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804A -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 Google Patents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804A
KR20160139804A KR1020150075354A KR20150075354A KR20160139804A KR 20160139804 A KR20160139804 A KR 20160139804A KR 1020150075354 A KR1020150075354 A KR 1020150075354A KR 20150075354 A KR20150075354 A KR 20150075354A KR 20160139804 A KR20160139804 A KR 20160139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ressing
compression
plate
foo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란
Original Assignee
김진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란 filed Critical 김진란
Priority to KR102015007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9804A/ko
Publication of KR2016013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2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 A47J42/34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hand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즈나 마늘 등의 다양한 종류의 음식재료를 압착하여 분쇄하거나 음식재료에 함유된 국물을 짜내기 위한 음식재료 다지기에 관한 것으로, 음식재료의 분쇄나 국물을 짜내기 위한 압착판의 작동구조가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원활하게 작동토록 하여 음식재료가 잘 분쇄되거나 국물 짜냄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양 측벽과 상면으로 이루어진 압착레버의 공간부에 양 측벽과 이격되어 끼임공간을 갖도록 축홈이 형성된 지지돌부를 형성하거나 양 측벽의 하단에 입구가 좁게 개구된 축홈을 형성하고 압착판의 상면에는 상기 끼임공간에 끼임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거나 축홈에 강제 끼임되는 축돌이 형성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편을 형성하여 상기 압착판을 압착레버에 결합한 상태에서 축핀의 헤드부가 압착레버의 양 측벽 하단에 밀착되게 축결합되어 지지토록 하거나 축돌이 측벽에 지지되어 압착판이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고 압착판에는 다지기통의 내벽면과 밀착되어 분쇄되는 음식재료나 짜여지는 국물이 새지 않고 배출공으로 완벽하게 배출토록 패킹을 구비하고 압착판의 바닥면에는 분쇄를 용이토록 칼날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FOOD MINCE APPARATUS}
본 발명은 치즈나 마늘 등의 다양한 종류의 음식재료를 압착하여 잘게 분쇄하거나 음식재료에 함유된 국물을 짜내어 건조한 상태로 제조토록 함은 물론 음식재료을 압착하여 국물을 짜내거나 다지기 위한 압착판의 작동구조를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찌게나 김치와 같은 한식류나 피자나 파스타와 같은 양식류의 음식을 만들 때 맛을 내기 위하여 여러 가지 양념재료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찌게 등에 사용되는 양념 중에는 곱게 다져진 마늘을 사용하고, 피자나 파스타 등에는 치즈를 첨가함으로써 음식의 맛을 내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양념재료로 사용되는 마늘이나 치즈는 통마늘이나 덩어리 형태의 통치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통마늘이나 통치즈는 단가가 싼 반면에 음식에 첨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공작업이 필요하고, 별도의 가공공정을 거쳐 판매되는 재료일 경우에는 사용이 편리한 반면에 가공에 따른 판매단가가 비싼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음식재료 다지기를 사용하여 가정에서 직접 음식재료를 분쇄하여 다지는 가공을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은 물론 사용자가 직접 만들기 때문에 안심하고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현재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다지기는 일측으로 손잡이가 길게 형성되면서 측면과 바닥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다지기통과 상기 다지기통의 손잡이가 형성된 반대편으로 압착레버가 축결합되고, 상기 압착레버의 하단에는 압착판이 축결합부 축핀으로 축결합되어 압착레버의 누름작동에 의해 다지기통의 내부로 압착판이 삽입되면서 다지기통에 수용된 내용물을 압착하여 분쇄하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압착레버에 압착판의 축결합 구조가 긴밀하게 결합되지 못하고 유격이 발생되면서 압착을 위한 누름조작이 원활하게 작동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지기통의 내부로 압착판이 정확하게 내입되지 못하고 걸림 등으로 인하여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되었다.
