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791A -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791A
KR20220062791A KR1020200148403A KR20200148403A KR20220062791A KR 20220062791 A KR20220062791 A KR 20220062791A KR 1020200148403 A KR1020200148403 A KR 1020200148403A KR 20200148403 A KR20200148403 A KR 20200148403A KR 20220062791 A KR20220062791 A KR 20220062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gbaekpi
skin
lotion
fermented extract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아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아이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아이블
Priority to KR1020200148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2791A/ko
Publication of KR2022006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effect comprising fermenting extracts of Mulberry Root Bark}
본 발명은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라 불리는 피부 세포에서 만들어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표피 세포로 이동한다. 여기서 멜라닌은 핵 주변에 모자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여 자외선으로부터 유전자를 보호하고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제거하여 세포 내 단백질을 보호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멜라닌생성(melanogenesis)은 멜라닌세포에서 멜라닌 색소가 생합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세포내 및 세포외 환경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멜라닌생성은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촉발되는데, 이는 티로신을 도파퀴논으로 산화시키고, 상기 도파퀴논은 계속해서 엷은 황색/적색 화합물인 페오멜라닌(pheomelanin)과 연갈색 내지 흑색인 유멜라닌(eumelanin)으로 전환된다. 피부에서, 멜라닌은 색소형성에 영향을 주고, 피부를 자외선과 다른 피부 질환의 원인들로부터 보호하지만, 반면에 멜라닌의 비정상적인 축적은 기미와 주근깨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멜라닌 과잉 형성에 기인한 피부 과색소성 질환으로는 유전적 피부 질환, 예를 들어, 백반, 바덴부르그 증후군, 후천적 피부 질환, 예를 들어, 후염증성 백색 비강진, 원인불명 물방울 멜라닌 저하증, 기미, 약물치료에 기인한 피부 질환, 예를 들어, 미노사이클린, 블레오마이신, 부술판, 지도부딘, 및 감염을 통해 전이된 피부 질환, 예를 들어, 어루러기 등이 있다. 생체 내에는 멜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고 다만 케라티노사이트가 표피에서 떨어져나갈 때, 멜라닌과 함께 피부에서 떨어져나가는 것으로 제거된다. 하지만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기미나 주근깨, 점 등과 같은 과색소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레져 인구의 증가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막고자 하는 요구가 더욱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과도한 멜라닌 생성을 막는 미백제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 동안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으며, 지금까지 개발된 미백제로 코지산, 알부틴, 글루타치온, 비타민 A, 비타민 C 등이 있지만 소비자들이 만족할 만한 미백효과를 갖지 못하고 있으며 부작용 때문에 그 사용량에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이제까지의 미백제보다 효능이 뛰어나고 좀 더 안전한 미백제를 개발하는 것이 절실한 시점이다.
한편, 전통 발효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런 발효 기법들을 활용한 다양한 추출물의 제조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천연물 등을 발효시켜 기존 천연물의 성능 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 천연물 추출물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등의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통상적으로 천연물에 공지된 미생물 등을 투입하여 발효시키는 방법이 채택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9377호는 채소 및 한약재 착즙액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1542)을 이용한 발효 방법을 개시하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5261호는 황기 및 구기자 등이 혼합된 한약재에서 한약재 추출액을 제조하고 이 추출액에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배양액을 혼합하여 배양, 숙성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웰빙 등의 추세에 따른 인공적인 요소가 가미되지 않은 천연 발효 방법을 이용한 천연물의 발효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제품에 대한 요구가 계속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천연 발효 방법은 인체에 유해한 대장균, 혐기성 세균 등에 의한 부패 및 오염에 대한 위험성으로 실제 제품으로 활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끓이는 방법 등의 발효 전 살균 방법이 고안되었지만 열에 의해 효능 성분 등이 파괴될 수 있기 때문에 비살균 방법에 의한 발효법의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
선행기술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9377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5261호
본 발명자들은 천연유래의 유효물질 중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뛰어나고, 제품으로서의 안정성도 우수한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상백피를 소금에 절인 후 발효시키는 천연 발효 방법을 통해 제조된 상백피 염장 발효물은 일반 발효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백피 발효물 뿐만 아니라 기존에 미백 기능성 원료로 널리 사용되는 코지산에 비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피부"는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피부 미백"은 멜라닌 등의 색소의 과다로 인하여 명도가 감소한 피부의 명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피부의 명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방법,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명도가 증가한 피부 등을 포괄하여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색소 침착 질환 및 예방용 조성물은 기존에 미백 기능성 원료로 널리 사용되는 코지산 보다 더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안정성 면에서도 우수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상백피 염장 발효 추출물의 발효 4일차 및 발효 10일차 발효산물에 대한 사진이다.
아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라 함은 어떤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를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함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의 부가를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1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방법은:
(A) 상백피에 소금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상백피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금은 정제된 고순도 염화나트륨, 천일염, 암염 또는 죽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금의 농도는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금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에서는 기대하는 효과를 발휘하기가 어렵고,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소금 첨가에 따른 효과의 변화가 미미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발효는 4 내지 40℃의 온도에서 30일 내지 1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효가 4℃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 유용 미생물의 성장이 잘 되지 않으며, 상기 발효가 4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 미생물의 성장이 너무 과하게 일어나 생약제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추출은 10 내지 80℃의 온도에서 6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추출 용매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C) 용매로 추출한 후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는 단계; 및 필요한 경우, (D) 액상물의 용매를 증발시키거나,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또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 % 로 배합될 수 있다.
