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026B1 - 협소부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협소부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026B1
KR101219026B1 KR1020120078570A KR20120078570A KR101219026B1 KR 101219026 B1 KR101219026 B1 KR 101219026B1 KR 1020120078570 A KR1020120078570 A KR 1020120078570A KR 20120078570 A KR20120078570 A KR 20120078570A KR 101219026 B1 KR101219026 B1 KR 101219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wer transmission
support frame
pair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재
Original Assignee
이윤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재 filed Critical 이윤재
Priority to KR1020120078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소부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등의 구조물에 있어서 노후 또는 파손된 교좌장치 또는 규격이 다른 신형 교좌장치의 교체 및 보수, 보강 시에 교각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의 좁은 공간인 협소부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고, 분진 및 소음이 적으며, 천공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표면이 고르지 못한 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협소부 천공장치를 정확하게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고, 표면이 고르지 못한 교각의 상부에 정확하게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어 교량의 상부구조물 하단부에 천공되는 앵커공을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천공할 수 있는 협소부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협소부 천공장치{NARROW PORTION A BORING MACHINE}
본 발명은 협소부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등의 구조물에 있어서 노후 또는 파손된 교좌장치 또는 규격이 다른 신형 교좌장치의 교체 및 보수, 보강 시에 교각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의 좁은 공간인 협소부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고, 분진 및 소음이 적으며, 천공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표면이 고르지 못한 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협소부 천공장치를 정확하게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고, 표면이 고르지 못한 교각의 상부에 정확하게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어 교량의 상부구조물 하단부에 천공되는 앵커공을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천공할 수 있는 협소부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좌장치란 교량의 상부구조인 상판과 하부구조인 교각 사이에 설치돼 상판을 지지하면서 교량 상부구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교량안전의 핵심장치이다.
그리고 오래된 교좌장치는 현재의 공사 시방서나 설계기준에 성능기준이 미달되고, 따라서 늘어나는 교통량과 부하 하중으로 인하여 교좌장치에서 파손 및 균열이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교량의 교좌장치에는 열차나 차량이 통행하여 과중한 하중이 집중되어 성능이 다소 부족할 경우 교량의 심각한 손상과 운행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오래된 교좌장치는 적당한 시기에 보수 및 보강 또는 노후된 교좌장치 등을 교체하거나 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기존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교각의 사이에 내진보강장치를 설치하거나 교좌장치를 추가로 설치하는 내진보강공사를 진행하였다.
상기와 같이 교좌장치의 교체나 추가로 설치할 경우 교량 상부구조물의 하단부에 탑플레이트, 즉 강판을 부착하기 위한 앵커를 삽입하기 위해 앵커공을 천공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이때 교각에서 일정한 높이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상부로 이송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교좌장치를 교체 또는 내진보강공사를 위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려도 교각과의 사이는 굉장히 협소하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 구조물의 하단부에 앵커공을 천공하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부 구조물의 하단부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앵커공을 천공하기 매우 어렵고, 앵커공을 천공하더라도 정확하게 수직이 아니면 다시 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앵커설치용 앵커공을 천공할 때 햄머드릴 또는 천공기의 전면부에 구비된 척에 막대 구조의 드릴비트를 결합하고 수직방향으로 앵커공을 천공하는 방식으로는 햄머드릴 및 천공기의 자체 높이와 드릴비트가 설치된 높이보다 높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가능한 것으로 그 이하의 협소한 공간에서는 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교각 상부와 교량 상부구조물 간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교좌장치의 교체 또는 내진보강공사, 교량의 보수 및 보강용 앵커 설치공사가 용이하고, 교각 상부에 교량 상부 구조물 사이 협소부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고, 분진 및 소음이 적으며, 천공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협소부 천공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협소부 천공장치는 교각 상부에 교량 상부 구조물 사이 협소부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고, 분진 및 소음이 적으며, 천공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협소부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의 지지프레임 상부에 승하강 프레임을 리프트바를 이용한 승하강장치로 승하강시켜 용이하게 앵커공을 천공할 수 있는 협소부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의 측면으로 구비된 손잡이바를 이용하여 좁은 협소부에서도 용이하게 승하강장치의 승하강 프레임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협소부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협소부 천공장치의 지지프레임 상부에서 승하강 프레임 사이에 리프트바를 설치함으로써 승하강 프레임을 수평이 유지되는 상태로 용이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는 협소부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이 고르지 못한 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협소부 천공장치에 구비된 수평게이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높이 조절볼트로 지지프레임을 정확하게 수평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협소부 천공장치는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협소부 천공장치는 표면이 고르지 못한 교각의 상부에 지지프레임을 정확하게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천공되는 앵커공을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천공할 수 있는 협소부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하부의 지지프레임 상부에 리프트바로 승하강되는 승하강 프레임이 구비되고, 승하강 프레임에 천공 코어비트가 설치된 구조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협소보 천공장치의 생산성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협소부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각의 상단부와 교량 상부 구조물 사이의 협소부에 설치하여 구멍을 천공하는 협소부 천공장치에 있어서,
