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448A - 건축용 브래킷, 건물 벽 구조 및 판재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브래킷, 건물 벽 구조 및 판재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448A
KR20220062448A KR1020217030403A KR20217030403A KR20220062448A KR 20220062448 A KR20220062448 A KR 20220062448A KR 1020217030403 A KR1020217030403 A KR 1020217030403A KR 20217030403 A KR20217030403 A KR 20217030403A KR 20220062448 A KR20220062448 A KR 20220062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ing
wall
building
suppor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오치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6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2Shores or struts; Chocks non-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과제]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시공에 있어서의 고정 대상물과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 높은 자유도를 실현하기에 적합한 건축용 브래킷 및 이를 사용한 건물 벽 구조와 판재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건축용 브래킷(X1)은 구조체에 접촉하기 위한 면(11)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10)와, 제1 고정부(10)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제1 고정부(10)의 단부로부터 면(11)과는 반대 측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부(20)를 구비한다. 제2 고정부(20)는 면(21A)을 포함하는 기재부(21)와, 리브부(22)와, 제1 측벽부(23)와, 제2 측벽부(24)를 구비한다. 리브부(22)는 기재부(21)로부터 돌출되며, 돌출단에 면(22A)을 포함한다. 제1 측벽부(23)는 기재부(21)의 폭 방향(W)에 있어서의 기재부(21)의 일 단부로부터 리브부(22)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측벽부(24)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기재부(21)의 타 단부로부터 리브부(22)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브래킷, 건물 벽 구조 및 판재 시공 방법
본 발명은 건물의 벽 구조 시공에 사용할 수 있는 건축용 브래킷, 그리고 건축용 브래킷을 사용한 건물 벽 구조 및 판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벽 구조 시공에는, 벽면 구성용의 복수 매의 판재를 상하 좌우로 맞붙여서 구체(軀體) 구조물에 대하여 벽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각종 고정 연결구가 사용된다. 그러한 고정 연결구의 하나로서, 벽면 구성용 판재가 고정되어서 해당 판재를 지지하는 예를 들면, 띠장(furring strips)을 구체 구조물에 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건축용 브래킷)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건축용 브래킷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9-732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169041호
건축용 브래킷에는 벽 구조 시공 작업에 견딜 수 있는 강도나, 시공된 벽 구조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강도가 요구된다. 한편, 철골조(S조) 등, 건물 구조의 종류에 따라서는, 벽 구조의 시공에 있어서, 건축용 브래킷을 배치할 수 있는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경우가 있으며, 또, 건축용 브래킷에 고정되어서 지지되는 띠장 등, 고정 대상물을 배치할 수 있는 위치에도 제한이 있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브래킷은 그 구조에 따라서는 소정의 벽 구조 시공에 사용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하에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시공에 있어서의 고정 대상물과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 높은 자유도를 실현하기에 적합한 건축용 브래킷, 그리고 이를 사용한 건물 벽 구조 및 판재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건축용 브래킷이 제공된다. 이 건축용 브래킷은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구비한다. 제1 고정부는 구조체에 접촉하기 위한 제1 면을 포함한다. 제2 고정부는 기재부와, 리브부와, 제1 측벽부와, 제2 측벽부를 구비한다.
제2 고정부는 제1 고정부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상기 제1 고정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면과는 반대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접촉하기 위한 제2 면을 포함한다. 리브부는 기재부로부터 제2 면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되며, 또한, 그 돌출단에는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제3 면을 포함한다. 제1 측벽부는 제2 고정부의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에서 있어서의 기재부의 일 단부로부터 리브부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며, 또한, 폭 방향에 있어서 리브부와 병렬하는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제1 벽부를 포함한다. 제2 측벽부는 기재부의 폭 방향에서 있어서의 기재부의 타 단부로부터 리브부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며, 또한, 폭 방향에 있어서 리브부와 병렬하는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제2 벽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건축용 브래킷은 벽 구조 시공에 있어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사용된다.
우선, 건축용 브래킷의 제1 고정부의 제1 면을 구체 구조물이 갖는 소정의 벽면에 접촉시키고, 그 상태에서, 제1 고정부를 제1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벽면에 이르는 체결 부재에 의해서 건축용 브래킷과 벽면을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구체 구조물의 벽면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건축용 브래킷이 소정의 배치로 부착된다.
다음으로, 벽면 상에 부착된, 예를 들면, 2개 이상의 건축용 브래킷에 대하여, 고정 대상물(부재)을 중개한 상태에서, 해당 고정 대상물을 건축용 브래킷에 대하여 고정시킨다(쌍브래킷 고정 작업). 고정 대상물이란 벽부 구성용 판재가 고정되어서 해당 판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재이며, 예를 들면, 띠장이다. 띠장은 이른바 세로 띠장일 수 있고, 가로 띠장일 수 있다.
쌍브래킷 고정 작업에서는, 구체적으로는, 건축용 브래킷의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기재부의 제2 면에 고정 대상물을 접촉시키고, 그 상태에서, 기재부를 제2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고정 대상물에 이르는 체결 부재에 의해서 건축용 브래킷과 고정 대상물을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혹은, 건축용 브래킷의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리브부의 제3 면과 제1 벽부와 제2 벽부에 고정 대상물을 접촉시키고, 그 상태에서, 리브부를 제3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고정 대상물에 이르는 체결 부재에 의해서 건축용 브래킷과 고정 대상물을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이렇게 하여 사용되는 본 건축용 브래킷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대상물과 체결되는 제2 고정부가 그 기재부에 있어서 리브부를 가지며, 그와 더불어, 기재부로부터 리브부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측벽부 및 제2 측벽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건축용 브래킷에 있어서, 이른바 부육(不陸) 조정 등을 포함한 벽 구조 시공 작업에 견딜 수 있는 강도나, 시공된 벽 구조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강도를 향상시키기에 적합하다.
또한, 본 건축용 브래킷에 있어서 고정 대상물과 체결되는 제2 고정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면으로서, 제2 면과, 해당 제2 면과는 반대인 제3 면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벽 구조 시공에 있어서, 건축용 브래킷과 고정 대상물과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 높은 자유도를 실현하기에 적합하다. 즉, 본 건축용 브래킷은 다양한 배향 및 장착 양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측면과 관련되는 건축용 브래킷은 그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시공에 있어서의 고정 대상물과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 높은 자유도를 실현하기에 적합하다. 건축용 브래킷에 있어서의 강도 향상은 건축용 브래킷이 사용되는 건물 벽 구조 내에 있어서, 건축용 브래킷의 변형을 억제하기에 적합하며, 따라서, 건축용 브래킷에 고정되는 고정 대상물이나 해당 고정 대상물에 고정되는 벽면 구성용 판재 등, 다른 부재를 안정되게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배치 관계에 관한 높은 자유도의 실현은 철골조(S조)나 철근 콘크리트조(RC조) 등, 각종 건물 구조에 있어서, 본 건축용 브래킷을 다양한 벽 구조 시공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본 건축용 브래킷에 있어서, 제1 측벽부의 제1 벽부와, 제2 측벽부의 제2 벽부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리브부가 기재부로부터 같은 측으로 돌출되며, 또한, 병렬하고 있다고 상술한 구성은 제2 고정부의 제3 면 측에 고정 대상물이 배치되어서 제2 고정부와 체결될 경우, 제2 고정부가 고정 대상물에 3개소에서 접촉하도록 구성하기 쉽다. 제2 고정부가 고정 대상물에 3개소에서 접촉한다는 구성은 제2 고정부 내지 건축용 브래킷이 고정 대상물이나 해당 고정 대상물에 고정되는 벽면 구성용 판재 등, 다른 부재를 안정되게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제3 면, 제1 벽부 및 제2 벽부의 기재부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같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2 고정부의 제3 면 측에 고정 대상물이 배치되어서 제2 고정부와 체결될 경우, 고정 대상물에 제2 고정부가 3개소에서 접촉하기에 적합하며, 따라서, 제2 고정부 내지 건축용 브래킷이 고정 대상물이나, 해당 고정 대상물에 고정되는 벽면 구성용 판재 등, 다른 부재를 안정되게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고정부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해당 제1 고정부의 일 단부로부터 제2 고정부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는 제3 측벽부와,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해당 제1 고정부의 타 단부로부터 제2 고정부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는 제4 측벽부를 갖는다. 이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고정부의 제1 측벽부와 제1 고정부의 제3 측벽부는 연결되며, 또한, 제2 고정부의 제2 측벽부와 제1 고정부의 제4 측벽부는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건축용 브래킷의 강도를 향상시킴에 있어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측벽부는 제1 벽부보다 제1 고정부 측에, 제1 벽부보다 높은 제1 고벽부를 포함하고, 제2 측벽부는 제2 벽부보다 제1 고정부 측에, 제2 벽부보다 높은 제2 고벽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건축용 브래킷의 강도를 향상시킴에 있어 적합하다.
제2 고정부의 기재부는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재 관통용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갖는다. 그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제2 고정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을 포함한다. 리브부는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재 관통용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갖는다. 그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제2 고정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을 포함한다. 제1 고정부는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재 관통용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갖는다. 그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제1 구멍과, 해당 제1 구멍 주위에 위치하는, 해당 제1 구멍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멍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 각각은 본 건축용 브래킷을 사용하는 벽 구조 시공 시에, 체결 부재 관통용 구멍을 본 건축용 브래킷에 마련하는 작업을 삭감 또는 회피하여, 시공 작업의 간이화·효율화를 도모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고정부에서의 제1 면과는 반대 측 표면에는 위치 맞춤용 기준선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본 건축용 브래킷을 사용하는 벽 구조 시공 시에 있어서, 본 건축용 브래킷의 위치 결정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건물 벽 구조가 제공된다. 이 건물 벽 구조는 벽면을 갖는 구조체와, 벽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건축용 브래킷과, 각각이 적어도 2개의 건축용 브래킷에 걸쳐서 배치된 복수의 지지재와, 복수의 제1 체결 부재와, 복수의 제2 체결 부재와, 벽면을 덮기 위한 복수의 판재를 구비한다.
건축용 브래킷은 본 발명의 제1 측면과 관련되는 상술한 건축용 브래킷이다. 본 건물 벽 구조에 있어서, 건축용 브래킷은 제1 고정부의 제1 면에서 벽면에 접촉하고, 제1 고정부를 제1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벽면에 이르는 제1 체결 부재에 의해서 건축용 브래킷과 벽면이 체결되어 있다. 지지재는 건축용 브래킷에 대하여 고정되는 제1 접합부와, 해당 제1 접합부에서의 벽면과는 반대 측과 접속하는 제2 접합부를 갖는다. 또한, 판재는 지지재에서의 제2 접합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복수의 건축용 브래킷에 대한 복수의 지지재의 복수의 고정 개소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 고정 개소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1 고정 양태 또는 제2 고정 양태가 실현되고 있다.
제1 고정 양태에서는, 지지재의 제1 접합부는 건축용 브래킷의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기재부의 제2 면에 접촉하고, 기재부를 제2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제1 접합부에 이르는 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건축용 브래킷과 지지재가 체결되어 있다. 제2 고정 양태에서는, 지지재의 제1 접합부는 건축용 브래킷의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리브부의 제3 면과 제1 벽부와 제2 벽부에 접촉하고, 리브부를 제3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제1 접합부에 이르는 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건축용 브래킷과 지지재가 체결되어 있다.
본 건물 벽 구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제1 측면과 관련되는 상술한 건축용 브래킷이 사용된다. 따라서, 본 건물 벽 구조에 따르면, 본 건물 벽 구조에 포함되는 건축용 브래킷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측면과 관련되는 건축용 브래킷에 관해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기술적 효과가 나타난다.
