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252B1 -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 Google Patents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252B1
KR102215252B1 KR1020190102053A KR20190102053A KR102215252B1 KR 102215252 B1 KR102215252 B1 KR 102215252B1 KR 1020190102053 A KR1020190102053 A KR 1020190102053A KR 20190102053 A KR20190102053 A KR 20190102053A KR 102215252 B1 KR102215252 B1 KR 102215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hemical liquid
neck
valve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Priority to KR102019010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7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deflector acting as a valve in co-operation with the outlet orif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81Apparatus supplied with low pressure gas, e.g. "hvlp"-guns; air supplied by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05B7/0441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 one inner conduit of liquid surrounded by an external conduit of gas upstream the mixing chamber
    • B05B7/046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 one inner conduit of liquid surrounded by an external conduit of gas upstream the mixing chamber with means for deflecting the central liquid flow towards the peripheral gas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64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a liquid being fed by mechanical pumping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16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B05B7/2418Air pumps actuated by the operator, e.g. manually actua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송풍식 분무기의 구성에 대하여 개시한다. 송풍식 분무기는 내부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넥이 전방측에 형성되는 본체;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약액통; 전방을 향할수록 내부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원통의 형태로 형성되며 넥의 안쪽에 설치되는 송풍 가이드; 구동모터와 송풍팬이 일체로 조립되어 송풍 가이드의 후측에 고정장착되는 송풍모듈; 내부 도중에 최소직경부가 형성된 벤튜리관 구조로 이루어지며 본체의 넥에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 캡; 노즐 캡의 회전의 동작에 의해 본체의 넥 내측에서 노즐 헤드가 전후진 동작이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넥 내측에 설치되며, 노즐 헤드의 중심부에는 파이프 형태의 노즐이 형성되되 노즐 헤드와 노즐은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리브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 노즐체; 및 송풍 가이드에 고정 설치되며, 후방에는 약액통과 연결된 약액공급관의 일단이 접속되고, 전방은 노즐의 후방측에 접속되어 노즐체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약액공급관을 통해 흐르는 약액이 노즐로 흐르는 것은 연결 또는 차단하는 노즐 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Air pressurized sprayer having hetrogenious valves}
이 발명은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전방에 설치된 노즐 캡을 사용자가 회전 작동시키는 동작으로 분무의 개폐작동 및 분무량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에서 노즐체 내부에 설치된 노즐 밸브가 동시에 동작되어 분무의 개폐작동 및 분무량 조정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에 압력을 가하여 넓은 면적으로 살포되도록 하는 분무기는 작동방식, 용도,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즉, 가정용, 농업용, 산업용 등의 용도와 분무 대상에 따라서 무상(霧狀) 또는 입상(粒狀)으로 분무되는 입자의 크기, 형태, 분무면적 등이 다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형태의 분무기의 제공이 요구되는 것이다. 한편, 방역이나 살균을 위한 분무기의 경우에는 약액이 보다 넓은 면적에 고르게 살포되도록 하는 것이 방역 효과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가 수십 ~ 수백 ㎛ 이내로 분무되는 분무기들이 선호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역, 소독 등에 주로 사용되는 분무기는 흔히 약액분무기, 방역기, 살균소독기 등의 명칭으로도 불리기도 한다. 이와 같이 방역 또는 살균에 주로 사용되는 분무기 및 분무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들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53188호(약액 분사장치),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85064호(약액 미세분사노즐),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079206호(약액분사노즐의 와류형성구) 및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692347호(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등이 있다.
도1은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692347호에 개시된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송풍식 분무기(10)는 이 출원의 발명자와 출원인에 의해서 발명 및 등록된 것으로, 본체(20) 내부에 설치된 송풍 모듈(30)이 동작하면서 본체(20) 내부에 발생하게 되는 공기가 본체(20) 전방에 형성된 넥(22) 부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공기압의 차이에 의해서 약액통(40) 내의 약액이 노즐(50)까지 끌어올려지고 노즐(50)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대적으로 좁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진 본체(20)의 넥(22) 부분을 통과하는 강한 송풍 압력에 의해서 약액이 미립화되어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구동모터(32)와 송풍팬(34)으로 구성된 송풍 모듈(30)이 작동하게 되면, 본체(20) 내부의 공기는 넥(22)을 통해 강하게 외부로 배출이 된다.
