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074A -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074A
KR20220067074A KR1020200153360A KR20200153360A KR20220067074A KR 20220067074 A KR20220067074 A KR 20220067074A KR 1020200153360 A KR1020200153360 A KR 1020200153360A KR 20200153360 A KR20200153360 A KR 20200153360A KR 20220067074 A KR20220067074 A KR 20220067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atching
game
team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광준
Original Assignee
빅픽처인터렉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픽처인터렉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빅픽처인터렉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3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7074A/ko
Publication of KR20220067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7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data related to game devices or game servers, e.g. configuration data,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매칭을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매칭 조건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를 매칭 풀에 저장함으로써 매칭 풀 내에 저장된 다수의 사용자들간의 매칭 조건을 검색하여 적합한 팀원을 추천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Server,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customized game environment}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매칭되는 팀원을 검색하여 추천해주고, 게임과 관련된 각종 팁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발전함에 따라서 각종 분야에서 사용자의 목적, 취향 등을 분석하여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정작 게임 관련 산업에는 이러한 기술의 적용이 더딘 편이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본인의 목적, 취향에 맞는 게임을 충분히 즐기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승리를 주목적으로 하는 플레이어가 즐거움을 주목적으로 하는 플레이어들과 팀이 매칭되는 경우 서로 간의 의견 충돌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의견 충돌은 게임의 즐거움을 반감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사용자마다의 게임 목적, 취향, 플레이 성향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팀원끼리 팀을 매칭시켜주고 게임을 진행한다면, 많은 유저들을 만족시킬 것으로 기대되지만, 현재로서는 이러한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고 있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1616호, (2020.10.26)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버에 접속하여 매칭을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매칭 조건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를 매칭 풀에 저장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게임과 관련된 외부 서버를 크롤링하여, 매칭을 요청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사용자를 검색하고 크롤링된 내용으로부터 외부 사용자의 매칭 조건을 설정하여 매칭 풀에 저장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칭 풀 내 복수의 사용자들의 매칭 조건을 매칭하고,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로 매칭 대상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I 게임 비서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게임이 매칭되면 사용자의 캐릭터와 상대편의 캐릭터를 분석하여, 추천 전략, 주의 사항, 캐릭터 셋팅, 아이템 빌드 및 스킬 트리 등과 같은 추천 정보를 도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대회 일정에 따라서 대회 접수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기존 팀에 가입하거나, 신규 팀을 창설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게임 종류, 게임 유형, 포지션, 매칭 상대의 포지션, 팀 인원수 및 플레이 스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매칭 조건을 입력받는 입력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외부 서버를 크롤링하여, 매칭을 요청 중인 적어도 하나의 외부 사용자를 검색하는 검색부, 사용자를 매칭 조건과 함께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 매칭 풀에 저장하고, 상기 검색된 각각의 외부 사용자에 대하여 크롤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매칭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매칭 풀에 저장하는 매칭 관리부 및 상기 매칭 풀 내 복수의 사용자들의 매칭 조건을 매칭시키고,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매칭 대상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게임의 게임 스토어 플랫폼 API 및 게임 서버 API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하여 사용자의 플레이 성향, 실력 지수, 선호하는 대상 사용자의 플레이 성향 및 매너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매칭 대상 사용자의 플레이 성향, 실력 지수 및 매너 지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 매칭 수락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대상 사용자의 매칭을 연결하고, 상기 단말로 재검색이 요청되면, 상기 매칭을 종료시키고 재매칭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칭이 연결되어 해당 게임이 종료된 후, 해당 게임의 플레이 로그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플레이 성향 및 실력 지수를 업데이트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상 사용자의 평가를 기반으로 대상 사용자의 매너 지수 및 선호하는 대상 사용자의 플레이 성향 중 적어도 하나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로 게임 비서 모드가 요청되면 AI 게임 비서를 실행시키고, 사용자의 게임이 매칭되면, 사용자의 캐릭터와 상대편 캐릭터를 분석하여 추천 전략, 주의 사항, 캐릭터 셋팅, 아이템 빌드 및 스킬 트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칭된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서 획득되는 사용자의 플레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수를 평가하여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평가된 적어도 하나의 지수를 기반으로 상기 추천 정보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사용자의 플레이 상황에 부합하는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게임 대회 일정에 따라서 대회 접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회 참가 