전방 프레임(110)과 양측 측면 프레임(120), 후방 프레임(130)이 각각 구비된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전방 프레임(110)과 양측 측면 프레임(120)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로 승하강되는 승하강 프레임(200)과;
상부에는 회전되는 천공 코어비트(310)가 구비되고, 후단부 중앙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천공 코어비트(31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320)이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 프레임(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박스(300)와;
상기 승하강 프레임(200)을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장치(400)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측면프레임(120)과 후방프레임(130) 상부에 동력전달박스(30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모터(500)와;
선단부는 상기 동력전달박스(300)의 회전축(320)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동력전달모터(500)에 결합되어 동력전달모터(500)의 동력을 동력전달박스(300)의 회전축(320)에 전달하여 회전축(320) 회전시키는 조인트 축(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장치(400)는 지지 프레임(100)의 양 측면 프레임(120) 내측에 각각 구비되는 하부 이송레일(410)과;
상기 승하강 프레임(200)의 양측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 이송레일(420)과;
일측단은 상기 양측 하부 이송레일(410)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은 외측에 제 1로울러(431)가 결합되며, 상기 제 1로울러(431)는 상부 이송레일(420) 내부에 삽입되어 이송 가능하게 각각 상부이송 레일(4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리프트바(430)와;
일측단은 상기 상부 이송레일(420)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은 외측에 제 2로울러(441)가 결합되며, 상기 제 2로울러(441)는 하부 이송레일(410) 내부에 삽입되어 이송가능하게 하부 이송레일(410)에 결합되고, 상기 제 1리프트바(430)와 회동가능하게 중앙에 회동힌지(442)가 결합된 한 쌍의 제 2리프트바(440)와;
내부가 관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이송너트(451)가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제 2리프트바(440) 제 2로울러(441) 내측 사이에 결합되는 리프트 고정바(450)와;
선단부는 상기 고정바(450)의 이송너트(451)에 결합되고, 후단부에는 제 1기어(461)가 결합된 이송스크류(460)와;
내부에 회전봉(47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봉(471)의 선단부에 이송스크류(460)의 제 1기어(461)와 직각으로 맞물리게 결합되는 제 2기어(472)가 구비되며, 회전봉(471)의 후단부에 손잡이 바(473)가 구비되는 고정구(4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전방 프레임(110) 선단부와 양 측면 프레임(120)의 외측, 후방 프레임(130)의 후단부에 다수의 고정 너트(71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너트(710)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지지프레임(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다수의 높이 조절볼트(7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상단부에 지지 프레임(100)의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수평게이지(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협소부 천공장치는 교각 상부에 교량 상부 구조물 사이 협소부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고, 분진 및 소음이 적으며, 천공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협소부 천공장치는 하부의 지지프레임 상부에 승하강 프레임을 리프트바를 이용한 승하강장치를 승하강시켜 용이하게 앵커공을 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의 측면으로 구비된 손잡이바를 이용하여 좁은 협소부에서도 용이하게 승하강장치의 승하강 프레임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협소부 천공장치의 지지프레임 상부에서 승하강 프레임 사이에 리프트바를 설치함으로써 승하강 프레임을 수평이 유지되는 상태로 용이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협소부 천공장치는 표면이 고르지 못한 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협소부 천공장치에 구비된 수평게이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높이 조절볼트로 지지프레임을 정확하게 수평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협소부 천공장치는 표면이 고르지 못한 교각의 상부에 지지프레임을 정확하게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천공되는 앵커공을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는 하부의 지지프레임 상부에 리프트바로 승하강되는 승하강 프레임이 구비되고, 승하강 프레임에 천공 코어비트가 설치된 구조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협소보 천공장치의 생산성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 천공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 천공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 천공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 천공장치의 승하강 프레임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 천공장치의 승하강 장치에서 제 1리프트바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 천공장치의 승하강 장치에서 제 2리프트바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 천공장치의 승하강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 천공장치가 교각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 천공장치의 지지프레임 수평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 천공장치의 승하강 프레임이 교량 상부구조물 방향으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 천공장치가 교량 상부 구조물을 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 천공장치에 의해 교량 상부 구조물에 앵커공이 천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62는 고정바이고, 910은 교각이며, 920은 교량 상부 구조물이다.
