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126A -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 Google Patents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126A
KR20220076126A KR1020200164971A KR20200164971A KR20220076126A KR 20220076126 A KR20220076126 A KR 20220076126A KR 1020200164971 A KR1020200164971 A KR 1020200164971A KR 20200164971 A KR20200164971 A KR 20200164971A KR 20220076126 A KR20220076126 A KR 20220076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ocking
system furniture
frame body
foo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2153B1 (ko
Inventor
윤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퍼
Priority to KR1020200164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1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screwbolts as connecting members
    • A47B57/4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screwbolts as connecting members the shelf supports being 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66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는, 시스템 가구의 지주를 이루는 수직 프레임으로서,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횡단면을 기준으로, 걸림공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철편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기 위한 철편 설치홈이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 저면에 높이조절체들을 구비하고, 한쪽이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조절발부재; 상기 조절발부재와 상기 높이조절체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조절발부재를 장식하도록 상기 조절발부재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부재; 및 하부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시스템 가구가 설치되는 공간의 벽체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블럭을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VERICAL FRAME OF SYSTEM FURNITURE}
본 발명은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 가구의 지주로 사용되는 수직 프레임의 높이 조절은 물론 수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설치부위를 커버하여 시스템 가구가 설치되는 공간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어울릴 수 있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란 주거공간 내에서 인간의 생활을 원활하게 영위하기 위해서 집안 살림살이에 쓰이는 도구를 가리키는 것으로, 현재는 주거공간의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가구 또한 시스템화하여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 가구 관련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778호(공고일 : 2012.08.06)에는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는, 건축물의 실내 벽면에 고정되고, 일측면이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장방의 고정홈과, 고정홈의 개방면 양측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볼트로 선반받침대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포스트의 고정홈과 개방면 양측 걸림턱에 맞닿아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과 나사결합되는 선반받침대와, 상기 선반받침대의 상부면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선반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는, 포스트의 상단부는 설치공간의 천장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바닥에 지지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포스트 자체의 높이를 조절하기 곤란하였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바닥과 천장에 지지되는 구조였기 때문에 포스트가 바닥과 천장 사이에서 이탈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였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779호(공고일 : 2012.08.06)에는, 시스템가구용 선반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시스템 가구용 선반 받침대는,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다수의 선반받침대를 고정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일측면이나 양측면에, 고정볼트와 고정구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서 다수의 선반을 고정하는 선반받침대와, 상기 선반받침대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다수의 선반으로 구성하여서 된 시스템가구에 있어서, 상기 선반받침대의 일측면에 착탈 가능한 측판을 요철 결합되도록 구성하여서 선반받침대가 시스템가구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경우 선반받침대에 측판을 삽입하고, 선반받침대가 시스템가구의 중앙부에 위치할 경우 선반받침대의 측판을 제거하여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가구용 선반받침대도 전술한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와 같이 포스트가 바닥과 천장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포스트의 견고한 지지력이 상실될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각각의 종래기술들은 시스템 가구를 이루는 포스트의 수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포스트의 수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778호(공고일 : 2012.08.06)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779호(공고일 : 2012.08.06)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가구의 지주로 사용되는 수직 프레임의 높이 조절을 조절할 수 있고, 높이조절부위 및 벽체에 고정되는 설치부위 등을 커버할 수 있으며, 프레임 본체가 벽면에 지지된 상태에서도 프레임 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시스템 가구의 지주를 이루는 수직 프레임으로서,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횡단면을 기준으로, 걸림공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철편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기 위한 철편 설치홈이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 저면에 높이조절체들을 구비하고, 한쪽이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조절발부재; 상기 조절발부재와 상기 높이조절체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조절발부재를 장식하도록 상기 조절발부재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부재; 및 하부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시스템 