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346A - 등짐형 분무기 - Google Patents

등짐형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346A
KR20230126346A KR1020220023378A KR20220023378A KR20230126346A KR 20230126346 A KR20230126346 A KR 20230126346A KR 1020220023378 A KR1020220023378 A KR 1020220023378A KR 20220023378 A KR20220023378 A KR 20220023378A KR 20230126346 A KR20230126346 A KR 20230126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n
handy
drug
housing
backpack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Priority to KR102022002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346A/ko
Publication of KR2023012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16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4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carrying liq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pressure or dissolution,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64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a liquid being fed by mechanical pumping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Abstract

이 발명은 약액을 초미립자 상태로 분사하기 위한 핸디 건과 약액이 저장되는 약제탱크를 분리하여 사용자는 약제탱크를 등에 진 상태에서 핸디 건으로 약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하는 등짐형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의 핸디 건은 내부에 설치된 송풍 모듈이 구동되는 가운데 노즐 헤드에 대한 노즐 캡의 위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기압차에 의해 기기 본체에 마련된 약제탱크 내의 약액이 펌핑되어 미립자 상태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이 발명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나가는 약제탱크 및 배터리 등의 구성요소는 사용자의 질 수 있도록 기기 본체에 구성되는 한편 약제를 분무하기 위한 구동수단 및 약제 분무수단은 사용자가 손에 들 수 있는 핸디 건에 구성이 된다.

Description

등짐형 분무기{Backpack Sprayer}
이 발명은 등짐형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약액을 초미립자 상태로 분사하기 위한 핸디 건과 약액이 저장되는 약제탱크를 분리하여 사용자는 약제탱크를 등에 진 상태에서 핸디 건으로 약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하는 등짐형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살균소독을 위한 약제를 공기 중으로 분무하는 분무기는 분무방식, 사용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분무방식에 따라서는 약액을 펌핑하는 방식에 따라 기계식, 펌프식, 송풍식 등 여러 형태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형태에 따라서도 사용자가 손에 쥔 상태에서 분무하는 핸디 방식, 사용자가 등에 쥔 상태에서 사용하는 등짐 방식, 특정 장소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분무되는 고정설치 방식, 이동차량에 탑재한 상태로 분무하는 차량 방식 등 여러 형태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출원인은 송풍식 분무방식에 의한 독창적인 초미립자 분무기를 개발하여 시중에 공급하고 있다. 송풍식 분무방식이 적용된 초미립자 분무기에 관해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692347호(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2215252호(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원인은 사용자가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미립자 상태의 분무를 통해서 방역 소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분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국제적인 전염병 발생으로 인해 방역현장에서는 여러 다양한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방역 살균 소독이 가능한 분무기가 필요한 상황임에도 종래의 송풍식 분무기는 핸디형으로만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692347호(2017.01.0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2215252호(2021.02.15.)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9257호(2007.02.15.)
이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반적인 사정을 감안하여, 약액을 초미립자 상태로 분사하기 위한 핸디 건과 약액이 저장되는 약제탱크를 분리하여 사용자는 약제탱크를 등에 진 상태에서 핸디 건으로 약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하는 등짐형 분무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는 건 케이스의 내부에 전동모터와 송풍팬이 설치되며, 송풍팬의 구동시 공기가 건 케이스의 전방으로 유도하도록 통상으로 형성된 밸브 하우징의 중앙부분에는 약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체가 설치되고, 노즐 파이프가 전방으로 돌출된 노즐 헤드가 밸브 하우징의 전방에 설치되며, 노즐 파이프에 대해 상대적 위치가 전후방향으로 가변하도록 넥에 설치되는 한편 후방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구조로 형성된 노즐 캡이 건 케이스의 넥에 설치되고, 전동모터와 송풍팬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가 건 케이스에 설치되는 핸디 건; 사용자가 등에 질 수 있는 크기의 육면체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방측에는 등받이와 어깨끈이 설치되며, 내부에 일정 용량의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탱크와 핸디 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약제탱크와 연결된 약제주입구를 개폐하는 약제탱크 커버와 배터리 케이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배터리 팩 커버가 설치되는 기기 본체; 핸디 건의 일측 측면이 기기 본체에 밀착된 채로 걸리도록 기기 본체의 한 쪽 측면에 설치되는 건 홀더; 및 핸디 건의 밸브 하우징과 