먼저 본 발명의 협소부 천공장치에서 지지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110)과 양측 측면 프레임(120), 후방 프레임(130)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100)의 전방 프레임(110)과 양측 측면 프레임(120)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로 승하강되는 승하강 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승하가아 프레임(200)은 ㄴ형상이나 ㄷ형상의 앵글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부에는 회전되는 천공 코어비트(310)가 구비되고, 후단부 중앙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천공 코어비트(31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320)이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 프레임(200)의 내부에 동력전달박스(3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박스(300)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하단를 천공할 때 승하강프레임(200) 내부에서 이동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프레임(200)을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장치(4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00)의 양 측면 프레임(120)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는 하부 이송레일(410)과, 상기 승하강 프레임(200)의 양측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 이송레일(42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이송레일(410)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측면 프레임(120) 내면과 면접촉되어 고정되는 제1수직부(410a), 상기 제1수직부(410a)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상기 양 측면 프레임(120)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제1수평부(410b), 상기 제1수평부(410b)의 선단에서 상기 제1수직부(410a)의 폭방향 안쪽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제1단턱부(410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이송레일(420)은 상기 승하강 프레임(200)의 양측 내면과 면접촉되어 고정되는 제2수직부(420a), 상기 제2수직부(420a)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상기 승하강 프레임(200)의 양측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제2수평부(420b), 상기 제2수평부(420b)의 선단에서 상기 제2수직부(420a)의 폭방향 안쪽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제2단턱부(420c)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이송레일(410)과 상부 이송레일(420)의 일측은 일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 장치(400)는, 한 쌍의 제1리프트바(430)와 한 쌍의 제2리프트바(4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리프트바(430) 일측단은 상기 하부 이송레일(410)과 힌지 결합되고, 그리고, 타측단에는 상기 상부 이송레일(420)의 제2수직부(420a)와 한 쌍의 제2수평부(420b) 및 한 쌍의 제2단턱부(420c)가 구획하는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이송레일(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가능한 제1로울러(431)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리프트바(440)의 일측단은 상기 상부 이송레일(420)과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하부 이송레일(410)의 제1수직부(410a)와 한 쌍의 제1수평부(410b) 및 한 쌍의 제2단턱부(410c)가 구획하는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이송레일(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가능한 제2로울러(441)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2리프트바(440)의 타측단 내면에는, 중앙에 나산산이 이송너트(451)가 구비된 리프트 고정바(450)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바, 상기 이송너트(45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너트(450)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측면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이송스크류(460)의 선단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460)의 후단에는 제 1기어(46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460)는 양측단이 지지프레임(100)의 양측 측면 프레임(120) 내측에 고정된 고정바(462)와 결합하여 후단부에 결합된 제 1기어(461)가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460)의 제 1기어(461)와 직각으로 맞물리는 제 2기어(472)가 선단부에 구비되고 후단에는 손잡이 바(473)가 구비된 회전봉(471)이 내부에 내재된 고정구(470)를 상기 승하강 장치(400)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470)는 지지프레임(100)의 일측 측면 프레임(120)에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측면프레임(120)과 후방프레임(130) 상부에 동력전달박스(30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모터(5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모터(500)는 일반 회전모터 또는 유압모터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선단부는 상기 동력전달박스(300)의 회전축(320)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동력전달모터(500)에 결합되어 동력전달모터(500)의 동력을 동력전달박스(300)의 회전축(320)에 전달하여 회전축(320) 회전시키는 조인트 축(6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인트 축(600)은 승하강 프레임(200)에 의해 승하강시 동력 전달박스(300)의 