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329A - 전고체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및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고체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및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329A
KR20220063329A KR1020200149011A KR20200149011A KR20220063329A KR 20220063329 A KR20220063329 A KR 20220063329A KR 1020200149011 A KR1020200149011 A KR 1020200149011A KR 20200149011 A KR20200149011 A KR 20200149011A KR 20220063329 A KR20220063329 A KR 20220063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solid
state battery
conductive layer
composit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석
남영진
조성만
김상완
임재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3329A/ko
Publication of KR20220063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6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고체전지용 음극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본 발명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금속 물질 및 탄소 물질을 포함하는 박막의 복합전도층을 음극 집전체에 적용하여 전고체전지를 작동하는 중에 음극에서 리튬의 용해 및 석출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전고체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및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A negative electrode for an all-solid battery, an all-solid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for an all-solid battery}
본 발명은 전고체전지용 음극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본 발명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금속 물질 및 탄소 물질을 포함하는 박막의 복합전도층을 음극 집전체에 적용하여 전고체전지를 작동하는 중에 음극에서 리튬의 용해 및 석출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고체전지는 기존의 리튬이온전지와는 달리 전해질이 고체로 되어 있어 분리막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발열이 심하지 않아 폭발 위험성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액체 전해질을 사용할 때보다 고체 전해질의 화학적 안정성과 가격성이 떨어지고 에너지밀도가 낮아 전고체전지의 상용화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렇게 부족한 에너지 밀도를 해결하기 위해 음극에 사용되는 활물질을 없앤 무음극(Anodeless) 타입 전지에 대한 연구가 최근 진행되고 있다.
무음극 타입 전지는 충전 시 음극 집전체에 수 마이크로 두께의 리튬을 도금하고, 방전 시 이 리튬을 박리하는 메커니즘으로 구동되며 기존에 사용되는 음극 활물질인 흑연을 사용할 때보다 부피와 무게의 측면에서 모두 월등한 이론적 성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실제 무음극 타입 전지는 반복된 사이클 동안 단락되어 사용되지 못하는 리튬이 형성되고 도금 시 덴드라이트 구조를 형성하여 전지를 단락시켜 사이클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1678호는 전고체전지용 음극에 관한 것으로, 음극 집전체 상에 리튬 합금을 포함하는 피복층을 적용하여, 충방전에 수반되어 금속 리튬층이 피복층의 표면에 대략 균일하게 생성 및 소실됨으로써 리튬 덴드라이트의 형성이 억제된 전고체전지용 음극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최근 음극 집전체 위에 얇은 금속-탄소층을 추가하여 전고체전지를 제작할 시 비교적 안정적인 사이클 성능을 보여주는 발명들이 보고되었으나 아직까지도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사이클 안정성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기존의 무음극 타입 전지가 보인 낮은 사이클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높은 에너지 밀도를 보일 수 있는 금속-탄소층을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전고체전지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1678호
본 발명에 의하면, 무음극(Anodeless) 타입의 전고체전지를 운행중에 리튬이온의 확산이 원활한 음극 구조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음극(Anodeless) 타입의 전고체전지를 운행중에 고체 전해질과 음극의 계면에서 공동이 생성되는 현상 및 단락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음극 구조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 상에 제공되고, 표면에 요철부를 포함하는 복합전도층; 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전도층은 금속 물질 및 탄소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전지용 음극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전도층의 두께는 3㎛ 내지 3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요철부는 복합전도층 두께의 5% 내지 8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전도층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0.1㎛ 내지 2.0㎛ 이고, 최대 높이 거칠기(Ry)는 0.2㎛ 내지 4.0㎛ 이고,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0.11㎛ 내지 2.2㎛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물질의 평균 입도 크기는 0.01㎛ 내지 5㎛ 이고, 상기 탄소 물질의 평균 입도 크기는 0.01㎛ 내지 5㎛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물질은 알루미늄, 아연, 인듐, 은, 금, 마그네슘, 규소, 비스무트, 게르마늄, 백금, 안티모니 및 주석 중 어느 하나의 원소와 리튬 원소의 합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전도층은 금속 물질 10 내지 60중량% 및 탄소 물질 20 내지 85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소 