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164A - 차량용 클러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164A
KR20220063164A KR1020227007538A KR20227007538A KR20220063164A KR 20220063164 A KR20220063164 A KR 20220063164A KR 1020227007538 A KR1020227007538 A KR 1020227007538A KR 20227007538 A KR20227007538 A KR 20227007538A KR 20220063164 A KR20220063164 A KR 20220063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release lever
secondary clutch
plat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922B1 (ko
Inventor
시아오친 우
추안창 자오
흐싱창 쿠어
더푸 쉬에
Original Assignee
타이안 성타이 오토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안 성타이 오토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안 성타이 오토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63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25Synchro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52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Clutches in which three or more axially moveable members are fixed alternately to the shafts to be coupled and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16D13/54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Clutches in which three or more axially moveable members are fixed alternately to the shafts to be coupled and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effective force between the actuating sleeve or equivalent member and the pressure member
    • F16D13/56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Clutches in which three or more axially moveable members are fixed alternately to the shafts to be coupled and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effective force between the actuating sleeve or equivalent member and the pressure member in which the clutching pressure is produced by spring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16D2021/0676Mechanically actuated multiple lamellae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023/123Clutch actuation by cams, ramps or ball-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023/126Actuation by rocker lever; Rocker lev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차량용 클러치로서 일차 클러치(1)를 포함하고, 일차 클러치(1)의 타측에는 제1 드라이브(2) 및 제2 드라이브(3)가 설치되며, 일차 클러치(1) 내에는 제1 이차 클러치 유닛 및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이 설치되고, 제1 드라이브(2)는 제1 이차 클러치 유닛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며, 제2 드라이브(3)는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제1 이차 클러치 유닛은 제1 이차 클러치(4), 및 제1 이차 클러치(4)와 매칭되게 설치되는 마찰 유닛(5)을 포함하며,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은 제2 이차 클러치(6), 및 제2 이차 클러치(6)와 매칭되게 설치되는 마찰 유닛(5)을 포함하고, 제1 이차 클러치(4)와 제2 이차 클러치(6) 사이에는 싱크로나이저(7)가 더 설치되며, 싱크로나이저(7)는 제1 이차 클러치(4)와 제2 이차 클러치(6)가 분리될 경우 싱크로나이저(7)가 제1 이차 클러치(4)와 제2 이차 클러치(6)를 일체로 잠그도록 설치된다. 상기 차량용 클러치는 2단 클러치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상이한 작업 조건에 따라 단일 클러치를 사용하여 감당할 것인지 또는 2개의 클러치를 함께 사용하여 감당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클러치
본 발명은 차량용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듀얼 클러치 자동 변속기에서는 단일 클러치가 동력원의 모든 토크를 감당한다. 예를 들어, 모터의 피크 토크가 200 Nm이면, 단일 클러치의 감당 능력은 200 Nm이다. 현재, 2개의 클러치를 잠그는 일부 방식도 있지만, 그 잠금 구조의 신뢰성이 낮고 제어가 상대적으로 불편하며 실용성이 요구에 크게 미달이다.
현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마찰력을 통해 링 기어와 잠금 링의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해 잠금 링 타입의 관성 싱크로나이저를 사용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차량용 클러치를 조립할 경우 조작이 상대적으로 불편하고, 차량용 클러치의 결합 및 분리 시 부적절한 문제가 아주 많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용 클러치를 제공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용 클러치를 제공하되, 차량용 클러치는 일차 클러치를 포함하고, 일차 클러치의 타측에는 제1 드라이브 및 제2 드라이브가 설치되며, 일차 클러치 내에는 제1 이차 클러치 유닛 및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드라이브는 제1 이차 클러치 유닛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드라이브는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이차 클러치 유닛은 제1 이차 클러치, 및 제1 이차 클러치와 매칭되게 설치되는 마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은 제2 이차 클러치, 및 제2 이차 클러치와 매칭되게 설치되는 마찰 유닛을 포함하고, 제1 이차 클러치와 제2 이차 클러치 사이에는 싱크로나이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싱크로나이저는 제1 이차 클러치와 제2 이차 클러치가 분리될 경우 상기 싱크로나이저가 제1 이차 클러치와 제2 이차 클러치를 일체로 잠그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은 2단 클러치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상이한 작업 조건에 따라 단일 클러치를 사용하여 감당할 것인지 또는 2개의 클러치를 함께 사용하여 감당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고, 사용 