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311B1 - 분무기용 노즐장치 - Google Patents

분무기용 노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311B1
KR102356311B1 KR1020210136717A KR20210136717A KR102356311B1 KR 102356311 B1 KR102356311 B1 KR 102356311B1 KR 1020210136717 A KR1020210136717 A KR 1020210136717A KR 20210136717 A KR20210136717 A KR 20210136717A KR 102356311 B1 KR102356311 B1 KR 102356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liquid
supply unit
spraye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국진
문제근
Original Assignee
최국진
문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국진, 문제근 filed Critical 최국진
Priority to KR1020210136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0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producing a swir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16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무기용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를 갖는 분무기의 하우징 전방에 설치한 노즐캡의 내부에 액체가 공급되는 노즐 설치대의 내경으로 액체 분할 공급부를 결합해 다수의 요철을 통해 액체가 분할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후방에서 공급되는 송풍을 통하여 송풍날개가 회오리를 형성함으로써 분무되면서 노즐 경사면과 노즐 및 노즐 선단에서 미분화되어 넓고 멀게 그리고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분무할 수 있는 분무기용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노즐구멍에 위치하는 노즐에 연결된 액체 분할 공급부가 형성되며,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의 선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감싸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노즐 설치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 설치대에서 지름이 작아지게 연결되는 노즐 연결대의 외경에 송풍날개가 설치되며 액체 공급호스가 연결되어 액체를 공급하는 노즐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은 전방에 노즐 선단이 '〈'형으로 이루어지며 액체 분할 공급부와 노즐 경사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분무기용 노즐장치{Sprayer nozzle device}
본 발명은 분무기용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를 갖는 분무기의 하우징 전방에 설치한 노즐캡의 내부에 액체가 공급되는 노즐 설치대의 내경으로 액체 분할 공급부를 결합해 다수의 요철을 통해 액체가 분할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후방에서 공급되는 송풍을 통하여 송풍날개가 회오리를 형성함으로써 분무되면서 노즐 경사면과 노즐 및 노즐 선단에서 미분화되어 넓고 멀게 그리고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분무할 수 있는 분무기용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에 압력을 가하여 넓은 면적으로 살포되도록 하는 분무기는 작동방식, 용도,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즉, 가정용, 농업용, 산업용 등의 용도와 분무 대상에 따라서 무상(霧狀) 또는 입상(粒狀)으로 분무되는 입자의 크기, 형태, 분무면적 등이 다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형태의 분무기의 제공이 요구되는 것이다.
한편, 방역이나 살균을 위한 분무기의 경우에는 약액이 보다 넓은 면적에 고르게 살포되도록 하는 것이 방역 효과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가 수십 ~ 수백 ㎛ 이내로 분무되는 분무기들이 선호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역, 소독 등에 주로 사용되는 분무기는 흔히 약액분무기, 방역기, 살균소독기 등의 명칭으로도 불리기도 한다. 이와 같이 방역 또는 살균에 주로 사용되는 분무기 및 분무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들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153188호(약액 분사장치),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185064호(약액 미세분사노즐),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079206호(약액분사노즐의 와류형성구) 등이 있다.
종래의 약액 분사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이 구동될 때 발생하는 공기가 공기노즐의 후방에 마련된 좁은유로를 통과하면서 고압의 상태로 변하게 되고, 고압 상태의 공기 대부분은 공기노즐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일부의 공기는 약액통 가압관을 따라 약액통의 상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약액통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수면 상부로 약액통 가압관을 통해 고압의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수면 상부공간의 압력이 높아지게 됨으로써 하단이 약액통의 하부까지 배관된 약액 펌핑관을 따라 약액이 약액통 외부로 배출되고, 약액통으로부터 배출된 약액은 약액 펌핑관과 연결된 약액 배출관을 따라 약액노즐까지 흐르게 된다.