신청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대회 참가 자격을 검증한 뒤, 참가하고자 하는 팀을 입력받거나 신규 팀 생성을 입력받으며, 신규 팀 생성을 입력받는 경우 함께 참여할 팀원이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팀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각 팀원의 대회 참가 자격이 검증되면, 대회 참가 신청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회에 참여하기 위한 팀 검색 기능 및 팀원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팀 검색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입 신청 정보를 검색하여, 가입 가능한 팀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팀원 검색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팀원 모집 정보를 검색하여, 초대 가능한 팀원을 추출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팀원 모집 정보를 기반으로 팀원 모집글을 생성하여 게시판에 게시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팀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사용자로부터 게임 종류, 게임 유형, 포지션, 매칭 상대의 포지션, 팀 인원수 및 플레이 스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매칭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를 매칭 조건과 함께 데이터베이스 내 매칭 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 풀 내 복수의 사용자들의 매칭 조건을 매칭시키고,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매칭 대상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외부 서버를 크롤링하여, 매칭을 요청 중인 적어도 하나의 외부 사용자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각각의 외부 사용자에 대하여 크롤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외부 사용자의 매칭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매칭 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에 접속하여 매칭을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매칭 조건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를 매칭 풀에 저장함으로써 매칭 풀 내에 저장된 다수의 사용자들간의 매칭 조건을 검색하여 적합한 팀원을 추천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게임과 관련된 외부 서버를 크롤링하여, 매칭을 요청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사용자를 검색하고, 크롤링된 내용으로부터 외부 사용자의 매칭 조건을 설정하여 매칭 풀에 저장함으로써,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물론 외부의 사용자도 매칭 풀에 입력하여 더 많은 풀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AI 게임 비서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게임에 필요한 각종 팁을 제공함으로써, 게임이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는 물론 중급자에게도 플레이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 대회 일정에 따라서 대회 접수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기존 팀에 가입하거나 신규 팀을 창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인들도 어렵지 않게 대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매칭 조건을 입력받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가 매칭 풀을 형성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프로세서가 게임 스토어 플랫폼 API와 게임 서버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도출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프로세서가 매칭된 매칭 대상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매칭 대상 사용자와의 게임이 종료된 후, 사용자 단말로 매칭 대상 사용자의 후기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AI 게임 비서 모드가 실행되어, 사용자 단말로 각종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공된 추천 정보보다 더 상세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해당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서 사용자의 플레이 내역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게임 내용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있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대회 주최자의 메뉴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대회 참가 프로세서의 기획안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각종 예시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100),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시스템(10)은 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며,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데이터베이스(130), 입력부(140), 검색부(150), 매칭 관리부(160)를 포함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100)의 입력부(140)가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매칭 조건을 입력받는다. (S1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부는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들의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며, 검색부가 외부 서버를 검색할 때에도 통신부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를 검색하여 크롤링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서버(100)는 웹 또는 앱으로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구비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유저들이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입력부(140)가 사용자로부터 매칭 조건을 입력받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매칭 버튼이 클릭되면, 서버(100)의 입력부(140)가 사용자 단말(210)로 맞춤형 팀원 검색을 위한 매칭 조건 입력을 요청한다.
이때, 매칭 조건은 게임 종류, 게임 형태/유형, 포지션, 매칭 상대의 포지션, 팀 인원수 및 플레이 스타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게임 종류는 롤(League Of Legend), 배틀 그라운드(Battle Ground), 오버워치(Over Watch) 등과 같은 게임 종류를 의미하며, 게임 형태/유형은 연습 게임, 랭크 게임 등과 같이 게임 내에서 지원하는 게임 모드가 적용될 수 있다.
포지션은 탱커, 딜러, 힐러 등과 같이 사용자가 게임에서 맡게될 역할을 의미하는 것으로, 롤에서 예를 들면 탑 라이너, 미드 라이너, 원딜, 서포터, 정글과 같은 포지션이 적용될 수 있다.
매칭 상대의 포지션은 본인이 찾고자 하는 팀원의 포지션을 설정하는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팀 인원수는 본인을 포함하여 팀 인원수를 몇 명으로 할지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서 매칭되는 대상 사용자의 인원이 정해지게 된다.