도1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10)가 작동되는 원리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노즐 캡(60)을 돌리게 되면 노즐 캡(60)의 회전방향에 따라 그 내측에 조립되어 있는 노즐 헤드(52)가 동작하게 되면서 리브(54)를 통해 일체로 구성된 노즐(50)이 전진 또는 후진 작동을 하게 되면서 노즐 캡(60)의 내측에 형성된 최소직경부(62)와 노즐(50)의 선단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게 된다. 즉, 노즐 캡(60)의 최소직경부(62)와 노즐(50)의 선단 사이의 간격이 가장 가까울 때에는 송풍공기가 본체(20) 내측에서 넥(22)을 통과하는 외부로 배출되는 단면적이 가장 작게 되는 반면에 노즐 캡(60)의 최소직경부(62)와 노즐(50)의 선단 사이의 간격이 점차 멀어지게 되면 될수록 송풍공기가 본체(20) 내측에서 넥(22)을 통과하는 외부로 배출되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노즐 캡(60)의 최소직경부(62)와 노즐(50)의 선단 사이의 간격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가까워져 노즐 캡(60)의 최소직경부(62) 주변에서 발생하는 압력의 차이가 약액통(40) 내의 약액을 끌어올릴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이 되면, 그 압력이 노즐(50)과 약액공급관(70)을 통해 약액통(40)으로 전달되어 약액의 펌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렇게 펌핑된 약액이 노즐(50)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노즐 캡(60) 내부를 통과하는 송풍공기에 의해서 약액은 미립화되어 분무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송풍식 분문기(10)를 사용하여 약액을 분무하는 과정에서 약액의 분무를 차단하기 위해서 분무 캡(60)을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더라도 본체(20) 내부 또는 노즐 캡(60) 내부에 발생되었던 공기압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약액이 분무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즉, 전술한 송풍식 분무기(10)를 사용하여 방역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약액의 분무를 일시적으로 또는 급하게 정지해야 하는 상황에서 스위치(80)는 오프(OFF) 되었더라도 이미 발생된 압력의 차이에 의해서 일정수준의 약액은 분무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53188호(2012.06.18.)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85064호(2012.09.2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079206호(2011.11.03.)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692347호(2017.01.03.)
이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이 된 것으로, 본체 전방에 설치된 노즐 캡을 사용자가 회전 작동시키는 동작으로 분무의 개폐작동 및 분무량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에서 노즐체 내부에 설치된 노즐 밸브가 동시에 동작되어 분무의 개폐작동 및 분무량 조정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는 내부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넥이 전방측에 형성되는 본체;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약액통; 전방을 향할수록 내부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원통의 형태로 형성되며 넥의 안쪽에 설치되는 송풍 가이드; 구동모터와 송풍팬이 일체로 조립되어 송풍 가이드의 후측에 고정장착되는 송풍모듈; 내부 도중에 최소직경부가 형성된 벤튜리관 구조로 이루어지며 본체의 넥에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 캡; 노즐 캡의 회전의 동작에 의해 본체의 넥 내측에서 노즐 헤드가 전후진 동작이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넥 내측에 설치되며, 노즐 헤드의 중심부에는 파이프 형태의 노즐이 형성되되 노즐 헤드와 노즐은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리브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 노즐체; 및 송풍 가이드에 고정 설치되며, 후방에는 약액통과 연결된 약액공급관의 일단이 접속되고, 전방은 노즐의 후방측에 접속되어 노즐체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약액공급관을 통해 흐르는 약액이 노즐로 흐르는 것은 연결 또는 차단하는 노즐 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에서 노즐 밸브는 길이방향으로 길고 전방이 막힌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밸브체; 송풍 가이드에 밸브체가 고정조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밸브체의 후방 외주에 형성되는 환상의 조립돌기; 및 밸브체의 전방 외주연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밸브 홀;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에서 노즐체의 노즐 후방에는 노즐 밸브를 수용하는 밸브조립부가 노즐과 일체로 형성되되 노즐 밸브의 전단에 대응하는 밸브조립부의 내측에는 밸브 시트가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에서 본체의 하부측에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가 마련되고, 배터리 장착부의 전방에는 배터리 커버가 조립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본체 전방에 설치된 노즐 캡을 회전시켜 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약액의 량을 완전히 차단하고자 할때에 신속하게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무의 개폐작동 및 분무량 조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송풍 모듈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집중적으로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송풍 가이드가 설치됨으로써 분무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를 통해 분무가 이루어지는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가 OFF 작동되는 과정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기 완전히 OFF 작동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무기의 구성 및 작동 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3 내지 도5는 이 발명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에서 분무의 개시와 차단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를 지시하는 것이다.