한편, 약액노즐의 주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팬으로부터 제공된 고압의 공기가 배출되고 있는 공기노즐이 형성된 상태임에 따라서 약액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약액은 공기노즐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공기 영향을 받아 안개형상의 분무가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로 약액통 내부의 약액이 약액노즐을 통해서 분무가 되기 위해서는 약액 분사장치의 내부에 약액통 가압관, 약액 펌핑관 및 약액 공급관 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관열결구가 본체와 약액통이 조립되는 구간에 설치되어야 하였다. 또한, 분사되는 약액을 조절하기 위한 약액조절수단이 약액 배출관의 도중에 설치되어야 하고, 본체와 약액통이 전술한 관연결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조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립수단 등이 구성될 필요가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술한 형태의 종래 약액 분사장치의 경우에는 송풍팬의 구동으로 노즐 후방에서 발생한 압력 일부가 약액통으로 전달되고, 이렇게 약액통으로 전달된 고압의 공기에 의해서 약액통 내부의 약액이 펌핑되고, 약액 노즐을 통해 약액의 분무가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위해서는 본체 내부에 다수의 관이 배관 되어야할 뿐만 아니라 약액 배출관 도중에 약액의 조절을 위한 별도의 장치도 마련되어야만 하는 등 약액 분무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692347호(2016. 12. 28.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2215252호(2021. 02. 05.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010862호(2011. 01. 18.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079206호(2011. 10. 27.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노즐에서 노즐 경사면으로 크기가 커지는 부분에 액체 분할 공급부를 홈부와 돌기부가 연속해서 다수의 요철형태로 분할되어 액체의 분할공급이 가능하여 미세화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노즐 설치대의 후방 노즐 연결대에 설치되는 송풍날개의 형상을 통해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분사성늘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즐구멍에 위치하는 노즐에 연결된 액체 분할 공급부가 형성되며,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의 선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감싸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노즐 설치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 설치대에서 지름이 작아지게 연결되는 노즐 연결대의 외경에 송풍날개가 설치되며 액체 공급호스가 연결되어 액체를 공급하는 노즐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은 전방에 노즐 선단이 '〈'형으로 이루어지며 액체 분할 공급부와 노즐 경사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는 노즐 설치대의 내경에 억지끼움 고정되며, 선단 일부가 노즐 설치대에서 노출되어 액체를 분할해 미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과;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는 외경이 홈부와 돌기부로 형성되며, 상기 홈부가 '∨'형과 '∪'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액체가 분할 공급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과;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는 외경이 홈부와 돌기부로 형성되며, 우측 선단에서 원추형태로 형성되어 끝부분이 수직으로 절단된 노즐 원추를 형성하되;
상기 노즐 원추는 노즐 설치대의 선단이 호상으로 연결되는 안쪽에 위치해 액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과;
삭제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는 지름이 7.6∼8.4mm로 형성되고 31∼38개의 홈부와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과;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노즐에서 노즐 경사면으로 크기가 커지는 부분에 액체 분할 공급부를 형성해 노즐 설치대의 내경에 끼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액체 분할 공급부가 홈부와 돌기부를 연속해서 다수의 요철형태를 갖도록 분할되어 각각의 홈부에서 액체의 분할공급이 가능하여 미세화되므로 넓은 분포와 멀리 비분화되어 분무되어 다양한 용도에 맞는 분무기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노즐 설치대의 후방에서 지름이 작아지는 부분에서 노즐 연결대에 설치되는 송풍날개의 형상을 통해 공기의 흐름 개선으로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분사성능을 개선하며, 노즐캡의 내경에 형성하는 경사면을 통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시켜 분사성능이 향상되고 액체의 분포와 분무 거리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무기 설치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노즐부재에 대한 조립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노즐부재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노즐부재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노즐부재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노즐부재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액체 분할 공급부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액체 분할 공급부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다른 실시예 확대 측면도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무기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11)에 의해 전체적으로 유선형을 갖는 분무기(10)는 우측에 상측으로 마개(13)를 갖는 탱크(12)가 설치되어 분무할 다양한 약액 등이 액체로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하우징(11) 상측의 중앙 부분에는 손잡이(14)가 형성되어 필요한 장소로 이동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외에 다양한 위치에 분무를 통해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1)의 상측과 후방에는 고리(15)를 설치해 끈을 연결함으로써 어깨에 