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931B1 -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 Google Patents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931B1
KR102497931B1 KR1020220091795A KR20220091795A KR102497931B1 KR 102497931 B1 KR102497931 B1 KR 102497931B1 KR 1020220091795 A KR1020220091795 A KR 1020220091795A KR 20220091795 A KR20220091795 A KR 20220091795A KR 102497931 B1 KR102497931 B1 KR 102497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ost
storage
pane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145A (ko
Inventor
전향자
Original Assignee
전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향자 filed Critical 전향자
Priority to KR1020220091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93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3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절한 높이로의 이동이 편리하고 사용 상태에 따라 거치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선반패널이 연결되는 패널결합부, 상기 패널결합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후방측에서 포스트에 결림되는 상측걸림부 및 하측걸림부, 상기 지지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선반패널이 수납상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수납걸림부를 포함하는 선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SHELF BRACKET CHANGEABLE ARRANGEMENT TO POST AND SHELF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절한 높이로의 이동이 편리하고 사용 상태에 따라 거치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다양한 공간 또는 붙박이장의 상단이나 중단에는 선반을 설치하여 물품을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선반은 주택 뿐만 아니라 상점에서 물품의 적재나 전시를 위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선반의 설치를 위한 장치는 벽체에 지지용 프레임 또는 포스트를 나사못 등으로 고정하고, 그 위에 패널 형태의 선반을 얹어 고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최근에는 다양한 용도로서 다양한 개소에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포스트에 결합되는 높이를 가변하여 선반패널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8931호는 종래기술의 포스트형 조립식 선반을 공개하고 있다.
도 1은 상기 종래기술의 포스트형 조립식 선반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2)와, 상기 포스트(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연결구(20)와, 상기 연결구(20)에 의해 포스트(2)에 연결되는 선반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구(20)는 일측에 개방부(21)가 형성되어 U자형상을 가지며 상기 포스트(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커플러(22)와, 상기 커플러(22)의 개방부(21) 양단부에 결합되어 커플러(22)를 포스트(2)에 가압고정시키는 캡(24)과, 상기 커플러(22) 또는 캡(24)에 구비되어 상기 선반부재(4)가 끼워지는 끼움수단(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조립식 선반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선반의 경우 다양한 목적과 구조에 맞추어 설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커플러의 포스트 및 선반부재와의 체결부위의 견고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는 사용과정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심화되었다. 또한, 커플러의 부피가 커서 공간을 차지함으로 인한 불리함이 있고 미관이 좋지 않은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방식과 함께 소정의 후크나 걸림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제조상의 경제성과 심플한 외관을 가지도록 하는 기술도 제시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상기된 기술에 비하여 상하 및 좌우로 선반이 움직이는 경우가 많은 한계가 있었고 물품을 제대로 거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의 선반은 높낮이가 가변되기는 하나 거치 형태의 변형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선반을 이루는 패널 자체가 소정의 공간을 차지하여 사용되지 않는 선반패널의 보관이 어렵고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제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상의 편리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면서도 공간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는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반패널이 결합되는 패널결합부(110)와, 상기 패널결합부를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지지부(120)와, 선반패널의 사용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후방측에서 포스트에 결림되는 상측걸림부(130)와 하측걸림부(140)와, 선반패널의 수납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고 포스트에 걸림되어 선반패널의 면이 포스트에 인접되도록 하는 수납걸림부(150)를 구비하는 선반 브라켓(100); 및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10)와 제2돌출부(220) 및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연결하되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거치홀(242)이 형성되는 연결판부(241)를 구비하는 포스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걸림부는, 상기 상측걸림부의 상측후방모서리(131)가 포스트에 걸림된 사용상태에서 하측걸림부의 하측전방모서리(142)가 포스트의 연결판부 전면에 밀착되면, 상기 하측전방모서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과 상측후방모서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 사이에 연결판부의 전후방 두께에 대응되는 장착유격(t)이 형성되고, 하측걸림부의 하측후방모서리(14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과 하측전방모서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 사이에 거치홀에 삽입 과정에서의 경사를 허용하는 유동거리(f)를 가질 수 있다.