시, 일반적으로 하나의 이차 클러치를 이용하여 정격 토크를 감당하며, 피크 토크의 상태에서 싱크로나이저를 통해 2개의 클러치를 잠금으로써, 피크 토크를 더 잘 감당하고, 클러치를 사용하여 잠근 후, 2개의 클러치 사이의 동기화가 더 좋으므로, 피크 토크를 감당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 유닛은 제1 이차 클러치 또는 제2 이차 클러치에 연결되는 클러치 마찰판, 및 일차 클러치에 고정 연결되는 강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이차 클러치는 클러치 마찰판에 연결되는 제1 세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판은 제1 가로판을 통해 제1 연결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이차 클러치는 클러치 마찰판에 연결되는 제2 세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로판은 제2 가로판을 통해 제2 연결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판에는 제1 걸림 연결 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판에는 제2 걸림 연결 링이 설치되며, 상기 싱크로나이저는 제1 걸림 연결 링, 제2 걸림 연결 링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싱크로나이저는 싱크로나이저 링을 포함하며, 상기 싱크로나이저 링의 측부에는 복귀 링이 설치되고, 상기 복귀 링은 탄성 부재를 통해 제1 가로판 및/또는 제2 가로판에 당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걸림 연결 링, 제2 걸림 연결 링 및 싱크로나이저는 서로 인접하여 당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복귀 링과 제2 가로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이고; 상기 제2 연결판에는 측면 연결 링이 설치되며, 상기 측면 연결 링은 제2 걸림 연결 링에 연결되고; 상기 싱크로나이저에는 스플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걸림 연결 링 및 제2 걸림 연결 링에는 스플라인에 걸림 연결되게 설치되는 걸림 연결 키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 연결 키에는 사선방향으로 설치된 원추면 기어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이차 클러치 부분은 스플라인, 원추면 기어가 결합되고 스프링과 협력함으로써, 본 발명이 결합되지 않은 경우 스프링의 작용 하에 제1 이차 클러치와 제2 이차 클러치의 결합을 완료할 수 있고, 결합된 경우 회전하면서 싱크로나이저의 복귀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드라이브는 제1 릴리스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릴리스 레버는 제1 릴리스 베어링과 매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릴리스 베어링은 제1 연결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는 일차 클러치를 관통하여 제1 이차 클러치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 로드는 제1 릴리스 베어링에 연결되는 제1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는 제1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는 제1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는 일차 클러치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는 제1 이차 클러치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는 일차 클러치 내에 임베이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드라이브는 제2 릴리스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릴리스 레버는 제2 릴리스 베어링과 매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릴리스 베어링은 제2 연결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는 일차 클러치를 관통하여 제2 이차 클러치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결 로드는 제2 릴리스 베어링에 연결되는 제2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는 제2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는 제2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는 일차 클러치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는 제2 이차 클러치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는 일차 클러치 내에 임베이딩된다. 본 발명은 일차 클러치의 외부 표면에 동력 전달 메커니즘을 설치하여 제1 드라이브 및 제2 드라이브의 작용을 내부로 전달함으로써, 클러치 자체의 동작을 구현하되, 여기서 일차 클러치는 기능적 어셈블리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내부 조절 어셈블리를 보호하는 역할도 할 수 있으므로, 통합 구조를 구현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구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클러치 압력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압력판은 제1 이차 클러치 유닛 또는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에 당접되게 설치되며, 클러치 압력판과 일차 클러치 사이에는 압력 스프링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1. 본 발명은 2단 클러치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상이한 작업 조건에 따라 단일 클러치를 사용하여 감당할 것인지 또는 2개의 클러치를 함께 사용하여 감당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고, 사용 시, 일반적으로 하나의 이차 클러치를 이용하여 정격 토크를 감당하며, 피크 토크의 상태에서 싱크로나이저를 통해 2개의 클러치를 잠금으로써, 피크 토크를 더 잘 감당하고, 클러치를 사용하여 잠근 후, 2개의 클러치 사이의 동기화가 더 좋으므로, 피크 토크를 감당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2. 본 발명의 이차 클러치 부분은 스플라인, 원추면 기어가 결합되고 스프링과 협력함으로써, 본 발명이 결합되지 않은 경우 스프링의 작용 하에 제1 이차 클러치와 제2 이차 클러치의 결합을 완료할 수 있고, 결합된 경우 회전하면서 싱크로나이저의 복귀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일차 클러치의 외부 표면에 동력 전달 메커니즘을 설치하여 제1 드라이브 및 제2 드라이브의 작용을 내부로 전달함으로써, 클러치 자체의 동작을 구현하되, 여기서 일차 클러치는 기능적 어셈블리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내부 조절 어셈블리를 보호하는 역할도 할 수 있으므로, 통합 구조를 구현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구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설명된 도면은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부적절하게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구조 모식도이다.