메고 분무기(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1)의 전방에는 노즐캡(20)이 설치되어 내부에서 공급되는 액체를 분할해 미분으로 공급하고, 공기를 송풍시켜 넓은 분포와 거리를 통해 필요한 범위를 분무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노즐부재에 대한 조립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노즐부재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노즐부재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노즐부재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노즐부재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노즐캡(10)에는 캡 고정대(30)가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노즐캡(10)은 중앙에 노즐구멍(23)이 형성되어 액체가 미분화되고 후방에서 공급되는 공기력을 통해 분무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노즐구멍(23)의 내부에는 경사면(22)이 형성되어 내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성을 개선하여 분사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경사면(22)은 45∼68°의 경사각을 갖도록 할 때 후방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저항을 가장 적게 받아 공기저항 방해요소로 작용하지 않게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노즐캡(10)의 후방 내경에는 연결나사(21)가 형성되어 캡 고정대(30)의 외경에 형성한 연결나사(31)와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캡 고정대(30)의 후방에는 공기를 팬의 회전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노즐캡(20)의 노즐구멍(23) 내부에는 노즐부재(50)가 설치되어 액체를 미분화시켜 공급되어 분무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탱크(12)로부터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호스(65)가 연결되는 노즐 나사부(62)가 형성되는 노즐 연결대(61)의 외경에는 중심 유지링(80)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중심 유지링(80)은 내경에 노즐 연결대(61)가 연결되고, 외경이 캡 고정대(30)의 내경에 설치되어 노즐 연결대(61)의 중심이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노즐 연결대(61)의 선단에는 노즐 설치대(60)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 설치대(60)와 노즐 연결대(61)는 지름이 다르게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며, 지름이 큰 노즐 설치대(60)에서 노즐 연결대(61)가 호상으로 형성되어 마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부재(50)는 경질크롬도금을 통해 액체와 공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부식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노즐 구멍(23)의 중심에 위치하는 노즐 선단(52)이 '〈'형으로 형성되거나 직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노즐(51)이 원통형이 되도록 일직선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즐(51)에서 노즐 경사면(53)을 통하여 지름이 커지게 연결되는 액체 분할 공급부(54)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54)는 노즐 설치대(60)의 내경에 억지끼워맞춤 형식으로 결합하는 것이며, 노즐 경사면(53) 방향으로 노즐 설치대(60)로부터 액체 분할 공급부(54)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54)의 도면상 우측인 노즐 설치대(60)의 내경에는 선단에서 원추형태로 형성되어 끝부분이 수직으로 절단된 노즐 원추(55)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노츨 원추(55)는 노즐 설치대(60)의 선단이 호상으로 연결되는 안쪽에 위치해 액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54)는 원주형의 외경을 따라 홈부(54a)와 돌기부(54b)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홈부(54a)를 통하여 분할된 액체가 전방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지름이 7.6∼8.4mm인 경우 31∼38개의 홈부(54a)가 형성되는 것이며, 지름이 8mm인 경우 34개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 설치대(60)의 선단에서 노즐 연결대(61)가 시작되는 부분의 외경에는 송풍날개(70)가 설치되어 공기를 송풍하는 것으로,
상기 송풍날개(70)는 노즐 설치대(60)의 방향이 노즐 나사부(62)의 방향에 비하여 지름이 더 작게 형성되도록 하고, 날개의 방향이 한쪽방향으로 호상이 되도록 경사지게 연결되어 공기의 송풍이 회오리형태로 회전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송풍날개(70)는 그 개수에 따라 송풍의 유동성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3∼8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5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공기의 유동성 개선에 가장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액체 분할 공급부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액체 분할 공급부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다른 실시예 확대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노즐 설치대(60)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 설치대(60)의 내경으로 끼워져 고정 및 결합되는 액체 분할 공급부(54)는 원형의 외경 전체면을 따라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요철형태는 홈부(54a)와 돌기부(54b)가 톱니형태(도 8)로 이루어진 후 홈부(54a)가 "∨"형으로 이루어지거나, 홈부(54a)가 '∪'형이 되게 라운드로 이루어져 홈부(54a)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액체가 분할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분무기용 노즐장치는, 분무기(10)의 탱크(12) 상측에 설치한 마개(13)를 개방해 물 또는 분무 용도에 따른 약액을 선택해 희석시킨 후 마개(13)를 닫아 손잡이(14)를 잡고 분무기(10)를 구동시키게 되면 도시하지 않은 탱크(12)의 내부에서 액체를 펌핑해 액체 공급호스(65)를 통해 노즐 연결대(61)에 공급하게 되며, 도시하지 않은 캡 고정대(30)가 연결된 부분에서 배터리의 충전 동력을 제공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는 송풍팬을 통하여 공기를 캡 고정대(30)의 내경으로 송풍시키는 것이다.
