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801A - 다용도 식품가공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식품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801A
KR20220067801A KR1020200154447A KR20200154447A KR20220067801A KR 20220067801 A KR20220067801 A KR 20220067801A KR 1020200154447 A KR1020200154447 A KR 1020200154447A KR 20200154447 A KR20200154447 A KR 20200154447A KR 20220067801 A KR20220067801 A KR 20220067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coupled
rotating rod
dehydr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678B1 (ko
Inventor
천봉우
Original Assignee
천봉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봉우 filed Critical 천봉우
Priority to KR1020200154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678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4/00Multi-purpose machines for preparing food with several driving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02Hand devices for scraping or peel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working units, e.g. with a single driving-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용도 식품가공기는, 식재료의 박피, 다짐 및 탈수를 부속을 교체해 가며 하나의 장치로 작동할 수 있는 식품가공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식품가공기는, 하면 및 측면은 폐쇄되고 상면은 개방되며 바닥면 중심에 회전중심대가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의 본체; 본체 상면에 장착되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상호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하로 밀착 구성되는 뚜껑; 상부커버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회전손잡이; 및 하부커버의 중심부와 본체 내부의 바닥면 중심부를 수직 연결하는 회전봉;을 포함하되, 상부커버는, 회전손잡이의 일단에 대응되며 일측에 치우쳐 통공 형성되는 손잡이구멍;을 더 포함하고, 하부커버는,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톱니바퀴가 톱니 결합되며 나란히 배치되는 톱니부; 톱니부의 외곽선을 따라 형성되어 복수의 톱니바퀴가 안착되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울타리; 및 중심부에 통공 형성되는 하부중앙공;을 더 포함하고, 톱니부는, 중심부가 회전손잡이 일단에 결합되어 연동되는 큰톱니바퀴; 큰톱니바퀴에 톱니 결합되어 연동되는 중간톱니바퀴; 및 측면으로는 중간톱니바퀴에 톱니 결합되어 연동되고, 하면 중심부는 회전봉 상단과 결합되며, 하부커버의 중심에 배치되어 하부중앙공의 테두리에 거치되며 장착되는 작은톱니바퀴;를 포함하여, 회전손잡이를 회전하면 톱니부가 회동하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식품가공기{Versatile Food Processor}
본 발명은 다용도 식품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야채 등 식재료의 박피, 다짐 및 탈수를 부속을 교체해 가며 하나의 장치로 작동할 수 있는 식품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다용도 식품가공기는, 뚜껑이 구비된 원통형의 본체 내부에 뚜껑과 바닥면을 연결하는 회전봉이 구비되고, 뚜껑에는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톱니바퀴가 톱니 결합된 상태로 내장되되 작은 톱니바퀴는 중심부에 배치되어 회전봉의 상단과 연결되고 큰 톱니바퀴는 뚜껑 상부 외측에 구비되는 회전손잡이에 연결되면서, 뚜껑 외부에서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본체 내부에서 회전봉이 회전될 수 있는 장치로서, 회전봉에 완만한 볼록형의 박피돌기를 장착하면 마늘 등 채소의 박피 기능을 할 수 있고, 회전봉에 칼날 형태의 절삭부재를 장착하면 야채를 포함한 식재료의 다짐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본체 내주면에 밀착 구비되는 탈수통을 장착하고 탈수전용핀을 꽂아 회전봉과 탈수통이 연동되도록 결합시키면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탈수통이 회동하면서 탈수통 내 삽입된 식재료의 탈수 기능까지 할 수 있어서, 야채 등 식재료의 조리를 위한 손질 기능은 물론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시 부피는 줄이고 습기를 제거하여 배출함으로써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다용도 식품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노동력의 밀집화, 인구의 감소, 핵가족화가 일반화되면서 1~2인 가구 형태가 증가되고 따라서 소형 규모의 주택이 건설되는 게 대세로서, 소형 주택의 경우 수납공간 및 주방공간 또한 임팩트있고 실효성 있으면서 합리적인 공간으로서 작아지는 것이 대체적인 추세이다.
이에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기구들도 여러 기능을 겸하는 다기능 조리기구가 추진되고 있는 과정에 있으며, 이는 공간을 합리적이고 심플하게 활용하기 위함인데 즉 적은 개수의 조리기구만을 구비하면서도 다양한 조리를 할 수 있는 실용성을 중시하는 이유에 기인한다.
가령 물을 끓이는 전기주전자는 단순히 물의 가열 기능만 있는 게 아니라 전기밥솥의 기능까지 합쳐 라면과 죽을 끓일 수 있는 기구로 개선되는 경우도 있고, 다른 예로서는 커피콩을 갈은 후에 그 위에 물을 끓여 부어 커피를 추출하던 것에서 이제는 스위치 하나만 누르면 원두를 갈아내고 갈아진 원두 위에 뜨거운 물이 뿜어져 나와 한 잔의 커피를 추출하는 등 복합적인 기능이 구비된 주방 조리기구 등이 개발되면서 점차 주방의 조리기구 수를 줄여 하나의 기구로 여러 기능이 가능하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주방에서 여러 가지 번거로운 절차를 살펴보면 야채 등 식재료를 손질하는 데 있어 마늘과 같은 야채의 껍질을 벗기는 박피 손질, 야채를 잘게 다지는 다짐 행위, 야채나 한약재를 탈수할 때 완력으로 힘들게 쥐어 짜는 행위 등이 있는 데 상기 번거로운 과정을 해소하고자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박피 장치, 다짐 장치, 탈수 장치를 모두 구비하기에는 주방이 협소하여 너무 혼잡해지고 비용도 증가하여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처분 시 물기를 줄이고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별도의 음식물처리기를 구비하게 되면 주방 내 상당한 공간을 할애해야 해서 소형 규모화 되어가는 주택의 트렌드에 적합하지 않고 혼잡함과 경제성의 문제도 대두되는 상황에 있다.
