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952A - 탈착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 - Google Patents

탈착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952A
KR20220060952A KR1020200147199A KR20200147199A KR20220060952A KR 20220060952 A KR20220060952 A KR 20220060952A KR 1020200147199 A KR1020200147199 A KR 1020200147199A KR 20200147199 A KR20200147199 A KR 20200147199A KR 20220060952 A KR20220060952 A KR 20220060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vehicle
pads
sides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김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수 filed Critical 김형수
Priority to KR102020014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952A/ko
Publication of KR20220060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4Bumper guards
    • B60R19/445Guard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주차된 자동차의 범퍼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보호패드를 필요에 따라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주변에 주차되어 있던 또는 주변의 주차공간에 자동차를 주차하는 과정에서 범퍼와 범퍼간에 접촉으로 인한 범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범퍼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보호패드는 간격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착하려는 자동차의 차 폭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범퍼보호대를 제공함으로써, 범퍼대 범퍼가 스치듯이 접촉을 할 경우에 연질인 내면이 가해지는 외부충격에 대해 밀리듯이 충격을 흡수하여 범퍼 자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범퍼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접하는 보호패드가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연결수단에 의해 일체를 이룸으로써 자동차의 크기에 관계없이 양측 보호패드 간의 간격을 조정하여 자동차 범퍼의 크기에 맞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수단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는 양측의 범퍼패드는 각각 양측 단에 신축성을 지닌 로프와 상기 로프에 끼워진 후크로 이루어진 걸이수단을 갖추게 하여 차체에 고정함으로써, 범퍼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접하는 범퍼패드는 신축성을 지닌 로프의 인장력에 의해 범퍼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착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Removable and adjustable spacing bumper protectors for vehicles}
본 발명은 탈착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범퍼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도록 연결수단을 포함한 한쌍의 보호대와 상기 연결수단을 포함한 보호대를 범퍼에 설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걸이수단을 갖추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주차구역에 자동차를 장기 주차할 때, 범퍼의 양 모서리부분을 가벼운 접촉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탈착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운전을 하는데 있어서 운전자들이 힘들어하는 경우 중에 하나가 주행을 한 후 특정한 공간에 주차를 시킬 때, 주변 자동차에 방해가 되지 않게 정확한 위치에 주차를 하는 경우이다.
최근 들어서는 자동차의 보급률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경우에 따라 한 가구에 한대는 기본이고 두 대 또는 그이상 되는 가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로 인하여 비교적 주차공간에 여유가 있다고 하는 지하주차장을 갖춘 아파트 단지에서도 주차로 인한 이웃 간에 분쟁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심지에 몰려 있는 대형 건물(백화점, 대형 마트 등의 쇼핑물)들과 주차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다가구주 택으로 인하여 주택가의 이면 도로 또는 다가구 주택들 사이의 공간에 주차를 하게 되는데, 이렇게 다가구 주택들 사이에 자동차를 주차하다 보면, 이웃 간에 서로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차공간을 여유롭게 잡지 못하고 주차간격을 아주 좁게 주차를 하는 것으로 인해 가벼운 접촉사고가 다반사로 일어나고 이로 인해 이웃간에 물리적인 분쟁으로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차체의 범퍼에 부착되는 접착면과 내부에 충격흡수를 위한 공간부를 갖추고 외부에서 조사되는 빛에 반응을 하는 다양한 코팅층 또는 형광도료를 이용한 반사층을 갖춘 단면상 반구형을 이루는 외부면으로 구성되어 외부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어 주행중 가벼운 접촉에 의한 외부충 격으로부터 차체(범퍼)를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코팅층 또는 반사층에 