물질은 슈퍼P(Super P), 덴카(denka), 케첸(Ketchen) ,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증기 성장 탄소섬유(vapor grown carbon fibers, VGCF)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음극;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제공되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및 상기 음극 및 양극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고체 전해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극 집전체 상에 복합 슬러리를 도포하는 도포 단계; 및 상기 복합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 상에 코팅하여 복합전도층을 형성하는 코팅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전도층은 금속 물질 및 탄소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 슬러리의 점도는 100 내지 3000cps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은 와이어 바(wire bar)를 이용하여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바는 선경 2㎛ 내지 10㎛ 를 갖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전도층의 두께는 3㎛ 내지 3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전도층은 금속 물질 10 내지 60중량% 및 탄소 물질 20 내지 85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음극(Anodeless) 타입의 전고체전지를 운행중에 리튬이온의 확산이 원활한 음극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음극(Anodeless) 타입의 전고체전지를 운행중에 고체 전해질과 음극의 계면에서 공동이 생성되는 현상 및 단락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음극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극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음극 및 고체 전해질 계면에서 리튬이온의 확산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용 음극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1의 전고체전지를 방전 후의 음극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비교예1의 전고체전지를 방전 후의 음극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전고체전지의 충방전에 따른 용량유지율 및 쿨롱효율의 변화를 나타낸 거싱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고체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및 전고체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용 음극을 설명하고,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전고체전지용 음극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용 음극은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 상에 제공되고, 표면에 요철부를 포함하는 복합전도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음극 집전체는 스텐레스강(SUS), 티탄(Ti) 및 니켈(Ni)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전고체전지에서 사용하는 음극 집전체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극 집전체 상에는 두께 3㎛ 내지 30㎛ 인 박막의 복합전도층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복합전도층은 충전시에 리튬의 확산이 빠른 합금층을 형성하고 그 상에 금속 리튬이 석출된다. 때문에 상기 복합전도층은 리튬과 합금을 형성할 수 있는 금속 원소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전도층은 금속 물질 및 탄소 물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합전도층은 금속 물질 10 내지 60중량% 및 탄소 물질 20 내지 85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물질의 평균 입도 크기는 0.01㎛ 내지 5㎛ 이고, 상기 탄소 물질의 평균 입도 크기는 0.01㎛ 내지 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전도층에 포함되는 금속 물질은 알루미늄, 아연, 인듐, 은, 금, 마그네슘, 규소, 비스무트, 게르마늄, 백금, 안티모니 및 주석 중 어느 하나의 원소와 리튬 원소의 합금을 포함한다.
상기 탄소 물질은 슈퍼P(Super P), 덴카(denka), 케첸(Ketchen) ,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증기 성장 탄소섬유(vapor grown carbon fibers, VGCF)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전도층은 도 1과 같이 음극집전체와 대향되는 면의 반대면에 다수의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요철부에 포함되는 요철 구조로 인해 복합전도층의 표면적이 대폭 증가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 음극집전체에 대향되는 면의 표면적 대비 10% 내지 100% 크다.
상기 요철부에 포함되는 요철 구조의 높이들은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상기 요철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요철부의 두께는 복합전도층 두께의 약 5% 내지 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전도층에서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0.1㎛ 내지 2.0㎛ 이고, 최대 높이 거칠기(Ry)는 0.2㎛ 내지 4.0㎛ 이고,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0.11㎛ 내지 2.2㎛ 이다.
전고체전지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는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용 음극,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및 상기 음극 및 양극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고체 전해질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일반적인 전고체전지에서 양극에 적용하고,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흡방출할 수 있는 물질이면 충분하다.