이에 각각의 장치들을 모두 구비하지 않고도 심플하고 활용도가 높은 단일의 장치를 구비하여 주방의 조리과정에서 번거로웠던 박피, 다짐, 탈수 기능이 쉽게 해소되고 게다가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 감소와 물기 제거가 가능하여 환경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종래에 시장에 출시된 제품들은 한 가지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형태가 많았는데, 가령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가운데 한 가지는 싱크대 구멍에 끼워 음식물 설거지 때 나오는 찌꺼기들이 쌓이면 위에 뚜껑을 닫고 봉을 끼워 세우고 봉을 쥐고 누르면 속에 있는 거름망이 회전하면서 쓰레기의 물기를 배출하는 것으로 한 때는 혁신제품으로 출시되었으나, 상기 종래 발명은 일종의 야채 탈수기를 변형한 것에 불과하여 다만 사이즈가 더 큰 야채탈수기를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물을 털어내는 형태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이렇듯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함에 있어서 많은 기구들이 나오고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음폐수 문제인데 반해, 종래의 기구들은 모두가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있어서 무조건 물을 짜내면 된다는 생각으로 탈수 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진정한 음식물쓰레기의 음폐수라는 것은 소금이나 설탕 등으로 삼투압현상에 의해서 절여진 것들의 자체에 스며든 것들이 바로 문제가 되는 음폐수이기 때문에 단순히 탈수만 이뤄져서는 효과가 적으며 무조건 잘게 다지면서 최대한 많은 자체 물기를 뽑아내야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점이 본 발명의 진정한 의미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종래 출시된 발명품들에 있어 이제까지 수 없이 많은 제품들이 모두 제각각 하나씩의 기능을 하고 있음에 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본체로 여러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봉과 탈수 통을 교체하는 가운데 여러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39804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뚜껑이 구비된 원통형의 본체 내부에 뚜껑과 바닥면을 연결하는 회전봉이 구비되고, 뚜껑에는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톱니바퀴가 톱니 결합된 상태로 내장되되 작은 톱니바퀴는 중심부에 배치되어 회전봉의 상단과 연결되고 큰 톱니바퀴는 뚜껑 상부 외측에 구비되는 회전손잡이에 연결되면서, 뚜껑 외부에서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본체 내부에서 회전봉이 회전될 수 있는 장치로서, 회전봉에 완만한 볼록형의 박피돌기를 장착하면 마늘 등 채소의 박피 기능을 할 수 있고, 회전봉에 칼날 형태의 절삭부재를 장착하면 야채를 포함한 식재료의 다짐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본체 내주면에 밀착 구비되는 탈수통을 장착하고 탈수전용핀을 꽂아 회전봉과 탈수통이 연동되도록 결합시키면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탈수통이 회동하면서 탈수통 내 삽입된 식재료의 탈수 기능까지 할 수 있어서, 야채 등 식재료의 조리를 위한 박피, 다짐, 탈수 등 손질 기능은 물론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시 부피는 줄이고 습기를 제거하여 배출함으로써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다용도 식품가공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식품가공기는, 하면 및 측면은 폐쇄되고 상면은 개방되며 바닥면 중심에 회전중심대가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의 본체; 본체 상면에 장착되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상호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하로 밀착 구성되는 뚜껑; 상부커버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회전손잡이; 및 하부커버의 중심부와 본체 내부의 바닥면 중심부를 수직 연결하는 회전봉;을 포함하되, 상부커버는, 회전손잡이의 일단에 대응되며 일측에 치우쳐 통공 형성되는 손잡이구멍;을 더 포함하고, 하부커버는,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톱니바퀴가 톱니 결합되며 나란히 배치되는 톱니부; 톱니부의 외곽선을 따라 형성되어 복수의 톱니바퀴가 안착되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울타리; 및 중심부에 통공 형성되는 하부중앙공;을 더 포함하고, 톱니부는, 중심부가 회전손잡이 일단에 결합되어 연동되는 큰톱니바퀴; 큰톱니바퀴에 톱니 결합되어 연동되는 중간톱니바퀴; 및 측면으로는 중간톱니바퀴에 톱니 결합되어 연동되고, 하면 중심부는 회전봉 상단과 결합되며, 하부커버의 중심에 배치되어 하부중앙공의 테두리에 거치되며 장착되는 작은톱니바퀴;를 포함하여, 회전손잡이를 회전하면 톱니부가 회동하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은톱니바퀴의 하면에는 다각형으로 요홈 형성되는 회전봉연결홈이 구비되고, 회전봉은, 상부에 구비되는 원기둥 형상의 톱니바퀴결합부 및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중심축이 결합 형성되며, 톱니바퀴결합부는, 원기둥 형상이되 상면에는 회전봉연결홈에 대응되는 다각형상으로 돌출부가 구비되는 상부결합축; 상부결합축의 하면에서 상부결합축 보다 작은 직경의 봉 형상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하부결합축; 및 하부결합축의 외주면을 감싸며 장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회전중심축은, 상면 중심에는 하부결합축에 대응되는 회전상부홈이 요홈 형성되고, 하면 중심에는 회전중심대에 결합되는 회전하부홈이 요홈 형성되며, 톱니바퀴결합부와 회전중심축은 탈부착 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봉은, 외주면을 따라 완만한 곡면의 박피돌기가 다수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봉은, 외주면을 따라 절삭부착틀이 다수 구비되고, 상기 절삭부착틀에 날개 형상의 절삭부재가 다수 장착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의 내주면에 소정 틈새를 형성하며 밀착 대응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써,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탈수공이 통공 형성되는 탈수통;을 더 포함하되, 탈수통은, 하면 중심에 통공 형성되며 통공 내주면에 회전봉이 밀착 관통되는 마찰방지턱; 상면 테두리에 복수 형성되며 상면에 핀이 꽂힐 수 있는 요홈이 형성되는 핀받침턱; 및 요철 형상으로 절곡된 선형의 부재이되 양단은 핀 형상으로 하향 구비되어 핀받침턱에 삽입되고, 중심부에는 탈수결합부가 구비되어 상부로는 회전봉연결홈에 결합되고 하부로는 돌출부에 끼움 결합되는 탈수전용핀;을 더 포함하며,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면 회전봉과 탈수통이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용도 식품가공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체의 중심부에 박피돌기가 형성된 회전봉을 장착하면 건조 마늘의 껍질을 벗기는 등 박피 기능을 할 수 있고, 칼날과 같은 절삭부재가 형성된 회전봉을 장착하면 깐 마늘, 무, 양파 등을 잘게 분쇄하는 다짐 기능을 할 수 있어 각기 다른 기능의 회전봉을 교체 장착하면서 단일의 장치로 박피, 다짐 기능을 모두 할 수 있다.
둘째, 본체의 내주면에 탈수통을 장착하고 핀을 꽂은 상태에서 회전손잡이를 돌리면 다짐 기능을 할 수 있고, 다짐 과정이 종료된 후 핀을 뺀 상태에서 회전손잡이를 돌리면 절삭부재와 다져진 야채에 의해 탈수통이 회전되면서 탈수가 이뤄질 수 있어 단일 장치를 통해 다짐과 탈수가 연속해서 이뤄질 수 있어 편리하다.