제3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색소 침착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 증가로 피부에 국소적으로 발생하고,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염증 후 색소 침착, 및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과색소 침착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색소 침착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또는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색소 침착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제형 이외에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과립제(GRANULES), 로션제(LP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안연고제(OPHTALMIC OINT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점안제(OPHTHALMIC SOLUT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I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들은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외용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 범위에 한정되진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비강 내 또는 비경구 투여에 의해 전신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경구, 경피, 정맥내, 구강내, 비강내, 시상하부내(intrahypothalamic), 뇌실내(intracerebroventricular), 경막내(intrathecal), 소장내, 직장내, 결장내, 혹은 안구내(intraocular) 투여가 가능 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하기 실시예는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1. 상백피 발효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상백피 500g을 이온수 용액에 혼합한 후 옹기에 담아 준비하고 4℃에서 약 10일간 발효시킨 후 여기에 80%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 1ℓ로 5회 추출하여 색소를 제거하고, 수층을 1-부탄올 500㎖로 3회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총 1-부탄올층을 감압농축하여 1-부탄올 추출물을 얻고, 이를 소량의 메탄올에 녹인 다음,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상백피 발효 추출물 75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상백피 염장 발효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상백피 500g을 100~180℃에서 초제 용기에 넣은 다음 10분~1시간 동안 볶은 후 1 중량% 농도의 소금 용액에 혼합한 후 옹기에 담아 준비하고 4℃에서 약 10일간 발효시킨 후 여기에 80%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다음,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 1ℓ로 5회 추출하여 색소를 제거하고, 수층을 1-부탄올 500㎖로 3회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총 1-부탄올층을 감압농축하여 1-부탄올 추출물을 얻고, 이를 소량의 메탄올에 녹인 다음,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상백피 염장 발효 추출물 8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 따른 발효 추출물의 비교
상기 비교예 1에 따른 상백피 발효 추출물 및 실시예 1에 따른 상백피 염장 발효 추출물의 발효 4일차 및 발효 10일차 발효 산물을 비교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발효 산물은 곰팡이의 생성 없이 자연 발효 숙성이 일어났으나, 비교예 1의 발효 산물은 하얀색 곰팡이가 성장하여 악취가 발생하는 부패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 염장 발효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C57BL/6 마우스 유래의 쥐의 색소세포(Mel-Ab cell)를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DMEM)에 10% 우태반 혈청, 100nM 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빌 (tetradecanoyphorbol)-13-아테이트,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을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Mel-Ab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웰 플레이트에 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하고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10ppm의 시험물질을 가하여 배양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백피 염장 발효 추출물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코지산을 사용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Dooley의 방법).
Figure pat00001
시험물질 멜라닌 생성 억제율(%)
실시예 1 41.2
비교예 1 20.4
코지산 32.6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상백피 염장 발효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41.2%로서 은 비교예 1에 따른 발효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 20.4% 보다 현저히 우수할 뿐만 아니라, 코지산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 32.6%에 비해서도 뛰어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백피 염장 발효 추출물은 우수한 미백제로 사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A) 상백피에 소금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상백피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백피 염장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은 정제된 고순도 염화나트륨, 천일염, 암염 또는 죽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의 농도는 상백피 염장 발효 추출물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발효는 4 내지 40℃의 온도에서 30일 내지 1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추출은 10 내지 80℃의 온도에서 6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상백피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상백피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염증 후 색소 침착, 및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과색소 침착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색소 침착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색소 침착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00148403A 2020-11-09 2020-11-09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62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403A KR20220062791A (ko) 2020-11-09 2020-11-09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403A KR20220062791A (ko) 2020-11-09 2020-11-09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791A true KR20220062791A (ko) 2022-05-17

Family

ID=8180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403A KR20220062791A (ko) 2020-11-09 2020-11-09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27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9836B2 (ja) 植物搾汁物由来の細胞外小胞体を含む皮膚改善および脱毛防止用組成物
KR102207364B1 (ko)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10098124A (ko) 포제를 이용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EP3854379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entella asiatica adventitious root extract as effective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reduction
KR101989407B1 (ko)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170048904A (ko) 코스투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53258B1 (ko) 발효홍삼, 동과자 및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135264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3773B1 (ko) 유자 또는 지실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9698B1 (ko)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재생용 조성물
KR102157580B1 (ko) 피마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062791A (ko) 상백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EP3162375A1 (e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TW201628598A (zh) 包含醋栗或穀胱甘肽之組合物
KR20210006090A (ko) 멀구슬 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 또는 백모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26200B1 (ko) 데쿠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미백용 조성물
EP3127548B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rtemisia umbelliformis
KR102355138B1 (ko)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20002053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mmp阻害剤、メラニン生成抑制剤、細胞増殖促進剤、抗酸化剤、シワ改善剤、医薬品又は食品組成物
KR102326086B1 (ko)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2650192B1 (ko) 스노우베리 과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