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076A -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076A
KR20220067076A KR1020200153363A KR20200153363A KR20220067076A KR 20220067076 A KR20220067076 A KR 20220067076A KR 1020200153363 A KR1020200153363 A KR 1020200153363A KR 20200153363 A KR20200153363 A KR 20200153363A KR 20220067076 A KR20220067076 A KR 20220067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elevating
slip
weight
safety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039B1 (ko
Inventor
박훈규
이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Priority to KR102020015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0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는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의 수평공에 삽입되며, 상면에 통과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통과홀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공에 접하는 상기 상부 구조물의 하면 소정 부분을 드릴링하는 드릴비트; 상기 드릴비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릴비트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CONCRETE SAMPLE COLLECTION APPARATUS FOR CHECKING FACILITY SAFETY}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드릴링하여 분말 시료를 채취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분야에서 시멘트 콘크리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며, 이와 관련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해안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에는 염화물(Chloride) 침투에 의한 철근 부식 문제의 심각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철근 부식이 발생할 경우, 내부 응력의 증가로 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탈락 현상이 발생하고, 철근 단면의 감소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결함이 야기될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내에서 철근 부식의 주요 인자인 염화물 함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함유량을 측정하는 방식은 전동드릴에 의한 시료 채취 방식이 있다. 전동드릴에 의한 시료 채취 방식은 전동드릴로 콘크리트를 드릴링하여 발생하는 분말을 시료로 채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교량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교량은 상부 구조물(예를 들면, 거더 등)과 하부 구조물(예를 들면, 교각 등)로 구성되며,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는 수직공과 수평공이 형성된다.
상기한 콘크리트 교량이 해안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콘크리트 교량에 침투하는 염화물은 수직공을 따라 낙하하여 수평공에 주로 축적된다.
따라서 상부 구조물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할 경우, 수평공의 상측에 접하는 상부구조물의 하면을 드릴링하여 분말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콘크리트 교량의 분말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743970호의 콘크리트 염화물 시험을 위한 시료 채취 모듈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전동드릴을 수평공에 수평하게 삽입한 상태에서 전동드릴의 수평방향 드릴링은 가능하나 전동드릴의 상하방향 드릴링은 불가능하므로, 수평공의 상측에 접하는 상부구조물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3970호(2017.05.3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의 수평공 상측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는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사이의 수평공(30)에 삽입되며, 상면에 통과홀(112)이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통과홀(112)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공(30)에 접하는 상기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을 드릴링하는 드릴비트(200); 상기 드릴비트(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릴비트(20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드릴비트(200)를 지지하는 승하강플레이트(410); 상기 승하강플레이트(410)의 좌우방향 양면에 각각 결합되며, 하면에 제1경사면(4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 한 쌍의 상기 승하강블록(420)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제1경사면(421)에 맞닿는 제2경사면(43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 및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수단;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의 전후진에 의해 상기 제1경사면(421)이 상기 제2경사면(431)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2경사면(431)에 맞닿는 상기 제1경사면(421)의 위치가 승하강됨에 따라 상기 승하강블록(420)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는 한 쌍의 상기 승하강블록(420)이 서로 마주보는 일면의 반대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블록(42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가이드홈(451)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450);을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블록(420)은 상기 가이드블록(45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가이드홈(45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승하강바(4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후진블록(430)은 상기 제2경사면(431)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432)가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블록(420)은 상기 제1경사면(421)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그립부(423)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그립부(423)가 각각 한 쌍의 상기 연장부(432)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후진수단은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을 각각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441); 한 쌍의 상기 스크류(441)를 치합하는 타이밍 벨트(442); 및 한 쌍의 상기 스크류(441)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스크류(441)의 제자리 회전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이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공(30)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110)가 