셋째, 본체 내주면에 탈수통을 장착하고 탈수전용핀을 뚜껑과 회전봉에 결합시키면 탈수통이 회전될 수 있어, 데친 나물의 물기 감소 등 조리를 위한 식재료의 탈수, 한약재 짜기 등 물기 제거를 위한 조리가 편리해지고 탈수된 물은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넷째, 탈수통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본체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중심대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며 얹힐 수 있으면서 또한 통공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마찰방지턱이 구비되고 회전중심대의 주변에도 작고 완만한 곡면을 지닌 보조턱이 테두리를 따라 다수 부착되면서 마찰방지턱과 보조턱이 상호 접하여 결합이 이뤄지되, 상호 최소한의 면적으로 맞닿으며 회전이 이뤄질 수 있어 회전 시 발생되는 열을 줄이고 속도 장애가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뚜껑을 닫고 탈수고정핀을 뚜껑 상부에서 꽂은 후 회전손잡이를 돌리면 탈수통은 고정된 채 회전봉만 회전될 수 있고, 탈수고정핀을 빼면 탈수통의 고정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손잡이를 돌리면 다져진 야채가 매개체가 되어 회전봉의 회전력에 의해 탈수통이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이때 탈수고정핀은 편하게 아무 곳으로 삽입되어 꽂혀도 핀받침턱에 걸려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식품가공기의 외형, 박피형, 다짐형 및 탈수형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피돌기가 구비된 다용도 식품가공기의 단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3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부재가 구비된 다용도 식품가공기의 단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통이 구비된 다용도 식품가공기의 단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식품가공기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식품가공기 뚜껑의 톱니부 조립 전과 조립 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식품가공기의 외형, 박피형, 다짐형 및 탈수형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피돌기가 구비된 다용도 식품가공기의 단면도와 사시도이며, 도 3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부재가 구비된 다용도 식품가공기의 단면도와 사시도이고,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통이 구비된 다용도 식품가공기의 단면도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식품가공기 뚜껑의 단면도이고, 도 6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식품가공기 뚜껑의 톱니부 조립 전과 조립 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식품가공기(10)는 본체(100), 뚜껑(200), 회전손잡이(300), 회전봉(400) 및 탈수통(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원통형으로써 측면 및 하면은 폐쇄되고 상면은 개방되면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단 외측 테두리 복수의 위치에는 ㄷ자 형상의 이동손잡이(120)가 부착될 수 있고, 하면 외측으로는 복수의 받침대(170)가 돌출 형성되어 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측면 하단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130)가 구비되어 본체(100) 내부의 물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로써 기능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에서는 바닥면 중심에 회전중심대(110)가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회전중심대(110)는 소정 길이의 봉 형상으로써 후술하게 될 회전봉(400)의 하단부 회전하부홈(422)에 끼움 장착되면서 회전봉(400)을 본체(100) 내부에서 직립하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회전봉(400)이 회전할 때 바닥면과의 마찰 없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중심대(110)와 바닥면이 접하는 테두리에는 완만한 곡면을 지닌 보조턱이 테두리를 따라 다수 부착된 형상일 수 있다.
뚜껑(200)은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원형으로 구비되되 상부커버(210)와 하부커버(220)가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되면서 하나의 뚜껑(200)을 형성하며 본체(100)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뚜껑(200)은 상부에 배치되며 뚜껑(200)에 관통 결합되는 회전손잡이(300)와 본체(100)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봉(400)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여 회전손잡이(300)가 뚜껑(200) 외측에서 회전이 이뤄지면 본체(100) 내부에서는 회전봉(400)이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단순히 본체(100)의 상면 덮개의 기능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뚜껑(200)은 뚜껑(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커버(210)와 뚜껑(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커버(220)로 구성되되, 상부커버(210)는 손잡이구멍(211), 탈수핀공(212), 톱니꼭지홈(21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부커버(220)는 톱니부(221), 울타리(222), 하부중앙공(223) 및 힌지홈(2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구멍(211)은 회전손잡이(300)의 일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부커버(210)의 일측에 통공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손잡이(300)는 일단이 손잡이구멍(211)에 삽입되며 톱니부(221)에 연결될 수 있다.
탈수핀공(212)은 상부커버(210)의 테두리 중 소정 위치에 통공 형성되며 탈수고정핀(150)의 핀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탈수고정핀(150)은 머리는 넓고 머리의 하부에 얇은 핀이 형성된 형태로써 탈수핀공(212)에 삽입되면서 뚜껑(200)을 관통하여 탈수통(500)의 핀받침턱(530)에 삽입되어 탈수통(500)을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톱니꼭지홈(213)은 톱니부(221)에 구성되는 중간톱니바퀴(221b)와 작은톱니바퀴(221c)의 상부 중심에 구비되는 톱니바퀴꼭지(221e)에 대응되는 요홈 형상으로 소정 깊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커버(220)에는 복수의 원형이 겹쳐진 형상의 울타리(222)와 울타리(222)에 장착되는 톱니부(2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톱니부(221)를 통해 본체(100) 외부의 회전손잡이(300)와 본체(100) 내부의 회전봉(400)이 연결되어 상호 연동될 수 있고, 상부커버(210)는 하부커버(220)의 톱니부(221)가 원활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위치를 고정하고 보호하는 덮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우선 톱니부(221)는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톱니바퀴가 상호 톱니 결합되며 나란히 배치될 수 있는데 가장 큰 크기의 큰톱니바퀴(221a)와 중간 크기의 중간톱니바퀴(221b), 그리고 가장 작은 크기의 작은톱니바퀴(221c)가 순서대로 연이어 톱니 결합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큰톱니바퀴(221a)의 상면 중심에는 봉 형상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 봉에는 내주면에 요홈부가 형성되면서 회전손잡이(30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결국 큰톱니바퀴(221a)는 중심부 및 돌출 봉이 상부커버(210)의 손잡이구멍(211)에 대향 배치되고 손잡이구멍(211)을 통해 회전손잡이(300)의 일단과 큰톱니바퀴(221a)의 중심부 돌출 봉이 결합될 수 있다.
중간톱니바퀴(221b)는 큰톱니바퀴(221a)의 일측에 톱니 결합되면서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중간톱니바퀴(221b)의 상면 중심부와 하면 중심부에는 원추형의 톱니바퀴꼭지(221e)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톱니바퀴꼭지(221e)는 상부커버(210)의 일 톱니꼭지홈(213)에 끼움 장착되고, 하면 중심부에 형성된 톱니바퀴꼭지(221e)는 하부커버(220)에 형성된 일 톱니꼭지홈(213)에 끼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큰톱니바퀴(221a) 또한 하면 중심부에 톱니바퀴꼭지(221e)가 부착되고 톱니바퀴꼭지(221e)에 대향되는 하부커버(220) 위치에는 타 톱니꼭지홈(213)이 구비되어 큰톱니바퀴(221a)가 하부커버(220)에 끼움장착됨으로써 안착될 수 있다.