또한 음식재료가 압착판에 의해 압착되어 배출공을 통해 잘게 분쇄되는 작동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통마늘과 같이 딱딱한 재료를 잘게 분쇄토록 할 경우에 강한 악력에 의한 압착력이 필요로 하지만 이러한 주방기구는 대부분 여자들이 사용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어려운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에 압착레버의 누름시에 압착판이 다지기통의 내부로 회전되면서 눌려지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지만, 압착판의 회전구조를 갖기 위한 제조가 어렵고, 이러한 것은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피클이나 물김치와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재료을 그릇에 덜거나 먹을 때 국물의 흘림으로 인해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음식재료에 함유된 국물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10-2014-0065040(2014.05.29)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재료를 다지는 용도와 음식재료에 함유된 국물을 짜내는 용도를 하나의 물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음식재료를 다지거나 국물 짜냄을 위해 작동되는 압착판이 압착레버에서 유격에 의한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양 측벽과 상면으로 이루어진 압착레버와 상기 압착레버의 공간부에는 양 측벽과 이격되어 끼임공간을 갖도록 축핀이 결합되는 축홈이 형성된 지지돌부가 양 측벽보다 길게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압착판의 상면에는 상기 끼임공간에 끼임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편을 형성하여 상기 압착판을 압착레버에 결합한 상태에서 축핀의 헤드부가 압착레버의 양 측벽 하단에 밀착되게 축결합하여 압착판이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압착판의 결합을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압착레버의 양 측벽에 하단이 개구된 축홈을 형성하고 압착판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편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축홈에 강제 끼임으로 결합되는 축돌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편에는 부러짐 등의 보강을 위하여 보강살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국물을 짜냄 용도로 사용되는 압착판의 테두리에는 패킹을 구비하여 국물 짜냄시에 하강되는 압착판이 다지기통의 내벽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국물이 새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다지기 용도로 사용되는 압착판의 바닥면에는 음식재료이 잘게 다져질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칼날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재료의 다지기나 국물의 짜냄을 위하여 압착레버의 누름작동으로 압착되는 압착판이 유격에 의한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음식재료의 손질을 위한 조작이 용이한 효과와, 하나의 물품으로 음식재료의 분쇄와 국물을 짜냄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한 효과는 물론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음식재료 다지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압착판이 압착레버에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압착레버의 작동에 따라 압착판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4는 본 발명의 압착레버에 압착판의 또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도.
도5는 본 발명의 음식재료 다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압착판에 패킹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압착판에 음식재료의 분쇄를 위한 칼날이 형성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압착판이 다지기통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압착되는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마늘을 다지거나 치즈를 짜내거나 피클과 같은 음식물에 함유된 국물을 짜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음식재료 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다지기통(100)과 상기 다지기통(100)에서 압착레버(10)가 회동작동에 의해 압착판(20)을 다지기통(100)의 내측으로 내입되게 안내하여 수용된 음식재료를 압착시켜 다지거나 짜내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음식물 다지기통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다기기통(100)은 측면과 바닥면에 다져지거나 짜내어진 국물의 배출을 위한 다수의 배출공(130)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손잡이(110)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다지기통(100)의 손잡이(110)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편으로 내측에 공간부(14)가 형성되도록 양 측벽(12)과 상면(13)으로 이루어진 압착레버(10)의 선단을 회동수단(200,110,11)으로 회동가능하게 축결합하고, 상기 압착레버(10)의 공간부(14)의 어느 한 부분에는 양 측벽(12)에서 이격되어 끼임공간(15)을 형성하도록 결합공(16a)이 형성된 지지돌부(16)를 양 측벽(12)보다 길게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끼임공간(15)에 끼워지도록 상면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공(21a)이 형성된 결합편(21)이 