얹어지는 슬라이드(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10)가 상기 슬라이드(13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130)의 하면에 결합되는 슬립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립부재(500)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0~2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0.5~10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0.1~3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립부재(500)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5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2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고, 상기 실리콘계 슬립제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이 3:7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는 스테아르산 아미드이고, 상기 왁스계 슬립제는 폴리프로필렌계 왁스이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초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립부재(500)의 관통공(510)들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논슬립부재(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상기 슬립부재(500)보다 얇은 상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논슬립부재(600)의 상하 두께는 상기 슬립부재(500)의 상하 두께의 85%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바인더 수지 50~70 중량%, 논슬립 입자 20~30 중량%, 유기계 비드 5~12 중량% 및 경화제 5~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바인더 수지 58 중량%, 논슬립 입자 26 중량%, 유기계 비드 10 중량% 및 경화제 6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2: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논슬립 입자는 입경이 35 내지 40 ㎛인 산화세륨이고, 상기 유기계 비드는 직경이 12~18 ㎛인 구형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이고, 상기 경화제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는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의 수평공 상측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교량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가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의 수평공 상측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드릴비트의 하강 및 정지 상태에서 슬립부재와 논슬립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드릴비트의 상승 및 작동 상태에서 슬립부재와 논슬립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승하강부가 드릴비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가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의 수평공 상측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는 콘크리트 교량처럼 상부 구조물(10)(예를 들면, 거더 등)과 하부 구조물(20)(예를 들면, 교각 등)로 구성되며,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사이에는 수직공과 수평공(30)이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수평공(30)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을 드릴링하여 분말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이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는 케이스(110), 받침통(120), 슬라이드(130), 드릴비트(200), 구동부 및 승하강부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후술할 드릴비트(200), 구동부, 승하강부를 수납한다. 케이스(110)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드릴비트(200)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112)이 형성된다. 통과홀(112)은 드릴비트(2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따라서 드릴비트(200)가 통과홀(112)을 통과할 때, 통과홀(112)의 내주면과 드릴비트(200)의 외주면 간에 간섭을 방지 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의 수평공(30)에 삽입된다. 이 때, 케이스(110)를 하부 구조물(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할 경우, 케이스(110)와 하부 구조물(20) 간에 마찰로 인하여 케이스(110)의 표면이 손상될 수 있는데, 슬라이드(130)가 케이스(110)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케이스(110)는 후방에 U자 형태의 손잡이(111)가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111)는 케이스(110)의 수동 이동을 위한 것이다.
받침통(120)은 후술할 드릴비트(200)의 드릴링에 의해 발생하는 분말 시료를 저장하는 것으로, 케이스(11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받침통(120)은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받침통(120)은 드릴비트(200)가 통과하는 통과홀(112)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래야, 드릴비트(200)의 드릴링에 의해 낙하하는 분말 시료를 간편하게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받침통(120)은 상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통(120)의 하면에는 통과홀(112)과 연통되는 연통홀(121)이 형성된다. 연통홀(121)은 드릴비트(2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따라서 드릴비트(200)가 연통홀(121)을 통과할 때, 연통홀(121)의 내주면과 드릴비트(200)의 외주면 간에 간섭을 방지 할 수 있다.
슬라이드(130)는 수평공(30)에 우선 삽입되고, 상면에서 케이스(11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여, 케이스(110) 표면의 슬라이딩에 의한 손상을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드(130)는 케이스(110)와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130)는 케이스(110)의 슬라이딩 폭을 넓히는 차원에서 케이스(110)보다 전후방향으로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릴비트(200)는 수평공(30)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10)의 하면을 드릴링하는 것으로, 케이스(110)에 수납되고, 후술할 승하강부에 의해 통과홀(112)을 따라 승하강된다.
드릴비트(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드릴비트(2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절삭용 칼날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드릴비트(200)는 외주면에 다수의 절삭용 칼날이 형성된 형태보다 드릴링 범위가 넓어지므로, 분말 시료를 충분히 채취할 수 있다.
구동부는 드릴비트(20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는 구동모터(310), 제1베벨기어(320), 제2베벨기어(330), 고정축(340), 제1스프로켓(350), 제2스프로켓(360), 체인(370) 및 스플라인축(380), 제1승하강기어(391), 제2승하강기어(392)를 포함한다.