본 해결수단의 기술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도록, 아래에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통해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상을 명확하게 해석하기 위해, 아래 도면과 함께 예시적인 방식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용어 "중심”,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최상”, "바닥”, "내”, "외”, "축방향”, "반경방향”, "원주방향” 등이 가리키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한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한 것일 뿐, 언급된 장치 또는 부재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고 특정된 방위로 구성 및 작동되는 것으로 지시하거나 암시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본 명세서의 각 실시예는 모두 점진적 방식으로 설명되며, 각 실시예 사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서로 참조할 수 있고, 각 실시예에서 중점적으로 설명된 부분은 모두 다른 실시예와 구별되는 부분이다.
이 밖에, 용어 "제1", "제2"는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지시된 기술특징의 개수를 은연중 밝히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하나 이상의 상기 특징을 명시하거나 은연중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달리 명확하게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은 한 "복수 개”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달리 명확하게 규정 및 한정하지 않은 한,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은 광의적으로 이해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수 있거나, 탈착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적 연결일 수 있고; 기계적 연결일 수 있거나, 전기적 연결일 수 있거나, 통신 가능한 연결일 수 있으며; 직접적 연결일 수 있거나,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 연결일 수 있거나, 2개 부재 내부의 연통 또는 2개 부재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달리 명확하게 규정 및 한정하지 않은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상” 또는 "하”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일 수 있거나,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조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의 설명은 상기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합하여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의 예시적인 표현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에 대한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첫 번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클러치는 일차 클러치(1)를 포함하고, 일차 클러치(1)의 타측에는 제1 드라이브(2) 및 제2 드라이브(3)가 설치되며, 일차 클러치(1) 내에는 제1 이차 클러치 유닛 및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이 설치되고, 제1 드라이브(2)는 제1 이차 클러치 유닛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며, 제2 드라이브(3)는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제1 이차 클러치 유닛은 제1 이차 클러치(4), 및 제1 이차 클러치(4)와 매칭되게 설치되는 마찰 유닛(5)을 포함하며,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은 제2 이차 클러치(6), 및 제2 이차 클러치(6)와 매칭되게 설치되는 마찰 유닛(5)을 포함하고, 제1 이차 클러치(4)와 제2 이차 클러치(6) 사이에는 싱크로나이저(7)가 더 설치되며, 싱크로나이저(7)는 제1 이차 클러치(4)와 제2 이차 클러치(6)가 분리될 경우 싱크로나이저(7)가 제1 이차 클러치(4)와 제2 이차 클러치(6)를 일체로 잠그도록 설치된다.