상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동력전달모터(500)의 동력이 동력전달박스(300)의 회전축(320)에 전달되도록 유니버셜 조인트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전방 프레임(110) 외면과 양 측면 프레임(120)의 외면 및 후방 프레임(130)의 외면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너트(710)가 각각 고정형성되고, 상기 고정 너트(710)에는 상향에서 하향방향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볼트(72)가 나사결합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100)의 양측 측면프레임(120) 상단부에는 지지 프레임(100)의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평게이지(8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협소부 천공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소부 천공장치를 교각(910)과 교량 상부구조물(920) 사이 협소부로 삽입하여 교량 상부구조물(920)의 앵커공 천공 위치에 동력전달박스(300)의 천공 코어비트(310) 중심이 위치되도록 지지프레임(110)을 교각(910)의 상부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교각(910)의 상부에 지지프레임(110)을 올려놓은 후 작업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00)의 양측 측면프레임(120) 상단부에는 지지 프레임(100)의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 구비된 수평게이지(800)이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지지프레임(100)의 전방프레임(110)과 양 측면프레임(120), 후방프레임(130)의 외측면의 고정너트(710)에 결합된 높이 조절볼트(720)를 회전시켜 높이조절볼트(720) 하단부가 지지프레임(100)의 하부로 돌출되어 교각의 상부면에 밀착시켜 표면이 불규칙한 교각(910)의 상부에서 지지프레임(100)의 수평을 정확하게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프레임(100)의 수평을 조절한 후 도 7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장치(400)의 고정구(470) 손잡이 바(473)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고정구(470)의 손잡이바(473)를 회전시키면 회전봉(471)이 고정구(470) 내부에서 회전되고, 회전봉(471)이 회전되면 회전봉(471) 선단부에 구비된 제 2기어(472)가 회전되며, 상기 제 2기어(472)가 회전되면 제 2기어(472)에 직각으로 맞물려 결합된 제 1기어(461)가 회전되면서 이송 스크류(460)도 동시에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 스크류(460)가 회전되면 이송 스크류(460)에 결합된 이송너트(451)가 이송 스크류(460)에 의해 지지프레임(100)의 전방프레임(110)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이송너트(451)의 양측에 결합된 리프트 고정바(450)도 전방프레임(110) 방향으로 이송되며, 리프트 고정바(450)가 이송됨에 따라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제 2리프트바(440)도 전방프레임(100)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리프트 고정바(450)가 결합된 제 2리프트바(440)의 외측단에 결합된 제 2로울러(441)가 하부 이송레일(410)을 따라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제 2리프트바(440)는 용이하게 전방프레임(110)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 2리프트바(440)가 전방프레임(110) 방향으로 이송되면 제 1리프트바(430)와 중앙에 결합된 회동힌지(442)를 중심으로 제 1리프트(430)의 일측 끝단부 외측에 구비된 제 1로울러(431)도 상부 이송레일(420)을 따라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전방프레임(1100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와 같이 제 1리프트바(430)와 제 2리프트바(440) 일측단이 전방프레임(110)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제 1리프트바(430)는 회동힌지(442)를 중심으로 제 1로울러(431)는 상부 이송레일(420)을 상부로 이송시키고, 제 2리프트바(440)는 일측단 힌지결합된 상부 이송레일(420)을 상부로 이송시키면서 승하강 프레임(200) 전체가 상부로 승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하강 프레임(200)을 동력전달장치(300)의 천공 코어비트(310)의 상단부가 교량 상부구조물(920)의 하단부에 근접할 때까지 승강시킨 후 동력전달모터(500)를 작동시키면 동력전달모터(500)에 결합된 조인트축(600)이 회전하고, 상기 조인트축(600)의 일측단에 결합된 동력전달박스(300)이 회전축(320)이 회전되면서 상부의 천공 코어비트(310)가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승하강 프레임(200)을 승하강장치(400)에 의해 상부로 계속 승강시키면 천공 코어비트(310)가 교량 상부구조물(920)의 하부에서부터 앵커공을 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천공 코어비트(310)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로 냉각수가 주입될 수 있는 주입구를 구비하여 천공 코어비트(310) 내부로 냉각수를 주입하여 천공시 발생하는 열과 분진이 생기지 않도록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깊이로 앵커공이 천공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프레임(200)을 승강시킬 때의 반대 방향으로 손잡이 바(473)를 회전시켜 승하강 프레임(200)을 하강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협소부 천공장치는 표면이 고르지 못한 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협소부 천공장치에 구비된 수평게이지(800)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높이 조절볼트(720)로 지지프레임을 정확하게 수평이 되도록 조절한 후 천공함으로써 교량 상부구조물에 앵커공의 각도(θ)를 정확하게 수직(90°)방향으로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지지 프레임
110 : 전방 프레임 120 : 측면 프레임
130 : 후방 프레임
200 : 승하강 프레임
300 : 동력전달박스
310 : 천공 코어비트 320 : 회전축
400 : 승하강장치
410 : 하부 이송레일 420 : 상부 이송레일
430 : 제 1리프트바 431 : 제 1로울러
440 : 제 2리프트바 441 : 제 2로울러
442 : 회동힌지 450 : 리프트 고정바
451 : 이송너트 460 : 이송 스크류