구동모터(310)는 본체(311) 및 구동축(312)을 갖는다. 본체(311)는 구동축(312)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케이스(110)의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구동축(312)은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전방이 케이스(110)의 후방에 관통되며 본체(311)의 동력에 의해 전후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된다. 구동축(312)은 제1베어링(710)과 제2베어링(720)을 매개로 축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베어링(710)은 구동축(312)의 일측을 축지지하며 슬라이드(130)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2베어링(720)은 구동축(312)의 타측을 축지지하며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제1베벨기어(320)는 구동축(312)의 전방에 결합되며, 구동축(312)의 회전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된다.
제2베벨기어(330)는 제1베벨기어(320)와 수직하게 맞물리며, 제1베벨기어(32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된다.
고정축(340)은 상단이 제2베벨기어(330)의 중심축을 관통하고 하단이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축(340)과 제2베벨기어(330) 사이에는 제3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축(340)은 고정되고 제2베벨기어(330)는 고정축(340)의 둘레를 따라 회전된다.
제1스프로켓(350)은 제1베벨기어(320)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2베벨기어(33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된다.
제2스프로켓(360)은 제1스프로켓(350)의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체인(370)은 제1스프로켓(350)과 제2스프로켓(360)을 치합한다. 따라서 체인(370)에 의해 제1스프로켓(350)과 제2스프로켓(360)이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연동 회전된다.
스플라인축(380)은 상단이 제2스프로켓(360)의 중심축에 결합되고 하단이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스플라인축(380)은 제2스프로켓(36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된다. 스플라인축(380)은 후술할 승하강플레이트(410)의 상면 후방에 관통된다.
제1승하강기어(391)는 스플라인축(380)의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주면이 스플라인축(380)의 외주면에 맞물리며, 후술할 승하강플레이트(410)에 대하여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승하강기어(392)는 제1승하강기어(391)에 맞물리고 중심축에 드릴비트(200)가 결합되며 후술할 승하강플레이트(410)에 대하여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평기어와 드릴비트(200)는 스플라인축(38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된다.
승하강부는 드릴비트(200)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승하강부는 승하강플레이트(410),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 전후진수단 및 가이드블록(450)를 포함한다.
승하강플레이트(410)는 케이스(110)에 수납되고 상면 전방에 평기어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평기어의 중심축에 드릴비트(2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승하강플레이트(410)는 드릴비트(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승하강플레이트(410)의 상면 후방에는 스플라인축(380)이 관통된다. 이 때, 승하강플레이트(410)와 스플라인축(380) 사이에는 제4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된다. 따라서 승하강플레이트(410)는 제4베어링을 통하여 스플라인축(380)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다.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은 승하강플레이트(410)의 좌우방향 양면에 각각 결합되며, 하면에 제1경사면(421)이 형성된다. 제1경사면(421)은 후술할 제2경사면(431)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은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면에 제2경사면(431)이 형성된다. 제2경사면(431)은 제1경사면(421)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1경사면(421)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은 후술할 전후진수단에 의해 전후진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의 전후진에 의해 제1경사면(421)이 제2경사면(431)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에 연동되어 제2경사면(431)에 맞닿는 제1경사면(421)의 위치가 승하강된다. 제1경사면(421)의 위치가 승하강 되면, 제1경사면(421)을 갖는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도 승하강될 것이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4 내지 도 5를 기준으로,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이 상대적으로 후진된 상태에서는 제1경사면(421)이 제2경사면(431)의 하부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제1경사면(421)을 가진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과 승하강플레이트(410)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이 상대적으로 전진된 상태에서는 제1경사면(421)이 제2경사면(431)의 상부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과 승하강플레이트(410)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 때, 드릴비트(200)는 승하강플레이트(410)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통과홀(112)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기어결합부위를 통하여 드릴비트의 드릴링에 의한 압축하중을 지지함에 따라, 이러한 압축하중에 의하여 기어결합부위가 파손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과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은 제1경사면(421)과 제2경사면(431)의 면접촉구조를 통하여 드릴비트(200)의 드릴링에 의한 압축하중을 지지함에 따라, 이러한 압축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경사면(431)은 제1경사면(421)보다 전후방향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경사면(421)이 제2경사면(43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폭이 넓어지므로, 제1경사면(421)이 승하강되는 폭도 넓어지게 된다.