약제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약제 공급라인과 핸디 건과 배터리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을 감싸 보호하는 플렉시블 케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에서 밸브 하우징의 중앙에는 밸브체가 끼워지는 밸브 시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에서 노즐 헤드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는 노즐 파이프는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3~6개 배치되는 유선형의 리브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에서 밸브 하우징의 후방에는 송풍팬의 구동시 공기가 밸브 하우징으로 유도되도록 통상으로 형성된 모터 하우징이 조립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에서 기기 본체는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이 전후방향으로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의 한쪽 측면에는 부착되는 사이드 패널에 상기 건 홀더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에서 핸디 건의 측면 일측에는 건 홀더에 상호 조립되는 거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에서 기기 본체의 후방 하부에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 홀더가 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에서 핸디 건의 내부에 고전압 발생장치가 배치되고, 고전압 발생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단자가 노즐 헤드에 접속되는 약액공급호스의 도중에 설치되어 약액의 분무 시에 정전기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나가는 약제탱크 및 배터리 등의 구성요소는 사용자의 질 수 있도록 기기 본체에 구성되는 한편 약제를 분무하기 위한 구동수단 및 약제 분무수단은 사용자가 손에 들 수 있는 핸디 건에 구성이 됨으로써 소독, 방역 등을 위한 분무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는 분무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분무작업을 일시정지 또는 종료하기 위한 제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핸디 건에 마련된 노즐 캡을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약액의 역류가 차단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의 전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의 배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의 측면도.
도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의 핸디 건과 기기 본체가 분리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
도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기 본체의 분해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6 및 도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디 건의 분해 사시도.
도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디 건의 단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9 내지 도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디 건의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 및 도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디 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의 전면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의 배면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3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의 측면도이며, 도4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의 핸디 건과 기기 본체가 분리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를 지시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10)는 약제의 분무가 이루어지는 핸디 건(100)과 약제가 저장된 약제탱크가 수용된 기기 본체(200)로 구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10)는 도1 내지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기기 본체(200)의 한쪽 측면에 핸디 건(100)이 거치될 수 있으며, 사용 시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핸디 건(100)은 기기 본체(200)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10)의 핸디 건(100)은 사용자가 손으로 든 상태에서 약제 분무가 가능하도록 건 케이스(110) 내부에 약제를 분무하기 위한 장치로 송풍 모듈(130) 등이 조립 설치되고, 기기 본체(200)는 사용자가 등에 질 수 있는 크기의 대략 육면체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의 내부에 약제탱크(300) 및 배터리(400)가 조립 설치된다.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기기 본체(200)를 안정되게 등에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기 본체(200)의 하우징(210) 전방에는 어깨끈(202)과 등받이(204)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핸디 건(100)의 기기 본체(200) 사이에는 약제탱크(300)에 저장된 액상의 약제를 핸디 건(10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위한 약제 공급라인과 배터리(400)의 전원을 핸디 건(10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함께 감싸 보호하는 플렉시블 케이블(500)이 도3 및 도4에서 보이는 것처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기기 본체(200)의 후방 하부에는 플렉시블 케이블(500)이 수납되는 케이블 홀더(212)가 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1 내지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핸디 건(100)을 기기 본체(200)의 측면에 거치해두고, 핸디 건(100)과 기기 본체(200) 간에 배열된 플렉시블 케이블(500)은 전술한 케이블 홀더(212)에 안정되게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기기 본체(200)의 하우징(210) 전방 측에는 어깨끈(202)과 등받이(204)이 설치된다.