형성된 압착판(20)을 결합한 상태에서 압착레버(10)의 지지돌부(16)에 형성된 결합공(16a)과 압착판(20)의 결합편(21)에 형성된 결합공(21a)에 축핀(30)을 결합하여 고정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돌부(16)와 결합편(21)에는 보강살(17,22)을 형성함으로써 성형시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압착레버(10)의 회동작동시에나 압착판(20)의 압착을 위한 가압력을 부가할 때 가압력을 분산하여 부러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축핀(30)은 일측으로 헤드부(31)가 형성된 암,수 형태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축핀(30)에 형성된 헤드부(31)가 압착레버(10)의 측벽 하단에 밀착되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압착판(20)이 압착레버(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좌,우,전,우로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레버(10)의 양 측벽(12)에는 축핀(30)의 헤드부(31) 절반이 끼워지도록 반원 형태로 절개된 안착부(18)를 형성하여 상기 안착부(18)에 축핀(30)의 헤드부(31)가 위치되어짐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조립구조로 이루어짐은 물론 접지면적을 더 많아지게 되어 미세한 유동까지도 완벽하게 차단하게 되어 원활하게 작동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은 음식물 다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압착레버(10)를 내측에 공간부(14)가 형성되도록 양 측벽(12)과 상면(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 측벽의 어느 한 부분에는 입구가 좁게 개구된 축홈(18)을 형성하고, 압착판(20)의 상면에는 측벽(12)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편(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21)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축돌(23)을 형성하여 상기 압착판(20)을 압착레버(10)에 결합시에 측벽(12)에 형성된 축홈(18)에 압착판(20)의 결합편(21)에 형성된 축돌(23)을 위치시켜 강제 끼임으로 결합토록 함으로써 축핀(30)을 사용하지 않고도 압착레버(10)의 회동작동에 따라서 압착레버(10)에서 압착판(20)이 회동작동이 됨은 물론 긴밀하면서 견고하게 결합되어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레버(10)의 공간부(14)로 지지돌부(16)를 형성하여 결합편(21)이 끼워지는 끼임공간(15)을 형성하여 더욱 견고한 결합구조로 조립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착판(20)에 형성된 결합편(21)에는 압착레버(10)에 조립을 위한 끼임될 경우에 부러짐을 방지하도록 보강살(22)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음식물 다지기는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고 이러한 재질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압착판(20)의 테두리에는 압착판(20)이 다지기통(100)의 내측으로 압착레버(10)의 회동작동으로 내입되면서 압착될 경우에 분쇄되어 다져지는 음식재료나 음식물에서 짜여지는 국물이 다지기통(100)의 내벽면과 압착판(20)의 테두리 틈새로 새지 않고 배출공(130)으로 모두 배출될 수 있도록 압착판(20)의 테두리에 다지기통(100)의 내벽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패킹(24)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상기 패킹(24)은 압착판(20)의 테두리에 결합의 방식이나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판(20)의 바닥면에는 음식재료가 잘게 다져질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칼날(25)을 형성토록 함으로써 칼날(25)에 의하여 음식재료가 더욱 쉽게 잘게 분쇄되도록 함으로써 악력이 약한 여성도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다지기통 110: 손잡이
120, 11, 200: 힌지수단 130: 배출공
10: 압착레버 12: 측벽
13: 상면 14: 공간부
15: 끼임공간 16: 지지돌부
17: 보강살 18: 축홈
19: 안착부
20: 압착판 21: 결합편
22: 보강살 23: 축돌
24: 패킹 25: 칼날

Claims (7)

  1. 측면과 바닥면에 다수의 배출공(130)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손잡이(110)가 길게 형성된 다지기통(100))과 상기 다지기통(100)의 손잡이(110)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편으로 압착레버(10)의 선단이 회동수단(200,110,1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압착레버(10)의 하단에는 다지기통(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압착판(20)이 축결합되어 압착레버(10)의 누름작동에 의해 다지기통(100)의 내부로 압착판(20)이 삽입되면서 다지기통(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압착하여 분쇄토록 하는 음식재료 다지기에 있어서,