삭제
일실시예로서, 상기 패널결합부는 지지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가 패널결합부에 접하는 부위에서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개구(101)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걸림부는 지지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의 전환시 지지부가 하향회동되면 포스트에 걸림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패널결합부는 지지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걸림부는 지지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의 전환시 지지부의 상하가 반전된 이후 하향회동되면 포스트에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걸림부는, 지지부의 후측을 하부로 연장시켜 포스트에 밀착되는 하측전방모서리의 길이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측걸림부가 포스트에 걸림되는 사용상태에서 회전모멘트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연결판부의 후방에 접촉되는 수납후방모서리(151)와 상기 연결판부의 전방에 접촉되는 수납전방모서리(152)를 구비하여 수납상태에서 상기 수납후방모서리의 상측 꼭지점과 상기 수납전방모서리의 면이 각각 연결판부의 후방 및 전방에 밀착되록 함으로써 선반브라켓의 하방으로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하여 선반의 사용상태와 수납상태의 변경이 쉽게 가능하여지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공간활용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를 위한 탈착 과정이 용이하고 구조적 견고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포스트형 조립식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에서 브라켓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에서 포스트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에서 수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에서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반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조물이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세워지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포스트에 대해 선반패널을 결합하여 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반의 브라켓으로서, 선반패널이 연결되는 패널결합부, 상기 패널결합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후방측에서 포스트에 결림되는 상측걸림부 및 하측걸림부, 상기 지지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선반패널이 수납상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수납걸림부를 포함하는 선반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양측의 브라켓이 그 사이에 선반패널을 결합하여 포스트의 선택된 높이에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는데, 단일의 브라켓이 선반패널을 결합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수평하다고 함은 지면 또는 바닥면에 완전하게 수평한 경우는 물론 선반패널의 상면에 물품이 소정의 마찰력에 의하여 거치 상태가 보존될 수 있을 정도의 경사를 가지는 경우도 포함하여 사용상태로 정의하며, 수직하다고 함은 선반패널의 면이 포스트에 인접되어 수평선으로의 각도보다 수직선으로부터의 각도가 상당히 작은 경우를 포함하여 수납상태로 정의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대략 직립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포스트(200)에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100)이 결합되며, 사용상태에서 두 개의 구성은 대략 직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각도는 기본적으로 패널결합부(110)의 면 내지는 패널결합부(110)에 배치되는 선반패널(도 5의 300)과 포스트(200)의 중심선의 각도를 의미할 것이다. 다만 상기 각도는 반드시 수직인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브라켓(100)에 대해 포스트(200)에 결합되는 측을 후방으로 이에 반대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브라켓(100)은 선반패널을 상면 또는 하면에서 결합할 수 있는 패널결합부(110)와, 상기 패널결합부(110)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인 구조물을 지지하여 하중을 포스트(200)로 전달하는 지지부(120)로 크게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후방측에 상하부 걸림부와, 수납걸림부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한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생산성을 고려하면 하나의 브라켓(100)은 하나의 금속 판재가 절단 및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일의 사출물로 형성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패널결합부(110)는 대략 수평한 면을 가지며 일실시예로서 선반패널의 저면과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브라켓(100)에는 패널결합부(110)의 상하를 관통하여 전방 및 후방측에 두 개의 체결구(111)가 형성되어 볼트나 피스와 같은 체결수단(미도시)이 삽입 및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패널결합부(110)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서 지지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20)는 바람직하게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하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과 미관을 고려하여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지부(120)의 후측에는 포스트(200)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형성된다.
포스트(200)는 직립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10) 및 제2돌출부(220)와 상기 제1돌출부(210) 및 제2돌출부(220)의 사이에 형성되어 후방측으로 함몰되고 걸림구조를 가지는 거치공간(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공간(230)은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릿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사이에 지지부(120)의 후방측 구조가 삽입되어 양측의 돌출부에 측면이 함께 지지될 것이다.