도1에서 등받이(204)의 후측에 보이는 버튼은 기기 본체(20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400)의 전원을 온/오프 하는 메인 스위치(250)를 지시하는 것이다. 메인 스위치(250)가 온(On) 작동이 되고, 핸디 건(10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된 디스플레이(192)에는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관한 정보 등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192)의 일측에 하면된 제어 스위치(190)의 작동에 의해서 핸디 건(100)은 작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기기 본체(200)의 하우징(210)에는 내부에 수납된 약제탱크(300)의 약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260)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약제탱크(300) 내에 저장된 약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5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기 본체(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기기 본체(200)의 분해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기기 본체(200)는 사용자가 등에 질 수 있는 크기의 육면체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기기 본체(200)의 하우징(210)은 전방 하우징(210a)과 후방 하우징(210b)이 전후방향으로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전방 하우징(210a)과 후방 하우징(210b)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한쪽 측면에는 사이드 패널(220)이 부착 설치된다.
사이드 패널(220)은 핸디 건(100)의 측면에 대응하여 움뿍 들어간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도중에는 건 홀더(222)가 돌출형성된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건 홀더(222)는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2곳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건 홀더(222)의 위치에 대응하는 핸디 건(100)의 측면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거치홈(120)이 형성된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기 본체(200)의 하우징(210) 내부에는 일정 용량의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탱크(300)와 핸디 건(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00)가 수납되는 배터리 케이스(410)가 설치된다.
한편, 기기 본체(200)의 하우징(210) 상부에는 약제탱크(300)와 연결된 약제주입구(310)를 개폐하는 약제탱크 커버(230)와 배터리 케이스(4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배터리 팩 커버(240)가 설치된다. 약제탱크 커버(230) 및 배터리 팩 커버(240)는 각각 하우징(210)의 상부에 마련된 힌지부(232, 242)에 일정 각도 회동하도록 조립이 된다. 또한, 약제탱크 커버(230) 및 배터리 팩 커버(240)의 한쪽 끝단부분에는 각각 하우징(210)에 대하여 개폐 상태가 단속되는 락커(234, 244)가 마련된다.
전술한 약제탱크 커버(230)의 하부면에는 약제주입구(310)의 내부로 일정 구간 삽입되는 환상돌기(236)가 형성되고, 환상돌기(236)의 외주연에는 패킹(236a)이 조립 설치된다. 한편, 약제주입구(310)는 전방 하우징(210a)과 후방 하우징(210b)과는 별도로 구성되는 커버 시트(312)에 형성되며, 하우징(210) 내부에 약제탱크(3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하우징(210)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핸디 건(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6 및 도7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디 건(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8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디 건(100)의 단면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9 내지 도1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디 건(100)의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 및 도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핸디 건(100)의 건 케이스(110)는 내부에 부품조립공간을 갖으며 양쪽으로 분리된 구조(110a, 110b)로 형성되고, 부품조립공간에 해당 부품들이 조립 한 후 상호 조립될 수 있도록 사출성형된다. 핸디 건(100)의 건 케이스(110)는 전방에는 원통 구조의 넥(112)이 형성된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디 건(100)은 노즐 주변으로 공기가 빠르게 강하게 통과되는 과정에서 노즐 외부와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압차에 의해서 약제탱크(300)에 저장된 액상의 약제가 펌핑 및 분무되는 방식이 적용된다. 이와 같이 기압의 차이가 크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즐 주변을 향해 강제로 강한 바람이 송풍되도록 하기 위한 송풍 모듈(130)이 넥(112)의 후방에 설치된다. 송풍 모듈(130)은 전동모터(132)와 송풍팬(1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건 케이스(110)의 넥(112)은 도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건 케이스(110)의 중앙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단면적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넥(112)의 내측에는 후설할 노즐 캡(140)의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회전 가이드(114)가 환상으로 형성되고, 후설할 노즐 헤드(150)의 전후진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16)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116)의 후방에 일정 폭으로 형성되는 환상의 조립홈(118)은 후설할 밸브 하우징(170)이 중심을 유지한 채 안정되게 조립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노즐 캡(140)은 송풍 모듈(130)의 작동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의한 기압 차이가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방을 향할수록 내부 단면적이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6 및 도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핸디 건(100)의 건 케이스(110) 후방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카트리지(104)가 조립 설치될 수 있다.