사용 시, 제1 드라이브(2)가 제1 이차 클러치 유닛을 구동하고 제2 드라이브(3)가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을 구동하도록 제1 드라이브(2) 및/또는 제2 드라이브(3)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트리거링하고, 지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싱크로나이저(7)는 2개의 이차 클러치를 잠그거나 결합하며, 지정된 조건은 토크가 소정의 값에 도달한 후 전기 제어 방식을 통해 싱크로나이저(7)의 동작을 제어하여 둘을 결합하는 것일 수 있고, 제1 드라이브(2)와 제2 드라이브(3)가 동시에 트리거링된 후 기계적 구조의 작용 하에 싱크로나이저(7)를 통해 둘을 잠그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언급된 싱크로나이저(7)는 제1 이차 클러치(4) 및 제2 이차 클러치(6)를 동기화할 수 있는 부재를 의미하되, 일반 기계식 싱크로나이저(7)일 수도 있으며, 전자 형태의 싱크로나이저(7)일 수도 있는데, 제1 이차 클러치(4) 및 제2 이차 클러치(6)의 동기화를 만족할 수만 있으면 된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유닛(5)은 제1 이차 클러치(4) 또는 제2 이차 클러치(6)에 연결되는 클러치 마찰판(8), 및 일차 클러치(1)에 고정 연결되는 강판(9)을 포함한다. 제1 이차 클러치(4)는 클러치 마찰판(8)에 연결되는 제1 세로판(10)을 포함하고, 제1 세로판(10)은 제1 가로판(11)을 통해 제1 연결판(12)에 연결되며; 제2 이차 클러치(6)는 클러치 마찰판(8)에 연결되는 제2 세로판(13)을 포함하고, 제2 세로판(13)은 제2 가로판(14)을 통해 제2 연결판(15)에 연결되며; 제1 연결판(12)에는 제1 걸림 연결 링(16)이 설치되고, 제2 연결판(15)에는 제2 걸림 연결 링(17)이 설치되며, 싱크로나이저(7)는 제1 걸림 연결 링(16), 제2 걸림 연결 링(17)의 일측에 설치되고; 싱크로나이저(7)는 싱크로나이저 링(18)을 포함하며, 싱크로나이저 링(18)의 측부에는 복귀 링(19)이 설치되고, 복귀 링(19)은 탄성 부재(20)를 통해 제1 가로판(11) 및/또는 제2 가로판(14)에 당접되게 설치되며; 제1 걸림 연결 링(16), 제2 걸림 연결 링(17) 및 싱크로나이저(7)는 서로 인접하여 당접되게 설치되고; 탄성 부재(20)는 복귀 링(19)과 제2 가로판(14)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 부재(20)는 스프링이고; 제2 연결판(15)에는 측면 연결 링(21)이 설치되며, 측면 연결 링(21)은 제2 걸림 연결 링(17)에 연결되고; 싱크로나이저(7)에는 스플라인이 설치되며, 제1 걸림 연결 링(16) 및 제2 걸림 연결 링(17)에는 스플라인에 걸림 연결되게 설치되는 걸림 연결 키가 설치되고; 걸림 연결 키에는 사선방향으로 설치된 원추면 기어가 설치된다. 제1 드라이브(2)는 제1 릴리스 레버(22)를 포함하고, 제1 릴리스 레버(22)는 제1 릴리스 베어링(23)과 매칭되게 설치되며, 제1 릴리스 베어링(23)은 제1 연결 로드(24)에 연결되고, 제1 연결 로드(24)는 일차 클러치(1)를 관통하여 제1 이차 클러치(4)에 연결된다. 제1 연결 로드(24)는 제1 릴리스 베어링(23)에 연결되는 제1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25)를 포함하고, 제1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25)는 제1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25)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26)에 연결되며, 제1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26)는 제1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27)에 연결되고, 제1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27)는 일차 클러치(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제1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27)는 제1 이차 클러치(4)에 연결된다. 제1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26)는 일차 클러치(1) 내에 임베이딩된다. 제2 드라이브(3)는 제2 릴리스 레버(28)를 포함하고, 제2 릴리스 레버(28)는 제2 릴리스 베어링(29)과 매칭되게 설치되며, 제2 릴리스 베어링(29)은 제2 연결 로드(30)에 연결되고, 제2 연결 로드(30)는 일차 클러치(1)를 관통하여 제2 이차 클러치(6)에 연결된다. 제2 연결 로드(30)는 제2 릴리스 베어링(29)에 연결되는 제2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31)를 포함하고, 제2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31)는 제2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3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32)에 연결되며, 제2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32)는 제2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33)에 연결되고, 제2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33)는 일차 클러치(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제2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33)는 제2 이차 클러치(6)에 연결된다. 제2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32)는 일차 클러치(1) 내에 임베이딩된다. 클러치 압력판(34)을 더 포함하고, 클러치 압력판(34)은 제1 이차 클러치 유닛 또는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에 당접되게 설치되며, 클러치 압력판(34)과 일차 클러치(1) 사이에는 압력 스프링(35)이 설치된다.