의해 야간주행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가드는 최근 들어서 자동차의 범퍼에 부착하는 것을 꺼리는 추세인데, 그 이유는 처음 부착했을 때는 깨끗하고 산뜻한 면이 있으나 부착시켜 놓고 장기간 운행하다 보면 그 주변이 지저분해지고, 운전중 회전을 할 때, 부착된 범퍼가드를 믿고 무리하게 운전을 하여 차체는 손상되지 않는다 하더라고 부착된 범퍼가드가 손상되어 차체의 외관을 지저분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손상된 범퍼가드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차체(범퍼)에 부착된 것이므로 손상된 범퍼가드를 차체에서 분리해냈을 때 부착되었던 부분에 시각적으로는 보이지 않게 잘 닦았다고 하더라도 미세하게 접착액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이렇게 남아 있는 접착액에 이물질들이 흡착되어 매우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요즘 들어서 차체에 불필요한 외장품들을 부착하지 않는 추세이며, 출고된 자동차 원형 그대로 유지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나 주행 후 정해진 주차공간의 정확한 위치에 주차를 했더라도, 전후 또는 좌우에 주차되어 있던 자동차가 빠져나면서 또는 전후 좌우 측으로 주차를 하면서 범퍼의 모서리부분을 손상 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주변의 목격자가 있거나 접촉을 일으킨 운전자가 양식이 있는 분이 라면 별문제가 없이 손상된 부분에 대해 보상을 받을 수 있겠으나, 목격자가 없거나 접촉을 일으킨 운전자가 아무 의식 없이 그냥 가버렸을 경우에는 손상된 부분에 대해 보상을 받을 수 없어 자비로 수리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주변에 주차되어 있던 자동차가 빠져나가거나 주차하면서 접촉을 일으키는 정도의 범퍼간의 접촉은 그 접촉감을 거의 느낄 수 없을 정도의 접촉에 따른 충격이 미세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을 정도의 미세한 손상을 입는 경우도 있어 운전자가 보는 앞에서 접촉을 하였다 하더라도 그에 따른 보상을 요구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범퍼의 양측 모서리 부분을 덮어주는 한 쌍의 보호패드와 상기한 쌍의 보호패드를 일체를 이루게 하며, 상기 한 쌍의 보호패드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양측의 보호패드를 범퍼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걸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호패드는 범퍼에 접하는 내면과 외부에 노출되는 외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면은 외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수단은 한 쌍의 보호패드 사이에 설치되되, 하나의 보호패드 일측에는 고리부를 갖추게 하고, 다른 하나의 보호패드 일측에는 고리부와 상응하는 위치에 길이조정부를 갖춘 벨트를 갖추게 하여 벨트의 일단이 상기 고리부를 거쳐 길이조정부에 결합을 이루어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걸이수단은 연결수단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는 보호패드의 양측 상단과 하단에 양단부가 봉제작업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신축성을 지닌 로프와, 상기 로프가 끼워진 상태로 일체를 이루며 로프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후크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범퍼 양측 모서리부분에 접하는 한 쌍의 보호패드가 상대적으로 외면에 비해 내면이 연질을 이룸으로써, 범퍼대 범퍼가 스치듯이 접촉을 할 경우에 연질인 내면이 가해지는 외부충격에 대해 밀리듯이 충격을 흡수하여 범퍼 자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범퍼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접하는 보호패드가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연결수단에 의해 일체를 이룸으로써 자동차의 크기에 관계없이 양측 보호패드간의 간격을 조정하여 자동차 범퍼의 크기에 맞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수단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는 양측의 범퍼패드는 각각 양측단 에 신축성을 지닌 로프와 상기 로프에 끼워진 후크로 이루어진 걸이수단을 갖추게 하여 차체에 고정함으로써, 범퍼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접하는 범퍼패드는 신축성을 지닌 로프의 인장력에 의해 범퍼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보호대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보호대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보호대의 설치상태예시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수단의 후크를 자동차 휠에 걸은 상태,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수단의 후크를 휀더의 단부에 걸은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보호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5a는 종 방향으로 주차된 상태에서 주변 자동차에 의해 접촉사고가 발 생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5b는 횡 방향으로 주차된 상태에서 주변 자동차에 의해 접촉사고가 발 생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의 전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보호대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보호대의 설치상태예시도로서.