도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건 케이스(110)의 후방 상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24)가 설치되는데, 솔레노이드 밸브(124)의 양단에는 각각 핸디 건(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약액공급호스(122)의 일단과 약제탱크(300)로부터 연결된 약제 공급라인(미도시)의 일단이 접속된다. 솔레노이드 밸브(124)는 제어 스위치(190)를 온/오프 동작과 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약제탱크(300)로부터 핸디 건(100)으로 약액이 공급되게 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참고로, 도6에 표시된 도면부호 106은 송풍 모듈(130) 등의 제어를 위해 설치되는 PCB를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108은 핸디 건(100)의 작동를 위해 설치되는 PCB를 지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도시는 되었으나 일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은 설명이 생략되고, 전선 등의 일부의 구성부품들은 도시가 생략된 것이다.
도8 내지 도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노즐 캡(140)은 대경부(140a)와 소경부(140b)가 직경의 차이에 의해 구분되는 원통 구조로 형성되고, 대경부(140a)와 소경부(140b) 사이의 일정 구간에는 대경부에서 소경부를 향해 내경이 점차 감소하는 경사부(140c)가 형성된다. 노즐 캡(140)의 대경부(140a) 내측 일정 구간에는 암나사부(142)가 형성되고, 소경부(140b)의 내측에는 최소직경부(144)가 형성된다.
특히, 노즐 캡(140)의 후방 끝단부 상에는 건 케이스(110)에 형성된 환상의 회전 가이드(114)에 조립되어 사용자가 노즐 캡(140)을 회전시킬 경우에 제자리에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환상 돌기(146)가 외향 돌출 형성된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헤드(150)는 노즐 캡(140)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서 전진 또는 후진 작동이 되도록 구성된다. 노즐 캡(140)에 형성된 암나사부(142)에 대응하는 수나사부(152)가 일정 구간 형성되고, 중심축 상에는 전방을 향해 일정 길이 길게 돌출된 노즐 파이프(154)가 형성된다. 노즐 파이프(154)의 전방 끝단에는 내부로 통과된 약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노즐 구멍(154a)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노즐 파이프(154)의 후방으로는 노즐 파이프(154)에 비해서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밸브 홀(156)이 일정 구간에 형성된다.
또한, 노즐 헤드(150)의 후방에는 건 케이스(11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16)에 위치되어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58)가 사각의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158)의 상부와 하부에는 회전방지턱(158a)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다.
도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노즐 헤드(150)는 노즐 파이프(154)가 중심에 위치되게 일정 각도 간격으로 유선형의 리브(150a)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3~6개 형성된다. 이 리브(150a)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흐르는 공기에 스월(swirl)이 유발되도록 바람개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150a)는 60도 간격으로 6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브체(160)는 노즐 파이프(154)로 약액이 통과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밸브체(160)는 내부가 빈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에는 약액이 통과하는 약액 배출공(16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약액 배출공(162)과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는 전방 선단에는 플런저(164)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는 체크 밸브(166)가 설치된다.
전술한 플런저(164)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며, 밸브체(160)의 선단에 착탈될 수 있으며 노즐 파이프(160) 입구에 대응하여 기밀성이 좋도록 고무 소재로 성형된다.
밸브체(160)의 후방에는 약액공급호스(122)가 접속될 수 있는 호스 커넥터(160a)가 형성된다. 또한, 밸브체(16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걸림돌기(168)가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디 건(100)은 밸브 홀(156)에 선단이 끼워 조립되는 밸브체(160)가 안정되게 건 케이스(110)에 조립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하우징(170)이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180)의 전방에 일체로 결합된다.
밸브 하우징(170)은 도면들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그 후방으로는 모터 하우징(180) 전방 일정 구간을 감싸는 플랜지(172)가 형성된다. 플랜지(172)에는 모터 하우징(180)에 돌출 형성된 락커(182a)에 대응하는 락킹 홀(172a)이 형성된다.
전술한 락커(182a)는 락킹 홀(172a)에 끼운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밸브 하우징(170)과 모터 하우징(180)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밸브 하우징(170)의 내부에는 밸브체(160)가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는 밸브 시트(174)가 형성되고, 밸브 시트(174) 상에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슬롯(176)이 형성된다. 이 슬롯(176)은 밸브체(16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68)가 끼워질 수 있도록 밸브체(160)의 걸림돌기(168)에 대응하는 위치와 크기로 형성된다.