이러한 포스트(200)에는 외부의 벽면, 가구, 구조물 또는 물품 등과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체결방식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공지의 포스트 체결방식을 적용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라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패널결합부(110)의 측방 및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로서 지지부(120)가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부(120)의 형태는 선택적일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패널결합부(110)의 지지부(120)의 연결부위는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되 최소한 거치공간(230)에의 삽입시 패널결합부(110) 내지는 선반패널이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패널결합부(110)의 전후방 길이는 지지부(120)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상기 패널결합부(110)는 하측에서 지지부(120)가 연결되되 연결되는 방향은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폭방향 중심선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옷장이나 거실장 등의 배치 상태에서 선반패널의 무게와 이에 거치되는 물품의 하중을 고려하면 이러한 브라켓(100)의 강성이 보장될 필요가 있고, 이는 브라켓(100)의 재질과 두께를 제약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브라켓(100)은 전체적으로 금속판재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데, 강성을 고려하게 되면 패널결합부(110)와 지지부(120)의 절곡 과정에서 난이도가 상승된다. 이를 고려하여 길이방향으로 일부 구간에 패널결합부(110)에 접하는 지지부(120)의 부위에서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형태의 개구(10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지지부(120)의 후방측은 서로 다른 두 개의 기능을 하는 걸림부 구조가 각각 형성될 수 있고, 대략 선반패널이 수평하게 배치되는 사용상태로 사용되는 상측걸림부(130) 및 하측걸림부(140)와, 대략 선반패널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납상태로 사용되는 수납걸림부(150)로 구분될 수 있다.
상측걸림부(130)와 하측걸림부(140)는 지지부(120)의 후방 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각 하측으로 걸림되는 후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의 형태와 배치는 포스트(200) 거치홀의 배열에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납걸림부(150)는 상기 상측걸림부(130) 및 하측걸림부(140)의 배열에 대해 다른 각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부(1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며, 도시된 경우와 같이 선반패널의 결합상태를 고려하면 지지부(120)의 저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수납걸림부(150)의 형태와 크기도 포스트(200)의 거치홀 형태에 대응될 수 있다.
각 걸림부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림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걸림구조에서 후방측의 후방모서리와 지지부측의 전방모서리가 포스트(200)에 삽입되는 부위를 마주보고 배치될 것이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측걸림부(130)는 사용상태에서 후방측의 상측후방모서리(131)와 전방측의 상측전방모서리(132)를 포함할 수 있고, 하측걸림부(140)는 하측후방모서리(141)와 하측전방모서리(142)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사항을 참고하면, 사용상태에서 상측걸림부(130)와 하측걸림부(140)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측에서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지면서 회전모멘트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측걸림부(130)와 하측걸림부(140)에서 주요하게 응력이 발생하는 부위의 차이가 있다. 즉, 포스트(200)에 걸림된 상태에서 브라켓(100)에서 상측걸림부(130)의 상측후방모서리(131) 측이 포스트의 부위에 걸림되고, 하측걸림부(140)의 하측전방모서리(142) 측이 포스트의 부위에 걸림되어 응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하측전방모서리(142)가 포스트의 연결판부(도 4의 241) 전면에 밀착되고 상측후방모서리(131)가 포스트의 연결판부 후면이 밀착되어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하측전방모서리(내지는 꼭지점)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과 상측후방모서리(131)(내지는 꼭지점)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 사이의 간격은 장착유격(t)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유격(t)은 실질적으로 포스트(200)의 연결판부의 전후방 두께에 대응된다.