플레이 스타일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즐거움부터 승리까지의 적정선을 설정할 수 있으며, 실시예의 적용에 따라서 직접적으로 수치를 입력받을 수도 있고, 단순하게 즐거움 또는 승리를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치 기반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10)가 데이터베이스(130) 내에 저장된 자체적인 검색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매칭되는 대상 사용자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210)은 정보처리수단이 내장되어 있는 디바이스라면 무엇이든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장치라면 무엇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S110 다음으로, 매칭 관리부(160)가 사용자를 매칭 조건과 함께 데이터베이스(130) 내 매칭 풀에 저장한다. (S13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100)가 매칭 풀을 형성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100)는 위와 같이 서버(100)에 접속하여 매칭을 요청하는 사용자들로부터 매칭 조건을 입력받고, 각각의 사용자들을 매칭 조건과 함께 매칭 풀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외에도 외부 사용자를 검색하여 매칭 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검색부(150)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외부 서버(200)를 크롤링하여, 매칭을 요청 중인 적어도 하나의 외부 사용자를 검색한다.
그리고, 매칭 관리부(160)가 검색부(150)에 의해 검색된 각각의 외부 사용자에 대하여 크롤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각의 외부 사용자에 대한 매칭 조건을 설정하고, 이를 매칭 풀에 저장한다.
이때, 게임 관련 외부 서버(200)는 공식카페 구인 게시판, 게임 커뮤니티 구인 게시판, 페이스북/디스코드와 같은 SNS, 그외 게임 관련 커뮤니티 게시판 등과 같이 게임과 관련된 외부 서버(200)라면 무엇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프로세서(110)는 매칭 관리부(160)를 제어하여, 크롤링된 데이터 즉 외부 사용자가 외부 서버(200)에 게시한 글을 분석하여 의미를 추출하고, 해당 외부 사용자가 원하는 매칭 조건을 도출한 후에 이를 외부 사용자의 매칭 조건으로 설정하여 매칭 풀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100)는 서버(100)에 접속한 사용자 이외에도 외부 사용자를 검색하여 매칭 풀에 저장함으로써, 더 많은 사용자를 기반으로 매칭 풀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S130 다음으로, 프로세서(110)는 매칭 풀 내 복수/다수의 사용자들의 매칭 조건을 매칭시키고,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210)로 적어도 하나의 매칭 대상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한다. (S150)
도 5는 프로세서(110)가 게임 스토어 플랫폼 API와 게임 서버(100)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도출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프로세서(110)가 매칭된 매칭 대상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210)로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10)는 도 6과 같이 매칭 풀을 검색하여 매칭된 대상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210)로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대상 사용자의 아이디, 게임 종류, 게임 등급, 전적, 승률, 소속팀(소속팀 이름, 소속 여부), 플레이 성향, 실력 지수, 그리고 매너 지수 등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단말(210)로부터 매칭 수락이 요청되면 사용자와 대상 사용자의 매칭을 연결하고, 단말(210)로부터 재검색이 요청되면 매칭을 종료시키고 재매칭을 실행시키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게임의 게임 스토어 플랫폼 API 및 게임 서버(100)의 API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하여 사용자의 플레이 성향, 실력 지수, 선호하는 대상 사용자의 플레이 성향 및 매너 지수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도출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30) 내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도 6과 같이 다른 사용자와 매칭될 경우 해당 사용자의 단말(210)로 제공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저별 매칭 히스토리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매칭된 게임이 진행되면 사용자의 매칭 히스토리를 저장하여 사용자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매칭 수락이 요청되면 사용자와 대상 사용자의 매칭을 연결하고, 사용자는 대상 사용자와 한 팀이 되어서 게임을 플레이 하게 된다.
도 7은 매칭 대상 사용자와의 게임이 종료된 후, 사용자 단말(210)로 매칭 대상 사용자의 후기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해당 게임이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210)로 대상 사용자의 후기 입력을 요청하게 되는데, 도 7과 같이 대상 사용자의 평점, 평가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해당 게임의 플레이 로그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플레이 성향 및 실력 지수를 업데이트 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단말(210)로부터 입력된 대상 사용자의 평가를 기반으로 대상 사용자의 매너 지수 및 선호하는 대상 사용자의 플레이 성향 중 적어도 하나를 업데이트 하게 된다.