밸브 하우징(170)의 중간 부분 둘레에는 넥(112)의 내측에 환상으로 형성된 조립홈(118)에 대응하여 돌출형상되는 환상의 조립돌기(178)가 형성된다.
그리고 송풍 모듈(130)이 내부에 조립 설치되는 밸브 하우징(180)의 전방에는 밸브 하우징(170)이 맞대어 조립될 수 있게 밸브 하우징(170)의 플랜지(172)에 대응하는 플랜지 시트(182)가 형성된다. 플랜지 시트(182) 상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락킹 홀(172a)에 대응하는 락커(182a)가 돌출 형성된다.
모터 하우징(180)의 전방에는 밸브 하우징(170)에 밸브체(160)를 조립한 상태에서 밸브 하우징(170)과 모터 하우징(180)을 상호 맞대어 결합시켰을 경우에 밸브체(160)의 후단이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톱퍼(184)가 형성된다. 스톱퍼(184)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열된 리브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모터 하우징(180)의 양쪽 측면에는 건 케이스(110) 내부에 고정 설치를 위한 고정편(186)이 형성된다.
모터 하우징(180)의 내부 후방에는 전동모터(132)와 송풍팬(134)이 고정 장착된다. 모터 하우징(180)의 내부 일측에는 약액공급호스(122)가 안정되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호스 포켓(188)이 형성된다.
전술한 밸브체(160)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170)에 먼저 조립이 된 상태에서, 밸브 하우징(170)과 모터 하우징(180)이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노즐 캡(140)과 노즐 헤드(150)가 상호 결합이 된 상태에서, 도10 내지 도1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노즐 헤드(150)의 후측에서 밸브 하우징(170)이 조립된다. 이와 같이 노즐 캡(140), 노즐 헤드(150), 밸브 하우징(170), 밸브체(160) 및 모터 하우징(180)이 차례로 결합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로 결합된 상태에서 건 케이스(110)의 넥(112)에 조립이 된다.
핸디 건(100)의 전방 측에 위치된 넥(112)의 둘레에는 원통 형태로 구성된 노즐 캡 링(112a)이 설치될 수 있다.
건 케이스(110)의 상부 도중에 형성되는 도면부호 190은 전동모터(132)와 송풍팬(134)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를 지시하는 것이다.
도13 및 도14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디 건(1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10)의 핸디 건(100)이 작동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3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디 건(100)의 제어 스위치(190)가 온(On)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노즐 캡(140)을 정방향으로 최대로 회전시킴에 따라 노즐 헤드(150)의 노즐 파이프(154) 선단과 노즐 캡(140)의 내부에 형성된 최소직경부(144)가 가장 근접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핸디 건(100)의 스위치(190)가 온(On) 동작이 됨에 송풍 모듈(130)에 의해서 모터 하우징(180), 노즐 하우징(170), 노즐 헤드(150) 및 노즐 캡(140)의 내부에는 송풍팬(134)에서 송풍된 공기가 빠르고 강하게 통과하게 된다. 특히, 노즐 캡(140)은 내부 단면적이 급격하게 감소함에 따라 노즐 파이프(154) 내부와 외부에는 기압 차이가 발생이 되고, 이 기압차는 약액공급호스(122) 및 약제 공급라인을 통해 약제탱크(300)로 전달되어 약액이 펌핑이 된다. 이렇게 펌핑된 약액은 약제 공급라인을 통해 핸디 건(100) 내부에 배열된 약액공급호스(122)를 따라 밸브체(160)로 전달되고, 약액은 밸브체(160)의 체크 밸브(166)를 통과하여 약액 배출공(162)로 배출되면서 1차적인 분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플런저(164)는 노즐 파이프(154)의 입구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밸브체(160)의 약액 배출공(162)을 통해 1차 분사된 약액은 노즐 헤드(150)의 노즐 파이프(154)을 통과한 후 선단에 형성된 노즐 구멍(154a)을 2차적인 분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밸브체(160)의 약액 배출공(162)을 통해 노즐 파이프(154) 내측으로 1차 분사되고, 노즐 파이프(154)를 통과한 약액은 노즐 구멍(154a)을 통해 2차 분사가 되며, 노즐 캡(140) 내부를 통과하는 강한 공기에 의해서 미립자 상태로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14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디 건(100)의 제어 스위치(190)가 오프(OFF)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노즐 캡(140)을 반대방향으로 최대로 회전시킴에 따라 노즐 헤드(150)의 노즐 파이프(154)의 입구를 밸브체(160)의 선단에 마련된 플런저(164)가 밀착시켜 차단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와 같이 노즐 파이프(154)의 입구가 차단이 됨에 따라서 약액공급호스(122)를 따라 흐르던 약액의 흐름이 빠르게 차단되어 노즐 캡(140) 및 노즐 헤드(150) 내부에 잔류하게 되는 기압차가 있더라도 노즐 구멍(154a)으로 분사되는 약액의 차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밸브체(160)의 내부에는 체크 밸브(166)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서 약액공급호스(122) 및 