전후진수단은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을 전후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전후진수단은 한 쌍의 스크류(441), 타이밍 벨트(442) 및 회전수단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스크류(441)는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을 각각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스크류(441)는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의 중심축에 형성된 나사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 쌍의 스크류(441)가 제자리 회전되면,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이 각각 한쌍의 스크류(441)를 따라 전후진될 것이다.
스크류(441)는 제5베어링(730)과 제6베어링(740)을 매개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5베어링(730)은 스크류(441)의 전방을 지지하며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제6베어링(740)은 스크류(441)의 후방을 지지하며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타이밍벨트는 한 쌍의 스크류(441)를 치합한다. 따라서 타이밍벨트에 의해 한 쌍의 스크류(441) 중 일방만 회전되어도, 양방이 모두 회전될 수 있다.
회전수단은 한 쌍의 스크류(441) 중 일방을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회전수단은 연결축(443) 및 핸들(444)을 포함한다.
연결축(443)은 케이스(110)의 후방에 관통되며, 한 쌍의 스크류(441) 중 일방의 후방에 결합된다.
핸들(444)은 연결축(443)의 후방에 연결된다. 따라서 핸들(444)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돌릴 경우, 한 쌍의 스크류(441) 중 일방이 회전될 것이다.
한 쌍의 가이드블록(450)은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가이드블록(450)은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이 서로 마주보는 일면의 반대면에 각각 설치되며, 승하강블록(42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가이드홈(451)이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가이드블록(450)의 가이드홈(451)을 따라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의 승하강바(422)가 각각 승하강된다. 이 때, 승하강바(422)는 가이드블록(450)에 대향하는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의 대향면에 각각 연장 형성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후진블록(430)은 제2경사면(431)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432)가 형성된다. 한 쌍의 연장부(432)는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이다. 또한, 승하강블록(420)은 제1경사면(421)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각각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그립부(423)가 형성된다. 한 쌍의 그립부(423)는 각자의 말단이 서로를 향하여 벤딩된다. 그리하여 한 쌍의 그립부(423)는 한 쌍의 연장부(432)를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10)를 뒤집더라도,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이 각각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가 수평공(30) 상측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도 9 내지 도 10 참조)
우선, 상부구조물과 하부 구조물(20) 사이의 수평공(30)에 슬라이드(130)를 삽입한다.(도 9 참조)
다음으로, 수평공(30)에 케이스(110)를 삽입한 후, 케이스(110)를 슬라이드(130)의 상면에 얹어놓는다.(도 9 참조)
다음으로, 케이스(110)를 슬라이드(130)에 슬라이딩시켜서 수평공(30) 상측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한다.(도 9 참조)
다음으로, 승하강부를 이용하여 드릴비트(200)를 상승시켜서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에 밀착시킨다.(도 10 참조)
다음으로, 구동부를 이용하여 드릴비트(200)를 드릴링시켜서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한다. 이 때, 분말 시료는 낙하되어 받침통(120)에 저장된다.(도 10 참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는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사이의 수평공(30) 상측에 접하는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에서 분말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드릴비트의 하강 및 정지 상태에서 슬립부재와 논슬립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의 드릴비트의 상승 및 작동 상태에서 슬립부재와 논슬립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는 슬립부재(500) 및 다수의 논슬립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립부재(500)는 슬라이드(130)를 수평공(30)에 삽입할 때, 슬라이드(130)와 하부 구조물(20) 간에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슬립부재(500)는 슬라이드(130)를 하부 구조물(20)에서 잘 미끄러지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슬립부재(50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슬라이드(130)의 하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슬립부재(500)가 마찰을 저감하는 정도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슬립부재(500)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0~2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0.5~10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0.1~3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5:5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슬립제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이 3:7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는 에루크산 아미드, 카프로산 아미드, 카프릴산 아미드, 라우르산 아미드, 아라키딕산 아미드, 올레산 아미드, 팔미트산 아미드 및 스테아르산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는 스테아르산 아미드, 팔미트산 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르산 아미드일 수 있다.