최근 들어,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보급률 향상과 더불어 E-Sports의 발전으로 게임에 대한 관심도가 상승하고 있으며, 플레이 유저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게임을 플레이 하게 되면 본인과 실력 차이가 현저하게 차이나는 아군, 상대편과 함께 플레이를 하게 되는 경우 너무 쉬운 난이도로 게임의 재미가 반감되는 경우도 있고, 심지어는 너무 큰 실력 차이로 인하여 어려운 난이도가 형성되어, 플레이어 입장에서 재미가 반감되는 것은 물론 시간 낭비라는 느낌이 드는 경우까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내에서 본인의 실력, 플레이 성향과 비슷한 친구를 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 때문에, 실제 친구와 같이 게임을 플레이 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실제 친구의 경우에는 나와 게임 플레이 성향이 다르거나 실력의 차이가 심할 수 있기 때문에 정작 게임의 만족도를 높이는데는 큰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딥러닝으로 구축되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매칭 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들간의 매칭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매칭을 수락하여 게임을 수행한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되는 매칭 후기, 매칭 만족도 등에 대한 정보를 학습데이터로 구축하고, 이를 매칭 모델에 입력함으로써 매칭 모델을 학습시켜 딥러닝된 모델을 점차적으로 고도화시켜 매칭 정확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매칭 기능을 활용하게 되면,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되며 플레이어(사용자)가 한 게임을 진행하더라도 양질의 게임을 진행하여 게임을 함으로써 얻게 되는 만족감과 즐거움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100)는 매칭 조건으로 셀럽 매칭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셀럽은 유명 크리에이터, 은퇴 게이머 등과 같이 일정 수준 이상의 인지도, 실력을 보유하고 있는 유저가 해당될 수 있다.
특정 사용자의 경우에는 본인의 실력, 게임 플레이 스타일 등에 매칭되는 다른 플레이어와 게임하는 것 이외에도, 위와 같이 셀럽과 함께 플레이 하고 싶은 사용자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서버(100)는 해당 사용자가 셀럽과 함께 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데이터베이스(130)는 매칭 품질, 대응 속도 확보를 위해서 매칭 순환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매칭 순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사용자들간의 매칭을 진행하여 서버(100)가 과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들이 과도한 대기 현상을 겪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 추출이 어렵지 않고 게임 자체의 대기 시간이 길지 않은 게임의 경우에는 후순위로 매칭을 실행시키고, 매칭 추출이 다소 시간이 걸리고 게임 자체의 대기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리는 게임의 경우에는 선순쉬로 매칭을 진행하여 플레이어가 극심한 대기시간을 겪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100)의 과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발명의 실시자가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100)는 온라인 코칭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학생 또는 코치(선생)으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코치를 지원받게 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충분한 실력을 검증하기 위해서, 사용자 본인 실명으로 인증된 아이디 입력에 대한 요청이 있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검증 알고리즘을 실행시켜 해당 사용자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후에, 이를 통과한 경우에만 코치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특정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강의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의 실력 지수, 플레이 스타일, 주 캐릭터 등의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치를 추천해줄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서버(100)가 AI 게임 비서 모드, 게임 대회 접수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AI 게임 비서 모드가 실행되어, 사용자 단말(210)로 각종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공된 추천 정보보다 더 상세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해당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서 사용자의 플레이 내역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게임 내용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있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단말(210)로부터 게임 비서 모드가 요청되면, AI 게임 비서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게임이 매칭되면 사용자의 캐릭터와 상대편의 캐릭터를 분석하여 추천 전략, 주의 사항, 캐릭터 셋팅, 아이템 빌드 및 스킬 트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도출하여 사용자 단말(210)로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10)는 아군의 조합, 상대편의 조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상대편의 캐릭터 중에서 특별히 조심해야 할 스킬, 상황을 주의 사항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캐릭터가 특정 상황에 취약한 캐릭터인데, 상대편의 캐릭터 중에서 이러한 특정 상황을 노리고 공격을 하는데 특화된 캐릭터가 있다면, 이에 대하여 주의해서 플레이 하라는 추천 정보를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롤(게임 종류)을 예시로 하면 아군의 조합이 포킹, 중후반 한타에 유리한 경우에는 이러한 전략을 추천하여 제공해줄 수 있다.