약제 공급라인을 통해 약액이 약제 탱크(300)로 역류하게 되는 현상도 동시에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디 건(100)을 다시 작동시킬 경우에 더욱 빠르게 약액의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10)는 사용자가 핸디 건(100)은 손에 들고 기기 본체(200)는 등에 멘 상태에서 약액을 분무하던 중 분무작업을 일시정지 또는 종료하기 위해서 제어 스위치(190)를 OFF 하거나 노즐 캡(140)을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약액분사를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 노즐 파이프(154)의 입구가 밸브체(160)의 플런저(164)에 의해서 안정되게 차단이 됨에 따라서 신속한 정지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체(160)의 내부에 체크 밸브(166)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서 사용자가 노즐 캡(140)을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신속한 차단뿐만 아니라 약액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10)는 비교적 무게가 나가는 약제탱크(300) 및 배터리(400)는 등에 질 수 있도록 기기 본체(200)가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핸디 건(100)을 손으로 든 상태에서 분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100)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1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핸디 건(100)의 전방 부분에는 송풍 모듈(130)의 구동에 의해 노즐 캡(140)을 통해 약제가 분무되는 과정에서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정전기 발생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핸디 건(100)의 내부에는 10kV 이상의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장치(600)가 설치되고, 고전압 발생장치(600)에서 발생된 전압이 약액공급호스(122)를 통과하는 약제로 하전되도록 하기 위한 전극단자(610)가 약액공급호스(122) 도중에 설치되고, 핸디 건(100)의 손잡이(102) 부분에는 접지패드(620)가 구비된다. 고전압 발생장치(6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전기 스위치(630)는 핸디 건(100)의 건 케이스(110) 일측에 마련된다.
따라서 정전기 스위치(630)가 온(On) 작동 상태가 되면, 고전압 발생장치(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단자(610)에 전압이 인가되면서 약제에 하전이 이루어지고, 노즐을 통해서 분무되는 약제는 원뿔 형상으로 정전 분무될 수 있다. 즉, 초미립자 상태의 약제는 분무가 요구되는 방향으로 보다 효과적인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밸브체(160)의 플런저(164)는 도1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더 길쭉한 원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짐형 분무기의 구성 및 작동 상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0 : 등짐형 분무기
100 : 핸디 건 110 : 건 케이스
112 : 넥 112a : 노즐 캡 링
120 : 거치홈 130 : 송풍모듈
132 : 전동모터 134 : 송풍팬
140 : 노즐 캡 142 : 암나사부
150 : 노즐 헤드 152 : 수나사부
154 : 노즐 파이프 156 : 밸브 홀
158 : 가이드 플레이트 160 : 밸브체
162 : 약액 배출공 164 : 플런저
166 : 체크 밸브 168 : 걸림돌기
170 : 밸브 하우징 172 : 플랜지
174 : 밸브 시트 176 : 슬롯
180 : 모터 하우징 182 : 플랜지 시트
190 : 제어 스위치 200 : 기기 본체
202 : 어깨끈 204 : 등받이
210 : 하우징 212 : 케이블 홀더
220 : 사이드 패널 222 : 건 홀더
230 : 약제탱크 커버 240 : 배터리 팩 커버
300 : 약제탱크 400 : 배터리
500 : 플렉시블 케이블 600 : 고전압 발생장치
610 : 전극단자 620 : 접지패드

Claims (8)

  1. 건 케이스의 내부에 전동모터와 송풍팬이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의 구동시 공기가 상기 건 케이스의 전방으로 유도하도록 통상으로 형성된 밸브 하우징의 중앙부분에는 약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체가 설치되고, 노즐 파이프가 전방으로 돌출된 노즐 헤드가 상기 밸브 하우징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 파이프에 대해 상대적 위치가 전후방향으로 가변하도록 상기 넥에 설치되는 한편 후방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구조로 형성된 노즐 캡이 상기 건 케이스의 넥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송풍팬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가 상기 건 케이스에 설치되는 핸디 건;
    사용자가 등에 질 수 있는 크기의 육면체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방측에는 등받이와 어깨끈이 설치되며, 내부에 일정 용량의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탱크와 상기 핸디 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약제탱크와 연결된 약제주입구를 개폐하는 약제탱크 커버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배터리 팩 커버가 설치되는 기기 본체;
