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437A - 실외용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실외용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437A
KR20220065437A KR1020200151955A KR20200151955A KR20220065437A KR 20220065437 A KR20220065437 A KR 20220065437A KR 1020200151955 A KR1020200151955 A KR 1020200151955A KR 20200151955 A KR20200151955 A KR 20200151955A KR 20220065437 A KR20220065437 A KR 20220065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unit
present
gas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에코인토트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이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인토트,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이종철 filed Critical (주)에코인토트
Priority to KR1020200151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5437A/ko
Publication of KR2022006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distance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16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며 살균 용액의 분사 및 분사거리를 조절하고, 살균 용액의 역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실외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살균 용액의 분사량 및 분사거리의 정확한 조절이 가능하고, 용이하게 살균장치의 구성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무선으로 살균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실외용 살균장치{OUTDOOR FLUGUN}
본 발명은 실외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며 살균 용액의 분사 및 분사거리를 조절하고, 살균 용액의 역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실외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살균 용액에 압력을 가하여 넓은 면적으로 살포되도록 하는 살균장치는 작동방식, 용도,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즉, 가정용, 농업용, 산업용 등의 용도와 분무 대상에 따라서 무상(霧狀) 또는 입상(粒狀)으로 분무되는 입자의 크기, 형태, 분무면적 등이 다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형태의 살균장치 제공이 요구되는 것이다.
특히, 방역이나 살균을 위한 살균장치의 경우에는 상균 용액이 보다 넓은 면적에 고르게 살포되도록 하는 것이 방역 효과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가 수십~수백 ㎛ 이내로 분무되는 살균장치들이 선호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방역, 소독 등에 주로 사용되는 살균장치는 흔히 약액 분사장치, 방역기, 살균소독기 등의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와 같이 방역 또는 살균에 주로 사용되는 살균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들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53188호(약액 분사장치),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공보 제10-1185064호(약액 미세분사노즐) 등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53188호(2012. 06. 18.)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85064호(2012. 09. 21.)
본 발명의 과제는 살균 용액의 분사량 및 분사거리의 정확한 조절이 가능하고, 용이하게 살균장치의 구성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무선으로 살균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액저장부, 몸체부, 노즐부를 포함하고, 몸체부는 모터부, 모터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모터부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되는 팬부 및 팬부에 의해 생성된 기체가 이동하는 기체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이 용이한 실외용 살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사량 및 분사거리의 정확한 조절이 가능한 실외용 살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사거리 및 분사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체의 이동에 따른 일 실시예의 노즐부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가 추가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도면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므로,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는 용액저장부(100), 몸체부(200), 노즐부(300) 및 음이온 발생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용액저장부(100)는 살균 용액을 저장 및 보관하는 구성으로 마개부(110)를 통해 밀폐되어 살균 용액이 저장 및 보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마개부(110)는 용액저장부(100)의 후단 측에 구비되어 살포, 분무하고자 하는 용액을 마개부(110)가 위치된 투입부를 통해 투입할 수 있다. 용액저장부(100)로 살균 용액의 투입이 완료되면, 마개부(110)를 통해 용액저장부(100)를 밀폐시켜 살균 용액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몸체부(200)는 모터부(210), 모터부(210)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되는 팬부(220) 및 팬부(220)에 의해 생성된 기체가 이동하는 기체이동부(230), 모터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240) 및 용액저장부(100)와 일단이 연결되어 용액을 노즐부(300)로 이동시키는 용액이동부(25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모터부(210)는 배터리부(240)의 전력 공급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종래의 모터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팬부(220)는 모터부(210)의 회전축에 중심이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 팬부(220)의 일방향 회전 운동에 의해 외부 기체의 흐름을 후측 방향에서 노즐부(300)가 위치된 전측 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팬부(220)에 의해 노즐부(300)방향으로 이동되는 기체는 폐쇄된 관 형상의 기체이동부(23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풍력 조절부를 구비하여, 모터부(2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팬부(220)의 회전 속도를 함께 제어하여 풍력 및 풍속을 제어할 수 있다.