작은톱니바퀴(221c)는 중간톱니바퀴(221b)에 톱니 결합되면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는데, 작은톱니바퀴(221c)의 상면에는 톱니바퀴꼭지(221e)가 구비되어 상부커버(210)의 타 톱니꼭지홈(213)에 끼움 장착되고, 작은톱니바퀴(221c)의 하면은 하부커버(220)의 중앙에 통공 형성된 하부중앙공(223)에 대향되며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하부중앙공(223)의 직경은 작은톱니바퀴(221c)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작은톱니바퀴(221c)가 하부중앙공(223)의 테두리에 거치되며 안착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작은톱니바퀴(221c)의 하면 중심부에는 회전연결홈(221d)이 구비될 수 있는데, 회전연결홈(221d)은 회전봉(400)의 상단 돌출부(411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각형의 요홈부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하부중앙공(223)을 통해 본체(100) 내부공간을 향해 배치되는 작은톱니바퀴(221c)의 하면은 회전연결홈(221d)이 본체(100) 내부에 직립 구비되는 회전봉(400)의 상단 돌출부(411a)에 결합이 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큰톱니바퀴(221a)와 중간톱니바퀴(221b) 및 작은톱니바퀴(221c) 등 3개의 톱니바퀴가 상호 연달아 톱니 결합되면서 본체(100) 외부의 회전손잡이(300)와 본체(100) 내부의 회전봉(400)을 연결하는 구조가 되어, 본체(100) 외부에서 회전손잡이(300)를 회전시키면 3개의 톱니바퀴가 연동 회전하면서 본체(100) 내부의 회전봉(40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손잡이(300)에는 가장 큰 큰톱니바퀴(221a)가 연결되고, 점차 크기가 작아지는 톱니바퀴가 연결되는 형상이므로 회전손잡이(300)를 1회전만 해도 가장 작은 작은톱니바퀴(221c)는 수차례의 회전이 일어나므로 적은 힘으로 천천히 돌려도 회전봉(400)을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봉(400)은 외주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교체 장착하며 탈부착 될 수 있어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다용도 식품가공을 할 수 있게 되는 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톱니바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3개로 구성되어 톱니부(221)를 형성하였으나, 톱니부(221)는 본체(100) 및 뚜껑(200)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다양한 개수의 톱니바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큰톱니바퀴(221a)부터 작은톱니바퀴(221c)까지 3개의 톱니바퀴는 톱니부(221)를 형성하며 뚜껑(200)의 상부커버(210)와 하부커버(220) 사이 공간에 나란히 누운 형태로 배치되는데, 톱니부(221)는 하부커버(220)에 안착이 되고 이에 상부커버(210)가 톱니부(221)를 상부에서 밀착하며, 각 톱니바퀴에 구비되는 톱니바퀴꼭지(221e)와 톱니꼭지홈(213)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다수의 톱니바퀴가 상하 방향으로는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톱니부(221)가 측면 방향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톱니부(221)의 외곽선을 따라 소정 높이의 벽체로 형성된 울타리(2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울타리(222)는 크기가 상이한 다수의 원형이 겹쳐진 상태에서 외곽선을 이은 형상으로 담을 치듯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톱니부(221)는 복수의 톱니바퀴가 울타리(222)에 안착되며 자리를 잡고 측면 방향으로 안정감 있게 유지된 상태에서, 복수의 톱니바퀴꼭지(221e)가 복수의 톱니꼭지홈(213)에 결합되면서 상부커버(210)에 안정감있게 결합되고, 동시에 큰톱니바퀴(221a)의 상면과 작은톱니바퀴(221c)의 하면은 각각 회전손잡이(300)와 회전봉(400)에 결합이 되어, 회전손잡이(300)의 회전과 회전봉(400)이 연동 회전하되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부커버(220)의 테두리 일측에는 요홈 형성되는 힌지홈(224)이 형성되고, 상부커버(210)에는 힌지홈(224)에 대향되는 위치에 힌지홈(224)에 대응되는 크기로 요홈 절삭 구비되어, 상부커버(210)와 하부커버(220)가 결합되면 하부커버(220)의 힌지홈(224)이 상부 방향으로 노출이 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힌지(140)가 힌지홈(224)과 본체(100)의 측면 상단에 결합되면서 본체(100)에 뚜껑(200)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고정힌지(140)가 결합되면 뚜껑(200)은 본체(100)에 고정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힌지홈(224) 및 고정힌지(14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 뚜껑(200)은 본체(100) 상면에 부착과 분리가 되는 탈부착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회전봉(400)은 본체(100) 내부의 중심부에 직립 구비되어 회전을 하도록 설치되는데 회전봉(400)의 외주면 형상을 다양한 부속으로 교체 장착하게 되면 회전봉(400)의 회전 시 다용도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회전봉(400)의 상단은 뚜껑(200)과 연결되되 하부커버(220)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회전봉(400)의 하단은 본체(100) 내부의 바닥면 중심부에 결합되어 직립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봉(400)은 톱니바퀴결합부(410), 회전중심축(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톱니바퀴결합부(410)는 회전봉(4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단으로는 작은톱니바퀴(221c)에 결합되고 하단으로는 회전중심축(420)에 탈부착 방식으로 결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결합축(411), 하부결합축(412), 스프링(4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결합축(411)은 원기둥 형상이며, 상면에는 회전연결홈(221d)에 대응되는 다각형상의 돌출부(411a)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연결홈(221d)에 끼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결합축(412)은 상부결합축(411)의 하면 중심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상부결합축(411) 대비 작은 직경으로 구성되어, 측면에서 목측 시 상부결합축(411)과 하부결합축(412)은 하부 방향으로 요철 형성된 모양으로 원형의 계단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결합축(412)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스프링(413)이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스프링(413)은 압축스프링으로써 스프링(413)의 상단은 상부결합축(411)의 하면 테두리에 접하고 스프링(413)의 하단은 회전중심축(420)의 상면 테두리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중심축(420)은 톱니바퀴결합부(4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단으로는 톱니바퀴결합부(410)에 결합되고 하단으로는 본체(100) 내부 바닥면에 결합되면서, 전체적으로 회전봉(400)은 상부의 톱니바퀴결합부(410)와 하부의 회전중심축(420)이 하나의 세로축을 형성하면서 뚜껑(200)과 본체(100) 바닥면을 직립 연결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회전중심축(420)의 상면 중심에는 톱니바퀴결합부(410)의 하부결합축(412)에 대응되는 회전상부홈(421)이 요홈 형성되며 결합될 수 있고, 회전중심축(420)의 하면 중심에는 회전중심대(110)에 결합되는 회전하부홈(422)이 요홈 형성되며 본체(100)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봉(400)은 톱니바퀴결합부(410)와 회전중심축(420)을 연결한 길이가 뚜껑(200)에서 바닥면 사이보다 더 길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봉(400)을 상부의 뚜껑(200)과 하부의 바닥면에 결합할 때 회전중심대(110)에 회전하부홈(422)을 맞추며 회전중심축(420)을 바닥면에 결합시킨 후에 하부결합축(412)이 회전상부홈(421)에 인입되면서 상부결합축(411)이 스프링(413)을 압축하며 하향 이동된 상태로 상부결합축(411)의 돌출부(411a)를 작은톱니바퀴(221c)의 회전연결홈(221d)에 끼움 장착하면, 스프링(413)의 압축 복원력이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회전봉(400)은 뚜껑(200)과 바닥면 사이에서 단단한 결합을 이루며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회전봉(400)은 톱니바퀴결합부(410)가 상부에서 짧게 형성되고 회전중심축(420)이 회전봉(400)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형상으로 결합 구성될 수 있는데, 톱니바퀴결합부(410)는 회전봉(400)을 뚜껑(200)에 편리하고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기능으로써 구비되며, 회전중심축(420)의 외주면 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다용도 식품가공기(10)는 다양한 식품 가공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우선 회전중심축(420)의 외주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완만한 곡면의 박피돌기(430)가 다수 구비될 수 있다.