지지재에 대한 판재의 상기 부착 양태 중, 「판재는 지지재에서의 제2 접합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구성이란, 구체적으로는, 판재가 지지재와는 다른 지지재를 개재시키지 않고 제2 접합부에 연결되며, 나사 등의 체결 부재나 부착구 등에 의해서, 지지재에 직접 부착되는 구성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판재가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요소로서 지지재와는 다른 지지재를 사용하지 않고, 부품 점수의 삭감과 공정수 삭감에 따른 작업 간소화를 실현 가능하다.
한편, 지지재에 대한 판재의 상기 부착 양태 중, 「판재는 지지재에서의 제2 접합부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구성이란, 구체적으로는, 판재가 지지재(제1 지지재)와는 다른 지지재(제2 지지재, 예를 들면 후기하는 추가 지지재)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제2 접합부에 연결되며, 그 제2 지지재가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서 제1 지지재에 부착되고, 나아가, 판재가 나사 등의 체결 부재나 부착구 등에 의해서 제2 지지재에 부착되는 구성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제2 지지재는 적어도 1개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1 지지재와는 다른 제2 지지재를 사용함으로써, 벽면의 부육 조정을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어서, 판재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건물 벽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연장 부재 및 제3 체결 부재를 추가로 구비한다.
연장 부재는 연장 기재부와, 제1 연장 측벽부와, 제2 연장 측벽부를 구비한다. 연장 기재부는 건축용 브래킷의 기재부의 제2 면 또는 제3 면에 접촉하기 위한 제4 면과, 해당 제4 면과는 반대 측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제5 면을 포함하고 기재부를 따라 연장된다. 제1 연장 측벽부는 연장 기재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연장 기재부의 일 단부로부터 해당 연장 기재부의 두께 방향에서의 제4 면 측으로 돌출된다. 제2 연장 측벽부는 연장 기재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연장 기재부의 타 단부로부터 제1 연장 측벽부와 같은 측으로 돌출된다.
연장 부재의 제1 연장 측벽부와 제2 연장 측벽부 사이에 건축용 브래킷의 제2 고정부가 삽입되며, 또한, 해당 연장 부재는 제2 고정부가 연장되는 방향 및 연장 기재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건축용 브래킷에서의 제2 고정부보다, 제1 고정부와는 반대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건축용 브래킷에 대한 지지재의 고정 개소에서는 하기의 제1 체결 양태 또는 제2 체결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제1 체결 양태에서는, 연장 부재의 제4 면은 건축용 브래킷의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기재부의 제2 면에 접촉하고, 기재부를 제2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연장 기재부에 이르는 제3 체결 부재에 의해서 건축용 브래킷과 연장 부재가 체결되며, 또한, 지지재의 제1 접합부는 연장 부재의 제5 면에 접촉하고, 연장 부재를 제4 면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제1 접합부에 이르는 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연장 부재와 지지재가 체결되어 있다.
제2 체결 양태에서는, 연장 부재의 제4 면은 건축용 브래킷의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리브부의 제3 면에 접촉하고, 리브부를 제3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연장 기재부에 이르는 제3 체결 부재에 의해서 건축용 브래킷과 연장 부재가 체결되며, 또한, 지지재의 제1 접합부는 연장 부재의 제5 면에 접촉하고, 연장 부재를 제4 면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제1 접합부에 이르는 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연장 부재와 지지재가 체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연장 부재는 지지재에 대해서 부육 조정하기에 적합하다. 와 함께, 구체 구조물과 지지재 사이의 연결에 대해서 협동하는 상술한 건축용 브래킷 및 해당 연장 부재는 건물 벽 구조 내에 있어서,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지지재와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 높은 자유도를 실현하기에 적합하다.
연장 기재부는 바람직하게는, 해당 연장 기재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부재 관통용의 적어도 하나의 긴 구멍과, 폭 방향에 있어서 긴 구멍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는 체결 부재 관통용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갖는다. 와 같은 구성은 본 건물 벽 구조 시공 시에, 체결 부재 관통용 구멍을 연장 부재에 마련하는 작업을 삭감 또는 회피하여, 시공 작업의 간이화·효율화를 도모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건물 벽 구조는 적어도 2개의 지지재에 걸쳐서 배치된 복수의 추가 지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추가 지지재는 적어도 2개의 지지재에서의 제2 접합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판재는 추가 지지재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건축용 브래킷의 배치 피치와는 다른 피치(예를 들면, 동일 피치보다 작은 피치)로 복수의 추가 지지재를 배치한 뒤에, 해당 추가 지지재에 판재를 부착할 수 있어서, 판재를 보다 한층 더 안정되게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벽면을 갖는 구조체에 대하여 판재를 부착하기 위한 판재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이 판재 시공 방법은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을 포함한다.
제1 공정에서는, 벽면에 대하여 복수의 건축용 브래킷을 부착한다. 건축용 브래킷은 본 발명의 제1 측면과 관련되는 상술한 건축용 브래킷이다. 제1 공정에서는, 건축용 브래킷의 제1 고정부의 제1 면을 벽면에 접촉시키고, 제1 고정부를 제1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벽면에 이르는 제1 체결 부재에 의해서 건축용 브래킷과 벽면을 체결한다.
제2 공정에서는, 벽면 상에 부착된 적어도 2개의 건축용 브래킷에 대하여 지지재를 고정시킨다. 지지재는 건축용 브래킷에 대하여 고정되는 제1 접합부와, 해당 제1 접합부에 있어서의 벽면과는 반대 측과 접속하는 제2 접합부를 갖는다.
제2 공정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지지재의 제1 접합부를 건축용 브래킷의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기재부의 제2 면에 접촉시키고, 기재부를 제2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제1 접합부에 이르는 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건축용 브래킷과 지지재를 체결한다. 혹은, 제2 공정에서는, 지지재의 제1 접합부를, 건축용 브래킷의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리브부의 제3 면과 제1 벽부와 제2 벽부에 접촉시키고, 리브부를 제3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제1 접합부에 이르는 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건축용 브래킷과 지지재를 체결한다.
또한, 제3 공정에서는, 지지재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판재를 부착한다.
본 판재 시공 방법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제1 측면과 관련되는 상술한 건축용 브래킷이 사용된다. 따라서, 본 판재 시공 방법에 따르면, 거기에 사용되는 건축용 브래킷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측면과 관련되는 건축용 브래킷에 관해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기술적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건축용 브래킷의 일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건축용 브래킷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건축용 브래킷의 III-III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건축용 브래킷의 일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건축용 브래킷의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해당 단면도는 도 1에 나타내는 건축용 브래킷에 있어서의 도 3에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하는 개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건축용 브래킷의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벽 구조 시공에 있어서의 브래킷의 부착 양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벽 구조 시공에 있어서 브래킷을 사용한 지지재 장착 작업의 일례인 일 공정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공정 후에 이어지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공정 후에 이어지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 11은 지지재 장착 양태의 다른 예 1을 나타낸다.
도 12는 지지재 장착 양태의 다른 예 2를 나타낸다.
도 13은 지지재 장착 양태의 다른 예 3을 나타낸다.
도 14는 연장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연장 부재에서의 XV-XV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건축용 브래킷 및 연장 부재를 사용한 지지재 장착 양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은 건축용 브래킷 및 연장 부재를 사용한 지지재 장착 양태의 다른 예 1을 나타낸다.
도 18은 건축용 브래킷 및 연장 부재를 사용한 지지재 장착 양태의 다른 예 2를 나타낸다.
도 19는 건축용 브래킷 및 연장 부재를 사용한 지지재 장착 양태의 다른 예 3을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건물 벽 구조의 사시도(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건물 벽 구조의 일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나타내는 건물 벽 구조의 다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건물 벽 구조의 사시도(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건물 벽 구조의 일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나타내는 건물 벽 구조의 다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브래킷(X)을 나타낸다. 도 1은 브래킷(X)의 일 사시도이다. 도 2는 브래킷(X)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브래킷(X)의 III-III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브래킷(X)은 제1 고정부(10) 및 제2 고정부(20)를 구비한다. 브래킷(X)은 예를 들면, 건물의 벽 구조 시공에 사용되는 건축용 브래킷으로서, 형성되는 벽 구조에 있어서, 벽부 구성용 판재가 고정되어서 해당 판재를 지지하는 띠장 등을 구체 구조물에 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요소이다.
브래킷(X)의 제1 고정부(10)는 일 방향(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부(20)의 해당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일 단부로부터 다른 방향(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하고 있지만, 교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브래킷(X)의 제1 고정부(10) 및 제2 고정부(2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방향(D1)와 직교하며, 또한, 제2 방향(D2)과 직교하는 방향(폭 방향(W))으로 폭을 갖는다(폭 방향(W)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교차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고정부(10)의 제2 방향(D2) 치수는 예를 들면, 30∼70㎜이다. 제2 고정부(20)의 제1 방향(D1) 치수는 예를 들면, 70∼140㎜이다. 브래킷(X) 내지 제1 고정부(10) 및 제2 고정부(20)의 폭(폭 방향(W) 치수)은 예를 들면, 30∼70㎜이다.
제1 고정부(10)는 제2 고정부(20)와는 반대 측으로 구조체에 접촉하기 위한 면(11)(제1 면)을 포함한다. 제1 고정부(10)에 있어서의 면(11)과는 반대 측 면(12)에는 위치 맞춤용 기준선(L)(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기준선과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기준선)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면(12)에 기준선(L)이 새겨져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 대신, 기준선(L)은 면(12)에 인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10)는 제3 측벽부(13) 및 제4 측벽부(14)를 갖는다. 제3 측벽부(13)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제1 고정부(10)의 일 단부로부터 제2 고정부(20) 측으로 돌출된다. 제4 측벽부(14)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제1 고정부(10)의 타 단부로부터 제2 고정부(20) 측으로 돌출된다. 제1 고정부(10)에 있어서, 면(12)으로부터의 제3 측벽부(13) 및 제4 측벽부(14)의 돌출 높이는 각각 예를 들면, 6∼15㎜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고정부(10)는 체결 부재 관통용 구멍(H1∼H5)을 갖는다. 구멍(H4∼H5)은 구멍(H1)에 비하여 작다. 구멍(H1)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구멍(H1)의 제2 방향(D2) 치수는 예를 들면, 15∼45㎜이고, 구멍(H1)의 폭 방향(W) 치수는 예를 들면, 7∼18㎜이다.
구멍(H2)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며, 폭 방향(W)에 있어서 구멍(H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구멍(H2)의 제2 방향(D2) 치수는 예를 들면, 7∼17㎜이고, 구멍(H2)의 폭 방향(W) 치수는 예를 들면, 3∼7㎜이다. 구멍(H3)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며, 폭 방향(W)에 있어서, 구멍(H1)에 대하여 구멍(H2)과는 반대 측으로 이격되어 있다. 구멍(H3)의 제2 방향(D2) 치수는 예를 들면, 7∼17㎜이고, 구멍(H3)의 폭 방향(W) 치수는 예를 들면, 3∼7㎜이다.