가구가 설치되는 공간의 벽체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철편 설치홈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메인 결합공과, 상기 메인 결합공에 비하여 작은 보조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는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철편의 걸림공은, 선반 받침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편의 상,하방향 길이 및 두께보다 더 길고 넓은 상부 걸림공과, 상기 상부 걸림공보다 더 짧고 더 좁은 하부 걸림공과, 상기 상부 걸림공으로 삽입된 상기 걸림편이 간섭없이 상기 하부 걸림공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상부 걸림공과 상기 하부 걸림공의 경계에 형성되는 경사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부재는, 상기 조절발부재를 감싸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 및 상기 조절발부재에 결합되거나 분리되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조절발부재의 후방부 양쪽에 형성되는 걸림공; 및 상기 걸림공에 대응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된 상기 하부 커버부재의 후방쪽 양 날개부의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공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공은, 상기 하부 커버부재를 상기 조절발부재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걸림돌부가 원활하게 이탈되도록 전방쪽에 만곡진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부재를 상기 조절발부재에 결합하여 커버할 때, 상기 걸림돌부가 원활하게 상기 걸림공에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걸림공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되고 같은 수평선상에서 상기 걸림공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수단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된 상기 하부 커버부재의 후방쪽 양 날개부의 끝단부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절발부재의 후방면에 걸리기 위한 후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날개부의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후방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된 상기 하부 커버부재의 후방쪽 양 날개부의 끝단부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절발부재의 후방면에 걸리기 위한 후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날개부의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후방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철편 설치홈을 기준으로 전방 쪽에 형성되는 메인 결합공과, 상기 메인 결합공보다 작은 보조 결합공을 구비하여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블럭은, 저면에 상기 메인 결합공과 보조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1,2 결합부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럭의 상단 후방부에는, 상기 고정블럭을 벽면에 고정하는 볼트가 관통하기 위한 수직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장공은, 상기 볼트가 상기 수직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체의 높이 조절로 상기 프레임 본체의 높이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럭의 상면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하고 외관을 장식하기 위한 상부 커버부재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블럭의 양쪽 측면에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안내 걸림돌기가 연속하여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내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커버부재의 양쪽 내측면에는 상기 안내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어 걸리기 위한 결합 안내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받침대는, 상기 철편과 걸림공에 걸리기 위한 걸림편이 일측에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반 등을 받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와 받침부가 이루는 각도는 90.5°- 9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 가구의 지주로 사용되는 수직 프레임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재 및 고정블럭에 커버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높이조절부재 및 고정블럭에 이물질이 쌓이거나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외관을 장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본체가 벽면에 지지된 상태에서도 프레임 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반 받침대의 받침부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선반에 중량물이 보관되더라도 선받이 전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물건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B-B선 단면도 및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하부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탈부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의 (a),(b)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탈부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커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전방'은 도 3을 기준으로 벽면의 반대쪽을 의미하고, '후방'은 벽면쪽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B-B선 단면도 및 C-C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20)은, 시스템 가구(10)의 지주를 이루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프레임 본체(22)와, 프레임 본체(22)의 하부를 바닥에 지지하는 조절발부재(30)와, 조절발부재(30)를 장식하고 커버하기 위한 하부 커버부재(70)와, 프레임 본체(22)의 상부를 벽면에 지지하는 고정블럭(40)과, 고정블럭(40)을 장식하고 커버하기 위한 상부 커버부재(60)와, 프레임 본체(22)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선반을 포함한 다양한 가구물을 구성하기 위한 선반 받침대(50)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스템 가구(10)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수로 구성되는 프레임 본체(22)들이 수직으로 각각 배치되고, 각 프레임 본체(22)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선반 받침대(50)에 선반이나 옷걸이, 서랍, 액세사리 보관함 등을 결합시킨 것으로, 드레스 룸을 포함한 특정 공간에서 다양한 형태로 배치하여 가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시스템 가구(10)를 구성하는 프레임 본체(22)는, 중공형으로 압출 성형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횡단면을 기준으로 양쪽에 철편 설치홈(22A)이 외측으로 개방되고 프레임 본체(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다.