상기 액체 공급호스(65)를 통하여 노즐 연결대(61)에 공급되는 액체는 선단의 노즐 설치대(60)에서 확관되면서 노즐 원추(55)의 선단에서부터 경사형태로 이루어지는 원추형태를 통하여 원주형태로 이동되며 선단면에 이르게 된 후 액체 분할 공급부(54)와 노츨 설치대(60)가 만나는 부분에서 미세하게 형성된 홈부(54a)의 공간을 통하여 원주형태에 균일하게 배분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54)의 외주연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공급되는 액체는 압력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홈부(54a)를 통하여 미세한 형태로 노즐 설치대(60)와의 사이를 이동한 후 노즐 설치대(60)의 선단에 공급되는 것이며, 노즐 설치대(60)의 선단에서 일부 간격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액체 분할 공급부(54)에는 캡 고정대(30)를 통하여 노즐캡(20)의 내경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전방으로 고르게 분포되며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54)는 원주형의 외경을 따라 홈부(54a)와 돌기부(54b)가 연속해서 형성된 상태에서 홈부(54a)의 미세한 공간을 통하여 분할된 액체가 전방으로 공급된 후 지름이 8mm인 경우 34개의 홈부(54a)를 형성한 공간으로 노즐 경사면(53)에 이르도록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홈부(54a)를 통하여 균일하게 분할되어 공급되는 액체는 노즐 설치대(60)의 전방에 노출된 액체 분할 공급부(54)에서 노즐캡(20)의 내경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통하여 노즐 경사면(53)과 노즐(51) 및 노즐 선단(52)을 통화여 미분말화 되며 노즐구멍(23)으로 분무되어 넓은 분포와 먼 거리로 고르게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홈부(54a)는 '∨'형과 '∪'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액체가 액체 분할 공급부(54)의 원주방향에서 고르게 미분화되어 공급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분말을 고르게 미분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캡 고정대(30)의 내경으로 외부의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게 되면 중심 유지링(80)을 통하여 노즐 연결대(61) 및 노즐부재(50)가 정확한 중심에 위치하게 되어 어느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공기의 영향을 고르게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송풍날개(70)의 형상을 통하여 와류가 형성되도록 공급하게 되고, 송풍날개(70)는 개수를 3∼8개의 범위로 조절하여 공기의 송풍에 의한 공기저항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와류의 형성에 의한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후 전방의 노즐캡(20) 내경에 형성한 경사면(22)이 45∼68°의 경사각을 갖도록 함으로써 후방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저항을 가장 적게 받아 공기저항 방해요소로 작용하지 않아 유동성을 개선하며 노즐구멍(23)으로 공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분사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하는 것이다.
상기 노즐부재(50)의 노즐 경사면(53)을 통하여 액체 분할 공급부(54)의 지름보다 노즐(51)의 지름이 더 작게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에 따른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노즐(51)의 선단을 '〈'형 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해 노즐구멍(23)으로 공기와 미분화된 액체가 부드럽게 공급되어 넓은 면적의 분포와 분무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송풍날개(70)는 노즐 설치대(60)의 방향이 노즐 나사부(62)의 방향에 비하여 지름이 더 작게 형성되도록 하고, 날개의 방향이 한쪽방향으로 호상이 되도록 경사지게 형되어 공기가 송풍되면 회오리형태로 회전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송풍날개(70)의 개수가 3∼8개를 유지함에 따라 송풍의 유동성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성 개선에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액체 분할 공급부를 갖는 노즐부재와 노즐 설치대의 결합으로 액체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공급되도록 하고, 송풍되는 공기가 송풍날개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경사면에서 공기 유동성 개선으로 분사 성능을 향상시켜 액체를 미분화하며 고르개 분포되어 보다 멀리 분무할 수 있도록 하는 노즐 성능를 개선한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분무기 11 : 하우징
12 : 탱크 13 :마개
14 : 손잡이 15 : 고리
20 : 노즐캡 21, 31 : 연결나사
22 : 경사면 23 : 노즐구멍
30 : 캡 고정대 50 : 노즐부재
51 : 노즐 52 : 노즐 선단
53 : 노즐 경사면 54 : 액체 분할 공급부
55 : 노즐 원추 60 : 노즐 설치대
61 : 노즐 연결대 62 : 노즐 나사부
65 : 액체 공급호스 70 : 송풍날개
80 : 중심 유지링

Claims (8)

