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245A -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245A
KR20220067245A KR1020200153757A KR20200153757A KR20220067245A KR 20220067245 A KR20220067245 A KR 20220067245A KR 1020200153757 A KR1020200153757 A KR 1020200153757A KR 20200153757 A KR20200153757 A KR 20200153757A KR 20220067245 A KR20220067245 A KR 20220067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pe
hole
guide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111B1 (ko
Inventor
박준서
Original Assignee
박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서 filed Critical 박준서
Priority to KR102020015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1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1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shutters to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는 상기 내측에 로프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 좌우측으로 관통되어 일측에서 유입된 로프가 직선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상부가이드홀(200)과, 상기 상부가이드홀(200)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롤러(310) 및 제 2롤러(330)와,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 사이의 이격공간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를 통해 이송된 로프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하부가이드홀(400)과, 상기 본체(100)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가이드홀(400)의 상방향 연장선상과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이 교차된 위치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교차홀(500) 및 상기 교차홀에 착탈되어 상기 교차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며 상기 상부가이드홀(200)로 유입된 로프가 상기 하부가이드홀(400)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판상 형상의 가이드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GUIDE ROLLER ASSEMBLY FOR GREEN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로프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좌우측으로 관통되어 일측에서 유입된 로프가 직선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상부가이드홀, 상기 상부가이드홀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롤러 및 제 2롤러, 상기 제 1롤러 및 상기 제 2롤러 사이의 이격공간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롤러 및 상기 제 2롤러를 통해 이송된 로프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하부가이드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가이드홀의 상방향 연장선상과 상기 상부가이드홀이 교차된 위치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교차홀 및 상기 교차홀에 착탈되어 상기 교차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며 상기 상부가이드홀로 유입된 로프가 상기 하부가이드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판상 형상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Green House)는 금속재로 된 철골구조물에 필름 형태의 피복재료를 피복시켜 제작되는 구조물로, 농작물을 외부기후변화와 상관없이 생육할 수 있는 적절한 재배조건으로 구성된 내부공간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철골구조물에 피복된 보온커튼이나 덮개판을 필요에 따라 개폐시켜, 주간에는 피복재료를 개방하여 태양열을 충분히 흡수하도록 하며, 야간이나 겨울에는 피복재료를 폐쇄시켜 외부로의 온도손실을 최소화한다.
피복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온커튼은 로프를 이용한 개폐장치와 함께 설치되어, 연결된 모터에 의해 로프가 감거나 풀려지면서 보온커튼이 개폐된다. 잦은 보온커튼의 개폐로 인해 로프가 반복적으로 감거나 풀리면서 손상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에, 보온커튼의 개폐에 따른 로프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로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사용자가 설정한 방향으로 로프가 이동되도록 안내가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가 개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2156호)과 같이, 롤러중심부의 관통공에 골조파이프를 배치하고 롤러 본체의 외주면에 로프가 삽입되도록 하여 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비닐하우스용 조립형 회전축 롤러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비닐하우스의 형상, 비닐하우스의 구조나, 보온커튼이 개폐되는 방향에 따라 복수개의 로프가 동시에 안내되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로프가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는 방향이 위치마다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선행기술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9539호)와 같이 걸고리를 통해 골조파이프에 매달고 내측에 한 쌍의 롤러축과 스풀을 구비하여 로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형태의 비닐하우스용 조립형 롤러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선행기술2와 같은 롤러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로프를 토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어수단이 없어, 표면이 단단하고 일정 직경을 갖는 로프를 원하는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
(특허번호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2156호 (특허번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9539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로프를 원하는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프가 하부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복수개의 로프를 개별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에 로프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 상부에 좌우측으로 관통되어 일측에서 유입된 로프가 직선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상부가이드홀(200), 상기 상부가이드홀(200)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롤러(310) 및 제 2롤러(330),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 사이의 이격공간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를 통해 이송된 로프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하부가이드홀(400), 상기 본체(100)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가이드홀(400)의 상방향 연장선상과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이 교차된 위치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교차홀(500) 및 상기 교차홀(500)에 착탈되어 상기 교차홀(50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며 상기 상부가이드홀(200)로 유입된 로프가 상기 하부가이드홀(400)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판상 형상의 가이드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롤러(310) 및 제 2롤러(3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600)에 의해 상기 하부가이드홀(400)로 토출되는 로프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격벽구조체(150)가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이드부재를 조작하여 로프를 직선방향 또는 본체 하부 방향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로프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는 2개의 로프를 동시에 가이드할 수 있어, 실제 비닐하우스에 적용시 활용성이 높고, 가이드 롤러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을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에 구성되는 롤러의 사시도, 도 3(a)의 C-C'를 기준으로 절단된 롤러의 단면도 및 롤러의 측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절단된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단면도.