상기 왁스계 슬립제는 폴리에틸렌계 왁스,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왁스일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상기 슬립부재(500)의 점도를 조절하여 슬라이드(130)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초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황산나트륨일 수 있다.
특히, 실시예 또는 비교예 등에는 명시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슬립부재(500)에 대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슬립성, 내열성 및 점착성 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른 조건 및 다른 수치범위에서와는 달리,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하였을 때 슬립성, 내열성 및 점착성이 모두 고르게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① 상기 슬립부재(500)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5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2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②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고, ③ 상기 실리콘계 슬립제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이 3:7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④ 상기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는 스테아르산 아미드이고, ⑤ 상기 왁스계 슬립제는 폴리프로필렌계 왁스이고, ⑥ 상기 점도조절제는 초산나트륨일 수 있다.
다만, 상기 6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슬립성 및 내열성이 전체적으로 저하되었고, 점착성이 낮아 흘러내리면서 슬립부재(500)가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지 않았다.
논슬립부재(600)는 후술할 다수의 논슬립부재(600)이 각각 설치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510)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관통공(510)은 전후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격자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슬립부재(500)는 앞서 설명한 압축하중에 의해 하부 구조물(20)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드릴비트(200)를 지지하던 슬라이드(130), 케이스(110) 및 승하강부도 미끄러지면서 드릴비트(200)의 편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드릴비트(200)가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을 드릴링하는 중에 한하여 슬립부재(500)를 하부 구조물(20) 상에 고정시켜서, 드릴비트(200)의 편향을 방지하여야 한다.
다수의 논슬립부재(600)는 드릴비트(200)가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을 드릴링하는 중에 한하여 슬립부재(500)를 하부 구조물(20) 상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논슬립부재(600)는 다수의 관통공(510)에 각각 설치되며, 슬립부재(500)보다 얇은 상하 두께를 갖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드릴비트(200)의 하강 및 정지상태에 있어서, 다수의 논슬립부재(600)는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으며, 슬립부재(500)는 슬라이드(130)가 하부 구조물(20) 상에서 잘 미끄러지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드릴비트(200)의 상승 및 작동상태(즉, 드릴비트(200)가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을 드릴링하는 중)에 있어서, 슬립부재(500)는 앞서 설명한 압축하중에 의해 압축되고 다수의 논슬립부재(600)는 슬립부재(500)의 압축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부 구조물(20) 상에 밀착되어 논슬립 작용을 하여 슬립부재(500)를 하부 구조물(20) 상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논슬립부재(600)의 상하 두께는 슬립부재(500)의 상하 두께의 85%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논슬립부재(600)는 바인더 수지 50~70 중량%, 논슬립 입자 20~30 중량%, 유기계 비드 5~12 중량% 및 경화제 5~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바인더 수지 58 중량%, 논슬립 입자 26 중량%, 유기계 비드 10 중량% 및 경화제 6 중량%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2: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논슬립 입자는 입경이 30 내지 50 ㎛이고,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세륨 및 실리콘카바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입경이 35 내지 40 ㎛인 산화세륨일 수 있다.
상기 유기계 비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소재이며, 1~20 ㎛의 직경을 갖는 구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계 비드는 직경이 12~18 ㎛인 구형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 폴리아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헥사케틸렌테트라민일 수 있다.
특히, 실시예 또는 비교예 등에는 명시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논슬립부재(600)에 대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논슬립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의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른 조건 및 다른 수치범위에서와는 달리,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하였을 때 논슬립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모두 고르게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①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바인더 수지 58 중량%, 논슬립 입자 26 중량%, 유기계 비드 10 중량% 및 경화제 6 중량%를 포함하고, ②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2: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③ 상기 논슬립 입자는 입경이 35 내지 40 ㎛인 산화세륨이고, ④ 상기 유기계 비드는 직경이 12~18 ㎛인 구형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이고, ⑤ 상기 경화제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일 수 있다.
