 (en) Corner closet
US6971711B1 (en) Stool for a closet
CN206964423U (zh) 一种具有收放桌面功能的板凳
KR101379750B1 (ko) 접철식 행거
KR20150004071U (ko) 빨래건조대 겸용 옷걸이대
CN215014872U (zh) 一种鞋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