도 6(a)는 도 1의 B-B’를 기준으로 절단된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에서 교차홀에 가이드부재가 장착된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는 내측에 로프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 상부에 좌우측으로 관통되어 일측에서 유입된 로프가 직선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상부가이드홀(200), 상기 상부가이드홀(200)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롤러(310) 및 제 2롤러(330),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 사이의 이격공간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를 통해 이송된 로프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하부가이드홀(400), 상기 본체(100)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가이드홀(400)의 상방향 연장선상과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이 교차된 위치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교차홀(500) 및 상기 교차홀(500)에 착탈되어 상기 교차홀(50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여 상기 상부가이드홀(200)로 유입된 로프가 상기 하부가이드홀(400)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판상 형상의 가이드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에서 상기 본체(100)는 비닐하우스용 로프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로프의 유입과 토출을 위해 상기 본체(100)의 좌측, 우측 및 하단부의 일부가 개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유입된 로프를 수용하거나, 로프가 안내되는 방향으로 토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프를 지지/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는 전면판과 후면판이 조립되어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각각은 다각형 형상의 베이스판에 제 1원형홈(110) 및 제 2원형홈(120)이 좌측 및 우측에 평행하게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원형홈(110) 및 상기 제 2원형홈(120) 각각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롤러축을 관통시키기 위한 제 1롤러축홀(111)과, 제 2롤러축홀(121)이 각각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원형홈(110) 및 상기 제 2원형홈(120)은 상기 본체(100) 내에 장착되는 롤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천장면(130)과 바닥면(140)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판은 전면베이스판에 제 1-1원형홈과 제 2-1원형홈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의 상부에는 제 1천장면이 구비되며, 상기 전면판의 하부에는 제 1바닥면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판은 제 1-2원형홈과 제 2-2원형홈이 구비되고 상기 후면판의 상부에는 제 2천장면이 구비되며, 상기 후면판의 하부에는 제 2바닥면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본체(100)는 상기 전면판의 제 1천장면과 상기 후면판의 제2 천장면이 결합되고, 상기 전면판의 제 1바닥면과 상기 후면판의 제 2바닥면이 결합하여,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이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하나의 본체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에서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은 일측에서 로프를 수용하여 직선방향으로 로프가 토출되도록 안내되도록 상기 본체(100) 상부에 상기 본체를 좌우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로프는 상기 본체(100)의 좌측 또는 우측의 위치한 상부가이드홀(200)의 일측에서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영역으로부터 직선방향의 단부인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의 반대편으로 토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의 크기는 통상의 비닐하우스용 로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에 구성되는 롤러의 사시도, 도 2(a)의 C-C'를 기준으로 절단된 롤러의 단면도 및 롤러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에서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는 상기 본체(100) 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100) 내 좌측 및 우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는 서로 이격거리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는 통상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는 상기 제 1원형홈(110) 및 제 2원형홈(120)에 각각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원형홈(110) 및 상기 제 2원형홈(120)은 로프가 상기 본체(100) 하부로 토출되도록 안내되는 경우,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가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원형홈(110) 및 상기 제 2원형홈(120)은 상기 본체(100) 내에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의 각각의 중심부에는 회전중심인 롤러축(미도시)과 결합가능한 축구멍(311)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는 각각의 롤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로프가 접촉되어 걸쳐지면서 로프의 이동에 위해 롤러가 회동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에 형성된 각각의 축구멍은 상기 본체(100) 중앙에 형성된 제 1롤러축홀(111) 및 제 2롤러축홀(121)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를 상기 본체(100) 내에 위치시킨 다음, 외측에서 상기 롤러축과 상기 축구멍(311)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100) 내에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를 장착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3(c)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315)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는, 로프가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하부방향으로 토출된 로프가 사용자에 의해 비닐하우스의 일측에 고정된 경우,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로프에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로프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의 거칠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에서 상기 하부가이드홀(400)은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을 