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수단의 후크를 자동차 휠에 걸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수단의 후크를 휀더의 단부에 걸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양측으로 한 쌍을 이루는 보호패드와 상하로 이루어진 한 쌍의 연결수단 및양측의 걸이수단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일측 또는 일단의 보호패드와 연결수단 및 걸이수단을 동일한 도면부 호로 기재하고 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범퍼 모서리부분을 덮어주고 필요에 따라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한 쌍의 보호패드(1)와, 상기 한 쌍의 보호패드(1)를 일체를 이루게 하면서 그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2)과, 상기 연결수단(2)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양측의 보호패드(1)를 범퍼(101)에 탈착시킬수 있도록 하는 걸이수단(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호패드(1)는 범퍼(101)와 직접적으로 접촉을 하는 내면(11)과 외부에 노출되는 외면(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내면(11)과 외면(12)은 일체를 이루고 있는데, 일체를 이루는 방법은 일반적인 접합방법, 즉, 열융착에 의하거나 폭넓게 사용되는 순간 접착제에 의하거나, 외주면을 봉제작업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일반적인 접합방법에 의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보호패드(1)가 내면(11)과 외면(12)이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양측의 보호패드(1)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연결수단(2)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는데, 상기 연결수단(2)은 하나의 보호패드(1) 일측에는 고리부(21)가 일체를 이루도록 부착되고, 다른 하나의 보호패드 (1) 일측에는 상기 고리부(21)와 상응하는 위치에 길이조정부(22)를 갖춘 벨트(23)가 일체를 이루도록 부착되어 벨트(23)의 일단이 상기 고리부(21)에 끼워져 길이조정부(22)에 결합을 이루는 것으로 벨트(23)의 길이를 범퍼 (101)의 크기에 적합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수단(2)에 의해 양측의 보호패드(1)는 일체를 이루게 되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응하는 보호패드(1)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하여 한 쌍을 이루게 하여 범퍼(101)에 부착된 번호판(10 2)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연결수단(2)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양측의 보호패드(1) 외측단에는 걸이수단(3)이 부착되는데, 상기 걸이수단(3)은 신축성을 지닌 로프(31)와 상기 로프(31)에 끼워져 자동차의 휠(103)이나 휀더(104)의 단부에 걸리는 후크(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이수단(3)의 구성요소인 로프(31)는 그 양측 단이 보호패드(1)의 일측 상하단과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로프(31)의 양측 단은 내면(11)과 외면(12)을 일체를 이루게 할 때, 내면(11)과 외면(12) 사이에 끼워 넣고 내면(11)과 외면(12)이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접합방법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보호패드 (1)와 로프(31)의 양측 단이 보다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게 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접합방법 중에서 봉제작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시도 1 과 예시도 2 참조)
여기서,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기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용상태와 그에 따르는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자동차(이하 "차체"라 함)와 차체가 주차되는 특정한 공간에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보호대를 차체(100)에 설치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연결수단(2)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는 일측의 보호패드(1)에 갖춰진 걸이수단(3)의 구성요소인 후크(32)를 차체(100)의 일측 휠(103)이나 휀더 (104)의 단부에 걸어 놓고, 다른 일측의 보호패드(1)의 일측단에 갖춰진 걸이수단(3)의 후크(32)를 차체(100)의 다른 일측의 휠(103)이나 휀더(104)의 단부에 걸으면, 걸이수단(3)의 로프(31)는 신축성을 갖추고 있으므로 차체(100)의 범퍼(101) 양측 모서리부분에 접하는 보호패드(1)는 범퍼(101)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차종에 따라 차체(100)의 폭은 차이가 있으며, 차체(100)의 폭이 작을 경우에는 양측의 보호패드(1)는 범퍼(101)의 모서리부분에 밀착되지 않게 되는데, 이럴 경우 양측의 보호패드(1)는 연결수단(2)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연결수단(2)의 벨트(23)길이를 조정하는 것으로 양측의 보호패드(1)는 범퍼(101)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연결수단(2)은 일측의 고리부(21)와 다른 일측의 길이조정부(22)를 갖춘 벨트(23)로 이루어져 있으므 로, 상기 길이조정부(22)를 이용하여 벨트(23)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차체(100)의 폭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차종에 관계없이 폭 넓게 사용할 수 있다.