구멍(H4)은 둥근 구멍이며,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 구멍(H2)과 중복되며, 또한, 제2 방향(D2)에 있어서 구멍(H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구멍(H4)의 직경은 예를 들면, 3∼7㎜이다. 구멍(H5)은 둥근 구멍이며,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 구멍(H3)과 중복되며, 또한, 제2 방향(D2)에 있어서 구멍(H3)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구멍(H5)의 직경은 예를 들면, 3∼7㎜이다. 이들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폭 방향(W)에 있어서, 구멍(H4)과 구멍(H2)은 위치가 어긋나 있을 수 있고, 구멍(H5)과 구멍(H3)은 위치가 어긋나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D2)에 있어서, 구멍(H4)과 구멍(H2)은 형성 위치가 바뀔 수 있고, 구멍(H5)과 구멍(H3)은 형성 위치가 바뀔 수 있다.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는 기재부(21)와, 리브부(22)와, 제1 측벽부(23)와, 제2 측벽부(24)를 구비한다.
제2 고정부는 제1 고정부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제1 고정부의 단부로부터 제1 면과는 반대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재부(21)는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면(21A)(제2 면)과 해당 면(21A)과는 반대인 면(21B)을 포함한다. 면(21A)은 제2 방향(D2)에 있어서, 제2 고정부(20)로부터 연장되는 제1 고정부(10)와는 반대 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부(21)는 체결 부재 관통용 구멍(H6)과, 제1 방향(D1)으로 나열되는 4개의 구멍(H7)을 갖는다. 구멍(H6)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구멍(H6)의 제1 방향(D1) 치수는 예를 들면, 15∼100㎜이고, 구멍(H6)의 폭 방향(W) 치수는 예를 들면, 3∼7㎜이다. 구멍(H7)은 둥근 구멍이며, 폭 방향(W)에 있어서 구멍(H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구멍(H7)의 직경은 예를 들면, 3∼7㎜이다. 기재부(21)에서의 구멍(H7) 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이지만, 4개보다 적을 수 있고, 많을 수 있다. 또한, 리브부(22)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H6, H7)의 배치에 대해서, 구멍(H6)의 형성 위치와 구멍(H7)의 형성 위치는 도 2에 나타나는 위치와 반대일 수 있다.
리브부(22)는 기재부(21)로부터 면(21A)과는 반대 측(면(21B) 측)으로 돌출되며, 또한, 그 돌출단에는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면(22A)(제3 면)을 포함한다. 리브부(22)의 제1 방향(D1) 치수는 예를 들면, 30∼140㎜이다. 리브부(22)의 폭 방향(W) 치수는 예를 들면, 8∼30㎜이다. 또한, 기재부(21)로부터의 리브부(22)의 돌출 높이는 예를 들면, 5∼12㎜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브부(22)는 체결 부재 관통용 구멍(H8, H9)을 갖는다. 구멍(H8)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구멍(H8)의 제1 방향(D1) 치수는 예를 들면, 15∼100㎜이고, 구멍(H8)의 폭 방향(W) 치수는 예를 들면, 3∼7㎜이다. 구멍(H9)은 둥근 구멍이며, 제1 방향(D1)에 있어서 구멍(H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구멍(H9)의 직경은 예를 들면, 3∼7㎜이다. 리브부(22)에서의 구멍(H9) 수는 도시되는 수보다 많을 수 있다.
제1 측벽부(23)는 폭 방향(W)(즉, 제2 고정부(20)가 연장되는 방향인 제1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기재부(21)의 일 단부로부터 리브부(22)와 같은 측으로 돌출된다. 제1 측벽부(23)는 폭 방향(W)에 있어서 리브부(22)와 병렬하는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제1 벽부(23a)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측벽부(23)는 제1 벽부(23a)보다 제1 고정부(10) 측에, 제1 벽부(23a)보다 높은 제1 고벽부(23b)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고정부(20)의 제1 측벽부(23)와 제1 고정부(10)의 상술한 제3 측벽부(13)는 브래킷(X)의 폭 방향(W) 일단 측에서 연결되어 있다.
제2 측벽부(24)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기재부(21)의 타 단부로부터 리브부(22)와 같은 측으로 돌출된다. 제2 측벽부(24)는 폭 방향(W)에 있어서 리브부(22)와 병렬하는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제2 벽부(24a)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측벽부(24)는 제2 벽부(24a)보다 제1 고정부(10) 측에, 제2 벽부(24a)보다 높은 제2 고벽부(24b)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고정부(20)의 제2 측벽부(24)와 제1 고정부(10)의 상술한 제4 측벽부(14)는 브래킷(X)의 폭 방향(W) 타단 측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들 제1 측벽부(23) 및 제2 측벽부(24)에 있어서의 제1 벽부(23a) 및 제2 벽부(24a)의 기재부(21)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리브부(22)의 상기 돌출 높이와 동일하며, 예를 들면, 5∼12㎜이다. 기재부(21)로부터의 제1 고벽부(23b)의 돌출 높이는 제1 벽부(23a)의 돌출 높이보다 높은 한, 예를 들면, 6∼15㎜이다. 기재부(21)로부터의 제2 고벽부(24b)의 돌출 높이는 제2 벽부(24a)의 돌출 높이보다 높은 한, 예를 들면, 6∼15㎜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브래킷(X)은, 예를 들면, 강제 판 등, 금속판에 대한 천공 가공이나 절곡 가공, 프레스 가공 등을 거쳐서 제조할 수 있다. 브래킷(X) 제조에 사용하는 금속판의 두께는 예를 들면, 1∼5㎜이다.
브래킷(X)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측벽부(23) 및 제2 측벽부(24)에 있어서 제1 고벽부(23b) 및 제2 고벽부(24b)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브래킷(X)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부(22)에 있어서 구멍(H8, H9)과 더불어 구멍(H10)을 가질 수 있다. 구멍(H10)은 둥근 구멍이며, 제1 방향(D1)에 있어서, 구멍(H9)과는 반대 측으로 구멍(H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구멍(H10)의 직경은 예를 들면, 3∼7㎜이다.
브래킷(X)은 제1 고정부(10)의 면(12)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기준선(L)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브래킷(X)의 제1 고정부(10)의 면(12)에서의 도면 중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L)은, 도 1에 나타내는 브래킷(X)의 제1 고정부(10)의 면(12)에서의 도면 중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L)보다 도면 중 우측 방향에 위치한다.
브래킷(X)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상술한 리브부(22)가 2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브래킷(X)에 있어서의 도 3에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하는 개소의 단면도이다). 이 경우, 2개의 리브부(22)의 기재부(21)로부터의 돌출 높이와, 상술한 제1 측벽부(23) 및 제2 측벽부(24)에 있어서의 제1 벽부(23a) 및 제2 벽부(24a)의 기재부(21)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같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2개의 리브부(22) 각각에 긴 구멍인 구멍(H8)과 둥근 구멍인 구멍(H9)이 마련될 수 있고, 2개의 리브부(22)에 있어서의 한쪽에 긴 구멍인 구멍(H8)이 마련되고, 또한 다른쪽에 둥근 구멍인 구멍(H9)이 마련될 수 있다.
브래킷(X)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제1 방향(D1)의 거의 전역에 걸쳐서 연장되는 리브부(22)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의 강도, 나아가서는 브래킷(X)의 강도를 향상시킴에 있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브래킷(X)은 벽 구조 시공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 구조물이 갖는 소정의 벽면(31)에 대하여 소정의 배치로 부착된다(도 7은 구체 구조물이 RC조인 경우로서, 벽면(31)에 대한 브래킷(X)의 체결 부재로서 앵커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3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벽면(31)에는 미리 브래킷 부착 위치에 교점을 갖는 먹매김선(32)이 마련되어 있다. 벽면(31) 상에서의 브래킷(X)의 위치 결정에는 이 먹매김선(32)과, 제1 고정부(10)에 있어서의 상술한 기준선(L)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벽면(31)과 대면하는 작업자가 보아서 먹매김선(32) 상에 기준선(L)이 서로 겹치도록 브래킷(X)을 배치함으로써, 브래킷(X)의 위치 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벽 구조 시공에 있어서의 브래킷(X)을 사용한 지지재 장착 작업의 일례를 나타낸다. 우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 구조물의 벽면(31)에 대하여, 체결 부재(41)(제1 체결 부재)에 의해서 브래킷(X)을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브래킷(X)의 제1 고정부(10)의 면(11)을 벽면(31)에 접촉시키면서 브래킷(X)의 위치 결정을 한 뒤에, 체결 부재(41)에 의해서 브래킷(X) 내지 그의 제1 고정부(10)와 벽면(31)을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체결 부재(41)는 예를 들면 앵커 볼트이며, 제1 고정부(10)를 그 구멍(H1)에서 면(12) 측(면(11)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벽면(31)에 이른다(체결 부재(41)는 앵커 볼트 이외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장착 작업예에서는, 브래킷(X)은 그 제2 방향(D2)이 수평 방향이 되며, 또한, 제1 고정부(10)가 벽면(31)을 따라 제2 고정부(20) 단부로부터 우측(벽면(31)과 대면하는 작업자가 보아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배향(제1 배향)으로, 벽면(31)에 고정되어 있다.
벽면(31)에 대하여 체결 부재(41)에 의해서 브래킷(X)을 고정시킴에 있어서는, 벽면(31) 상의 먹매김선(32)에 대하여 브래킷(X)에서의 기준선(L)을 맞춘 상태에서, 벽면(31)에 대한 체결 부재(41)에 의한 브래킷(X)의 고착 작업 도중에, 브래킷(X)이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라도, 체결 부재(41)가 삽통(揷通)되는 구멍(H1)은 긴 구멍이기 때문에, 기준선(L)을 다시 먹매김선(32)에 대하여 다시 맞추는 미세 조정을 거친 뒤에, 브래킷(X)을 벽면(31)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벽면(31)에 대하여 체결 부재(41)에 의해서 브래킷(X)을 고정시킴에 있어서, 긴 구멍인 구멍(H2)이나 구멍(H3)을 구멍(H1) 대신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기준선(L)을 다시 먹매김선(32)에 대하여 다시 맞추는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대하여 체결 부재(42)(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지지재(5)를 가고정시킨다. 체결 부재(42)는 드릴 나사이다. 지지재(5)는 벽 구조 시공에 있어서 벽면 구성용 판재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예를 들면, 띠장이다. 지지재(5)로서는 중공 각재(角材)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도 8 내지 도 13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지지재(5)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면(21A) 측에 배치된다. 또한, 지지재(5)는 브래킷(X)에 대하여 고정되는 제1 접합부(5a)와, 제1 접합부(5a)에 있어서의 벽면(31)과는 반대 측과 접속하는 제2 접합부(5b)를 갖는다.
도 9에 나타내는 공정에서는, 구체적으로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기재부(21)의 면(21A)에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를 접촉시키고, 그 상태에서, 기재부(21)를 그 구멍(H6)에서 면(21B) 측(면(21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르는 체결 부재(42)에 의해서 브래킷(X)과 지지재(5)를 가고정시킨다. 이 가고정에 있어서, 체결 부재(42)는 지지재(5)에 대하여 얕게 비틀어 박힌다.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가고정된 지지재(5)에 대해서는, 브래킷(X)에 대하여 그 제1 방향(D1)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브래킷(X)을 통해 필요에 따라, 벽면(31)에 대한 지지재(5)의 부육 조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대하여 체결 부재(42, 43)(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지지재(5)를 고정시킨다. 체결 부재(43)는 드릴 나사이다. 본 공정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가고정 상태로부터 추가로 비틀어 박히는 체결 부재(42)(즉, 기재부(21)를 그 구멍(H6)에서 면(21B)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르는 체결 부재(42))와, 기재부(21)를 그 구멍(H7)에서 면(21B)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르러서 비틀어 박히는 체결 부재(43)에 의해서, 브래킷(X)과 지지재(5)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벽 구조 시공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이상과 같이 하여, 브래킷(X)을 사용하여 소정의 지지재를 구체 구조물의 벽면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각각 지지재의 장착 양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브래킷(X)은 그의 제2 방향(D2)이 수평 방향이 되며, 또한, 제1 고정부(10)가 벽면(31)을 따라 제2 고정부(20) 단부로부터 좌측(벽면(31)과 대면하는 작업자가 보아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배향(제2 배향)으로, 벽면(31)에 고정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지재(5)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면(22A)(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 측에 배치된다. 이 지지재(5)는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리브부(22)의 면(22A)에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 부재(42, 43)에 의해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체결 부재(42)는 리브부(22)를 그 구멍(H8)에서 면(22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른다. 체결 부재(43)는 리브부(22)를 그 구멍(H9)에서 면(22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른다.