  1. 노즐구멍(23)에 위치하는 노즐(51)에 연결된 액체 분할 공급부(54)가 형성되며,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54)의 선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감싸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노즐 설치대(60)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 설치대(60)에서 지름이 작아지게 연결되는 노즐 연결대(61)의 외경에 송풍날개(70)가 설치되며 액체 공급호스(65)가 연결되어 액체를 공급하는 노즐부재(50)로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51)은 전방에 노즐 선단(52)이 '〈'형으로 이루어지며 액체 분할 공급부(54)와 노즐 경사면(53)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용 노즐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54)는 노즐 설치대(60)의 내경에 억지끼움 고정되며, 선단 일부가 노즐 설치대(60)에서 노출되어 액체를 분할해 미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용 노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54)는 외경이 홈부(54a)와 돌기부(54b)로 형성되며, 상기 홈부(54a)가 '∨'형과 '∪'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액체가 분할 공급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용 노즐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54)는 외경이 홈부(54a)와 돌기부(54b)로 형성되며, 우측 선단에서 원추형태로 형성되어 끝부분이 수직으로 절단된 노즐 원추(55)를 형성하되;
    상기 노즐 원추(55)는 노즐 설치대(60)의 선단이 호상으로 연결되는 안쪽에 위치해 액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용 노즐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할 공급부(54)는 지름이 7.6∼8.4mm로 형성되고 31∼38개의 홈부(54a)와 돌기부(54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용 노즐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210136717A 2021-10-14 2021-10-14 분무기용 노즐장치 KR102356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717A KR102356311B1 (ko) 2021-10-14 2021-10-14 분무기용 노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717A KR102356311B1 (ko) 2021-10-14 2021-10-14 분무기용 노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311B1 true KR102356311B1 (ko) 2022-02-08

Family

ID=8025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717A KR102356311B1 (ko) 2021-10-14 2021-10-14 분무기용 노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3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083B1 (ko) * 2005-12-13 2006-11-30 홍기술 약액분사용 노즐
KR101010862B1 (ko) 2009-11-03 2011-01-26 이경일 확산기능을 가지는 분무노즐
KR101079206B1 (ko) 2009-07-21 2011-11-03 홍기술 약액분사노즐의 와류형성구
KR101185064B1 (ko) * 2011-04-21 2012-09-21 홍기술 약액 미세분사노즐
KR101692347B1 (ko) 2015-04-17 2017-01-03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KR102215252B1 (ko) 2019-08-21 2021-02-15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083B1 (ko) * 2005-12-13 2006-11-30 홍기술 약액분사용 노즐
KR101079206B1 (ko) 2009-07-21 2011-11-03 홍기술 약액분사노즐의 와류형성구
KR101010862B1 (ko) 2009-11-03 2011-01-26 이경일 확산기능을 가지는 분무노즐
KR101185064B1 (ko) * 2011-04-21 2012-09-21 홍기술 약액 미세분사노즐
KR101692347B1 (ko) 2015-04-17 2017-01-03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KR102215252B1 (ko) 2019-08-21 2021-02-15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0098B2 (en) Fan spray pattern indexing nozzle for a trigger sprayer
US7387264B2 (en) Asymmetrical spray nozzle with alignment notch
US6824074B2 (en) Air assisted spray nozzle assembly for spraying viscous liquids
US20150028132A1 (en) Spray nozzle assembly with impingement post-diffuser
EP1773500B1 (en) Air induction liquid spray nozzle assembly
JP5993371B2 (ja) 静的噴霧混合器
KR20110008697A (ko) 약액분사노즐의 와류형성구
KR101966067B1 (ko) 약액 분무기
BR102012012110B1 (pt) combinação para um misturador estático de aspersão
TWI580476B (zh) 靜態噴灑混合器
KR102206895B1 (ko) 진공청소기를 활용하는 휴대용 방역기
KR102356311B1 (ko) 분무기용 노즐장치
CN111263666B (zh) 通过空气进行表面消毒的设备的雾化喷嘴
KR20100088473A (ko) 와류형 유체 분사를 위한 노즐과 이를 구비한 분사장치
RU2557152C1 (ru) Вихревая форсунка кочетова
JP2007244997A (ja) 液体送給菅嵌入型渦流式微粒化ノズル
JP4778212B2 (ja) 三流体ノズル
TWM308794U (en) Nebulizer nozzle
CN209174167U (zh) 一种三维旋转喷嘴
KR20170047739A (ko)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
CN218981964U (zh) 雾化喷头及消毒设备
CN215083619U (zh) 一种二流体雾化器
JP6820018B2 (ja) 液体散布ノズル
US11717841B2 (en) Liquid chemical sprayer
US20140252139A1 (en) Plastic atomizing nozzle with integral body and occlu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