상기 고체 전해질은 일반적인 전고체전지에서 전해질로 적용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이 가능한 물질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는 음극에 포함되어 표면에 요철부를 포함하는 복합전도층으로 인해 안정적인 충방전 거동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복합전도층 표면의 요철 구조로 인해 고체전해질과 음극의 계면이 평탄하게 형성된 종래의 전고체전지 보다 상기 계면에서 이동하는 리튬이온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복합전도층은 표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평탄부와 요철 구조가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요철부를 통해 기존 보다 많은 양의 리튬이온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요철 구조로 인해 복합전도층을 포함하는 음극과 고체전해질 사이의 접착력이 보다 증가하고, 균일한 방전의 유도로 인해 계면에서 공동의 발생이 크게 감소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의 음극에 포함된 복합전도층 표면의 요철 구조로 인해 고체전해질과 음극 간 계면에서의 저항이 감소하여 복합전도층 내에서의 리튬 농도 구배 발생이 억제되고, 종래보다 증가한 리튬 이온 전도도로 인해 음극 집전체 주변에서 비가역성의 리튬 잔재 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은 음극 집전체 상에 복합 슬러리를 도포하는 도포 단계 및 상기 복합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 상에 코팅하여 복합전도층을 형성하는 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복합 슬러리는 금속 물질, 탄소 물질 및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슬러의 점도는 100 내지 3000cps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100cps 미만이면, 복합 슬러리의 흐름성이 너무 높아 요철 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3000cps 초과이면, 코팅 공정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코팅은 와이어 바(wire bar)를 이용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용 음극의 제조과정이 나타나 있다. 이를 참고하면, 음극 집전체 상에 도포된 복합 슬러리 상에 와이어가 바에 감겨있는 와이어 바를 일정 간격으로 밀착시키고 회전 및 이동시키면서 요철 구조를 형성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바는 선경 2㎛ 내지 10㎛ 를 갖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바의 선경 및 와이어 바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복합전도층의 두께 및 요철 구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복합전도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3㎛ 내지 30㎛ 으로 조절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 바로 형성된 복합전도층은 금속 물질 10 내지 60중량% 및 탄소 물질 20 내지 85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요철부가 포함된 복합전도층 상으로 고체전해질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고체전해질 및 복합전도층 계면은 상기 요철 구조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표면처리 탄소-금속)
니켈(Ni) 박을 준비하고, 탄소 물질로 슈퍼 C65(Super C65) 및 금속 물질로 은(Ag)을 용매에 투입 및 혼합하여 점도 약 1500cps를 갖는 복합 슬러리를 제조하고 이를 상기 니켈 박에 도포하였다. 그 후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두께 8㎛가 되도록 복합전도층을 형성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이때 와이어 바를 통해 형성된 요철부의 두께는 복합전도층 두께의 20%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상기 음극 상에 황화물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을 적층하고, 상기 고체 전해질 상에 니켈망간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을 적층하여 셀을 제작하였다.
비교예(표면미처리 탄소-금속)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으로 셀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셀을 40회 이상 충방전시켜 용량유지율(%)의 변화와 쿨롱효율(%)의 변화를 측정하여 도 6에 나타내 었다.