용액이동부(250)는 용액저장부(100)와 일단이 연결되어 타단이 노즐부(300)와 연결되도록 기체이동부(230)의 중심을 통과하는 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관 형상으로 구비되되 단단한 형태의 관 형상일 수도 있으나, 유연한 형상의 관 형상일 수도 있다. 용액이동부(250)의 타단 및 기체이동부(230)의 타단은 노즐부(300)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노즐부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를 분해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유체의 이동에 따른 일 실시예의 노즐부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300)는 노즐캡(310), 날개부(320), 용액분사캡(330), 스프링부(340), 유압밀폐부(350), 패킹부(360), 용액이동관(370), 연결캡(380)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노즐부(300)는 몸체부(200)의 타단에 연결캡(38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캡(380)은 일측 내주면에 나사골이 형성되어 몸체부(200)와 나사 운동에 의한 회전 결합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나사골 없이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연결캡(380)은 용액이동관(370)이 결합되어 용액이동부(250)로부터 전달된 용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중심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액이동관(370)이 결합되는 개구된 중심 주변으로 기체이동부(230)로부터 전달되는 기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기체 통로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캡(380)의 외주면에는 노즐캡(31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연결캡(380)의 외주면에 노즐캡(310)의 일단 내주면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노즐캡(310)은 타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노즐캡(310)의 내주면은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형상이 구비되어 기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날개부(320)는 노즐캡(310)의 내측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일단이 연결캡(38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 날개부(320)가 연결캡(380)에 결합된 용액이동관(37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기체이동부(230)로부터 전달된 기체가 연결캡(380)을 통과하여 날개부(320)의 외주면을 따라 전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날개부(320)는 상측에 외주면을 따라 회오리 형상으로 휘어진 날개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날개부(320)를 따라 기체가 이동 시 날개부(320)의 휘어진 형상을 따라 기체가 회전 이동함으로써 보다 빠른 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320)의 상측 중심은 용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미세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용액이 이동되는 구성 및 원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용액이동관(3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캡(380)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용액이동관(370)의 일단에 용액이동부(250)의 타단이 연결되어, 용액저장부(100)로부터 이동되는 용액이 용액이동관(370)을 통해 전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용액이동관(370)을 통해 용액이 이동되면 이동되는 용액의 압력에 의해 유압밀폐부(350)를 밀어낼 수 있다. 유압밀폐부(350)는 스프링부(340)의 복원력에 의해 도 4의 <A>와 같이 용액이동관(370)을 밀폐하고 있다가 용액이 이동됨에 따라 도 4의 <B>와 같이 용액의 압력으로 스프링부(340)가 수축하며 유압밀폐부(350)가 전면으로 이동되어 개방되고, 유압밀폐부(350)의 날개 사이로 용액이 이동될 수 있다. 이동된 용액은 용액분사캡(330)의 전면부에 하나 이상 개구된 분사공을 따라 전면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으며, 용액분사캡(330)을 통과한 용액은 날개부(320)의 전면부에 구비된 분사공을 따라서 전면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용액의 분사와 함께 날개부(32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된 기체가 함께 분사됨으로써 용액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분사하고, 용액의 분사 속력 및 분사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날개부(320)와 용액이동관(370)이 서로 접하는 단턱이 형성된 일측에 패킹부(360)가 더 구비되어 두 구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400)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노즐부(300)가 연결되는 몸체부(200)의 타단 측에 음이온 발생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음이온 발생부(400)는 몸체부(200)의 타단측 입구에 구비되되, 용액이동부(250)의 외주면에 음이온 발생부(400)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몸체부에서 이동되는 기체가 노즐부(300) 방향으로 이동 시, 음이온 발생부(400)를 통과하여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도 7을 참조하면, 음이온 발생부(400)는 단면에 복수의 셀(410)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셀(410)의 형상은 도 7과 같이 골판지가 감아진 형상으로 물결 형상의 원형이 복수개 둘레를 이루는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물결 모양의 주름을 이루는 코러게이트(corrugate)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음이온 발생부(400)의 단면이 복수의 셀(410)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몸체부(200) 내측에서 기체가 노즐부(300)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음이온 발생부(400)의 복수의 셀(410)을 통과하게 되며, 면적이 좁아지는 복수의 셀(410)을 통과함에 따라 기체의 유속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음이온 발생부(400)는 백금을 포함하는 촉매가 코팅된 필터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백금 등의 촉매를 코팅하여 음이온 발생부(400)가 형성됨으로써 기체가 관통됨에 따라 소음이 저감되고, 음전하가 발생됨으로써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가 추가된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가 추가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몸체부(200)와 노즐부(300)가 연결되는 구성 사이에 기체의 샘 및 유체의 샘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실링부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실링부는 용액이 이동되는 용액이동부(250)와 용액이동관(370) 사이에 제1 실링부(5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부(200) 타단의 음이온 발생부(400)가 구비되는 타단측 외주면에 제2 실링부(520)가 구비되며, 연결캡(380)의 일단측 외주면에 제3 실링부(530)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실링부는 기체 또는 살균용액이 새는 것을 막기 위한 구성으로, 유연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고무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링부(510), 제2 실링부(520) 및 제3 실링부(530)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링부는 기체 또는 용액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여러 구성들의 이음부에 추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체가 관통되는 통로에 음이온 발생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음이온 발생부(400)는 일 실시예의 음이온 발생부(400)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음이온 발생부(400)와 또 다른 실시예의 음이온 발생부(400)는 구비되는 위치만 다를 뿐 구조 및 역할 목적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로 설명한다. 