(예시도 3 참조)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2)은 필요에 따라 신축성을 지닌 스판벨트(24)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 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판벨트(24)의 양단을 양측의 보호패드(1)와 일체를 이루게 하는데 있어서, 외형상 보호 패드(1)를 이루고 있는 내면(11)과 외면(12)을 접합하기에 앞서, 스판벨트(24)의 양단을 상기 보호패드(1)의 내면(11)과 외면(12) 사이에 끼워넣고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접합방법에 의해 접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시도 4 참조)
상기와 같이 연결수단(2)을 신축성을 갖춘 스판벨트(24)로 하게 되면, 스판벨트(24)의 인장력과 걸이수단(3)의 로프(31)가 지닌 인장력에 의해 보다 안정된 상태로 보호패드(1)는 범퍼(101)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밀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보호대를 이용하여 주차공간이 좁게 구획되어 있는 종 방향의 주차공 간에 자동차를 정확하게 주차해 놓고, 차체(100)의 범퍼(101)에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보호대를 설치하게 되면, 양측의 주차공간에 주차했던 자동차가 빠져나가거나 양측의 주차공간에 자동차가 후진 또는 전진 주차를 하기 위하여 주차공간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범퍼(101)에 빗겨 부딪힐 경우, 주차된 차체(100)의 범퍼(101) 양측 모서리부분에는 보호패드(1)가 걸이수단(3)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므로 범퍼(101) 자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보호패드(1)는 외면(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면(11)이 연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외면(12)에 스치듯 가해지는 충격은 상대적으로 연질인 내면(11)이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범퍼(101) 자체에는 손상이 가지 않게 된다.(예시도 5a 참조)
또한, 주차공간이 횡 방향으로 구획되어 있을 경우에는 주차하는데 있어서 종 방향으로 주차하는 것보다 고도의 주차능력을 요구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 된다.
즉, 횡 방향으로 구획된 주차공간은 승용 자동차의 차체(100) 길이를 기준으로 구획되어 지는데, 경우에 따라 화물차가 주차될 경우에는 구획된 주차공간 전체를 다 차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방과 후방에 주차하는 자동 차의 주차공간에 영향을 주게 되어 주차를 하거나 주차된 자동차를 주차공간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차체 (100)를 전방과 후방으로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핸들을 좌우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며 힘들게 주차공간을 벗어 나게 된다.
이때, 주차공간에서 벗어나기 위해 핸들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전진했다가 핸들을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키며 전진한 차체(100)를 후진을 시켜 전방에 위치한 자동차와 간격을 충분히 확보한 후에 다시 핸들을 벗어 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차체(100)를 전진시키며 주차공간을 빠져나오게 되는데, 운전자의 공간감각에 따라 전방이나 후방에 위치한 자동차와 접촉 없이 빠져나갈 수 있으나 공간감각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운전자는 나갈 수 있겠거니 하는 안일한 생각으로 빠져나가다가 스치듯 전방 자동차의 범퍼 모서리 부분을 충격을 가하며 빠져나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치듯이 빗겨 가해지는 충격은 차체에 그 충격이 거의 가해지지 않게 되어 운전자는 접촉이 있었는지를 의식하지 못하고 지나가게 되고, 접촉을 당한 자동차에는 경우에 따라서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흔적을 남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는 주변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이며, 이러한 경우 접촉을 당한 차체(100)의 범퍼(101) 모서리 부분에 본 발명의 보호패드(1)가 설치되어 있으면 범퍼(101) 자체에는 그 충격이 가해지지 않고 보호패 드(1)의 내면(11)이 그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범퍼(101)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예시도 5b 참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보호대는 양측의 보호패드(1)와 상기 양측의 보호패드(1)를 일체를 이루게 하는 연결수단(2)과 상기 양측의 보호패드(1)를 범퍼(101)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밀착되도록 걸어 주는 걸이수단 (3)에 의해 차체(100)의 범퍼(101)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상기 걸이수단(3)의 후크(32) 를 차체(100)의 휠(103)이나 휀더(104)로 부터 분리해 내는 것으로 간단하게 분리하여 범퍼 보호대를 접거나 말아서 간편하게 보관하여 장시간 주차할 경우에 차체(100)의 범퍼(101)를 보호하기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있다.
