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721A -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 - Google Patents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721A
KR20120029721A KR1020100091715A KR20100091715A KR20120029721A KR 20120029721 A KR20120029721 A KR 20120029721A KR 1020100091715 A KR1020100091715 A KR 1020100091715A KR 20100091715 A KR20100091715 A KR 20100091715A KR 20120029721 A KR20120029721 A KR 20120029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coupled
rail
supporte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주)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달성 filed Critical (주)달성
Priority to KR1020100091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9721A/ko
Publication of KR20120029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의 일측에 바깥쪽을 향해 대향(對向)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레일(110,110a)과, 상기 안쪽 레일(110)에는 유압실린더(140)에 의해 구동되는 승하강구(150)가 로울러(16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승하강 되도록 결합되도록 하고, 바깥쪽 레일(110a)에는 작업대(130)가 지지 로울러(132)에 의해 지지되어 승하강되도록 결합 되되 상기 체인(180)의 일단은 체인고정구(170)에 고정되고 체인(180)의 타단은 작업대(13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180)을 밀어올리는 승하강구(150)의 승하강에 의해 작업대(130)가 레일(110a)을 따라 승하강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의 승하강시 좌우편심을 최소화하고 유압실린더의 작용으로 인한 가이드레일과 링크에 인가되는 압력으로 인한 레일 및 링크의 파손 방지 및 하강시 자중에 의한 가속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Lift device for a high place work}
본 발명은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소작업대의 승하강시 좌우편심을 최소화하고 유압실린더의 작용으로 인한 가이드레일과 링크에 인가되는 압력으로 인한 레일 및 링크의 파손 방지 및 하강시 자중에 의한 가속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는 철강을 생산하기 위한 코크스오븐을 구비하는 코크스공장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코크스오븐은 대형이어서 지상보다 상당히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코크스오븐의 수리보수 및 청소를 위해 작업장소에 작업자와 작업도구를 운반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 일명 '도어서비스카'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이하 고소작업장치라 한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크스공장건물의 벽면에 이동가능토록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 되는 고소작업대와 상기 고소작업대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30)로 이루어진다.
즉 종래 고소작업장치의 승하강장치는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실린더를 X자형 링크(link)에 결합하여 링크를 신축시킴으로써 고소작업대가 승하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고소작업장치의 승하강장치는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실린더를 X자형 링크(link)에 결합하여 링크를 신축시킴으로써 유압실린더에 유압이 작용하여 신장 또는 수축되는 순간 엄청난 힘이 링크 및 가이드 레일에 가해지게 되고 따라서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결국 가이드 레일과 링크의 파손이 불가피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유압실린더가 수축하게 되면 고소작업대는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고소작업대의 중량에 의해 가속도가 발생하게 되어 하강이 불안정해지고 이로 인해 작업자들로 하여금 불안감을 갖게 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 링크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승시에는 가이드 레일을 바깥쪽으로 미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하강시에는 가이드 레일을 안쪽으로 잡아 당기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승하강시 좌우 편심이 작용하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견인부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가이드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지하수 토출유도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관과 지하수 토출유도관 사이에는 하부에 양수관연결구를 구비하는 균형유지관이 형성되어 가이드관과 지하수 토출유도관이 자연스럽게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지하수 토출유도구와, 관정용 케이싱의 내부 일측면에는 상부에 테이퍼형상을 갖는 삽입유도관을 구비하고 하부에는 절곡된 지하수 토출관 연결구을 구비하는 지하수 토출관을 용접 부착하고, 타측에는 결합유도구를 형성하여 상기 지하수 토출유도구가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지하수 토출유도구의 가이드관은 결합유도구에 의해 안내되도록 하여 걸림턱에 걸리도록 하고, 동시에 지하수 토출유도구의 지하수 토출유도관의 삽입관은 자연스럽게 지하수 토출관의 삽입유도관으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한 설치와 완벽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관정 보호 및 지하수 토출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의 승하강시 좌우편심을 최소화하고 유압실린더의 작용으로 인한 가이드레일과 링크에 인가되는 압력으로 인한 레일 및 링크의 파손 방지 및 하강시 자중에 의한 가속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의 일측에 바깥쪽을 향해 대향(對向)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레일(110,110a)과, 상기 안쪽 레일(110)에는 유압실린더(140)에 의해 구동되는 승하강구(150)가 로울러(16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승하강 되도록 결합되도록 하고, 바깥쪽 레일(110a)에는 작업대(130)가 지지 로울러(132)에 의해 지지되어 승하강되도록 결합 되되 상기 체인(180)의 일단은 체인고정구(170)에 고정되고 체인(180)의 타단은 작업대(130)의 일측에 형성된 체인고정구(133)에 고정되어 상기 체인(180)을 밀어올리는 승하강구(150)의 승하강에 의해 작업대(130)가 레일(110a)을 따라 승하강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구((150)의 상단에는 체인스프라켓(151)이 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된 상태이며, 상기 체인스프라켓(151)에는 체인(180)이 얹히도록 결합된다. 상기 승하강구((150)의 하단은 유압실린더(140)의 로드 끝단이 결합된 상태이며 상기 유압실린더(140)의 하단은 바닥 프레임(120)에 결합된 상태이고, 유압장치(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즉 유압실린더(140)로 유압이 공급되면 로드는 신장되면서 승하강구((150)를 상승시키게 되고, 동시에 체인(180)을 위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체인(180)의 일단은 체인고정구(170)에 고정된 상태여서 결국 체인(180)의 상승력은 체인(180)의 타단이 결합된 작업대(130)에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대(130)가 상승하게 된다. 물론 유압이 제거되면 반대로 작업대(130)는 하강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승하강구((150)의 양쪽에는 각각 로울러(160)가 형성되어 안쪽 레일(110)의 레일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며, 상기 로울러(160)에 의해 승하강구((150)는 매우 안정적인 상태로 승하강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작업대(130)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지지 로울러(132)가 결합되는데, 상기 지지 로울러(132)를 바깥쪽 레일(110a)의 레일홈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해서는 브라켓(131)을 필요로 한다. 즉 브라켓(131)이 작업대(130)의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된 브라켓(131)에 지지 로울러(132)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 로울러(132)는 승하강구((150)가 상승하면서 체인(180)에 의해 견인될 때 바깥쪽 레일(110a)을 타고 오르면서 작업대(130)의 승하강을 보다 안정적인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지주
110: 안쪽 레일 110a: 바깥쪽 레일
120: 프레임 130: 작업대
131: 브라켓 132: 지지 로울러
133: 체인고정구
140: 유압실린더
150: 승하강구 151: 체인스프라켓
160: 로울러 170: 체인고정구
180: 체인