또한, 양쪽의 철편 설치홈(22A) 사이에는 연결부(22D)가 형성되며, 연결부(22D) 또는 철편 설치홈(22A)을 사이에 두고 한쪽(전방쪽)에는 메인 결합공(22B)가 형성되며, 반대쪽(후방쪽)에는 메인 결합공(22B)에 비하여 작은 보조 결합공(22C)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22D)의 양쪽에는 철편 설치홈(22A)들과 각각 연통된 추가 결합공(22E)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강도를 높임과 동시에 조절발부재(30) 및 고정블럭(40)과의 결합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 본체(22)는,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길이 방향을 연속되므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전술한 철편(52)에 형성되는 철편 설치홈(22A)에는 걸림공(52A)들이 등간격으로 천공된 철편(52)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다. 철편(52)에 형성되는 걸림공(52A)들은 선반 받침대(50)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편(54)의 상,하방향 길이 및 두께보다 더 길고 넓은 상부 걸림공(52A-1)과, 상부 걸림공(52A-1)보다 더 짧고 더 좁은 하부 걸림공(52A-3)과, 상부 걸림공(52A-1)으로 삽입된 걸림편(54)이 간섭없이 하향 이동하여 하부 걸림공(52A-3)으로 끼워지도록 상부 걸림공(52A-1)과 하부 걸림공(52A-3)의 경계에 형성되는 경사 안내부(52A-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 걸림공(52A-3) 폭은 걸림편(54)의 일부가 유격없이 끼워지도록 걸림편(54)의 두께보다 0.5 - 1mm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걸림편(54)을 걸림공(52A)에 걸어 고정하는 작업이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반 받침대(50)의 걸림편(54)은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걸림공(52A)에 걸릴 수 있다.
철편(52)에 일단부가 걸려 수평상태로 결합되는 선반 받침대(50)는, 철편(52)과 걸림 결합되는 결합부(56)와 선반 등을 받치는 받침부(58)로 이루어진다. 결합부(56)와 받침부(58)가 이루는 각도(A1)를 90°보 다 큰 90.5°- 92°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받침부(58)와 가상의 수직선(V)이 이루는 각도(A2)를 결합부(56)와 받침부(58)가 이루는 각도(A1)보다 작도록 하여 받침부(58)가 수직선(V)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받침부(58)와 수직선(V)이 88°- 89.5°를 이루어 받침부(58)가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선반 받침대(50)에 중량물이 안착된 경우에 선반 받침대(50)의 미세한 휨이나 걸림공(52A)와 걸림편(54) 사이의 유격에 의해 선반 받침대(52)가 수평선(H)보다 더 하향으로 처지는 것을 미리 보상할 수 있다. 즉, 받침부(58)를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중량물의 무게나 결합오차 또는 선반 받침대(50)의 휨과 같은 변형으로 인한 받침부(58)의 처짐을 방지하여 보관중인 물건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조절발부재(30)는, 프레임 본체(22)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프레임 본체(22)의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나사 방식의 높이조절체(32)들이 저면에 구비되어 프레임 본체(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조절체(32)들은, 조절발부재(30)의 저면에 상단부가 나사체결 되고 하단부에는 공구 결합부가 형성된 것이며, 조절발부재(30)의 저면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체결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공구 결합부에 공구를 결합한 후 조이거나 푸는 조작에 의해 조절발부재(30)의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프레임 본체(22)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조절발부재(30)의 후방쪽 상부에는 프레임 본체(22)의 하단부와 결합되도록 기 위한 조절발 결합부(34)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조절발 결합부(34)는, 메인 결합공(22B)과 보조 결합공(22C)에 삽입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메인 결합공(22B)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제1 하부 결합부(34A)와, 보조 결합공(22C)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제2 하부 결합부(34B)로 이루어진다. 제1 하부 결합부(34A)와 제2 하부 결합부(34B)가 메인 결합공(22B)과 보조 결합공(22C)에 삽입되므로 조절발부재(30)와 프레임 본체(22)는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부재(70)는, 조절발부재(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함과 동시에 조절발부재(30)를 장식하며,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하부 커버부재(7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발부재(30)를 감싸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72)와, 조절발부재(3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기 위한 탈부착수단를 포함한다.