박피돌기(430)는 반구형으로써 외주면을 두르며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부착된 형상일 수 있는데, 회전봉(400)의 회전중심축(420)을 완만한 볼록형의 박피돌기(430)가 장착된 것을 사용하게 되면, 회전봉(400)이 회전하면서 본체(100) 내부에 삽입된 야채는 껍질이 벗겨지게 되어 박피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가령 건조하고 껍질이 까지지 않은 다수의 마늘을 본체(100) 내부에 삽입하고 박피돌기(430) 형 회전봉(400)을 장착한 채 회전봉(400)을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봉(400)이 돌면서 회전중심축(420)도 빠르게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되는데 다수의 마늘은 다수의 회전하는 박피돌기(430)에 부딪히면서 껍질이 벗겨지는 박피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때 박피돌기(430)의 돌출 반경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 낮고 평평한 박피돌기(430)부터 높고 볼록한 박피돌기(430)의 유형 등으로 세분화하여 다양하게 회전중심축(4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박피하고자 하는 야채의 종류 및 성질에 따라 다양한 회전중심축(420)을 변경 장착해가며 박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절삭부재(440)가 구비된 회전중심축(42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전중심축(420)에는 외주면을 따라 유선형의 날개 형상을 하고 측면이 날카로운 다수의 절삭부재(440)가 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회전중심축(42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삭부착틀(441)이 구비되고 절삭부재(440)의 일단이 절삭부착틀(441)에 장착될 수 있는데, 절삭부착틀(441)은 회전중심축(420)의 외주면에 돌출되고 복수의 요홈이 형성된 형태이며, 절삭부재(440)의 일단에는 상기 절삭부착틀(441)의 요홍에 대응되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절삭부재(440) 일단의 요철이 절삭부착틀(441)의 요홈에 끼움 장착되면서 절삭부재(440)가 절삭부착틀(441)에 결합되어 회전중심축(420)의 외주면에 다수의 절삭부재(440)가 탈부착 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회전봉(400)의 회전중심축(420)을 절삭부재(40)가 장착된 것으로 사용하게 되면, 회전봉(400)이 회전하면서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야채 등 식재료를 칼날로 회전 절삭하게 되고, 상기 절삭 과정이 빠른 속도로 많은 횟수 반복되면 식재료는 잘게 잘리면서 다져지게 되어 본 발명의 다용도 식품가공기(10)는 다짐기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절삭부재(440)가 너무 많이 부착되어 있으면 본체(100) 내에 야채를 넣고 회전봉(400)을 돌렸을 때 야채에 절삭부재(440)가 박혀 오히려 움직이지 못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의 절삭부재(440)가 구비될 수 있어야 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3개의 절삭부재(440)가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탈수통(500)은 본체(100)의 내주면에 소정 틈새를 형성하며 밀착 대응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써 측면 및 하면을 따라 다수의 탈수공(510)이 통공 또는 장공 형성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탈수통(500)을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하면 본체(100) 내주면에 맞춰 장착이 되면서 본체(100)에 생성되거나 삽입되는 물은 탈수공(510)을 통해 배출되어 본체(100) 내주면으로 빠지게 되며, 탈수통(500)과 본체(100) 사이 공간에 채워지는 액체는 배수구(130)를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탈수통(500)은 본체(100)에 고정되어 회전봉(400)의 회전에 연동되지 않고 본체(100) 내부에 생성된 수분만을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회전봉(400)과 연동되어 회전봉(400)의 회전과 함께 회동함으로써 본체(100) 내부에 삽입된 야채의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탈수통(500)은 핀받침턱(530), 탈수전용핀(540) 및 마찰방지턱(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핀받침턱(530)은 탈수통(500)의 상면 테두리에 내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복수 형성되고, 핀받침턱(530)의 상면에는 핀이 꽂힐 수 있는 요홈이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핀받침턱(530)은 바람직하게는 탈수통(500)의 상면 중심을 가로지르며 상호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200)에는 탈수핀공(212)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탈수통(500)이 장착되고 뚜껑(200)을 닫았을 때 탈수핀공(212)이 핀받침턱(530)의 요홈에 맞춰지도록 탈수통(500)을 배치하여 장착하면, 뚜껑(200)을 닫고 나서 탈수고정핀(150)을 탈수핀공(212)에 맞춰 삽입했을 때 탈수고정핀(150)은 탈수핀공(212)을 지나 핀받침턱(530)의 요홈까지 삽입이 되면서 뚜껑(200)과 탈수통(500)을 고정하게 되어 회전손잡이(300)를 돌려도 회전봉(400)만 회전하고 탈수통(500)은 정지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면 탈수통(500)을 회전봉(40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하여 식재료의 탈수 기능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탈수전용핀(540)이 복수의 핀받침턱(530)에 동시에 결합되면서 뚜껑(200)과 회전봉(400)에 연동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탈수전용핀(540)은 요철 형상으로 절곡된 선형의 부재이되 양단은 핀 형상으로 하향 구비되어 핀받침턱(530)의 상면 요홈에 끼움 장착되도록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탈수결합부(541)가 구비되어 상부로는 회전연결홈(221d)에 대응되며 끼움 결합되며 하부로는 돌출부(411a)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탈수전용핀(540)은 양단으로는 핀받침턱(530)에 결합되고, 중심부는 뚜껑(200)과 회전봉(400)에 결합되어 탈수통(500), 뚜껑(200), 본체(100)를 모두 결합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회전손잡이(300)를 돌리면 톱니부(221)가 연동되고 회전봉(400)이 회전하면서 탈수전용핀(540)을 통해 탈수통(500)까지 함께 회전이 이뤄지게 되는데, 본체(100) 내부에 물기를 머금은 데친 나물이라든지 달인 한약재가 들어있다면 탈수 기능을 하여 물기가 빠진 나물을 얻을 수 있고, 한약재 짜기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탈수전용핀(540)을 장착할 때 절삭부재(440)가 구비된 회전중심축(420)을 회전봉(400)에 장착하게 되면, 본체(100) 내부에 야채를 넣고 회전손잡이(300)를 돌리면서 야채는 잘게 다져지고 다짐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은 탈수공(510)을 통해 탈수통(500) 외측으로 배출되어 배수구(130)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다짐 기능과 동시에 소정의 수분도 함께 제거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탈수통(500)의 하면 중심부에는 회전중심축(420)이 관통되도록 통공 형성되며 통공 주위로는 회전중심축(420)의 회전 시 마찰 발생을 줄이도록 완만하게 오목한 패드가 다수 형성되는 마찰방지턱(520)이 구비될 수 있다.