도 9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도 있으며, 사용자 캐릭터의 시작 아이템을 추천하여 제공해줄 수도 있고, 스킬 트리를 추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프로세서(110)는 단말(210)로부터 전체 아이템 빌드에 대한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해당 게임을 플레이 하는 동안에 추천되는 전체 아이템 빌드를 도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롤을 위주로 하여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추천 정보의 경우 게임의 종류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발명의 실시자가 적용 대상 게임에 따라서 용이하게 추천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도 10과 같이 매칭된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서 획득되는 사용자의 플레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수를 평가하여, 단말(210)로 평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각각의 지수에 대하여 평가된 결과가 어느정도 실력의 수준인지 평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수의 평가 결과가 해당 게임에서 어느 정도의 등급에 해당된다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210)로 제공된 평가 정보를 참고하여, 본인이 부족한 지수를 높이도록 노력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사용자의 실력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평가된 적어도 하나의 지수를 기반으로 기 제공되었던 추천 정보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제 플레이 상황에 적합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게임 매칭 큐가 잡힌 이후에 게임이 시작되기 전 대기실에서 게임 시작을 기다리는 상황에서 추천 정보를 제공받았지만, 실제로 게임이 진행된 이후에는 다양한 상황으로 인하여 추천 정보를 그대로 따라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프로세서(110)는 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실제 플레이 상황에 맞게 추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계속하여 추천 정보를 활용하여 게임 플레이에 도움을 얻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대회 주최자의 메뉴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대회 참가 프로세서(110)의 기획안을 예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게임 대회 일정에 따라서 게임 대회 접수 기능을 활성화한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대회 참가 신청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대회 참가 자격을 검증한 뒤 참가하고자 하는 팀을 입력받거나 신규 팀 생성을 입력받는다.
프로세서(110)는 단말(210)로부터 참가하고자 하는 팀을 입력받는 경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당 팀에 참가 자격이 있는지 검증을 수행하고, 해당 팀의 참가 자격이 있는 경우 참가 신청을 진행하여 해당 팀의 팀장이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수락 또는 거절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신규 팀을 생성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팀장으로부터 해당 팀의 팀원 지원 자격 조건을 입력받게 되며, 서버(100)는 이를 저장하고 특정 사용자가 해당 팀에 지원을 요청하는 경우 자격 조건을 검증하게 된다.
이때, 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 실력 지수, 매너 지수, 주 캐릭터, 주 포지션 보이스톡 플레이 여부 등과 같이 게임의 플레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라면 무엇이든 적용이 가능하므로, 발명의 실시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신규 팀 생성을 입력받는 경우, 함께 참여할 팀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팀원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각 팀원의 대회 참가 자격이 검증되면 신규 팀 생성을 완료하여 대화 참가 신청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대회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각 팀이 최소 팀원수를 확보하여야 대회의 경기가 진행될 수 있으므로, 최소 팀원수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충분한 팀원을 보유한 상태에서 신규 팀을 생성한 경우에는 추가 팀원의 모집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충분한 팀원을 보유하지 못한 신규 팀의 경우에는 공개 모집을 통해서 팀원을 모집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대회에 참여하기 위한 팀 검색 기능 및 팀원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10)는 팀 검색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입 신청 정보를 검색하여 가입 가능한 팀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210)로 제공한다.
프로세서(110)는 팀원 검색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입력된 팀원 모집 정보를 검색하여, 초대 가능한 팀원을 추출하여 단말(210)로 제공하며, 팀원 모집 정보를 기반으로 팀원 모집글을 생성하여 게시판에 게시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팀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팀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시스템
100: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입력부
150: 검색부
160: 매칭 관리부
200: 외부 서버
210: 단말

Claims (10)

  1.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게임 종류, 게임 유형, 포지션, 매칭 상대의 포지션, 팀 인원수 및 플레이 스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매칭 조건을 입력받는 입력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외부 서버를 크롤링하여, 매칭을 요청 중인 적어도 하나의 외부 사용자를 검색하는 검색부;
    사용자를 매칭 조건과 함께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 매칭 풀에 저장하고, 상기 검색된 각각의 외부 사용자에 대하여 크롤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매칭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매칭 풀에 저장하는 매칭 관리부; 및
    상기 매칭 풀 내 복수의 사용자들의 매칭 조건을 매칭시키고,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매칭 대상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게임의 게임 스토어 플랫폼 API 및 게임 서버 API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하여 사용자의 플레이 성향, 실력 지수, 선호하는 대상 사용자의 플레이 성향 및 매너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매칭 대상 사용자의 플레이 성향, 실력 지수 및 매너 지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 매칭 수락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대상 사용자의 매칭을 연결하고,
    상기 단말로 재검색이 요청되면, 상기 매칭을 종료시키고 재매칭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칭이 연결되어 해당 게임이 종료된 후,
    해당 게임의 플레이 로그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플레이 성향 및 실력 지수를 업데이트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상 사용자의 평가를 기반으로 대상 사용자의 매너 지수 및 선호하는 대상 사용자의 플레이 성향 중 적어도 하나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로 게임 비서 모드가 요청되면 AI 게임 비서를 실행시키고,