도 11에 나타내는 장착 양태는 예를 들면, 체결 부재(41)에 의한 고정 작업(벽면(31)에 대한 제1 고정부(10)의 고정), 체결 부재(42)에 의한 가고정 작업(제2 고정부(20)에 대한 지지재(5)의 가고정)과, 그 후, 필요에 따른 지지재(5)의 부육 조정 및 체결 부재(42, 43)에 의한 고정 작업(제2 고정부(20)에 대한 지지재(5)의 고정)을 거쳐서 실현할 수 있다. 지지재(5)의 가고정 후의 부육 조정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가고정된 지지재(5)에 대해서, 브래킷(X)에 대하여 제1 방향(D1)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브래킷(X)은 그 제2 방향(D2)이 연직 방향이 되며, 또한, 제1 고정부(10)가 벽면(31)을 따라 제2 고정부(20)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배향(제3 배향)으로, 벽면(31)에 고정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지재(5)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면(21A) 측에 배치된다. 이 지지재(5)는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기재부(21)의 면(21A)에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 부재(42, 43)에 의해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체결 부재(42)는 기재부(21)를 그 구멍(H6)(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에서 면(21B) 측(면(21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른다. 체결 부재(43)는 기재부(21)를 그 구멍(H7)(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에서 면(21B)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른다.
도 12에 나타내는 장착 양태는 예를 들면, 체결 부재(41)에 의한 고정 작업(벽면(31)에 대한 제1 고정부(10)의 고정), 체결 부재(42)에 의한 가고정 작업(제2 고정부(20)에 대한 지지재(5)의 가고정)과, 그 후, 필요에 따른 지지재(5)의 부육 조정 및 체결 부재(42, 43)에 의한 고정 작업(제2 고정부(20)에 대한 지지재(5)의 고정)을 거쳐서 실현할 수 있다. 지지재(5) 가고정 후의 부육 조정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가고정된 지지재(5)에 대해서, 브래킷(X)에 대하여 제1 방향(D1)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브래킷(X)은 그 제2 방향(D2)이 연직 방향이 되며, 또한, 제1 고정부(10)가 벽면(31)을 따라 제2 고정부(20)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배향(제4 배향)으로, 벽면(31)에 고정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지재(5)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면(22A)(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 측에 배치된다. 이 지지재(5)는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리브부(22)의 면(22A)에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 부재(42, 43)에 의해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체결 부재(42)는 리브부(22)를 그 구멍(H8)(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에서 면(22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른다. 체결 부재(43)는 리브부(22)를 그 구멍(H9)(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에서 면(22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른다.
도 13에 나타내는 장착 양태는 예를 들면, 체결 부재(41)에 의한 고정 작업(벽면(31)에 대한 제1 고정부(10)의 고정), 체결 부재(42)에 의한 가고정 작업(제2 고정부(20)에 대한 지지재(5)의 가고정)과, 그 후, 필요에 따른 지지재(5)의 부육 조정 및 체결 부재(42, 43)에 의한 고정 작업(제2 고정부(20)에 대한 지지재(5)의 고정)을 거쳐서 실현할 수 있다. 지지재(5) 가고정 후의 부육 조정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가고정된 지지재(5)에 대해서, 브래킷(X)에 대하여 제1 방향(D1)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상과 같이 하여 사용되는 브래킷(X)은 고정 대상물(상술한 예에서는 지지재(5))과 체결되는 제2 고정부(20)가 그 기재부(21)에 있어서 리브부(22)를 가지며, 그와 더불어, 기재부(21)로부터 리브부(22)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측벽부(23) 및 제2 측벽부(2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건축용 브래킷(X)에 있어서, 이른바 부육 조정 등을 포함한 벽 구조 시공 작업에 견딜 수 있는 강도나, 시공된 벽 구조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강도를 향상시키기에 적합하다.
또한, 브래킷(X)에 있어서 고정 대상물과 체결되는 제2 고정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면으로서, 면(21A)과, 이와는 반대인 면(22A)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벽 구조 시공에 있어서, 브래킷(X)과 고정 대상물과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은 자유도를 실현하기에 적합하다. 즉, 브래킷(X)은 다양한 배향 및 장착 양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브래킷(X)은 그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시공에 있어서의 고정 대상물과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 높은 자유도를 실현하기에 적합하다. 브래킷(X)에서의 강도 향상은 해당 브래킷(X)이 사용되는 건물 벽 구조 내에 있어서, 브래킷(X)의 변형을 억제하기에 적합하며, 따라서, 브래킷(X)에 고정되는 고정 대상물이나 해당 고정 대상물에 고정되는 벽부 구성용 판재 등, 다른 부재를 안정되게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브래킷(X)에 있어서, 제1 측벽부(23)의 제1 벽부(23a)와, 제2 측벽부(24)의 제2 벽부(24a)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리브부(22)가 기재부(21)로부터 같은 측으로 돌출되며, 또한, 병렬하고 있다는 상술한 구성은 제2 고정부(20)의 면(22A) 측에 고정 대상물이 배치되어서 제2 고정부(20)와 체결될 경우, 제2 고정부(20)가 고정 대상물에 3개소에서 접촉하도록 구성하기 쉽다. 제2 고정부(20)가 고정 대상물에 3개소에서 접촉한다는 구성은 제2 고정부(20) 내지 브래킷(X)이 고정 대상물이나 해당 고정 대상물에 고정되는 벽면 구성용 판재 등, 다른 부재를 안정되게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브래킷(X)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면(22A), 제1 벽부(23a) 및 제2 벽부(24a)의 기재부(21)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같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2 고정부(20)의 면(22A) 측에 고정 대상물이 배치되어서 제2 고정부(20)와 체결될 경우, 고정 대상물에 제2 고정부(20)가 3개소에서 접촉하기에 적합하며, 따라서, 제2 고정부(20) 내지 브래킷(X)이 고정 대상물이나 해당 고정 대상물에 고정되는 벽면 구성용 판재 등, 다른 부재를 안정되게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브래킷(X)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0)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제1 고정부(10)의 일 단부로부터 제2 고정부(20)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는 제3 측벽부(13)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제1 고정부(10)의 타 단부로부터 제2 고정부(20)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는 제4 측벽부(14)를 가지며, 제2 고정부(20)의 제1 측벽부(23)와 제1 고정부(10)의 제3 측벽부(13)는 연결되며, 또한, 제2 고정부(20)의 제2 측벽부(24)와 제1 고정부(10)의 제4 측벽부(14)는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브래킷(X)의 강도를 향상시킴에 있어 적합하다.
브래킷(X)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측벽부(23)는 제1 벽부(23a)보다 제1 고정부(10) 측에, 제1 벽부(23a)보다 높은 제1 고벽부(23b)를 포함하고, 제2 측벽부(24)는 제2 벽부(24a)보다 제1 고정부(10) 측에, 제2 벽부(24a)보다 높은 제2 고벽부(24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브래킷(X)의 강도를 향상시킴에 있어서 적합하다.
브래킷(X)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멍(H1∼H9) 등의 구멍을 이미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은 브래킷(X)을 사용하는 벽 구조 시공 시에, 체결 부재 관통용 구멍을 브래킷(X)에 마련하는 작업을 삭감 또는 회피하여, 시공 작업의 간이화를 도모하기에 적합하다. 더불어, 제2 고정부(20)에 마련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긴 구멍인 구멍(H6, H8)은 상술한 부육 조정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브래킷(X)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0)에 있어서의 면(12)에 위치 맞춤용 기준선(L)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브래킷(X)을 사용하는 벽 구조 시공 시에 있어서, 브래킷(X)의 위치 결정에 도움이 된다.
벽 구조 시공에 있어서의 브래킷(X)에 의한 지지재 장착에는, 예를 들면, 도 16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X)과 함께 연장 부재(Y)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4는 연장 부재(Y)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연장 부재(Y)에서의 XV-XV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연장 부재(Y)는 연장 기재부(60)와, 제1 연장 측벽부(61) 및 제2 연장 측벽부(62)를 구비한다. 연장 기재부(60)는 일 방향(도 16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장착 상태에서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또한, 해당 일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폭 방향(W))으로 폭을 갖는다.
연장 기재부(60)는 브래킷(X)의 기재부(21)의 면(21A) 또는 면(22A)에 접촉하기 위한 면(60A)(제4 면)과, 해당 면(60A)과는 반대 측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면(60B)(제5 면)을 포함한다. 연장 기재부(60)의 제1 방향(D1) 치수는 예를 들면, 70∼150㎜이다. 연장 기재부(60)의 폭(폭 방향(W) 치수)은 예를 들면, 31∼85㎜이다.
제1 연장 측벽부(61)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연장 기재부(60)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 기재부(6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면(60A) 측으로 돌출된다. 제2 연장 측벽부(62)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연장 기재부(60)의 타 단부로부터 연장 기재부(6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면(60A) 측으로 돌출된다. 면(60A)으로부터의 제1 연장 측벽부(61) 및 제2 연장 측벽부(62)의 돌출 높이는 각각 예를 들면, 5∼15㎜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장 기재부(60)는 체결 부재 관통용 구멍(H11)과, 제1 방향(D1)으로 나열되는 8개의 체결 부재 관통용 구멍(H12)을 갖는다. 구멍(H11)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구멍(H11)의 제1 방향(D1) 치수는 예를 들면, 50∼120㎜이고, 구멍(H11)의 폭 방향(W) 치수는 예를 들면, 3∼7㎜이다. 구멍(H12)은 둥근 구멍이며, 폭 방향(W)에 있어서 구멍(H1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구멍(H12)의 직경은 예를 들면, 3∼7㎜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연장 부재(Y)는 예를 들면, 강제 판 등, 금속판에 대한 천공 가공이나 절곡 가공 등을 거쳐서 제조할 수 있다. 연장 기재부(60)의 제조에 사용하는 금속판의 두께는 예를 들면, 1∼5㎜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브래킷(X)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한 제1 배향으로, 벽면(31)에 고정되어 있다. 이 브래킷(X)에 대하여, 연장 부재(Y)는 다음과 같은 제1 양태로 장착되어 있다.