한편, 포스트(200)에 삽입되는 과정을 고려하면 소정 각도 회전 삽입이 가능하도록 어느 정도의 유동거리의 허용 필요성이 있고 이를 고려하면 상기 하측걸림부(140)의 하측후방모서리(141)는 상측후방모서리(131)보다 더 후측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며 하측후방모서리(내지는 꼭지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과 상기 하측전방모서리(142)로부터의 연장선 사이의 간격은 유동거리(f)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측걸림부(140)를 거치홀에 먼저 삽입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경사가 있더라도 삽입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측전방모서리(132)는 하측전방모서리(142)보다 더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측에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는 걸림부들의 포스트(200)로 삽입 및 체결과정에서 걸림과정과 회전에 어느 정도의 유격을 허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상기 상측걸림부(130)의 하단 이하의 지지부(120)의 모서리 부위는 후방측으로 융기되면서 융기부(160)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융기부(160)는 하측전방모서리(142)에서의 포스트(200)로의 지지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측전방모서리(142)보다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융기부(160) 측은 소정의 단턱을 형성하므로 사용상태에서 상측걸림부(130)와 하측걸림부(140)의 체결이 완료되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120)의 하측으로 수납걸림부(150)가 형성되며, 이때 수납걸림부(150)는 사용상태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수납걸림부(150)가 포스트(200)에 걸림되는 수납상태를 이루게 될 것이며, 이때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면 후방측의 수납후방모서리(151)와 전방측의 수납전방모서리(152)가 배치된다. 상기 수납걸림부(150)는 사용상태의 걸림부와 마찬가지로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나, 수납상태에서는 선반패널에 소정의 물품이 거치되지 않으므로 부하가 적기 때문에 구조적 단순성과 사용상 편리성을 고려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수납후방모서리(151)의 상측 꼭지점과 수납전방모서리(152)의 면이 각각 포스트(200)의 연결판부 후방 및 전방측에 밀착되어 수납상태를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거치상태에서는 하중의 지지보다는 수납과 인출의 편리성이 더 강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납걸림부(150)의 수납후방모서리(151)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되는 경사(도시된 사용상태 기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수납걸림부(150)가 형성됨에 따라 지지부(120)의 후방측은 하부로 더 연장되므로 이는 포스트(200)에 밀착되는 면 즉, 하측전방모서리(142)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견고한 지지능력이 더 향상될 수 있으며, 수납걸림부(150)의 구조에 의하여 강한 하중에 의한 회전모멘트에의 유연성 있는 대응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상기 수납걸림부(150)의 배치는 상기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도시된 경우보다 더욱 전방으로 배치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포스트(200)는 전체적으로 직립되는 형태로 배치되며 사용되는 위치와 목적 등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포스트(200)는 크게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돌출부(210) 및 제2돌출부(220)와, 상기 제1돌출부(210) 및 제2돌출부(220)의 사이에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여 브라켓(100)이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거치홀(242)을 가지는 연결판부(24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10) 및 제2돌출부(220)는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조비용과 강성의 보장을 위하여 중공이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들을 내주에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돌출부들의 형태는 선택적이다. 다만, 중심측에서 마주보는 측면에서 브라켓(100)의 지지부(120) 측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수직선에 직교하는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판부(241)는 최소한 제1돌출부(210) 및 제2돌출부(220)의 전면보다는 후방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의 거치홀(242)들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지지되는 브라켓(100)의 높이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의 상측걸림부(130)와 하측걸림부(140)가 동시에 두 개의 거치홀(242)을 선택하여 걸림하거나, 수납걸림부(150)가 어느 하나의 거치홀(242)을 선택하여 걸릴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두 개의 브라켓(100)이 양측에서 선반패널(300)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거치홀(242)의 폭도 실질적으로 지지부(120)의 두께, 정확하게는 걸림부의 두께의 두 배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포스트에 수납상태로서 선반패널이 보관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 2와 대비하여 살펴보면, 패널결합부(110)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포스트(200)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만, 이러한 각도는 하중의 분포나 수납걸림부(150)의 형태 등에 의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소정의 경사진 형태도 지면에 수직하다는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상기된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상태에서 하방으로 회전되어 수납걸림부(150)가 상측에 배치되어 수납상태에서는 수납걸림부(150)가 연결판부(241) 및 거치홀(242)에 삽입 및 걸림되어 지지될 것이다. 이때, 제1돌출부(210)와 제2돌출부(220)의 마주보는 측면은 그 사이에 판 형태의 지지부(120) 부위를 지지하여 좌우 유동을 어느 정도 억제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를 때, 수납상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어느 정도 유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수직선과의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의 경우는 공간에 크게 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수직선과의 각도가 커지는 방향)의 경우는 공간을 좁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하측걸림부(140)의 돌출된 하단측은 단부스토퍼(143)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수납걸림부(150)가 거치홀(242)에 걸림된 상태에서 하측걸림부(140)의 단부스토퍼(143)는 연결판부(241)의 면에 밀착됨으로써 더이상의 상방으로의 회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반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브라켓(100)이 양측에서 선반패널(300)을 지지하면서 포스트(200)에 걸림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된 일실시예의 경우 지지부(120)의 상측에 패널결합부(1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반패널(300)의 양측 저면에서 브라켓(100)이 결합될 것이며 상호간의 체결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볼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서 서로 폭이 다른 선반패널(300)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패널의 폭은 배치되는 포스트(200) 사이의 간격에 대응될 것이다.