    사용자의 게임이 매칭되면, 사용자의 캐릭터와 상대편 캐릭터를 분석하여 추천 전략, 주의 사항, 캐릭터 셋팅, 아이템 빌드 및 스킬 트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칭된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서 획득되는 사용자의 플레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수를 평가하여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평가된 적어도 하나의 지수를 기반으로 상기 추천 정보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사용자의 플레이 상황에 부합하는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게임 대회 일정에 따라서 대회 접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회 참가 신청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대회 참가 자격을 검증한 뒤, 참가하고자 하는 팀을 입력받거나 신규 팀 생성을 입력받으며,
    신규 팀 생성을 입력받는 경우 함께 참여할 팀원이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팀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각 팀원의 대회 참가 자격이 검증되면, 대회 참가 신청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회에 참여하기 위한 팀 검색 기능 및 팀원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팀 검색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입 신청 정보를 검색하여, 가입 가능한 팀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팀원 검색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팀원 모집 정보를 검색하여, 초대 가능한 팀원을 추출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팀원 모집 정보를 기반으로 팀원 모집글을 생성하여 게시판에 게시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팀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9.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사용자로부터 게임 종류, 게임 유형, 포지션, 매칭 상대의 포지션, 팀 인원수 및 플레이 스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매칭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를 매칭 조건과 함께 데이터베이스 내 매칭 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 풀 내 복수의 사용자들의 매칭 조건을 매칭시키고,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매칭 대상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외부 서버를 크롤링하여, 매칭을 요청 중인 적어도 하나의 외부 사용자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각각의 외부 사용자에 대하여 크롤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외부 사용자의 매칭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매칭 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방법.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9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200153360A 2020-11-17 2020-11-17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20067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360A KR20220067074A (ko) 2020-11-17 2020-11-17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360A KR20220067074A (ko) 2020-11-17 2020-11-17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074A true KR20220067074A (ko) 2022-05-24

Family

ID=81806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360A KR20220067074A (ko) 2020-11-17 2020-11-17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70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616A (ko) 2019-04-16 2020-10-26 넷마블 주식회사 게임 환경 변경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616A (ko) 2019-04-16 2020-10-26 넷마블 주식회사 게임 환경 변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Master maker: Understanding gaming skill through practice and habit from gameplay behavior
KR100994613B1 (ko) 플레이 스타일 정보를 사용하는 온라인 게임 매치메이킹 방법
US8393903B1 (en) Virtual world aptitude and interest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KR20010030060A (ko) 게임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통신방법
US201902245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and managing event-based games on a mobile device
JP2021112592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2020156934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処理方法、及びゲーム装置
KR20090002789A (ko) 인터넷 대전 게임을 이용한 언어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67074A (ko) 사용자 맞춤형 게임 환경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JP2020157068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処理方法、及びゲーム装置
KR101416340B1 (ko) 학습용 보드게임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학습용 보드게임 시스템 및 그 보드게임 방법
KR102342778B1 (ko) 사용자 별 개인화된 아바타를 제공하는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107949A (ko) 온톨로지를 이용한 지식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6345A (ko) 대량의 연속되는 다지선다를 이용한 어휘학습 게임 시스템과 그 방법
Chen et al. Challenging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multiopponent and multimovement prediction for the card game Big2
JP2003038855A (ja)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ゲームプログラム
JP5664130B2 (ja)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提供サーバ
KR20140056773A (ko) 온라인 단어게임 서비스 방법과 그 게임시스템
JP2019217215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158771B1 (ja) 競技における賭けを支援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633350B1 (ko) 게임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6774111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処理方法、及びゲーム装置
KR20160004986A (ko) 매칭 기반의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KR100603033B1 (ko) 단어학습 게임 시스템 및 그 게임 방법
Even Proposal of a Protocol and a Computer Tool for Assessing the Believability of Virtual Players in Multiplayer Video G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