제1 양태에서는, 연장 부재(Y)에서의 면(60A)이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면(21A)(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냄)에 접촉하면서, 연장 부재(Y)의 제1 연장 측벽부(61)와 제2 연장 측벽부(62) 사이에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가 삽입되어 있다. 연장 부재(Y)는 제1 방향(D1)에 있어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보다, 제1 고정부(10)와는 반대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연장 부재(Y)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의 면(21A)에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 부재(44, 45)(제3 체결 부재)에 의해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체결 부재(44)는 기재부(21)를 그 구멍(H6)에서 면(21B)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연장 부재(Y)에 이른다. 체결 부재(45)는 기재부(21)를 그 구멍(H7)에서 면(21B)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연장 부재(Y)에 이른다. 체결 부재(44, 45)는 드릴 나사이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지재(5)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연장 부재(Y)의 연장 기재부(60)의 면(60B) 측(면(60A)과는 반대 측)에 배치된다. 이 지지재(5)는 면(60B)에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 부재(42, 43)에 의해서 연장 부재(Y)에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체결 부재(42)는 연장 부재(Y)의 연장 기재부(60)를 그 구멍(H11)에서 면(60A)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른다. 체결 부재(43)는 연장 기재부(60)를 그 구멍(H12)에서 면(60A)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른다.
도 16에 나타내는 이러한 장착 양태는 예를 들면, 체결 부재(41)에 의한 제1 고정 작업, 체결 부재(44)에 의한 제1 가고정 작업과, 그 후, 필요에 따른 연장 부재(Y)의 제1 부육 조정, 체결 부재(44, 45)에 의한 제2 고정 작업, 체결 부재(42)에 의한 제2 가고정 작업과, 그 후, 필요에 따른 지지재(5)의 제2 부육 조정 및 체결 부재(42, 43)에 의한 제3 고정 작업을 거쳐서 실현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장착 양태를 위한 제1 고정 작업에서는, 벽면(31)에 대하여 제1 고정부(10)가 고정된다. 제1 가고정 작업에서는, 브래킷(X)의 구멍(H6)을 관통시켜 연장 부재(Y)에 얕게 비틀어 박히는 체결 부재(44)에 의해서, 브래킷(X)에 대하여 연장 부재(Y)가 가고정된다. 제2 고정 작업에서는, 브래킷(X)에 대하여 연장 부재(Y)가 고정된다. 제2 가고정 작업에서는, 연장 부재(Y)의 구멍(H11)을 관통시켜 지지재(5)에 얕게 비틀어 박히는 체결 부재(42)에 의해서, 연장 부재(Y)에 대하여 지지재(5)가 가고정된다. 제3 고정 작업에서는, 연장 부재(Y)에 대하여 지지재(5)가 고정된다.
또한, 브래킷(X)에 대한 연장 부재(Y)의 제1 가고정 작업 후의 제1 부육 조정에서는, 구체적으로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가고정된 연장 부재(Y)에 대해서, 브래킷(X)에 대하여 제1 방향(D1)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연장 부재(Y)에 대한 지지재(5)의 제2 가고정 작업 후의 제2 부육 조정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연장 부재(Y)에 가고정된 지지재(5)에 대해서, 연장 부재(Y) 및 브래킷(X)에 대하여 제1 방향(D1)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들 고정 위치의 조정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벽면(31)에 대한 지지재(5)의 부육 조정이 가능하다.
도 1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브래킷(X)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한 제2 배향으로, 벽면(31)에 고정되어 있다. 이 브래킷(X)에 대하여, 연장 부재(Y)는 다음과 같은 제2 양태로 장착되어 있다.
제2 양태에서는, 연장 부재(Y)에서의 면(60A)이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면(22A)(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 및 제1 벽부(23a) 및 제2 벽부(24a)에 접촉하면서, 연장 부재(Y)의 제1 연장 측벽부(61)와 제2 연장 측벽부(62) 사이에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가 삽입되어 있다. 연장 부재(Y)는 제1 방향(D1)에 있어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보다, 제1 고정부(10)와는 반대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연장 부재(Y)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의 면(22A)에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 부재(44, 45)에 의해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체결 부재(44)는 리브부(22)를 그 구멍(H8)에서 면(22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연장 부재(Y)에 이른다. 체결 부재(45)는 리브부(22)를 그 구멍(H9)(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에서 면(22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연장 부재(Y)에 이른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지재(5)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연장 부재(Y)의 연장 기재부(60)의 면(60B) 측(면(60A)과는 반대 측)에 배치된다. 이 지지재(5)는 면(60B)에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 부재(42, 43)에 의해서 연장 부재(Y)에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체결 부재(42)는 연장 부재(Y)의 연장 기재부(60)를 그 구멍(H11)에서 면(60A)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른다. 체결 부재(43)는 연장 기재부(60)를 그 구멍(H12)에서 면(60A)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른다.
도 17에 나타내는 이러한 장착 양태는 예를 들면, 체결 부재(41)에 의한 제1 고정 작업(벽면(31)에 대한 제1 고정부(10)의 고정), 체결 부재(44)에 의한 제1 가고정 작업과, 그 후, 필요에 따른 연장 부재(Y)의 제1 부육 조정, 체결 부재(44, 45)에 의한 제2 고정 작업, 체결 부재(42)에 의한 제2 가고정 작업과, 그 후, 필요에 따른 지지재(5)의 제2 부육 조정 및 체결 부재(42, 43)에 의한 제3 고정 작업을 거쳐서 실현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장착 양태를 위한 제1 고정 작업에서는, 벽면(31)에 대하여 제1 고정부(10)가 고정된다. 제1 가고정 작업에서는, 브래킷(X)의 구멍(H8)을 관통시켜 연장 부재(Y)에 얕게 비틀어 박히는 체결 부재(44)에 의해서, 브래킷(X)에 대하여 연장 부재(Y)가 가고정된다. 제2 고정 작업에서는, 브래킷(X)에 대하여 연장 부재(Y)가 고정된다. 제2 가고정 작업에서는, 연장 부재(Y)의 구멍(H11)을 관통시켜 지지재(5)에 얕게 비틀어 박히는 체결 부재(42)에 의해서, 연장 부재(Y)에 대하여 지지재(5)가 가고정된다. 제3 고정 작업에서는, 연장 부재(Y)에 대하여 지지재(5)가 고정된다.
또한, 브래킷(X)에 대한 연장 부재(Y)의 가고정 작업 후의 제1 부육 조정에서는, 구체적으로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가고정된 연장 부재(Y)에 대해서, 브래킷(X)에 대하여 제1 방향(D1)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연장 부재(Y)에 대한 지지재(5)의 가고정 작업 후의 제2 부육 조정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연장 부재(Y)에 가고정된 지지재(5)에 대해서, 연장 부재(Y) 및 브래킷(X)에 대하여 제1 방향(D1)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들 고정 위치의 조정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벽면(31)에 대한 지지재(5)의 부육 조정이 가능하다.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브래킷(X)은 도 12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한 제3 배향으로, 벽면(31)에 고정되어 있다. 이 브래킷(X)에 대하여, 연장 부재(Y)는 다음과 같은 제3 양태로 장착되어 있다.
제3 양태에서는, 연장 부재(Y)에서의 면(60A)이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면(21A)(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냄)에 접촉하면서, 연장 부재(Y)의 제1 연장 측벽부(61)와 제2 연장 측벽부(62) 사이에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가 삽입되어 있다. 연장 부재(Y)는 제1 방향(D1)에 있어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보다, 제1 고정부(10)와는 반대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연장 부재(Y)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의 면(21A)에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 부재(44, 45)에 의해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체결 부재(44)는 기재부(21)를 그 구멍(H6)(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에서 면(21B)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연장 부재(Y)에 이른다. 체결 부재(45)는 기재부(21)를 그 구멍(H7)(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에서 면(21B)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연장 부재(Y)에 이른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지재(5)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연장 부재(Y)의 연장 기재부(60)의 면(60B) 측(면(60A)과는 반대 측)에 배치된다. 이 지지재(5)는 면(60B)에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 부재(42, 43)에 의해서 연장 부재(Y)에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체결 부재(42)는 연장 부재(Y)의 연장 기재부(60)를 그 구멍(H11)에서 면(60A)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른다. 체결 부재(43)는 연장 기재부(60)를 그 구멍(H12)에서 면(60A)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른다.
도 18에 나타내는 이러한 장착 양태는 예를 들면, 체결 부재(41)에 의한 제1 고정 작업, 체결 부재(44)에 의한 제1 가고정 작업과, 그 후, 필요에 따른 연장 부재(Y)의 제1 부육 조정, 체결 부재(44, 45)에 의한 제2 고정 작업, 체결 부재(42)에 의한 제2 가고정 작업과, 그 후, 필요에 따른 지지재(5)의 제2 부육 조정 및 체결 부재(42, 43)에 의한 제3 고정 작업을 거쳐서 실현할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장착 양태를 위한 제1 고정 작업에서는, 벽면(31)에 대하여 제1 고정부(10)가 고정된다. 제1 가고정 작업에서는, 브래킷(X)의 구멍(H6)을 관통시켜 연장 부재(Y)에 얕게 비틀어 박히는 체결 부재(44)에 의해서, 브래킷(X)에 대하여 연장 부재(Y)가 가고정된다. 제2 고정 작업에서는, 브래킷(X)에 대하여 연장 부재(Y)가 고정된다. 제2 가고정 작업에서는, 연장 부재(Y)의 구멍(H7)을 관통시켜 지지재(5)에 얕게 비틀어 박히는 체결 부재(42)에 의해서, 연장 부재(Y)에 대하여 지지재(5)가 가고정된다. 제3 고정 작업에서는, 연장 부재(Y)에 대하여 지지재(5)가 고정된다.
또한, 브래킷(X)에 대한 연장 부재(Y)의 가고정 작업 후의 제1 부육 조정에서는, 구체적으로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가고정된 연장 부재(Y)에 대해서, 브래킷(X)에 대하여 제1 방향(D1)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연장 부재(Y)에 대한 지지재(5)의 가고정 작업 후의 제2 부육 조정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연장 부재(Y)에 가고정된 지지재(5)에 대해서, 연장 부재(Y) 및 브래킷(X)에 대하여 제1 방향(D1)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들 고정 위치의 조정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벽면(31)에 대한 지지재(5)의 부육 조정이 가능하다.
도 1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브래킷(X)은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한 제4 배향으로, 벽면(31)에 고정되어 있다. 이 브래킷(X)에 대하여, 연장 부재(Y)는 다음과 같은 제4 양태로 장착되어 있다.
제4 양태에서는, 연장 부재(Y)에서의 면(60A)이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면(22A)(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 및 제1 벽부(23a) 및 제2 벽부(24a)에 접촉하면서, 연장 부재(Y)의 제1 연장 측벽부(61)와 제2 연장 측벽부(62) 사이에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가 삽입되어 있다. 연장 부재(Y)는 제1 방향(D1)에 있어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보다, 제1 고정부(10)과는 반대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연장 부재(Y)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의 면(22A)에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 부재(44, 45)에 의해서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체결 부재(44)는 리브부(22)를 그 구멍(H8)(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에서 면(22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연장 부재(Y)에 이른다. 체결 부재(45)는 리브부(22)를 그 구멍(H9)(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에서 면(22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연장 부재(Y)에 이른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지재(5)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연장 부재(Y)의 연장 기재부(60)의 면(60B) 측(면(60A)과는 반대 측)에 배치된다. 이 지지재(5)는 면(60B)에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 부재(42, 43)에 의해서 연장 부재(Y)에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체결 부재(42)는 연장 부재(Y)의 연장 기재부(60)를 그 구멍(H11)에서 면(60A)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른다. 체결 부재(43)는 연장 기재부(60)를 그 구멍(H12)에서 면(60A)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에 이른다.