Claims (1)

  1.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의 일측에 바깥쪽을 향해 대향(對向)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레일(110,110a)과, 상기 안쪽 레일(110)에는 유압실린더(140)에 의해 구동되는 승하강구(150)가 로울러(16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승하강 되도록 결합되도록 하고, 바깥쪽 레일(110a)에는 작업대(130)가 지지 로울러(132)에 의해 지지되어 승하강되도록 결합 되되 상기 체인(180)의 일단은 체인고정구(170)에 고정되고 체인(180)의 타단은 작업대(13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180)을 밀어올리는 승하강구(150)의 승하강에 의해 작업대(130)가 레일(110a)을 따라 승하강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
KR1020100091715A 2010-09-17 2010-09-17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 KR20120029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715A KR20120029721A (ko) 2010-09-17 2010-09-17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715A KR20120029721A (ko) 2010-09-17 2010-09-17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721A true KR20120029721A (ko) 2012-03-27

Family

ID=4613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715A KR20120029721A (ko) 2010-09-17 2010-09-17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97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8365A (zh) * 2016-04-26 2016-09-21 邹平县供电公司 一种电力维修台架
CN107804672A (zh) * 2017-10-31 2018-03-16 佛山市三水区嫚娅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双层养护窑的液压升降机构
CN108394833A (zh) * 2018-03-30 2018-08-14 芜湖凯源汽车服务有限公司 汽车维修抬升平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8365A (zh) * 2016-04-26 2016-09-21 邹平县供电公司 一种电力维修台架
CN105958365B (zh) * 2016-04-26 2018-09-25 邹平县供电公司 一种电力维修台架
CN107804672A (zh) * 2017-10-31 2018-03-16 佛山市三水区嫚娅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双层养护窑的液压升降机构
CN108394833A (zh) * 2018-03-30 2018-08-14 芜湖凯源汽车服务有限公司 汽车维修抬升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53231B (zh) 龙门式建筑施工提升装置及其制造和施工方法
WO2017063370A1 (zh) 一种基于并联机构的自移式端头液压支架及其应用
CN107268969A (zh) 一种用于高空作业的施工架结构
CN101240695A (zh) 石油钻井的钻具输送装置
KR20110137864A (ko) 건축공사용 리프트
CN103821548B (zh) 一种抬底机构及液压支架
CN204824031U (zh) 轨道式手动液压升降车
KR20120029721A (ko) 제철소용 자주식 고소작업장치
CN204984463U (zh) 一种矿用液压支架组装平台
CN105733613A (zh) 焦炉炉门安装装置及方法
CN104477829A (zh) 倒挂剪叉式升降机
CN109915656B (zh) 管道铺设装置
KR101219026B1 (ko) 협소부 천공장치
KR200479223Y1 (ko) 비계용 리프트 장치
CN203626649U (zh) 一种石油钻井平台防喷器运输安装装置
CN210888003U (zh) 一种移动式可升降钢管架操作平台装置
CN203568803U (zh) 一种用于升降液压支架顶梁铰接轴的装置
CN109176383B (zh) 一种矿用千斤顶维修平台
CN202164810U (zh) 液压升降式施工平台
CN112239185A (zh) 一种电力检修用升降装置
CN213326444U (zh) 一种塔式起重机顶升降节过程中安全防护机构
KR101649406B1 (ko) 벽돌 조적작업용 리프트 장치
CN102352685A (zh) 液压升降式施工平台
CN108857310A (zh) 一种开挖立架移动安装车
JP6129130B2 (ja) ジャッキ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重量物の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