탈부착수단은, 조절발부재(30)의 후방부 양쪽에 형성되는 걸림공(36)과, 걸림공(36)에 대응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된 하부 커버부재(70)의 후방쪽 양 날개부(76)의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날개부(76)의 자체 탄성에 의해 걸림공(36)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부(76A)로 이루어진다. 걸림공(36)의 전방쪽에는, 하부 커버부재(70)를 조절발부재(30)로부터 분리할 때 걸림돌부(76A)가 원활하게 이탈되고, 또한 걸림돌부(76A)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전방쪽에 만곡진 굴곡부(36A)가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돌부(76A)의 전방쪽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리브(76B)가 형성된다. 이 경사리브(76B)는 걸림돌부(76A)가 걸림공(36)에 삽입되거나 이탈될 때 굴곡부(36A)와 접촉되므로 삽입 및 이탈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체 탄성을 갖는 양쪽 날개부(76)의 각 내측면에 경사리브(76B)을 구비한 걸림돌기(76A)가 형성되고 조절발부재(30)에 굴곡부(36A)가 형성된 걸림공(36)이 형성됨으로써 하부 커버부재(70)를 조절발부재(30)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걸림공(36)에 굴곡부(36A)가 형성됨으로써 걸림돌부(76A)의 원활한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게 되어 하부 커버부재(70)를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간섭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수단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된 하부 커버부재(70)의 후방쪽 양 날개부(76)의 끝단부에서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76C)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후크부(76C)는 조절발부재(30)의 후방면(31) 양쪽 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으로, 양쪽 날개부(76)의 자체 탄성에 의해 후방면(31)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후크부(76C)가 후방면(31)에 걸린 상태에서 걸림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각 후크부(76C)를 각각 외측으로 벌리게 되면 양쪽 날개부(76)가 벌어지면서 후크부(76C)가 후방면(31)에 이탈될 수 있다.
한편, 걸림공(36)은,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부재(70)를 조절발부재(30)에 결합하여 커버할 때, 걸림돌부(76A)가 원활하게 걸림공(36)에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36B)을 각각 구비한한다. 안내홈(36B)은, 걸림공(36)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되고 걸림공(36)과 같은 수평선상에서 걸림공(36)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걸림공(36)의 수평 연장 선상에 안내홈(36B)이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안내홈(36B)에 의해 하부 커버부재(70)를 조절발부재(30)에 결합시킬 때, 하부 커버부재(70)를 상부에서 하향으로 이동시켜 양쪽의 걸림돌부(76A)를 안내홈(36B)에 삽입시킨 후 후방으로 밀게 되면 걸림돌부(76A)가 안내홈(36B)을 따라 안내되므로 걸림돌부(76A)가 걸림공(36)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즉, 하부 커버부재(70)를 조절발부재(30)에 결합시킬 때 걸림돌부(76A)를 걸림공(36A)에 맞춰 끼우기 위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 및 결합 정확성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프레임 본체(22)의 상단부를 벽면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블럭(40)은, 하부가 프레임 본체(22)의 상단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단이 시스템 가구(10)가 설치되는 공간의 벽체에 고정되어 프레임 본체(22)의 상부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블럭(40)은, 저면에 메인 결합공(22B)과 보조 결합공(22C)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1,2 결합부(42,44)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2 결합부(42,44)가 하향 돌출 형성됨으로써 고정블럭(40)은 프레임 본체(22)의 상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블럭(40)의 상단 후방부에는, 고정블럭(40)을 벽면에 고정하는 볼트(B)가 관통하기 위한 수직장공(46)이 형성된다. 이 수직장공(46)은, 볼트(B)가 수직장공(46)을 관통하여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높이조절체(32)의 높이 조절로 프레임 본체(22)의 높이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에 프레임 본체(22)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 본체(22)의 상부가 고정블럭(40)에 의해 벽면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도 수직장공(46)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상,하부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블럭(40)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럭(40)의 상면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하고 외관을 장식하기 위한 상부 커버부재(6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커버부재(60)가 결합되는 고정블럭(40)에는, 상부 커버부재(60)의 결합을 안내하고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즉, 고정블럭(40)의 양쪽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안내 걸림돌기(48)이 연속하여 각각 형성되고, 안내 걸림돌기(48)에 대응되는 상부 커버부재(60)의 양쪽 내측면에는 안내 걸림돌기(48)가 삽입되어 안내되어 걸리기 위한 결합 안내홈(6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쪽의 안내 걸림돌기(48)가 결합 안내홈(6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커버부재(60)를 후방쪽으로 밀게 되면 상부 커버부재(60)는 고정블럭(40)을 감싸면서 결합된다.