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100)는 본체(110)의 일측에 약액통(200)이 조립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체(11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132)와 구동모터(132)의 구동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134)이 설치된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132)와 송풍팬(134)은 하나의 몸체로 결합된 송풍 모듈(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132) 및 송풍팬(134)이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본체(110)의 내부에는 송풍 가이드(120)가 고정 설치된다. 송풍 가이드(120)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후방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점차 내부 단면적이 감소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 전방에는 후설할 노즐 밸브(160)가 고정설치되는 밸브 고정부(122)가 형성되고, 밸브 고정부(122)의 외측에는 송풍 공기가 통과되기 위한 통공(124)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전방 구간은 전술한 송풍모듈(130)이 구동되어 송풍팬(134)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본체(110)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송풍압력이 점차 높아질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병목(bottle neck) 구조의 넥(112)이 형성된다. 즉, 본체(110)의 전방 구간은 내부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넥(112)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넥(112)의 내측 구간에는 후설할 노즐 캡(140) 및 노즐체(150)가 설치되되 노즐 캡(140) 및 노즐체(150)가 본체(110)로부터 스스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넥(112)의 내측에는 노즐 캡 조립부(112a) 및 노즐체 조립부(112b)가 형성된다.
한편, 본체(110) 상에는 송풍 모듈(130)의 구동시에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유입구(116)가 형성된다.
전술한 노즐 캡(140) 및 노즐체(150)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노즐 캡(140)이 제자리에서 회전 작동할 경우에 노즐체(150)가 전후진 작동하고 노즐 캡(140)와 노즐체(150)는 상호 나사결합이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노즐체(150)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노즐 캡(140)의 회전 작동에 따라 본체(110)의 넥(112) 내측에서 전후진 작동이 되는 노즐 헤드(150), 노즐 헤드(152)와는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배치된 리브(154)를 통해 일체로 형성된 노즐(156)로 구성된다. 노즐(156)은 노즐 헤드(152)에 비하여 전방으로 길게 돌출되고, 그 후방에는 후설할 노즐 밸브(160)가 조립되기 위한 밸브조립부(158)가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 밸브(160)의 전단에 대응하는 밸브조립부(158)의 내측에는 밸브 시트(158a)가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다.
전술한 노즐 밸브(160)는 길이방향으로 길고 전방이 막힌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밸브체(162), 밸브 고정부(122)에 밸브체(162)가 고정조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밸브체(162)의 후방 외주에 형성되는 환상의 조립돌기(164) 및 밸브체(162)의 전방 외주연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밸브 홀(16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노즐 밸브(160)의 후방에는 약액통과 연결된 약액공급관(170)의 일단이 접속되고, 그 전방은 노즐(156)의 후방측에 접속되어 노즐체(150)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약액공급관(170)을 통해 흐르는 약액이 노즐(156)로 흐르는 것은 연결 또는 차단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도2에 표시된 도면부호 180은 송풍모듈(13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식 배터리이다. 배터리(180)의 설치를 위해서 본체(110)의 하부측에는 배터리 장착부(182)가 마련되고, 배터리 장착부(182)의 전방에는 배터리 커버(184)가 조립 설치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190은 사용자의 온/오프 작동에 따라서 배터리(180)의 전원이 송풍모듈(130)로 공급되거나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 모듈이다.
도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100)를 통해 분무가 이루`어지는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가 OFF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기 완전히 OFF 작동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노즐 캡(140)을 회전시켜 노즐 캡(140)의 내측에 형성된 최소직경부(142)에 노즐(156)의 선단이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송풍모듈(130)을 작동시키게 되면 송풍공기는 본체(110) 내부측에서 넥(112)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된다. 이 과정에서 노즐 캡(140)의 최소직경부 부분에서는 스월이 발생하게 되면서 압력의 노즐 내부와 압력의 차이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 압력의 차이에 의해서 약액통(200) 내부의 약액은 약액공급관(170)을 따라서 노즐(156)로 펌핑이 된다. 이렇게 노즐(156)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약액은 송풍공기의 강한 압력에 의해서 미립화되어 외부로 분무가 된다.