상기 실시예는 첫 번째 실시예에 기초하여 선택된 단순한 기계적 실시형태이다. 구체적인 연동 방식에서, 제1 이차 클러치 유닛의 부분은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의 부분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이차 클러치 유닛으로만 연동 방식을 설명하고, 나머지는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 드라이브(2)는 제1 연결 로드(24)의 동작을 구동하고, 제1 연결 로드(24)는 강판(9)이 이탈을 완료한 다음 제1 세로판(10)의 동작을 구동하며, 제1 세로판(10)은 제1 가로판(11)의 동작을 구동하고, 제1 가로판(11)은 제1 연결판(12)의 동작을 구동하며, 그 후 마찰 부분의 결합 또는 이탈을 완료한다. 결합기 부분에 있어서, 먼저 제2 세로판(13)에서의 마찰판과 강판의 이탈을 완료한 다음, 제2 가로판(14)은 제2 걸림 연결 링(17)의 동작을 구동하며, 그 후 제1 세로판에서의 마찰판과 강판의 이탈을 완료한 다음, 제1 가로판은 제1 걸림 연결 링(16)의 동작을 구동하되, 제1 걸림 연결 링(16)과 제2 걸림 연결 링(17)이 이때 동시에 이탈되기 때문에, 싱크로나이저(7)는 제1 걸림 연결 링(16) 및 제2 걸림 연결 링(17)에 진입하여 걸림 연결 잠금 작업을 완료한다.
본 명세서의 각 실시예는 모두 점진적 방식으로 설명되며, 각 실시예 사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서로 참조할 수 있고, 각 실시예에서 중점적으로 설명된 부분은 모두 다른 실시예와 구별되는 부분이다. 특히, 시스템 실시예는 방법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유사하므로, 설명이 비교적 간단하며, 관련된 부분은 방법 실시예의 설명 부분을 참조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 내에서 진행된 모든 수정, 등가적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차량용 클러치로서,
    일차 클러치를 포함하고, 일차 클러치의 타측에는 제1 드라이브 및 제2 드라이브가 설치되며, 일차 클러치 내에는 제1 이차 클러치 유닛 및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드라이브는 제1 이차 클러치 유닛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드라이브는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이차 클러치 유닛은 제1 이차 클러치, 및 제1 이차 클러치와 매칭되게 설치되는 마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은 제2 이차 클러치, 및 제2 이차 클러치와 매칭되게 설치되는 마찰 유닛을 포함하고, 제1 이차 클러치와 제2 이차 클러치 사이에는 싱크로나이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싱크로나이저는 제1 이차 클러치와 제2 이차 클러치가 분리될 경우 상기 싱크로나이저가 제1 이차 클러치와 제2 이차 클러치를 일체로 잠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유닛은 제1 이차 클러치 또는 제2 이차 클러치에 연결되는 클러치 마찰판, 및 일차 클러치에 고정 연결되는 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차 클러치는 클러치 마찰판에 연결되는 제1 세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판은 제1 가로판을 통해 제1 연결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이차 클러치는 클러치 마찰판에 연결되는 제2 세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로판은 제2 가로판을 통해 제2 연결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판에는 제1 걸림 연결 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판에는 제2 걸림 연결 링이 설치되며, 상기 싱크로나이저는 제1 걸림 연결 링, 제2 걸림 연결 링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싱크로나이저는 싱크로나이저 링을 포함하며, 상기 싱크로나이저 링의 측부에는 복귀 링이 설치되고, 상기 복귀 링은 탄성 부재를 통해 제1 가로판 및/또는 제2 가로판에 당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걸림 연결 링, 제2 걸림 연결 링 및 싱크로나이저는 서로 인접하여 당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복귀 링과 제2 가로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이고; 상기 제2 연결판에는 측면 연결 링이 설치되며, 상기 측면 연결 링은 제2 걸림 연결 링에 연결되고; 상기 싱크로나이저에는 스플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걸림 연결 링 및 제2 걸림 연결 링에는 스플라인에 걸림 연결되게 설치되는 걸림 연결 키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 연결 키에는 사선방향으로 설치된 원추면 기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브는 제1 릴리스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릴리스 레버는 제1 릴리스 베어링과 매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릴리스 베어링은 제1 연결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는 일차 클러치를 관통하여 제1 이차 클러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로드는 제1 릴리스 베어링에 연결되는 제1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는 제1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는 제1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는 일차 클러치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는 제1 이차 클러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는 일차 클러치 내에 임베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라이브는 제2 릴리스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릴리스 레버는 제2 릴리스 베어링과 매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릴리스 베어링은 제2 연결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는 일차 클러치를 관통하여 제2 이차 클러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로드는 제2 릴리스 베어링에 연결되는 제2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는 제2 가로방향 릴리스 레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는 제2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는 일차 클러치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동력 전달 릴리스 레버는 제2 이차 클러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로방향 릴리스 레버는 일차 클러치 내에 임베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10.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 압력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압력판은 제1 이차 클러치 유닛 또는 제2 이차 클러치 유닛에 당접되게 설치되며, 클러치 압력판과 일차 클러치 사이에는 압력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KR1020227007538A 2019-12-25 2020-12-21 차량용 클러치 KR102607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355968.5A CN111075856B (zh) 2019-12-25 2019-12-25 一种车用离合器