통해 상기 본체(100) 내에 유입된 로프를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를 따라 상기 본체(100)의 하부방향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형성된 관통홀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가이드홀(400)은 제 1하부가이드홀(410) 및 제 2하부가이드홀(430)로 구성되며, 상기 제 1하부가이드홀(410) 및 상기 제 2하부가이드홀(430)은 상기 제 2롤러(330) 및 상기 제 2롤러(330) 사이의 이격공간의 하부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4과 같이, 상기 제 1하부가이드홀(410) 및 상기 제 2하부가이드홀(430)은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140)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는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로프를 유입하여 상기 제 1하부가이드홀(410) 및 상기 제 2하부가이드홀(430)로 각각 토출시킴으로써, 2개의 로프를 동시에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홀(400)은 로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홀의 모양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0)의 좌측에서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을 통해 유입된 로프는 상기 본체(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된 제 1하부가이드홀(410)로 토출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본체(100)의 우측에서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을 통해 유입된 로프는 상기 본체(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된 상기 제 2하부가이드홀(430)로 토출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절단된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절단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에서 상기 교차홀(500)은 상기 본체(10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의 일측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차홀(500)은 제 1교차홀(510) 및 제 2교차홀(530)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교차홀(510) 및 상기 제 2교차홀(530)은 상기 본체(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차홀(500)은 상기 하부가이드홀(400)의 상방향 연장선상과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이 교차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의 일측에서 유입된 로프가 유입된 방향에서 직선방향으로 안내되어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의 타측으로 토출되지 않고 상기 하부가이드홀(400)로 용이하게 토출시키기 위한 것이며, 즉, 상기 본체(100) 내에 유입된 로프의 토출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교차홀(500)은 상기 본체(100)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상부가이드홀(200)로 유입된 로프를 상기 하부가이드홀(400)로 토출되기 위해 로프가 상기 하부가이드홀(400) 방향으로 로프의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상기 교차홀(500)은 상기 본체(100)의 상기 제 1원형홈(110) 및 상기 제 2원형홈(120)의 곡률과 비례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100) 내에서 구부러지도록 안내되는 로프는 상기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교차홀(500)로 인해 상기 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최대한 유입되면서 상기 하부가이드홀(400)로 토출되어 로프가 휘어진 상태로 수용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로프의 손상과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 6(a)는 도 1의 B-B’를 기준으로 절단된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절단면도이며, 도 6(b)는 교차홀에 가이드부재가 장착된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의 B-B'절단면도이다.
도 1,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에서 상기 가이드부재(600)는 일정 크기를 갖는 판상 형태로, 상기 교차홀(500)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며, 상기 교차홀(50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교차홀(500)의 개구영역을 차폐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재(600)는 상기 교차홀(500)의 개구영역에 착탈가능하며, 상기 교차홀(500)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b)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600)가 상기 교차홀(500)에 끼워져 상기 교차홀(500)의 개구영역을 폐구시킴으로써,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의 일측을 차폐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600)를 상기 교차홀(500)에 장착시킨 후,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의 일측에서 유입된 로프를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더 이동시키면 로프가 상기 가이드부재(600)에 접촉되면서 로프의 직선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방향인, 상기 하부가이드홀(400) 방향으로 이동경로가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로프는 상기 하부가이드홀(400) 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2개의 롤러를 사용하는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에서 로프 주입시 로프가 2개의 롤러 사이에 끼워지거나 사용자가 직접 로프의 방향전환을 제어할 수 없어 조립체의 하부방향으로 로프를 토출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600)에 의해 상기 하부가이드홀(400)로 토출되는 로프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격벽구조체(150)가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격벽구조체(150)는 상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베이스판의 두 개의 원형홈 사이에 구비되며 동시에, 상기 본체(100)의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유지시키고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 사이를 구획하기 위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에서 유입된 로프가 상기 교차홀(500)에 장착된 가이드부재(600)에 의해 상기 하부가이드홀(400)로 토출되도록 안내되는 경우, 상기 격벽구조체(150)에 의해 로프가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 사이에 끼워지지 않고 상기 제 1롤러(310) 하부에 위치한 제 1 하부가이드홀(400)은 상기 제 2롤러(330) 