도 19에 나타내는 이러한 장착 양태는 예를 들면, 체결 부재(41)에 의한 제1 고정 작업, 체결 부재(44)에 의한 제1 가고정 작업과, 그 후, 필요에 따른 연장 부재(Y)의 제1 부육 조정, 체결 부재(44, 45)에 의한 제2 고정 작업, 체결 부재(42)에 의한 제2 가고정 작업과, 그 후, 필요에 따른 지지재(5)의 제2 부육 조정 및 체결 부재(42, 43)에 의한 제3 고정 작업을 거쳐서 실현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이러한 장착 양태를 위한 제1 고정 작업에서는, 벽면(31)에 대하여 제1 고정부(10)가 고정된다. 제1 가고정 작업에서는, 브래킷(X)의 구멍(H8)을 관통시켜 연장 부재(Y)에 얕게 비틀어 박히는 체결 부재(44)에 의해서, 브래킷(X)에 대하여 연장 부재(Y)가 가고정된다. 제2 고정 작업에서는, 브래킷(X)에 대하여 연장 부재(Y)가 고정된다. 제2 가고정 작업에서는, 연장 부재(Y)의 구멍(H11)을 관통시켜 지지재(5)에 얕게 비틀어 박히는 체결 부재(42)에 의해서, 연장 부재(Y)에 대하여 지지재(5)가 가고정된다. 제3 고정 작업에서는, 연장 부재(Y)에 대하여 지지재(5)가 고정된다.
또한, 브래킷(X)에 대한 연장 부재(Y)의 가고정 작업 후의 제1 부육 조정에서는, 구체적으로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가고정된 연장 부재(Y)에 대해서, 브래킷(X)에 대하여 제1 방향(D1)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연장 부재(Y)에 대한 지지재(5)의 가고정 작업 후의 제2 부육 조정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연장 부재(Y)에 가고정된 지지재(5)에 대해서, 연장 부재(Y) 및 브래킷(X)에 대하여 제1 방향(D1)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들 고정 위치의 조정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벽면(31)에 대한 지지재(5)의 부육 조정이 가능하다.
브래킷(X)과 함께 연장 부재(Y)를 사용한 이상과 같은 고정 대상물(상술한 예에서는 지지재(5)) 장착에서는, 고정 대상물에 대해서 부육 조정하기에 적합하다. 이와 함께, 구체 구조물과 고정 대상물 사이의 연결에 대해서 협동하는 상술한 브래킷(X) 및 연장 부재(Y)는 건물 벽 구조 내에 있어서,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고정 대상물과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 높은 자유도를 실현하기에 적합하다.
연장 부재(Y) 내지 그의 연장 기재부(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멍(H11, H12)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은 벽 구조 시공 시에, 체결 부재 관통용 구멍을 연장 부재(Y)에 마련하는 작업을 삭감 또는 회피하여, 시공 작업의 간이화·효율화를 도모하기에 적합하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건물 벽 구조(Z1)를 나타낸다. 도 20은 건물 벽 구조(Z1)의 사시도(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21은 건물 벽 구조(Z1)에서의 브래킷(X) 및 그 근방을 우측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건물 벽 구조(Z1)에서의 브래킷(X) 및 그 근방을 위쪽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에서는, 수직 위 방향을 위라고 표시하고, 수직 아래 방향을 아래라고 표시한다. 또한, 도 20의 옥외로부터 옥내를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수평 좌측 방향을 왼쪽이라고 표시하고, 수평 우측 방향을 오른쪽이라고 표시한다. 그리고, 도 20 내외에 있어서 상하 방향, 좌우 방향, 옥내외 방향이 나타나 있는 도면에서는, 그들 방향을 도 20에 대응시켜서 표시한다.
건물 벽 구조(Z1)는 주택, 시설, 창고 등의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1)(구체 구조물)에 대하여, 복수의 외벽판(2)을 부착한 것이다. 구조체(1)는 신축 건물을 구성할 수 있고, 외장의 리폼 공사가 실시되는 기축 건물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벽판(2)은 그 자체가 높은 강도나 강성을 갖고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판재이다. 외벽판(2)은 신축 건물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고, 기축 건물의 벽면을 가려서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리폼용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외벽판(2)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판재의 일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판재는 외벽판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건물을 외장하는 화장판, 옥내용 구조 패널, 내장판 등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조체(1)는 철골조(S조)의 구체 구조물이며, 그 옥외 측 표층에 벽면(31)을 갖는 면재(3)를 구비한다. 면재(3)는 예를 들면, 강화 석고보드이다. 면재(3)로서는 규산 칼슘판이 사용될 수 있다. 면재(3)에서의 옥내 측에는 강재(4)가 배치되어 있다. 강재(4)는 예를 들면, C형강 및 각형 강관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강재(4)가 C형강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한편, 면재(3)에서의 옥외 측에는, 복수의 브래킷(X) 및 복수의 지지재(5)가 배치되어 있다.
면재(3)와 지지재(5) 사이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수지(防水紙; 6) 및 단열재(7)가 마련되어 있다. 방수지(6)는 면재(3)의 표면에 부설되어 있다. 구조체(1)의 시공 상황 등에 따라서는, 방수지(6)를 생략할 수 있다. 단열재(7)로서는, 예를 들면, 섬유계 단열재 및 발포 플라스틱계 단열재를 들 수 있다. 섬유계 단열재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암면 및 유리솜을 들 수 있다. 발포 플라스틱계 단열재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페놀 및 발포 폴리스티렌을 들 수 있다. 단열재(7)는 브래킷(X)에 간섭하는 부분이 제거된 뒤에, 브래킷(X)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조체(1)의 시공 상황 등에 따라서는, 단열재(7)를 생략할 수 있다.
면재(3)에서의 옥내 측에는 단열재(7')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단열재(7')가 면재(3)의 옥내 측(예를 들면, 강재(4)끼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한다(구조체(1)의 시공 상황 등에 따라서는, 단열재(7')를 생략할 수 있다). 단열재(7')로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섬유계 단열재 및 상술한 발포 플라스틱계 단열재를 들 수 있다.
복수의 브래킷(X)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간되는 상태로 벽면(31)에 배치되어 있다. 도 22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브래킷(X)은 면재(3)를 통해 강재(4)와 대향하는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브래킷(X)은 체결 부재(46, 47)(모두 제1 체결 부재)에 의해서 면재(3) 내지 벽면(31) 및 강재(4)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다. 체결 부재(46, 47)는 예를 들면, 드릴 나사이다. 브래킷(X)은 구체적으로는, 제1 고정부(10)의 면(11)에서 벽면(31)에 접촉하고, 제1 고정부(10)를 예를 들면, 그 구멍(H2)(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에서 면(12) 측(면(11)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벽면(31)에 이르는 체결 부재(46)와, 제1 고정부(10)를 예를 들면, 그 구멍(H5)(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냄)에서 면(12)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벽면(31)에 이르는 체결 부재(47)에 의해서 벽면(3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재(5)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며, 또한, 벽면(31)을 따르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각 지지재(5)는 적어도 2개의 브래킷(X)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재(5)는 중공 각재의 형태를 갖는 강제 띠장(세로 띠장)이다. 이와 같은 구성 대신, 지지재(5)로서는 목제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재(5)는 브래킷(X)에 대하여 고정되는 제1 접합부(5a)와, 제1 접합부(5a)에 있어서의 벽면(31)과는 반대 측과 접속하는 제2 접합부(5b)를 갖는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체결 부재(41) 대신 체결 부재(46, 47)에 의해서 브래킷(X)이 벽면(31)에 고정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한 양태로, 벽면(31)에 대하여 브래킷(X) 및 지지재(5)가 장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리브부(22)의 면(22A)과 제1 벽부(23a)와 제2 벽부(24a)에 접촉하고, 리브부(22)를 면(22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제1 접합부(5a)에 이르는 체결 부재(42, 43)에 의해서 브래킷(X)과 지지재(5)가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도 22에 나타나는 장착 양태에서는, 브래킷(X)은 면재(3) 내지 벽면(31) 및 강재(4)에 대하여 고정되며, 또한, 벽면(31)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강재(4)와 브래킷(X)과 지지재(5)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나는 장착 양태보다, 건물 벽 구조(Z1)에 있어서 외벽판(2)을 안정되게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건물 벽 구조(Z1)에서의 브래킷(X)에 의한 지지재(5) 장착에는, 도 17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X)과 함께 연장 부재(Y)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브래킷(X)에 대한 복수의 지지재(5)의 복수의 고정 개소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 고정 개소에서는, 체결 부재(41) 대신 체결 부재(46, 47)에 의해서 브래킷(X)이 벽면(31)에 고정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한 양태로, 벽면(31)에 대하여 브래킷(X) 및 지지재(5)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기재부(21)의 면(21A)에 접촉하고, 기재부(21)를 면(21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제1 접합부(5a)에 이르는 체결 부재(42, 43)에 의해서 브래킷(X)과 지지재(5)가 체결되어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 경우, 브래킷(X)에 의한 지지재(5) 장착에는, 도 1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X)과 함께 연장 부재(Y)를 사용할 수 있다.
외벽판(2)은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재이다. 외벽판(2)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시멘트를 포함한 요업계 재료를 들 수 있다. 이것 대신, 외벽판(2)은 금속계 판재, 목질계 판재 또는 수지계 판재일 수 있다. 또한, 외벽판(2)은 예를 들면, 벽돌 무늬 등이 디자인된 외장면을 가질 수 있다.
건물 벽 구조(Z1)에서의 외벽판(2)의 상하 방향 각 가장자리 단부는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외벽판(2)과의 반턱쪽매 맞붙임을 위한 상실(上實) 구조(2a) 및 하실(下實) 구조(2b)를 갖는다. 또한, 외벽판(2)의 좌우 방향 각 가장자리 단부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외벽판(2)과의 반턱쪽매 맞붙임을 위한 상실 구조 또는 하실 구조를 가지며, 그러한 외벽재(2)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반턱쪽매 맞붙임되어 있을 수 있다. 혹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외벽재(2)의 좌우 방향의 각 가장자리 단부는 상실 구조 또는 하실 구조를 갖지 않으며, 이른바 해트 조이너나 실링을 통해 맞붙여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외벽판(2)은 지지재(5)에서의 제2 접합부(5b)에 대하여, 드릴 나사 등에 의한 체결 수법으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접합부(5b)에 부착된 소정의 부착구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는 해당 부착을 위한 부착구(48)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건물 벽 구조(Z1)에 있어서는, 상술한 브래킷(X)이 사용된다. 따라서, 건물 벽 구조(Z1)에 따르면, 거기에 포함되는 브래킷(X)에 있어서, 브래킷(X)에 관해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기술적 효과가 나타난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건물 벽 구조(Z2)를 나타낸다. 도 23은 건물 벽 구조(Z2)의 사시도(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24는 건물 벽 구조(Z1)에서의 브래킷(X) 및 그 근방을 우측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는 건물 벽 구조(Z1)에서의 브래킷(X) 및 그 근방을 위쪽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이다. 건물 벽 구조(Z2)는 벽면(31)에 대한 브래킷(X)의 부착 배향, 브래킷(X)에 고정되는 지지재(5)가 가로 지지재로서 장착되어 있는 것, 그리고 세로 지지재로서의 추가 지지재(8)를 추가로 구비하는 점에 있어서, 상술한 건물 벽 구조(Z1)와 다르다.