461 : 제 1기어 470 : 고정구
471 : 회전봉 472 : 제 2기어
473 : 손잡이바
500 : 동력전달모터
600 : 조인트 축
710 : 고정너트 720 : 위치 조절볼트
800 : 수평게이지

Claims (5)

  1. 교각의 상단부와 교량 상부 구조물 사이의 협소부에 설치하여 구멍을 천공하는 협소부 천공장치에 있어서,
    전방 프레임(110)과 양측 측면 프레임(120), 후방 프레임(130)이 각각 구비된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전방 프레임(110)과 양측 측면 프레임(120)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로 승하강되는 승하강 프레임(200)과;
    상부에는 회전되는 천공 코어비트(310)가 구비되고, 후단부 중앙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천공 코어비트(31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320)이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 프레임(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박스(300)와;
    상기 승하강 프레임(200)을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400)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측면프레임(120)과 후방프레임(130) 상부에 동력전달박스(30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모터(500)와;
    선단부는 상기 동력전달박스(300)의 회전축(320)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동력전달모터(500)에 결합되어 동력전달모터(500)의 동력을 동력전달박스(300)의 회전축(320)에 전달하여 회전축(320)을 회전시키는 조인트 축(600)을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 장치(400)는,
    지지 프레임(100)의 양 측면 프레임(120) 내측에서 상기 양 측면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구비되는 채널형상의 하부 이송레일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측면 프레임(120) 내면과 면접촉되어 고정되는 제1수직부(410a), 상기 제1수직부(410a)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상기 양 측면 프레임(120)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제1수평부(410b), 상기 제1수평부(410b)의 선단에서 상기 제1수직부(410a)의 폭방향 안쪽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제1단턱부(410c)를 포함하는 하부 이송레일(410);
    상기 승하강 프레임(200)의 양측에서 상기 승하강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구비되는 채널형상의 상부 이송레일으로서, 승하강 프레임(200)의 양측부 내면과 면접촉되어 고정되는 제2수직부(420a), 상기 제2수직부(420a)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상기 승하강 프레임(200)의 양측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제2수평부(420b), 상기 제2수평부(420b)의 선단에서 상기 제2수직부(420a)의 폭방향 안쪽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제2단턱부(420c)를 포함하는 상부 이송레일(420);
    상기 하부 이송레일(410)에 일측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 외측에는 상기 상부 이송레일(420)의 제2수직부(420a)와 한 쌍의 제2수평부(420b) 및 한 쌍의 제2단턱부(420c)가 구획하는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이송레일(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가능한 제1로울러(431)가 각각 장착된 한 쌍의 제 1리프트바(430);
    상기 상부 이송레일(420)에 일측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은 외측에는 상기 하부 이송레일(410)의 제1수직부(410a)와 한 쌍의 제1수평부(410b) 및 한 쌍의 제2단턱부(410c)가 구획하는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이송레일(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가능한 제2로울러(441)가 각각 장착된 한 쌍의 제 2리프트바(440);
    상기 제 2리프트바(440)와 제 1리프트바(430)의 중단에서 상기 제 2리프트바(400)와 제 1리프트바(43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힌지(442);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이송너트(451)가 중앙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리프트바(440) 타측단 내면에 고정되는 리프트 고정바(450);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측면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에서 선단이 상기 리프트 고정바(450)에 구비된 이송너트(450)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며, 후단에는 제 1기어(461)가 구비된 이송스크류(460);
    상기 이송스크류(460)에 구비된 제 1기어(461)와 직각으로 맞물리는 제 2기어(472)가 선단부에 구비되고 후단에는 손잡이 바(473)가 구비된 회전봉(471)이 내부에 내재된 고정구(47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전방 프레임(110) 외면과 양 측면 프레임(120)의 외면 및 후방 프레임(130)의 외면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너트(710)가 각각 고정형성되고, 상기 고정 너트(710)에는 상향에서 하향방향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볼트(72)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부 천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상단부에 지지 프레임(100)의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수평게이지(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부 천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축(600)은 승하강 프레임(200)에 의해 승하강시 동력 전달박스(300)의 상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동력전달모터(500)의 동력이 동력전달박스(300)의 회전축(320)에 전달되도록 유니버셜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부 천공장치.