하부에 위치한 제 2하부가이드홀(400)로 용이하게 토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는 상기 본체(100)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위치고정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700)는 상기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700)의 중앙에는 상기 위치고정부(700)의 좌우측을 관통하는 연결부재장착홀(710)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장착홀(710)에 연결부재를 장착하여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를 비닐하우스의 골조파이프나 다른 지지대와 결합시켜 배치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통상의 가이드 롤러를 장착하기 위한 클립, 로프 등의 재료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이드부재(600)를 조작하여 로프를 직선방향 또는 본체(100) 하부 방향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로프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는 2개의 로프를 동시에 가이드할 수 있어, 실제 비닐하우스에 적용시 활용성이 높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110: 제 1원형홈
111: 제 1롤러축홀 120: 제 2원형홈
121: 제 2롤러축홀 130: 천장면
140: 바닥면 150: 격벽구조체
200: 상부가이드홀 310: 제 1롤러
311: 축구멍 315: 돌기
330: 제 2롤러 400: 하부가이드홀
510: 제 1교차홀 530: 제 2교차홀
600: 가이드부재 700: 위치고정부
710: 연결부재장착홀

Claims (3)

  1. 내측에 로프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 상부에 좌우측으로 관통되어 일측에서 유입된 로프가 직선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상부가이드홀(200);
    상기 상부가이드홀(200)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롤러(310) 및 제 2롤러(330);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 사이의 이격공간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를 통해 이송된 로프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하부가이드홀(400);
    상기 본체(100)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가이드홀(400)의 상방향 연장선상과 상기 상부가이드홀(200)이 교차된 위치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교차홀(500); 및
    상기 교차홀(500)에 착탈되어 상기 교차홀(50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며 상기 상부가이드홀(200)로 유입된 로프가 상기 하부가이드홀(400)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판상 형상의 가이드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롤러(310) 및 상기 제 2롤러(330)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3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롤러(310) 및 제 2롤러(3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600)에 의해 상기 하부가이드홀(400)로 토출되는 로프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격벽구조체(15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조립체.
KR1020200153757A 2020-11-17 2020-11-17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 KR102419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757A KR102419111B1 (ko) 2020-11-17 2020-11-17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757A KR102419111B1 (ko) 2020-11-17 2020-11-17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245A true KR20220067245A (ko) 2022-05-24
KR102419111B1 KR102419111B1 (ko) 2022-07-07

Family

ID=8180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757A KR102419111B1 (ko) 2020-11-17 2020-11-17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1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014Y1 (ko) * 2005-12-27 2006-03-09 홍석구 구조 개선된 비닐하우스용 안내 롤러
KR20110023670A (ko) * 2009-08-31 2011-03-08 (주)혜성나노텍 비닐하우스용 조립형 롤러
KR101032156B1 (ko) 2009-05-14 2011-05-02 (주)혜성나노텍 비닐하우스용 조립형 회전축 롤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014Y1 (ko) * 2005-12-27 2006-03-09 홍석구 구조 개선된 비닐하우스용 안내 롤러
KR101032156B1 (ko) 2009-05-14 2011-05-02 (주)혜성나노텍 비닐하우스용 조립형 회전축 롤러
KR20110023670A (ko) * 2009-08-31 2011-03-08 (주)혜성나노텍 비닐하우스용 조립형 롤러
KR101119539B1 (ko) 2009-08-31 2012-02-22 (주)혜성나노텍 비닐하우스용 조립형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111B1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32099A (en) Full closing venetian blind
US7806160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made of thick material
CA1303480C (en) Skylight shade assembly
US9540870B2 (en) Window screen with blind function
KR101871766B1 (ko) 방진 기능이 구비된 롤 타입 방충망
KR102419111B1 (ko) 비닐하우스용 가이드 롤러 조립체
KR101514747B1 (ko) 온실용 차광 장치
JP7103856B2 (ja) 止水板付きシャッター装置
WO2007085533A1 (en) Device for obscuring apertures in buildings
ES2885099T3 (es) Persianas enrollables con guías laterales
KR101494689B1 (ko) 비닐하우스 고정클립
IE43890B1 (en) Greenouses
US4335776A (en) Tassel weight
EP2650463B1 (en) An assembly of rolling shutter with guides, especially for roof windows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WO2019130830A1 (ja) 建具
JP3138968U (ja) 簾障子
JP6503284B2 (ja) 建具
KR200355962Y1 (ko) 상.하 및 좌.우 개폐가 가능한 커튼
IT201900002879A1 (it)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 zanzariere e tende avvolgibili
KR0125360Y1 (ko) 복수 미닫이 창의 회권식 방충망
KR101536572B1 (ko) 커튼 장치
KR200226106Y1 (ko) 커튼식 간막이
KR102072459B1 (ko) 회전식 방충 창문 시스템
KR830000740B1 (ko) 온실커어텐 개폐장치에 있어서의 중앙축 현수장치
JPS609282Y2 (ja) ド−ム状開口部における遮光用カ−テンシ−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