두 개의 선반패널(30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호 대칭되는 형태의 브라켓(100)이 하나씩 배치되고, 상호 마주보는 부위에서도 대칭되는 형태의 브라켓(100) 한쌍이 상호 밀착 및 등진 상태로 하나의 포스트(200)에 결합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포스트(200)의 돌출부 측면에서 지지부(120)를 지지하고 있고, 거치홀(242)의 폭이 두 개의 지지부(120)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기 때문에 도시된 상태에서 좌우로의 유동은 거의 없이 견고한 체결이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20)의 하측으로 패널결합부(110)가 배치되어 있으며 도 3과 대비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반패널(300)의 체결상태에서 선반패널(300) 측면으로 지지부(120)가 일부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것이다. 이 경우 선반패널(300)과의 간섭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상태를 기준으로 수납걸림부(150)가 지지부(120) 후방 상측에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실시예가 90도 회전하여 수납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경우와 달리 상하면을 한 번 반전 및 90도 회전하여 전환시키는 차이가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일싱시예의 경우처럼 사용상태에서 수납상태로의 전환이 조금 더 번거로운 문제가 있을 것이나 수납된 상태를 고려하면 전체적으로 선반패널(300)의 두께가 영향을 미치지 않아 공간적인 이점이 더욱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에 의하여, 선반의 사용상태와 수납상태의 변경이 쉽게 가능하여지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공간활용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를 위한 탈착 과정이 용이하고 구조적 견고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브라켓 101...개구
110...패널결합부 111...체결구
120...지지부 130...상측걸림부
131...상측후방모서리 132...상측전방모서리
140...하측걸림부 141...하측후방모서리
142...하측전방모서리 150...수납걸림부
151...수납후방모서리 152...수납전방모서리
160...융기부 200...포스트
210...제1돌출부 220...제2돌출부
230...거치공간 241...연결판부
242...거치홀 300...선반패널

Claims (2)

  1. 선반패널이 결합되는 패널결합부(110)와, 상기 패널결합부를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지지부(120)와, 선반패널의 사용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후방측에서 포스트에 결림되는 상측걸림부(130) 및 하측걸림부(140)와, 선반패널의 수납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포스트에 걸림되어 선반패널의 면이 포스트에 인접되도록 하는 수납걸림부(150)를 구비하는 선반 브라켓(100); 및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10)와 제2돌출부(220) 및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연결하되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거치홀(242)이 형성되는 연결판부(241)를 구비하는 포스트(200);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걸림부는,
    상기 상측걸림부의 상측후방모서리(131)가 포스트에 걸림된 사용상태에서 하측걸림부의 하측전방모서리(142)가 포스트의 연결판부 전면에 밀착되면, 상기 하측전방모서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과 상측후방모서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 사이에 연결판부의 전후방 두께에 대응되는 장착유격(t)이 형성되고, 하측걸림부의 하측후방모서리(14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과 하측전방모서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 사이에 거치홀에 삽입 과정에서의 경사를 허용하는 유동거리(f)를 가지는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걸림부는,
    지지부의 후측을 하부로 연장시켜 포스트에 밀착되는 하측전방모서리의 길이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측걸림부가 포스트에 걸림되는 사용상태에서 회전모멘트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연결판부의 후방에 접촉되는 수납후방모서리(151)와 상기 연결판부의 전방에 접촉되는 수납전방모서리(152)를 구비하여 수납상태에서 상기 수납후방모서리의 상측 꼭지점과 상기 수납전방모서리의 면이 각각 연결판부의 후방 및 전방에 밀착되록 함으로써 선반브라켓의 하방으로의 회동을 억제하는 선반.