복수의 브래킷(X)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간되는 상태로 벽면(31)에 배치되어 있다. 도 25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브래킷(X)은 면재(3)를 통해 강재(4)와 대향하는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수의 지지재(5)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며, 또한, 벽면(31)을 따르도록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각 지지재(5)는 적어도 2개의 브래킷(X)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재(5)는 중공 각재의 형태를 갖는 강제 띠장(가로 띠장)이다. 이와 같은 구성 대신, 지지재(5)로서는 목제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 L자형 횡단면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재(5)는 브래킷(X)에 대하여 고정되는 제1 접합부(5a)와, 제1 접합부(5a)에 있어서의 벽면(31)과는 반대 측과 접속하는 제2 접합부(5b)를 갖는다.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체결 부재(41) 대신 체결 부재(46, 47)에 의해서 브래킷(X)이 벽면(31)에 고정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한 양태로, 벽면(31)에 대하여 브래킷(X) 및 지지재(5)가 장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리브부(22)의 면(22A)과 제1 벽부(23a)와 제2 벽부(24a)에 접촉하고, 리브부(22)를 면(22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제1 접합부(5a)에 이르는 체결 부재(42, 43)에 의해서 브래킷(X)과 지지재(5)가 체결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X)에 의한 지지재(5) 장착에는, 예를 들면 도 18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브래킷(X)과 함께 연장 부재(Y)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브래킷(X)에 대한 복수의 지지재(5)의 복수의 고정 개소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 고정 개소에서는, 체결 부재(41) 대신 체결 부재(46, 47)에 의해서 브래킷(X)이 벽면(31)에 고정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도 12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한 양태로, 벽면(31)에 대하여 브래킷(X) 및 지지재(5)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는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기재부(21)의 면(21A)에 접촉하고, 기재부(21)를 면(21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제1 접합부(5a)에 이르는 체결 부재(42, 43)에 의해서 브래킷(X)과 지지재(5)가 체결될 수 있다. 그 경우, 브래킷(X)에 의한 지지재(5) 장착에는, 예를 들면, 도 19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브래킷(X)과 함께 연장 부재(Y)를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추가 지지재(8)는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며, 또한, 벽면(31)을 따르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각 추가 지지재(8)는 적어도 2개의 지지재(5)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재(5)에 대하여서는 예를 들면, 소정의 나사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추가 지지재(8)는 길이가 긴 판재이며, 횡단면에서 해트 형상을 갖는다.
외벽판(2)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추가 지지재(8)에 대하여, 드릴 나사 등에 의한 체결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소정의 부착구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에는 해당 부착을 위한 부착구(48)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건물 벽 구조(Z2)에 있어서는, 상술한 브래킷(X)이 사용된다. 따라서, 건물 벽 구조(Z2)에 따르면, 거기에 포함되는 브래킷(X)에 있어서, 브래킷(X)에 관해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기술적 효과가 나타난다.
건물 벽 구조(Z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지지재(5)에 걸쳐서 배치된 복수의 추가 지지재(8)를 추가로 구비하고, 추가 지지재(8)는 적어도 2개의 지지재(5)에서의 제2 접합부(5b)에 부착되어 있으며, 외벽판(2)(판재)은 추가 지지재(8)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브래킷(X)의 배치 피치(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방향 피치)와는 다른 피치(예를 들면, 동일 피치보다 작은 피치)로 복수의 추가 지지재(8)를 배치한 뒤에, 추가 지지재(8)에 외벽판(2)을 부착하기에 적합하며, 따라서, 외벽재(2)를 보다 한층 더 안정되게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상술한 건물 벽 구조(Z1, Z2)의 시공하기 위한 방법은 모두, 다음과 같은 제1 공정, 제2 공정 및 제3 공정을 포함한다.
제1 공정에서는, 벽면(31)에 대하여 복수의 브래킷(X)을 부착한다. 제1 공정에서는, 브래킷(X)의 제1 고정부(10)의 면(11)을 벽면(31)에 접촉시키고, 제1 고정부(10)를 면(11)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벽면(31)에 이르는 소정의 체결 부재(제1 체결 부재)에 의해서 브래킷(X)과 벽면(31)을 체결한다.
제2 공정에서는, 벽면(31) 상에 부착된 적어도 2개의 브래킷(X)에 대하여 지지재(5)를 고정시킨다. 지지재(5)는 브래킷(X)에 대하여 고정되는 제1 접합부(5a)와, 해당 제1 접합부(5a)에 있어서의 벽면(31)과는 반대 측과 접속하는 제2 접합부(5b)를 갖는다.
제2 공정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를,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기재부의 면(12)에 접촉시키고, 기재부를 면(12)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제1 접합부(5a)에 이르는 소정의 체결 부재(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브래킷(X)과 지지재(5)를 체결한다. 혹은, 제2 공정에서는, 지지재(5)의 제1 접합부(5a)를 브래킷(X)의 제2 고정부(20)에 있어서의 리브부(22)의 면(22A)과 제1 벽부(23a)와 제2 벽부(24a)에 접촉시키고, 리브부(22)를 면(22A)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제1 접합부(5a)에 이르는 소정의 체결 부재(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브래킷(X)과 지지재(5)를 체결한다.
제3 공정에서는, 지지재(5)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외벽판(2)을 부착한다.
이러한 시공 방법에 있어서는, 상술한 브래킷(X)이 사용된다. 따라서, 본 시공 방법에 따르면, 브래킷(X)에 관해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기술적 효과가 나타난다.
구조체(1)는 S조 대신 철근 콘크리트조(RC조)일 수 있다. 구조체(1)가 RC조인 경우, 구체 구조물의 벽면(31)은 모르타르로 이루어지며, 그러한 벽면(31)에 대하여 브래킷(X)은 체결 부재로서 앵커 볼트가 사용되어서 체결된다.
X 브래킷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W 폭 방향
10 제1 고정부
20 제2 고정부
11 면(제1 면)
12 면
13 제3 측벽부
14 제4 측벽부
21 기재부
21A 면(제2 면)
21B 면
22 리브부
22A 면(제3 면)
23 제1 측벽부
23a 제1 벽부
23b 제1 고벽부
24 제2 측벽부
24a 제2 벽부
24b 제1 고벽부
L 기준선
H1∼H12 구멍
Y 연장 부재
60 연장 기재부
60A 면(제4 면)
60B 면(제5 면)
61 제1 연장 측벽부
62 제2 연장 측벽부
Z1, Z2 건물 벽 구조
1 구조체
2 외벽재
5 제1 지지재
8 제2 지지재
5a 제1 접합부
5b 제2 접합부
41, 46, 47 체결 부재(제1 체결 부재)
42, 43 체결 부재(제2 체결 부재)
44, 45 체결 부재(제3 체결 부재)

Claims (15)

  1. 구조체에 접촉하기 위한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상기 제1 고정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면과는 반대 측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건축용 브래킷으로서,
    상기 제2 고정부는,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제2 면을 포함하는 기재부와,
    상기 기재부로부터 상기 제2 면과는 반대 측으로 돌출되며, 또한, 그의 돌출단에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제3 면을 포함하는 리브부와,
    상기 제2 고정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리브부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며, 또한,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와 병렬하는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제1 벽부를 포함하는 제1 측벽부, 및
    상기 기재부의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부의 타 단부로부터 상기 리브부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며, 또한,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와 병렬하는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제2 벽부를 포함하는 제2 측벽부를 구비하는, 건축용 브래킷.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제2 벽부의 상기 기재부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같은, 건축용 브래킷.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고정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고정부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는 제3 측벽부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고정부의 타 단부로부터 상기 제2 고정부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는 제4 측벽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3 측벽부는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제4 측벽부는 연결되는, 건축용 브래킷.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부는 상기 제1 벽부보다 상기 제1 고정부 측에 상기 제1 벽부보다 높은 제1 고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벽부는 상기 제2 벽부보다 상기 제1 고정부 측에 상기 제2 벽부보다 높은 제2 고벽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브래킷.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는 체결 부재 관통용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갖는, 건축용 브래킷.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체결 부재 관통용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갖는, 건축용 브래킷.
  7. 제5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제2 고정부의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을 포함하는, 건축용 브래킷.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체결 부재 관통용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갖는, 건축용 브래킷.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제1 구멍과, 상기 제1 구멍 주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구멍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멍을 포함하는, 건축용 브래킷.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에서의 상기 제1 면과는 반대 측 표면에는 위치 맞춤용 기준선이 마련되어 있는, 건축용 브래킷.
  11. 벽면을 갖는 구조체와,
    상기 벽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건축용 브래킷과,
    각각이 적어도 2개의 상기 건축용 브래킷에 걸쳐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재와,
    복수의 제1 체결 부재와,
    복수의 제2 체결 부재, 및
    상기 벽면을 덮기 위한 복수의 판재를 구비하는 건물 벽 구조로서,
    상기 건축용 브래킷은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축용 브래킷이며,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벽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1 고정부를 상기 제1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상기 벽면에 이르는 상기 제1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건축용 브래킷과 상기 벽면이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재는 상기 건축용 브래킷에 대하여 고정되는 제1 접합부와, 상기 제1 접합부에서의 상기 벽면과는 반대 측과 접속하는 제2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건축용 브래킷에 대한 상기 복수의 지지재의 복수의 고정 개소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 고정 개소에서는,
    상기 지지재의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건축용 브래킷의 상기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부의 상기 제2 면에 접촉하고, 상기 기재부를 상기 제2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상기 제1 접합부에 이르는 상기 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건축용 브래킷과 상기 지지재가 체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지지재의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건축용 브래킷의 상기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리브부의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에 접촉하고, 상기 리브부를 상기 제3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상기 제1 접합부에 이르는 상기 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건축용 브래킷과 상기 지지재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판재는 상기 지지재에서의 상기 제2 접합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건물 벽 구조.
  12. 제11 항에 있어서, 연장 부재와 제3 체결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건축용 브래킷의 상기 기재부의 상기 제2 면 또는 상기 제3 면에 접촉하기 위한 제4 면과, 상기 제4 면과는 반대 측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제5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를 따라 연장되는 연장 기재부와,
    상기 연장 기재부의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 기재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연장 기재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4 면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연장 측벽부와,
    상기 연장 기재부의 상기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 기재부의 타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연장 측벽부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연장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 부재의 상기 제1 연장 측벽부와 상기 제2 연장 측벽부 사이에, 상기 건축용 브래킷의 상기 제2 고정부가 삽입되며, 또한,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브래킷에서의 상기 제2 고정부보다 상기 제1 고정부와는 반대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건축용 브래킷에 대한 상기 지지재의 고정 개소에서는,
    상기 연장 부재의 상기 제4 면은 상기 건축용 브래킷의 상기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부의 상기 제2 면에 접촉하고, 상기 기재부를 상기 제2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상기 연장 기재부에 이르는 상기 제3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건축용 브래킷과 상기 연장 부재가 체결되며, 또한, 상기 지지재의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연장 부재의 상기 제5 면에 접촉하고, 상기 연장 부재를 상기 제4 면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상기 제1 접합부에 이르는 상기 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연장 부재와 상기 지지재가 체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연장 부재의 상기 제4 면은 상기 건축용 브래킷의 상기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리브부의 상기 제3 면에 접촉하고, 상기 리브부를 상기 제3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상기 연장 기재부에 이르는 상기 제3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건축용 브래킷과 상기 연장 부재가 체결되며, 또한, 상기 지지재의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연장 부재의 상기 제5 면에 접촉하고, 상기 연장 부재를 상기 제4 면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상기 제1 접합부에 이르는 상기 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연장 부재와 상기 지지재가 체결되어 있는, 건물 벽 구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기재부는 상기 연장 기재부의 상기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부재 관통용의 적어도 하나의 긴 구멍과,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는 체결 부재 관통용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갖는, 건물 벽 구조.
  14. 제1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상기 지지재에 걸쳐서 배치되는 복수의 추가 지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추가 지지재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지지재에서의 상기 제2 접합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판재는 상기 추가 지지재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는, 건물 벽 구조.