도 6의 결과를 참고하면, 표면을 처리하여 요철 구조를 복합전도층을 적용한 실시예의 셀이 충방전이 지속될수록 비교예 보다 더 높은 용량유지율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안정적인 쿨롱효율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5)

  1.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 상에 제공되고, 표면에 요철부를 포함하는 복합전도층; 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전도층은 금속 물질 및 탄소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전지용 음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전도층의 두께는 3㎛ 내지 30㎛ 인 것인 전고체전지용 음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복합전도층 두께의 5% 내지 80% 인 것인 전고체전지용 음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전도층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는 0.1㎛ 내지 2.0㎛ 이고,
    최대 높이 거칠기(Ry)는 0.2㎛ 내지 4.0㎛ 이고,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0.11㎛ 내지 2.2㎛ 인 것인 전고체전지용 음극.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물질의 평균 입도 크기는 0.01㎛ 내지 5㎛ 이고,
    상기 탄소 물질의 평균 입도 크기는 0.01㎛ 내지 5㎛ 인 것인 전고체전지용 음극.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물질은 알루미늄, 아연, 인듐, 은, 금, 마그네슘, 규소, 비스무트, 게르마늄, 백금, 안티모니 및 주석 중 어느 하나의 원소와 리튬 원소의 합금을 포함하는 것인 전고체전지용 음극.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전도층은 금속 물질 10 내지 60중량% 및 탄소 물질 20 내지 85중량% 포함하는 것인 전고체전지용 음극.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물질은 슈퍼P(Super P), 덴카(denka), 케첸(Ketchen) ,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증기 성장 탄소섬유(vapor grown carbon fibers, VGCF)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전고체전지용 음극.
  9. 상기 제1항의 음극;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제공되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및
    상기 음극 및 양극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고체 전해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전지.
  10. 음극 집전체 상에 복합 슬러리를 도포하는 도포 단계; 및
    상기 복합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 상에 코팅하여 복합전도층을 형성하는 코팅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전도층은 금속 물질 및 탄소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슬러리의 점도는 100 내지 3000cps 인 것인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와이어 바(wire bar)를 이용하여 진행되는 것인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바는 선경 2㎛ 내지 10㎛ 를 갖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인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전도층의 두께는 3㎛ 내지 30㎛ 인 것인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전도층은 금속 물질 10 내지 60중량% 및 탄소 물질 20 내지 85중량% 포함하는 것인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KR1020200149011A 2020-11-10 2020-11-10 전고체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및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KR20220063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011A KR20220063329A (ko) 2020-11-10 2020-11-10 전고체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및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011A KR20220063329A (ko) 2020-11-10 2020-11-10 전고체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및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329A true KR20220063329A (ko) 2022-05-17

Family

ID=8180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011A KR20220063329A (ko) 2020-11-10 2020-11-10 전고체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및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33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678A (ko) 2017-02-07 2018-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 고체형 2차 전지용 음극, 전 고체형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678A (ko) 2017-02-07 2018-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 고체형 2차 전지용 음극, 전 고체형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zin et al. High rate capability pure Sn-based nano-architectured electrode assembly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P5169156B2 (ja) 電気化学素子用電極
JP4921390B2 (ja) 三次元バッテリー
EP2587574A1 (en) Electrolytic copper foil, electrolytic copper foi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electrolytic copper foil,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electrode
JP5590576B2 (ja) 蓄電デバイス用電極の製造方法、および、蓄電デバイス
JP2013539174A (ja) ケーブル型二次電池
WO2001084654A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use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JP2005505102A (ja) 鉛酸電池の性能を改善する集電体構造及び方法
US20220052343A1 (en) All-solid-state battery including lithium precipitate
US10516166B2 (en) Anode of lithium battery and lithium battery using the same
EP3596765B1 (fr) Accumulateur déformable
JP4330290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CN115668534A (zh) 电池及电池的制造方法
US20190229329A1 (en)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4335417B (zh) 预锂化负极片、其制备方法及锂电池
JPH01235167A (ja) 再充電可能な電池
JP3707617B2 (ja) 負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JP6610681B2 (ja) 金属ベース負極を有する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ための高電流処理
JP6127289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負極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63329A (ko) 전고체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및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방법
KR20020094530A (ko) 금속이 피복된 집전체, 이를 이용한 전극 및 이들 전극을포함하는 리튬전지
KR20230080868A (ko) 수계 이차전지용 아연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계 이차전지
CN112786950B (zh) 复合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固态电池
JP5363949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そ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8243656A (ja) 電気化学素子用電極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