마찰방지턱(520)의 통공은 회전중심축(420)의 직경에 대응되어 탈수통(500)이 회전중심축(420)에 끼움 장착된 후 헐겁지 않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되, 통공 주위의 오목한 패드는 회전중심축(420)이 회전할 때 마찰방지턱(520)의 통공 테두리와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력이 저하되고 통공이 훼손되면서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 저감용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는 마찰방지턱(520)의 통공이 회전중심대(110)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며 얹히게 되는데, 마찰방지턱(520)이 통공 테두리를 따라 완만한 곡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조각으로 구비되고, 회전중심대(110)의 주변에도 작고 완만한 곡면을 지닌 보조턱이 테두리를 따라 다수 부착되면서 마찰방지턱(520)과 회전중심대(110)의 보조턱이 서로 접하며 결합이 이뤄지되, 상호 최소한의 면적으로 맞닿으며 회전이 이뤄질 수 있게 함으로써 회전봉(400) 및 탈수통(500)의 회전 시 상호 마찰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열을 줄이고 속도 장애가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탈수통(500)을 본체(100) 내부에 장착한 뒤 다짐용 야채를 본체(100)에 넣고 뚜껑(200)을 닫은 후 탈수고정핀(150)을 탈수핀공(212)에 꽂으면 탈수통(500)은 탈수고정핀(150)이 삽입되어 뚜껑(20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데, 이 상태에서 회전손잡이(300)를 회전시켜 회전봉(400)을 회전시키고 절삭부재(440)가 회전하면 야채는 잘게 다져지면서 탈수통(500)과 회전봉(400) 사이에 꽉 차게 되면서 야채의 절삭 과정에서 생성된 일부 물기는 탈수공(510)을 통해 배출이 이뤄지는데 아직 완전한 탈수 상태는 아닐 수 있다.
그런데 야채 다짐과 동시에 탈수까지 하고 싶다면 상기 상태에서 탈수고정핀(150)만 제거한 채 다시 회전손잡이(300)를 돌리면 탈수통(500)은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었고 탈수통(500)의 내주면과 회전중심축(420) 및 절삭부재(440) 사이에는 잘게 다져진 야채가 가득 찬 상태이므로, 야채가 결합 매체가 되어 회전중심축(420)의 회전에 따라 탈수통(500)까지 함께 회전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탈수고정핀(150)을 뺀 후 뚜껑(200)을 열고 탈수전용핀(540)을 꽂은 후 뚜껑(200)을 닫고 회전시키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탈수고정핀(150)을 뺀 후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다져진 야채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만약 탈수통(500)이 함께 회전되도록 탈수전용핀(540)을 꽂은 상태에서 절삭부재(440) 용 회전봉(400)을 장착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탈수통(500)과 회전봉(400)이 함께 회전하므로 절삭과 함께 탈수도 이뤄질 수 있으나, 탈수통(500) 내에 삽입된 야채가 고정되지 않고 절삭부재(440)의 회전과 함께 회전이 이뤄지게 되므로 야채에 대한 절삭 다짐 효과가 현저히 저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다짐 기능을 먼저 시행한 후 탈수를 진행하는 것이 좋은데, 본 발명에서는 절삭부재(440) 형 회전봉(400)을 장착하고 야채를 넣은 후 뚜껑(200)을 닫고 탈수고정핀(150)을 꽂은 후 회전손잡이(300)를 돌리다가 야채 다짐이 완료되면 회전을 멈추고 탈수고정핀(150)을 제거한 후 재차 회전손잡이(300)를 돌리면 이번에는 탈수가 연이어 발생되어 편리하게 야채 다짐과 탈수를 단일의 장치로 연속 시행할 수 있다.
즉, 뚜껑(200)을 닫고 탈수고정핀(150)을 뚜껑(200) 상부에서 꽂은 후 회전손잡이(300)를 돌리면 탈수통(500)은 고정된 채 회전봉(400)만 회전되고, 이후 탈수고정핀(150)을 뺀 상태에서 회전손잡이(300)를 돌리면 다져진 야채가 매개체가 되어 회전봉(400)의 회전에 의해 탈수통이 함께 회전될 수 있는데, 이때 탈수고정핀(150)은 편하게 아무 곳으로 삽입되어 꽂혀도 핀받침턱(530)에 걸려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식품가공기(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건조한 마늘의 껍질을 벗기는 박피 기능으로 본 발명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박피돌기(430)가 있는 회전중심축(420)을 준비한 후 회전하부홈(422)을 회전중심대(110)에 대응시키며 장착하고, 회전상부홈(421)에는 하부결합축(412)을 삽입시키며 상부결합축(411)으로 스프링(413)을 압축하면서 톱니바퀴결합부(410)를 하향 압박한 후 돌출부(411a)를 하부커버(220)의 작은톱니바퀴(221c) 회전연결홈(221d)에 끼움 장착한다.
장착 후 스프링(413)이 압축된 복원력이 상하로 발생하면서 회전봉(400)은 뚜껑(200)과 본체(100) 바닥면 사이에 견고하게 직립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건조 마늘은 회전중심축(420)이 장착되고 나서 톱니바퀴결합부(410)가 장착되기 전 단계에서 본체(100)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회전중심축(420)이 장착되기 이전에 박피 대상 야채가 먼저 삽입될 수도 있다.
이제 뚜껑(200)을 닫은 상태에서 한 손으로 뚜껑(200)을 잡고 다른 손으로 회전손잡이(300)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손잡이(300)의 회전에 따라 큰톱니바퀴(221a)부터 중간톱니바퀴(221b), 작은톱니바퀴(221c)가 연동되고 작은톱니바퀴(221c)의 회전연결홈(221d)에 끼움 장착된 톱니바퀴결합부(410)가 회전되면서 회전봉(400) 전체가 회전될 수 있다.