다만, 상기 5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논슬립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전체적으로 저하되었으며, 일부는 박리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상부 구조물
20 : 하부 구조물
30 : 수평공
110 : 케이스
111 : 손잡이
112 : 통과홀
120 : 받침통
121 : 연통홀
130 : 슬라이드
200 : 드릴비트
310 : 구동모터
311 : 본체
312 : 구동축
320 : 제1베벨기어
330 : 제2베벨기어
340 : 고정축
350 : 제1스프로켓
360 : 제2스프로켓
370 : 체인
380 : 스플라인축
391 : 제1승하강기어
392 : 제2승하강기어
410 : 승하강플레이트
420 : 승하강블록
421 : 제1경사면
422 : 승하강바
423 : 그립부
430 : 전후진블록
431 : 제2경사면
432 : 연장부
441 : 스크류
442 : 타이밍 벨트
443 : 연결축
444 : 핸들
450 : 가이드블록
451 : 가이드홈
500 : 슬립부재
510 : 관통공
600 : 논슬립부재
710 : 제1베어링
720 : 제2베어링
730 : 제5베어링
740 : 제6베어링

Claims (13)

  1.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사이의 수평공(30)에 삽입되며, 상면에 통과홀(112)이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통과홀(112)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공(30)에 접하는 상기 상부 구조물(10)의 하면 소정 부분을 드릴링하는 드릴비트(200);
    상기 드릴비트(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릴비트(20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드릴비트(200)를 지지하는 승하강플레이트(410);
    상기 승하강플레이트(410)의 좌우방향 양면에 각각 결합되며, 하면에 제1경사면(4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승하강블록(420);
    한 쌍의 상기 승하강블록(420)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제1경사면(421)에 맞닿는 제2경사면(43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전후진블록(430); 및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수단;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의 전후진에 의해 상기 제1경사면(421)이 상기 제2경사면(431)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2경사면(431)에 맞닿는 상기 제1경사면(421)의 위치가 승하강됨에 따라 상기 승하강블록(420)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한 쌍의 상기 승하강블록(420)이 서로 마주보는 일면의 반대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블록(42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가이드홈(451)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450);을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블록(420)은,
    상기 가이드블록(45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가이드홈(45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승하강바(4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블록(430)은,
    상기 제2경사면(431)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432)가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블록(420)은,
    상기 제1경사면(421)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그립부(423)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그립부(423)가 각각 한 쌍의 상기 연장부(432)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수단은,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을 각각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441);
    한 쌍의 상기 스크류(441)를 치합하는 타이밍 벨트(442); 및
    한 쌍의 상기 스크류(441)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스크류(441)의 제자리 회전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전후진블록(430)이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공(30)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110)가 얹어지는 슬라이드(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10)가 상기 슬라이드(13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130)의 하면에 결합되는 슬립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부재(500)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0~2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0.5~10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0.1~3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부재(500)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5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2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고,
    상기 실리콘계 슬립제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이 3:7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는 스테아르산 아미드이고,
    상기 왁스계 슬립제는 폴리프로필렌계 왁스이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초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부재(500)의 관통공(510)들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논슬립부재(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상기 슬립부재(500)보다 얇은 상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재(600)의 상하 두께는,