한편,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노즐 캡(140)을 회전시켜 노즐(156)의 선단이 일정 부분 후진하여 노즐 캡(140)의 최소직경부(142) 주변에서 발생하는 압력의 차이가 약액통(200) 내부의 약액을 강하게 펌핑하지는 못하더라도 어느 정도는 전달되는 경우라면, 약액공급관(170) 내부에 잔류하던 약액은 조금씩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노즐 캡(140)을 더 회전시켜 노즐(156)이 더 이상 후진 작동이 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하면, 노즐 밸브(160)의 선단과 밸브조립부(158)에 마련된 밸브 시트(158a)가 밀착되면서 유로를 완전히 차단하게 됨으로써 약액공급관(170)에 약액이 잔류하고 노즐 캡(140) 내부에 압력의 차이가 존재한 상태더라도 노즐(156)로 약액이 흐르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위치 모듈(190)을 오프 동작시켜 송풍모듈(130)로 전해지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더라도 넥(112)의 내측에 존재하는 일정 수준의 압력 차이에 의해서 약액은 흐를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노즐 캡(140)을 완전히 오프 시키는 상태까지 회전시키게 되면 약액은 분무는 완전하게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풍식 분무기(100)는 약액공급관(170)이 연결되는 노즐체(150) 내측에 노즐 밸브(160)을 둠으로써 기존의 송풍식 분무기에서 발생하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송풍 가이드(120)가 본체(110)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송풍 모듈(130)의 작동에 의해서 송풍되는 송풍공기는 넥(112) 쪽으로 보다 집중적으로 제공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분무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에 따른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00 : 송풍식 분무기 110 : 본체
112 : 넥 120 : 송풍 가이드
130 : 송풍 모듈 140 : 분무 캡
150 : 노즐체 152 : 노즐 헤드
156 : 노즐 160 : 노즐 밸브
170 : 약액공급관 180 : 배터리
182 : 배터리 장착부 184 : 배터리 커버
190 : 스위치 모듈 200 : 약액통

Claims (4)

  1. 내부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넥이 전방측에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약액통, 전방을 향할수록 내부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원통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넥의 안쪽에 설치되는 송풍 가이드, 구동모터와 송풍팬이 일체로 조립되어 상기 송풍 가이드의 후측에 고정장착되는 송풍모듈, 내부 도중에 최소직경부가 형성된 벤튜리관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넥에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송풍식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노즐 캡의 회전의 동작에 의해 상기 본체의 넥 내측에서 노즐 헤드가 전후진 동작이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넥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 헤드의 중심부에는 파이프 형태의 노즐이 형성되되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노즐은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리브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노즐 후방에는 밸브조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조립부의 내측에는 밸브 시트가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 노즐체; 및
    상기 송풍 가이드에 고정 설치되며, 후방에는 상기 약액통과 연결된 약액공급관의 일단이 접속되고, 전방은 상기 노즐의 후방측에 접속되어 상기 노즐체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상기 약액공급관을 통해 흐르는 약액이 상기 노즐로 흐르는 것을 연결 또는 차단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고 전방이 막힌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밸브체, 상기 송풍 가이드에 상기 밸브체가 고정조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상기 밸브체의 후방 외주에 형성되는 환상의 조립돌기 및 상기 밸브체의 전방 외주연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밸브 홀이 형성된 노즐 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측에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전방에는 배터리 커버가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3. 삭제
  4. 삭제
KR1020190102053A 2019-08-21 2019-08-21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KR102215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053A KR102215252B1 (ko) 2019-08-21 2019-08-21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053A KR102215252B1 (ko) 2019-08-21 2019-08-21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252B1 true KR102215252B1 (ko) 2021-02-15

Family