CN201911355968.5 2019-12-25
PCT/CN2020/137891 WO2021129553A1 (zh) 2019-12-25 2020-12-21 一种车用离合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164A true KR20220063164A (ko) 2022-05-17
KR102607922B1 KR102607922B1 (ko) 2023-11-29

Family

ID=7031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538A KR102607922B1 (ko) 2019-12-25 2020-12-21 차량용 클러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20639B2 (ko)
EP (1) EP4008924B1 (ko)
JP (1) JP2022547137A (ko)
KR (1) KR102607922B1 (ko)
CN (1) CN111075856B (ko)
WO (1) WO2021129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5856B (zh) 2019-12-25 2023-11-28 泰安晟泰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用离合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511B1 (ko) * 2010-03-19 2018-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음향 재생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2359C3 (de) 1987-12-19 1993-01-14 Getrag Getriebe Zahnrad Doppelkupplungsgetriebe
US7246692B2 (en) * 2004-10-26 2007-07-24 Borgwarner Inc. Dual clutch mechanism for a transmission
JP2006125520A (ja) * 2004-10-28 2006-05-18 Nissan Motor Co Ltd 変速機の同期装置
JP5861290B2 (ja) * 2011-07-13 2016-02-1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デュアルクラッチ式変速機の制御方法とデュアルクラッチ式変速機とそれを搭載した車両
CN103332102B (zh) * 2013-07-04 2016-08-10 重庆大学 基于双离合器自动变速器的单电机混合动力驱动系统
CN204327915U (zh) * 2014-12-18 2015-05-13 重庆隆旺机电有限责任公司 联动式双离合变速器
CN212177707U (zh) * 2019-12-25 2020-12-18 泰安晟泰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用离合器复合组件
CN212177710U (zh) * 2019-12-25 2020-12-18 泰安晟泰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用离合器
CN111075856B (zh) * 2019-12-25 2023-11-28 泰安晟泰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用离合器
CN111075852B (zh) * 2019-12-25 2023-10-10 泰安晟泰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用离合器复合组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511B1 (ko) * 2010-03-19 2018-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음향 재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922B1 (ko) 2023-11-29
EP4008924B1 (en) 2023-09-06
WO2021129553A1 (zh) 2021-07-01
US11920639B2 (en) 2024-03-05
CN111075856B (zh) 2023-11-28
CN111075856A (zh) 2020-04-28
JP2022547137A (ja) 2022-11-10
US20220341471A1 (en) 2022-10-27
EP4008924A4 (en) 2022-10-26
EP4008924A1 (en)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5901A (en) Reduction gearset for electric vehicle
US10598280B2 (en) Actu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angular position of a control member, particularly for a vehicle transmission
CA1070525A (en) Low speed disconnect for constant speed drive transmission
RU2652332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противоотка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него
US8573378B2 (en) Parking lock device for motor vehicle
KR20220063164A (ko) 차량용 클러치
CN212177710U (zh) 一种车用离合器
CN111433490A (zh) 能够二级限制差动的差动装置
US2002841A (en) Clutch
CN108698508B (zh) 用于工业驱动装置的具有制动断开系统的液压动力输出装置
JP6416116B2 (ja) オーバーランモードおよび保持された制御要素を有する、制御可能式または選択可能式の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
CN111075852B (zh) 一种车用离合器复合组件
US20060021458A1 (en) Actuator
US2018101A (en) Automatic clutch
JP2019090429A (ja) クラッチ装置
US10443724B2 (en) Manual park release for electronically shiftable transmissions
US2140100A (en) Clutch
US2156336A (en) Automatic transmission
US2389520A (en) Torque converter
CN213573403U (zh) 离合驱动机构及自动锁体
CN213017657U (zh) 用于车辆的紧急驻车装置和车辆
KR102540878B1 (ko) 클러치-브레이크 장치
JP2018179092A (ja) クラッチ機構および排水弁駆動装置
JPS58105829A (ja) 作業機
US1727793A (en) Starter for automob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