본체(100) 내부에서는 다수의 박피돌기(430)가 빠른 속도로 회전되면서 건조 마늘에 부딪혀 껍질을 벗겨낼 수 있으며, 박피돌기(430)는 완만한 볼록형이므로 야채를 절단하지는 않고 박피용으로서만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체(100)의 측면은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손잡이(300)를 돌림과 동시에 본체(100)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박피가 적정 수준에 이르면 회전을 중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식재료의 다짐 기능으로 사용하고자 하면 회전봉(400)을 절삭부재(440)가 있는 회전중심축(420)으로 교체한 후 상술한 박피 기능 시와 동일한 절차로 진행할 수 있다.
절삭부재(440)가 구비된 회전중심축(420)은 절삭부재(440)가 빠르게 회전되면서 야채를 잘게 분쇄하여 다질 수 있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야채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수분을 야채 다짐 과정 이후에 제거하고 싶다면 다짐 절차를 진행하기 전에 먼저 탈수통(500)을 본체(100) 내부에 장착하고 나서 절삭부재(440) 형 회전봉(400)을 장착하고 다짐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체(100)의 투명한 측면을 통해서 야채의 다져진 정도를 파악하면서 회전손잡이(300)를 돌리게 되므로 탈수통(500) 또한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탈수통(500)이 장착되고 뚜껑(200)을 닫고 나면 탈수고정핀(150)을 탈수공(510)에 꽂아 핀받침턱(530)과 결합시킴으로서 회전봉(400)이 회전할 때 탈수통(500)은 고정되도록 구성한 후 다짐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야채가 충분히 다져지고 나서 야채의 절삭으로 생성된 수분을 제거하고 싶다면 탈수고정핀(150)을 뽑고 나서 재차 회전손잡이(300)를 돌리게 되며, 회전봉(400)과 절삭부재(440)와 탈수통(500) 내주면에 가득 찬 다져진 야채로 인해 회전봉(400)의 회전에 따라 탈수통(500)이 연동되어 회동되면서 탈수가 이뤄질 수 있다.
한편 박피 또는 다짐 기능이 아닌 탈수의 기능으로 본 발명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우선 탈수통(500)을 본체(100)의 내주면에 장착하되 마찰방지턱(520)을 회전중심대(110)에 대응시키며 끼움 장착하며 설치한다.
그리고 외주면에 아무것도 구비되지 않는 회전중심축(420)을 회전중심대(110)에 꽂거나 또는 박피돌기(430)가 구비된 회전중심축(420)을 회전중심대(110)에 꽂고 톱니결합부의 하부결합축(412)을 회전상부홈(421)에 대응시킨 상태로 회전봉(400)을 준비할 수 있다.
이후 데친 나물이나 달인 후 짜내기 이전의 한약재 등 수분이 함유된 식재료를 탈수통(500) 내측에 배치하고 나서, 탈수전용핀(540)의 양단을 핀받침턱(530)에 끼움 장착하면서 탈수결합부(541)의 하면을 톱니바퀴결합부(410)의 돌출부(411a)에 대향시키고 탈수결합부(541)의 상면을 작은톱니바퀴(221c)의 회전연결홈(221d)에 대향시키면서 뚜껑(200)을 닫으면 회전봉(400), 탈수전용핀(540), 뚜껑(200)이 상호 결합 되면서 탈수전용핀(540)이 본체(100)와 뚜껑(200)과 탈수통(500)을 결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손잡이(300)를 회전시키면 회전봉(400)의 회전과 연동되어 탈수전용핀(540)이 회동되고 탈수전용핀(540)에 결합된 탈수통(500)도 회동되면서 탈수통(500) 내에 구비된 식재료에서는 탈수작용이 이뤄지게 된다.
이때 배수구(130)를 개방하여 탈수와 동시에 본체(100) 외부로 탈수된 수분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외측에서 투명한 측면을 통해 탈수 정도를 파악해 가면 탈수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은 박피돌기(430)가 구비된 회전봉(400), 절삭부재(440)가 구비된 회전봉(400), 탈수통(500)의 장착 여부, 탈수통(500) 장착 시 탈수고정핀(150) 장착 또는 제거, 탈수통(500) 장착 시 탈수전용핀(540) 장착 또는 제거 등을 통해 건조 야채의 껍질 벗기기, 박피된 야채의 잘게 다지기, 야채를 다진 후 바로 탈수하기, 젖은 야채 또는 한약재 짜기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식품가공기로서 특징을 가지며, 회전봉(400)의 외주면 형태를 확장하면 할수록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식품 가공할 수 있어 용도의 폭이 확대될 수 있다.
마늘을 예로 들어 요약하자면 본 발명은 하나의 기구에서 마늘의 껍질도 까고, 깐 마늘을 원하는 굵기로 다질 수 있되 투명한 본체(100)의 외부에서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확인해 가며 다질 수가 있으며, 탈수통(500)을 본체(100) 내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절삭부재(440)가 있는 회전봉(400)을 사용하여 야채를 다진 후 뚜껑(200) 위의 탈수고정핀(150)을 뽑고 그냥 회전손잡이(300)를 돌리면 이번에는 탈수통(500)이 회전하면서 다져진 야채들의 수분을 탈수하는 기구이다.