KR1020220091795A 2019-12-26 2022-07-25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KR102497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795A KR102497931B1 (ko) 2019-12-26 2022-07-25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160A KR20210082828A (ko) 2019-12-26 2019-12-26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KR1020210099116A KR20210095849A (ko) 2019-12-26 2021-07-28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KR1020220091795A KR102497931B1 (ko) 2019-12-26 2022-07-25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116A Division KR20210095849A (ko) 2019-12-26 2021-07-28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145A KR20220107145A (ko) 2022-08-02
KR102497931B1 true KR102497931B1 (ko) 2023-02-08

Family

ID=7686108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160A KR20210082828A (ko) 2019-12-26 2019-12-26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KR1020210099116A KR20210095849A (ko) 2019-12-26 2021-07-28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KR1020220091795A KR102497931B1 (ko) 2019-12-26 2022-07-25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160A KR20210082828A (ko) 2019-12-26 2019-12-26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KR1020210099116A KR20210095849A (ko) 2019-12-26 2021-07-28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100828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309515U (zh) * 2022-04-06 2022-08-30 惠州市丽瑞家居有限公司 一种便于连接的高稳定性置物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750A (ja) 1999-01-13 2000-07-25 Takubo Kogyosho:Kk 整理棚
KR200227783Y1 (ko) 2001-01-05 2001-06-15 주식회사동성사 선반 설치용 구조물
KR200263091Y1 (ko) 2001-10-26 2002-02-01 최천순 선반용 브래킷의 수평받침대
KR200472256Y1 (ko) 2011-04-15 2014-04-11 공간찬넬주식회사 선반 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4212A (ja) * 1982-09-07 1984-03-12 ザ・ミ−ド・コ−ポレ−シヨン 棚構造
JPH02154702A (ja) * 1988-12-06 1990-06-14 Tategu Sogo Shiyoushiya Futaba:Kk 棚受金具及びその棚受金具を使用した壁構造
KR20120002122U (ko) * 2010-09-14 2012-03-23 주식회사 동성사 가구용 선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750A (ja) 1999-01-13 2000-07-25 Takubo Kogyosho:Kk 整理棚
KR200227783Y1 (ko) 2001-01-05 2001-06-15 주식회사동성사 선반 설치용 구조물
KR200263091Y1 (ko) 2001-10-26 2002-02-01 최천순 선반용 브래킷의 수평받침대
KR200472256Y1 (ko) 2011-04-15 2014-04-11 공간찬넬주식회사 선반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828A (ko) 2021-07-06
KR20220107145A (ko) 2022-08-02
KR20210095849A (ko) 202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060B2 (en) Wall-mounted shelving system
US4928833A (en) Storage organizer system and means for installing the same
US6402108B1 (en) Shelving bracket
US7004335B2 (en) Wire shelf having integrated hooks with hanger rod
US7506772B2 (en) Wall-mount rack
US6161709A (en) Suspended shelf mounting system
US9138077B2 (en) Modular hanging storage tracks
KR102497931B1 (ko)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KR200470599Y1 (ko) 조립식 선반
US20110192948A1 (en) Shelf bracket for goods shelves
KR200458687Y1 (ko) 걸이봉이 구비된 선반
KR102211976B1 (ko) 조립식 선반의 회동식 행거장치
KR101614834B1 (ko) 장식 가구용 접이식 패널
KR102363576B1 (ko) 캠핑용 트레일러의 외부선반
KR200415672Y1 (ko) 코너 선반
JPS634098Y2 (ko)
JP5917585B2 (ja) 収納ユニット
KR200490729Y1 (ko) 가방 걸이대
CN216089968U (zh) 一种可拆卸衣架及其挂钩组件
CN209324806U (zh) 防脱挂扣以及组合柜
KR102329722B1 (ko) 확장성을 갖는 조립식 가구
KR20180003131U (ko) 조립식 스탠드형 옷걸이대
KR100594372B1 (ko) 조립식 걸이
KR200424495Y1 (ko) 다용도실용 선반 받침장치
KR200236611Y1 (ko) 옷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