    상기 슬립부재(500)의 상하 두께의 85%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바인더 수지 50~70 중량%, 논슬립 입자 20~30 중량%, 유기계 비드 5~12 중량% 및 경화제 5~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재(600)는,
    바인더 수지 58 중량%, 논슬립 입자 26 중량%, 유기계 비드 10 중량% 및 경화제 6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2: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논슬립 입자는 입경이 35 내지 40 ㎛인 산화세륨이고,
    상기 유기계 비드는 직경이 12~18 ㎛인 구형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이고,
    상기 경화제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KR1020200153363A 2020-11-17 2020-11-17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KR102444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363A KR102444039B1 (ko) 2020-11-17 2020-11-17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363A KR102444039B1 (ko) 2020-11-17 2020-11-17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076A true KR20220067076A (ko) 2022-05-24
KR102444039B1 KR102444039B1 (ko) 2022-09-19

Family

ID=8180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363A KR102444039B1 (ko) 2020-11-17 2020-11-17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0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56446A (zh) * 2023-07-10 2023-08-08 合肥工大共达工程检测试验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桩身完整性检测装置及方法
KR102584301B1 (ko) * 2022-06-23 2023-10-06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189B1 (ko) * 1998-09-18 2003-02-14 엘리펀트 체인 블록 컴파니 리미티드 구조물의 지지장치
KR20080096057A (ko) * 2007-04-26 2008-10-30 재단법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분쇄시료 채취장치
KR101219026B1 (ko) * 2012-07-19 2013-01-10 이윤재 협소부 천공장치
JP2014006055A (ja) * 2012-06-21 2014-01-16 East Nippon Expressway Co Ltd コンクリートサンプリング装置、およびこの装置の使用方法
KR101743970B1 (ko) 2016-11-25 2017-06-12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콘크리트 염화물 시험을 위한 시료 채취 모듈
KR102017751B1 (ko) * 2018-12-28 2019-09-03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협소공간 앵커홀 천공장치
KR102159215B1 (ko) * 2020-07-01 2020-09-23 주식회사 미래구조안전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해머 드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189B1 (ko) * 1998-09-18 2003-02-14 엘리펀트 체인 블록 컴파니 리미티드 구조물의 지지장치
KR20080096057A (ko) * 2007-04-26 2008-10-30 재단법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분쇄시료 채취장치
JP2014006055A (ja) * 2012-06-21 2014-01-16 East Nippon Expressway Co Ltd コンクリートサンプリング装置、およびこの装置の使用方法
KR101219026B1 (ko) * 2012-07-19 2013-01-10 이윤재 협소부 천공장치
KR101743970B1 (ko) 2016-11-25 2017-06-12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콘크리트 염화물 시험을 위한 시료 채취 모듈
KR102017751B1 (ko) * 2018-12-28 2019-09-03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협소공간 앵커홀 천공장치
KR102159215B1 (ko) * 2020-07-01 2020-09-23 주식회사 미래구조안전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해머 드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301B1 (ko) * 2022-06-23 2023-10-06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CN116556446A (zh) * 2023-07-10 2023-08-08 合肥工大共达工程检测试验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桩身完整性检测装置及方法
CN116556446B (zh) * 2023-07-10 2023-09-05 合肥工大共达工程检测试验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桩身完整性检测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039B1 (ko)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039B1 (ko)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CN115854826A (zh) 一种铺装路面施工质量检测装置
CN219908869U (zh) 地基承载力检测装置
CN113295460A (zh) 一种道路检测用取芯机的钻杆
CN111157281B (zh) 一种用于污染土壤再生的采样设备
CN211602474U (zh) 一种土壤修复用样本采集分层装置
CN210742024U (zh) 落锤冲击试验装置
CN216160190U (zh) 一种海洋地质环境检测设备
CN205685280U (zh) 一种顶板钻孔专用可伸缩杠杆机械手臂
CN114837239A (zh) 一种建筑工程用基桩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03954489A (zh) 混凝土钻粉机
CN211626328U (zh) 一种道路桥梁施工测量装置
CN116202812A (zh) 一种液压锤击式全自动土壤采样装置
CN206373387U (zh) 一种可手动调节的钻孔机
CN217033084U (zh) 一种沥青混凝土路面面层研究用采样装置
CN219265887U (zh) 一种建筑混凝土样块强度测试装置
CN220251409U (zh) 一种工程地质勘察取样装置
CN116223108B (zh) 一种环境监测深层取样分析设备
CN220377855U (zh) 一种土木工程建筑模板连接装置
CN219996553U (zh) 土工开土装置
DE102018006732A1 (de) Mobile Hub/Senkzylinder Bohrvorrichtung
CN219038424U (zh) 一种道路工程检测用取样器
CN203811444U (zh) 混凝土钻粉机
CN220240811U (zh) 一种圆钢棒料送料装置
CN220019188U (zh) 一种建筑材料检测用拉力实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