한편 탈수전용핀(540)을 장착하여 사용하면 한약이나 데친 나물을 원형이 으깨어지지 않으면서 깨끗하게 짤 수가 있고, 이에 따라 탈수통(500)이 본체(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절삭부재(440)가 있는 회전봉(400)을 장착해서 음식물 쓰레기를 본체 내부에 회전봉(400) 주위로 돌려가며 넣고 탈수고정핀(150)을 꽂은 상태로 회전손잡이(300)를 돌리면 탈수통(500)은 고정인 상태로 절삭부재(440)가 있는 회전봉(400)이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가 다져지게 되고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이 나오는데, 이때 탈수고정핀(150)을 뽑고 다시 회전손잡이(300)를 돌리면 다져진 음식물쓰레기에서 함유하고 있던 수분이 배출되는 것으로, 이후 부피가 크게 줄어든 양의 음식물쓰레기 가루를 종량제봉투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하다가 봉투 하나가 가득 채워지면 하나씩 음식물 쓰레기로서 외부 배출을 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다용도 식품가공기
100 : 본체
110 : 회전중심대
120 : 이동손잡이
130 : 배수구
140 : 고정힌지
150 : 탈수고정핀
160 : 뚜껑틀
170 : 받침대
200 : 뚜껑
210 : 상부커버
211 : 손잡이구멍
212 : 탈수핀공
213 : 톱니꼭지홈
220 : 하부커버
221 : 톱니부
221a : 큰톱니바퀴
221b : 중간톱니바퀴
221c : 작은톱니바퀴
221d : 회전연결홈
221e : 톱니바퀴꼭지
222 : 울타리
223 : 하부중앙공
224 : 힌지홈
300 : 회전손잡이
400 : 회전봉
410 : 톱니바퀴결합부
411 : 상부결합축
411a : 돌출부
412 : 하부결합축
413 : 스프링
414 : 하부축홈
415 : 하부축핀
420 : 회전중심축
421 : 회전상부홈
422 : 회전하부홈
430 : 박피돌기
440 : 절삭부재
441 : 절삭부착틀
500 : 탈수통
510 : 탈수공
520 : 마찰방지턱
530 : 핀받침턱
540 : 탈수전용핀
541 : 탈수결합부

Claims (5)

  1. 하면 및 측면은 폐쇄되고 상면은 개방되며 바닥면 중심에 회전중심대가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의 본체;
    본체 상면에 장착되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상호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하로 밀착 구성되는 뚜껑;
    상부커버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회전손잡이; 및
    하부커버의 중심부와 본체 내부의 바닥면 중심부를 수직 연결하는 회전봉;을 포함하되,
    상부커버는, 회전손잡이의 일단에 대응되며 일측에 치우쳐 통공 형성되는 손잡이구멍;을 더 포함하고,
    하부커버는,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톱니바퀴가 톱니 결합되며 나란히 배치되는 톱니부;
    톱니부의 외곽선을 따라 형성되어 복수의 톱니바퀴가 안착되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울타리; 및
    중심부에 통공 형성되는 하부중앙공;을 더 포함하고,
    톱니부는, 중심부가 회전손잡이 일단에 결합되어 연동되는 큰톱니바퀴; 큰톱니바퀴에 톱니 결합되어 연동되는 중간톱니바퀴; 및 측면으로는 중간톱니바퀴에 톱니 결합되어 연동되고, 하면 중심부는 회전봉 상단과 결합되며, 하부커버의 중심에 배치되어 하부중앙공의 테두리에 거치되며 장착되는 작은톱니바퀴;를 포함하여,
    회전손잡이를 회전하면 톱니부가 회동하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식품가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작은톱니바퀴의 하면에는 다각형으로 요홈 형성되는 회전봉연결홈이 구비되고,
    회전봉은, 상부에 구비되는 원기둥 형상의 톱니바퀴결합부 및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중심축이 결합 형성되며,
    톱니바퀴결합부는,
    원기둥 형상이되 상면에는 회전봉연결홈에 대응되는 다각형상으로 돌출부가 구비되는 상부결합축;
    상부결합축의 하면에서 상부결합축 보다 작은 직경의 봉 형상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하부결합축; 및
    하부결합축의 외주면을 감싸며 장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회전중심축은,
    상면 중심에는 하부결합축에 대응되는 회전상부홈이 요홈 형성되고,
    하면 중심에는 회전중심대에 결합되는 회전하부홈이 요홈 형성되며,
    톱니바퀴결합부와 회전중심축은 탈부착 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용도 식품가공기.
  3. 제2항에 있어서,
    회전봉은, 회전축 외주면을 따라 완만한 곡면의 박피돌기가 다수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다용도 식품가공기.
  4. 제2항에 있어서,
    회전봉은, 회전축 외주면을 따라 절삭부착틀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절삭부착틀에 날개 형상의 절삭부재가 다수 장착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용도 식품가공기.
  5. 제2항에 있어서,
    본체의 내주면에 소정 틈새를 형성하며 밀착 대응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써,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탈수공이 통공 형성되는 탈수통;을 더 포함하되,
    탈수통은,
    하면 중심에 통공 형성되며 통공 내주면에 회전봉이 밀착 관통되는 마찰방지턱;
    상면 테두리에 복수 형성되며 상면에 핀이 꽂힐 수 있는 요홈이 형성되는 핀받침턱; 및
    요철 형상으로 절곡된 선형의 부재이되 양단은 핀 형상으로 하향 구비되어 핀받침턱에 삽입되고, 중심부에는 탈수결합부가 구비되어 상부로는 회전봉연결홈에 결합되고 하부로는 돌출부에 끼움 결합되는 탈수전용핀;을 더 포함하며,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면 회전봉과 탈수통이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식품가공기.
KR1020200154447A 2020-11-18 2020-11-18 다용도 식품가공기 KR102406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447A KR102406678B1 (ko) 2020-11-18 2020-11-18 다용도 식품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447A KR102406678B1 (ko) 2020-11-18 2020-11-18 다용도 식품가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801A true KR20220067801A (ko) 2022-05-25
KR102406678B1 KR102406678B1 (ko) 2022-06-08

Family

ID=8179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447A KR102406678B1 (ko) 2020-11-18 2020-11-18 다용도 식품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6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641Y1 (ko) * 1987-07-28 1990-03-03 손기조 수동식 식품 쇄절기
KR20160023426A (ko) * 2014-08-22 2016-03-03 최근 전기믹서기의 구동축 및 분쇄커터의 체결 구조
KR20160139804A (ko) 2015-05-28 2016-12-07 김진란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641Y1 (ko) * 1987-07-28 1990-03-03 손기조 수동식 식품 쇄절기
KR20160023426A (ko) * 2014-08-22 2016-03-03 최근 전기믹서기의 구동축 및 분쇄커터의 체결 구조
KR20160139804A (ko) 2015-05-28 2016-12-07 김진란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678B1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9707B2 (ja) 滓と汁液の分離装置
JP6017090B2 (ja) 搾り滓開閉機構が備えられたジューサー
KR100793852B1 (ko) 착즙주스기
KR101159176B1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CA1302847C (fr) Appareil destine a broyer et passer des produits alimentaires, tels que des fruits ou des legumes
RU2519987C2 (ru) Кух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60851Y1 (ko) 원액기
KR20110138108A (ko)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102902B1 (ko)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40018058A (ko) 원액 착즙 주스기
CN107280442A (zh) 一种果汁果皮分离干净的手动式水果榨汁机
CN208599881U (zh) 一种用于茶叶粉碎提取汁水的装置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US4958557A (en) Rendered fat separator
KR102406678B1 (ko) 다용도 식품가공기
KR20140001804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20120054572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20140033543A (ko) 이중 스크류를 가지는 착즙기
JP3929798B2 (ja) 調理器
US1966978A (en) Apparatus for extracting fruit juice
KR101855617B1 (ko) 착즙기용 착즙장치
TW201709855A (zh) 上拋式渣汁分離裝置及其攪拌器與刀具模組
TWI622372B (zh) 渣汁分離裝置及其攪拌器與刀具模組
JPH0268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