전술한 상부 커버부재(60)의 결합을 안내하고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고정블럭(40)의 양측면 후방쪽에 수직방향으로 안내 결합홈(49)이 형성되고, 상부 커버부재(60)의 후방 양쪽 내측면에는 안내 결합홈(49)에 삽입되어 안내되기 위한 결합돌부(6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커버부재(60)와 고정블럭(40)에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고정블럭(40)을 벽면에 고정하는 볼트(B)가 노출되지 않게 되고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고정블럭(40)의 상면에 쌓이지 않게 되며, 상부 커버부재(60)를 장식용으로 디자인할 경우에 장식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프레임 본체(22)의 하단부에 조절발부재(30)가 하부 커버부재(70)를 구비하여 결합됨으로써 프레임 본체(22)의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고정부재(40)를 벽면에 고정하는 볼트(B)가 수직장공(46)을 관통하여 벽면에 고정됨으로써, 프레임 본체(22)가 볼트(B)에 의해 벽면에 지지된 상태에서도 조절발부재(30)의 저면에 마련된 높이조절체(32)를 이용하여 프레임 본체(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절발부재(30)에 하부 커버부재(70)가 결합되고, 고정블럭(40)에 상부 커버부재(6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조절발부재(30) 및 고정블럭(40)에 이물질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을 장식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시스템 가구 20 : 수직 프레임
22 : 프레임 본체 30 : 조절발부재
32 : 높이조절체 40 : 고정블럭
50 : 선반 받침대 60 : 상부 커버부재
70 : 하부 커버부재

Claims (11)

  1. 시스템 가구의 지주를 이루는 수직 프레임으로서,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횡단면을 기준으로, 선반 받침대가 걸리기 위한 걸림공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철편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기 위한 철편 설치홈이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
    저면에 높이조절체들을 구비하고, 한쪽이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조절발부재;
    상기 조절발부재와 상기 높이조절체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조절발부재를 장식하도록 상기 조절발부재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부재; 및
    하부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시스템 가구가 설치되는 공간의 벽체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철편 설치홈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메인 결합공과, 상기 메인 결합공에 비하여 작은 보조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편의 걸림공은,
    상기 선반 받침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편의 상,하방향 길이 및 두께보다 더 길고 넓은 상부 걸림공과, 상기 상부 걸림공보다 더 짧고 더 좁은 하부 걸림공과, 상기 상부 걸림공으로 삽입된 상기 걸림편이 간섭없이 상기 하부 걸림공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상부 걸림공과 상기 하부 걸림공의 경계에 형성되는 경사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부재는,
    상기 조절발부재를 감싸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 및 상기 조절발부재에 결합되거나 분리되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조절발부재의 후방부 양쪽에 형성되는 걸림공; 및
    상기 걸림공에 대응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된 상기 하부 커버부재의 후방쪽 양 날개부의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공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공은, 상기 하부 커버부재를 상기 조절발부재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걸림돌부가 원활하게 이탈되도록 전방쪽에 만곡진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은,
    상기 하부 커버부재를 상기 조절발부재에 결합하여 커버할 때, 상기 걸림돌부가 원활하게 상기 걸림공에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걸림공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되고 같은 수평선상에서 상기 걸림공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된 상기 하부 커버부재의 후방쪽 양 날개부의 끝단부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절발부재의 후방면에 걸리기 위한 후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날개부의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후방면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철편 설치홈을 기준으로 전방 쪽에 형성되는 메인 결합공과, 상기 메인 결합공보다 작은 보조 결합공을 구비하여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블럭은,
    저면에 상기 메인 결합공과 보조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1,2 결합부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의 상단 후방부에는,
    상기 고정블럭을 벽면에 고정하는 볼트가 관통하기 위한 수직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장공은, 상기 볼트가 상기 수직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체의 높이 조절로 상기 프레임 본체의 높이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에는,