1 : 보호패드 11 : 내면
12 : 외면 2 : 연결수단
21 : 고리부 22 : 길이조정부
23 : 벨트 24 : 스판벨트
3 : 걸이수단 31 : 로프
32 : 후크 100 : 차체
101 : 범퍼 102 : 번호판
103 : 휠 104 : 휀더
200 : 주차선

Claims (1)

  1. 자동차의 전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그 충격을 흡수하는 보호패드와 상기 보호패드를 자동차의 전면에 밀착하여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은 상기 보호패드의 양 측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자동 차의 양측 휀더에 고정수단을 가지고 있는 걸이수단으로 구성된 탈착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 있어서, 보호패드(1)는, 자동차의 양쪽 모서리 위치에 존재하는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보호패드는 연결수 단(2)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한 쌍의 보호패드는 내면(11)과 외면(12)으로 이루어진 이중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중의 재질은 서로 다른 이종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종의 재질은 상기 외면(12)에 비하여 상기 내면(11)의 재질이 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수단(2)은 상기 좌우 양쪽에 위치한 한 쌍의 보호패드(1)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벨트(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벨트(23)의 일측에는 고리부(21)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부(21)에 상응하는 위치에 길이조정부(22)를 형성함으로써, 자동차의 전면 좌우폭의 변동에 자유롭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벨트(23)를 상하 2개로 배열함으로써, 그 사이에 자동차 번호판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 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수단(3)은 상기 양쪽에 위치한 한 쌍의 보호패드(1)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있고, 사용자가 잡아당길 경우 늘어나게 되는 신축성 로프(31)와, 상기 신축성 로프(31)의 끝단에 위치한 후크 (3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32)는 자동차의 휀더에 안전하게 걸리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 보호패드(1)가 자동차의 양쪽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여 고정되어 있어서 외부 차량이 주차공간에서 빠져나가거나 주차하기 위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상기 보호패드(1)를 장착한 자동차의 모서리 부분을 스치듯 빗겨 부딪히는 경우에 상기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외면(12)이 스치듯 빗겨가면서 발생시키는 흠집을 자동차에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상기 내면(11)이 외부의 충격을 밀리듯이 흡수함으로써 자동차의 범퍼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
KR1020200147199A 2020-11-05 2020-11-05 탈착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 KR20220060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199A KR20220060952A (ko) 2020-11-05 2020-11-05 탈착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199A KR20220060952A (ko) 2020-11-05 2020-11-05 탈착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952A true KR20220060952A (ko) 2022-05-12

Family

ID=8159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199A KR20220060952A (ko) 2020-11-05 2020-11-05 탈착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09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8073A (en) Automobile rear bumper protector
US4219218A (en) Halter type cover for car front protection
US8141918B2 (en) Pedestrian bumper system and method
US20110068592A1 (en) Protective vehicle cover
US20160272138A1 (en) Bumper guard
US20120227294A1 (en) Automobile Protection Device
KR20220060952A (ko) 탈착이 가능하고 간격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
KR101490839B1 (ko) 자동차용 범퍼 보호대
KR101705109B1 (ko) 차량 바퀴용 세척장치
CN211222349U (zh) 汽车遮阳防雪半包车衣
US20090071582A1 (en) Covering device
KR100904863B1 (ko) 차량용 범퍼 보호대
JPH072476B2 (ja) フルカウル型自動二輪車におけるサイドバンパ装置
KR200413949Y1 (ko) 차량용 범퍼가드
KR200299099Y1 (ko) 착탈이 용이한 자동차 측면 파손방지용 보호대
CN216184944U (zh) 一种保险杠组件和具有其的车辆
JP3947951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JP3107495U (ja) 猫から守ろうカー
KR100973934B1 (ko) 자동차 데쉬보드용 커버
JPH055631U (ja) 自動車のバツクミラー装置
JPH0412838Y2 (ko)
JP3050223U (ja) 自動車用ドアーミラープロテクタ
TR2021018036U5 (tr) Çoklu Bölgeden Muhafaza Sağlayan Araç Koruyucu Yapılanması
KR20040083280A (ko) 자동차 범퍼용 커버
US20140190603A1 (en) Protective vehicle wrap