    상기 압착레버(10)는 내측에 공간부(14)가 형성되도록 양 측벽(12)과 상면(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간부(14)의 어느 한 부분에는 양 측벽(12)에서 이격되어 끼임공간(15)을 형성하도록 축홈(16a)이 형성된 지지돌부(16)가 양 측벽(12)보다 길게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압착판(20)의 상면에는 압착레버(10)에 형성된 끼임공간(15)에 끼워지도록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공(21a)이 형성된 결합편(21)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레버(10)의 끼임공간(15)에 압착판(20)의 결합편(21)이 끼워진 상태에서 축핀(30)의 헤드부(31)가 압착레버(10)의 양 측벽(12) 하단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압착판(20)이 상,하,전,후,좌,우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2. 측면과 바닥면에 다수의 배출공(130)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손잡이(110)가 길게 형성된 다지기통(100))과 상기 다지기통(100)의 손잡이(110)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편으로 압착레버(10)의 선단이 회동수단(200,110,1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압착레버(10)의 하단에는 다지기통(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압착판(20)이 축결합되어 압착레버(10)의 누름작동에 의해 다지기통(100)의 내부로 압착판(20)이 삽입되면서 다지기통(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압착하여 분쇄토록 하는 음식재료 다지기에 있어서,
    상기 압착레버(10)는 내측에 공간부(14)가 형성되도록 양 측벽(12)과 상면(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느 한 부분의 양 측벽(12)의 하단에는 입구가 좁게 개구된 축홈(18)을 형성하고,
    상기 압착판(20)의 상면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축돌(23)이 형성된 결합편(21)이 형성되어
    상기 압착판(20)의 결합편(21)이 압착레버(10)의 내공간(14)으로 끼워져 양 측벽(12)의 내벽에 밀착되면서 결합편(21)에 형성된 축돌(23)이 양 측벽(12)에 형성된 축홈(18)에 강제 끼임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16)와 결합편(21)에는 부러짐을 방지하는 보강살(17,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21)에는 부러짐을 방지하는 보강살(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벽(12)에는 축핀(30)의 헤드부(31)의 일부분이 끼워지도록 절개된 안착부(19)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6. 제 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20)의 테두리에는 다지기통(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압착시에 내벽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다져지는 음식재료나 국물이 새지 않고 배출공(130)으로 모두 배출토록 패킹(24)이 결합 또는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20)의 바닥면에는 음식재료가 잘게 다져질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칼날(2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KR1020150075354A 2015-05-28 2015-05-28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KR20160139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354A KR20160139804A (ko) 2015-05-28 2015-05-28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354A KR20160139804A (ko) 2015-05-28 2015-05-28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804A true KR20160139804A (ko) 2016-12-07

Family

ID=5757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354A KR20160139804A (ko) 2015-05-28 2015-05-28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98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801A (ko) 2020-11-18 2022-05-25 천봉우 다용도 식품가공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040A (ko) 2012-11-21 2014-05-29 이구순 마늘 다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040A (ko) 2012-11-21 2014-05-29 이구순 마늘 다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801A (ko) 2020-11-18 2022-05-25 천봉우 다용도 식품가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87215B2 (en) Juicer module and vertical screw juicer
US6302014B1 (en) Rotary food processor
US20170332843A1 (en) Chopping accessory, chopping unit and domestic appliance for chopping
US20180220848A1 (en) Dual function garlic press
US3376910A (en) Food processor
KR20160139804A (ko) 음식재료의 국물 짜냄과 동시에 잘게 다질 수 있는 음식재료 다지기
KR20170000476A (ko) 열배출기능이 향상된 믹서기
JP2010099446A (ja) 塊状食材カッティング装置
CN210159723U (zh) 一种滚筒式切菜绞肉机
JP5866651B2 (ja) フードプロセッサ
JP2011250831A (ja) フードプロセッサ
KR20150115423A (ko) 회전칼날이 구비된 전동기기의 착탈식 칼날뭉치
KR100789417B1 (ko) 다기능 분쇄기
US20110180644A1 (en) Food mincer
GB2544966A (en) Tool
KR20120093516A (ko) 양념류 간편 다지기
US20230138835A1 (en) Kitchen gadget set
US20230302675A1 (en) Cutting assembly for a vegetable cutter and a hand-held electric vegetable cutter
KR20210060149A (ko) 착즙용기
KR20190130952A (ko) 마늘 다지기
US20230097952A1 (en) Garlic press having a surface covered with tapered projections fitting tapered holes
KR19980068875U (ko) 양념 절구기
KR20110105267A (ko) 마늘 파 세절기
KR20130142497A (ko) 다기능 커터기
KR200445689Y1 (ko) 마늘 다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