    상기 핸디 건의 일측 측면이 상기 기기 본체에 밀착된 채로 걸리도록 상기 기기 본체의 한 쪽 측면에 설치되는 건 홀더; 및
    상기 핸디 건의 밸브 하우징과 상기 약제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약제 공급라인과 상기 핸디 건과 상기 배터리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을 감싸 보호하는 플렉시블 케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짐형 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의 중앙에는 상기 밸브체가 끼워지는 밸브 시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짐형 분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는 노즐 파이프는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3~6개 배치되는 유선형의 리브로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짐형 분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의 후방에는 상기 송풍팬의 구동시 공기가 상기 밸브 하우징으로 유도되도록 통상으로 형성된 모터 하우징이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짐형 분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본체는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이 전후방향으로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방 하우징과 상기 후방 하우징의 한쪽 측면에는 부착되는 사이드 패널에 상기 건 홀더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짐형 분무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디 건의 측면 일측에는 건 홀더에 상호 조립되는 거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짐형 분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본체의 후방 하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 홀더가 홈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등짐형 분무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디 건의 내부에 고전압 발생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 발생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단자가 상기 노즐 헤드에 접속되는 약액공급호스의 도중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짐형 분무기.
KR1020220023378A 2022-02-23 2022-02-23 등짐형 분무기 KR20230126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378A KR20230126346A (ko) 2022-02-23 2022-02-23 등짐형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378A KR20230126346A (ko) 2022-02-23 2022-02-23 등짐형 분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346A true KR20230126346A (ko) 2023-08-30

Family

ID=8784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378A KR20230126346A (ko) 2022-02-23 2022-02-23 등짐형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34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9257A (ko) 2005-08-12 2007-02-15 최인환 휴대용 자동 분무기
KR101692347B1 (ko) 2015-04-17 2017-01-03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KR102215252B1 (ko) 2019-08-21 2021-02-15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9257A (ko) 2005-08-12 2007-02-15 최인환 휴대용 자동 분무기
KR101692347B1 (ko) 2015-04-17 2017-01-03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KR102215252B1 (ko) 2019-08-21 2021-02-15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21232B2 (ja) 静電式流体吐出バックパックシステム
CN113272073B (zh) 静电喷雾装置
CN106687218B (zh) 静电流体输送系统
KR101692347B1 (ko)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US20230117797A1 (en) Electrostatic fluid delivery system
EP3216525B1 (en) Airbrush
KR102215252B1 (ko)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KR20230126346A (ko) 등짐형 분무기
JP6192451B2 (ja) 噴霧器
KR102494943B1 (ko) 약액 분무장치
JP6367922B2 (ja) 静電スプレー工具システム
KR20240014661A (ko) 권총형 송풍식 분무기
KR20200129392A (ko) 나선형 돌출부를 이용하는 액체 분무기
KR102197390B1 (ko) 휴대용 에어브러시용 앰플 탄성 장착구
US20230106729A1 (en) Electrostatic fluid delivery system
WO2020080347A1 (ja) 静電噴霧装置
CN108136419B (zh) 级联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