KR1020120078570A 2012-07-19 2012-07-19 협소부 천공장치 KR101219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570A KR101219026B1 (ko) 2012-07-19 2012-07-19 협소부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570A KR101219026B1 (ko) 2012-07-19 2012-07-19 협소부 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026B1 true KR101219026B1 (ko) 2013-01-10

Family

ID=4784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570A KR101219026B1 (ko) 2012-07-19 2012-07-19 협소부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0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934B1 (ko) * 2015-04-16 2016-07-29 주식회사 에스디씨컨스트룩 4구 천공기
KR102017751B1 (ko) * 2018-12-28 2019-09-03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협소공간 앵커홀 천공장치
KR20220067076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KR20230115693A (ko) 2022-01-27 2023-08-03 이분순 협소부 천공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3A (ja) * 1992-06-18 1994-01-11 Bridgestone Corp 支承のレベル調整方法
KR19990005267U (ko) * 1997-07-14 1999-02-05 박화영 기어드 모터 및 크로스 바(Cross Bar)를 이용한 들어올림용 기구
KR100856356B1 (ko) * 2008-02-15 2008-09-04 매크로드 주식회사 구조물 틈새에서의 앵커홀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3A (ja) * 1992-06-18 1994-01-11 Bridgestone Corp 支承のレベル調整方法
KR19990005267U (ko) * 1997-07-14 1999-02-05 박화영 기어드 모터 및 크로스 바(Cross Bar)를 이용한 들어올림용 기구
KR100856356B1 (ko) * 2008-02-15 2008-09-04 매크로드 주식회사 구조물 틈새에서의 앵커홀 천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934B1 (ko) * 2015-04-16 2016-07-29 주식회사 에스디씨컨스트룩 4구 천공기
KR102017751B1 (ko) * 2018-12-28 2019-09-03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협소공간 앵커홀 천공장치
KR20220067076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KR102444039B1 (ko) 2020-11-17 2022-09-19 주식회사 금오시설안전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료 채취 장치
KR20230115693A (ko) 2022-01-27 2023-08-03 이분순 협소부 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026B1 (ko) 협소부 천공장치
KR100592530B1 (ko) 교량의 연결판 천공용 드릴장치
KR100884929B1 (ko) 구조물 틈새의 협소부 천공장치
CN202412376U (zh) 集装箱地板钻孔锁钉装置
KR101060598B1 (ko) 수평 이동식 업다운 동바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급속 교량교체공법
CN203664737U (zh) 自动多孔钻
CN217652674U (zh) 一种可调节式边坡钻孔结构装置
CN109132787B (zh) 一种全液压履带式电梯轨道支架安装机
CN110778279A (zh) 一种升降式同步钻孔设备
CN214944030U (zh) 一种适用于桥梁桩基冲击钻钻机的锁定固定装置
US20090145324A1 (en) Movable crawler system for railroad equipment
CN112854199B (zh) 一种地铁车站洞门处地下连续墙施工方法及其切割装置
KR101882192B1 (ko)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KR20120029721A (ko)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
CN212153377U (zh) 一种可调节的截桩设备
CN108202162B (zh) 一种柔性多孔钻孔机及对支撑梁的切割方法
CN205634553U (zh) 一种轨道式升降平台
CN210701797U (zh) 一种电梯t型导轨矫正装置
CN218778718U (zh) 一种矿用提升机
CN220944972U (zh) 水利发电站闸门门叶的检修辅助工具
CN218345079U (zh) 轧机上阶梯垫更换装置
CN205128984U (zh) 铁路大桥钢支架专用钻孔机
CN218557403U (zh) 一种家具生产的自动钻孔装置
CN218373057U (zh) 一种新型钢轨调节装置
CN210209515U (zh) 一种板材加工用连续钻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