  15. 벽면을 갖는 구조체에 대하여 판재를 부착하기 위한 판재 시공 방법으로서,
    상기 벽면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건축용 브래킷을 부착하는 제1 공정과,
    상기 벽면 상에 부착된 적어도 2개의 상기 건축용 브래킷에 대하여 지지재를 고정시키는 제2 공정과,
    상기 지지재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판재를 부착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건축용 브래킷은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축용 브래킷이고,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제1 면을 상기 벽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제1 고정부를 상기 제1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상기 벽면에 이르는 제1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건축용 브래킷과 상기 벽면을 체결하며,
    상기 지지재는 상기 건축용 브래킷에 대하여 고정되는 제1 접합부와, 상기 제1 접합부에서의 상기 벽면과는 반대 측과 접속하는 제2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지지재의 상기 제1 접합부를 상기 건축용 브래킷의 상기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부의 상기 제2 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기재부를 상기 제2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상기 제1 접합부에 이르는 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건축용 브래킷과 상기 지지재를 체결하거나 혹은, 상기 지지재의 상기 제1 접합부를 상기 건축용 브래킷의 상기 제2 고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리브부의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에 접촉시키고, 상기 리브부를 상기 제3 면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상기 제1 접합부에 이르는 제2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건축용 브래킷과 상기 지지재를 체결하는, 판재 시공 방법.
KR1020217030403A 2019-09-12 2020-08-31 건축용 브래킷, 건물 벽 구조 및 판재 시공 방법 KR202200624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66636A JP7319150B2 (ja) 2019-09-12 2019-09-12 建築用ブラケット、建物壁構造、および板材施工方法
JPJP-P-2019-166636 2019-09-12
PCT/JP2020/032875 WO2021049352A1 (ja) 2019-09-12 2020-08-31 建築用ブラケット、建物壁構造、および板材施工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448A true KR20220062448A (ko) 2022-05-17

Family

ID=7486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403A KR20220062448A (ko) 2019-09-12 2020-08-31 건축용 브래킷, 건물 벽 구조 및 판재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195735A1 (ko)
EP (1) EP3933136A4 (ko)
JP (2) JP7319150B2 (ko)
KR (1) KR20220062448A (ko)
CN (1) CN113646497B (ko)
AU (1) AU2020344324A1 (ko)
CA (1) CA3144704A1 (ko)
TW (1) TW202111194A (ko)
WO (1) WO2021049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4848B2 (en) * 2021-10-14 2023-11-14 Flynn Canada Ltd. Mounting clip assembly providing thermal barrier
CA3186798A1 (en) * 2022-01-12 2023-07-12 Nexii Building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prefabricated panels to structures
USD983018S1 (en) 2022-12-30 2023-04-11 Sunmodo Corporation Roof mount bracket for mounting solar panels
USD983017S1 (en) 2022-12-30 2023-04-11 Sunmodo Corporation Roof mount bracket for mounting solar panels
USD983015S1 (en) 2022-12-30 2023-04-11 Sunmodo Corporation Roof mount bracket for mounting solar panels
USD984872S1 (en) 2022-12-30 2023-05-02 Sunmodo Corporation Roof mount bracket for mounting solar panels
USD983019S1 (en) 2022-12-30 2023-04-11 Sunmodo Corporation Roof mount bracket for mounting solar panels
USD983016S1 (en) 2022-12-30 2023-04-11 Sunmodo Corporation Roof mount bracket for mounting solar panels
US11750143B1 (en) 2023-01-24 2023-09-05 Sunmodo Corporation Bracket and devices for mounting solar panels to roofs
PL443686A1 (pl) * 2023-02-02 2024-08-05 Józwikowski Bohdan Przedsiębiorstwo Handlowo-Produkcyjne Tomar Wspornik do montażu elementów elewacj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9041A (ja) 2014-03-10 2015-09-28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内装壁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並びに内装壁の支持部材
JP2019007327A (ja) 2017-06-21 2019-01-17 ニチハ株式会社 建物の壁構造、取付装置及び板材の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091A (en) * 1893-02-07 And william j
US3972168A (en) * 1974-11-08 1976-08-03 Allen George E Tying device for tying a wood framing structure to a masonry wall
DE2824902C2 (de) * 1978-06-07 1980-06-12 Peter Dipl.-Ing. 3303 Vechelde Wagner Vorrichtung zur vorübergehenden Festlegung von Fassadenelementen
US5060710A (en) * 1990-06-12 1991-10-29 Cooper Industries, Inc. Cam bracket and headrail system
CN1079525A (zh) * 1992-06-04 1993-12-15 国际高技术钢铁系统有限公司 建筑用的框架结构
US5720571A (en) * 1994-12-22 1998-02-24 Super Stud Building Products, Inc. Deflection slide clip
US5664392A (en) * 1996-04-08 1997-09-09 Mucha; Brian A. Deflection clip
US5846018A (en) * 1996-08-26 1998-12-08 Super Stud Building Products, Inc. Deflection slide clip
JP2000336768A (ja) * 1999-03-19 2000-12-05 Misawa Homes Co Ltd 外壁パネル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外壁パネル取付用ブラケットの製造方法
US6213679B1 (en) * 1999-10-08 2001-04-10 Super Stud Building Products, Inc. Deflection slide clip
CN1287058C (zh) * 2001-08-02 2006-11-29 张福长 轻钢副龙骨的连接结构及其连接方法
US7533508B1 (en) * 2002-03-12 2009-05-19 The Steel Network, Inc. Connector for connecting building components
JP2005171752A (ja) * 2003-11-18 2005-06-30 Showa Denko Kenzai Kk 建物外壁の改修方法及び建物外壁用胴縁支持部材
US7478508B2 (en) * 2004-08-16 2009-01-20 Scafco Corporation Mounting clip
RU74686U1 (ru) * 2007-05-31 2008-07-10 Нитиха Ко., Лтд. Внешнестеновой кронштейн и внешне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в которой он использован
AT506588B1 (de) * 2008-04-07 2009-10-15 Erwin Ing Steiner Montagewinkel für fassadenelement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009275418A (ja) * 2008-05-15 2009-11-26 Sumitomo Metal Mining Siporex Kk 縦壁パネルの取付け構造およびベース金具
JP5412356B2 (ja) * 2010-03-31 2014-02-12 株式会社ツヅキ 建築物の外断熱工法及び支持金具
CN201952944U (zh) * 2011-02-25 2011-08-31 积水住宅株式会社 钢框架结构建筑物的外壁构造
US8136321B1 (en) * 2011-03-17 2012-03-20 Jeffrey Bauman Decorative ceiling/wall panel
US8511032B2 (en) * 2011-12-06 2013-08-20 The Steel Network, Inc. Building structure having studs ver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a floor structure
US20150308098A1 (en) * 2014-02-24 2015-10-29 Av_New S.R.L. Thermal break bracket for a support frame of covering elements
KR101707070B1 (ko) * 2014-12-12 2017-02-27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CN105780932A (zh) * 2014-12-24 2016-07-20 覃道锋 低成本高效率外墙固定装置
CN204626719U (zh) * 2015-04-03 2015-09-09 广东坚朗五金制品股份有限公司 可调节式驳接件
CN204898957U (zh) * 2015-06-23 2015-12-23 浙江亚厦幕墙有限公司 一种玻璃幕墙横梁与立柱的插接连接结构
CN204753826U (zh) * 2015-07-07 2015-11-11 浙江精工钢结构集团有限公司 一种单元式预制混凝土外墙与钢结构建筑的连接构造
TWM517224U (zh) * 2015-11-20 2016-02-11 Jin-Hui Xiao 外飾壁板的安全扣裝置
USD815315S1 (en) * 2016-09-08 2018-04-10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Slide clip with internal flanges
USD815313S1 (en) * 2016-09-08 2018-04-10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Slide clip with external flanges
USD815314S1 (en) * 2016-09-08 2018-04-10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Slide clip with external flanges
JP6814014B2 (ja) * 2016-10-18 2021-01-13 ニチハ株式会社 板材の端面取付具、壁構造及び板材の施工方法
USD830812S1 (en) * 2017-01-06 2018-10-16 HumanCentric Ventures LLC Monitor bracket
US10787817B1 (en) * 2017-04-17 2020-09-29 Henry H. Bilge System for mounting adjustable covering panels to a wall
CN206957041U (zh) * 2017-06-15 2018-02-02 山东大学 分块装配式外墙板及其连接构造
WO2018235760A1 (ja) * 2017-06-21 2018-12-27 ニチハ株式会社 建物の壁構造、取付装置及び板材の施工方法
JP6913174B2 (ja) * 2017-10-05 2021-08-04 株式会社ノザワ 建築用パネルの取付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建築用パネルの取付構造
CN209353534U (zh) * 2018-09-28 2019-09-06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透光玻璃幕墙造型固定安装系统
US11692340B2 (en) * 2020-07-22 2023-07-04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Slide clip
US11719269B2 (en) * 2021-07-12 2023-08-08 Chiao-Yin CHANG Corner bracket with reinforcing ribs
US11750143B1 (en) * 2023-01-24 2023-09-05 Sunmodo Corporation Bracket and devices for mounting solar panels to roof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9041A (ja) 2014-03-10 2015-09-28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内装壁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並びに内装壁の支持部材
JP2019007327A (ja) 2017-06-21 2019-01-17 ニチハ株式会社 建物の壁構造、取付装置及び板材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44324A1 (en) 2021-10-21
US20220195735A1 (en) 2022-06-23
CN113646497B (zh) 2023-11-14
CN113646497A (zh) 2021-11-12
JP2021042613A (ja) 2021-03-18
JP2023134748A (ja) 2023-09-27
WO2021049352A1 (ja) 2021-03-18
EP3933136A1 (en) 2022-01-05
CA3144704A1 (en) 2021-03-18
TW202111194A (zh) 2021-03-16
JP7319150B2 (ja) 2023-08-01
EP3933136A4 (en)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62448A (ko) 건축용 브래킷, 건물 벽 구조 및 판재 시공 방법
CN110352282B (zh) 建筑物的墙壁结构、安装装置及板材的施工方法
JP6674337B2 (ja) 建物の外断熱構造
JP6405084B2 (ja) 外装ルーバー用断熱パネル及びその取付構造
JP2023024657A (ja) 建物の壁構造、ブラケット及び板材の施工方法
CN110392760B (zh) 安装配件以及建筑物的壁结构
JP6688012B2 (ja) 屋根構造
JP7515312B2 (ja) 取付具及び壁構造
JP7053206B2 (ja) 取付具及び建物の壁構造
JP7050430B2 (ja) 外壁パネル、外壁構造および外壁施工方法
RU2825263C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кронштейн, 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здания и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ланкообразного элемента
JP7164080B2 (ja) トップライト構造及びトップライト施工方法
KR102370674B1 (ko) 무용접 각관 연결용 브라켓
JPH0317974B2 (ko)
JP4456447B2 (ja) 壁部支持構造
JP3894372B2 (ja) 内壁パネル固定金具及び内壁パネルの固定構造
KR101806525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및 제작방법
JP4769040B2 (ja) 屋根部の施工方法
JP3224178B2 (ja) 建物ユニットの梁耐火施工方法およびその耐火構造
JP3169290B2 (ja) 建物の壁
KR20020072363A (ko)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JP3017292B2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JP2021161680A (ja) 取付具、壁構造、および板材施工方法
CN115279980A (zh) 装饰结构、板材、以及装饰结构的施工方法
JPH058369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