ID=7456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053A KR102215252B1 (ko) 2019-08-21 2019-08-21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25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311B1 (ko) 2021-10-14 2022-02-08 최국진 분무기용 노즐장치
KR20220128860A (ko) *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삼양인터내셔날 약액 분사기
GB2609055A (en) * 2021-07-16 2023-01-25 Smbure Co Ltd Liquid chemical sprayer
KR20230035779A (ko) 2021-09-06 2023-03-14 주식회사 에스피텍 제트 플라즈마로 활성화된 기상/액상 복합 플라즈마를 이용한 분사 소독 장치 및 방법
KR20230126346A (ko)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등짐형 분무기
KR20240014661A (ko) 2022-07-25 2024-02-02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권총형 송풍식 분무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206B1 (ko) 2009-07-21 2011-11-03 홍기술 약액분사노즐의 와류형성구
KR101153188B1 (ko) 2010-04-06 2012-06-18 홍기술 약액 분사장치
KR101185064B1 (ko) 2011-04-21 2012-09-21 홍기술 약액 미세분사노즐
KR200468760Y1 (ko) * 2011-11-21 2013-09-02 윤 호 박 방역기의 약액 흐름 차단 장치
KR101692347B1 (ko) 2015-04-17 2017-01-03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KR101880545B1 (ko) * 2016-09-19 2018-08-17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KR20190079539A (ko) * 2017-12-27 2019-07-05 최윤구 핸드형 무선 방역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206B1 (ko) 2009-07-21 2011-11-03 홍기술 약액분사노즐의 와류형성구
KR101153188B1 (ko) 2010-04-06 2012-06-18 홍기술 약액 분사장치
KR101185064B1 (ko) 2011-04-21 2012-09-21 홍기술 약액 미세분사노즐
KR200468760Y1 (ko) * 2011-11-21 2013-09-02 윤 호 박 방역기의 약액 흐름 차단 장치
KR101692347B1 (ko) 2015-04-17 2017-01-03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KR101880545B1 (ko) * 2016-09-19 2018-08-17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KR20190079539A (ko) * 2017-12-27 2019-07-05 최윤구 핸드형 무선 방역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860A (ko) *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삼양인터내셔날 약액 분사기
KR102472674B1 (ko) 2021-03-15 2022-11-30 주식회사 삼양인터내셔날 약액 분사기
GB2609055A (en) * 2021-07-16 2023-01-25 Smbure Co Ltd Liquid chemical sprayer
KR20230012895A (ko) 2021-07-16 2023-01-26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약액 분무장치
KR102494943B1 (ko) * 2021-07-16 2023-02-06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약액 분무장치
US11717841B2 (en) 2021-07-16 2023-08-08 Smbure Co., Ltd. Liquid chemical sprayer
GB2609055B (en) * 2021-07-16 2024-01-03 Smbure Co Ltd Liquid chemical sprayer
KR20230035779A (ko) 2021-09-06 2023-03-14 주식회사 에스피텍 제트 플라즈마로 활성화된 기상/액상 복합 플라즈마를 이용한 분사 소독 장치 및 방법
KR102356311B1 (ko) 2021-10-14 2022-02-08 최국진 분무기용 노즐장치
KR20230126346A (ko)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등짐형 분무기
KR20240014661A (ko) 2022-07-25 2024-02-02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권총형 송풍식 분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252B1 (ko)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KR101692347B1 (ko)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JP4105095B2 (ja) 入れ子式フォーマノズル
KR20150046306A (ko) 회전 무화두형 도장기
JP3544350B2 (ja) 噴霧ノズル装置
JP2002306993A (ja) スプレイガン
KR101966067B1 (ko) 약액 분무기
KR20040091551A (ko) 회전 분무형 도장기
KR20230096621A (ko) 휴대용 방역장치
KR102494943B1 (ko) 약액 분무장치
JP2005177607A (ja) 回転霧化塗装装置
KR20190048213A (ko) 복합 분사구조를 갖는 세척액 분사장치
KR100759928B1 (ko) 액체분무장치
KR20080099369A (ko) 분무기
JP2007296435A (ja) 回転霧化塗装機の霧化ヘッド
KR102593268B1 (ko) 나선형 분출수 노즐
US20090090297A1 (en) Air brush
JP3987349B2 (ja) 水回転噴射装置
JP5350132B2 (ja) 回転霧化式塗装装置
KR101899120B1 (ko) 스프레이를 구비한 노즐
JP2017136527A (ja) エアーブロー洗浄装置
KR20230126346A (ko) 등짐형 분무기
KR20240014661A (ko) 권총형 송풍식 분무기
KR20230074356A (ko) 휴대용 초미립자 약액 분무장치
KR200482407Y1 (ko) 액체 토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