    상기 고정블럭의 상면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하고 외관을 장식하기 위한 상부 커버부재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블럭의 양쪽 측면에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안내 걸림돌기가 연속하여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내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커버부재의 양쪽 내측면에는 상기 안내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어 걸리기 위한 결합 안내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받침대는,
    상기 철편과 걸림공에 걸리기 위한 걸림편이 일측에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반 등을 받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와 받침부가 이루는 각도는 90.5°- 9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KR1020200164971A 2020-11-30 2020-11-30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KR102492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71A KR102492153B1 (ko) 2020-11-30 2020-11-30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71A KR102492153B1 (ko) 2020-11-30 2020-11-30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126A true KR20220076126A (ko) 2022-06-08
KR102492153B1 KR102492153B1 (ko) 2023-01-26

Family

ID=8198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971A KR102492153B1 (ko) 2020-11-30 2020-11-30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15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055Y1 (ko) * 1999-11-12 2000-04-15 김준경 가구용 높이 조절 기구
KR200244469Y1 (ko) * 2001-05-19 2001-10-29 주식회사 영림특수목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20100122567A (ko) * 2009-05-13 2010-11-23 주식회사 우아미가구 선반 구조물
US20110215212A1 (en) * 2008-11-14 2011-09-08 Aydin Keyvanloo Vertical mounting system
KR20120002419U (ko) * 2010-09-29 2012-04-06 주식회사 동성사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KR200461779Y1 (ko) 2010-03-08 2012-08-06 한태열 시스템 가구용 선반받침대
KR200461778Y1 (ko) 2010-03-05 2012-08-06 한태열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200474283Y1 (ko) * 2014-06-17 2014-09-03 (주) 아이렉스케이엔피 선반 지지장치
KR200486510Y1 (ko) * 2017-09-05 2018-05-31 (주) 아이렉스케이엔피 조립식 옷장 및 조립식 옷장용 프레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055Y1 (ko) * 1999-11-12 2000-04-15 김준경 가구용 높이 조절 기구
KR200244469Y1 (ko) * 2001-05-19 2001-10-29 주식회사 영림특수목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
US20110215212A1 (en) * 2008-11-14 2011-09-08 Aydin Keyvanloo Vertical mounting system
KR20100122567A (ko) * 2009-05-13 2010-11-23 주식회사 우아미가구 선반 구조물
KR200461778Y1 (ko) 2010-03-05 2012-08-06 한태열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200461779Y1 (ko) 2010-03-08 2012-08-06 한태열 시스템 가구용 선반받침대
KR20120002419U (ko) * 2010-09-29 2012-04-06 주식회사 동성사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KR200474283Y1 (ko) * 2014-06-17 2014-09-03 (주) 아이렉스케이엔피 선반 지지장치
KR200486510Y1 (ko) * 2017-09-05 2018-05-31 (주) 아이렉스케이엔피 조립식 옷장 및 조립식 옷장용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153B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3315B2 (en) Domestic appliance comprising a support system
CA2922165C (en) Ceiling-mounted baffle system
CN110267881B (zh) 存储平台
US20090224119A1 (en) Mounting system
US20150053635A1 (en) Modular Storage System having Self Locking Components that are Reconfigurable without the need for Tools and/or Fasteners
US7784626B2 (en) Wall hanging system
US20160235195A1 (en) Modular Storage System having Self Locking Components that are Reconfigurable without the need for Tools and/or Fasteners
JP2020527199A (ja) 複数の調整を備えたドア及びワードローブドア用スライド装置
JP2013518621A (ja) 引出し収納部
KR200492971Y1 (ko) 높이조절 가능한 인테리어 가벽
US20170354246A1 (en) Functional rail and worksurface support
KR102492153B1 (ko)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US20030084617A1 (en) Bracket support system for pool cover box lid
KR20080074297A (ko) 칸막이용 걸레받이
EP2390447B1 (en) Bracket with front coupling for carriages of sliding wings or doors
JP2001081929A (ja) 手摺の取付構造
KR20190000312U (ko) 파티션용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
KR102608568B1 (ko) 시스템 가구의 넘어짐 방지구조물
KR200321255Y1 (ko) 조립 선반
KR102285543B1 (ko) 시스템 선반
KR102532157B1 (ko) 다용도 커튼박스
US9140046B1 (en) Hanger bracket used in overhead sliding door installation
WO2013082664A1 (en) A support element or bracket
US20100071601A1 (en) Shelf system
KR20090009734U (ko) 선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