상세하게,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탭(380)의 기체가 이동되는 통로에 음이온 발생부(4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음이온 발생부(400)는 백금을 포함하는 촉매가 코팅된 필터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백금 등의 촉매를 코팅하여 음이온 발생부(400)가 형성됨으로써 기체가 관통될 때 소음이 저감되고, 음전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음이온 발생부(400)와 별개로 기체가 통과되는 노즐캡(310)의 내주면 및 날개부(320)의 외주면에 백금 등의 촉매가 코팅됨으로써 기체의 분산에 의한 소음 저감 및 음전하 발생의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날개부(320)의 상측 중심 용액이 분사되는 미세공에는 별도의 필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용액이 이동되어 분사되는 미세공에 필터부가 구비됨으로써 용액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서 최종 분사되는 살균 용액의 불순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살균 용액이 분사되도록 기체가 이동되는 통로 중 어느 한 곳에 필터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200)와 노즐부(300) 사이에 길이확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길이확장부는 용액 및 기체가 각각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별도 구비하여 몸체부(200)와 노즐부(300)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노즐부(300)의 길이가 전면 방향으로 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도록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부(300)에 용액 분사량 조절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분사량 조절장치는 용액이 이동되는 통로 또는 기체가 이동되는 통로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용액이 이동되는 통로에 구비되는 경우 용액이 이동되는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통과되는 용액의 양을 조절 가능한 구성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체가 이동되는 통로에 구비되는 경우, 기체의 분사 세기를 조절하여 용액이 분사되는 거리 및 분사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절되는 분사량은 상세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으로 1단 또는 2단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모터 회전수에 따라 단수가 조절될 수 있다.
종래의 살균 조절장치에 따르면, 유선으로 연결되어 분사가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며 선에 의해 이동 반경이 제한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밞여의 살균 조절장치는 무선으로 충전된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는 방식으로 휴대가 용이하며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하여 거리 제한 없이 분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용액저장부(100), 몸체부(200), 노즐부(300) 및 음이온 발생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
KR1020200151955A 2020-11-13 2020-11-13 실외용 살균장치 KR20220065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955A KR20220065437A (ko) 2020-11-13 2020-11-13 실외용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955A KR20220065437A (ko) 2020-11-13 2020-11-13 실외용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437A true KR20220065437A (ko) 2022-05-20

Family

ID=8180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955A KR20220065437A (ko) 2020-11-13 2020-11-13 실외용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543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188B1 (ko) 2010-04-06 2012-06-18 홍기술 약액 분사장치
KR101185064B1 (ko) 2011-04-21 2012-09-21 홍기술 약액 미세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188B1 (ko) 2010-04-06 2012-06-18 홍기술 약액 분사장치
KR101185064B1 (ko) 2011-04-21 2012-09-21 홍기술 약액 미세분사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6477B1 (en) Mouthpiece assembly,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same
JP5631052B2 (ja) 貯蔵容器およびその貯蔵容器の使用
KR102215252B1 (ko)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CN106170347B (zh) 涂布装置
US8256464B2 (en) Check valve flap for fluid injector
US20070138318A1 (en) Discharge/Vent Module for Power Sprayer
BRPI0619659A2 (pt) conjunto de válvula unilateral de vedação contìnua, sistema para dispensar uma substáncia fluìda e sistema de liberação
ES2632140T3 (es) Dispositivo de pulverización para pulverizar un producto líquido sobre una banda de papel
BR112017021784B1 (pt) Dispositivo de inalação e conjunto de dispositivo de inalação
KR20220065437A (ko) 실외용 살균장치
BR112020023851A2 (pt) Aparelho para desinfetar pelo menos um ambiente, em particular, espaço de habitação para pessoas por meio de atomizador
EP2992967B1 (en) Medicament dispenser
US20170000920A1 (en) System for releasing volatile substances
KR20230158777A (ko) 실외용 살균장치
JP2007111394A (ja) 精油噴霧装置
KR20200074923A (ko) 농업용 회전분사기의 누수방지장치
WO2024000745A1 (zh) 一种出烟圈状水雾的加湿器
KR101984300B1 (ko) 약액분무장치
KR102493428B1 (ko)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US20220096689A1 (en) Portabl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space
KR102350106B1 (ko)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
CN214049854U (zh) 一种智能雾化消毒器
JP6604627B2 (ja) 微粒化した液体の放出装置
JP5137253B2 (ja) 送風式の薬剤放散装置
MX2020007615A (es) Amortiguador de a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